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373B1 - 보행기 - Google Patents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373B1
KR101283373B1 KR1020120020900A KR20120020900A KR101283373B1 KR 101283373 B1 KR101283373 B1 KR 101283373B1 KR 1020120020900 A KR1020120020900 A KR 1020120020900A KR 20120020900 A KR20120020900 A KR 20120020900A KR 101283373 B1 KR101283373 B1 KR 10128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er
patient
support
ba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알파이엔지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파이엔지,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알파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2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6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forearm rests, i.e. for non-us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행기는 환자의 팔을 걸치기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앙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부에 위치 상기 보행기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보행기에 있어서, 환자의 발에 연결되어 환자 자립보행을 도와주는 보조보행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기{Walker}
본 발명은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걷기 힘든 노약자와 환자를 위해 편리하게 보행하게 도와주는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 입원한 중증의 환자나 고령의 노인 또는 일부 장애인들은 짧은 거리도 혼자서 걸어다니기 힘든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자들은 가까운 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도 항상 타인에게 의지한 상태로 다녀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립하여 보행하기가 어려운 고령 노인, 환자, 또는 장애인들이 몸을 기대어 서있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기가 상용화되어 있다.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선 상태에서 일측 은 개방되면서 몸을 감싸는 "ㄷ"자형으로 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 상부에는 손으로 쥐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몸을 기댈 수 있는 쿠션재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발을 뗄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노약자와 환자일 경우, 사용하기 힘들고, 발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리 근육 이외의 근육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노약자의 경우 다리의 근육 운동을 못하고 침상에 오래 있게되면 근육의 퇴화로 단기간에 중증 장애로 악화될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또 다른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843484에는 도 1과 같이 바닥을 지지하는 한쌍의 프레임부(20)(20')와, 상기 한쌍의 프레임부(20)(20')의 전방을 연결하는 연결바아(30)를 포함하는 보행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는, 후방의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바아(21)와; 상기 지지바아(21)의 상단에서 절곡되는 절곡바아(22); 상기 절곡바아(22)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매개바아(24); 상기 매개바아(24)에서 하방으로 출몰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바닥을 지지하는 출몰바아(25); 및 상기 매개바아(24)와 출몰바아(25) 사이에 설치되어 그 출몰바아(25)의 출몰된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출몰조정부(26);를 포함하고, 상기 출몰바아(25)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부(25a);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조정부(26)는, 상기 매개바아(24)의 상부에 설치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연동되어 홈부(25a)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체결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가 있지만, 다리 근육을 이용하지 못하는 환자가 스스로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주위의 도움을 받아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843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스로 보행이 힘든 환자가 제3자의 도움 없이 일어설 수 있으며, 자립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보행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환자의 팔을 걸치기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앙지지대, 상기 중앙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보행기에 있어서, 환자의 발에 연결되어 환자 자립보행을 도와주는 보조보행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보행기는 환자의 좌측 발에 연결되는 좌측당김줄, 환자의 우측 발에 연결되는 우측당김줄, 일측에 상기 좌측당김줄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좌측당김바, 일측에 상기 우측당김줄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우측당김바 및 상기 좌측당김바와 상기 우측당김바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당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보행기는 상기 당김축에 형성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 지면과 접하는 보조보행기바퀴,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보행기바퀴축 및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에 형성되고 상기 체인에 치합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보행기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모터의 힘으로 상기 당김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기는 상기 상부지지대에 위치하는 속도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스위치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속도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중앙지지대에 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고정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고, 환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액츄에이터가 연결되어 있어 타인의 도움없이 신체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상기 팔거치부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팔거치부에 팔을 올리고,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서 제 3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으며, 보조보행기를 환자의 발에 설치함으로서 자립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보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의 또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보행기의 또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100)의 전체적인 형상과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상부지지대(110), 중앙지지대(120), 하부지지대(130), 복수개의 바퀴(131), 및 보조보행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대(110)는 환자의 몸을 지지하기 위해서 손으로 잡거나, 팔을 걸치기 위해 적당한 높이에 형성된다.
