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21B1 -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 Google Patents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21B1
KR100892621B1 KR1020080136206A KR20080136206A KR100892621B1 KR 100892621 B1 KR100892621 B1 KR 100892621B1 KR 1020080136206 A KR1020080136206 A KR 1020080136206A KR 20080136206 A KR20080136206 A KR 20080136206A KR 100892621 B1 KR100892621 B1 KR 10089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latch
support
frame
brak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08013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는 환자의 팔을 걸치기 위하여 수평하게 뻗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뻗는 네 개의 다리부로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 횡단봉과,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횡단봉과, 상기 하부 횡단봉의 좌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지지봉과, 상기 하부 횡단봉의 우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부는 한쪽 면에 톱니가 구비되는 래크 기어이며 하단부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지지봉과,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판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측면부에 홈이 형성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측 이동식 발판 및 우측 이동식 발판과, 한쪽 말단은 상기 상부 횡단봉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좌측 지지봉의 상단부의 안내풀리 및 하단부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좌측 당김줄과, 한쪽 말 단이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우측 지지봉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우측 당김줄과, 상기 상부 횡단봉에 결합되어 상기 우측 당김줄을 감기 위한 줄감김장치와, 좌측 이동식 발판 및 좌측 당김줄 사이에 연결되는 좌측 브레이크수단 및 우측 이동식 발판 및 우측 당김줄 사이에 연결되는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행기, 당김줄, 브레이크, 이동바퀴, 줄감김장치

Description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The walker for patients paralyzed in both legs}
본 발명은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기를 의지해서 서 있을 수는 있으나 한 발자국도 뗄 수 없는 하체 마비 환자들이 몸무게 및 팔 근육을 이용하여 자력으로 걸을 수 있게 하는 특수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걷기 위해서는 다리 근육을 이용해서 발을 들어 올려야 하는데 하반신 마비 환자들은 이 동작이 불가능하므로 하반신 마비 환자들이 발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다리 근육 이외의 근육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존의 환자용 보행기는 일체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행 시 단순 지지대 역할만을 수행하였으며 하반신 마비 환자들이 발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서 하체가 마비된 환자들이 보행기를 이용해서 자력으로 걸을 수 있게 하고 휠체어와 달리 부피가 작아서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는 환자의 왼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좌측 지지대와, 환자의 오른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우측 지지대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뻗는 네 개의 다리부로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다리부와,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 횡단봉과,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횡단봉과, 상기 하부 횡단봉의 좌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지지봉과, 상기 하부 횡단봉의 우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부는 한쪽 면에 톱니가 구비되는 래크 기어이며 하단부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지지봉과,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판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측면부에 홈이 형성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측 이동식 발판 및 우측 이동식 발판과, 한쪽 말단은 상기 상부 횡단봉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좌측 지지봉의 상단부의 안내풀리 및 하단부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좌측 당김줄과, 한쪽 말단이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우측 지지봉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우측 당김줄과, 상기 상부 횡단봉 중 상기 좌측 당김줄과의 결합부위로부터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측 지지봉의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하면서 회전할 때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클러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당김줄의 다른 한쪽 말단이 결합되어 회전되면 상기 우측 당김줄을 감는 릴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래치와 상기 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할 때는 상기 래치가 상기 톱니를 타고 넘어가서 회전 가능하나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할 때는 상기 래치가 톱니에 걸려서 고정되는 래치 기어와 상기 우측 지지봉에 연결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래치가 일정한 높이 이상에 있게 되면 상기 래치의 한쪽 끝을 아래로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사이에 탄발 지지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를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줄감김장치와, 상기 좌측 당김줄과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좌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 제1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1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좌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좌측 