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462B1 -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462B1
KR101284462B1 KR1020117026701A KR20117026701A KR101284462B1 KR 101284462 B1 KR101284462 B1 KR 101284462B1 KR 1020117026701 A KR1020117026701 A KR 1020117026701A KR 20117026701 A KR20117026701 A KR 20117026701A KR 101284462 B1 KR101284462 B1 KR 10128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onnector
communication line
communic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598A (ko
Inventor
아츠시 세이타
다로 이나미
오사무 우에다
마사키 미츠이
다카노리 아오키
나오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6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커넥터부(21)에, 상기 노드(10)의 물리 레이어부(11)의 수신 포트(P1r)를 한쪽의 인접 노드(10)와 접속하는 통신선(L1)과, 콘덴서(C1)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한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2)을 포함하고, 커넥터부(22)에, 상기 노드의 물리 레이어부(12)의 수신 포트(P2r)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3)과, 콘덴서(C2)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4)을 포함하고, 커넥터부(21)에서, 한쪽의 인접 노드의 커넥터부(22)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통신선(L1)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4)과 접속하고, 상기 노드의 통신선(L2)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3)과 접속한다. 이에 따라, 매우 간소한 하드웨어로 각 노드의 데이터 통신로를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NETWORK SYSTEM AND NOD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노드를 링형상으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접속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빌딩 설비나 플랜트 설비를 감시 제어하는 감시 제어 시스템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정보 수집 기능이나 제어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기기 등의 노드를,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상호 접속하고, 이들 노드간에서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각 노드로 개개의 설비를 감시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노드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서, RS-485 등의 버스형의 통신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방식은, 통신 속도가 느리고 충분한 통신 대역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한 감시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속인 통신 대역을 갖는 통신 방식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노드간에서 보다 고속인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통신 방식으로서 이더넷(Ethernet/IEEE802.3u:100 BASE-T:등록 상표)을 도입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등 참조).
이더넷에서는, 복수의 노드를 접속할 때, 허브나 스위치에 각 노드를 각각 접속하는 스타 배선 방식이 기본 방식이다. 이러한 스타 배선 방식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오피스 환경에는 적합하지만, 빌딩 설비나 플랜트 설비 등의 대규모인 설비에는 반드시 적합한 것은 아니다. 그 이유로서는, 스타 배선 방식에서는, 허브나 스위치와 각 노드를 각각 개별의 배선을 개재하여 접속해야 하고, 광범위에 걸쳐 노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드간을 연결하는 배선이 복잡화되어, 배선 공사나 유지 보수의 작업 부담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더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각 노드에 2개의 포트를 설치하고, UTP(Unshielded Twist Pair cable) 등의 통신 케이블을 개재하여 각 노드를 링형상으로 접속하는 링형 이더넷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등을 참조). 이 링형 이더넷은, 데이터 통신로 내에 존재하는 링 토폴로지에 의한 통신 에러를 회피하는 STP(Spanning Tree Protocol/IEEE 802.1D) 기능이나, 이것을 개량한 RSTP(Rapid Spanning Tree Protocol/IEEE 802.1w) 기능 등의 네트워크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용장화(冗長化)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5는 종래의 링형 이더넷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도 16은 종래의 링형의 이더넷 시스템의 접속예이다. 여기에서는, DIN 레일 등의 가대(架臺)에 나란히 부착된 6개의 노드(N1∼N6)가 통신 케이블(LU)로 링 접속되어 있고, 노드(N4) 중 노드(N3)측의 포트에 의해 블로킹이 행해지고 있다.
이 블로킹에 의해, 링 토폴로지를 포함하는 원래의 링으로부터, 루트 노드(N1)로부터 노드(N2)→노드(N3) 및 노드(N5)→노드(N4)까지의 2개의 분기 경로를 갖는 트리 토폴로지가 구축된다. 이에 따라, 물리적으로 링 토폴로지를 형성하고 있는 네트워크라도 데이터 루프의 발생이 회피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공보 제2008-544658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5-109846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각 노드간을 접속함으로써, 링형의 이더넷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노드간 접속에 필요한 하드웨어가 복잡화되어 네트워크 전체의 제품 비용이 증대하고, 유지 보수의 작업 부담이 증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7은 종래의 노드간 접속 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더넷의 경우, 각 노드(N)의 물리 레이어부(PHY)에 설치되어 있는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는, UTP 등의 통신 케이블(LU)을 개재하여, 다른 노드의 물리 레이어부(PHY)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 회로 및 송신 회로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송신 회로 및 수신 회로는, 정해진 통신 경로 길이에서 일정한 통신품질을 얻기 때문에, 트랜스를 개재하여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커넥터부가 통신 케이블(LU)에 의해 접속된다.
