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782B1 - 원료 장입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장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782B1
KR101285782B1 KR1020110140216A KR20110140216A KR101285782B1 KR 101285782 B1 KR101285782 B1 KR 101285782B1 KR 1020110140216 A KR1020110140216 A KR 1020110140216A KR 20110140216 A KR20110140216 A KR 20110140216A KR 101285782 B1 KR101285782 B1 KR 101285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raw material
furnace bin
bin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681A (ko
Inventor
유병수
윤신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7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2Sieving bulk materials dur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01Positioning the charge
    • F27D2003/0006Particulate materials
    • F27D2003/0009Separation of different types of fines, e.g. by a b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를 저장하는 고로 빈; 상기 고로 빈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의 상기 고로 빈의 외부로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고로 빈 게이트; 상기 고로 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 매트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및 상기 고로 빈 게이트에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고로 빈 내부의 상기 원료를 살수하는 살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장입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MATERIAL}
본 발명은 원료 장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선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원료 장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료 장입 장치는 철광석, 코크스 등의 다양한 크기의 제선 원료를 후공정에서 요구하는 입도로 선별하여 고로에 장입하는 장치로서, 제선 원료가 고로 빈의 호퍼(Hopper)에서 슈트(Chute)를 통해 스크린 장치로 유입되고, 스크린 장치에 설치된 스크린 매트(Screen Mat)의 사목부의 크기에 의해 제선 원료는 괴(塊)와 분(紛)으로 선별된다.
그러나, 스크린 매트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져 고온에 약하므로, 고온의 적열소결광이 스크린 매트 위에 적하되면, 고온의 적열 소결광이 우레탄 재질의 스크린 매트를 녹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소결기의 냉각 장치를 통과한 소결광의 온도는 대개 60도 내지 70도 사이이나, 때로는 180도가 넘는 고온의 적열 소결광이 고로 빈으로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고로 빈에 공급되어 있던 적열 소결광이 슈트를 타고 내려와 스크린 매트 위에서 선별되고 난 후 스크린 매트 위에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적열 소결광은 우레탄 재질의 스크린 매트를 녹여 스크린 장치의 기능을 멈추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손상된 스크린 매트를 전량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고로 작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점검자가 소결광의 온도를 직접 확인하고 일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고로 빈의 상부에 살수하여 소결광의 온도를 낮추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의 적열 소결광에 의한 스크린 매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를 저장하는 고로 빈; 상기 고로 빈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의 상기 고로 빈의 외부로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고로 빈 게이트; 상기 고로 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 매트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및 상기 고로 빈 게이트에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고로 빈 내부의 상기 원료를 살수하는 살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고로 빈 내부에서 상기 고로 빈 게이트를 통해 상기 스크린 매트로 낙하되는 상기 원료를 살수할 수 있다.
상기 고로 빈에 공급되는 상기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로 빈에 상기 원료를 공급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기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일 수 있다.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온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상기 원료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고로 빈에 살수할 수 있다.
상기 고로 빈은 상기 원료 중 소립 원료를 저장하는 소립 고로 빈, 상기 원료 중 대립 원료를 저장하는 대립 고로 빈을 포함하고,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소립 고로 빈과 상기 대립 고로 빈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소립 원료를 상기 소립 고로 빈으로 이송하는 소립 이송 컨베이어, 상기 대립 원료를 상기 대립 고로 빈으로 이송하는 대립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상기 소립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대립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고로 빈 게이트에 인접하여 있으며, 고로 빈 내부의 원료를 살수하는 살수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고온의 원료가 고로 빈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스크린 매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매트의 손상으로 인한 고로 작업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원료를 살수함으로써 원료에 인접한 다른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로 빈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의 소립 고로 빈과 대립 고로 빈에 물을 뿌리는 살수 장치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로 빈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의 소립 고로 빈과 대립 고로 빈에 물을 뿌리는 살수 장치의 연결 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10)를 저장하는 고로 빈(100), 고로 빈(100)에 설치되어 있는 고로 빈 게이트(200), 고로 빈(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10)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 매트(310)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300), 그리고 고로 빈 게이트(2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살수 장치(400)를 포함한다.
