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858B1 -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858B1
KR101284858B1 KR1020110084035A KR20110084035A KR101284858B1 KR 101284858 B1 KR101284858 B1 KR 101284858B1 KR 1020110084035 A KR1020110084035 A KR 1020110084035A KR 20110084035 A KR20110084035 A KR 20110084035A KR 101284858 B1 KR101284858 B1 KR 10128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painting
housing
paint gu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643A (ko
Inventor
박진형
김은중
김성태
한동기
백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58B1/ko
Priority to JP2014527049A priority patent/JP5675001B2/ja
Priority to PCT/KR2012/004232 priority patent/WO2013027924A1/ko
Priority to CN201280040544.XA priority patent/CN103747882B/zh
Publication of KR2013002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a condition of the discharged jet or spray, e.g. to jet shape, spray pattern or droplet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도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주행 휠이 외부에 설치되고, 주행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를 구비한 이동 모듈; 이동 모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장 건을 포함하는 도장 모듈; 도장 건을 이용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위하여 몸체를 지나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몸체 내부로 제 1 압력의 공기 보다 낮고 대기압보다 높은 제 2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부 및 이동 모듈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몸체를 지나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 동작 수단이 제 1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제 1 하우징 내부는 밀폐된다.

Description

도장 장치{PA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제조 과정에서 선체 블록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페인트로 도장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 선체 블록 내부의 론지의 측면부와 같이 높이가 낮은 도장 대상물은 균일하게 도장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선체 블록 내측면과 같은 작업 공간은 거의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밀폐된 공간 안에서 장시간 도장 대상면을 페인트로 도장하는 작업은 숙련된 작업자에게도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도장 작업 공정 동안 분사된 페인트에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작업자의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도장 작업 공정 중 위험하고 열악한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자동화된 도장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한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0-2009-011160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선체 블록 내부를 자동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한국 특허 공개 공보에 제시된 도장 장치와 같이 자동화된 도장 장치가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인 선체 블록 내부는 밀폐된 공간이므로, 이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도장 작업 공간 내부에서 도장 장치와 연결된 전장 등에 의한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폭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블록 내측의 론지와 같이 높이가 낮은 도장 대상물을 도장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 휠이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를 구비한 이동 모듈; 상기 이동 모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장 건을 포함하는 도장 모듈; 상기 도장 건을 이용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를 지나 상기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몸체 내부로 상기 제 1 압력의 공기 보다 낮고 대기압보다 높은 제 2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이동 모듈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를 지나 상기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 동작 수단이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된 상기 주행휠의 회전축과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되 오일실 결합홀 및 베어링 결합홀이 나란하게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기 베어링 결합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오일 씰 결합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오일 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장 장치는,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과 상기 주행 휠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도장 장치의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 1 벨트; 및 도장 장치의 주행 방향으로 볼 때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 2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도장 장치는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도장 모듈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압력의 공기를 형성하는 제 1 레귤레이터 및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2 압력의 공기를 형성하는 제 2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도장 장치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하우징은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는, 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이 위치되는 제 1 영역; 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이 위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영역 및 서로 나란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수직하게 주행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몸체의 측부에 위치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의 높이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저면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장 건은 도장 대상면을 향하여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도료 분사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도료 분사 노즐은 상기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측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도료가 분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도장 장치는 상기 도장 건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에 설치되는 도장 건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 건 작동부는,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피벗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장 건을 작동하는 피벗 작동부; 및 상기 도장 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측이 상기 피벗 작동부를 지지하며 타측이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에 설치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높이 조절부는 팬터 그래프 방식으로 승하강 가능한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벗 작동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 상측부에 결합된 이동 지지대; 상기 도장 건에 결합되어 상기 도장 건과 함께 회전 가능한 도장 건 지지대; 및 상기 도장 건 지지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 건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이 상기 이동 지지대에 결합된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설치되는 제 1 베벨 기어; 상기 제 1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열된 피벗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베벨기어에 연결된 제 2 베벨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피벗 회전축의 일측이 상기 도장 건 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1 베벨 기어를 내장한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유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2 압력의 공기에 의하여 채워질 수 있다.