따라서, 예컨대 한쪽의 노드(N1)의 송신 회로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트랜스-커넥터부-통신 케이블(LU)-커넥터부-트랜스를 개재하여, 다른쪽의 노드(N2)의 수신 회로에서 수신된다. 이 때문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가대에 인접 설치되어 있는 통신 경로 길이가 매우 짧은 노드간이라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많은 회로 요소를 구비하게 되고, 노드 자체, 나아가서는 네트워크 전체의 제품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노드간마다 통신 케이블(LU)이 필요해지고, 노드와 통신 케이블(LU)과의 접속 불량이나 케이블 벗겨짐 등에 대응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증대한다. 나아가서는, 오배선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간소한 하드웨어로 복수의 노드를 데이터 통신로에서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접속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복수의 노드를 접속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각 노드는, 해당 노드의 한쪽에 인접하는 제1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부와, 해당 노드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제2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제1 커넥터부에, 해당 노드의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1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2 통신선을 포함하고, 제2 커넥터부에, 해당 노드의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3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4 통신선을 포함하며, 제1 커넥터부에서, 제1 인접 노드의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제1 통신선을 해당 제1 인접 노드의 제4 통신선과 접속하고, 해당 노드의 제2 통신선을 해당 제1 인접 노드의 제3 통신선과 접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드는,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복수의 노드를 접속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노드로서, 해당 노드의 한쪽에 인접하는 제1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부와, 해당 노드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제2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제1 커넥터부에, 해당 노드의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1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2 통신선을 포함하며, 제2 커넥터부에, 해당 노드의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3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4 통신선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부에서, 제1 인접 노드의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제1 통신선을 해당 제1 인접 노드의 제4 통신선과 접속하고, 해당 노드의 제2 통신선을 해당 제1 인접 노드의 제3 통신선과 접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 배치된 각 노드를 데이지 체인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全二重) 이더넷 시스템이 구축된다. 이 때문에, 노드마다 개별의 통신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허브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간소한 하드웨어로, 복수의 노드를 데이터 통신로에서 접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노드 및 어댑터의 커넥터 배열예이다.
도 3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간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와 어댑터와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와 어댑터와의 다른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노드열간의 접속예이다.
도 7은 도 6의 접속예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도 8은 커넥터와 통신선과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커넥터와 통신선과의 다른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루프백(loop back) 플러그의 구성예이다.
도 12는 루프백 플러그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노드열간의 접속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접속예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링형 이더넷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도 16은 종래의 링형의 이더넷 시스템의 접속예이다.
도 17은 종래의 노드간 접속 회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1)은, 빌딩 설비나 플랜트 설비를 감시 제어하는 감시 제어 시스템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이용되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정보 수집 기능이나 제어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기기 등의 노드(10)(10A, 10B, 10C, …)를, 데이터 통신로(L)를 개재하여 링형상으로 접속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이다.
각 노드(10)는, RSTP(Rapid Spanning Tree Protocol)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로에 대한 용장화 제어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통신로(L)는, 전이중 이더넷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는 링형상의 통신 경로이며, 각 노드(10)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병행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로(L)에는 2개의 독립된 통신선(Lx, Ly)이 설치되어 있다.
노드(10)에는, 주된 기능부로서, 물리 레이어부(PHY:제1 물리 레이어부)(11), 물리 레이어부(PHY:제2 물리 레이어부)(12), 링 접속 제어부(13),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4), 커넥터부(제1 커넥터부)(21) 및 커넥터부(제2 커넥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물리 레이어부(11)는, 데이터 통신로(Lx)의 수신 포트(P1r)와 데이터 통신로(Ly)의 송신 포트(P1t)를 포함하는 전용의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해당 노드(10)의 한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제1 인접 노드)와 데이터 통신로(L)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물리 레이어부(12)는, 데이터 통신로(Ly)의 수신 포트(P2r)와 데이터 통신로(Lx)의 송신 포트(P2t)를 포함하는 전용의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해당 노드(10)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제2 인접 노드)와 데이터 통신로(L)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링 접속 제어부(13)는, 물리 레이어부(11, 12)를 개재하여 다른 노드(10)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과, RSTP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로(L)에 대한 용장화 제어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4)는, 링 접속 제어부(13)를 개재하여 다른 노드(N)와 상위 레이어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을 행함으로써, 예컨대 빌딩 설비나 플랜트 설비를 감시 제어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부(21)는, 해당 노드의 한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부(22)는, 해당 노드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노드(10A∼10C)가 DIN 레일 등의 가대에 인접 설치되었을 때, 노드(10B)의 커넥터부(21)가, 한쪽의 인접 노드(제1 인접 노드)(10A)의 커넥터부(22)와 접속하며, 노드(10B)의 커넥터부(22)가, 다른쪽의 인접 노드(제2 인접 노드)(10C)의 커넥터부(21)와 접속한다.
본 실시형태는, 커넥터부(21)에, 해당 노드의 물리 레이어부(11)의 수신 포트(P1r)를 한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1)과, 콘덴서(용량 소자)(C1)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한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2)을 포함하고, 커넥터부(22)에, 해당 노드의 물리 레이어부(12)의 수신 포트(P2r)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3)과, 콘덴서(용량 소자)(C2)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4)을 포함하며, 커넥터부(21)에서, 한쪽의 인접 노드의 커넥터부(22)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통신선(L1)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4)과 접속하며, 해당 노드의 통신선(L2)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3)과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 및 노드(1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 쌍의 통신선(L1∼L10)은, 1개의 선으로 생략하여 표시되어 있다.
커넥터부(21)에는, 커넥터(CN1), 콘덴서(C1), 및 통신선(L1, L2, L5)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CN1)는, 해당 노드(10)의 한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10)와의 데이터 통신로(L)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콘덴서(C1)는, 해당 노드(10)와 인접 노드의 데이터 통신로(L)의 직류 전위차를 절연하는 절연용의 콘덴서이다. 통신선(L1)은 커넥터(CN1)와 물리 레이어부(11)의 수신 포트(P1r)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2)은, 콘덴서(C1)를 개재하여 커넥터(CN1)와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3)은 커넥터(CN1)와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선이다.
