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802B1 -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802B1
KR101284802B1 KR1020110147515A KR20110147515A KR101284802B1 KR 101284802 B1 KR101284802 B1 KR 101284802B1 KR 1020110147515 A KR1020110147515 A KR 1020110147515A KR 20110147515 A KR20110147515 A KR 20110147515A KR 101284802 B1 KR101284802 B1 KR 10128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unit
vertical alignment
component
guid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명
정광섭
김성윤
문봉주
나준호
Original Assignee
(주)로케트 디앤에스
주식회사 로케트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케트 디앤에스, 주식회사 로케트이앤티 filed Critical (주)로케트 디앤에스
Priority to KR102011014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의 회전으로 안내캠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되므로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속라인에도 원형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수직정렬부 및 안내캠부가 디스크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supply device of vertical alignment for round luggage}
본 발명은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의 회전으로 안내캠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되므로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속라인에도 원형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수평상태의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수직정렬부 및 안내캠부가 디스크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형식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전지나 용기에 담겨 생산되는 음료,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가스 등과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으로 된 부품들은 원형부품 공급장치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공급된다.
상기 원형부품 공급장치는 제품을 생산하는 각 설비의 특성상 전 공정에서 수평으로 공급되는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하여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형부품 공급장치는 저속라인의 Pick & Place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Pick & Place 방식은 이전 공정으로부터 컨베이어에 나열되어 이송되는 다수개의 원형부품을 공압실린더가 작동하여 한 개씩 취출하게 되고, 취출한 원형부품을 공압실린더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 정렬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원형부품을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형부품 공급장치는 원형부품이 고속으로 공급될 경우 공압실린더의 작동원리상 많은 원형부품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형부품을 종렬 또는 횡렬로 나열하고 복수개의 공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방법은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원형부품을 공급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 및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으로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의 회전으로 안내캠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되므로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속라인에도 원형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상태의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수직정렬부 및 안내캠부가 디스크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생산라인에서 공급된 다수의 원형부품을 수평으로 적층하는 부품적층부와;
상기 부품적층부에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로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부품적층부에 적층된 원형부품을 취출디스크의 회전으로 한 개씩 취출하여 수납디스크에 수납한 후 안내캠에 안내되면서 수평상태의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하는 수직정렬부와;
상기 수직정렬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부품을 안내하는 안내캠과;
상기 수직정렬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의 회전으로 안내캠부에 의해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되므로 장치의 오작동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속라인에도 원형부품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상태의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시키는 수직정렬부 및 안내캠부가 디스크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수납디스크를 나타낸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원형부품이 적층되는 상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 수직정렬부가 회전하여 원형부품이 수납디스크에 수납되는 상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 수직정렬부가 회전하여 원형부품이 수직으로 정렬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의해 수직으로 정렬된 원형부품이 다음 공정설비로 공급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이다.
본 발명 수직정렬 공급장치(100)는, 베이스(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되어 생산라인에서 공급된 다수의 원형부품(1)을 수평으로 적층하는 부품적층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부품적층부(120)에 적층된 원형부품(1)이 수직정렬부(140)로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부품적층부(120)에 적층된 원형부품(1)을 취출디스크(142)의 회전으로 한 개씩 취출하여 수납디스크(141)에 수납한 후 안내캠부(150)에 안내되면서 수평상태의 원형부품(1)을 수직으로 정렬하는 수직정렬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정렬부(140)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부품(1)을 안내하는 안내캠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정렬부(140)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부품적층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21)의 일측에 원형부품(1)을 적층시키도록 적층공간(122a)이 형성되며 원형부품(1)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편(122b)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에 수직정렬부(140)의 외주면과 근접되게 고정되는 지지몸체(131)가 구비되고, 상기 부품적층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몸체(131)의 상부에 고정되어 원형부품(1)이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132)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정렬부(140)는, 상기 동력전달부(160)에 의해 회전하며 원형부품(1)을 수납하는 수납디스크(141)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디스크(141)와 일체로 회전하며 부품적층부(120)에 적층된 원형부품(1)을 취출하여 수용하도록 수용홈(142a)이 형성되는 취출디스크(142)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디스크(141)는, 상기 수직정렬부(140)의 회전시 원형부품(1)이 자유낙하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외측단부가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41a)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캠부(150) 외주면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수직정렬부(140)의 회전시 원형부품(1)이 안내캠부(150)의 외주면에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공정에서 다수의 원형부품(1)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공급되는 원형부품(1)은 부품적층부(120)로 공급된다.
상기 부품적층부(120)로 공급되는 원형부품(1)은 적층공간(122a)으로 투입되어 수평으로 적층되며, 적층된 원형부품(1)은 가이드편(132)에 의해 수평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품적층부(120)에 적층된 원형부품(1)은 수직정렬부(140)의 취출디스크(142)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원형부품(1)은 취출디스크(142)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부(130)의 지지편(132)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력전달부(160)가 작동하여 회전축(160a)을 중심으로 수직정렬부(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디스크(141)와 취출디스크(14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취출디스크(142)는 부품적층부(120)에 적층된 최하단부의 원형부품(1) 한 개를 취출하게 됨과 동시에 원형부품(1)은 취출디스크(142)의 수용홈(142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수직정렬부(140)가 회전하면서 원형부품(1)이 지지편(132)을 통과하게 되면, 원형부품(1)의 단부가 수납디스크(141)의 경사면(141a)으로 자유낙하하여 경사진 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정렬부(140)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부품(1)의 선단부가 디스크형으로 이루어진 안내캠부(150)의 외주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안내캠부(150)에 의해 안내되어 원형부품(1)의 선단부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며 원형부품(1)의 하단부는 수납디스크(141)의 경사면(141a) 하단부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에 의해 하부로 빠지지 않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캠부(150)는 회전하지 않도록 베이스(110)에 고정부재(151)로 고정된다.
상기 원형부품(1)이 수직으로 세워져서 회전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정렬 공급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된 공정설비(10)가 회전하면서 포켓부재(11)가 원형부품(1)을 한 개씩 전달받아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수직정렬 공급장치 110: 베이스
120: 부품적층부 121: 본체
122: 가이드부재 130: 지지부
131: 지지몸체 132: 지지편
140: 수직정렬부 141: 수납디스크
141a: 경사면 142: 추출디스크
142a: 수용홈 150: 안내캠부
160: 동력전달부