한편, 도장 장치는, 상기 몸체를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암; 및 상기 가이드 암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장 장치는, 상기 몸체의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장 장치에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 휠은 상기 몸체의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양측부 및 후방 양측부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상기 전후방 양측부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주행 휠 중 도장 대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주행 휠의 상측부에는 휠 덮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밀폐된 도장 작업 공간 안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폭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를 사용하면 론지와 같이 높이가 낮은 도장 대상물을 용이하게 도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평면도로서, 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구동축의 실링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장 건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위빙축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위빙축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가 도장 대상면을 도장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는 이동 모듈(10), 도장 모듈(250), 공기 공급부(400) 및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에 있어서,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도 12의 260)은 이동 모듈(10)에 탑재되어, 이동 모듈(10)이 이동하는 동안 도장 건(260)의 도료 분사 노즐(도 12의 270)로부터 분사된 도료가 도장 대상면을 도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260)에 형성된 도료 분사 노즐(270)로부터 도료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공기 공급부(400)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260)으로 공급된다.
이 때, 공기 공급부(400)로부터 도장 모듈(250)의 도장건(26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 2 공기 이송관(420)을 통하여 이동 모듈(10)의 내부로 연결된 후 이동 모듈(10)로부터 제 3 공기 이송관(430)을 통하여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260)과 연결된다.
이 때, 공기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도장 모듈(250)의 도장건(260)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레귤레이터(310)가 제공된다.
제 1 레귤레이터(310)는 전장반(3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어 공기 공급부(400)로부터 제 1 공기 이송관(41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고, 이와 같이 압력이 조절된 공기가 도장 모듈(250)의 도장건(260)으로 공급된다. 이 때, 도장 모듈(250)의 도장건(26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대략 0.5MPa 정도의 고압 공기일 수 있다. 이하 제 1 레귤레이터(310)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되어 도장 모듈(250)의 도장건(26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 1 압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반(300)의 제 1 레귤레이터(310)로부터 나온 제 1 압력의 공기는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260)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 이송관(420)을 통하여 이동 모듈(10)의 내부로 연결된 후 이동 모듈(10)로부터 제 3 공기 이송관(430)을 통하여 도장 모듈(250)의 도장 건(도 12의 260)으로 연결된다.
이 때, 이동 모듈(10)의 내부에는 도장 건(26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솔레노이드 밸브(70)가 설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이동 모듈(10) 내부의 제어기(92)에 연결되어 도장 건(26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레귤레이터(310)의 하류에 형성된 제 2 공기 이송관(420)으로부터 분기된 제 4 공기 이송관(440)에는 제 2 레귤레이터(320)가 연결되어 제 1 레귤레이터(310)에 의하여 공기압이 조절된 고압 공기가 더 낮은 압력을 갖도록 한다. 이 때, 제 2 레귤레이터(320)는 제 1 레귤레이터(310)와 유사하게 전장반(30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레귤레이터(320)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된 더 낮은 압력의 공기는 대략 0.2MPa일 수 있다. 이하 제 2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압력이 조절된 공기의 압력을 제 2 압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제 2 레귤레이터(320)를 지난 제 2 압력의 공기는 제 5 공기 이송관(450)을 통하여 이동 모듈(10)의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이동 모듈(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제 2 압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 모듈(1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제 2 압력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장 장치(1)가 도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선체 블록 내부와 같이 밀폐된 공간 안에서 이동 모듈(10)이 폭발할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500)가 제공된다. 전원 공급부(500)의 전원 공급선(510)은 전장반(300) 내부를 지나 이동 모듈(10)까지 연결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500)로부터 이동 모듈(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선과 고압 공기를 이동 모듈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 이송관이 하나의 방폭 성능을 갖는 케이블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 모듈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평면도로서, 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은 구동부(20), 도장 건 작동부(100) 및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20)는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의 이동을 위한 구동 수단을 내부에 구비한 몸체(30)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행 휠(40)을 포함한다.
