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110A - 노약자용 보행기 - Google Patents

노약자용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110A
KR20220149110A KR1020210056321A KR20210056321A KR20220149110A KR 20220149110 A KR20220149110 A KR 20220149110A KR 1020210056321 A KR1020210056321 A KR 1020210056321A KR 20210056321 A KR20210056321 A KR 20210056321A KR 20220149110 A KR20220149110 A KR 20220149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s
walker
handle
elde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601B1 (ko
Inventor
이승훈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6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기를 상향으로 들지 않아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약자용 보행기 {A WALKER FOR THE AGED}
본 발명은 노약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기를 상향으로 들지 않아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고령화시대로 대한민국은 2017년에 고령화시대에 진입했으며, 2025년에는 초고령화시대에 진입할 예정으로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시대에 따라 병원의 환자나 고령의 노약자, 일부 장애인은 혼자서 걸어다니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호자의 부축 등 도움을 받아서 걸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병원의 환자나 고령의 노약자, 일부 장애인은 신체를 지지하여 기립하거나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행기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행기는 "ㄷ"형상의 상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수직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바퀴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보행기의 양측 상부 프레님을 손으로 파지하고, 밀거나 당기면서 보행하게 된디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행기는 단순히 보행기를 밀거나 당기면서 보행기를 이동시키고, 이동한 보행기에 몸을 의지하면서 보행을 하게 되는 것으로 다른 기능은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전환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행기의 바퀴가 회동이 불가능하여 보행할 방향에 보행기를 들어 옮겨놓은 후에 보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62501호(2020. 06. 0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69460호(2020. 06. 1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102076호(2020.04.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낙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기를 들지 않아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양측 손잡이 프레임에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의 동작에 따라 좌우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손으로 잡는 손잡이 프레임 후방에 높이가 낮은 위치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노약자가 앉았다 일어설 때 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일어설 수 있는 노약자용 보행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120)에서 계단식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 2손잡이 프레임(130); 상기 제 2손잡이 프레임(130)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하부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제 1손잡이 프레임(1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0);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한 쌍의 미끄럼방지 고무(20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하단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어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회동수단(400); 상기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이중바퀴(500);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부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6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하부로 이송되면 회동수단(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좌·우측 버튼(610, 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퀴 회동캡(300)은 원통형상의 회동캡 몸체(310);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중간에 좌우로 관통되어 바퀴축(32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330);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400)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부에 바퀴 회동캡(300)과 결합되는 모터축(411)이 구비되는 정·역회전 모터(410);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측 버튼(610, 620)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 모터(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0);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측 버튼(61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정회전시키고, 우측 버튼(62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역회전시키는 방향조절기판(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노약자용 보행기는 낙상이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기를 들지 않아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양측 손잡이 프레임에 버튼을 구비하여 버튼의 동작에 따라 좌우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손으로 잡는 손잡이 프레임 후방에 높이가 낮은 위치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노약자가 앉았다 일어설 때 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일어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전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바퀴 결합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바퀴 회동수단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좌측 버튼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우측 버튼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1은 제 1손잡이 커버이고, 122는 버튼 지지판이며, 131은 제 2손잡이 