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751B1 - 스위치 기어 - Google Patents

스위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751B1
KR101285751B1 KR1020090097097A KR20090097097A KR101285751B1 KR 101285751 B1 KR101285751 B1 KR 101285751B1 KR 1020090097097 A KR1020090097097 A KR 1020090097097A KR 20090097097 A KR20090097097 A KR 20090097097A KR 101285751 B1 KR101285751 B1 KR 101285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mechanism
manual
grounding
disconnection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680A (ko
Inventor
아유무 모리타
마사토 고바야시
히로노리 도노사키
미스쿠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4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8Operating arrangements with a plurality of interruptible circuit paths in single vacuum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6Tools for actuating a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33/6661Combination with other type of switch, e.g. for load break switche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 신뢰성을 향상시킨 인터록을 구비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면 패널(2)에는, 단선 결선도(4), 온, 오프 단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 접지 개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 차단, 단로, 접지의 조작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구(7), 차단기를 투입·개극하기 위한 푸시버튼 스위치(8, 9),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 및 접지용조작 핸들 삽입 구멍(30)을 구비한다. 선택기구(7)의 조작 핀(12)의 위치에 따라, 조작하는 기기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기구(7)는 조작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 및 접지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30)에 설치한 셔터와 기계적으로 걸어맞춰지고, 차단, 단로, 접지, 일련의 조작 사이의 기계적 인터록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1)에 의하면, 오조작 방지에 도움이 되고, 또한 스위치 기어에 요구되는 각종 인터록이 기계적으로 실현되어, 안전성, 신뢰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스위치 기어{SWITCH GEAR}
본 발명은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을 삽입하여 개폐 조작을 행하는 수동 단로기 또는 수동 접지 개폐기의 조작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는, 상호간 또는 동일 회로에 접속되는 차단기와의 사이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인터록장치를 설치하나, 이 인터록장치는 가능한 한 간소하고, 조작하기 쉽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것이 아니면 안된다.
종래의 수동 조작기구의 인터록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62-262608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핸들 삽입 구멍을 개폐하는 셔터를 록하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고, 안전성이 확보되는 조건 하에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여자되고, 셔터의 록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인터록장치에서는, 안전 우선 사상에 의거하여, 제어 전원정지에 대비하여, 솔레노이드가 비여자 상태로 록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소62-262608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당해 스위치 기어로 수전하여 비로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는, 강제적으로 상기 인터록을 해제하는 경우도 있고, 그것을 위한 수단을 별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 전기적 인터록이기 때문에, 솔레노이드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와 접속하는 배선, 스위치류의 신뢰성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소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킨 기계적 인터록을 구비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위치 기어의 전면에 차단기 또는 수동 단로기를 조작하기 위한 선택기구를 구비하고, 당해 선택기구와 상기 수동 단로기의 조작 핸들 삽입 구멍에 설치한 셔터를 기계적으로 걸어맞추게 하고, 상기 선택기구로 단로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 셔터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위치 기어의 전면에 차단기, 수동 단로기, 또는 수동 접지 개폐기를 조작하기 위한 선택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를 투입·개극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수동 단로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과,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를 조작하기 위한 접지용 조작 핸들을, 각각 독립하여 더 구비하고, 당해 선택기구와 상기 수동 단로기 및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조작 핸들 삽입 구멍에 설치한 셔터를 기계적으로 걸어맞추게 하고, 상기 선택기구로 단로 또는 접지를 선택한 경우에, 각각의 셔터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이하의 내용을 실시하였다.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하고 있을 때에 한하여, 상기 차단기의 투입 지령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택기구로 차단을 선택하였을 때에 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당해 스위치를 거쳐 상기 차단기에 투입 지령을 준다. 