이 때, 몸체(30)는 제 1 하우징(50) 및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하우징의 내부에는, 주행 휠(4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이 설치된다. 이 때, 구동 수단은 구동 모터(도 5의 80) 및 구동 모터의 동력을 주행 휠(4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 전달 수단은 구동 모터(80)의 구동축(81) 및 주행 휠(40)의 주행 축(42)에 설치되는 풀리(82, 84, 44) 및 상기 풀리(82, 84, 44)에 설치되는 벨트(4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10)의 제 1 하우징(50)은 이동 모듈(10)의 주행 휠(4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80) 및 구동 모터(80)의 구동력을 주행 휠(40)에 전달하는 풀리(82, 84, 44) 및 벨트(45)가 내부에 위치되는 밀폐된 강성 부재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50)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하우징(50)의 내부는, 도 5에서 이동 모듈(10)의 주행 방향이 상측 방향이라고 할 때, 제 1 하우징(50)의 전방측에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영역(50a), 이동 모듈(10)의 주행 방향으로 제 1 하우징(50)의 후방측에 주행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영역(50b) 그리고 제 1 영역(50a)과 제 2 영역(50b)을 연결하며 주행 방향과 나란하도록 몸체의 일 측부에 형성된 제 3 영역(5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 1 하우징(50)의 제 1 영역(50a), 제 2 영역(50b) 및 제 3 영역(50c)은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하우징(50)의 제 1 영역(50a)에는 구동 모터(80), 솔레노이드 밸브(70) 그리고 한 쌍의 제 1 주행 휠(40a)을 연결하는 제 1 주행축(42a)이 위치된다. 제 1 주행축(42a)은 풀리 및 벨트에 의하여 구동 모터(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모터(80)는 이동 모듈(1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구동 모터(80)의 구동축(81)에는 두 개의 풀리(82, 84)가 결합된다.
상기 두 개의 풀리(82, 84) 중 하나의 풀리(82)는 제 1 주행축(42a)에 결합된 제 1 풀리(44a)와 벨트(45)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풀리(84)는 제 1 하우징(50)의 제 2 영역(50b) 양측부에 위치되는 제 2 주행 휠(40b)을 연결하는 제 2 주행축(42b)에 결합된 제 2 풀리(44b)와 벨트(45)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 모터(80)가 작동함에 따라 제 1 주행 휠(40a) 및 제 2 주행 휠(40b)이 동시에 회전하여 이동 모듈(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 1 하우징(50)의 제 3 영역(50c)에는 이동 모듈(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92)가 설치된다.
제어기(92)는 솔레노이드 밸브(70)의 온오프 작동에 따른 도료 분사 작동, 이동 모듈(10)의 주행 시작 및 종료, 거리 감지 센서(94)로부터 감지된 종료 지점 확인 등과 같은 도장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모듈 구동부(20)의 몸체(30)는 제 1 하우징(50) 외측부의 제 1 영역(50a)과 제 2 영역(50b) 사이 그리고 제 3 영역(50c)의 외측부에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를 구비한다.
이 때,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는 이동 모듈(10)의 제 1 하우징(50)의 저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 상에는 도장 건 작동부(100)가 설치된다.
도장 건 작동부(100)는 도장 건(260)을 상하로 작동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도 11의 110) 및 도료 분사 노즐(270)을 피벗 회전시킬 수 있는 피벗 작동부(도 11의 210)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110) 및 피벗 작동부(2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우징(50) 및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를 포함하는 몸체(30)의 하측면 양측부에는 한 쌍의 자성체(90)가 설치된다.
이 때, 한 쌍의 자성체(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행 휠(40a) 및 제 2 주행 휠(40b) 사이에 주행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자성체의 형태 및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자성체(90)는, 이동 모듈(10)이 철제로 형성된 선체 내부를 도장하는 경우 등과 같이, 철제와 같은 재료로 형성된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측벽 혹은 론지의 측면과 같은 도장 대상면을 도장하는 경우, 이동 모듈(10)을 바닥면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이동 모듈(10)이 안정적으로 바닥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 몸체(30)의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거리 감지 센서(94)가 설치된다.
거리 감지 센서(94)는 이동 몸체(30)가 주행하며 도장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몸체(3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된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한다.
거리 감지 센서(94)는 제 3 영역(50c) 내부에 있는 제어기(92)와 연결된다.
제어기(92)는 거리 감지 센서(94)로부터 전달된 거리 신호를 근거로 도장 수행 중 이동 몸체(30)의 이동 방향으로 전방 측에 벽면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경우, 이동 모듈(10)이 주행을 멈추어야 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우징(50)의 내부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 1 주행축(42a) 및 제 2 주행축(42b)에는 실링부(60)가 설치된다.
실링부(60)는 한 쌍의 제 1 주행 휠(40a) 및 제 2 주행 휠(40b)에 인접한 위치에서 제 1 주행축(42a) 및 제 2 주행축(42b) 상에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의 구동부의 구동축의 실링부(6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링부(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링부(60)는 브라켓(62), 베어링(66) 및 오일씰(68)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62)은 제 1 하우징(50)의 측벽(51)에 베어링(66) 및 오일씰(68)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 1 하우징(50)의 측벽(51)에 결합된다.