브레이크수단 및 상기 우측 당김줄과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 제2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2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우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 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우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 각각에는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와 두 개의 뒷쪽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이 두 갈래로 갈라진 좌측 당김줄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 각각을 제동하며,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이 두 갈래로 갈라진 우측 당김줄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 각각을 제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존의 보행기가 단순 지지대 역할만을 수행하였던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에 의하면 하체 마비 환자들이 왼쪽 발과 오른쪽 발을 15cm씩 교대로 잡아당겨 자력으로 보행이 가능하게 하고, 휠체어와 달리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접이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는 좌측 지지대(100a), 우측 지지대(100b), 다리부(200), 상부 횡단봉(300), 하부 횡단봉(400), 좌측 지지봉(500a), 우측 지지봉(500b), 좌측 이동식 발판(600a), 우측 이동식 발판(600b), 좌측 당김줄(700a), 우측 당김줄(700b), 줄감김장치(2000),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 우측 브레이크수단(800b), 접이식 봉(900), 좌측 보강부재(1000a) 및 우측 보강부재(10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 지지대(100a)는 환자가 왼손으로 잡거나 왼쪽 팔을 걸쳐놓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은 부재이고, 우측 지지대(100b)는 환자가 오른손으로 잡거나 왼쪽 팔을 걸쳐놓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부재로서 좌측 지지대(100a)와 우측 지지대(100b)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다리부(200)는 좌측 지지대(100a)의 전단부와 후단부 및 우측 지지대(100b)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지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길게 뻗는 부분으로서, 하단부에는 다리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2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길이조절부(250)는 통상적인 보행기에서도 이미 채택되고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다리부(200)는 상부 프레임(210), 하부 프레임(220), 상부 프레임(210)과 하부 프레임(2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230) 및 상부 프레임(210) 또는 하부 프레임(220)에 고정 결합되어 스프링부재 (230)를 감싸는 가이드관(240)으로 구성된다. 스프링부재(230)는 코일 스프링이며 가이드관(240)은 원통형의 관으로서 그 내부에 스프링부재(230)가 장치된다. 상부 프레임(210)의 하단부는 가이드관(24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는 가이드관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하부 프레임(220)의 상단부가 가이드관(24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220)과 가이드관(24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관(240)의 하단부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길게 가이드구멍(24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구멍(241)에 하부 프레임(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기(221)가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전체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서 좌측의 앞쪽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과 뒤쪽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좌측 보강부재(1000a)와 우측의 앞쪽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과 뒤쪽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우측 보강부재(1000b)가 구비된다.
또한, 좌측 지지대(100a)의 전단부와 우측 지지대(100b)의 전단부를 횡으로 연결하는 접이식 봉(900)이 구비되는데 접이식 봉(900)의 중간 부분에는 접이식 봉(900)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 구비되어 좌측 지지대(100a)와 우측 지지대(100b)가 일렬로 배열되게 안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행기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은 통상적인 보행기에 적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200)의 상부 프레임(210)과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을 횡으로 연결하는 상부 횡단봉(300)과,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과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을 횡으로 연결하는 하부 횡단봉(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부 횡단봉(300)과 다리부(200)의 상부 프레임(210)의 결합부위, 하부 횡단봉(400)과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의 결합부위 및 좌측 보강부재(1000a) 및 우측 보강 부재(1000b)와 다리부(200)의 하부 프레임(220)의 연결 부위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보관이나 운반 시의 편의를 위하여 보행기를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부 횡단봉(400)의 전면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져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좌측 지지봉(500a)과 우측 지지봉(500b)이 결합된다. 좌측 지지봉(500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안내풀리(510a)가 설치되고, 우측 지지봉(500b)의 하단부에도 안내풀리(510b)가 설치된다. 상부 횡단봉(300)의 전단면에는 좌측 지지봉(500a)이 지나는 구멍이 형성된 부재와 우측 지지봉(500b)이 지나는 구멍이 형성된 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부재들은 좌측 지지봉(500a) 및 우측 지지봉(500b)의 수직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좌측 지지봉(500a)은 전체가 원형의 봉 형태를 가지나, 우측 지지봉(500b)은 하부와 상부의 구성이 다르다. 우측 지지봉(500b)의 하부는 원형 봉 형태를 가지고 상부는 뒤쪽 면에 톱니가 구비된 래크 기어(520)이다.