또, 상기 차단기가 투입상태일 때,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차단기의 링크기구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단로기 또는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조작 핸들 삽입 구멍에 설치한 셔터가 개방된 경우,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셔터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였다. 또,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가 투입상태일 때,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링크기구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동 단로기를 개방하지 않는 한, 상기 선택기구가 접지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하였다. 상기 선택기구가 접지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동 단로기를 투입하지 않는 한,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할 수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하고, 안전성, 신뢰성이 향상한 기계적 인터록을 구비한 스위치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스위치 기어(1)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당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기어(1)의 정면에는, 정면 패널(2)과 보호 릴레이(3)를 설치하고 있다. 정면 패널(2)은, 스위치 기어(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선결선도(4), 투입, 개극, 단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 접지 개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차단, 단로, 접지의 조작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구(7), 차단기를 투입·개극하기 위한 푸시버튼 스위치(8, 9),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 및 접지용 조작 핸들 삽입 구멍(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기구(7)의 조작 핀(12)의 위치에 따라, 조작하는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오른쪽부터 순서대로, 차단, 단로, 접지로 하고, 도 1의 경우는 차단기가 동작 가능해진다. 선택기구(7)는 조작을 선택할 뿐만 아니고, 차단, 단로, 접지, 일련의 조작 사이의 인터록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조작 핀(12)이 차단을 선택한 경우에 한하여, 차단기의 투입동작이 가능해진다. 또, 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조작 핀(12)은 기계적으로 록되고, 다른 조작을 선택할 수 없다. 조작 핀(12)이 단로를 선택한 경우,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에 설치한 단로 조작용 셔터(21)가 개방 가능해진다. 또, 단로 조작용 셔터(21)를 폐쇄하지 않는 한, 조작 핀(12)은 이동할 수 없다. 조작 핀(12)이 접지를 선택한 경우, 접지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30)에 설치한 접지 조작용 셔터(31)가 개방 가능해진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접지 조작용 셔터(31)를 폐쇄하지 않는 한, 조작 핀(12)은 이동할 수 없다. 또, 접지 개폐기를 투입하여, 스위치 기어(1)가 접지 상태가 된 경우, 조작 핀(12)은 기계적으로 록되기 때문에, 차단기 또는 단로기는 조작 불가능해진다. 또한, 선택기구(7)가 차단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단로상태로 하지 않는 한, 조작 핀(12)의 접지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마찬가지로, 선택기구(7)가 접지를 선택하고 있는 경우, 단로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하지 않는 한, 선택기구(7)는 차단을 선택할 수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1)에 의하면, 선택기구(7)에 의해 조작대상이 명확해지기 때문에, 오조작 방지에 도움이 된다. 또, 조작기구(7)의 조작 핀(12)에 의해, 스위치 기어에 요구되는 각종 인터록이 기계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안전성, 신뢰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위치 기어(1)의 측단면도, 도 3은 개폐부(50)의 측단면도이다. 당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50)는, 차단·단로용 진공밸브(51)와 접지용 진공밸브(52)로 구성되고, 그것들은 수지(53)에 의해 몰드되어 있다. 개폐부(50)는, 도면에서의 안길이 방향으로 3상분을 병렬하여 배치한다.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1)는 U자형의 진공용기(49)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2쌍의 접점이 수납된다. 가동 도체(54, 55)는, 모두 접속 도체(56)에 고정되고, 세라믹제의 절연 로 드(57)로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도 3의 오른쪽, 즉 스위치 기어(1)의 정면측의 고정 도체(58)는, 모선측 피더(59)에 고정되고, 스위치 기어 사이를 연결하는 모선(60)에 접속한다.
한편, 스위치 기어(1)의 배면측의 고정 도체(61)는, 부하측 피더(62)를 거쳐, 케이블(63)과 접속한다. 즉, 이 스위치 기어(1)에서는, 모선(60) - 모선측 피더(59) - 고정 도체(58) - 가동 도체(54) - 접속 도체(56) - 가동 도체(55) - 고정 도체(61) - 부하측 피더(62) - 케이블(63)의 경로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가동 도체(54, 55) 및 접속 도체(56)는 일체가 되어 동작한다. 이하, 가동 도체(54, 55) 및 접속 도체(56)를 가동부(70)라고 부른다. 절연 로드(57)에 연결한 조작 로드(63)는 벨로우즈(64)를 거쳐 진공 용기(49)에 고정되고, 가동부(70)는 진공 기밀을 유지하면서 동작 가능하게 된다. 이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1)의 경우, 가동부(70)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온위치((Y1),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오프위치(Y2) 및 벼락 서지 등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성능을 확보하는 단로위치(Y3)의 3개의 위치에 정지한다.
접지용 진공 밸브(52)의 고정 도체(64)는, 부하측 피더(62)에 고정한다. 점검 시 등의 접지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접지(E)된 가동 도체(65)를 고정 도체(64)에 접촉시킨다. 또, 부호 66은 콘덴서이고, 부하가 유전압인지 무전압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전압 검출에 사용한다.