브라켓(62)의 중앙부에는 오일씰(68) 및 베어링(66)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오일씰 결합홀(64) 및 베어링 결합홀(63)이 형성된다.
오일씰 결합홀(64) 및 베어링 결합홀(63)은 제 1 주행축(42a)의 축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오일씰(68)은 오일씰 결합홀(64) 내부에 결합되고 주행축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링형 부재로서, 제 1 하우징(50) 내부로 먼지와 같은 오염 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베어링(66)은 베어링 결합홀(63) 내부에 결합되어 주행축이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씰(68)과 베어링(66)이 브라켓(62)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하우징(50)의 측벽(51)에 형성된 홀(55)에 브라켓(62)이 결합됨으로써 오일씰(68)과 베어링(66)이 용이하게 제 1 하우징(50)의 측벽(5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의 구동부(2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이동 모듈(10)의 구동부(20)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70)의 구성도이다. 이 때, 도 9에서는 도 8의 배선 연결 라인(170) 및 복수의 공기 이송관(420, 430, 450, 460)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50)의 상측면 중 제 1 영역(50a)의 상측면에는 배선 연결 라인(170), 제 2 공기 이송관(420), 제 3 공기 이송관(430), 제 5 공기 이송관(450) 및 제 6 공기 이송관(460)이 설치된다.
배선 연결 라인(170)에는 제 1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기(92) 등으로부터 제 2 하우징(220) 내부의 전기 장치, 예를 들어 베벨 기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도 13의 230)까지 연결되는 전기 배선 등이 설치된다.
제 2 공기 이송관(420)은 제 1 레귤레이터(310)로부터 나온 제 1 압력의 공기를 제 1 하우징(50) 내부의 솔레노이드 밸브(70)로 이송하는 관이다.
제 3 공기 이송관(430)은 솔레노이드 밸브(70)로부터 나온 제 1 압력의 공기를 도장건(260)까지 안내하기 위한 관이다. 이에 따라, 도장 건 지지대(247, 도 12 참조)를 통하여 도장 건(260) 내부로 제 1 압력의 공기가 공급된다.
제 5 공기 이송관(450)은 제 2 레귤레이터(320)로부터 나온 제 2 압력의 공기를 제 1 하우징(5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관이다. 이에 따라 제 1 하우징(50) 내부는 제 2 압력의 공기에 의하여 채워진다.
제 6 공기 이송관(460)은 제 1 하우징(50) 내부의 제 2 압력의 공기를 제 2 하우징(220)에 공급하기 위하여 제 2 하우징(220)의 일측에 연결된 관이다.
이 때, 제 1 하우징(50)의 외표면에는 각각의 공기 이송관이 하우징과 연결되는 위치에 에어 피팅(air fitting)이 설치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제어기(92)와 연결되어 도장 모듈(250)로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1 하우징(50)의 제 2 영역(50b)의 상측면에는 케이블그랜드(160), 작동 스위치(150) 및 비상 정지 스위치(140)가 위치된다.
케이블그랜드(160)는 전장반(300)으로부터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들을 제 1 하우징(50) 내부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 1 하우징(50) 외측면에 형성된다.
작동 스위치(150)는, 예를 들어, 푸시형 또는 토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모듈(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이동 모듈(10)의 전진 및 후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방향 설정용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정지 스위치(140)는 구동 모터(80)의 전원 및 제어기(92)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비상 시에 도장 장치(1)의 작동을 멈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하우징(50) 외부에 설치되는 케이블그랜드(160), 작동 스위치(150) 및 비상 정지 스위치(140)는 도장이 이루어지는 도장의 작업 공간 내부에서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이 폭발과 같은 위험 상황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폭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의 일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모듈(10)의 가이드부(130)는 가이드 암(132) 및 가이드 휠(136)을 포함한다.
