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15B1 -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15B1
KR101244815B1 KR1020100108446A KR20100108446A KR101244815B1 KR 101244815 B1 KR101244815 B1 KR 101244815B1 KR 1020100108446 A KR1020100108446 A KR 1020100108446A KR 20100108446 A KR20100108446 A KR 20100108446A KR 101244815 B1 KR101244815 B1 KR 101244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clam
substrate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656A (ko
Inventor
박경일
김상철
Original Assignee
박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일 filed Critical 박경일
Priority to KR102010010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잠입 기질 및 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수조와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잠입 기질은 황토 20중량%, 칼륨분말 20중량%, 부니 10중량%, 탄산칼슘 5중량%, 키토산 3중량%, 비타민 3중량%, 수질개선제 3중량%, 비오틴 2중량%, 옥탄당 2중량%, 지베렐린 1중량%, 암프로리움 1중량%, 모래 30중량%를 배합한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맛조개의 서식 환경을 안정화시고 생존율을 높이는 잠입 기질을 사용함으로써, 맛조개의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맛조개를 대량 생산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어가의 수입원 역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A RAISING SYSTEM FOR RAISE STRICTUS SEED}
본 발명은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잠입 기질을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산업은 연근해 어업의 위축에 따라 주소득원은 어류 양식업과 조개류 양식업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류 양식의 경우 막대한 시설비, 사료가격, 인력난, 수입 어류의 증가에 따른 어류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운 시점에 놓여있어, 대다수의 어류 양식업 종사자들이 많은 부채에 시달리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조개류 양식도 최근에는 수입 물량과 환경 문제에 봉착하여 단위 생산력이 격감하고 있어 양식 수산업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맛조개는 대나무처럼 가늘고 길며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조개로서, 한국산 맛조개는 총 7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맛조개라고 하면, 이중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맛조개(Solen strictus)를 말한다. 맛조개는 길이 10~15㎝, 너비 1.5㎝ 정도로 대나무처럼 가늘고 긴 원통형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갈색이지만 표면이 벗겨지면 안쪽으로 광택이 나는 흰 껍질이 드러나기도 하며, 살은 옅은 붉은색이다.
맛조개는 갯벌이나 얕은 바다의 모래펄에 타원형의 구멍을 파고 살고, 다른 조개류에 비해 입수공과 출수공이 유난히 길다. 갯벌에 물이 차면 구멍의 위쪽으로 올라와 물속의 유기물을 걸러 먹는다.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는 6~7월 사이에 산란하며,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썰물 때 작은 숨구멍을 찾아 모래를 걷어내면 타원형의 구멍이 보이며 이 구멍에 소금 등을 뿌리면 그 자극에 의하여 음경처럼 생긴 속살이 구멍 입구로 튀어나온다.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잡기도 하고, 철사를 화살 모양으로 만든 ‘써개’나 ‘맛새’ 등의 도구를 이용해 구멍 속을 찍어서 잡기도 한다.
맛조개는 흔히 볼 수 있는 조개류에 해당하나, 최근 환경오염에 따라 갯벌도 점차 오염되고,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갯벌의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자연산 맛조개는 점점 찾아보기 힘들어지고 있다. 맛조개는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낚시 미끼로도 사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높고, 대량 양식이 가능하다. 또한 어류 양식과 같이 막대한 시설비가 들지 않고,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 맛조개 양식을 어가의 수입원으로 보급하기 위한 배경의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맛조개의 서식 환경을 안정화시고 생존율을 높이는 잠입 기질을 사용함으로써, 맛조개의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맛조개를 대량 생산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어가의 수입원 역할을 할 수 있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은,