다음에, 본 스위치 기어(1)의 조작기구에 대하여 도 2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작기구는,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의 가동부(70)에 대하여, 온위치(Y1) - 오프위치(Y2) 사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석(80), 오프위치(Y2) - 단로위치(Y3) 사이를 구동하는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100) 및 접지용 진공 밸브(52)를 조작하는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120)로 구성한다.
(1)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의 투입동작[오프위치(Y2) → 온위치(Y1)]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1)의 가동부(70)는, 제 1 주축(81)에 고정된 레버(82)에 연결한다. 또, 제 1 주축(81)에는 레버(83)를 고정하여 두고, 전자석(80)을, 연결 고정구(84)를 거쳐 접속한다. 즉,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1)는, 제 1 주축(8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투입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극한다.
도 5에 전자석(8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하부 강판(85), 중간 강판(86), 강관(87) 및 중앙 철심(88)으로 고정 철심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코일(89)을 수납한다. 중간 강판(86)의 상부에는 영구자석(90)을 설치한다. 또한, 영구자석 커버(92), 상부 강판(93)을 중간 강판(86)의 위에 겹치고, 4 모서리의 볼트(94)로 끼워 유지하여, 전자석(80)을 조립한다. 또한, 중간 강판(86) 및 영구자석(90)은 둥근 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T 자형의 가동 철심(91)을 관통시킨다. 코일(89)을 여자하면, 가동 철심(91)이 중앙 철심(88)에 흡인된다. 이때, 가동 철심(91)은 도면에서 하방향으로 구동되고,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1)가 투입되고, 가동부(70)는 온위치(Y1)에 정지한다.
또한, 투입상태에서는, 차단 스프링(95) 및 접점에 접촉력을 주기 위한 접압 스프링(96)이 축세(蓄勢)된 상태가 되고, 무엇인가의 수단으로 그 반력에 견딜 필요가 있다. 영구자석(90)의 자속은, 영구자석(90) - T 자형의 가동 철심(91) - 중앙 철심(88) - 하부 강판(85) - 강관(87) - 중간 강판(86) - 영구자석(90)의 루트로 발생하고, 영구자석(90) - 가동 철심(91) 사이 및 가동 철심(91) - 중앙 철심(88) 사이에서 흡인력이 발생한다. 투입상태에서는, 이 흡인력에 의해 상기한 반력에 견디어, 차단 스프링(95), 접압 스프링(96)의 축세상태를 유지한다.
(2)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의 개극동작[온위치(Y1) → 오프위치(Y2)]
개극동작에서는, 코일(89)을 투입 동작 시와 반대방향, 즉 영구자석의 자속과 반대방향으로 여자한다. 반대방향 여자에 의해 영구자석(90)에 의한 자력이 저하하고, 차단 스프링(95), 접압 스프링(96)의 힘에 의해 가동부(70)가 개극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6은 개극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개극동작에 의해, 제 1 주축(8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1 주축(81)에 별도 설치한 레버(95)의 선단에 위치하는 핀(96)이,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100)의 롤러(101)에 간섭하여, 제 1 주축(81)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 때의 가동부(70)의 정지위치가 오프위치(Y2)에 상당한다.
여기서, 롤러(101)는,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03)에 핀(104)을 거쳐 고정되어 있다. 핀(95)과 롤러(101)의 충돌에 의해, 블레이드(10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롤러(101)가 제 1 스토퍼 핀(105)의 간섭에 의해 회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개극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축(102)에 감기도록 배치한 코일 감기 스프링(106)은, 한쪽을 블레이드(103), 다른쪽을 프레임(107)에 고정한다. 이것은,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가 투입하여 핀(95)과 롤러(101)의 간섭이 해소되어도, 롤러(101)가 도 6의 위치에 정지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의 단로동작 1 [오프위치(Y2)→단로위치(Y3)]
단로조작에서는, 단로용 조작 핸들(108)을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으로부터 삽입하고, 블레이드(103)의 핀(109)과 걸어맞추게 하여, 블레이드(10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약간 회전시켜, 핀(96), 핀(104) 및 축(102)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는 사점(死點)을 넘으면, 차단 스프링(95)의 힘에 의해 제 1 주축(81) 및 블레이드(103)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단로 상태의 설명도를 나타낸다. 블레이드(103)는, 제 2 스토퍼 핀(110)과 간섭하여, 단로방향의 동작이 정지한다. 이 때의 가동부(70)의 정지위치가 단로위치(Y3)에 상당한다. 또한, 단로용 조작 핸들(108)은, 정면 패널(2)을 지지점으로 핀(109)을 뛰어 오르도록 조작하기 때문에, 단로동작 시의 충격력을 받을 염려는 없다.
