KR101287148B1 -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 Google Patents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48B1
KR101287148B1 KR1020100095954A KR20100095954A KR101287148B1 KR 101287148 B1 KR101287148 B1 KR 101287148B1 KR 1020100095954 A KR1020100095954 A KR 1020100095954A KR 20100095954 A KR20100095954 A KR 20100095954A KR 101287148 B1 KR101287148 B1 KR 10128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shelled
durable
storage medium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407A (ko
Inventor
이창훈
이규태
이정석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to KR102010009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2Preserving by means of inorganic sal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5/00Preservation of eggs or egg products
    • A23B5/08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5/12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을 개시한다. 상기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은,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제공하는 탈각 단계; 탈각된 내구란을 염분을 포함하는 보존 매질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및 보존 매질에 침지된 탈각된 내구란을 보존하는 보존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Method of preserving decapsulated cyst and storage medium for preserving decapsulated cyst}
본 발명은 내구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에 관한 것이다.
양식어류의 초기 먹이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생체 먹이의 하나로 브라인쉬림프(brine shrimp; 학명 알테미어 살리나(Artemia salina))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브라인쉬림프의 시장은 2010년 현재 약 3천억원의 규모이고, 이 중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시장은 30억원 내지 60억원의 규모로 전 세계 소비량의 2% 내지 4%를 차지한다.
브라인쉬림프는 일반적으로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어, 증가되는 양식 어류의 먹이로서의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이미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또한, 자연 채취에 의한 공급은, 채취 현장의 환경의 변화, 예를 들어 날씨 변동에 따라 생산량의 변동이 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급 수량과 공급 가격의 안정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체 인공사료를 개발하거나 브라인쉬림프의 양식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 인공사료는 현 단계에서 영양학적으로 브라인쉬림프에 비하여 열등하며, 각종 첨가물에 의한 독성 포함 여부 또는 식품의 안정성의 보장되지 않은 단계이다. 또한, 브라인쉬림프는 성장 기간이 길고, 환경이 좋을 때에는 내구란을 만들지 않으므로, 브라인쉬림프의 양식은 현단계에서 생산비를 낮추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브라인쉬림프 등의 내구란(resisting egg, cyst)을 둘러싸는 알껍질에는 병원성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한 세균이 많아 부화한 유생의 생존율을 저하시키기도 하고 이를 먹은 물고기 치어들의 건강 및 생존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내구란의 부화 시에 껍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체를 이용하여 부화한 유생과 알껍질을 분리하였으나, 체를 통과하는 알껍질이 존재하거나 체를 통과하지 않는 유생이 존재하는 등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구란은 탈각된 후 즉시 부화하지 않으면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부화하지 않고 생명을 유지한 상태로 보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하여 부화하지 않고 생명을 유지한 상태로 탈각된 내구란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내구란 보존 방법에 사용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은,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제공하는 탈각 단계;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염분을 포함하는 보존 매질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및 상기 보존 매질에 침지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보존하는 보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분은 이온결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분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6H2O), 황산나트륨(Na2SO4), 염화칼슘(CaCl2.2H2O), 염화칼륨(KCl), 및 중탄산나트륨(NaHC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300g 범위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200g 범위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존 단계는 3℃ 내지 1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은,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중탄산나트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물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보존 매질로서,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300g의 염분 농도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은, 염분을 포함하는 보존 매질에 탈각된 내구란을 저온에서 보존함으로써, 내구란을 탈각한 후 일정 기간 보관하여도 높은 부화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의 제약 없이 내구란으로부터 유생을 부화시킬 수 있고, 부화한 유생을 살아있는 상태로 