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42B1 -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942B1
KR101281942B1 KR1020057014793A KR20057014793A KR101281942B1 KR 101281942 B1 KR101281942 B1 KR 101281942B1 KR 1020057014793 A KR1020057014793 A KR 1020057014793A KR 20057014793 A KR20057014793 A KR 20057014793A KR 101281942 B1 KR101281942 B1 KR 10128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trimming
product
flexible member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210A (ko
Inventor
안젤로 벤베누티
마리오 지오니 치오쳇티
마우로 겔리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7003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83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11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web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4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work feed 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74Including means to divert one portion of product from an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74Including means to divert one portion of product from another
    • Y10T83/2081Gravity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83Product mover including grippe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22With receptacle or support for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장치는 서로 정렬된 일련의 제품(R,R1,RN)에 대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를 운반하는 연속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의 섹션에는 꼬리 트리밍(Rc) 및 헤드 트리밍(Rt)을 떨어트릴수 있도록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다. 또한,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와 평행하게 일련의 제품(R,R1,RN)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는 상호 간의 위치는 가요성부재의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접촉해서 일련의 제품(R,R1,RN)을 나아가게 한다. 푸셔(11)에 의해 가요성부재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의 사이에 각각의 꼬리 트리밍(Rc) 및 헤드 트리밍(Rt)을 가진 일련의 제품(R,R1,RN)을 삽입한다. 가요성부재(23)는 가변성속도로 제어되어 2개의 연속한 일련의 제품의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 트리밍(Rc)의 레벨로 적시에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을 운반한다.

Description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 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NG TRIMMINGS FROM SERIES OF PRODUCTS, SUCH AS ROLLS OR THE LIKE}
본 발명은 종이 등의 감기웨브재의 롤의 제품, 예를 들면, 더욱 긴 롤 또는 "로그"를 몇개의 부분으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된 화장실 티슈, 키친타올 등 롤을 제조하는 제품에 있어서, 스크랩(scraps) 또는 단부의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일련 또는 행의 제품으로부터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화장실 티슈, 키친타올 등과 같은 감기웨브재의 롤의 제조는, 최종롤과 동일 직경이지만 사용하기 위해 정해진 롤 보다 매우 긴 길이의 원래의 롤인 로그를, 몇 개의 부분으로 절단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소망하는 길이의 롤을 얻기 위하여, 절단기계에 의하여 로그는 몇 개의 부분으로 절단된다. 이 동작 중, 로그의 양단에서 헤드 트리밍과 꼬리 트리밍, 또는 스크랩이 제조되어, 단부의 재료의 일부가 흔히 파손되고 어떤 경우에는 불규칙하게 감겨서 버려진다. 초기 웨브재의 폭이 롤의 높이의 정확한 배수가 아닌 경우라도, 트리밍을 절단함으로써, 소망하는 축길이의 롤을 또한 얻는다.
이들 스크랩 또는 트리밍은 패키징 또는 래핑되기 이전의 제조라인으로부터 제거되서, 필요한 경우, 래핑기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또는 재료를 리사이클링하기 위해, 회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기계가 이들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몇개의 기계는, 공기흡인장치를 사용해서 트리밍이 떨어지는 동안 롤을 유지하는 처리를 이용한다. 이 타입의 시스템에 대하여 EP-A-607761호 및 US-A-54580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트리밍은, 벨트컨베이어에 의하여 유지되지 않으면서 흡착벨트를 가진 컨베이어가, 상부로부터의 롤에 맞물려지고, 중력의 결과로서, 롤이 공급컨베이어와 운반컨베이어 사이의 영역에 떨어진다.
WO-A-0162635호는, 상부로부터 롤을 유지하고 장치를 통하여 롤을 전진하게 하는 가요성흡착부재의 이용에 의거하여 트리밍을 제거하지만, 가요성부재의 흡착되지 않는 영역이, 롤의 각열의 헤드 트리밍과 꼬리 트리밍의 레벨에서 위치결정되는 장치에 대하여 또한 개시하고 있다.
GB-A-2137918호에는, 서로 정렬된 제품에 대하여 일련의 접촉성부재를 가진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로 이루어지고, 로그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일련의 롤로부터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의 섹션은 접촉성부재가 없어서 트리밍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부재는 평탄벨트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가요성부재의 전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벨트는 제품에 대한 길이방향지지체요소로 이루어진다. 제품은 가요성부재의 접촉성부재와 원활한 벨트에 접촉하여 이동한다. 롤과 트리밍은, 접촉성부재를 가진 가요성부재와, 평탄한 벨트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따라서, 트리밍을 제거하기 위해 장치의 상류에 배치된 체인 또는 벨트컨베이어와 결합된 일련의 푸셔에 의해 밀리게 된다. 트리밍은, 연속적인 가요성부재가 접촉 또는 지지부재가 없는 영역에 있어서, 트리밍이 지지체를 갖지 않으며 중력의 결과로서 떨어진다는 사실 때문에 제거된다. 롤을 지지하고 트리밍을 떨어지게 하기 위해, 접촉성부재로 형성된 가요성부재는 연속적인 로그 사이의 거리만큼 증가된 로그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 연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장치는 매우 부피가 커지고, 길이가 다른 제품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효율적이지만 취급하기 위해서 상이한 치수의 롤과 로그를 적합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지 않다.
US-A-4,265,361호에, 적합한 길이에서 위치결정되는 일련의 결합부재로부터 이탈하기 위하여 충분히 작은 크기의 모든 롤이, 라인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하는, 트리밍을 제거하는 다른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WO-A-9732804호에는, 헤드 및 꼬리 스크랩 또는 트리밍을 삭제하는 시스템이 본질적으로 롤컨베이닝라인에 있어서 세 개의 상이한 섹션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제1섹션은, 가이드 또는 채널을 따라서 절단기계로부터 공급된 롤을 밀어내는 푸셔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섹션은 롤의 통로 아래에 배치된 2개의 구동 컨베이어 벨트의 동시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은 롤을 지지해서 운송을 하기 위해 구비한다. 푸셔는 이러한 제 2색션에 또한 배치하며, 롤을 운송하지 않지만, 두개의 벨트에 의하여 운송되며, 그것과 결합된 체인에 의하여 후퇴하기 전 이러한 제2섹션의 부분을 따라서 이동한다. 롤의 통로의 제2섹션의 2개의 벨트는 길이가 상이하며 고정된 지지체를 형성하는 바(bar)는 좀 더 짧은 벨트에 인접하여 위치결정된다. 바는 두 개의 벨트보다 큰 높이이며, 벨트중 하나는 바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트리밍은 이러한 제3섹션에서 폐기된다.
IT-B-01292359호는, 패키징하는 롤의 예정된 축치수와 트리밍의 축치수 사이의 차이에 의거하는, 절단롤의 행(row)들로부터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롤과 트리밍은 두개의 평행벨트수단에 의하여 구성된 컨베이어라인에 배치되고, 서로 조정 가능한 거리에 위치결정되며,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속도로 진행한다. 2개의 벨트수단의 상호 호환적거리는 롤의 축치수와 동등하므로 트리밍의 축치수 보다 크다.