(4) 차단·단로기용 진공 밸브(51)의 단로동작 2 [단로위치(Y3) → 오프위치(Y2)]
도 7을 이용하여 이 동작을 설명한다. 단로용 조작 핸들(108)을 삽입 구멍(20)으로부터 삽입하고, 삽입 구멍(20)의 상측을 지지점으로 블레이드(103)의 핀(109)과 걸어맞추게 하여, 블레이드(10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조작 에서는, 차단 스프링(95)을 축세한 것 자체로 충분하게 한 조작이 된다. 핀(96), 핀(104), 및 축(102)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는 사점을 넘어 도 6의 상태로 되돌아가면, 가동부(70)는 오프위치(Y2)에 정지한다.
(5) 접지용 진공 밸브(51)의 투입 동작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접지용 진공 밸브(5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지용 진공 밸브(52)의 가동 도체(65)는, 제 2 주축(132)에 고정된 레버(133)와 연결된다. 또, 제 2 주축(132)의 레버(134)는, 연결 고정구(135)를 거쳐,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120)와 접속한다.
접지용 조작 핸들(121)을 삽입 구멍(30)으로부터 핸들 받침 고정구(122)에 삽입한다. 접지 조작 핸들(121)을 도 8의 하방향으로 조작하면, 핸들 받침 고정구(122)는 축(12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핸들 받침 고정구(122)에 설치한 핀(124)이, 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재(125)와 간섭하고, 부재(125)도 시계 방향으로 동작하기 시작한다. 토글 스프링(126)은, 그 한쪽 끝을 부재(125), 다른쪽 끝을 축(12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28)에 접속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동작에 의해 토글 스프링(126)은 서서히 압축된 상태가되고, 마침내, 축(123), 부재(125)와 토글 스프링(126)을 연결하는 핀(129), 토글 스프링(126)과 블레이드(128)를 연결하는 핀(130) 및 축(127)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는 사점을 넘으면, 토글 스프링(126)의 축세력에 의하여, 제 2 주축(132)이 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 결과, 접지용 진공 밸브(52)의 가동 도체(65)가 상방향, 즉 투입된다(도 9). 또한, 투입동작에서는, 차단 스프링(137) 및 접점에 접촉력을 주기 위한 접압 스프링(138)이 축세된 상태가 된다.
(6) 접지용 진공 밸브(51)의 개극동작
개극동작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용 조작 핸들(121)을 상방향으로 조작한다. 핸들 받침 고정구(122)는 축(1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부재(125)는 핸들 받침 고정구(122)의 핀(136)과 간섭하기 때문에, 부재(125)도 동시에 동작한다. 축(123), 부재(125)와 토글 스프링(126)을 연결하는 핀(129) 및 토글 스프링(126)과 블레이드(128)를 연결하는 핀(130)이 일직선 상에 늘어서는 사점을 넘으면, 투입 동작 시에 축세해 둔 차단 스프링(137), 접압 스프링(138)의 힘에 의하여, 개극동작, 즉 도 8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개극동작에서는, 토글 스프링(126)은 거의 축세되지 않고, 차단 스프링(137) 및 접압 스프링(138)에만 의존한다.
이하에서는,본 발명의 골자인 인터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정면도, 도 11은 측면도이다. 또, 조작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선택기구(7)의 구조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선택기구(7)는, 주로 패널(150)과 로드(151)로 구성된다. 패널(150)에는 직사각 형상의 부재(15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하를 로드(151)가 관통하고 있다. 또, 부재(152)와 로드(151)로 복귀 스프링(154)을 끼워 유지한다. 로드(151)의 측면에는 조작 핀(12)을 고정하고, 이 조작 핀(12)은 패널(150)에 설치한 타원 구멍(153)을 관통하고 있다. 패널(150)은, 정면 패널(2)에 설치한 레일(155)(도 11)을 따라, 스위치 기어(1)의 폭 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핀(12) 을 패널(150)에 설치한 타원 구멍(153)을 따라 상하시키면, 패널(150)은 움직이지않고, 로드(151)만이 상하 이동한다. 또, 로드(151)에는, 전자석(80)과 제 1 주축(81)의 연결 고정구(84)와 간섭하는 제 1 인터록 핀(157),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120)와 제 2 주축(132)의 연결 고정구(135)와 간섭하는 제 2 인터록 핀(15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드(151)의 상부 선단에는,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 및 접지용 조작 핸들 삽입 구멍(30)에 설치한 셔터를 록하는 부재와 걸어맞추는 コ자형의 고정구(156)를 고정하고 있다.