잠입 기질 및 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수조와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잠입 기질은 황토 20중량%, 칼륨분말 20중량%, 부니 10중량%, 탄산칼슘 5중량%, 키토산 3중량%, 비타민 3중량%, 수질개선제 3중량%, 비오틴 2중량%, 옥탄당 2중량%, 지베렐린 1중량%, 암프로리움 1중량%, 모래 30중량%를 배합한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잠입 기질의 상층에 부니를 2 내지 3㎝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포함되는 물은 염수이며, 염분의 농도는 1.00 내지 1.0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식 시스템은,
순환여과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맛조개의 패각 형성 시기에는, 상기 수조에 칼슘제로서 조개껍질 분말을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맛조개의 변태 시기에는, 해수와 담수의 비가 9:1이 되도록 상기 수조에 담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맛조개의 서식 환경을 안정화시고 생존율을 높이는 잠입 기질을 사용함으로써, 맛조개의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맛조개를 대량 생산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을 가능토록 함으로써 어가의 수입원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의 수조 내부에 포함되는 잠입 기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개는 일반적으로 양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맛살이라고 불리는 맛조개의 살은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다른 조개에 비하여 단백질과 지질이 적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칼슘, 철분, 아연이 풍부하여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소금구이나 무침으로도 많이 먹을 뿐 아니라, 낚시 미끼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맛조개는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대량 양식 시 부가가치가 높은 품종이다. 맛조개는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는 6월 내지 7월 사이에 산란하는데, 어미 한 마리가 수천 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깬 직후의 유생은 부유 생활을 하면서 패각을 형성하는 등, 몇 차례의 변태를 거치고, 일정한 크기가 되면 고착 생활에 들어간다. 맛조개 양식을 위해서는, 고착 생활 이전 발생 단계에 있는 종묘를 양식용 수하 시설에서 양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공적으로 생산된 종묘는 채묘하여, 일정한 크기로 자란 종묘를 양식용 수하 시설에 옮겨서 양식하거나, 단련 종묘로 만들어 양식할 수 있다. 단련 종묘(鍛鍊種苗, hardened seed)는 채묘기에 부착시킨 치패를 단련 상에 얹어서 사용할 때까지 성장을 억제시켜 건강하게 관리하여 만든 종묘를 말하는데, 이러한 단련 종묘는 양식 시 성장이 빠르고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은 수조(100)와 배수시설(200)을 포함하며, 펌프(300) 및 물 공급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100) 내에는 잠입 기질 및 물이 포함될 수 있다. 양식 시스템은, 유수식 또는 순환여과식일 수 있으나,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이 맛조개 종묘의 사육 환경에 좋고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여과식 양식 시스템은, 수조(100) 내부에 잠입 기질과 물을 담아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맛조개 종묘를 생산할 수 있으며, 수조(100)와 연결된 배수시설(200)을 설치하여 수조(100) 내의 물을 배수 및 정화할 수 있다. 이때, 주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물을 정화할 수 있는데, 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수질 정화에 의하면 친환경적인 시설로 운영이 가능하다. 정화된 물은 펌프(300)에 의해 물 공급관(400)을 따라 다시 수조(100)에 공급되기 때문에, 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경제적이다.
수조(100)는, 실질적으로 맛조개 종묘의 사육 환경이 조성되는 장소로서, 모래를 포함하는 잠입 기질과 물이 수조(1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인공 종묘의 생산에는 맛조개 수정란의 사육을 위한 적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래 자연 상태에서의 맛조개의 산란은 대체로 수온이 20℃이상으로 상승하는 매년 6월부터 7월까지 약 2달간에 걸쳐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조(100) 내부의 온도는 18 내지 2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정도로 수조(10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조(100)에는 펌프(300)에 의해 물 공급관(400)을 따라 물이 공급될 수 있는데, 수조(100)의 잠입 기질을 물이 항상 덮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의 높이는 3 내지 6㎝로 할 수 있다. 이때, 수조(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물은 염수이며, 염분의 농도는 1.00 내지 1.02%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015%로 할 수 있다. 맛조개는 해수에서 수정 및 생장하기 때문에 해수와 유사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맛조개의 생장에 유리하며, 폐사율을 낮출 수 있다.