따라서 트리밍의 감소된 축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양 벨트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지지체의 결핍에 의해 트리밍을 하부 벨트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트리밍을 제거한다. 동작하기 위하여, 장치는, 롤과 트리밍이, 2개의 중첩벨트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로 공급되고, 전복되므로 그들의 평탄면 중 하나에 놓여지는 것이 필요하다. 롤과 트리밍(또는 적어도 트리밍)이 절단기계로부터 운송되는 위치, 즉 그들의 축이 공급통로에 평행하므로 2개의 벨트에 평행하는 위치에서 공급되는 경우 장치는 작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장치의 상류측은 롤 및 트리밍, 또는 적어도 트리밍을 전복하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유사한 문제점은 좀 더 큰 치수의 반제품을 절단함으로 얻은 열 또는 행의 제품으로부터 또는 단순한 경우라도 생산라인을 따라서 진행하는 일련의 제품 또는 제조된 제품으로부터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는 다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가 제한되고, 높은 동작속도로 단순하고 또한 신뢰성있고, 절단된 롤의 상이한 직경과 축치수 및, 가변성 개수의 롤로 이루어진 일련의 제품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합할 수 있는, 정렬된 일련의 롤에 있어서, 스크랩, 또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더욱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라인을 따라서 진행하는 일련의 물품 또는 제품, 특히(그것으로 제한하지 않지만), 절단로그로부터 얻은 일련의 롤 등으로부터의 스크랩 또는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제품, 특히 십자형으로 로그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일련의 롤로부터의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유효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제품을 지지하는, 접촉성요소 또는 지지체요소, 또는 접촉성부재 또는 지지체부재를 구비한 가요성부재 또는 컨베이어, 및 가요성부재의 분기부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길이방향지지체요소로 이루어지며, 특징적으로 상기 가요성부재는 가변속도로 제어되며 길이방향지지체요소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치와는 반대로, 예를 들면, GB-A-2137918호에 있어서, 장치는 부재의 기계적구성을 조정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개조없이 일련의 가변길이의 제품 및 가변치수의 일련의 제품에 용이하게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가요성부재의 진행속도만이 조정될 필요가 있다.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가요성부재는,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섹션을 연속적인 일련의 제품의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의 위치의 레벨에 운반하도록 적합하게 동기하게 할 수 있다. 일련의 제품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및/또는 하나의 일련 또는 다음의 일련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 가요성부재의 진행속도의 주기적인 가변을 설정함으로써, 취급될 제품에 대한 일련의 접촉성부재의 결여영역은 각열의 헤드 트리밍과 꼬리 트리밍의 위치에 관련하여 동기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요성부재는, 장치의 전체치수에 관하여 이점을 가지며, 탄력성이 크고 다양한 제품의 치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일련의 제품(예를 들면, 로그로부터 절단된 일련의 롤) 보다 길이에 있어서 매우 짧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형성하는 가능한 구성에 의하면, 그 타입의 장치는; 서로 정렬된 일련의 제품에 대한 일련의 접촉성부재를 운반하는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연속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의 섹션에는 트리밍을 떨어뜨릴 수 있도록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고; 상기 일련의 제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속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지지체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의 상호 위치는 일련의 제품이 가요성부재의 일련의 접촉성부재 및 길이방향지지체요소와 접촉해서 진행하고; 각각의 트리밍을 가진 일련의 제품을 상기 가요성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푸셔를 구비한다. 특징적으로, 가요성부재는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섹션을 운반하도록 2개의 연속적인 일련의 제품의 꼬리 트리밍 및 헤드 트리밍의 레벨로 시간마다 가변속도에 의하여 제어된다. 길이방향지지체요소는 고정되며 일련의 제품이 그 위를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조체를 간략화시키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며 실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 1은 장치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1a는 도 1에 있어서 A를 상세하게 확대한 도면;
도 2는 장치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장치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장치의 동작단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V-V를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2개의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롤을 파지하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접촉성부재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재보다 더욱 큰 직경을 가진 롤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주위에 가요성부재를 배치한 한개의 복귀휠의 횡단면을 도시하며, 파지작용을 하는 접촉성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파지작용을 하는 한개의 접촉성부재를 별도로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8의 선(X1-X1)을 따른, 도 9와 유사한 횡단면도;
도 12는 한개의 접촉성부재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속이동 가능한 가요성부재는 적어도 각열의 최종제품을 잡아서 나아가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각열의 최초제품을 잡아서 나아가게하기 위하여 설계된 적어도 최초접촉성부재도 구비된다. 각열의 최종제품을 잡기위하여 설계되지 않은 중간접촉성부재는, 낮은 마찰계수로 제품에 접촉해서 지지부재인 접촉성부재 관해서 상기 제품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하다.
가요성부재는 적어도 최종제품을 그 후방의 푸셔에 관하여 가속하기 위하여 가변성속도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의하면, 가요성부재는 가속하기 위하여 가변속도로 제어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어지는 제품에 관하여 각열의 적어도 최초 제품을 연속적으로 감속시킨다.
소형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요성부재를 저속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각열의 최초 제품의 도착과 최종제품의 도착 사이에 시간의 간격 동안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품은, 상기 시간의 간격 동안 접촉성부재에서 정지하는 동안 가요성부재를 따라서 푸셔에 의하여 밀려서 슬라이딩한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최종제품에 대하여 그것과 접촉해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최종접촉성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그것과 함께 접촉하는, 최종제품에 파지작용을 가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이러한 용량을 구비한 맞물린 요소는 가요성부재를 따라서 배치된 최종 맞물린 요소이며, 상기, 맞물린 제품은, 꼬리 트리밍을 앞서서, 로그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롤의 행 중 최종롤 등의 각열의 일련의 제품의 최종제품과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꼬리트리밍으로부터, 장치를 따라서 롤의 행 또는 열 또는 다른 제품을 밀어내는 푸셔로부터 멀어져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최종롤을 가속할 수 있다. 이것은, 한쪽에서는 꼬리트리밍이 앞과 뒤쪽에 있어서 지지되지 않으므로 길이방향지지체요소로부터 떨어지고, 다른 쪽에서는 체인 또는 벨트의 복귀휠이 회전할 수 있고, 그곳에 탑재되는 푸셔로부터 롤이 떨어지게 해서 복귀하고, 이어지는 일련의 제품이 확실하게 맞물리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셔에 의하여 이미 삽입된 일련의 제품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고 꼬리 트리밍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종제품 또는 일련의 롤에 대한 파지작용을 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인접한 접촉성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전한 유지, 즉 최종롤을 가속화하기 위해 개량된 이동제어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부재에 의하여 운반되는 일련의 접촉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는 또한 압력을 이용해서 제품을 파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게다가, 이것 또는 이들의 다른 접촉성부재는 각행 또는 각열의 최초 제품, 즉 헤드트리밍의 바로 뒤의 제품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최초롤에 대한 파지작용은 최초롤이 가속되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계속하여 감속되게 하고, 최초접촉성부재의 지지체를 제거함으로써 전복되어 떨어져서 제거되도록 헤드트리밍에 일종의 추력 또는 충격이 주어진다.