정면 패널(2)에는 직사각 형상(E자형)의 홈(160)을 설치하고 있고, 이 홈(160)을 관통한 조작 핀(12)은, 홈(16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드(151)는 복귀 스프링(154)에 의해 상시 하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조작 핀(12)은 CB 위치, DS 위치, ES 위치(도 10)에 안정되게 위치한다. 여기서, CB 위치는 전자석(80), DS 위치는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100), ES 위치는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120)가 각각 조작 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0은, 조작 핀(12)이 CB 위치에 존재하고,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0)가 투입상태, 즉 가동부(70)가 온위치(Y1)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의 투입지령은, 리미트 스위치(161)를 거쳐 입력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핀(12)이 CB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투입 동작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인터록 핀(157)과 연결 고정구(84)의 간섭에 의해, 조작 핀(12)의 상방향으로의 조작이 저지된다. 이상으로부터, 「선택기구로 차단을 선택한 경우에 한하여, 차단기를 투입할 수 있다」, 「단로 또는 접지의 수동 조작 중에 조작기구의 전기제어를 불가능하게 한다」 및 「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 단로 또는 접지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3종류의 인터록이 실현된다.
도 14는, 차단·단로용 진공 밸브(50)가 개극상태, 가동부(70)가 오프위치(Y2)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개극동작에 따라, 연결 고정구(84)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조작 핀(12)을 상방향, 또한 DS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단, 제 1 인터록 핀(157)의 선단 굴절부(162)와 연결 고정구(84)의 간섭에 의해, 조작 핀(12)의 ES 위치로의 이동은 저지된다. 즉, 「단로 조작 후에, 접지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는 인터록이 실현된다.
조작 핀(12)이 DS 위치측으로 이동하면,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20)에 설치한 단로 조작용 셔터(21)를 록하는 제 1 셔터 록 고정구(163)와, 로드(151)상부의 コ자형의 고정구(156)가 걸어맞춰진다(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핀(12)을 DS 위치로 이동시키면, 단로 조작용 셔터(21)와 제 1 셔터 록 고정구(163)와의 걸어맞춤이 해소되어, 단로 조작용 셔터(21)를 개방할 수 있다. 또, 단로 조작용 셔터(2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조작 핀(12)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여도, 단로 조작용 셔터(21)와 제 1 셔터 록 고정구(163)가 간섭하여 저지된다. 즉, 「선택기구로 단로를 선택한 경우에 한하여, 단로 조작할 수 있다」는 인터록이 실현된다.
조작 핀(12)을 ES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드(151) 상부의 コ자형의 고정구(156)는, 단로 조작용 셔터(21)를 록하는 제 1 셔터 록 고정구(163)와의 걸어맞춤이 해소되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 조작용 셔터(31)를 록하는 제 2 셔터 록 고정구(171)와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조작 핀(12)을 ES 위치로 이동시키면, 접지 조작용 셔터(31)와 제 2 셔터 록 고정구(171)의 걸어맞춤이 해소되어, 접지 조작용 셔터(31)가 개방되게 된다(도 18).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접지 조작용 셔터(31)를 폐쇄하지 않는 한, 제 2 셔터 록 고정구(171)에 의해, 조작 핀(12)의 상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 도 19는, 접지용 진공 밸브(52)를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로드(151)에 고정된 제 2 인터록 핀(158)이 연결부재(135)와 간섭하기 때문에, 조작 핀(12)을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상에 의하여, 「선택기구로 접지를 선택한 경우에 한하여, 접지 조작할 수 있다」, 「접지 개폐기를 투입한 상태에서는, 단로기 및 차단기를 조작할 수 없다」는 2개의 인터록이 실현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용 진공 밸브(51)를 개극한 후, 조작 핀(12)을 CB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여도, 로드(151) 상부의 コ자형의 고정구(156)와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100)의 로드(101)가 간섭하여, 저지된다. 즉, 「단로기를 투입한 후에[가동부(70)를 오프위치(Y2)로 되돌린 후에], 차단기의 투입 동작이 가능해진다」는 인터록이 실현된다.