먹이로서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구란을 탈각한 후 보존하므로, 부화 후 알껍질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알껍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화하지 못한 내구란도 그 자체로 먹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브라인 쉬림프의 알껍질이 덮인 내구란(a)과 알껍질이 탈각된 내구란(b)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매질의 성분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내구란의 사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부화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부화율을 농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상대 부화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구란(resisting egg, cyst)은 통상적인 알(egg)와는 달리 부화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부화하거나 죽지 않고 그 자체로서 장기간 생존이 가능한 알을 지칭한다. 이러한 내구란은 일정 시간 동안 물속에서 배의 발생이 진행되어, 부화되기 직전의 단계까지 발생하며, 부화에 요구되는 습도, 용존 산소농도, 또는 온도 이하에서는 더 이상의 성장하지 않고, 즉 부화하지 않고 부화를 위한 생명활동을 중지하게 되며, 심지어는 그 표면이 건조될 수 있다. 즉, 환경의 건조에 대하여 생물학적 대응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구란의 부화 조건으로는 물의 양과 수질, 용존 산소, 수온 등이 있다. 내구란 단계로부터 부화된 생물은 유생 단계(immature stage)를 거쳐서, 여러 차례에 걸쳐 탈피를 한 후 성체로 성장하여 성체 단계(mature stage)에 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을 브라인 쉬림프(brine shrimp)에 대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은 내구란을 낳는 모든 생물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라인 쉬림프, 풍년새우, 물벼룩 등과 같은 수중에 서식하고 내구란을 낳는 절지 동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로티퍼(rotifer, 학명 "Brachionus rotundiformis" 및 학명 "Brachionus plicatilis") 등과 같은 내구란을 낳는 윤충류(Phylum Rotifer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은 탈각 단계(S10), 침지 단계(S20), 보존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보존 방법은 부화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각 단계(S10)에서는,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decapsulation)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제공한다. 탈각 단계(S1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내구란을 담수 또는 해수를 일부 포함하는 용액 내에 침지함으로써, 상기 내구란을 수화시킨다. 상기 용액은 상기 내구란의 알껍질을 통과하여 흡수되어, 상기 내구란을 수화시킨다. 상기 내구란이 충분히 수화되면, 상기 내구란은 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화 시간은 내구란이 침지되는 용액의 수온 및 염분 농도에 따라 변화되며, 예를 들어 수온이 낮거나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화 시간을 길어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용액 내에 공기를 불어넣는 폭기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내구란의 수화가 종료되면, 상기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하기 위하여, 상기 내구란을 탈각 용액 내에 침지한다. 상기 탈각 용액은 락스와 같은 표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각 용액은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NaOCl) 또는 차아염소산칼슘(calcium hypochlorite, Ca(ClO)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각 용액의 수온은 15℃ 내지 25℃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탈각 단계에서는 상기 탈각 용액에 의하여 상기 내구란의 알껍질이 산화되어 녹게된다. 상기 탈각 용액으로서 차아염소산칼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구란은 회색으로 변화하고,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구란은 오렌지색으로 변화한다. 또한, 상기 탈각 과정은 발열 과정이므로, 상기 내구란이 치사되지 않도록 상기 탈각 용액의 수온을 15℃ 내지 25℃의 범위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4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상기 내구란이 탈각되면, 0.1N 염산 용액, 0.1N 초산 용액, 또는 0.1% 치오황산 용액에 상기 내구란을 1분 이내로 담근후 담수 또는 해수로 세척하여 탈각 반응을 불활성시킨다. 탈각된 난을 요오드-전분액(전분, 칼륨-요오드, 황산을 같은 양으로 혼합한 용액)의 희석액에 담구어 청색으로 변하면, 상기 내구란의 세척과 불활성화가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침지 단계(S20)에서는,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보존 매질에 침지한다. 상기 보존 매질은 염분이나 설탕과 같은 삼투압을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용액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염분"은 소금(염화나트륨)에만 한정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서와 같이 해수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염분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염분은 이온결합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6H2O), 황산나트륨(Na2SO4), 염화칼슘(CaCl2.2H2O), 염화칼륨(KCl), 및 중탄산나트륨(NaHC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과 함께 나머지는 물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총 염분 100g에 대한 각 염분들의 양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50g 내지 70g 범위의 염화나트륨, 20g 내지 30g 범위의 염화마그네슘, 5g 내지 15g 범위의 황산나트륨, 3g 내지 7g 범위의 염화칼슘, 1g 내지 2g 범위의 염화칼륨(KCl), 및 0.5g 내지 1g 범위의 중탄산나트륨(NaHCO3).