예를 들면, 최초제품 및 최종제품을 잡기위하여 동작할 수 있는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는, 적어도 상기 가요성부재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련의 제품이 운반되는 가요성부재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또는 그 대신, 이들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 부재의 각각은, 가요성부재에 관하여 이동가능한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 최초접촉성부재 또는 최종접촉성부재, 또는 이동가능한 요소는, 파지해야 하는 최초제품 및 최종제품에 대하여 가압되서 이동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지지체요소를 향하여 이동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최초롤 및 최종롤에 대한 파지작용을 하는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는, 고정된 제어프로파일이 작용하는, 이동가능한 부분 또는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요소는 상기 고정된 제어프로파일과 접촉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가요성부재가 제어프로파일을 따라서 진행하는 동안, 제어프로파일에 의하여 동작하는 이동가능한 부분을 구비한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는 공급부로서 이동가능한 부분에 대하여 캠(cam)으로서 작용하는 제에프로파일과 함께 연동하며, 파지되는 최초제품 및 최종제품에 대하여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을 밀어낸다. 제어프로파일은, 최초롤 및 최종롤을 잡기위하여 필요한 통로의 섹션에 제한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에 의한 최초롤 및 최종롤을 파지할 때 특히 유리해서 엑츄에이터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와 캠으로서 작용하는 고정된 형상의 제어프로파일을 운반하는 가요성부재의 단순한 이동에 의해 얻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특수한 엑츄에이터 수단으로 최초롤 및 최종롤을 잡는 다양한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별도로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그 결과 일련의 접촉성부재를 이동하는 동안 이들 최초접촉성부재 및 최종접촉성부재에 전력공급의 필요성이 있어서 더욱 복잡해 진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부재와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가, 가요성부재 아래에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가 있는 상태로, 서로 거의 수직으로 중첩된다.
이들 구성성분의 방해없이 가요성부재와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로 푸셔가 진입하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푸셔가,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와 가요성부재 사이에 일련의 제품을 밀어넣는 경우, 푸셔는,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가 관통하는 슬롯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롤을 취급하는 또 다른 벨트 또는 다른 부재를 구비할 필요없이, 특히 간단하고 소형화된 장치를 얻을 수 있게한다.
가요성부재에 의하여 운반되는 접촉성부재는, 유리하게는 낮은 마찰계수로 제품을 취급하는 접촉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성부재에 의하여 파지되는 제품을 슬라이딩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제품은 접촉성부재에 관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면, (일련의 제품용의 일련의 접촉성부재와,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용의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가요성부재의 영역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요성부재가 감속되고 제품이 그 후방 푸셔의 밀어내기 하에서 가요성부재에 관해서 나아가는 경우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도,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취급되는 제품과 적어도 가장자리를 따라서 접촉한다. 예를 들면, 테프론(Teflon)과 유사한 제품 또는 다른 유사제품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정렬된 일련의 제품으로부터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련의 제품은, 일련의 접촉성부재를 구비한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 사이에서 푸셔에 의하여 밀려서, 일련의 접촉성부재는 가요성부재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 사이에 진행하는 일련의 제품을 지지하며, 가요성부재는, 일련의 제품의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의 레벨에서 상기 헤드 트리밍 및 상기 꼬리 트리밍을 떨어뜨리기 위해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섹션을 구비한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를 따라서 상기 일련의 제품을 슬라이드하면서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를 유지하는 방법과; 가요성부재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열의 적어도 최종제품이 가속화 되어서, 상기 푸셔로부터 상기 일련의 제품을 멀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정렬된 일련의 제품으로부터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련의 제품은 일련의 접촉성부재를 구비한 연속이동가능한가요성부재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 사이에서 푸셔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는 상기 가요성부재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 사이에서 진행하는 일련의 제품에 접촉하며, 상기 가요성부재는 상기 일련의 제품의 헤드 트리밍과 꼬리 트리밍의 레벨에서 상기 헤드 트리밍 및 상기 꼬리 트리밍을 떨어뜨리기 위해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섹션을 구비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가요성부재가 가변속도로 제어되어 두개의 연속적인 일련의 제품의 헤드 트리밍과 꼬리 트리밍의 레벨로 시간마다 일련의 접촉성부재가 없는 상기 가요성부재의 섹션을 운반하며, 또한, 가요성부재는, 일련의 제품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방법의 바람직한 특징과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개시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도 5에 있어서의 단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장치(1)는 단지 개략적으로 표시된 절단기계(3)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블레이드(T) 또는 밴드 톱(band saw) 등의 다른 동등한 절단부재로 이루어지며, 상당한 길이의 로그(L)를 완성제품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일련의 롤(R,R1,RN)로 분할한다. 절단기계(3)는, 장치(1)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각각의 로그(L)에 대한 헤드트리밍(Rt)과 꼬리트리밍(Rc)를 형성하고, 일련의 롤(R,R1,RN)은 운송컨베이어(7)로 운반되어야 하며, 그리고 운송컨베이어(7)은 공지된 타입의 도시하지 않은 포장기계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러한 타입의 절단기계의 타입은 공지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절단기계(3)는 1개 이상의 채널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는, 단 2개의 인접채널을 도시하며(도 5), 평행인 일련의 롤과 로그는, 먼저, 절단기계(3)에 의하여 동시에 절단된다. 가변개수의 채널의 배치는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공지되어 있으며 더 이상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이하에서, 통상적으로 하나의 채널에 대해서 고려하면, 각각의 채널은 트리밍을 제거하고 로그와 절단할 롤을 진행시키기 위해서 유사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인접한 채널이 형성되는 경우, 다양한 채널을 따른 로그(L)와 푸셔(11)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으며(공지의 방법으로) 절단기계의 블레이드(T)의 이동에 관하여 위치를 최적화한다.
절단기계(3)에 의하여 각각의 로그(L)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일련의 롤(R,R1,RN)은, 체인(13) 또는 다른 적합한 가요성부재에 접속된 각각의 푸셔(11)의 밀기하에서 가이드(9)를 따라서 진행한다. 몇개의 푸셔(11)는, 공지된 레이아웃에 의하여, 적합한 위치에서 체인(13)에 고정된다. 또한 이들은 절단기계(3)를 통하여 로그(L)를 전진시키는데 이용된다. 체인(13)은 도 1 내지 도 4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 중 하나이며 (15)로 표시되는 복귀휠의 주위를 주행한다. 이들 복귀휠(15)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터(17)에 의하여 구동되어 제어부(19)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된다. 모터(17)와 제어부(19) 양자는 더욱 명백하고 단순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만 도시된다.
체인(13)과 운송컨베이어(7) 사이에 배치된 것은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이며, 박판구성을 가지며 수직평면에 따라서 배치된다. 일련의 롤(R,R1,RN)이 슬라이드하는 라운드된 상부가장자리(21A)는, 이하에 설명된 방식으로, 운송컨베이어(7)를 향하여 나아간다. 도 5에서 특히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얇은 부분(21B)을 갖도록, 절단기계(3)를 향하는 단부에서 형상화되고, 푸셔(11)에 형성된 슬롯 또는 슬릿(11A)을 관통한다. 이에 의해 푸셔(11)가 복귀휠(15)의 축을 회전하는 궤도를 따라서 나아가게 하며, 상기 축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아래에 위치한다. 즉,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상기 푸셔(11)를 진행시키고, 그 궤도를 역전시키기 위해 상기 푸셔(11)에 형성된 상기 슬롯(11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길이방향지지체요소 (21)는, 바의 형상을 또한 가지며, 예를 들면, 원형섹션을 가지며, 캔틸레버드에 탑재되며, 절단기계(3)를 향하는 단부는 푸셔(11)에 형성된 슬롯(11A)을 관통하고, 푸셔(11)는 그 궤도를 따라서 이동하게 한다.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거기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 것의 위쪽의 연장부는 가요성부재(23)이며,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이를 가진(toothed) 복귀휠(25)(27)의 주위에서 구동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를 가진 복귀휠(27)은 도 1에 있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모터(28)에 의하여 동력화되며, 제어부(19)로 인터페이스된다. 모터(17)와 꼭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목적을 위하여, 모터(28)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가변속도모터이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서로 인접해서 가요성부재(23)의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고, 장치(1)에 있어서, 일련의 롤(R,R1,RN)이 진행하기 위한 지지체를 형성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특별히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8B)는, 3개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3개의 최종접촉성부재(29B)를 제외하고는 단순한 V자 형상체로 구성되며, 여기서 V자 형상의 표면(29S)은 롤(R)의 상부표면과 접촉한다.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운반되는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의 단부부재를 구성하는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는,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가요성부재(23)의 부분 또는 섹션의 범위를 정한다. 이러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은 푸셔(11),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트리밍(Rc)의 위치에 관하여 동기화되어, 각열의 롤의 트리밍은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레벨에서 항상 위치결정된다.