Claims (6)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생산라인에서 공급된 다수의 원형부품을 수평으로 적층하는 부품적층부와;
    상기 부품적층부에 적층된 원형부품이 수직정렬부로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부품적층부에 적층된 원형부품을 취출디스크의 회전으로 한 개씩 취출하여 수납디스크에 수납한 후 안내캠부에 안내되면서 수평상태의 원형부품을 수직으로 정렬하는 수직정렬부와;
    상기 수직정렬부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부품을 안내하는 안내캠부과;
    상기 수직정렬부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품적층부는,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원형부품을 적층시키도록 적층공간이 형성되며 원형부품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수직정렬부의 외주면과 근접되게 고정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부품적층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원형부품이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정렬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하며 원형부품을 수납하는 수납디스크와;
    상기 수납디스크와 일체로 회전하며 부품적층부에 적층된 원형부품을 취출하여 수용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는 취출디스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디스크는 수직정렬부의 회전시 원형부품이 자유낙하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외측단부가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캠부 외주면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반지름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수직정렬부의 회전시 원형부품이 안내캠부의 외주면에 안내되면서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KR1020110147515A 2011-12-30 2011-12-30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KR10128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15A KR101284802B1 (ko) 2011-12-30 2011-12-30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15A KR101284802B1 (ko) 2011-12-30 2011-12-30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802B1 true KR101284802B1 (ko) 2013-07-10

Family

ID=4899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15A KR101284802B1 (ko) 2011-12-30 2011-12-30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8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51B1 (ko) 2016-10-27 2017-08-16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쉬 헤드 자동 분리선별기
KR102039147B1 (ko) * 2019-03-20 2019-10-31 (주)오성지엠 연삭부품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980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단자 직립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980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리튬전지(Li/MnO₂Battery)의 단자 직립정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51B1 (ko) 2016-10-27 2017-08-16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브러쉬 헤드 자동 분리선별기
KR102039147B1 (ko) * 2019-03-20 2019-10-31 (주)오성지엠 연삭부품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7496B (zh) 一种转盘式卡片储存设备
CN102390699B (zh) 盖子自动整理机
EP3316846B1 (en) Medicine feeding canister for an automated medicine dispensing device
KR101284802B1 (ko) 원형부품의 수직정렬 공급장치
CN103950566B (zh) 一种推送式自动塑料枪头装载机
KR20170067741A (ko) 캐로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361902B (zh) 一种自动发药系统
CN109747275A (zh) 一种喷码设备
EP2133292B1 (en) Apparatus for unscrambling and aligning bulk plastic containers
CN112499219A (zh) 立式自动出磁片系统
CN103022411A (zh) 一种圆柱电池套标机的上料机构
JP5978910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供給装置
CN110816964A (zh) 细小瓶子输送装置及工作方法
CN104394827A (zh) 用于供应胶囊的设备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CN106275565A (zh) 一种瓶体自动收集卸料设备
KR101882611B1 (ko) 불량전지 배출 및 비상정지 장치
JP2018117529A (ja) シャリ玉成形移載装置
CN110901979B (zh) 一种空调冷凝器单元包装生产线及包装方法
JP4990842B2 (ja) ゴム栓供給装置
CN211365109U (zh) 细小瓶子输送装置
JP2012162351A (ja) 物品供給装置
JP5845636B2 (ja) 容器整列供給装置
JP5267309B2 (ja) キャッピング装置
US4717010A (en) Cigarette pack accumula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