커넥터부(22)에는, 커넥터(CN2), 콘덴서(C2), 및 통신선(L3, L4, L6)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CN2)는, 해당 노드(10)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인접 노드와 해당 노드(10)와의 데이터 통신로(L)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콘덴서(C2)는, 해당 노드(10)와 인접 노드의 데이터 통신로(L)의 직류 전위차를 절연하는 절연용 콘덴서이다. 통신선(L3)은, 커넥터(CN2)와 물리 레이어부(12)의 수신 포트(P2r)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4)은, 콘덴서(C2)를 개재하여 커넥터(CN2)와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6)은, 커넥터(CN2)와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는, 인접 배치된 노드(10)의 양단에 어댑터(31, 32)가 접속된다.
어댑터(31)에는, 커넥터(CN11, CN12), 종단 트랜스(Transformer)(T1x, T1y) 및 통신선(L7, L8)이 설치된다. 커넥터(CN11)는, 해당 어댑터(31)가 접속되는 노드(10)와의 데이터 통신로(L)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커넥터(CN12)(제1 케이블 커넥터)(12)는, 예컨대 RJ-45 등의 커넥터를 포함하며, 데이터 통신로(L)를 구성하는 통신 케이블(제1 통신 케이블)(LU1)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이다. 종단 트랜스(T1x, T1y)는, 해당 노드(10)와 통신 케이블(LU1)의 데이터 통신로(Lx, Ly)의 직류 전위차를 각각 절연하며, 임피던스를 각각 정합하여 종단하기 위한 종단 트랜스이다. 통신선(L7)은, 종단 트랜스(T1x)를 개재하여 커넥터(CN11)와 케이블 커넥터(CN12)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8)은, 종단 트랜스(T1y)를 개재하여 커넥터(CN11)와 케이블 커넥터(CN12)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선이다.
어댑터(32)에는, 커넥터(CN21, CN22), 종단 트랜스(Transformer)(T2x, T2y), 및 통신선(L9, L10)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CN21)는, 해당 어댑터(32)가 접속되는 노드(10)와의 데이터 통신로(L)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커넥터(CN22)(제2 케이블 커넥터)는, 예컨대 RJ-45 등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통신로(L)를 구성하는 통신 케이블(제2 통신 케이블)(LU2)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이다. 종단 트랜스(T2x, T2y)는, 해당 노드(10)와 통신 케이블(LU2)의 데이터 통신로(Lx, Ly)의 직류 전위차를 각각 절연하며, 임피던스를 각각 정합하여 종단하기 위한 종단 트랜스이다. 통신선(L9)은, 종단 트랜스(T2y)를 개재하여 커넥터(CN21)와 케이블 커넥터(CN22)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선이다. 통신선(L10)은 종단 트랜스(T2x)를 개재하여 커넥터(CN21)와 케이블 커넥터(CN22)를 접속하는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선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노드 및 어댑터의 커넥터 배열예이다. 여기서는, 각 노드(10)의 배면부의 좌우 양측 단부(10L, 10R)에, 접속 단자가 각각의 인접 노드측을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커넥터(CN1, CN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10A, 10B, 10C)를 인접 배치한 경우, 노드(10B)의 커넥터(CN1)가 노드(10A)의 커넥터(CN2)와 감합(勘合)하며, 노드(10B)의 커넥터(CN2)가 노드(10C)의 커넥터(CN1)와 감합한다.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 노드(10)간이 접속된다.
또한, 어댑터(31)의 배면부의 우측 단부(31R)에, 접속 단자가 인접 노드측을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커넥터(CN11)가 배치되어 있고, 어댑터(32)의 배면부의 좌측 단부(32L)에, 접속 단자가 인접 노드측을 향하도록 횡방향으로 커넥터(CN21)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배치된 노드(10A, 10B, 10C)의 일단에 위치하는 노드(10A)에 어댑터(31)를 인접 배치하고, 타단에 위치하는 노드(10C)에 어댑터(32)를 인접 배치한 경우, 어댑터(31)의 커넥터(CN11)가 노드(10A)의 커넥터(CN1)와 감합하고, 어댑터(32)의 커넥터(CN21)가 노드(10C)의 커넥터(CN2)와 감합한다. 이에 따라, 노드(10A)가 통신 케이블(LU1)과 접속되고, 노드(10C)가 통신 케이블(LU2)과 접속되며, 인접 배치된 노드(10A, 10B, 10C)의 데이터 통신로(L)가,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노드와 통신 케이블(LU1, LU2)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간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의 노드(10A, 10B)간의 접속 형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드(10A, 10B)가 인접 배치된 경우, 노드(10A)의 커넥터(CN2)와 노드(10B)의 커넥터(CN1)가 접속되어, 노드(10A)의 통신선(L4)과 노드(10B)의 통신선(L1)이 접속되고, 노드(10A)의 통신선(L3)과 노드(10B)의 통신선(L2)이 접속된다.