각각의 단부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는 V자 형상의 브라켓(31)에 의하여 구성된 이동 가능한 부분 또는 요소를 구비하고, 또한, 고무 등과 같이 변형될 수 있는, 높은 마찰계수를 가진 재료로 도포되거나 이루어진다. 이러한 브라켓(31)은 V자 형상의 표면(29S)에 형성된 홈내에 통상적으로 내장된다. 상기 각각의 브라켓(31)은 가요성부재(23)의 대향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핀(33)과 결합한다. 탄성요소, 예를들면, 헬리컬압축스프링(35)은 각각의 핀(33)과 관련되어 최초접촉성부재(29A) 또는 최종접촉성부재(29B)에 형성된 관통시트에 형성된 숄더에 반작용하고 상기 핀(33)의 헤드(33T)에 의하여 형성된 보스에 반작용한다. 실제로, 헬리컬압축스프링(35)은, 브라켓(31)이, 그로부터 돌출없이, V자 형상의 표면(29S)에 형성된 시트에서 끌어들인 채로 있게한다.
가요성부재(23)의 하부 블랜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고정된 제어프로파일(37)은, 고정된 캠프로파일(cam profiles)을 형성한 각각의 기울어진 단부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프로파일(37)은, 가요성부재(23)가 제어프로파일(37) 아래로 통과하는 경우, 핀(33)의 헤드(33T)에 대하여 작용하며, 각각의 브라켓(31)이 이하 설명된 목적을 위하여 시트로부터 돌출하게 하는 추력을 생성한다.
상기 설명하는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은, 푸셔(11)에 의하여 밀리는 일련의 롤(R,R1,RN) 중의 최초롤(R1)이 하부의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운반된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접촉하는 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1A에 상세하게 관찰된 바와 같이, 이들 최초접촉성부재(29A)는 제어프로파일(37)에 의하여 하류측에서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초롤(R1)은 최초접촉성부재(29A)에 의하여 확실히 파지되며, 특히 그 브라켓(31)에 의하여 더욱 확실히 파지된다. 이에 의해 가요성부재(23)를 돌연 가속하게 하여 화살표(F)를 따라서 최초롤(R1)이 앞쪽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보장한다. 실제, 도 1에 있어서, 최초롤(R1)은 이 최초롤(R1)에 이어지는 롤(R)로부터 약간 분리되는 것을 도시하고, 이러한 최초롤(R1)은, 푸셔(11), 즉 모터(17)에 의해 상기 최초롤(R1)과 이 최초롤(R1)에 이어지는 롤(R)에 주어지는 속도에 대하여 가속되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실질적인 사실에 있어서, 가속은 도 1에 표현된 순간에 관하여 지연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모든 3개의 최초접촉성부재(29A)가 최초롤(R1)을 확실하게 잡은 후에만 주어질 수 있다. 최초롤(R1)의 상류측의 롤(R)은 접촉성부재(29)에 의하여 당겨질 수 있거나 또는 그것에 관하여 상기 접촉성부재(29)의 V자 형상의 표면(29S)의 마찰계수가 낮은 사실에 의해 슬라이드 한다. 그것을 나타내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주어진 가속도는 오직 최초접촉성부재(29A)에 의하여 파지된 최초롤(R1) 만을 가속시킨다고 가정하였다.
푸셔(11)에 의하여 밀리는 행 또는 열의 일련의 롤(R,R1,RN) 중 최초롤(R1)의 가속은, 헤드트리밍(Rt)의 전진도 가속시킨다. 이것은,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가요성부재(23)의 섹션 내에 위치되므로 어떠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헤드 트리밍이 얇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상부 가장자리(또한 라운드됨)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떨어진다. 이에 의해 헤드트리밍(Rt)의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제거를 제공한다. 장치가 고속으로 동작하는 경우라도 제거해야만 된다. 장치의 신뢰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초롤(R1)의 초기가속에 이어서 감속이 행해져서, 헤드트리밍(Rt)의 뒤쪽 지지체가 제거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운반되는 브라켓(31)이 없는 접촉성부재(29)의 V자 형상의 표면(29S)은, 이들 V자 형상의 표면(29S)과 롤(R) 사이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으므로, 푸셔(11)로 밀어내는 상태에서 롤(R)이 진행하는 속도와 다른 속도(높거나 낮은)로 접촉성부재(29)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롤(R)에 관하여, 실제로, 브라켓(31)이 없는 접촉성부재(29)가 배치되어, 상기 롤(R)에 가볍게 접촉하는 것만으로 롤(R)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접촉성부재(29)와 롤(R)이 상이한 속도인 경우라도 접촉성부재(29)가 전진을 방해하지 않고 푸셔(11)의 밀어내기 하에서 롤(R)의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일련의 롤(R,R1,RN)이 통과하는 동안 헤드트리밍(Rt)을 버린 후,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를 운반하는 가요성부재(23)을 감속하거나 적합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접촉성부재(29)는 일시적으로 정지되거나, 또는 각각의 푸셔(11)에 의하여 제품으로서의 롤(R)을 밀어내는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롤(R)의 진행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속으로 진행하고, 롤(R)이 상기 접촉성부재(29)에 정지하는 동안, 롤(R)이 상기 접촉성부재(29)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도 2는 가요성부재(23)에 의해, 푸셔(11)에 의하여 밀어지는 일련의 롤(R,R1,RN)의 최종롤(RN)과 꼬리트리밍(Rc)이 도착하기 직전을 도시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 가요성부재(23)는, 푸셔(11)가 진행하는 속도보다 본질적으로 낮은 속도로 진행할 수 있다. 실제로, 그러나, 도 2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푸셔(11)에 의하여 밀리는 롤(R)이 그 아래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안, 가요성부재(23)도 안정할 수 있다. 이 단계에 있어서 접촉성부재(29)는 가이드로서만 실행하여, 운송컨베이어(7)로 진행하는 롤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이러한 운송컨베이어(7)는, 필요한 경우, 롤(R)이 공급되는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진행하여, 연속하는 롤 사이를 서로 분리되게 형성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종롤(RN)은 마지막 단부의 최종접촉성부재(29B)의 위치에 관하여 지연되고, 이 단계에서 롤(R)과 가요성부재(23)가 동일한 속도로 진행한다면,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만이 최종롤(RN)을 잡는다. 실제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요성부재(23)는 임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롤(R)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진행하므로 최종롤(RN)이 공간을 회복한다.
최종롤(RN)이 단부의 최종접촉성부재(29B)의 위치에 관하여 매우 떨어져서 진행하는 반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이 일어나는 경우, 이들 최종 접촉성부재(29B)는 꼬리트리밍(Rc)을 잡도록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속도를, 다시 한번 규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요성부재(23)가 가속된다.