커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수평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120)에는 후방에서 계단식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 2손잡이 프레임(130)과 상기 제 2손잡이 프레임(130)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2손잡이 프레임(120, 130)에는 노약자가 손으로 파지할 경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우레탄 또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의 제 1, 2손잡이 커버(121, 131)를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하부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제 1손잡이 프레임(1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프레임을 단면이 원형봉 형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각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봉 또는 오각봉, 육각봉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미끄럼방지 고무(20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에 미끄럼방지 고무가 결합됨으로써 보행기가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좌우로 회동되는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에는 한 쌍의 이중바퀴(5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 내부에는 하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회동수단(400)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부에는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6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하부로 이송되면 회동수단(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좌·우측 버튼(610, 62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좌·우측 버튼(610, 620)은 노약자가 제 1, 2 손잡이 프레임(120, 1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퀴 회동캡(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회동캡 몸체(310)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중간에는 좌우로 관통되어 바퀴축(32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330)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기(3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350)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동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정·역회전 모터(4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역회전 모터(410)의 모터축(411)은 바퀴 회동캡(300)의 상부에 구비된 삽입돌기(340)의 내부로 결합되어 정·역회전 모터(410)가 정·역회전하면 회동캡 몸체(310)는 좌우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 즉, 정·역회전 모터(410)의 상부에는 좌·우측 버튼(610, 620)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 모터(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좌측 버튼(61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정회전시키고, 우측 버튼(62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역회전시키는 방향조절기판(4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버튼(610, 620)의 하부 제 1손잡이 프레임(120) 내부에는 좌·우측 버튼(610, 620) 하단부와 좌·우측 버튼(610, 620)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6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버튼 지지판(1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지지판(122)의 상부에는 한 쌍의 하부 접촉단자(440)가 구비되며, 좌·우측 버튼(610, 620)의 하부에도 상부 접촉단자(440)가 구비된다.
또한 일측 하부 접촉단자(440)에는 배터리(420)와 전선(450)으로 연결되며, 타측 하부 접촉단자는 방향조절기판(430)을 통해 정·역회전 모터(41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약자용 보행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약자는 앉았다가 일어설 때는 양손을 제 2손잡이 프레임(130)을 잡고 용이하게 일어설 수 있으며, 일어선 다음에는 양손을 제 1손잡이 프레임(120)을 잡고 전방으로 보행한다.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보행하면 전방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이중바퀴가 회전되며 보행기는 전방으로 이송되며, 이때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에 구비된 미끄럼방지 고무(200)는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지면 브레이크 역활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보행하다가 보행기를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킬 때에는 노약자는 진행할 방향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부에 구비된 좌측 버튼(610) 또는 우측 버튼(620)을 누른다.
예를 들어 보행기를 좌측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좌측 버튼(610)을 누르면 좌측 버튼(610)이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단부에 구비된 상부 접촉단자(400)가 버튼 지지판 (122) 상부에 구비된 하부 접촉단자(400)와 접촉되어 회동수단(400)의 방향조절기판(430)을 통해 정·역회전 모터(410)에 배터리(420)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기판(430)은 좌측 버튼(610)이 작동되므로 정·역회전 모터(410)를 정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정·역회전 모터(410)가 정회전되면 모터축(411)과 결합된 삽입돌기(340)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 회동캡(300)의 회동캡 몸체(310)가 좌측으로 회동되며 이중바퀴(500)가 좌측으로 회동되며 보행기는 좌측방향으로 운행된다.
그리고 노약자가 좌측 버튼(610)의 누름을 해제하면 정·역회전 모터(410)의 회전은 정지되며 이중바퀴(500)의 회동도 멈추게 된다.
또한 반대로 우측 버튼(620)을 작동시키면 정·역회전 모터(410)가 역회전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바퀴(500)는 우측으로 회동되며 보행기는 우측 방향으로 운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는 좌·우측 버튼(610, 620)을 이용하여 이중바퀴(500)를 좌추로 회동시켜 보행기의 운행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보행기를 들지 않아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110 : 전방 프레임
120 : 제 1손잡이 프레임
130 : 제 2손잡이 프레임
140 : 후방 프레임
150 : 지지프레임
200 : 미끄럼방지 고무
300 : 바퀴 회동캡
310 : 회동캡 몸체 320 : 바퀴축
330 : 축삽입공 340 : 삽입돌기
350 : 베어링
400 : 회동수단
410 : 정·역회전 모터 411 : 모터축
420 : 배터리 430 : 방향조절기판
440 : 접촉단자 450 : 전선
500 : 이중바퀴
610 : 좌측 버튼 620 : 우측 버튼
630 : 스프링