이에 따라, 노드(10A)의 물리 레이어부(12)에 설치된 송신 회로(TR)의 송신 포트(P2t)는, 통신선(L4)의 절연용 콘덴서(C2)를 개재하여, 노드(10B)의 물리 레이어부(11)에 설치된 수신 회로(RV)의 수신 포트(P1r)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x)용의 한쌍의 통신로가 형성된다.
또한, 노드(10B)의 물리 레이어부(11)에 설치된 송신 회로(TR)의 송신 포트(P1t)는, 통신선(L3)의 절연용 콘덴서(C1)를 개재하여, 노드(10A)의 물리 레이어부(12)에 설치된 수신 회로(RV)의 수신 포트(P2r)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y)용의 한 쌍의 통신로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인접하는 노드(10)간이, 각각 커넥터부(21, 22)에 의해 접속되어,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 배치된 각 노드(10)를 데이지 체인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이 구축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와 어댑터와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의 노드(10A)와 어댑터(31)와의 사이의 접속 형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드(10A)와 어댑터(31)가 인접 배치된 경우, 노드(10A)의 커넥터(CN1)와 어댑터(31)의 커넥터(CN11)가 접속되어, 노드(10A)의 통신선(L1)과 어댑터(31)의 통신선(L7)이 접속되며, 노드(10A)의 통신선(L5)과 어댑터(31)의 통신선(L8)이 접속된다.
이에 따라, 노드(10A)의 물리 레이어부(11)에 설치된 수신 회로(RV)의 수신 포트(P1r)는, 통신선(L1)으로부터 통신선(L7)의 종단 트랜스(T1x)를 개재하여 어댑터(31)의 케이블 커넥터(CN12)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로가 형성된다. 또한, 노드(10A)의 물리 레이어부(11)에 설치된 송신 회로(TR)의 송신 포트(P1t)는, 통신선(L5)으로부터 통신선(L8)의 종단 트랜스(T1y)를 개재하여 어댑터(31)의 케이블 커넥터(CN12)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로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노드와 어댑터와의 다른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1의 노드(10C)와 어댑터(32)와의 사이의 접속 형태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드(10C)와 어댑터(32)가 인접 배치된 경우, 노드(10C)의 커넥터(CN2)와 어댑터(32)의 커넥터(CN21)가 접속되어, 노드(10C)의 통신선(L3)과 어댑터(32)의 통신선(L9)이 접속되며, 노드(10C)의 통신선(L6)과 어댑터(32)의 통신선(L10)이 접속된다.
이에 따라, 노드(10C)의 물리 레이어부(12)에 설치된 송신 회로(TR)의 송신 포트(P2t)는, 통신선(L6)으로부터 통신선(L10)의 종단 트랜스(T2x)를 개재하여 어댑터(32)의 케이블 커넥터(CN22)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x)용 통신로가 형성된다. 또한, 노드(10C)의 물리 레이어부(12)에 설치된 수신 회로(RV)의 수신 포트(P2r)는, 통신선(L3)으로부터 통신선(L9)의 종단 트랜스(T2y)를 개재하여 어댑터(32)의 케이블 커넥터(CN22)와 접속되고, 데이터 통신로(Ly)용 통신로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인접하는 노드(10A)가 커넥터부(21)에 의해 어댑터(31)와 접속되어,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통신 케이블(LU1)과 접속된다. 또한, 인접하는 노드(10C)가 커넥터부(22)에 의해 어댑터(32)와 접속되어,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통신 케이블(LU2)과 접속된다.
도 6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노드열간의 접속예이다. 도 7은 도 6의 접속예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배치된 노드(N1, N2, N3)를 포함하는 노드열과, 동일하게 인접 배치된 노드(N4, N5, N6)를 포함하는 노드열 중, 노드(N1)에 접속된 어댑터(A1)와 노드(N6)에 접속된 어댑터(A3)가 통신 케이블(LU1)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노드(N3)에 접속된 어댑터(A2)와 노드(N4)에 접속된 어댑터(A4)가 통신 케이블(LU2)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떨어진 장소에 배치된 복수의 노드열이 통신 케이블(LU1, LU2)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이들 노드(N1∼N6)를 링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이 구축된다.
도 8은 커넥터와 통신선과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10)의 커넥터(CN1, CN2)와 어댑터(31)의 커넥터(CN11)에서는, 데이터 통신로(Lx, Ly)의 통신선 개수보다 많은 접속 단자를 이용하고 있다. 도 3∼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로(Lx, Ly)는 각각 한 쌍의 통신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조의 통신선, 즉 합계 4개의 통신선이 필요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CN1, CN2, CN11)에서는, 4조의 통신선, 즉 합계 8개의 통신선을 접속하는 4개의 접속 단자조(J1∼J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한 쌍의 통신선을 1개의 선으로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CN1)에는, 어느 통신선도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전기적으로 개방 상태의 접속 단자조(J1), 통신선(L1)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2), 콘덴서(C1)를 포함하는 통신선(L3)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3), 및 통신선(L5)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CN2)에는, 통신선(L6)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1), 콘덴서(C2)를 포함하는 통신선(L4)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2), 통신선(L3)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3), 및 개방 상태의 접속 단자조(J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CN11)에는, 개방 상태의 접속 단자조(J1, J3), 종단 트랜스(T1x)를 포함하는 통신선(L7)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2), 종단 트랜스(T1y)를 포함하는 통신선(L8)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쪽의 노드(10)의 커넥터(CN1)에 대하여 다른쪽의 노드(10)의 커넥터(CN2)가 접속된 경우, 커넥터(CN1)의 접속 단자조(J1)와 커넥터(CN2)의 접속 단자조(J4)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커넥터(CN1)의 접속 단자조(J2, J3)가 커넥터(CN2)의 접속 단자조(J2, J3)와 접속된다. 따라서, 한쪽의 노드(10)의 통신선(L1, L2)이 다른쪽의 노드(10)의 통신선(L4, L3)과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C1, C2)에 의해 직류 전위차가 절연된 상태로 노드(10)간이 접속된다.