그러나 이러한 염분 성분의 종류 및 각각의 함량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염분들 중에 일부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NaCl)만을 이용하여 보존 매질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설탕을 이용하여 보존 매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300g 범위의 농도(즉, 15% 내지 30%의 염분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200g 범위의 농도(즉, 15% 내지 20%의 염분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분 농도에 기인하는 삼투압의 영향으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은 그 내의 수분을 외부로 유출하게 되며, 생명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수준의 수분 함량, 예를 들어 약 수% (10% 이하) 수준의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보존 단계(S30)에서는, 상기 보존 매질에 침지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동안 보존한다. 상기 보존 단계(S30)는 3℃ 내지 1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존 단계(S30)는 5℃ 내지 7℃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존 매질의 높은 염분 농도에 의하여 상기 탈각된 내구란은 생명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수분함량을 보유할 수 있고, 부화에 필요한 온도에 비하여 낮은 보존온도로 보존함으로써, 부화를 중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탈각된 내구란의 외부는 상기 보존 매질에 의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므로 추가적인 건조 등의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존 매질에 보존되는 내구란은 죽은 것은 아니며, 보존 기간이 지난 후에 적절한 온도 또는 적절한 수분과 같은 부화 조건이 갖추어지면 부화가 가능하다.
부화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존 매질에 보존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부화시킨다. 상기 부화 단계에서는,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담수 또는 저농도 염분 용액 (예를 들어, 해수 또는 3% 염분 용액)에 옮기고, 상기 용액의 수온을 20℃ 내지 30℃ 범위로 유지한다. 이후, 24시간이 지난 후 부화율을 측정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36시간 내지 48시간이 지난 후 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의 보존 후의 부화율에 대하여는 하기의 실험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실험에 사용된 내구란은 브라인쉬림프 내구란으로 미국 솔트 레이크(Salt Lake)에서 채취된 내구란이며, www.brineshrimpdirect.com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내구란을 탈각시킨 후 3%의 염분(예를 들어, 소금) 농도에서 즉시 부화시키면, 24시간 평균 부화율은 약 80%로 나타났다. 상기 내구란을 1시간 정도 담수에 넣고 격렬하게 폭기시켜 내구란이 물을 흡수하는 수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약 5%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을 넣어 탈각 용액을 형성한 후, 약 10분간 탈각시켰다. 탈각된 내구란은 물로 복수 회 세척한 후, 하기의 도 3에 나타난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을 이용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라 1~2회 세척한 후,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상기 보존 매질의 농도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보존 매질 내에 침지시켜 보존하였다. 상기 보존 매질의 온도는 약 5℃로 유지하였다.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보존하기 시작한 후 1주, 2주 및 4주가 경과한 후, 탈각된 내구란의 형태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어서, 약 25℃로 유지된 3%의 염분 농도의 물에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침지하여 부화시켰다. 부화를 시작한 후 24시간이 지나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도 2는 브라인 쉬림프의 알껍질이 덮인 내구란(a)과 알껍질이 탈각된 내구란(b)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탈각되기 전의 알껍질이 덮인 내구란(a)은 표면이 쭈글쭈글한 상태이며, 상기 내구란이 건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알껍질은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이며, 내구란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알껍질이 탈각된 내구란(b)은 유연한 표면을 가지며,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진다. 이는 상기 내구란이 충분히 수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하기 위한 보존 매질의 성분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증류수에 염분을 3%, 5%, 10%, 15%, 20%, 25%, 및 30% 의 염분 농도를 각각 가지는 보존 매질들을 제조하였다. 상기 염분은 이온결합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6H2O), 황산나트륨(Na2SO4), 염화칼슘(CaCl2.2H2O), 염화칼륨(KCl), 및 중탄산나트륨(NaHCO3)을 도 3에 기재된 함량으로 상기 보존 매질들에 포함시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총 염분 100g에 대한 각 염분들의 양은 다음과 같다: 50g 내지 70g 범위의 염화나트륨, 20g 내지 30g 범위의 염화마그네슘, 5g 내지 15g 범위의 황산나트륨, 3g 내지 7g 범위의 염화칼슘, 1g 내지 2g 범위의 염화칼륨(KCl), 및 0.5g 내지 1g 범위의 중탄산나트륨(NaHCO3)이다.