도 3은, 즉, 꼬리트리밍(Rc)에 인접하는, 최종롤(RN)이 3개의 단부의 최종접촉성부재(29B)에 의하여 잡히는 순간을 표시한다. 가요성부재(23)는 롤의 진행속도로 가속된다. 실제적으로는,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최종제품으로서의 최종롤(RN)을 그 후방의 푸셔(11)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푸셔(11)의 위치와 동기해서 가속되도록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최초제품으로서의 최초롤(R1)을 이 최초롤(R1)에 이어지는 롤(R)로부터 적어도 일시적으로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푸셔(11)의 위치와 동기해서 가속되도록 제어된다.
꼬리트리밍(Rc)의 전체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제거를 보증하기 위하여, 이점에 있어서의 모터(28)는, 가요성부재(23)를 일시적으로 가속되게 해서 푸셔(11)의 진행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도달하게하여, 롤(R) 및 최종롤(RN)은 최종접촉성부재(29B)에 의하여 끌어당겨지고 꼬리트리밍(Rc)와 푸셔(11)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최종접촉성부재(29B)는 브라켓(31)을 구비하고, 제어프로파일(37)의 효과를 통하여 최종롤(RN)을 하부쪽으로 밀어서 가압하여, 상기 최종롤(RN)의 잡기가 보장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가속이 보장된다(최초롤(R1)의 가속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에 의해 최종롤(RN)에 대하여 제어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그것(그리고 그 하류쪽 롤)에 대해서 필요한 가속을 부여하여 꼬리트리밍(Rc)과 푸셔(11)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꼬리트리밍(Rc)은 지지체가 없어지고 떨어져서 제거된다. 또한, 방해 없이 또한, 감속이나 정지 없이 복귀휠(15)의 축의 주위에 있어서 회전궤도를 따라서 푸셔(11)가 이동하여 최종롤(RN)을 멀어지게 한다.
푸셔(11)는 복귀휠(15)의 주위를 구동하는 체인(13)에 의하여 형성된 궤도를 따라서 계속하여 진행하고, 일정한 섹션에 대하여 고정된 길이방향 지지체요소(21)와 평행하게 계속 진행해서 테이퍼된 얇은 부분(21B)이 슬롯(11A)을 관통한다.
가요성부재(23)의 하부 분기부의 전체길이에 대한 제어프로파일(37)의 연장은, 브라켓(31)에 의하여 잡혀지는 최종롤(RN)이 확실하게 신뢰할만한 제어를 하고, 모든 롤을 운송컨베이어(7)에 대해서 확실하게 누른다.
도 6A, 6B 및 7A, 7B는 직경이 심하게 변화하는 경우라도 롤에 의하여 장치를 용이하게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해 업자에게 공지된 구성에 의하여, 가요성부재(23)와 관련된 제어부는 한 쌍의 수직 조절 가능한 측부요소(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도 5는 두개의 상이한 직경을 가진 롤에 대하여 다시 도시하며, 특정한 조정의 필요성없이 동일한 장치에 의하여 취급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롤의 직경이 변화하는 경우, 측부요소(41)는 그것에 의해 지지되는 관련기구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고, 그동안에 롤의 체인(13)과 슬라이딩채널로서의 가이드(9)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이러한 것은 기계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측부요소(41) 상에 접촉성부재(29)의 측면 홈과 연동하는 고정가이드(43)(45)를 형성하며, 가요성부재(23)가 직선형상의 분기부를 따라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설명한 것으로부터, 장치의 중요한 측면의 하나는,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 트리밍(Rc)은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가요성부재(23)의 영역의 레벨에서 위치결정됨에 의하여 제거된다는 사실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련의 롤(R,R1,RN)의 길이가 변하는 경우, 예를 들면, 로그(L)가 형성되는 종이 두께의 폭에 있어서의 변화로 인하여, 조정 또는 설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어떤 구성요소의 재배치도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가요성부재(23)의 진행속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또한, 가요성부재(23)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취급될 일련의 롤(R,R1,RN), 즉, 로그(L) 보다 짧다. 실제로, 상기에서 관찰한 바와 같이,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 트리밍(Rc)는 가요성부재(23)의 부분에 있어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으므로 제거된다. 이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는 최초롤(R1)만을 전방쪽으로 끌어당기는 기능을 갖으며, 헤드트리밍(Rt)의 신뢰성있는 제거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속된 다음 감속되는 것도 관측된다. 이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는 푸셔(11)가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경우, 최종롤(RN)을 밀어내는 기능을 또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요성부재(23)과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는 최종롤(RN)을 또한 가속할 수 있어 꼬리트리밍(Rc)의 언로딩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푸셔(11)로부터의 롤이 거리를 두고 있는 것은 최종롤(RN)을 방해하지 않고 감속하지 않으면서 푸셔(11)가 그 궤도로 역전하게 할 수 있다. 각 행의 최초롤(R1) 및 최종롤(RN)을 끌어당기는 단계와 단계 사이의 간격에 있어서, 가요성부재(23)는 예를 들면, 도 2의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이 단계에서 지지체를 위하여서만 이용되는 접촉성부재(29) 아래에서 롤(R)의 행이 슬라이드한다. 그러므로, 매우 짧은 가요성부재(23),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 것보다 한층 더 짧은 것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을 절감한다. 즉,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킨다. 모터(28)의 속도에서의 변화에 의해, 최초접촉성부재(29A)의 위치를 항상 최초롤(R1)과 동기시키고, 최종접촉성부재(29B)를 최종롤(RN)과 동기해서 복귀할 수 있으므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가요성부재(23)의 영역을 일련의 롤(R,R1,RN)의 꼬리트리밍(Rc) 및 헤드트리밍(Rt)의 위치와 동기해서 복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이용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트림제거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된 절단기계는 도시하지 않는다.
절단에 의한 각각의 로그(L)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일련의 롤(R,R1,RN)은, 체인(13) 또는 다른 적합한 가요성부재에 접속된 각각의 푸셔(11)의 밀기하에서 진행한다. 몇개의 푸셔(11)는, 공지된 레이아웃에 의하여, 적합한 위치에 있어서 체인(13)에 고정된다. 이것들도 절단기계(3)를 통하여 로그(L)가 진행하게 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체인(13)은 복귀휠(15)의 주위에서 구동한다. 이러한 복귀휠(15)은 모터(17)와 동등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제어부(19)와 동등한 제어부와 인터페이스된다. 모터(17)와 제어부(19)의 양자는 더욱 명백하게 하고 단순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도시하지 않았다.
체인(13)과 운송컨베이어(7) 사이에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가 배치되며,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바를 형성한다(도 9 참조). 롤(R)은 운송컨베이어(7)를 향하는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를 따라 슬라이드 한다.
