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501B1 - 보행 교정기 - Google Patents

보행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501B1
KR101839501B1 KR1020170033710A KR20170033710A KR101839501B1 KR 101839501 B1 KR101839501 B1 KR 101839501B1 KR 1020170033710 A KR1020170033710 A KR 1020170033710A KR 20170033710 A KR20170033710 A KR 20170033710A KR 101839501 B1 KR101839501 B1 KR 10183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tient
casters
bars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기
허맹자
Original Assignee
박성기
허맹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기, 허맹자 filed Critical 박성기
Priority to KR102017003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행 교정기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 교정기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캐스터(11),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 및 상기 복수의 캐스터(11)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로 구성되는 보행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13, 14);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바(15, 16);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바(17, 18); 및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를 포함하며, 보행 장애인의 자세 균형 재활 훈련 시 보행 장애인의 양팔로 신체를 지지하는 한편 보행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교정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 장애인의 직립보행을 유도하고 보행 장애인이 자신의 보행 패턴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양팔과 양 겨드랑이로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피로감이 완화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 교정기{AMBULATION POSE CORRECTOR}
본 발명은 보행 장애인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보행의 균형 및 안정성을 부여하고,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도하여 자세 균형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보행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교정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자세 균형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캐스터를 구비하는 "⊃"자 형상의 본체와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 및 본체의 상부에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를 구비하는 보행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보행 교정기는 관절염, 하지 절단, 고도의 비만, 외상성 관절 좌상, 인공관절치환술 등에 기인하여 직립보행 시 자세 균형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보행 장애인을 위한 자세 균형 재활 훈련에 활용되며, 보행 장애인의 직립보행 시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도하여 자세 균형 제어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반적으로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교정기나 장치들은 갓난아기용 유모차에서부터 할아버지의 지팡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보행 교정기들은 골절 등에 의해 손상을 입어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손잡이를 위한 그립이 있는 그립(grip)형, 직립이 힘든 환자 등의 재활을 돕기 위한 지그재그(zigzag)형 보행기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보행 교정기들이 있다.
한편, 재활 환자나 어린 아이를 위한 보행 교정기들은 전체적으로 일측부가 개방된 '⊃'자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가 부설되어 일정한 높이를 갖는 카트형 보행 교정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보행 교정기는 보행자가 몸체를 손으로 집고 밀면서 보행을 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쉽게 이동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봉의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봉은 수직상으로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것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보행 교정기는 보행 장애인의 자세 균형 재활 훈련 시 보행 장애인의 양팔로 신체를 단순 지지하면서 직립보행을 유도하므로 정상적인 자세 유지에 문제가 있는 보행 장애인이 자신의 보행 패턴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 없으며, 양팔로만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피로감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재활 훈련의 효율이 저하되고 재활 훈련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6301호에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설치되고 신체의 외측을 감싸되 사용자가 양팔로 상부를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위치의 높낮이를 갖는 원통형의 지지대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는 사용자가 양발을 보행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확장되는 경사를 이루고, 일측에 내부 공간부으로의 신체 출입을 위한 출입구와, 내측 배면에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발을 굴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내측 전방 하부에 사용자가 양 발을 얹을 수 있는 좌우 발판을 마련하여 보행자가 지지대의 시트에 앉은 자세로 발을 굴러 이동하거나 휠체어 형태로 이동할 수 있는 노인 및 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04283호에는 캐스터가 구비되면서 자력구동부를 갖는 ⊂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 양측에 한조씩 각각 연결되면서 상단에 각각 버팀대가 연결되는 높이조절봉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높이를 조절토록 설치되면서 자력구동부의 주행속도 및 진행방향을 조절토록 설치되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 장애인의 자세 균형 재활 훈련 시 보행 장애인의 양팔로 신체를 지지하는 한편 탈부착 및 좌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겨드랑이 교정받침대(무릎을 잘 펴지 못하거나 잘 서지 못할 때 보조해주는 기구)로 보행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이 불가능한 보행 장애인이 스스로 정상에 가까운 바른 자세의 직립보행을 유도하고 보행 장애인이 자신의 보행 패턴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양팔과 양 겨드랑이로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피로감을 완화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보행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교정기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 교정기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캐스터,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상기 복수의 캐스터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로 구성되는 보행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 상기 측방 프레임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바, 상기 측방 프레임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바, 상기 상부 연결바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는 각각, 상기 본체의 후방 및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 이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 상기 제3 연장부의 일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바 및 상기 수직 지지바의 말단에 설치된 겨드랑이 받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연결바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는 좌우로 이동되어 서로에 대한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제3 연장부 사이에 탄성수단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3 연장부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3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직 지지바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교정기는 보행 장애인의 자세 균형 재활 훈련 시 보행 장애인의 양팔로 신체를 지지하는 한편 