Claims (3)

  1.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손잡이 프레임(120)에서 계단식으로 굴곡되는 한 쌍의 제 2손잡이 프레임(130);
    상기 제 2손잡이 프레임(130)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하부에 양측단이 고정되어 제 1손잡이 프레임(12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0);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한 쌍의 미끄럼방지 고무(20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의 하단에 좌우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110) 내부에 구비되어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한 쌍의 회동수단(400);
    상기 한 쌍의 바퀴 회동캡(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이중바퀴(500);
    상기 한 쌍의 제 1손잡이 프레임(120) 상부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6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하부로 이송되면 회동수단(4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좌·우측 버튼(610, 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보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 회동캡(300)은
    원통형상의 회동캡 몸체(310);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중간에 좌우로 관통되어 바퀴축(320)이 삽입되는 축 삽입공(330);
    상기 회동캡 몸체(3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전방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보행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400)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내부에 바퀴 회동캡(300)과 결합되는 모터축(411)이 구비되는 정·역회전 모터(410);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측 버튼(610, 620)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 모터(4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0);
    상기 전방 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측 버튼(61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정회전시키고, 우측 버튼(620)이 작동되면 정·역회전 모터(410)를 역회전시키는 방향조절기판(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보행기.
KR1020210056321A 2021-04-30 2021-04-30 노약자용 보행기 KR10263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21A KR102630601B1 (ko) 2021-04-30 2021-04-30 노약자용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21A KR102630601B1 (ko) 2021-04-30 2021-04-30 노약자용 보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10A true KR20220149110A (ko) 2022-11-08
KR102630601B1 KR102630601B1 (ko) 2024-01-29

Family

ID=8404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321A KR102630601B1 (ko) 2021-04-30 2021-04-30 노약자용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6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884A (ko) * 2011-05-26 2012-12-05 이건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283373B1 (ko) * 2012-02-29 2013-07-09 (주)알파이엔지 보행기
KR102102076B1 (ko) 2019-05-07 2020-05-12 주식회사 다지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KR20200062501A (ko) 2018-11-27 2020-06-04 이정민 노인 및 환자를 위한 보행기
KR20200066764A (ko) * 2018-12-03 2020-06-11 김명호 전동 보행 보조기
KR20200069460A (ko) 2018-12-07 2020-06-17 이다윤 브레이크 다리 보행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1884A (ko) * 2011-05-26 2012-12-05 이건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283373B1 (ko) * 2012-02-29 2013-07-09 (주)알파이엔지 보행기
KR20200062501A (ko) 2018-11-27 2020-06-04 이정민 노인 및 환자를 위한 보행기
KR20200066764A (ko) * 2018-12-03 2020-06-11 김명호 전동 보행 보조기
KR20200069460A (ko) 2018-12-07 2020-06-17 이다윤 브레이크 다리 보행기
KR102102076B1 (ko) 2019-05-07 2020-05-12 주식회사 다지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601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80694U (zh) 一种新型多功能助行器械
KR20120025916A (ko) 파워 보행기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KR20220149110A (ko) 노약자용 보행기
KR102150594B1 (ko) 휠체어
CN212439110U (zh) 一种具有调节座椅功能的医疗电动爬楼椅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82201B1 (ko)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ATE171367T1 (de) Kombination von rollstuhl und gehhilfe
JP2001346836A (ja) 介護者操作電動移動車
CN211560744U (zh) 一种安全轮椅
KR20170015396A (ko) 전동목발
KR102043149B1 (ko) 이동 보조 시스템
US9480619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JP2001070348A (ja) 車椅子
KR20120056381A (ko) 전동식 보행장치
CN215915587U (zh) 一种老年人用多功能助行器
CN213883866U (zh) 一种急重症临床用急救辅助装置
CN217448372U (zh) 一种快速康复护理用助行器械
KR101986269B1 (ko) 스탠드-업 보행 보조기
KR20090098369A (ko)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CN214382465U (zh) 一种多功能康复装置
KR102035661B1 (ko) 보행보조장치
CN211535483U (zh) 老年人用助行器
KR200211914Y1 (ko) 휠체어용 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