고로 빈(100)은 제철소의 고로에 사용되는 철광선, 코크스 등의 원료(10)가 스크린 장치(300)에 의해 선별되기에 앞서 미리 저장되는 장소로서, 상부가 하부에 비해 더 넓은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로 빈(100)에는 고로 빈(100)에 원료(10)를 공급하는 이송 컨베이어(500)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고로 빈(100)은 원료(10) 중 입도가 작은 소립 원료(11)를 저장하는 소립 고로 빈(110), 원료(10) 중 입도가 큰 대립 원료(12)를 저장하는 대립 고로 빈(1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송 컨베이어(500)는 소립 원료를 소립 고로 빈(110)으로 이송하는 소립 이송 컨베이어(510), 대립 원료(12)를 대립 고로 빈(120)으로 이송하는 대립 이송 컨베이어(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립 원료(11)와 대립 원료(12)는 소결기의 냉각 장치를 통과한 소결광일 수 있다.
소립 이송 컨베이어(510)와 대립 이송 컨베이어(520)에 인접한 위치에 온도 측정기(600)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측정기(600)는 소립 이송 컨베이어(510)에 위치하는 소립 원료(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소립 온도 측정기(610)와, 대립 이송 컨베이어(520)에 위치하는 대립 원료(12)의 온도를 측정하는 대립 온도 측정기(6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온도 측정기(600)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일 수 있으며, 온도 측정기(600)는 180도가 넘는 고온의 적열 소결광을 포함하는 원료(10)가 고로 빈(100)으로 공급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온의 적열 소결광을 포함하는 원료(10)가 고로 빈(100)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온도 측정기(600)와 연결된 살수 장치(400)가 자동으로 작동된다.
고로 빈 게이트(200)는 고로 빈(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스크린 장치(300)로의 원료(10)의 배출 및 배출 중단을 조절하고, 원료(10)의 배출 시 배출되는 배출양을 조절한다. 고로 빈 게이트(200)가 개방되면 고로 빈(100)에 저장되어 있는 원료(10)는 스크린 장치(300)로 낙하된다.
스크린 장치(300)는 복수의 사목부(311)를 가지는 스크린 매트(310), 스크린 매트(310)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스크린 몸체(320), 스크린 몸체(320)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스크린 몸체(320)의 외벽에 설치되는 진동 장치(330)를 포함한다.
스크린 장치(300)로 원료(10)가 낙하된 경우 진동 장치(330)가 작동되면 스크린 몸체(320) 전체가 상하로 진동하므로, 스크린 매트(310) 위에 놓인 원료(10)는 입도 별로 선별되기 시작한다.
살수 장치(400)의 유출부(410)는 소립 고로 빈(110)과 대립 고로 빈(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살수 장치(400)의 유출부(410)는 고로 빈 게이트(20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살수 장치(400)는 고로 빈(100)의 내부에서 고로 빈 게이트(200)를 통해 스크린 매트(310)로 낙하되는 원료(10)를 살수할 수 있다.
살수 장치(400)는 온도 측정기(600)에서 고온의 적열 소결광을 포함하는 원료(10)를 탐지한 경우, 고로 빈(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온의 원료(10)에 살수하여 원료(10)의 온도를 낮춘다.
이와 같이, 고로 빈 게이트(200)에 살수 장치(400)의 유출부(41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크린 매트(310)로 낙하되는 원료(10)를 직접 살수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 재질의 스크린 매트(310)에 원료(10)가 도달하기 직전에 직접 원료(10)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10)의 냉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스크린 매트(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고로 빈 200: 고로 빈 게이트
300: 스크린 장치 400: 살수 장치

Claims (8)

  1. 원료를 저장하는 고로 빈;
    상기 고로 빈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의 상기 고로 빈의 외부로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고로 빈 게이트;
    상기 고로 빈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료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 매트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및
    상기 고로 빈 게이트에 인접하여 있으며, 상기 고로 빈 내부의 상기 원료를 살수하는 살수 장치
    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고로 빈 내부에서 상기 고로 빈 게이트를 통해 상기 스크린 매트로 낙하되는 상기 원료를 살수하는 원료 장입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고로 빈에 공급되는 상기 원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고로 빈에 상기 원료를 공급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있는 원료 장입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온도 측정기는 적외선 온도 측정기인 원료 장입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온도 측정기에서 측정된 상기 원료의 온도에 따라 상기 고로 빈에 살수하는 원료 장입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고로 빈은
    상기 원료 중 소립 원료를 저장하는 소립 고로 빈,
    상기 원료 중 대립 원료를 저장하는 대립 고로 빈을 포함하고,
    상기 살수 장치는 상기 소립 고로 빈과 상기 대립 고로 빈에 설치되는 원료 장입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소립 원료를 상기 소립 고로 빈으로 이송하는 소립 이송 컨베이어,
    상기 대립 원료를 상기 대립 고로 빈으로 이송하는 대립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는 상기 소립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대립 이송 컨베이어에 인접하여 있는 원료 장입 장치.