이상,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1)에 의하면, 선택기구(7)에 의해 조작대상이 명확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택기구(7)의 조작 핀(12)에 의해, 스위치 기어에 요구되는 각종 인터록이 기계적으로 실현되어, 안전성, 신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 패널의 조작 핀에 의해 각종 인터록이 기계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저렴하고,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킨 스위치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개폐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조작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전자석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인터록 기구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선택기구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 탑재되는 선택기구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조작 핀을 CB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조작 핀을 CB 위치로부터 DS 위치로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조작 핀이 DS 위치에 존재할 때의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조작 핀이 DS 위치로부터 ES 위치로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
도 18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조작 핀이 ES 위치에 존재할 때의 도,
도 19는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접지용 진공 밸브가 투입상태인 경우의 도,
도 20은 본 발명의 스위치 기어에서 ES 위치로부터 DS 위치로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 기어 2 : 정면 패널
7 : 선택기구 12 : 조작 핀
20 : 단로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
21 : 단로 조작용 셔터
30 : 접지용 조작 핸들의 삽입 구멍
31 : 접지 조작용 셔터 80 : 전자석
100 : 단로용 수동 조작기구 120 : 접지용 수동 조작기구

Claims (10)

  1. 차단기, 수동 단로기 및 수동 접지 개폐기를 구비한 스위치 기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어의 전면에 상기 차단기, 상기 수동 단로기, 또는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를 조작하기 위한 선택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기를 투입·개극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수동 단로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핸들과,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를 조작하기 위한 접지용 조작 핸들을, 각각 독립하여 더 구비하고,
    당해 선택기구와 상기 수동 단로기 및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조작 핸들 삽입 구멍에 설치한 셔터를 기계적으로 걸어맞추게 하고, 상기 선택기구로 단로 또는 접지를 선택한 경우에, 각각의 셔터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하고 있는 때에 한하여, 상기 차단기의 투입 지령을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로 차단을 선택하였을 때에 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당해 스위치를 거쳐 상기 차단기에 투입 지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가 투입상태일 때,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차단기의 링크기구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가 투입상태일 때,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링크기구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동 단로기를 개방하지 않는 한, 상기 선택기구가 접지를 선택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기구가 접지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수동 단로기를 투입하지 않는 한, 상기 선택기구가 차단을 선택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단로기 또는 상기 수동 접지 개폐기의 조작 핸들 삽입 구멍에 설치한 셔터가 개방된 경우, 상기 선택기구와 상기 셔터가 간섭하여, 상기 선택기구를 조작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기어.
KR1020090097097A 2008-10-14 2009-10-13 스위치 기어 KR101285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4746 2008-10-14
JP2008264746A JP5070178B2 (ja) 2008-10-14 2008-10-14 スイッチギ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80A KR20100041680A (ko) 2010-04-22
KR101285751B1 true KR101285751B1 (ko) 2013-07-19

Family

ID=4151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097A KR101285751B1 (ko) 2008-10-14 2009-10-13 스위치 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89874A1 (ko)
EP (1) EP2178097A3 (ko)
JP (1) JP5070178B2 (ko)
KR (1) KR101285751B1 (ko)
CN (1) CN101728770A (ko)
SG (1) SG161168A1 (ko)
TW (1) TWI4191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397B2 (en) 2009-06-12 2015-01-13 Ishihara Sangyo Kaisha. Ltd. Near-infrared shielding coating agent curable at ordinary temperatures, near infrared shielding film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467863B1 (de) * 2009-08-20 2014-06-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JP5501312B2 (ja) * 2011-08-29 2014-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器及びスイッチギヤ
US9184572B2 (en) 2011-10-31 2015-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Overlap protective shutter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CN103177888B (zh) * 2011-12-21 2015-07-22 西门子公司 互锁装置
KR101247735B1 (ko) * 2012-05-08 2013-03-26 신성산전주식회사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장치
JP2015023685A (ja) *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ギヤ