한편, 노드(10)의 커넥터(CN1)에 대하여 어댑터(31)의 커넥터(CN11)가 접속된 경우, 커넥터(CN11)의 접속 단자조(J1, J3)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커넥터(CN1)의 접속 단자조(J2, J4)가 커넥터(CN11)의 접속 단자조(J2, J4)와 접속된다. 따라서, 노드(10)의 통신선(L1, L5)이 어댑터(31)의 통신선(L7, L8)과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 트랜스(T1x, T1y)에 의해 직류 전위차가 절연된 상태로 노드(10)와 어댑터(31)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노드(10)에 대하여 다른 노드(10)를 접속한 경우에만, 양자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로(Lx, Ly)의 각각에 콘덴서(C1, C2)가 삽입된다. 또한, 노드(10)에 대하여 어댑터(31)를 접속한 경우에는, 양자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로(Lx, Ly)로부터, 통신 케이블과의 접속에 불필요한 콘덴서(C1, C2)가 배제되고, 통신 케이블과의 접속에 필요해지는 종단 트랜스(T1x, T1y)만이 데이터 통신로(Lx, Ly)의 각각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로 전환용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노드(10)의 커넥터(CN1)에 대하여, 다른 노드(10)의 커넥터(CN2)와 어댑터(31)의 커넥터(CN11)를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9는 커넥터와 통신선과의 다른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31)와 동일하게 어댑터(32)의 커넥터(CN21)에서도, 데이터 통신로(Lx, Ly)의 통신선 개수보다 많은 접속 단자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CN21)에 있어서도, 4조의 통신선, 즉 합계 8개의 통신선을 접속하는 4개의 접속 단자조(J1∼J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한 쌍의 통신선을 1개의 선으로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CN21)에는, 종단 트랜스(T2x)를 포함하는 통신선(L10)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1), 종단 트랜스(T2y)를 포함하는 통신선(L9)이 접속된 접속 단자조(J3), 개방 상태의 접속 단자조(J2, J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CN1, CN2)의 접속 단자조(J1∼J4)에 관해서는, 도 8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한쪽의 노드(10)의 커넥터(CN2)에 대하여 다른쪽의 노드(10)의 커넥터(CN1)가 접속된 경우, 커넥터(CN1)의 접속 단자조(J1)와 커넥터(CN2)의 접속 단자조(J4)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커넥터(CN1)의 접속 단자조(J2, J3)가 커넥터(CN2)의 접속 단자조(J2, J3)와 접속된다. 따라서, 한쪽의 노드(10)의 통신선(L4, L3)이 다른쪽의 노드(10)의 통신선(L1, L2)과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C1, C2)에 의해 직류 전위차가 절연된 상태로 노드(10)간이 접속된다.
한편, 노드(10)의 커넥터(CN2)에 대하여 어댑터(32)의 커넥터(CN21)가 접속된 경우, 커넥터(CN21)의 접속 단자조(J2, J4)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커넥터(CN2)의 접속 단자조(J1, J3)가 커넥터(CN21)의 접속 단자조(J1, J3)와 접속된다. 따라서, 노드(10)의 통신선(L6, L3)이 어댑터(32)의 통신선(L10, L9)과 각각 접속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 트랜스(T2x, T2y)에 의해 직류 전위차가 절연된 상태로 노드(10)와 어댑터(32)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노드(10)에 대하여 다른 노드(10)를 접속한 경우에만 양자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로(Lx, Ly)의 각각에 콘덴서(C1, C2)가 삽입된다. 또한, 노드(10)에 대하여 어댑터(32)를 접속한 경우에는, 양자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로(Lx, Ly)로부터, 통신 케이블과의 접속에 불필요한 콘덴서(C1, C2)가 배제되고, 통신 케이블과의 접속에 필요해지는 종단 트랜스(T2x, T2y)만이 데이터 통신로(Lx, Ly)의 각각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로 전환용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노드(10)의 커넥터(CN2)에 대하여, 다른 노드(10)의 커넥터(CN1)와 어댑터(32)의 커넥터(CN21)를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커넥터부(21)에, 해당 노드(10)의 물리 레이어부(11)의 수신 포트(P1r)를 한쪽의 인접 노드(10)와 접속하는 통신선(L1)과, 콘덴서(C1)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한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2)을 포함하고, 커넥터부(22)에, 해당 노드의 물리 레이어부(12)의 수신 포트(P2r)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3)과, 콘덴서(C2)를 개재하여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4)을 포함하며, 커넥터부(21)에서, 한쪽의 인접 노드의 커넥터부(22)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통신선(L1)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4)과 접속하고, 해당 노드의 통신선(L2)을 한쪽의 인접 노드의 통신선(L3)과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노드(10)간이, 각각 커넥터부(21, 22)에 의해 접속되고,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 배치된 각 노드(10)를 데이지 체인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이 구축된다. 