그러나 이러한 염분 성분의 종류 및 각각의 함량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염분들 중에 일부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NaCl)만을 이용하여 상술한 염분 농도, 예를 들어 3%, 5%, 10%, 15%, 20%, 25%, 및 30% 의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설탕을 이용하여 3%, 5%, 10%, 15%, 20%, 25%, 및 30%의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존 매질의 제조 방법은 눈금 용기에 염분들을 주어진 농도에 따라 투입한 후 증류수를 넣어 충분히 녹인 후, 추가로 증류수를 넣어 필요한 용액의 양을 조절하였다. 예를 들어, 눈금 용기에 도 3에 기재된 중량으로 각각의 염분을 투입한 후, 보존 매질의 전체 부피를 1리터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내구란의 사진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 및 5%의 염분 농도에서는 탈각된 내구란의 형상이 탈각 직후와 거의 유지되었으며, 따라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 내의 수분이 상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5% 이상의 염분 농도에서는 상기 탈각된 내구란이 찌그러지기 시작하였고, 특히 10% 이상의 염분 농도에서는 찌그러짐이 두드러졌다. 특히, 염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탈각된 내구란이 더 심하게 찌그러져 있었으며, 이는 탈수가 더 증가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5% 이상에서는 상기 탈각된 내구란으로부터 삼투압에 의한 탈수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염분 농도가 3% 내지 4% 범위로 알려져 있으므로, 바다 생물인 브라인 쉬림프의 탈각된 내구란 내의 염분 농도 또한 3% 내지 4% 범위일 것으로 생각되고, 그러므로 3%의 염분 농도에서는 탈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내구란의 변화는 전체 염분 농도에 대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삼투압에 의한 탈수 현상이 1주 이내에서 이미 완료됨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부화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부화율을 농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부화율은 부화를 시작한 후 24시간이 지나서 측정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염분 농도를 가지는 보존 매질에 보존하는 경우에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의 부화율이 높았다.
구체적으로, 1주 보존 시에는 20%, 25%, 및 30%의 염분 농도에서 70% 이상의 부화율이 나타났고, 2주 보존 시에는 15%, 20%, 25%, 및 30%의 염분 농도에서 70% 이상의 부화율이 나타났고, 4주 보관 시에는 15% 및 20%의 염분 농도에서 70% 이상의 부화율이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의 보존은 15% 내지 30% 범위의 염분 농도가 적절하며, 4주 이상의 장기 보존에는 15% 내지 20% 범위의 염분 농도가 적절하다.
반면, 3%의 염분 농도에서는 20% 미만의 부화율을 보였다. 동일한 염분 농도에서 즉시 부화 시(즉, 약 25℃의 수온으로 유지함) 약 80%의 부화율을 보였는 바, 보존 매질의 염분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수온을 낮추어 보존하면 탈각된 내구란이 죽어버리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너무 낮은 염분 농도는 탈각된 내구란의 보존에 적절하지 않다.
5% 및 10%의 염분 농도에서는 약 50% 내지 약 60%의 부화율을 나타내었다. 5%의 염분 농도와 3%의 염분 농도에서의 결과를 비교하면, 5%의 염분 농도에서는 50%가 넘는 부화율을 나타내는 바, 상술한 삼투압 현상에 의하여 탈각된 내구란으로부터 탈수가 부화율 증가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을 이용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일정 기간 보존한 후의 상대 부화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의 표에 나타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즉시 부화 시의 80%의 부화율을 기준으로 도 5의 데이터를 재구성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체 보존 기간에 대하여 15% 내지 30% 범위의 염분 농도에서 탈각된 내구란은 약 90% 이상의 부화율을 보였으며, 특히 15% 내지 20% 범위의 염분 농도에서는 4주 보존 시에도 90% 이상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따라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의 보존은 15% 내지 30% 범위의 염분 농도가 적절하며, 특히 4주 이상의 장기 보존에는 15% 내지 20% 범위의 염분 농도가 적절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Claims (7)

  1. 탈각된 내구란을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는 보존 방법으로서,
    탈각 용액을 이용하여 내구란의 알껍질을 탈각하여 탈각된 내구란을 제공하는 탈각 단계;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염분을 포함하는 보존 매질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3℃ 내지 10℃의 온도에서 상기 보존 매질에 침지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보존하는 보존 단계; 및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상기 탈각된 내구란을 부화시키는 부화 단계;
    를 포함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분은 이온결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분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마그네슘(MgCl2.6H2O), 황산나트륨(Na2SO4), 염화칼슘(CaCl2.2H2O), 염화칼륨(KCl), 및 중탄산나트륨(NaHC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300g 범위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매질은 상기 염분을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200g 범위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6. 삭제