고정된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 상부의 연장은 가요성부재(23)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이가 있는(toothed) 복귀휠(25)(27)의 주위에서 구동되는 한쌍의 체인으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가 있는 복귀휠(27)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가변성 속도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도 1에 있어서의 모터(28)와 유사하고, 모터(17)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9)로 인터페이스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부재(23)를 형성하는 체인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 상부를 수직으로 정렬하지 않는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부재(23)는,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에 관하여 횡방향으로 상부의 옆 위치에 배치되고, 후자는 가요성부재(23)와 수직으로 대칭적인 평면의 옆, 즉, 가요성부재(23)를 형성하는 체인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에 관한 기하학적 평면의 옆에 배치된다. 푸셔(11)는,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옆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푸셔(11)는 가요성부재(23)를 형성하는 2개의 체인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푸셔(11)는 이전의 도면에 있어서 (11A)로 도시한 바와 같은 슬롯으로 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가요성부재(23)의 부분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은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이며, 서로 근접하며, 장치(1)에 있어서, 일련의 롤(R,R1,RN)이 진행하기 위하여 측면지지체를 형성한다. 특히 도 11 및 도 12에서 본 바와 같이,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를 제외한, 모든 접촉성부재(29)는 단순한 플레이트체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핑거(finger)부분을 가지며, (29F)로 표시하며, 롤(R)의 옆표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도 11에서 본 바와 같이, 각각의 롤(R)은 수직핑거(29F)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에 롤이 떨어지지 않고, 상기 2개의 기계적 요소에 의하여 지지하기 위해서 배치된 2개의 점에서 접촉한다. 실제로, 각각의 롤(R)은, 도 8에서 식별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보다 많은 접촉성부재(29)에 의해 한 방향의 측상에서 지지된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의 각각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 슬라이딩 가이드(143)(145)와 맞물리는 2개의 돌출부 또는 부가물(A1)(A2)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 11의 횡단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성부재(29)는 가요성부재(23)를 형성하는 2개의 체인 중 하나에 대해서만 형성되지만, 다른 체인은 상기 접촉성부재(29)가 없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촉성부재(29)를 구비한 체인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로부터 더욱 멀어진다. 이것은 각각의 롤(R)이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에 대향하는 측상에 접촉성부재(29)에 대하여 기대어 있기 때문이다.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운반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의 단부부재를 구성하는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최종접촉성부재(29B)는,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가요성부재(23)의 섹션 또는 부분 범위를 정한다. 이러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은 푸셔(11)와 2개의 이어진 일련의 롤(R,R1,RN)의 꼬리트리밍(Rc) 및 헤드트리밍(Rt)의 위치에 관하여 동기하고, 일련의 롤(R,R1,RN)의 각열의 트리밍은 항상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의 레벨에서 위치결정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최적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는 한 쌍의 조(Jaw)(29X)를 포함하는 그리퍼의 형태로 형성된 형상이다. 각각의 조(29X)는 각각의 슬라이더(29Y)에 힌지된 슈(shoe)(29Z)와 슬라이더(29Y)를 포함한다. 슈(29Z)는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가동부분을 형성한다. 탄성요소, 예를 들면 헬리컬 스프링(C)는 개방위치에서 슈(29Z)를 유지한다(도 9의 상부의 쌍을 이루는 슈(29Z)를 참조). 각각의 슈(29Z)는 돌출부(B)를 또한 구비하며, 최소거리의 위치로 헬리컬 스프링(C)에 의하여 강제로 밀린다(도 9에 있어서 상부의 쌍을 이루는 슈(29Z) 재참조).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의 2개의 슈(29Z)와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2개의 슈(29Z)는 상기 슈(29Z)의 폐쇄동작을 제어하는 고정된 캠프로파일에 의해 제어된다.
각각의 슬라이더(29Y)는 재설계된 (A1)(A2)인 두개의 부가물로 형성되고, 각각 두개의 슬라이딩가이드(143)(145)에서 맞물리며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 사이에 배치된 접촉성부재(29)의 부가물(A1)(A2)(도 11 및 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가요성부재(23)의 하부분기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고정된 제어프로파일(37)이 배치되며, 각각 기울어진 단부부분을 가지며, 고정된 캠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가 상기 제어프로파일(37) 아래를 그것을 따라서 통과할 때, 이 제어프로파일(37)이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각각의 슈(29Z)의 돌출부(B)에 작용하고 탄성요소인 헬리컬스프링(C)의 작용에 대항하여 피봇점(32)을 중심으로 해서 각각의 슈(29Z)를 진동하게 하는 추력을 생성하게 한다. 이에 의해 슈(29Z) 사이에 배치된 최초롤(R1) 및 최종롤(RN)이 상기 슈(29Z)에 의하여 잡히게 한다. 따라서 2개의 단자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각각은, 슈(29Z) 사이에 위치하는 최초롤(R1) 및 최종롤(RN)을 잡기 위하여 핀셋 또는 집게와 매우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의 장치와 매우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각각의 행 또는 일련의 롤(R,R1,RN)의 최초롤 (R1)과 최종롤(RN)은 단자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에 의하여 발휘된 밀어내는 힘에 의하여 잡히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상기 단자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각각 쌍을 이루는 슈(29Z)에 의하여 형성된 핀셋에 의하여 횡방향(橫方向)으로 잡힌다. 각각의 행의 최초롤(R1) 및 최종롤(RN)은, 슬라이드하는 고정된 표면에 대하여 밀어지지 않기 때문에, 확실하고 안전하게 파지되지만 손상되지 않는다. 일련의 롤(R,R1,RN)의 각각이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에 기대는 힘은 단지 일련의 롤(R,R1,RN)의 자신의 무게 만에 의한 것이다.
상부 가요성부재(23)의 가속, 감속, 정지 및 어떠한 속도변화와 동기는 도 1 내지 도 7에 관하여 상기 설명한 바와 근본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한 목적을 갖으며, 장치의 동적인 행동의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
도면은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대하여 순수하게 도시하며, 발명적인 개념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 및 구성을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첨부된 청구항에서의 번호는 이전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비추어서 오로지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치수를 유지하면서, 높은 동작속도로 단순하고 또한 신뢰성있고, 절단된 롤의 상이한 직경과 축치수 및, 가변성 개수의 롤을 함유하는 일련의 제품 대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렬된 일련의 롤에 있어서, 스크랩, 또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처리라인을 따라서 진행하는 일련의 아티클 또는 제품, 특히(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절단 로그로부터 얻은 일련의 롤 등으로부터의 스크랩 또는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련의 제품, 특히 십자형으로 로그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일련의 롤로부터의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을 제거하는 유효하고 신뢰성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Claims (47)

  1. 일련의 제품(R,R1,RN)으로부터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제1부분에서 서로 정렬된 일련의 제품(R,R1,RN)에 대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를 운반하고, 상기 제1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꼬리 트리밍(Rc) 및 헤드 트리밍(Rt)을 떨어트릴 수 있도록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와;
    상기 연속 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평행한, 일련의 제품(R,R1,RN)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상기 연속이동 가능한 가요성부재(23)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사이에서 각각의 꼬리 트리밍(Rc) 및 헤드 트리밍(Rt)을 가지는 일련의 제품(R,R1,RN)을 삽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셔(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는,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와,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중간접촉성부재(29)를 가지며,
    상기 일련의 제품(R, R1, RN)은 상기 연속이동 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 및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접촉하여 진행하고,
    상기 연속이동 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2개의 연속적인 일련의 제품(R,R1,RN)의 꼬리 트리밍(Rc) 및 헤드 트리밍(Rt)의 레벨에 매번마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을 운반하도록 가변성 속도로 제어되며,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요소(21)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각 열의 적어도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각 열의 적어도 최초제품(R1)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각 열의 적어도 최초제품(R1)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몇개의 중간접촉성부재(29)는 제품(R)에 대하여 낮은 마찰계수의 접촉표면(29S)을 구비하고, 상기 제품(R)을 상기 중간 접촉성부재(29)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적어도 각 열의 최종제품(RN)을 그 후방의 푸셔(11)에 대하여 가속하기 위하여 가변성 속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일련의 제품(R,R1,RN) 중 적어도 최초제품(R1)이 이 최초제품(R1)에 이어지는 제품(R)에 대하여 가속되도록,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이어서 감속되도록, 가변속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최초제품(R1)의 도착과 최종제품(RN)의 도착 사이의 시간의 간격 동안 저속으로 진행하거나 또는 정지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시간의 간격동안, 제품(R)이 상기 푸셔(11)에 의하여 밀어져서 중간접촉성부재(29)에서 정지하는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상기 나머지 부분에 인접하고,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운반되는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최초제품(R1)과 접촉해서, 그 최초제품(R1)을 기계적으로 파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최종제품(RN)과 접촉해서, 그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0.