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634B1 - 차량용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634B1
KR101282634B1 KR1020110051696A KR20110051696A KR101282634B1 KR 101282634 B1 KR101282634 B1 KR 101282634B1 KR 1020110051696 A KR1020110051696 A KR 1020110051696A KR 20110051696 A KR20110051696 A KR 20110051696A KR 101282634 B1 KR101282634 B1 KR 10128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d
pedal arm
bent
ped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165A (ko
Inventor
최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1005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6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페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페달장치는: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페달암과, 페달암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돌기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탑승자의 발과 접촉되는 패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장치{PEDAL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은 감소되고 구조강성은 증대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바퀴에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 페달과, 주행중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을 수행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이 설치된다.
이러한 페달들은 일단부가 차체에 구비된 힌지축에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며, 운전자의 발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페달은, 변형 방지를 위해 두꺼운 강판이 적용되어 중량이 많이 나가며, 구조강성이 약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하므로 작동 신뢰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중량은 감소되고 구조강성은 증대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는: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페달암과, 페달암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돌기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탑승자의 발과 접촉되는 패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페달암은,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 및 힌지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달암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돌기는, 연장부재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부는, 탑승자의 발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패드본체와, 패드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 및 안내홈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부는, 패드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찰부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부는, 패드본체에서 연장되어 페달암의 절곡된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는, 패드본체의 상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는, 페달암이 절곡 형성되므로, 중량은 감소되고 구조강성은 증대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가 페달암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차량용 페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1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제2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가 페달암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1)는, 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페달암(20)과, 페달암(2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0) 및 가이드돌기(30)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탑승자의 발과 접촉되는 패드부(40)를 포함한다.
페달암(20)이 힌지 연결되는 본체부(10)는 차량에 고정되며, 본체부(10)에서 측정된 페달암(20)의 회전 각도는 차량의 제어부(도시생략)로 전송된다.
이러한 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되는 페달암(20)은,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갖으므로, 구조강성은 향상시키고 재료비는 절감할 수 있다.
페달암(20)은, 판 형상이 절곡되어 본체부(10)와 패드부(40)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암(20)은, 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22) 및 힌지연결부(22)에서 연장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재(24)를 포함한다.
힌지연결부(22)가 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힌지볼트(12)의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힌지연결부(22)는 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된다.
페달암(20)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절곡되므로, 페달암(20)의 측면 강성이 보강되며, 적은 재료비로도 페달암(20)에 필요한 구조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연장부재(24)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은 운전석 방향(도 1기준 좌측방향)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운전석의 반대 방향(도 1기준 우측방향)을 향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24)는, 가운데의 오목한 부분을 향하여 경사면(26)이 형성된다.
페달암(2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0)는, 패드부(40)가 슬라이드 장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기(30)는, 연장부재(24)의 하부(이하 도 2기준)에서 양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30)에 패드부(40)가 슬라이드 장착되어 탑승자의 발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40)는, 탑승자의 발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패드본체(42)와, 패드본체(42)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가이드돌기(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46) 및 안내홈부(46)의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재(48)를 포함한다.
안내홈부(46)는, 가이드돌기(30)가 이동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패드본체(42)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된다.
안내홈부(46)의 하부(도 5기준 우측)를 통해 가이드돌기(30)가 삽입되며, 이러한 가이드돌기(3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안내홈부(46)의 상부(도 5기준 좌측)에는 차폐부재(48)가 설치된다.
이러한 패드부(40)는, 패드본체(42)의 외측에 코팅으로 설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재(44)를 포함한다.
마찰부재(44)는, 탑승자의 발이 패드부(40)를 가압하는 경우, 마찰을 발생시켜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재(44)는 고무를 포함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재(24)의 오목한 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 이러한 이물질이 패드부(40)와 연장부재(24)의 사이로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하여, 패드부(40)의 상측에 커버부재(49)가 설치된다.
커버부재(49)는, 패드본체(42)에서 연장되어 페달암(20)의 절곡된 내측에 접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부재(49)는, 패드본체(42)의 상측(도 4기준)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므로, 연장부재(24)를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이 커버부재(49)의 외측을 따라 패드부(40)의 외측으로 흘러내린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볼트(12)의 체결로 인해, 페달암(20)의 힌지연결부(22)는 본체부(10)에 힌지 연결되며, 페달암(20)의 오목한 부분은 운전석 방향(도 1기준 좌측방향)을 향하여 설치된다.
가이드돌기(30)의 상측(이하 도 2기준)이 안내홈부(46)의 하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패드부(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돌기(30)의 상측이 차폐부재(48)에 접하여 패드부(40)의 이동이 구속된다.
패드부(40)의 상측(이하 도 3기준)으로 돌출된 커버부재(49)가 경사면(26)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페달암(20)의 경사면(26)을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은 커버부재(49)의 외측을 따라 이동되어 패드부(40)의 외측으로 낙하된다.
페달암(20)의 연장부재(24)가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 형상이므로, 종래에 사용되는 바(BAR)에 비하여 두께는 축소되고 단면적은 증대되므로, 페달암(20)의 구조강성이 증대된다.
한편, 페달암(20)의 오목한 부분이 운전석의 반대 방향(도 1기준 우측방향)으로 설치된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장치(1)는, 페달암(20)이 절곡 형성되므로, 중량은 감소되고 구조강성은 증대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페달암(20)이 절곡 형성되어 측면에 대한 굽힘 강성이 증대되므로,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는 차량용 페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가 아닌 다른 운송장비에 사용되는 페달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페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페달장치
10: 본체부 12: 힌지볼트
20: 페달암 22: 힌지연결부
24: 연장부재 26: 경사면
30: 가이드돌기 40: 패드부
42: 패드본체 44: 마찰부재
46: 안내홈부 48: 차폐부재
49: 커버부재