KR1020110140216A 2011-12-22 2011-12-22 원료 장입 장치 KR101285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16A KR101285782B1 (ko) 2011-12-22 2011-12-22 원료 장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16A KR101285782B1 (ko) 2011-12-22 2011-12-22 원료 장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681A KR20130072681A (ko) 2013-07-02
KR101285782B1 true KR101285782B1 (ko) 2013-07-19

Family

ID=4898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16A KR101285782B1 (ko) 2011-12-22 2011-12-22 원료 장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38B1 (ko) 2013-04-10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파인빈용 비상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860A (ja) * 1993-03-23 1994-09-27 Sumitomo Metal Ind Ltd 乾式消火コークスの発塵低減方法
KR980008160U (ko) * 1996-07-08 1998-04-30 김종진 용광로 장입용 원료스크린 유입량 제어장치
KR200175354Y1 (ko) 1999-10-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펠릿제조설비용 펠릿 드럼의 내벽 부착물 제거장치
KR2003004961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매트의 사목부 막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860A (ja) * 1993-03-23 1994-09-27 Sumitomo Metal Ind Ltd 乾式消火コークスの発塵低減方法
KR980008160U (ko) * 1996-07-08 1998-04-30 김종진 용광로 장입용 원료스크린 유입량 제어장치
KR200175354Y1 (ko) 1999-10-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펠릿제조설비용 펠릿 드럼의 내벽 부착물 제거장치
KR20030049616A (ko) * 2001-12-15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 매트의 사목부 막힘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38B1 (ko) 2013-04-10 2014-06-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파인빈용 비상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681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3589B2 (ja) 還元鉄原料供給システム
JP6436422B2 (ja) 粒子状のフィード材料のためのフィードフローコンディショナ
KR101241266B1 (ko) 분체 냉각 계량 이송장치 일체형 사이로
KR20110066368A (ko) 언로더 호퍼의 살수 제어가 가능한 원료 하역기
KR101285782B1 (ko) 원료 장입 장치
CN204134929U (zh) 一种节能色选机
CN107824467A (zh) 一种自动分料机构
KR101435165B1 (ko) 원료 이송 장치 및 방법
JP7107056B2 (ja) 振動篩の目詰まり防止装置及び目詰まり防止方法
CN203256284U (zh) 一种高炉槽下阶梯式料打料返料溜槽
KR101367847B1 (ko) 스크린 장치
CN206901349U (zh) 一种大米进多仓输送装置
CN207242825U (zh) 一种卸料保护装置
JP2006349216A (ja) 焼結鉱の乾燥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CN207952014U (zh) 一种自动分料机构
CN206336737U (zh) 一种适用于磨头直加的脱硫石膏进料系统
CN105502006A (zh) 一种不喷灰的烧结干细粉料配料装置
KR100544580B1 (ko) 소결광 냉각기 미스트 첨가장치
CN206315855U (zh) 高压辊磨机的生产线
KR20090011660A (ko)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1316910B1 (ko) 원료 장입 장치
CN207435474U (zh) 用于炼铁高炉上料的给料机的导流槽结构
KR100605523B1 (ko) 예열기의 압력손실 방지장치
KR101277883B1 (ko) 고로의 선회 슈트 장치
CN207047296U (zh) 一种球团布料均匀的环冷机缓冲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