이 때문에, 노드(10)마다 개별의 통신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나아가서는 허브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매우 간소한 하드웨어로, 각 노드(10)의 데이터 통신로(L)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21)에, 물리 레이어부(11)의 송신 포트(P1t)를 한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5)을 더 포함하고, 커넥터부(22)에, 물리 레이어부(12)의 송신 포트(P2t)를 다른쪽의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통신선(L6)을 더 포함하며, 어댑터(31)에서, 노드(10)의 커넥터부(21)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10)의 통신로(L1, L5)를,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T1x, T1y)를 개재한 통신선(L7, L8)에서 케이블 커넥터(CN12)와 접속하고, 노드(10)의 커넥터부(22)와 접속함으로써, 해당 노드(10)의 통신선(L3, L6)을,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T2x, T2y)를 통한 통신선(L9, L10)에서 케이블 커넥터(CN22)와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드(10)가 커넥터부(21)에 의해 어댑터(31)와 접속되고,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케이블 커넥터(CN12)를 개재하여 통신 케이블(LU1)과 접속된다. 또한, 노드(10C)가 커넥터부(22)에 의해 어댑터(32)와 접속되고, 2개의 독립된 데이터 통신로(Lx, Ly)가 케이블 커넥터(CN22)를 개재하여 통신 케이블(LU2)과 접속된다. 따라서, 복수의 노드열이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들 노드(10)간을 링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인접 노드간은 데이터 통신로의 선로 길이가 매우 짧고, 노이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콘덴서를 개재하여 직접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케이블의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로의 선로 길이도 어느 정도 길고, 노이즈의 영향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종단 트랜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 종단 트랜스에 노이즈 필터 등의 회로부를 추가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노드(10)에 커넥터부(21, 22)를 설치하고,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인접 노드(10)간의 데이터 통신로(L)를 직접 접속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드(10)에, 해당 노드(10)를 통과하여 커넥터부(21)와 커넥터부(22)를 직접 접속하는 2개의 노드 바이패스용 통신선(L11, L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통신선(L11, L12)은, 각각 한 쌍의 통신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노드(10)의 물리 레이어부(11, 12) 등의 회로부와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 쌍의 통신선(L1∼L16)은 1개의 선으로 생략하여 표시되어 있다. 한편,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노드(10B)의 커넥터부(21)에 설치된 커넥터(CN1)와 노드(10A)의 커넥터부(22)에 설치된 커넥터(CN2)를 접속한 경우, 노드(10B)의 통신선(L11, L12)이, 노드(10A)의 통신선(L11, L12)의 각각과 접속된다. 따라서, 이들 통신선(L11, L12)을, 데이터 통신로(Lx, Ly)의 용장 경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31)에는, 커넥터(CN11)와 케이블 커넥터(CN12)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L13, L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댑터(32)에는, 커넥터(CN21)와 케이블 커넥터(CN22)를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L15, L16)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노드(10A)에 어댑터(31)가 접속된 경우, 통신선(L13, L14)을 개재하여 노드(10A)의 통신선(L11, L12)이 어댑터(31)의 케이블 커넥터(CN12)와 접속된다. 또한, 노드(10C)에 어댑터(32)가 접속된 경우, 통신선(L15, L16)을 개재하여 노드(10C)의 통신선(L11, L12)이 어댑터(32)의 케이블 커넥터(CN22)와 접속된다.
도 11은 루프백 플러그의 구성예이다. 루프백 플러그(40)는, 각각 한 쌍의 통신선을 포함하는 2개의 루프백 통신로(LB)를 갖고, 어댑터(31)의 케이블 커넥터(CN12)에 접속된 경우, 해당 케이블 커넥터(CN12)의 데이터 통신로(Lx, Ly)용 통신선(L7, L8)과 노드 바이패스용 통신선(L13, L14)을 루프백 접속한다. 또한, 어댑터(32)의 케이블 커넥터(CN22)에 접속된 경우, 해당 케이블 커넥터(CN22)의 데이터 통신로(Lx, Ly)용 통신선(L9, L10)과 노드 바이패스용 통신선(L15, L16)을 루프백 접속한다.
도 12는, 루프백 플러그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노드열간의 접속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접속예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배치된 노드(N1, N2, N3)로 이루어지는 노드열과, 동일하게 인접 배치된 노드(N4, N5, N6)로 이루어지는 노드열 중, 노드(N3)에 접속된 어댑터(A2)와 노드(N4)에 접속된 어댑터(A4)가 통신 케이블(LU3)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드(N1)에 접속된 어댑터(A1)의 케이블 커넥터(CN12)에 루프백 플러그(40)로 이루어지는 루프백 통신로(LB1)가 접속되어 있고, 노드(N6)에 접속된 어댑터(A2)의 케이블 커넥터(CN12)에 루프백 플러그(40)로 이루어지는 루프백 통신로(LB2)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떨어진 장소에 배치된 복수의 노드열이 통신 케이블(LU3), 루프백 통신로(LB1, LB2), 및 각 노드(N1∼N6) 내의 노드 바이패스용 통신로(LBP)를 개재하여 접속되고, 이들 노드(N1∼N6)를 링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이 구축된다.