가이드 암(132)은 이동 모듈(10)의 주행 방향으로 이동 모듈(10)의 전방면 및 후방면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 때, 가이드 암(132)의 일단부에는 가이드 슬릿(139)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릿(139)을 관통하여 결합 볼트(138)가 이동 모듈(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형성된 결합홀(57)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가이드 슬릿(139)은 가이드 암(13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 슬릿(139)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볼트(138)가 가이드 슬릿(139)을 관통하여 결합홀(57)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 볼트(138)가 결합홀(57)에 결합될 때 가이드 암(132)의 일 측면을 가압하여 가이드 암(132)의 위치를 고정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슬릿(139)을 관통하여 결합 볼트(138)를 결합홀(57)에 결합시킬 때 가이드 암(132)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 암(132)이 이동 모듈(10)의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암(132)의 타단부에는 가이드 휠(13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휠(136)은 이동 모듈(10)이 도장 대상면에 인접하여 도장 대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도장 대상면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장 작업동안 도장 대상면에 대한 이동 모듈(10)의 상대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암(132)의 타단부에는 지지암(134)이 가이드 암(132)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암(132)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모듈(10)의 주행 휠(40) 중 도장 대상면과 인접한 측부에 위치된 주행 휠(40) 상에는 휠 커버(46)가 설치된다.
휠 커버(46)는 도장 대상면에 도료가 분사될 때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도료가 주행 휠(40)을 덮거나 또는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이 때, 주행 대상면과 먼 측부에 위치되는 주행 휠은 상대적으로 주행 대상면에 인접한 측부에 위치되는 주행 휠 보다 도료가 덜 비산되므로 비산되는 도료에 의한 오염이 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장 대상면에 인접한 주행 휠의 상측에만 휠 커버가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동일한 목적으로 모든 주행 휠 상부측에 휠 커버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도장 건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위빙축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위빙축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장 건 작동부(100)는 높이 조절부(110) 및 피벗 작동부(210)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110)는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52) 상측부에 설치된다. 높이 조절부(110)는 능형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도 11에서 볼 때, 화살표 I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바(111a, 111b, 113b, 113a, 115a, 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바(111a, 111b, 113b, 113a, 115a, 115b)는, 한 쌍의 하부 힌지축(112a, 112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하부 지지바(111a, 111b)와, 상기 하부 지지바(111a, 111b)의 상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중앙 지지바(113b, 113a) 및 상기 중앙 지지바(113b, 113a)의 상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상부 지지바(115a, 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하부 지지바(111a, 111b)의 상측단부 및 중앙 지지바(113b, 113a)의 하측단부는 제 1 연결축(114a, 114b)에 결합된다.
한 쌍의 중앙 지지바(113b, 113a)의 중앙부에는 제 2 연결축(118)이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중앙 지지바(113b, 113a)의 상측 단부 및 상부 지지바(115a, 115b)의 하측 단부는 제 3 연결축(116a, 116b)에 결합된다.
상부 지지바(115a, 115b)의 상측 단부에는 상부 힌지축(117a, 117b)이 결합되며, 상부 힌지축(115a, 115b)의 상측부 상에는 도장 건(260) 및 피벗 작동부(2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바(111a, 111b), 중앙 지지바(113b, 113a) 및 상부 지지바(115a, 115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지지바(111a, 111b), 중앙 지지바(113b, 113a) 및 상부 지지바(115a, 115b)가 회전함에 따라 도장 건(260) 및 피벗 작동부(210)가, 도 11에서 볼 때 상하 방향(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 방식을 능동 팬터그래프 방식 결합 구조라 한다.
이 때, 하부 지지바(111a, 111b), 중앙 지지바(113b, 113a) 및 상부 지지바(115a, 115b)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유압 실린더(미도시)가 각각의 지지바와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연결축(114a, 114b, 118, 116a, 116b)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110)는 능형 팬터그래프 방식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지지바로 구성되었으나, 이동 지지대(119)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110)의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이동 지지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몸체 상측면에 수직 지지대를 설치한 후 수직 지지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높이 조절부(110) 상에 설치되는 피벗 작동부(210)는 이동 지지대(119),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212), 및 도장 건 지지대(247)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지지대(119)는 높이 조절부(110)의 상측단에 설치된 사각 형상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이동 지지대(119)의 일측 모서리에는 도장 건 지지대(24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212)가 결합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212)는 제 2 하우징(220), 구동 모터(230) 및 베벨 기어부(240)를 포함한다.