맛조개의 수정란은 디상으로 5일 정도 있다가 소형 각정기, 중형 각정기, 대형 각정기를 차례로 보내고 침착기(갯벌에 잠입하는 시기)에 들어서며, 침착기에 들어선 맛조개 수정란을 채묘함으로써, 종묘로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맛조개의 수정란은 변태를 하게 되는데, 맛조개의 변태 시기에는, 해수와 담수의 비가 9:1이 되도록 수조(100)에 담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맛조개의 패각 형성 시기에는, 수조(100)에 칼슘제를 투여할 수 있다. 이때, 칼슘제로는 새고막 분말과 같은 조개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어린 맛조개는 유생 시기에 물에 녹아있는 성분을 흡수하면서 패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영양분이 많이 필요한 패각 형성 시기에 칼슘제를 투여함으로써 각종 영양 결핍과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패각의 형성 및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양식을 위한 양식 시스템의 수조(100) 내부에 포함되는 잠입 기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양식을 위한 양식 시스템의 수조(100) 내부에 포함되는 잠입 기질은, 황토 20중량%, 칼륨분말 20중량%, 부니 10중량%, 탄산칼슘 5중량%, 키토산 3중량%, 비타민 3중량%, 수질개선제 3중량%, 비오틴 2중량%, 옥탄당 2중량%, 지베렐린 1중량%, 암프로리움 중량%1, 모래 30중량%를 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맛조개는 일반 어류와는 달리 모래 질에서 서식하게 되는데, 맛조개의 서식 환경을 안정화시키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잠입 기질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잠입 기질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이러한 잠입 기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맛조개 종묘가 사육 중 폐사하거나 건강하지 못하게 사육되는 원인이 되었다. 종묘가 건강하지 못하면, 사육을 잘하더라도 상등품의 맛조개로 생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맛조개 종묘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의 종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잠입 기질은, 모래 및 부니 이외에도 키토산, 각종 비타민, 탄산칼슘, 비오틴, 옥탄당 등의 영양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맛조개 종묘의 생존율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건강하게 사육 및 생장할 수 있도록 하며, 맛조개 종묘의 각종 영양 결핍 또는 폐사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맛조개는 패류로서 조개껍질의 형성에 칼슘, 키토산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영양 성분을 잠입 기질에 포함시킴으로써, 맛조개가 건강한 상태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SB와 같은 수질개선제를 더 포함하여 잠입 기질을 형성함으로써, 맛조개의 배설물 등과 부패에 의한 수질악화를 막을 수 있다.
한편, 수조(100) 내부에는, 잠입 기질의 상층에 부니를 2 내지 3㎝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잠입 기질의 상층에 부니를 형성함으로써 침착기에 이른 맛조개 유충의 잠입을 도울 수 있고, 자연 상태에서 맛조개의 서식지인 갯벌과 보다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잠입 기질은, 황토, 칼륨분말, 부니, 키토산, 비타민, 탄산칼슘, 비오틴, 옥탄당, 지베렐린, 암프로리움, 수질개선제, 모래를 순서대로 배합하여 잠입 기질을 형성할 수 있고, 형성된 잠입 기질에 맛조개 종묘가 침착하여 생장하도록 할 수 있다.
맛조개는 갯벌 속에 잠입하여 구멍을 통해 밀물 때에 물에 부유하는 플랑크톤을 먹고 자란다. 잠입 기질에 포함된 비타민을 비롯한 각종 영양 성분은, 맛조개 종묘의 생장에 따라 소모되게 되므로, 식물성 플랑크톤의 인위적인 공급 시에 비타민제, 항생제, 및 영양제 등을 투여함으로써 맛조개 종묘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침착기에 들어선 종묘를 높은 곳으로 옮겨서 4시간 내지 5시간 정도 완전히 노출시켜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단련 종료로 생산할 수도 있다. 단련종묘는 사용할 때까지 성장을 억제시켜 건강하게 관리하여 만든 종묘이기 때문에, 맛조개 종묘의 생산 시기가 지난 다음에 사용할 수도 있고, 단련 종묘를 양식장에서 양식하기 시작하면 성장이 빠르고 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에서는, 맛조개 종묘를 4시간 정도 완전히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시켜 단련 종묘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의 잠입 기질을 다음 표 1의 중량 및 함량에 따라 배합하여 수조(100)에 담고, 잠입 기질의 상층을 평균 2㎝ 두께의 부니로 형성하였다. 그 위에 물의 높이를 평균 4㎝가 되도록 담은 다음, 맛조개의 종묘를 사육하였다. 맛조개의 산란 시기는 6월 내지 7월이므로, 사육 수온은 23℃ 정도로 하였다. 물은 해수와 같은 염수로서, 염분의 농도는 1.01% 정도로 하였으며, 맛조개의 변태 시기에는 담수를 인위적으로 유입시켜 해수와 담수의 비율이 9:1 정도가 되도록 하였다. 유충의 패각 형성 시기에는 새고막 분말을 투여하였으며, 식물성 플랑크톤 공급 시에는 비타민제, 항생제, 및 패류용 영양제를 더 투여하였다.