한편, 상부 횡단봉(30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줄감김장치(2000)가 매달린다. 또한,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이 좌측 당김줄(700a)에 의해 상부 횡단봉 (300)과 연결되고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이 우측 당김줄(700b)에 의해 줄감김장치(2000)와 연결된다. 좌측 당김줄(700a)은 좌측 지지봉(500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구비된 안내풀리(510a)들에 의해 안내되고, 우측 당김줄(700b)은 우측 지지봉(500b)의 하단부에 구비된 안내 풀리(510b)에 의해 안내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줄감김장치(2000)는 상부 횡단봉(300) 중 좌측 당김줄(700a)과의 결합부위로부터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00)과, 지지프레임(2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 지지봉(500b)의 래크 기어(52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200)와, 피니언 기어(2200)와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2200)가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200)가 상승하면서 회전할 때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2300)와, 일방향클러치(23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우측 당김줄(700b)의 다른 한쪽 말단이 결합되어 회전되면 우측 당김줄(700b)을 감는 릴부재(2400)와, 지지프레임(2100)에 힌지 결합되는 래치(2600)와, 릴부재(24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래치(2600)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2200)가 하강할 때는 래치(2600)가 톱니를 타고 넘어가서 회전 가능하나 피니언 기어(2200)가 상승할 때는 래치(2600)가 톱니에 걸려서 고정되는 래치 기어(2500)와, 우측 지지봉(500b)에 연결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는 스토퍼(2700)로서 래치(2600)가 일정한 높이 이상에 있게 되면 래치(2600)의 한쪽 끝을 아래로 눌러 래치(2600)와 래치 기어(2500)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2700)와, 지지프레임(2100)과 래치(2600) 사이에 탄발 지지되어 래치(2600)가 스토퍼(2700)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2600)를 눌러 래치(2600)와 래치 기어(2500)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줄감김장치(2000)의 탄성 부재(2800)는 "알파(α)" 자 형태로 꼬여서 한쪽 끝은 지지프레임(2100)에 닿아있고 다른 한쪽 끝은 래치(2600) 중에서 래치 기어(2500)에 맞물리는 부분의 위쪽면과 닿아있게 된다. 스토퍼(2700)와 래치(2600)의 닿는 부분은 래치(2600)가 지지프레임(2100)에 힌지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래치(2600) 중에서 래치 기어(2500)에 맞물리는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분의 위쪽면이다.
좌측 이동식 발판(600a)과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은 사용자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하며 각각의 하단에는 이동바퀴(610a, 610b)가 전방 좌측과 전방 우측, 후방 좌측과 후방 우측 부위에 총 네 개씩 설치된다.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의 좌측 앞쪽 이동바퀴(610a)와 우측 앞쪽 이동바퀴(610a) 각각에는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이 결합되고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의 좌측 앞쪽 이동바퀴(610b)와 우측 앞쪽 이동바퀴(610b)에는 우측 브레이크수단(800b)이 결합된다. 이동바퀴(610a, 610b)의 재질은 우레탄 수지이고, 이동바퀴(610a, 610b)의 바깥 측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 개의 홈(611a, 611b)이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은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의 전단부의 모서리 부분에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 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쪽 끝이 힌지 결합되고 이동바퀴의 홈(61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과 일체로 형성된 부분인 제1 삽입부(810a)가 앞쪽 이동바퀴의 홈(611a)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 중에서 힌지 결합된 부위와 제1 삽입부(810a)의 사이의 중간 부분과 좌측 이동식 발판(600a) 사이에는 제1 스프링(820a)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좌측 브레이크수단(800a)의 힌지결합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은 두 갈래로 갈라진 좌측 당김줄(700a)의 말단부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좌측 당김줄(700a)이 느슨할 때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스프링(820a)이 제1 삽입부(810a)가 이동바퀴의 홈(611a)에 삽입되도록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이동바퀴(610a)가 제1 삽입부(810a)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이 멈춰있게 된다. 또한 좌측 당김줄(700a)이 당겨질 때는 좌측 브레이크 수단(800a)이 힌지운동을 하여 제1 삽입부(810a)가 이동바퀴의 홈(611a)에서 빠지게 되어 이동바퀴(610a)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우측 이동식 발판(600b)과 우측 브레이크 수단(800b)의 연결관계, 우측 브레이크 수단(800b)에 구비된 제2 삽입부(810a) 및 제2 스프링(820b)의 기능과 우측 브레이크 수단(800b)의 작용은 위에서 설명한 좌측 이동식 발판(600a)과 좌측 브레이크 수단(800a)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우측 당김줄(700b)이 줄감김장치(2000)에 연결되고 좌측 당김줄(700a)은 상부 횡단봉(3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줄감김장치(2000)의 결합위치가 달라져서 좌측 당김줄(700a)이 줄감김장치(2000)에 연 결되고 우측 당김줄(700b)이 상부 횡단봉(30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체중과 팔 근육을 이용해서 좌측 지지대(100a)와 우측 지지대(100b)를 아래로 누르면 상부 프레임(210)이 하부 프레임(220) 쪽으로 약 15cm 밀려내려 갔다가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230)에 의해 원래 위치로 올라온다.