제 2 하우징(220)은 이동 지지대(119)의 일측 모서리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육면체 형태의 부재로서,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 모터(230) 및 베벨 기어부(2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하우징(220)의 일측에는 제 1 하우징(50)으로부터 온 배선을 제 2 하우징(220)의 내부측으로 연결하는 배선 연결 라인(170) 및 제 1 하우징(50) 내부로부터 온 제 2 압력의 공기를 제 2 하우징(22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제 6 공기 이송관(460)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2 하우징(220)의 내부는 제 2 압력의 공기에 의하여 채워진다.
한편, 제 2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구동 모터(230) 및 베벨 기어부(240)가 설치된다.
이 때, 구동 모터(230)는 구동축(232)이 도장 대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동 모터(230)의 구동축(232)에는 베벨 기어부(240)의 제 1 베벨 기어(242)가 결합된다. 제 1 베벨 기어(242)에는 제 1 베벨 기어(242)의 회전축에 수직한 위빙축(246)을 중심으로 제 2 베벨 기어(24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위빙축(246)은, 도 13에서 볼 때 제 2 하우징(220) 내부의 구동 모터(230)의 전방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장 건 지지대(247)와 연결된다.
도장 건 지지대(247)는 위빙축(246)의 회전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때, 위빙축(246)과 제 2 하우징(220) 사이에는 제 2 하우징(220)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제 1 하우징(50)에 설치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실링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 건 지지대(247)의 하측에는 도장 건(26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장 건 지지대(247)가 회전할 때 도장 건(260)이 함께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구동 모터(230)에 의하여 제 1 베벨 기어(242) 및 제 2 베벨 기어(244)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베벨 기어(244)의 회전축인 위빙축(246)에 결합된 도장 건 지지대(247) 및 도장 건(260)은,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Ⅱ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도장 건(260)은 구동 모터(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도장 대상면(도 14의 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도장 건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를 왕복 회전하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피벗 회전한다' 또는 '위빙한다'라고 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장 모듈(250)은 도장 건(260) 및 도료 공급부(280)를 포함한다.
도장 건(260)은 도장 분사 노즐(270)이 일단부측에 위치되도록 도장 분사 노즐(270)을 지지하는 지지 몸체(261)를 포함하며, 지지 몸체(261)는 도장 건 지지대(247)에 의하여 피벗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장 건(260)으로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공기 이송관(430)이 도장 건 지지대(247)에 연결되어, 도장 건 지지대(247)를 통하여 도장 건(260)으로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한다.
도장 건(260)은 도료 공급선(281)에 의하여 도료 공급부(280)에 연결되어 도장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도료가 도장 건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료 공급부(280)으로부터 연장된 도료 공급선(281)은 도장 건 지지대(271)의 일측을 통하여 도장 건(260)과 연결된다. 이 때, 도료 공급부(280)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료 저장부 및 도료 공급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장 건(26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도료 분사 노즐(2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료 분사 노즐(270)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면, 예를 들어 높이가 낮은 론지를 도장하는 경우 도장 건을 피벗 회전시킬 때, 도장 건(260)과 바닥면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장 장치를 구동하여 도장 대상면(4), 예를 들어 선체 내부에 설치되는 론지(2)의 측면을 도장하는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는 도장 건 작동부(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론지(2)의 측면 하부 또는 측면 상부 등의 도장 대상면(4)을 도장할 수 있다.