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제품(R1) 및 상기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그것들을 운반하는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대하여,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적어도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제품(R1) 및 상기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 접촉성 부재(29A)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접촉성 부재(29B)는, 그것들을 운반하는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대하여,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적어도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2.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제품(R1) 및 상기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설계된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최종접촉성부재(29B)는 이동가능한 부분(31,33,33T)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고정된 제어프로파일(37)은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31,33,33T)을 밀고, 탄성요소(35)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분(31,33,33T)을 상기 고정된 제어프로파일(37)에 접촉해서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수직으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아래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최종제품(RN)을 그 후방의 푸셔(11)로부터 떨어져있게 하기 위해 상기 푸셔(11)의 위치와 동기하여 가속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각 열의 최초제품(R1)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최초제품(R1)에 이어지는 제품(R)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푸셔(11)의 위치와 동기하여 가속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0. 삭제
  2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한 쌍의 평행한 체인을 구비하며,
    각 열의 일련의 제품(R,R1,RN) 중 적어도 최종제품(RN)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두개의 슈(29Z)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슈(29Z)의 파지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한 쌍의 평행한 체인을 구비하며,
    각 열의 일련의 제품(R,R1,RN) 중 적어도 최초제품(R1)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두개의 슈(29Z)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슈(29Z)의 파지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한 쌍의 평행한 체인을 구비하며,
    각 열의 일련의 제품(R,R1,RN) 중 적어도 최초제품(R1)을 기계적으로 파지하고, 그것을 진행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두개의 슈(29Z)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슈(29Z)의 파지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의 두개의 슈(29Z)와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두개의 슈(29Z)는 상기 슈(29Z)의 폐쇄동작을 제어하는 고정된 캠 프로파일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각각의 슈(29Z)는 상기 체인의 각각의 하나에 의하여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의 각각의 슈(29Z)는 상기 체인의 각각의 하나에 의하여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각각의 슈(29Z)는 상기 체인의 각각의 하나에 의하여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제품(R1) 및 상기 최종제품(RN)을 파지하기 위하여 설계된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 및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중 적어도 하나는, 한 쌍의 조(jaws)(29X)를 포함하는 그리퍼(gripper)의 형태로 형성된 형상의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푸셔(11)는,
    상기 푸셔(11)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와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사이에서 일련의 제품(R,R1,RN)을 밀어낼 때,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가 관통하는 슬롯(11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2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은 로그(L)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
  30. 정렬된 일련의 제품(R, R1, RN)으로부터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 트리밍(Rc)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이, 제1부분에서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를 구비한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와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사이에서 푸셔(11)에 의하여 밀어지고,
    상기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는,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와,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와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중간접촉성부재(29)를 가지며,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사이에서 진행하는 일련의 제품(R,R1,RN)과 접촉하고,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의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 트리밍(Rc)의 레벨에서 상기 헤드 트리밍(Rt) 및 상기 꼬리 트리밍(Rc)을 떨어뜨리기 위해,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상기 제1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을 가지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는, 2개의 연속적인 일련의 제품(R,R1,RN)의 헤드 트리밍(Rt) 및 꼬리트리밍(Rc)의 레벨에 매번마다 일련의 접촉성부재(29,29A,29B)가 없는 섹션을 운반하도록 가변성속도로 제어되고,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은 상기 길이방향 지지체요소(21)에 평행하게 진행하며, 상기 푸셔(11)가 상기 일련의 제품(R,R1,RN)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각 열의 적어도 최종제품(RN)은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파지되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에 의하여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를 따라서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이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속도를 변화시켜서 각 열의 적어도 최종제품(RN)을 가속시켜서 상기 푸셔(11)로부터 상기 최종제품(RN)을 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속도를 변화시켜서 각 열의 최초제품(R1)을 가속시켜서 상기 열의 상기 최초제품(R1)에 이어지는 제품(R)으로부터 상기 최초제품(R1)을 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각 열의 최초제품(R1)은 이어서 감속되며, 상기 가속 및 이 가속에 이어지는 감속에 의해, 각 열의 일련의 제품(R,R1,RN)의 헤드트리밍(Rt)이 떨어지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5.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접촉성부재(29)는 일시적으로 정지되거나, 또는 각각의 푸셔(11)에 의하여 제품(R)을 밀어내는 속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품(R)의 진행속도에 대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속으로 진행하고, 제품(R)이 상기 중간접촉성부재(29)에서 정지하는 동안, 제품(R)이 상기 중간접촉성부재(29)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6.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7.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는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의 수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8.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접촉성부재(29B)는 각 열의 최종제품(RN)에 대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최종제품(RN)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39.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초접촉성부재(29A)는 각 열의 최초제품(R1)에 대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최초제품(R1)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40.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접촉성부재(29B)는, 각열의 일련의 제품(R,R1,RN) 중 최종제품(RN)을 횡방향으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41.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11)는 상기 연속이동가능한 가요성부재(23)와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의 사이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푸셔(11)를 진행시키고 그 궤도를 역전시키기 위해 상기 푸셔(11)에 형성된 슬롯(11A)을 관통하도록 상기 길이방향지지체요소(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43. 제3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제품(R,R1,RN)은 로그(L)를 절단함으로써 얻은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트리밍 및 꼬리 트리밍 제거방법.
  44. 롤에 감긴 웨브재의 로그(L)를 절단하는 절단기계(3)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리밍 또는 스크랩을 제거하는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에 감긴 웨브재의 로그를 절단하는 절단기계.
  45. 삭제
  46. 삭제
  47. 제30항 내지 제32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접촉성부재(29A)는, 각열의 일련의 제품(R, R1, RN)중 최초제품(R1)을 횡방향으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트리밍 및 꼬리트리밍 제거방법.
KR1020057014793A 2003-12-12 2004-12-09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281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3A000318 2003-12-12
ITFI20030318 ITFI20030318A1 (it) 2003-12-12 2003-12-12 Dispositivo e metodo per l'eliminazione di rifili da
PCT/IT2004/000682 WO2005056255A1 (en) 2003-12-12 2004-12-09 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ng trimmings from series of products, such as rolls or the l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10A KR20070031210A (ko) 2007-03-19
KR101281942B1 true KR101281942B1 (ko) 2013-07-03

Family

ID=3467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793A KR101281942B1 (ko) 2003-12-12 2004-12-09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946205B2 (ko)
EP (1) EP1691958B1 (ko)
JP (1) JP5183067B2 (ko)
KR (1) KR101281942B1 (ko)
CN (1) CN100488738C (ko)
AU (1) AU2004297047B2 (ko)
BR (1) BRPI0407935B1 (ko)
CA (1) CA2513120C (ko)
ES (1) ES2640915T3 (ko)
IL (1) IL170430A (ko)
IT (1) ITFI20030318A1 (ko)
RU (1) RU2313445C2 (ko)
WO (1) WO2005056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30155A1 (it) * 2003-05-30 2004-11-30 Perini Fabio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con un
MX367099B (es) 2006-07-11 2019-08-05 Refocus Group Inc Protesis escleral para tratar presbiopia y otros transtornos del ojo y dispositivos y metodos relacionados.