상부 프레임(210)이 내려가면 상부 횡단봉(300)도 함께 내려가므로 좌측 당김줄(700a)이 당겨지게 되어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이 앞쪽으로 이동되고, 상부 프레임(210)이 상승하면 상부 횡단봉(300)이 함께 올라가면서 좌측 당김줄(700a)이 느슨해진다.
한편, 상부 프레임(210)이 내려갈 때 상부 횡단봉(300)에 매달린 줄감김장치(2000)가 하강하는데 이에 따라 하강하는 줄감감장치(2000)의 피니언기어(2200)가 고정되어 있는 래크 기어(520)에 의해 회전된다. 피니언(2200)의 회전에 의해 릴 부재(2400)도 회전하여 릴 부재(2400)가 우측 당김줄(700b)을 감는다. 우측 당김줄(700b)을 감을 때 래치 기어(2500)도 릴 부재(2400)와 함께 회전하는데, 이 경우에는 래치(2600)가 래치 기어(2500)의 톱니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래치 기어(25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 프레임(210)이 하강할 때는 하강하는 길이만큼 줄감김장치(2000)가 우측 당김줄(700b)을 감기 때문에 우측 당김줄(700b)이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을 잡아당기지 않게 되므로 좌측 이동식 발판(600a)이 앞으로 이동하는 동안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은 가만히 있게 된다.
한편, 상부 프레임(210)이 올라갈 때는 일방향 클러치(2300)의 작용에 의해 피니언기어(2200)가 회전하더라도 릴 부재(2400)는 피니언기어(2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며 래치 기어(2500)는 래치(2600)에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므로 릴 부재(240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210)의 상승과 함께 우측 당김줄(700b)이 당겨짐으로써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이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프레임(210)이 상승하여 래치(2600)의 한쪽 끝이 스토퍼(2700)에 닿아 눌리게 되면 래치(2600)가 들어 올려져서 릴 부재(240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보행기를 앞으로 옮겨서 놓는 동안은 우측 당김줄(700b)이 필요한 만큼 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좌측 이동식 발판(600a)과 우측 이동식 발판(600b)이 번갈아 당겨지면서 앞으로 이동되며, 당김줄에 의해 당겨지지 않는 브레이크수단은 이동바퀴를 회전할 수 없게 하므로 회전되지 않는 이동바퀴가 구비된 쪽의 이동식 발판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들의 인구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약자나 독거노인 인구와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본 제품은 기존 제품들과 같이 지팡이의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들이 스스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보행기의 수요와 본 발명품의 향상된 기능으로 미루어볼 때 본 발명품은 시장에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고 할 것이며 이 발명품이 시장에 정착하여 실제로 환자들의 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다면 하반신 마비 환자들의 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의 다리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의 줄감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의 브레이크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의 이동바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좌측 지지대 100b: 우측 지지대
200: 다리부 210: 상부 프레임
220: 하부 프레임 230: 스프링부재
240: 가이드관 300: 상부 횡단봉
400: 하부 횡단봉 500a: 좌측 지지봉
500b: 우측 지지봉 510a, 510b: 안내풀리
520: 래크기어 600a: 좌측 이동식 발판
600b: 우측 이동식 발판 610a, 610b: 이동바퀴
700a: 좌측 당김줄 700b: 우측 당김줄
800a: 좌측 브레이크 수단 800b: 우측 브레이크 수단
810a: 제1 삽입부 810b: 제2 삽입부
820a: 제1 스프링 820b: 제1 스프링
900: 접이식 봉 1000a: 좌측 보강부재
1000b: 우측 보강부재 2000: 줄감김장치
2100: 지지프레임 2200: 피니언기어
2300: 일방향클러치 2400: 릴부재
2500: 래치기어 2600: 래치
2700: 스토퍼 2800: 탄성부재

Claims (3)

  1. 환자의 왼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좌측 지지대;
    환자의 오른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우측 지지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뻗는 네 개의 다리부로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다리부;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 횡단봉;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횡단봉;
    상기 하부 횡단봉의 좌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지지봉;
    상기 하부 횡단봉의 우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부 는 한쪽 면에 톱니가 구비되는 래크 기어이며, 하단부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지지봉;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판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측면부에 홈이 형성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측 이동식 발판 및 우측 이동식 발판;
    한쪽 말단은 상기 상부 횡단봉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좌측 지지봉의 상단부의 안내풀리 및 하단부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좌측 당김줄;
    한쪽 말단이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우측 지지봉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우측 당김줄;