보행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교정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 장애인의 직립보행을 유도하고 보행 장애인이 자신의 보행 패턴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양팔과 양 겨드랑이로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피로감을 완화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가 장착된 보행 교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의 수직 지지바와 겨드랑이 받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술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청구항들에 대한 토대 및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를 교시하기 위한 토대로서 기술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교정기의 본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의 수직 지지바와 겨드랑이 받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교정기는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 교정기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캐스터(11),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 상기 복수의 캐스터(11)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13, 14),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바(15, 16),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바(17, 18)를 포함한다.
상기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13, 14)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바(15, 16)는 측방 프레임들에 강성을 부여하고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바(17, 18)는 소정의 반경을 가지며, 특히 상부 연결바(17)는 본체(10) 전방으로의 사용자의 과도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연결부(18)보다 작은 반경을 갖거나 또는 직선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부 연결바(17)의 구성을 위해, 상부 연결바(17)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적절한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측방 프레임(13, 14)의 상부 수평바(15) 상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연결바(17) 및 하부 연결바(18)에는 이 연결바들의 좌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의 캐스터(11) 중 상기 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2개의 캐스터는 직진 방향으로의 주행 기능을 가지는 반면, 상기 본체(1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2개의 캐스터는 360°회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보행 교정기의 방향 조정을 용이하게 하며, 제동부에 의해 고정, 이동 정지 및 주행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캐스터(11)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도시되지 않음)는 풋 레버식, 핸들 레버식 등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제동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는 각각, 상기 본체(10)의 후방 및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21, 22; 31, 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21, 22; 31, 3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원통형 몸체,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수평바(15)가 관통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과 원통형 몸체의 외벽을 관통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원통형 본체의 길이방향 상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21)가 본체(10) 후방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 하부에서 상기 제2 연장부(22)가 본체(10) 전방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는 상기 상부 연결바(17) 상에서 좌우로 이동되어 서로에 대한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장착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의 좌우 이동 가능한 구조는 상기 원통형 몸체,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과 원통형 몸체의 외벽을 관통하는 체결공,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를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체결하는 체결나사를 구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의 좌우 이동 가능한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22, 32)의 말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 이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23, 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부(21, 31)와 제3 연장부(23, 33) 사이에 탄성수단(26, 3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탄성수단(26, 36)은 제1 연장부(21, 31)와 제3 연장부(23, 33)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겨드랑이에 대한 쿠션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수단(26, 36)은 스프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연장부(23, 33)에 장착되는 상기 수직 지지바(24, 34)는 상기 제3 연장부(23, 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3 연장부(23, 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직 지지바(24, 34)의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한 구조는 상기 제3 연장부(23, 33)에 외삽되도록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도록 개구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개구된 상측과 하측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체결스크류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방식일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수직 지지바(24, 34)의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한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연장부(23, 33)의 일부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바(24, 3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지지바(24, 34)는 수직 지지바(24, 34)의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한 구조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직 지지바(24, 34)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수직 지지바(24, 34)의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 구조는 내측튜브, 상기 내측튜브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외측튜브 및 상기 외측튜브와 내측튜브를 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링형상의 록클램프를 구비하는 록클램핑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체결공과 체결스크류를 구비하는 체결 스크류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구조들은 전술한 구조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는 상기 수직 지지바(24, 34)의 말단에 설치된 겨드랑이 받침부(25, 35)를 포함한다.
상기 겨드랑이 받침부(25, 35)는 통상적으로 "∪"자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겨드랑이 형태에 따라 소정 반경으로 그 형상을 가변할 수 있는 플렉시블 구조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 장애인의 자세 균형 재활 훈련 시 보행 장애인의 양팔로 신체를 지지하는 한편 보행 장애인의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교정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보행 장애인의 직립보행을 유도하고 보행 장애인이 자신의 보행 패턴이 정상적인 보행 패턴인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양팔과 양 겨드랑이로 신체를 지지함으로써 보행 훈련의 피로감이 완화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경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 본체 11: 캐스터
12: 손잡이부 13, 14: 측방 프레임
15: 상부 수평바 16: 하부 수평바
17: 상부 연결바 18: 하부 연결바
20: 제1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 30: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