CN105321748B (zh) * 2014-07-21 2019-09-10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用于不间断电源的机械和电信号连锁机构
ES2609049B1 (es) * 2015-10-13 2017-11-07 Ormazabal Corporate Technology, A.I.E. Sistema de control de dispositivos eléctricos de alta tensión
KR101752722B1 (ko) 2015-12-30 2017-07-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락 장치
KR101809822B1 (ko) * 2016-03-11 2017-1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KR20170003305U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CN106374362B (zh) * 2016-11-15 2018-05-18 辽宁电能发展股份有限公司 户外操作低压馈出断路器综合配电箱
CN107769058B (zh) * 2017-11-24 2019-07-02 彭显刚 一种环网柜上的新型面板装置
JP2020013698A (ja) * 2018-07-18 2020-01-23 富士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スイッチギア
CN108831779B (zh) * 2018-08-21 2024-05-07 广东省江门市新会电气控制设备厂有限公司 一种真空负荷开关柜联锁装置
WO2020059032A1 (ja) * 2018-09-19 2020-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ギヤの操作ロッド挿入口の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
WO2020219905A1 (en) * 2019-04-26 2020-10-29 G & W Electric Company Switchgear with manual trip assembly and mechanical interlock
US11017967B2 (en) * 2019-06-27 2021-05-25 EMA Electromechanics, Inc. Distribution grounding switch to support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DE102019209871A1 (de) * 2019-07-04 2021-01-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einrichtung
CN112582201A (zh) * 2020-11-30 2021-03-30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开关设备
CN112737111B (zh) * 2020-12-22 2023-01-06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建设分公司 一种提高远控遥控开关稳定性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2608A (ja) * 1986-05-08 1987-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断路器等の手動操作器のインタロツク装置
EP1416503A2 (en) * 2002-10-30 2004-05-06 Hitachi, Ltd. Solenoid-operated switch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omagn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85B2 (ja) * 1987-09-24 1994-05-18 株式会社戸上電機製作所 閉鎖配電盤
JP3111844B2 (ja) * 1995-01-09 2000-11-27 日新電機株式会社 断路器・接地開閉器操作装置
JPH09154208A (ja) * 1995-11-28 1997-06-10 Toshiba Corp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H10188745A (ja) * 1996-12-20 1998-07-21 Nissin Electric Co Ltd 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4155385B2 (ja) * 2001-06-13 2008-09-24 東光電気株式会社 開閉器
JP4716685B2 (ja) * 2004-07-12 2011-07-06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機器の操作器
US8817454B2 (en) * 2006-07-26 2014-08-26 Eaton Corporation Coordinating installation and connection of a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TWI435355B (zh) * 2006-09-20 2014-04-21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 drive
JP4268991B2 (ja) * 2006-09-20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201000849Y (zh) * 2006-09-22 2008-01-02 上海中科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高压开关柜防误操作连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2608A (ja) * 1986-05-08 1987-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断路器等の手動操作器のインタロツク装置
EP1416503A2 (en) * 2002-10-30 2004-05-06 Hitachi, Ltd. Solenoid-operated switch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omag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680A (ko) 2010-04-22
EP2178097A3 (en) 2016-11-16
TW201025395A (en) 2010-07-01
US20100089874A1 (en) 2010-04-15
SG161168A1 (en) 2010-05-27
JP5070178B2 (ja) 2012-11-07
CN101728770A (zh) 2010-06-09
JP2010098776A (ja) 2010-04-30
TWI419191B (zh) 2013-12-11
EP2178097A2 (en)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751B1 (ko) 스위치 기어
TWI435355B (zh) Vacuum insulated switch drive
EP2187416B1 (en) Vacuum switchgear
KR100898469B1 (ko) 누전 차단기
CN100367438C (zh) 漏电断路器
JP2007014087A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109716606B (zh) 用于抽出式断路器的推压互锁系统
KR20042096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3단 단로기 구동장치
US11189994B2 (en) Circuit breaker
CN108074774B (zh) 用于接地开关的凸轮选择器
KR101203913B1 (ko) 스위치 기어
CN201532894U (zh) 隔离开关机构的连锁装置
KR101168257B1 (ko) 전자석 엑츄레이터를 탑재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RU2696600C1 (ru) Разъ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механизм для разъединения контактора
JPH10174216A (ja) 接地開閉装置
KR200212728Y1 (ko) 진공차단기/어싱스위치의 인터로크장치
JP2002374605A (ja) 開閉器
KR20070112715A (ko) 누전 차단기
KR10098372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ds 및 es의 수동 조작 장치
US20140210575A1 (en) Electrically operated branch circuit protector
CN1728315A (zh) 漏电断路器
JP4787675B2 (ja) 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