성분 중량(㎏) 함량(중량%)
모래 3 30
황토 2 20
칼륨 2 20
부니 1 10
탄산칼슘 0.5 5
키토산 0.3 3
비타민 0.3 3
PSB 0.3 3
비오틴 0.2 2
옥탄당 0.2 2
지베렐린 0.1 1
암프로리움 0.1 1
총합 10 10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조 200: 배수시설
300: 펌프 400: 물 공급관

Claims (6)

  1. 잠입 기질 및 물을 내부에 포함하는 수조와 배수시설을 포함하는 양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잠입 기질은 황토 20중량%, 칼륨분말 20중량%, 부니 10중량%, 탄산칼슘 5중량%, 키토산 3중량%, 비타민 3중량%, 수질개선제 3중량%, 비오틴 2중량%, 옥탄당 2중량%, 지베렐린 1중량%, 암프로리움 1중량%, 모래 30중량%를 배합하되,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잠입 기질의 상층에 부니를 2 내지 3㎝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수조의 내부에 포함되는 물은 염수이며, 염분의 농도는 1.00 내지 1.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 시스템은,
    순환 여과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맛조개의 패각 형성 시기에는, 상기 수조에 칼슘제로서 조개껍질 분말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맛조개의 변태 시기에는, 해수와 담수의 비가 9:1이 되도록 상기 수조에 담수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KR1020100108446A 2010-11-02 2010-11-02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KR101244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46A KR101244815B1 (ko) 2010-11-02 2010-11-02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446A KR101244815B1 (ko) 2010-11-02 2010-11-02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656A KR20120046656A (ko) 2012-05-10
KR101244815B1 true KR101244815B1 (ko) 2013-03-18

Family

ID=4626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446A KR101244815B1 (ko) 2010-11-02 2010-11-02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2442B (zh) * 2014-12-03 2017-04-12 广东省实验动物监测所 一种适于海洋底栖水生动物养殖的基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80A (ko) * 2002-11-30 2003-01-09 하석홍 수중 공원 조성용 조형물
KR100952879B1 (ko) 2009-10-23 2010-04-13 주식회사 해동오션 갯벌 체험수조
KR20100050987A (ko) * 2008-11-06 2010-05-14 조주현 해양 생물 종묘용 먹이 생물 배양을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해양 생물의 속성 재배 기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180A (ko) * 2002-11-30 2003-01-09 하석홍 수중 공원 조성용 조형물
KR20100050987A (ko) * 2008-11-06 2010-05-14 조주현 해양 생물 종묘용 먹이 생물 배양을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해양 생물의 속성 재배 기술
KR100952879B1 (ko) 2009-10-23 2010-04-13 주식회사 해동오션 갯벌 체험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656A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4304B (zh) 生态养殖优质红膏河蟹的方法
Cheng et al. Chinese mitten crab culture: current status and recent progres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CN102415346A (zh) 南美白对虾的淡水养殖方法
CN104604759A (zh) 一种草鱼的养殖方法
CN102106326B (zh) 一种双齿围沙蚕立体人工育苗的方法
CN102726328A (zh) 一种沙塘鳢的养殖方法
CN102318576A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CN103636540A (zh) 一种长江刀鲚池塘大棚生态早繁方法
CN105557596A (zh) 一种黑鱼的养殖方法
CN105918168B (zh) 脊尾白虾盐碱水人工养殖方法
KR20150140258A (ko) 양질의 굴을 생산할 수 있는 양식방법
CN100370896C (zh) 半滑舌鳎的亲鱼培育方法
Liu et al. Sea urchin aquaculture in China
CN101228850A (zh) 一年两茬青蟹养殖方法
CN102487867B (zh) 一种金乌贼和半滑舌鳎苗种混合培育方法
CN102144585B (zh) 池蝶蚌与大宗淡水鱼混合养殖方法
CN106035158A (zh) 一种无公害胭脂鱼养殖方法
CN103875558A (zh) 梭子蟹养殖方法
CN101743915B (zh) 中华鲟仔稚幼鱼弱苗的体质强化培育方法
CN110810291B (zh) 一种锦绣龙虾与海葡萄混养的养殖方法
KR101184458B1 (ko) 갯지렁이의 종묘 생산을 위한 양식 장치
CN103461243B (zh) 一种斑鳜苗种低盐度培育方法
CN102356756A (zh) 一种塘鳢育苗方法以及塘鳢育苗的育苗池体体系
CN109662048A (zh) 一种加州鲈鱼池塘生态养殖方法
KR101244815B1 (ko) 맛조개 종묘의 생산을 위한 양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