Claims (3)

  1. 사용자의 몸이 수용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행 교정기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복수의 캐스터(11),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2) 및 상기 복수의 캐스터(11)의 제동기능을 하는 제동부로 구성되는 보행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좌우측에 나란히 배치된 역 "U"자 형상의 측방 프레임(13, 14);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수평바(15, 16);
    상기 측방 프레임(13, 14)의 전방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바(17, 18); 및
    상기 상부 연결바(17)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는 각각,
    상기 본체(10)의 후방 및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21, 22; 31, 32);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연장부(22, 32)의 말단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 이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23, 33);
    상기 제3 연장부(23, 33)의 일부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바(24, 34); 및 상기 수직 지지바(24, 34)의 말단에 설치된 겨드랑이 받침부(25, 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겨드랑이 교정 받침대(20, 30)는 좌우로 이동되어 서로에 대한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연장부(21, 31)와 제3 연장부(23, 33) 사이에 탄성수단(26, 3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3 연장부(23, 33)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바(24, 34)는 상기 제3 연장부(23, 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직 지지바(24, 34)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기.
KR1020170033710A 2017-03-17 2017-03-17 보행 교정기 KR10183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10A KR101839501B1 (ko) 2017-03-17 2017-03-17 보행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10A KR101839501B1 (ko) 2017-03-17 2017-03-17 보행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501B1 true KR101839501B1 (ko) 2018-03-16

Family

ID=6191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10A KR101839501B1 (ko) 2017-03-17 2017-03-17 보행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5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79A (ko) * 2017-12-26 2019-07-04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20210112833A (ko) * 2020-03-06 2021-09-15 인양희 수동 보행 보조 장치의 운영방법
KR102433596B1 (ko) * 2021-10-21 2022-08-18 김현성 척추 음압 보행이 가능한 보조기구
CN116211661A (zh) * 2023-03-19 2023-06-06 佳木斯市中心医院 一种行走训练器
WO2024007680A1 (zh) * 2022-07-06 2024-01-11 法罗适(上海)医疗技术有限公司 多体位上下肢康复训练助行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79A (ko) * 2017-12-26 2019-07-04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102106829B1 (ko) 2017-12-26 2020-05-06 양영봉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KR20210073159A (ko) * 2019-12-10 2021-06-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102295864B1 (ko) 2019-12-10 2021-08-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20210112833A (ko) * 2020-03-06 2021-09-15 인양희 수동 보행 보조 장치의 운영방법
KR102367421B1 (ko) 2020-03-06 2022-02-24 임병호 수동 보행 보조 장치의 운영방법
KR102433596B1 (ko) * 2021-10-21 2022-08-18 김현성 척추 음압 보행이 가능한 보조기구
WO2024007680A1 (zh) * 2022-07-06 2024-01-11 法罗适(上海)医疗技术有限公司 多体位上下肢康复训练助行器
CN116211661A (zh) * 2023-03-19 2023-06-06 佳木斯市中心医院 一种行走训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ES2369469T3 (es) Dispositivo para soporte de equilibrio y orientación corporal.
US9486385B1 (en) Compact cantilevered ambulatory assistive device
US5732964A (en) User-propelled steerable apparatus
US10583066B1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djustable walker
US6742523B2 (en) Ambulator and gait harness system
KR20140088757A (ko) 기립 보조형 휠체어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CN106333803B (zh) 一种多用途代步车
JP2014079364A (ja) 歩行訓練補助器
US20160158088A1 (en) Suspension-Based Walking Assistance Aide Apparatus
US4307715A (en) Ambulatory aid
US20010038186A1 (en) Rolling crutch with braking means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JP2001321404A (ja) 歩行器兼用車椅子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CN209474998U (zh) 一种轮椅
JP3349687B2 (ja) 一輪歩行車
JP2003024398A (ja) 車椅子兼歩行補助具
KR101499011B1 (ko) 보행 보조 장치
KR20170061926A (ko)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KR200484810Y1 (ko) 편마비 환자용 수동형 보행재활 훈련장치
RU26361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ребенка ходьбе (варианты)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