상술한 적당한 높이란 환자의 손 위에서 어께 아래 중 편안하게 생각되는 높이로써, 손으로 지지를 할 경우 손높이에 형성되고, 팔을 지지할 경우 팔꿈치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 되는 액츄에이터(150)를 이용하여 상부지지대(110)의 높이를 조절이 될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50)가 최저 높이일 경우 환자가 앉아있을 때 어께높이 최고 높이일 경우 환자가 서있을 때 팔꿈치 높이가 적당하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지지대(120)는 상기 상부지지대(1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30)까지 연장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상기 중앙지지대(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보행기(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환자가 내측에 들어가서 상기 보행기(100)를 이용한다.
상기 바퀴(131)는 상기 보행기(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여 상기 보행기(100)가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조보행기(200)는 환자의 각각의 발에 연결되어 상기 보행기(100)가 움직임에 따라, 발을 전진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어 환자의 자립보행을 도와주게 된다.
상기 보조보행기(2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200)의 형태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조보행기(200)는 좌측당김줄(241), 우측당김줄(251), 좌측당김바(240), 우측당김바(250), 및 당김축(230)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당김줄(241)은 환자의 좌측발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당김줄(251)은 환자의 우측발에 연결된다.
상기 좌측당김줄(241)은 상기 좌측당김바(24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당김줄(251)은 상기 좌측당김바(24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좌측당김바(240)와 상기 우측당김바(250)의 타측에 상기 당김축(230)에 연결되되, 상기 좌측당김바(240)와 상기 우측당김바(250)는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200)는 제2 기어(231), 체인(220), 보조보행기바퀴(210), 보조보행기바퀴축(211), 및 제1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는 상기 당김축(230)에 형성되고, 상기 체인(220)이 치합된다.
상기 보조보행기바퀴(210)는 지면과 접하고,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형성되고, 상기 체인(220)에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보행기바퀴(210)가 회전하면,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형성되는 상기 제1 기어(212)가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212)는 상기 체인(220)을 통해 동력을 상기 제2 기어(231)에 전달하며, 상기 당김축(230)이 회전한다.
상기 당김축(230)이 회전하면, 상기 당김축(23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좌측당김바(240)와 상기 우측당김바(250)가 회전하고, 상기 좌측당김줄(241)과 상기 우측당김줄(251)이 환자의 발을 앞으로 당긴다.(도 4참조)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2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조보행기(200)는 모터(260), 속도제어부(270), 및 배터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기어(261)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기어(261)가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형성되어 있는 제3 기어(213)에 치합되어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을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당김축(2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60)는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형성되어 있는 제3 기어(213)에 치합될 수 도 있고, 상기 당김축(2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모터(260)는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속도제어부(270)는 상기 모터(26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2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된다.
이때, 상기 속도제어부(270)는 상기 상부지지대(110)에 위치하는 속도제어스위치(140)와 연결되어 환자가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60)는 배터리(280)와 연결되어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100)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액츄에이터(150)가 구비되어 환자가 일어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설치하기위해, 상기 상부지지대(110)는 지지프레임(113), 고정프레임(112), 및 팔거치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3)은 상기 중앙지지대(120)와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12)은 상기 팔거치부(111)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12)과 연결된다.
상기 팔거치부(111)는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연결되고, 환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13)에 액츄에이터(150)가 연결되어 상기 팔거치부(111)가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환자가 구동하기 위해, 상기 팔거치부(111)에 액츄에이터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환자가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환자가 앉은 상태에서 팔거치부(111)에 팔을 올리고, 액츄에이터(150)를 작동시킴으로서 제 3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으며, 보조보행기(200)를 환자의 발에 설치함으로서 자립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보행기(100)에 관한 것이다.