  7.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중탄산나트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물로 구성된 보존 매질로서, 내구란 내부의 수분이 내구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존 매질 1리터 당 150g 내지 300g의 염분 농도를 가지는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KR1020100095954A 2010-10-01 2010-10-01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KR10128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954A KR101287148B1 (ko) 2010-10-01 2010-10-01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954A KR101287148B1 (ko) 2010-10-01 2010-10-01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07A KR20120034407A (ko) 2012-04-12
KR101287148B1 true KR101287148B1 (ko) 2013-07-17

Family

ID=4613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954A KR101287148B1 (ko) 2010-10-01 2010-10-01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50B1 (ko) * 2016-11-03 2019-01-02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명태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73B1 (ko) * 1988-01-15 1990-06-20 남궁 로저 반숙된 난류의 난각 제거방법
JPH08222A (ja) * 1994-06-21 1996-01-09 Takamasa Morimoto 味付ゆで卵の製造方法
KR20090006108A (ko) * 2006-03-23 2009-01-14 인베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를 포함하는 사료의 제조방법
KR20100027652A (ko) * 2008-09-03 2010-03-11 박귀녀 조류란의 증숙 탈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273B1 (ko) * 1988-01-15 1990-06-20 남궁 로저 반숙된 난류의 난각 제거방법
JPH08222A (ja) * 1994-06-21 1996-01-09 Takamasa Morimoto 味付ゆで卵の製造方法
KR20090006108A (ko) * 2006-03-23 2009-01-14 인베 테크놀로지즈 엔.브이. 아르테미아 나우플리이를 포함하는 사료의 제조방법
KR20100027652A (ko) * 2008-09-03 2010-03-11 박귀녀 조류란의 증숙 탈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407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289B2 (en) Method for preparing edible aquatic animals for storage
CN107114283B (zh) 一种棘头梅童鱼的人工繁育方法
Kelly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larval and juvenile Palaemon serratus (Decapoda: Palaemonidae) from Irish waters
KR101287148B1 (ko) 탈각된 내구란 보존 방법 및 탈각된 내구란 보존 매질
CN104823894A (zh) 匙吻鲟养殖方法
CN107804914A (zh) 一种基于食物网调控湖泊藻类爆发的方法
Toledo et al. Studies on the use of copepods in the semi‐intensive seed production of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Iglesias-Estévez et al. Capture, transport and acclimatization to captivity of European hake, Merluccius merluccius L.: preliminary data on feeding and growth
Sneddon et al. Ornamental fish (Actinopterygii)
Wakabayashi et al. Culture of slipper lobster larvae (Decapoda: Achelata: Scyllaridae) fed jellyfish as food
Perry et al. Expansion of the Soft Crab Fishery in Mississippi Using Cultured Blue Crabs.
Tucker Jellyfish: the next king of the sea
Karataş et al. The importance of fishery production as an income source in Turkey
Htun et al. Effects of salinity on the hatching efficiency of Artemia cysts decapsulation
CN106212331A (zh) 一种澳洲宝石鲈低盐度循环水养殖方法
Siikavuopio Gree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droebachiensis, Müller) in aquacultur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onad growth.
JP4066240B2 (ja) 貝類の鮮度維持方法及び輸送方法
KR101325161B1 (ko) 즉석 성게국 제조방법
Rana AQUARICULTURE
Browne et al. An Illustrated Hatchery Guide for the Production of Clawed Lobsters:(using a Green Water Technique)
CN108782353A (zh) 一种黑鱼的培育方法
Suresh et al.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on growth and survival of milkfish Chanos chanos fingerlings reared in floating net cages
Edwards Life Beneath the Waters; Or, The Aquarium in America...
Robinson et al. Diving behavior and physiology of the leatherback turtle
Safe Spider Crab Profile–Detailed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