[제2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노드(10)에, 해당 노드(10)를 통과하여 커넥터부(21)와 커넥터부(22)를 직접 접속하는 2개의 노드 바이패스용 통신선(L11, L12)을 설치했기 때문에, 이들 통신선(L11, L12)을, 데이터 통신로(Lx, Ly)의 용장 경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31)의 케이블 커넥터(CN12), 또는 어댑터(32)의 케이블 커넥터(CN22)에 접속되어, 해당 케이블 커넥터의 데이터 통신로(Lx, Ly)용 통신선과 바이패스용 통신선을 루프백 접속하는 루프백 플러그(40)를 더 구비하도록 했기 때문에, 루프백 플러그(40)에 의해, 데이터 통신로(Lx, Ly)용 통신선을 바이패스용 통신선에 루프백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2개의 노드열이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1개의 통신 케이블만으로, 이들 노드(10)간을 링형상으로 연결하는 전이중 이더넷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각 노드(10)의 내부에 커넥터부(21, 22)가 회로로서 일체로 실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21, 22)가 노드(10)로부터 분리되어 별개의 장치로서 노드(1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노드(10)에는, 커넥터(CN5, CN6)가 설치되어 있고, 커넥터부(21)의 커넥터(CN3)와 커넥터(CN5)가 접속되고, 커넥터부(22)의 커넥터(CN4)와 커넥터(CN6)가 접속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드(10)와는 별개의 장치로 커넥터부(21, 22)를 구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노드(10)에 회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제2 실시형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21, 22)를 각각 별개의 장치로 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노드(10)와 대응하는 이들 2개의 커넥터부(21, 22)를 하나의 장치에 실장해도 좋다. 이에 따라, 도 14의 커넥터(CN5, CN6)와 커넥터(CN3, CN4)를, 각각 하나의 커넥터로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복수의 노드(10)와 대응하는 이들 2개의 커넥터부(21, 22)를 하나의 장치에 실장해도 좋다. 이에 따라, 노드간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CN1, CN2)를 생략할 수 있고, 노드간에 있어서의 통신선(L5, L6)이나, 노드(10)와 어댑터(31) 사이의 통신선(L2) 및 콘덴서(C1), 나아가서 노드(10)와 어댑터(32) 사이의 통신선(L4) 및 콘덴서(C2)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세부사항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부(21, 22) 중 송신 포트측의 통신선(L2, L4)에 콘덴서(C1, C2)를 설치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신 포트측의 통신선(L1, L3)에 콘덴서(C1, C2)를 설치해도 좋다.
1 : 네트워크 시스템 10, 10A, 10B, 10C : 노드
10L : 좌측 단부 10R : 우측 단부
11, 12 : 물리 레이어부 13 : 링 접속 제어부
14 : 어플리케이션 처리부 21,22 : 커넥터부
31, 32 : 어댑터 31R : 우측 단부
32L : 좌측 단부 P1t, P2t : 송신 포트
P1r, P2r : 수신 포트
CN1, CN2, CN3, CN4, CN5, CN6, CN11, CN21 : 커넥터
CN12, CN22 : 케이블 커넥터
L1, L2, L3, L4, L5, L6, L7, L8, L9, L10, L11, L12, L13, L14 : 통신선
C1, C2 : 콘덴서 T1x, T1y, T2x, T2y : 종단 트랜스
N1, N2, N3, N4, N5, N6 : 노드 A1, A2, A3, A4 : 어댑터
L, Lx, Ly, LU1, LU2, LU3 : 데이터 통신로
LB1, LB2 : 루프백 통신로 LBP : 통신로(노드 바이패스용).

Claims (7)

  1.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인접 배치된 복수의 노드를 데이지 체인 형상으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노드는, 상기 노드의 한쪽에 인접하는 제1 인접 노드와 상기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부와, 상기 노드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제2 인접 노드와 상기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노드의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1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2 통신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노드의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3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상기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4 통신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4 통신선과 접속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2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3 통신선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5 통신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6 통신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구성하는 제1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제1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제1 및 제5 통신선을,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를 개재한 통신선으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는 제1 어댑터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구성하는 제2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제2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제3 및 제6 통신선을,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를 개재한 통신선으로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는 제2 어댑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는, 상기 노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직접 접속하는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5 통신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6 통신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구성하는 제1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제1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제1 및 제5 통신선을,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를 개재한 통신선으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고, 상기 노드의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과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를 바이패스용 통신선으로 접속하는 제1 어댑터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구성하는 제2 통신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제2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제3 및 제6 통신선을, 각각 별개의 종단 트랜스를 개재한 통신선으로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와 접속하고, 상기 노드의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과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를 바이패스용 통신선으로 접속하는 제2 어댑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의 제1 케이블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어댑터의 제2 케이블 커넥터에 접속되고, 케이블 커넥터의 절연용 통신로와 바이패스용 통신선을 루프백 접속하는 루프백 플러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로를 개재하여 인접 배치된 복수의 노드를 데이지 체인 형상으로 접속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노드로서,