Claims (9)

  1.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며, 절곡된 형상의 단면을 갖는 페달암;
    상기 페달암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탑승자의 발과 접촉되는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탑승자의 발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패드본체;
    상기 패드본체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
    상기 안내홈부의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재; 및
    상기 패드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페달암의 절곡된 내측에 접하여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은, 상기 본체부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힌지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암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연장부재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본체의 외측에 코팅으로 설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패드본체의 상측에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장치.
KR1020110051696A 2011-05-30 2011-05-30 차량용 페달장치 KR10128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6A KR101282634B1 (ko) 2011-05-30 2011-05-30 차량용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96A KR101282634B1 (ko) 2011-05-30 2011-05-30 차량용 페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5A KR20120133165A (ko) 2012-12-10
KR101282634B1 true KR101282634B1 (ko) 2013-07-12

Family

ID=4751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96A KR101282634B1 (ko) 2011-05-30 2011-05-30 차량용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6521B2 (en) * 2016-02-02 2021-05-25 Bentley Motors Limited Pedal cap and support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24B1 (ko) * 2015-12-09 2018-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강부재가 포함된 차량용 페달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425U (ko) * 1987-07-10 1989-01-19
KR19990026955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차량의 조작페달 높이 조절구조
KR200148196Y1 (ko) 1994-09-28 1999-06-15 정몽규 페달패드
US20040144199A1 (en) * 2002-11-27 2004-07-29 Advics Co., Ltd. Pedal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425U (ko) * 1987-07-10 1989-01-19
KR200148196Y1 (ko) 1994-09-28 1999-06-15 정몽규 페달패드
KR19990026955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차량의 조작페달 높이 조절구조
US20040144199A1 (en) * 2002-11-27 2004-07-29 Advics Co., Ltd. Pedal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6521B2 (en) * 2016-02-02 2021-05-25 Bentley Motors Limited Pedal cap and suppor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65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4014B2 (ja)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US8701521B2 (en) Pedal device for motor vehicle
KR20150052281A (ko) 자동 이륜차의 브레이크 캘리퍼 배치 구조
KR101282634B1 (ko) 차량용 페달장치
JP4118129B2 (ja) 自動車用ペダル構造
JP4946706B2 (ja) ペダル装置
WO2013186953A1 (ja) 車両
US9090161B2 (en) Structure of vehicle operation pedal
JP6197748B2 (ja)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構造
JP2009251674A (ja) ブレーキ装置
JP3778704B2 (ja) 車両用ペダル下方のフロア構造
US20240182004A1 (en) Support structure for brake lever, and off-road vehicle
JP3135873U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
KR101356154B1 (ko)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JP5609618B2 (ja) 運転者操作装置
KR101710375B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KR101558787B1 (ko) 가변 스톱퍼를 이용한 핸드 파킹레버
JP6064463B2 (ja) 操作ペダルの取付構造
JP3895526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用ペダルの支持構造
JP3015074U (ja) アクセルセットブレーキペダル
CN110641278A (zh) 一种汽车离合器踏板辅助件
CN202782721U (zh) 一种汽车空调面板的加强结构
KR101393840B1 (ko) 차량의 페달조작기구
JP491005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H0558443U (ja) 産業車両の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