    상기 상부 횡단봉 중 상기 좌측 당김줄과의 결합부위로부터 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우측 지지봉의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하면서 회전할 때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클러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당김줄의 다른 한쪽 말단이 결합되어 회전되면 상기 우측 당김줄을 감는 릴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래치와, 상기 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할 때는 상기 래치가 상기 톱니를 타고 넘어가서 회전 가 능하나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할 때는 상기 래치가 톱니에 걸려서 고정되는 래치 기어와, 상기 우측 지지봉에 연결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래치가 일정한 높이 이상에 있게 되면 상기 래치의 한쪽 끝을 아래로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사이에 탄발 지지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를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줄감김장치;
    상기 좌측 당김줄과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좌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 제1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1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좌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좌측 브레이크수단; 및
    상기 우측 당김줄과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 제2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 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2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우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우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2. 환자의 왼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좌측 지지대;
    환자의 오른쪽 팔을 걸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뻗는 우측 지지대;
    상기 좌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우측 지지대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방으로 길게 뻗는 네 개의 다리부로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 방향의 가압력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다리부;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 횡단봉;
    좌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우측 말단은 상기 다리부들 중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다리부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횡단봉;
    상기 하부 횡단봉의 우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 지지봉: 상기 하부 횡단봉의 좌측부에 고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부는 한쪽 면에 톱니가 구비되는 래크 기어이며, 하단부에 안내풀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 지지봉;
    발을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받침판의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측면부에 홈이 형성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측 이동식 발판 및 우측 이동식 발판;
    한쪽 말단은 상기 상부 횡단봉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우측 지지봉의 상단부의 안내풀리 및 하단부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우측 당김줄;
    한쪽 말단이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연결되며, 좌측 지지봉의 안내풀리에 걸쳐져 이동이 안내되는 좌측 당김줄;
    상기 상부 횡단봉 중 상기 우측 당김줄과의 결합부위로부터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좌측 지지봉의 래크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하면서 회전할 때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클러치와, 상기 일방향클러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당김줄의 다른 한쪽 말단이 결합되어 회전되면 상기 좌측 당김줄을 감는 릴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래치와, 상기 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래치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가 하강할 때는 상기 래치가 상기 톱니를 타고 넘어가서 회전 가능하나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승할 때는 상기 래치가 톱니에 걸려서 고정되는 래치 기어와, 상기 좌측 지지봉에 연결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되는 스토퍼로서 상기 래치가 일정한 높이 이상에 있게 되면 상기 래치의 한쪽 끝을 아래로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래치 사이에 탄발 지지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를 눌러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기어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줄감김장치;
    상기 좌측 당김줄과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좌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 제1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1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좌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좌측 브레이크수단; 및