    상기 노드의 한쪽에 인접하는 제1 인접 노드와 상기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부와, 상기 노드의 다른쪽에 인접하는 제2 인접 노드와 상기 노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노드의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1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1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2 통신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노드의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수신 포트(송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3 통신선과,
    용량 소자를 개재하여 상기 제2 물리 레이어부의 송신 포트(수신 포트)를 상기 제2 인접 노드와 접속하는 제4 통신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의 상기 제1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4 통신선과 접속하고, 상기 노드의 상기 제2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상기 제3 통신선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직접 접속하는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제2 커넥터부와 접속함으로써, 상기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을 상기 제1 인접 노드의 노드 바이패스 통신선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KR1020117026701A 2009-05-22 2010-05-14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KR101284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3933A JP5351607B2 (ja) 2009-05-22 2009-05-22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
JPJP-P-2009-123933 2009-05-22
PCT/JP2010/058176 WO2010134469A1 (ja) 2009-05-22 2010-05-14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598A KR20120024598A (ko) 2012-03-14
KR101284462B1 true KR101284462B1 (ko) 2013-07-09

Family

ID=4312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701A KR101284462B1 (ko) 2009-05-22 2010-05-14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66421A1 (ko)
EP (1) EP2434693B1 (ko)
JP (1) JP5351607B2 (ko)
KR (1) KR101284462B1 (ko)
CN (1) CN102439909B (ko)
WO (1) WO2010134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4151B6 (cs) * 2012-10-09 2013-11-20 Ceské vysoké ucení technické v Praze - Fakulta elektrotechnická Zapojení pro integrované rízení a správu v sítích sluzeb inteligentních budov
JP2015073233A (ja) * 2013-10-04 2015-04-16 アズビル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ハブ
EP3242445B1 (en) * 2015-08-12 2020-08-19 Fuji Electric Co., Ltd. Control network system and node device thereof
CN108234218A (zh) * 2018-01-23 2018-06-29 华尔达(厦门)塑胶有限公司 一种智能网络连接及扩展方法
DE102019101886A1 (de) 2019-01-15 2020-07-16 AlexCo Holding GmbH Antennenmast, Verfahren und Anlage zur Bereitstellung von Flugdaten und Computerprogram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098A (ja) * 2005-05-04 2006-11-16 Micrel Inc 単一のカテゴリー5ケーブルを用いて冗長性をもたせたイーサネット網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121B2 (ja) * 1994-11-25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符号データ受信装置
US5625621A (en) * 1995-03-13 1997-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LAN switch portof a multi-port LAN switch based on an attached device type
CN1183587C (zh) * 1996-04-08 2005-01-05 德克萨斯仪器股份有限公司 用于把两个集成电路直流上相互隔离的方法和设备
JP3628886B2 (ja) * 1997-10-31 2005-03-1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
WO1999053627A1 (en) * 1998-04-10 1999-10-21 Chrimar Systems, Inc. Doing Business As Cms Technologies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equipment on a network
SE524167C2 (sv) * 2002-02-27 2004-07-06 Wavium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signalering i nät med optiska portar
WO2004039010A1 (ja) * 2002-10-25 2004-05-06 Citizen Watch Co., Ltd. 電子機器システム
JP3969375B2 (ja) 2003-09-30 2007-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スイッチ装置及びスパニングツリートポロジの安定化方式
US7254663B2 (en) * 2004-07-22 2007-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node architecture with daisy chain communication link configurable to operate in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modes
EP1894344B1 (en) 2005-06-16 2013-07-24 Agere Systems Inc. Transformerless power over ethernet system
JP2007174422A (ja) * 2005-12-22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情報信号伝送装置
JP2008187684A (ja) * 2007-01-31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通信システム
US7765358B2 (en) * 2008-04-23 2010-07-27 Quantum Corporation Connecting multiple peripheral interfaces into one attachment po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098A (ja) * 2005-05-04 2006-11-16 Micrel Inc 単一のカテゴリー5ケーブルを用いて冗長性をもたせたイーサネット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4693B1 (en) 2018-10-03
EP2434693A4 (en) 2017-03-22
EP2434693A1 (en) 2012-03-28
WO2010134469A1 (ja) 2010-11-25
KR20120024598A (ko) 2012-03-14
JP2010273164A (ja) 2010-12-02
JP5351607B2 (ja) 2013-11-27
CN102439909A (zh) 2012-05-02
CN102439909B (zh) 2014-11-26
US20120066421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9275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US8443124B2 (en) Physical layer device having an analog SERDES pass through mode
EP1720293B1 (en) Ethernet network implementing redundancy using a single category 5 cable
JP2619725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ステーション内でデータ経路を構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モジュラシステム
KR10128446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노드
US7721027B2 (en) Physical layer device having a SERDES pass through mode
EP2067313B1 (en) Routing facility for a subsea electronics module
CN108063736A (zh) 一种支持长距离电缆通讯的工业以太网交换机及控制方法
KR20150110483A (ko) Clos 네트워크 범용 성분 스위칭
JPH0813014B2 (ja) モジュール式能動光ファイバカップラ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CN105812216B (zh) PBUS无变压器EtherCAT通信电路及应用方法
TWI437851B (zh) Network system and node
CN111324321A (zh) 显示控制卡、显示控制系统和交通工具
US7742434B2 (en) Ethernet chaining method
CN107608929A (zh) 一种电子设备多级互联方法和互联装置
CN1287279A (zh) 一种光交换结构
JPH1146202A (ja) 集線装置
JPH0483437A (ja) コンセントレー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