이 때, 도장 대상면(4)의 측면을 도장하는 경우 도장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도장 장치는 도장 건 작동부(100)의 높이 조절부(110)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장 건(260)만을 피벗 회전시키고, 이와 같이 도장 건(260)이 피벗 회전하는 동안 이동 모듈(10)이 도장 대상면(4)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장 대상면(4)에 대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장 건(260)이 피벗 회전하는 동안 이동 모듈(10)을 이동시키면서 도장을 하면 도장 대상면(4)이 균일하게 도장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를 이용하여 도장 대상면(4)에 도장을 수행하는 방법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도장 대상면(4)의 위치 및 도장 대상면의 넓이 등 도장 대상면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를 이용하여 도장을 수행함에 있어, 도장 건(260)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속도는 도료가 분사되는 도장 대상면(4)과 도장 장치(1) 사이의 거리, 분사되는 도료의 양, 도장 장치(1)의 이동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는 도장 대상면(4)의 높이에 따라 도장 건(26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부(110)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높이의 도장 대상면(4)을 도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는 도장 건의 도료 분사 노즐이 피벗 회전하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므로 도장 대상면(4)을 균일한 두께로 도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의 이동 모듈(10)은 주행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둘러싸는 제 1 하우징의 내부 및 도장 건을 피벗 회전시키기 위한 피벗 작동부의 구동 모터를 둘러싸는 제 2 하우징 내부에 소정의 압력을 갖는 공기가 주입되므로, 도장 장치의 폭발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도장 건을 통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고압의 공기를 도장 건을 통하여 공급할 때 고압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온오프 수단인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동 모듈의 제 1 하우징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도장 작업 동안 폭발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도장 장치 10 이동 모듈
20 구동부 30 몸체
40 주행 휠 46 휠 커버
50 제 1 하우징 60 실링부
62 브라켓 66 베어링
68 오일 씰 70 솔레노이드 벨브
80 구동 모터 90 자석
92 제어기 100 도장 건 작동부
110 높이 조절부 130 가이드부
140 비상 멈춤 스위치 150 작동 스위치
160 케이블그랜드 170 제 1 공기 주입구
192 제 2 공기 주입구 194 제 2 공기 유출구
210 피벗 작동부 220 제 2 하우징
230 구동 모터 240 베벨 기어부
250 도장 모듈 260 도장 건
270 도료 분사 노즐 280 도료 공급원
300 전장반 310 제 1 레귤레이터
320 제 2 레귤레이터 400 공기 공급부
410 제 1 공기 이송관 420 제 2 공기 이송관
430 제 3 공기 이송관 440 제 4 공기 이송관
500 전원 공급부 510 전원 공급선

Claims (24)

  1. 주행 휠이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를 구비한 이동 모듈;
    상기 이동 모듈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장 건을 포함하는 도장 모듈;
    상기 도장 건을 이용하여 도료를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를 지나 상기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몸체 내부로 상기 제 1 압력의 공기 보다 낮고 대기압보다 높은 제 2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이동 모듈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를 지나 상기 도장 건으로 공급되는 제 1 압력의 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한 온오프 동작 수단이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된 상기 주행휠의 회전축과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 1 하우징에 설치되되 오일실 결합홀 및 베어링 결합홀이 나란하게 형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기 베어링 결합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오일 씰 결합홀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오일 씰을 포함하는, 도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과 상기 주행 휠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도장 장치의 주행 방향으로 볼 때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 1 벨트; 및
    도장 장치의 주행 방향으로 볼 때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 2 벨트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반을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도장 모듈로 공급되는 상기 제 1 압력의 공기를 형성하는 제 1 레귤레이터 및
    상기 몸체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제 2 압력의 공기를 형성하는 제 2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ㄷ 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는,
    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이 위치되는 제 1 영역;
    후방 주행 바퀴들의 회전축이 위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영역 및
    서로 나란한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수직하게 주행 방향으로 배열되되 상기 몸체의 측부에 위치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도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가 형성되는, 도장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의 높이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저면 높이에 대응하는, 도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건은 도장 대상면을 향하여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도료 분사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도료 분사 노즐은 상기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측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도료가 분사되도록 배열되는, 도장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건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에 설치되는 도장 건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 건 작동부는,
    상기 분사 노즐이 상기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피벗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장 건을 작동하는 피벗 작동부; 및
    상기 도장 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측이 상기 피벗 작동부를 지지하며 타측이 상기 도장 건 작동부 설치대에 설치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팬터 그래프 방식으로 승하강 가능한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작동부는
    상기 높이 조절부 상측부에 결합된 이동 지지대;
    상기 도장 건에 결합되어 상기 도장 건과 함께 회전 가능한 도장 건 지지대; 및
    상기 도장 건 지지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도장 건 지지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일측이 상기 이동 지지대에 결합된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에 설치되는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1 베벨 기어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열된 피벗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베벨기어에 연결된 제 2 베벨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피벗 회전축의 일측이 상기 도장 건 지지대와 결합되는, 도장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 건 지지대 지지부는 상기 구동 모터, 상기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제 1 베벨기어를 내장한 제 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유체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2 압력의 공기에 의하여 채워지는, 도장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도장 대상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측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암; 및
    상기 가이드 암의 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도장 대상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한 롤러를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기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정지 스위치가 설치되는, 도장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휠은 상기 몸체의 이동 방향으로 볼 때 전방 양측부 및 후방 양측부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양측부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주행 휠 중 도장 대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주행 휠의 상측부에는 휠 덮개가 형성되는, 도장 장치.