100 : 보행기 110 : 상부지지대
111 : 팔거치부 112 : 고정프레임
113 : 지지프레임
120 : 중앙지지대 130 : 하부지지대
131 : 바퀴 140 : 속도제어스위치
150 : 액츄에이터
200 : 보조보행기 210 : 보조보행기바퀴
211 : 보조보행기바퀴축 212 : 제1 기어
213 : 제3 기어
220 : 체인 230 : 당김축
231 : 제2 기어 240 : 좌측당김바
241 : 좌측당김줄 250 : 우측당김바
251 : 우측당김줄 260 : 모터
261 : 모터기어 270 : 속도제어부
280 : 배터리

Claims (6)

  1. 환자의 팔을 걸치기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대(110), 상기 상부지지대(110)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앙지지대(120), 상기 중앙지지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지지대(130) 및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바퀴(131)를 포함하는 보행기(100)에 있어서,
    환자의 좌측 발에 연결되는 좌측당김줄(241), 환자의 우측 발에 연결되는 우측당김줄(251), 일측에 상기 좌측당김줄(241)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좌측당김바(240), 일측에 상기 우측당김줄(251)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우측당김바(250), 상기 좌측당김바(240)와 상기 우측당김바(2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당김축(230),상기 당김축(230)에 형성되는 제2 기어(231), 상기 제2 기어(231)에 치합되어 있는 체인(220), 지면과 접하는 보조보행기바퀴(210), 상기 보조보행기바퀴(210)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보행기바퀴축(211) 및 상기 보조보행기바퀴축(211)에 형성되고 상기 체인(220)에 치합되는 제1 기어(212)를 구비하는 보조보행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행기(200)는 모터(26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모터(260)의 힘으로 상기 당김축(23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기(100)는 상기 상부지지대(110)에 위치하는 속도제어스위치(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스위치(140)는 상기 모터(260)와 연결되는 속도제어부(27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6. 제 1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110)는
    상기 중앙지지대(120)에 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13);
    상기 지지프레임(113)과 연결되는 고정프레임(112); 및
    상기 고정프레임(112)에 연결되고, 환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는 팔거치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3)에 액츄에이터(150)가 연결되어 상기 팔거치부(111)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
KR1020120020900A 2012-02-29 2012-02-29 보행기 KR10128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00A KR101283373B1 (ko) 2012-02-29 2012-02-29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00A KR101283373B1 (ko) 2012-02-29 2012-02-29 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373B1 true KR101283373B1 (ko) 2013-07-09

Family

ID=4899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00A KR101283373B1 (ko) 2012-02-29 2012-02-29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10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20A (ja) * 1996-05-15 1997-11-2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KR100843484B1 (ko) * 2008-03-04 2008-07-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100892621B1 (ko) * 2008-12-30 2009-04-14 김용석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US7992584B1 (en) * 2010-04-20 2011-08-09 Bernardo Birnbaum Walker with retractable whee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20A (ja) * 1996-05-15 1997-11-2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KR100843484B1 (ko) * 2008-03-04 2008-07-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100892621B1 (ko) * 2008-12-30 2009-04-14 김용석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US7992584B1 (en) * 2010-04-20 2011-08-09 Bernardo Birnbaum Walker with retractable whe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10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기
KR102630601B1 (ko) * 2021-04-30 2024-01-29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CN202497357U (zh) 站立式电动轮椅车
NZ581505A (en) Device for balance and body orientation support
JP2015536171A (ja) 患者介護用移乗ロボット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JP2014079364A (ja) 歩行訓練補助器
US20160158088A1 (en) Suspension-Based Walking Assistance Aide Apparatus
CN108433956A (zh) 多功能助行器
JP2022163133A (ja) 歩行車
KR20130139470A (ko) 다기능 전동식 승강기
KR101163125B1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JP2008023273A (ja) 障害者用自立補助機械
KR101012734B1 (ko) 전동식 이동보조장치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JP2016010488A (ja) 離着座補助装置
KR101536932B1 (ko) 기립형 이동기기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283373B1 (ko) 보행기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KR101278222B1 (ko) 리프트 휠체어
CN207532496U (zh) 一种老年患心血管病病人用医疗多功能轮椅
JP2010246626A (ja) 起立補助装置
KR101308219B1 (ko)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