    상기 우측 당김줄과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의 연결은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매개로 하고,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과 제2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일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인 제2 삽입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우측 당김줄이 느슨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당겨짐으로써 상기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정지되고 상기 우측 당김줄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 전체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이동바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는 우측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과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 각각에는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와 두 개의 뒷쪽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이 두 갈래로 갈라진 좌측 당김줄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좌측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좌측 이동식 발판의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 각각을 제동하며,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이 두 갈래로 갈라진 우측 당김줄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우측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우측 이동식 발판의 두 개의 앞쪽 이동바퀴 각각을 제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KR1020080136206A 2008-12-30 2008-12-30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KR10089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06A KR100892621B1 (ko) 2008-12-30 2008-12-30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206A KR100892621B1 (ko) 2008-12-30 2008-12-30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621B1 true KR100892621B1 (ko) 2009-04-14

Family

ID=4075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206A KR100892621B1 (ko) 2008-12-30 2008-12-30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6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373B1 (ko) * 2012-02-29 2013-07-09 (주)알파이엔지 보행기
KR20170093347A (ko) * 2016-02-05 2017-08-1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CN110101554A (zh) * 2019-05-21 2019-08-09 陈海陆 一种医疗用患者行走辅助装置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CN114767403A (zh) * 2022-03-21 2022-07-22 徐和云 一种基于下肢烧伤辅助换药装置
KR20220150022A (ko) 2021-05-03 2022-11-10 박인화 성인용 보행보조기
KR20230171016A (ko) 2022-06-12 2023-12-19 이태경 스마트 보행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01A (ko) * 2000-05-30 2002-10-30 피르마 오르토페디츠나 "메도르트" 에스.아.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회복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701A (ko) * 2000-05-30 2002-10-30 피르마 오르토페디츠나 "메도르트" 에스.아.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회복을 위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373B1 (ko) * 2012-02-29 2013-07-09 (주)알파이엔지 보행기
KR20170093347A (ko) * 2016-02-05 2017-08-1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KR102584397B1 (ko) 2016-02-05 2023-09-2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령친화 보행운동기기
CN110101554A (zh) * 2019-05-21 2019-08-09 陈海陆 一种医疗用患者行走辅助装置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KR20220150022A (ko) 2021-05-03 2022-11-10 박인화 성인용 보행보조기
CN114767403A (zh) * 2022-03-21 2022-07-22 徐和云 一种基于下肢烧伤辅助换药装置
KR20230171016A (ko) 2022-06-12 2023-12-19 이태경 스마트 보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621B1 (ko) 하반신 마비 환자용 보행기
TWI450712B (zh) 翻身移位機
US5261682A (en) Collapsible recuperating walker
KR20200138824A (ko) 다기능 휠체어
US20100199422A1 (en) Sliding back for a wheelchair with commode that can be converted into bed
JP4504525B2 (ja) 歩行補助機
US20100199423A1 (en) Device for moving a person of reduced mobility
CN203263669U (zh) 一种具有助行康复功能的儿童轮椅
KR101163125B1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CN212395269U (zh) 一种用于残障人士的位置转移装置
CN212575220U (zh) 多功能老年病人助行器
CN211157119U (zh) 一种病患康复护理助行器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CN112022569A (zh) 一种用于残障人士的位置转移装置
CN214180264U (zh) 一种肿瘤护理用坐便器
CN208877182U (zh) 一种腿部护理装置
CN213964247U (zh) 一种医护护理助行器
CN115300859B (zh) 一种训练腰部柔韧度和腹部力量的辅助训练装置及方法
CN218793345U (zh) 一种便于调节的护理用的输液支撑架
CN217828345U (zh) 一种神经外科用辅助行走护理装置
CN210644997U (zh) 多功能训练康复器
CN214259786U (zh) 一种背负式移位机
CN220860249U (zh) 一种组合式护理担架
CN216536059U (zh) 一种恢复护理用助行器
CN219557984U (zh) 一种助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