KR1020110084035A 2011-08-23 2011-08-23 도장 장치 KR10128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035A KR101284858B1 (ko) 2011-08-23 2011-08-23 도장 장치
JP2014527049A JP5675001B2 (ja) 2011-08-23 2012-05-30 塗装装置
PCT/KR2012/004232 WO2013027924A1 (ko) 2011-08-23 2012-05-30 도장 장치
CN201280040544.XA CN103747882B (zh) 2011-08-23 2012-05-30 涂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035A KR101284858B1 (ko) 2011-08-23 2011-08-23 도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643A KR20130021643A (ko) 2013-03-06
KR101284858B1 true KR101284858B1 (ko) 2013-07-09

Family

ID=4774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035A KR101284858B1 (ko) 2011-08-23 2011-08-23 도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75001B2 (ko)
KR (1) KR101284858B1 (ko)
CN (1) CN103747882B (ko)
WO (1) WO2013027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9212B (zh) * 2014-09-04 2017-01-18 云南玉加宝人造板有限公司 一种自动喷头
KR101662488B1 (ko) * 2014-12-19 2016-10-07 삼성중공업(주) 수동 분사 장치
CN107119891A (zh) * 2016-02-25 2017-09-01 夏普化学工业株式会社 建筑涂装的施工方法
CN105728235B (zh) * 2016-04-27 2018-04-20 湖州南浔双林振森实木加工厂 楼梯木柱的喷漆装置
KR102237532B1 (ko) * 2020-06-09 2021-04-08 문지훈 분무용 정전식 핸드건을 이용하여 분무되는 에폭시 도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160A (ja) * 1990-06-29 1992-02-28 Fujita Corp 天井、梁塗装ロボット
KR100824936B1 (ko) * 2007-10-12 2008-04-28 손복남 관 내벽의 페인트 분사장치
KR20090111601A (ko) * 2008-04-22 2009-10-27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선체블록 내부 론지용 자율이동 도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723A (en) * 1980-12-15 1982-07-06 Davis J C Pipe interior surface coating device
JPS59160193U (ja) * 1983-04-13 1984-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動ロボツト
US6365221B1 (en) * 1999-11-23 2002-04-02 Visions East, Inc. Computer controll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iring and painting of marine vessel surfaces
JP2003251234A (ja) * 2002-03-01 2003-09-0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管路内面塗装装置
CN2770796Y (zh) * 2005-02-02 2006-04-12 黄祖仁 喷枪的结构改良
JP2008030012A (ja) * 2006-07-27 2008-02-14 Akeshi Yamamoto 垂直面用塗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160A (ja) * 1990-06-29 1992-02-28 Fujita Corp 天井、梁塗装ロボット
KR100824936B1 (ko) * 2007-10-12 2008-04-28 손복남 관 내벽의 페인트 분사장치
KR20090111601A (ko) * 2008-04-22 2009-10-27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선체블록 내부 론지용 자율이동 도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47882B (zh) 2016-08-17
CN103747882A (zh) 2014-04-23
JP2014527465A (ja) 2014-10-16
WO2013027924A1 (ko) 2013-02-28
JP5675001B2 (ja) 2015-02-25
KR20130021643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858B1 (ko) 도장 장치
JP5044138B2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加工設備
KR101383114B1 (ko) 도장 건 위치 및 각도 조절 장치
US20020179123A1 (en) Fluidized cleaning and sca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215523B1 (ko) 주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도료 분사 장치
KR20180040049A (ko) 진공펌프용 스크류 코팅장치
CN103689870A (zh) 鞋帮自动喷胶组件和鞋帮自动喷胶机
KR20180087045A (ko) 도장장치
JPH0798172B2 (ja) 大径管路内面塗装方法および装置
KR101793772B1 (ko) 도장로봇용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102347138B1 (ko) 회전식 미터링 헤드
KR101756505B1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US11731266B2 (en) Robot system, conveying device, and wiring method
KR20150133395A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50115133A (ko) 도장로봇
KR101761546B1 (ko) 도장로봇용 방폭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50115142A (ko) 도장로봇
KR20160001771A (ko) 도장로봇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50129172A (ko) 도장로봇용 선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80018948A (ko) 클래딩 장치
KR20160009790A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50133393A (ko) 도장로봇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50133386A (ko) 도장로봇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장로봇
KR20190086894A (ko) 반자동 블라스팅 장치
KR20150133399A (ko) 도장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