US8911496B2 (en) 2006-07-11 2014-12-16 Refocus Group, Inc. Scleral prosthesis for treating presbyopia and other eye disord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ITFI20060292A1 (it) * 2006-11-24 2008-05-25 Futura Spa Troncatrice per logs di materiale cartaceo.
ITFI20070279A1 (it) * 2007-12-12 2009-06-13 Futura Spa Dispositivo per lo scarto dei rifili che si formano con il taglio dei logs di materiale cartaceo
JP5431719B2 (ja) * 2008-12-25 2014-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ロール製品の搬送装置
IT1397062B1 (it) * 2009-12-29 2012-12-28 Perini Fabio Spa Macchina troncatrice per il taglio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ITFI20110102A1 (it) * 2011-05-17 2012-11-18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rimuovere rifili da una serie di prodotti ottenuti dal taglio di semilavorati allungati"
ITMI20111293A1 (it) * 2011-07-12 2013-01-13 Gambini Int Sa Dispositivo migliorato per la eliminazione dei rifili di rotoli o log di materiale nastriforme
CN104290122B (zh) * 2013-07-17 2016-08-31 佛山市宝索机械制造有限公司 高效去除纸尾的切纸机
ITBO20130664A1 (it) * 2013-11-29 2015-05-30 Pulsar Srl Apparato per il convogliamento di articoli verso corrispondenti utilizzi.
TWI598198B (zh) * 2015-06-18 2017-09-11 全利機械股份有限公司 卷筒裁切機之管狀夾持系統
RS61644B1 (sr) * 2016-12-13 2021-04-29 O M T S R L Mašina za sečenje po meri rolni unapred definisane dužine od koturova veće dužine
IT201600125746A1 (it) * 2016-12-13 2018-06-13 O M T S R L Apparecchiatura di separazione e scarico selettivo dei rifili di testa e di coda di bobine, applicabile a macchine di taglio a misura di rotoli da bobine intere e macchina di taglio dotata di tale apparecchiatura
CN110394832B (zh) * 2018-04-25 2024-01-30 沈阳丰禾包装有限公司 一种双倍式护角片自动生产线
US11571758B2 (en) * 2018-11-30 2023-02-07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Method of cleaning blade of log saw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8337A (en) * 1964-01-21 Cut-off machines
KR870001500B1 (ko) * 1983-03-18 1987-08-19 피난지아리아 룩크헤세 에스. 피. 에이. 화장지 등의 두루마리종이의 절단시에 생기는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
US5458033A (en) * 1993-12-29 1995-10-17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Trim eliminator for log saw
JP2000127088A (ja) * 1998-10-21 2000-05-09 Ikuta Tekko Kk 紙管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3862A (en) * 1976-01-21 1977-07-0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handling wound rolls
US4265361A (en) * 1979-10-10 1981-05-05 American Can Company Apparatus for handling wound rolls of fibrous webs
US4462287A (en) * 1982-12-02 1984-07-31 Crown Zellerbach Corporation Apparatus for culling cant ends
US4977803A (en) * 1989-06-27 1990-12-18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aw mechanism for logs convolutely wound on cores and method
JPH0749198B2 (ja) * 1992-07-04 1995-05-31 川之江造機株式会社 ロール紙のトリミング装置
IT1259683B (it) * 1992-09-28 1996-03-25 Perini Fabio Spa Congegno eliminatore di rifili, associato ad una macchina tronc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ni di carta igienica o simili
CA2142081A1 (en) * 1994-02-18 1995-08-19 Gary R. Wunderlich Trim eliminator for a saw and method
IT1286563B1 (it) 1996-03-05 1998-07-15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incorporante un incollatore per i rotoli completati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IT1292359B1 (it) * 1997-05-02 1999-01-29 Italconverting Srl Dispositivo per l'eliminazione automatica degli scarti nella produzione di rotoli di carta
US6332527B1 (en) * 1998-10-19 2001-12-2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Transport apparatus for handling cut products
IT1314572B1 (it) * 2000-02-23 2002-12-20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per eliminare i rifili di testa e di coda da serie dirotoli e per smistare i rotoli
IT1316805B1 (it) * 2000-03-17 2003-05-12 Giovanni Gambini Dispositivo per la selezione ed eliminazione di rifili di rotoli dicarta asciugatutto e/o igienica
ITPR20010012A1 (it) * 2001-02-09 2002-08-10 Imtec Progetti S R L Dispositivo per separare della cellulosa da un'anima di cartone in sfridi derivanti dal taglio dei rotoli di carta igienica o simile.
US20030167887A1 (en) * 2002-03-06 2003-09-11 Butterworth Tad T. Product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ITMI20021703A1 (it) * 2002-07-30 2004-01-30 Giovanni Gambini Dispositivo migliorato per l'eleminazione dei rifili di rotoli o log di materiale nastrifor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8337A (en) * 1964-01-21 Cut-off machines
KR870001500B1 (ko) * 1983-03-18 1987-08-19 피난지아리아 룩크헤세 에스. 피. 에이. 화장지 등의 두루마리종이의 절단시에 생기는 트리밍을 제거하는 장치
US5458033A (en) * 1993-12-29 1995-10-17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Trim eliminator for log saw
JP2000127088A (ja) * 1998-10-21 2000-05-09 Ikuta Tekko Kk 紙管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3766A (zh) 2006-03-29
CA2513120C (en) 2011-09-13
RU2005129332A (ru) 2006-05-27
JP5183067B2 (ja) 2013-04-17
BRPI0407935B1 (pt) 2017-05-30
ES2640915T3 (es) 2017-11-07
KR20070031210A (ko) 2007-03-19
US20060124435A1 (en) 2006-06-15
US7946205B2 (en) 2011-05-24
IL170430A (en) 2011-10-31
CA2513120A1 (en) 2005-06-23
EP1691958A1 (en) 2006-08-23
EP1691958B1 (en) 2017-06-21
JP2007513792A (ja) 2007-05-31
BRPI0407935A (pt) 2006-02-21
RU2313445C2 (ru) 2007-12-27
CN100488738C (zh) 2009-05-20
WO2005056255A1 (en) 2005-06-23
AU2004297047B2 (en) 2009-12-03
ITFI20030318A1 (it) 2005-06-13
AU2004297047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942B1 (ko) 롤 등의 일련의 제품으로부터트리밍(trimmings)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A2107003C (en) Trim remov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a cutting-off machine for the formation of small rolls of toilet paper or the like
US6607082B2 (en) Device for removal of trimmings in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CA2353488A1 (en) Web stacker an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KR100306960B1 (ko) 평평한제품의그룹을서로분리시키는방법및장치와,상기장치를구비한폴딩머신
EP27098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trims from a series of products such as rolls or the like
JPH06506880A (ja) 連続した帯のアコーディオン状折り畳みおよび分離シートの重ね合わせによる紙シートの高速集積装置
EP0972708A1 (en) Device for feeding blanks on a packing machine
EP09727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blanks of packing material on a packing machine
WO2005082718A1 (en) Apparatus for feeding rolls of cut products to a wrapper
JP4792222B2 (ja) ロールなどから端部の余分な部分を取り除く装置
KR100846256B1 (ko) 적층제품의 팩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