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609B1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609B1
KR101281609B1 KR1020100125729A KR20100125729A KR101281609B1 KR 101281609 B1 KR101281609 B1 KR 101281609B1 KR 1020100125729 A KR1020100125729 A KR 1020100125729A KR 20100125729 A KR20100125729 A KR 20100125729A KR 101281609 B1 KR101281609 B1 KR 10128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unit
nozzle
container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473A (ko
Inventor
최종길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12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6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60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는, 용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벨트를 가지고, 상기 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부를 가지는 제1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ER}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용기 등에 남아 있는 잔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식생활과 관련해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간편하게 구입하여 먹을 수 있도록 용기에 담겨 유통되는 식품이 다양하게 출시되어 유통 판매되는 것이다. 이러한 식품은 바쁜 현대생활에서 소비자의 간편성, 신속성을 만족시킨다는 점에 있어서 더욱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여러 가지 유통 식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쥬스, 탄산음료, 두유 등의 음료는 물론 조미료, 장류, 오일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식품들이 다양한 만큼 이들을 담기 위한 저장 용기 또한 매우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유리병, 합성 수지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용기들은 제조 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고, 식품이 담겨 밀폐된 후에도 오염될 수 있다.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에 섭취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품을 생산 또는 판매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 제거 과정이 필요하며, 오염물 제거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살균 소독을 위하여 뜨거운 물로 열탕 처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물세척된 용기는 수분 제거가 필요한데, 용기의 형상과 크기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를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용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는, 용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벨트를 가지고, 상기 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부를 가지는 제1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는,
중심이 관통되는 몸체;
관형상을 가지되, 하나 이상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분출되는 단부가 중심축에 편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노즐팁;
상기 몸체와 상기 노즐팁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을 포함하는 건조 장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건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건조부는, 상기 노즐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이드; 및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높이 조절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노즐부를 가지는 제2 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벨트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와 상기 용기가 통과하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건조부와 상기 제2 건조부가 내측에 배치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용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냉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정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평면 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측면 투영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저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정면 투영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측면도,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정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측면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평면 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측면 투영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저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노즐부의 정면 투영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측면도,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1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컨베이어(300), 제1 건조부(100), 및 제2 건조부(2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300)는 공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벨트가 망형상을 가지고, 일측에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 조절부(300)가 배치되며, 구동부(310)에 의해 구동된다.
제1 건조부(100)는 제1 플레이트(110), 높이 조절봉(120), 및 노즐부(10)를 포함하는데, 플레이트에 복수의 노즐부(10)가 배열되어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110)의 상부에는 가이드(130)가 고정 결합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봉(120)이 가이드(13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높이 조절봉(120)의 상부에는 핸들(140)이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140)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봉(120)이 회전하고, 가이드(130)는 높이 조절봉(120)의 회전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높이 조절봉(120)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130)와 고정 결합된 플레이트 또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건조부(200)는 제2 플레이트(210), 및 노즐부(10)를 포함하는데, 제2 플레이트(210)에 복수의 노즐부(10)가 배열되어 결합되고, 제1 건조부(100) 및 제2 건조부(200)는 컨베이어(3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마주보고 위치한다.
밀폐부(500)는 사각의 상자 형태를 가지고, 일측에는 투입구(5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배출구(520)가 형성된다. 제1 건조부(100)와 제2 건조부(200)는 밀폐부(5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건조부(100)의 핸들(140)은 밀폐부(50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컨베이어(300)는 밀폐부(500)를 관통하여 지나도록 배치되는데, 컨베이어(300) 상에 위치하는 용기를 밀폐부(500)의 투입구(510)를 관통하여 이동시키고, 처리가 완료된 용기를 배출구(5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밀폐부(500)는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컨베이어(300)의 양 측부에는 이송 가이드(130)가 위치하여 컨베이어(300) 상에서 이동하는 용기를 컨베이어(3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노즐부(10)는 중심부가 관통되는 몸체(11), 몸체(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관형상의 노즐팁(12), 및 몸체(11)와 노즐팁(12)의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14)을 포함한다. 노즐팁(12)은 일부가 휘어진 형상을 가지고, 노즐팁(12)의 단부는 편향되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노즐팁(12)을 통과하여 분출되는 경우에 노즐팁(12)은 공기가 분출되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베어링(14)에 의해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다. 즉, 노즐팁(12)은 공기가 노즐팁(12)을 통하여 분출되는 힘만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컨베이어(300) 하부에는 공기 공급부(400)가 위치하고, 노즐부(10)와 연결되어 노즐부(1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부(400)는 링블로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운전 과정을 살펴보면, 컨베이어(300)를 통하여 이송되는 용기가 밀폐부(500)로 공급되고, 제1 건조부(100)와 제2 건조부(200)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제1 건조부(100)와 제2 건조부(200)의 노즐로부터 용기를 향하여 강한 공기가 분출되고, 용기 표면의 수분이 강한 공기에 의해 용기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이때, 노즐팁(12)의 단부가 편향 위치하여 노즐팁(12)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각도로부터 가변적으로 공기를 용기에 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용기의 건조가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용기를 최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컨베이어(300) 상에서의 용기의 위치에 무관하게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세척 등에 의해 온도가 매우 높은 용기의 경우에 건조는 물론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다. 더하여, 용기의 수분 제거 처리가 밀폐부(500)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용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비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수분 제거 소음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300)의 속도 조절, 노즐 분출 공기압 등은 조작반(600)에서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용기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뜨거운 용기의 경우에는 신속한 건조와 냉각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로부터 분리된 수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소음의 감소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노즐부 11: 몸체
12: 노즐팁 13: 베어링
100: 제1 건조부 110: 제1 플레이트
120: 높이 조절봉 130: 가이드
140: 핸들 200: 제2 건조부
210: 제2 플레이트 300: 컨베이어
310: 구동부 320: 장력 조절부
400: 공기 공급부 500: 밀폐부
510: 투입구 520: 배출구
600: 조작반

Claims (8)

  1. 용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벨트를 가지고, 상기 용기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벨트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부를 가지는 제1 건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중심이 관통되는 몸체;
    관형상을 가지되, 하나 이상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공기가 분출되는 단부가 중심축에 편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노즐팁;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노즐팁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팁의 단부를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노즐팁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부는,
    상기 노즐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가이드; 및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는 높이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노즐부를 가지는 제2 건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와 상기 용기가 통과하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건조부와 상기 제2 건조부가 내측에 배치되는 밀폐부
    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건조 장치.
KR1020100125729A 2010-12-09 2010-12-09 건조 장치 KR10128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29A KR101281609B1 (ko) 2010-12-09 2010-12-09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729A KR101281609B1 (ko) 2010-12-09 2010-12-09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73A KR20120064473A (ko) 2012-06-19
KR101281609B1 true KR101281609B1 (ko) 2013-07-03

Family

ID=4668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729A KR101281609B1 (ko) 2010-12-09 2010-12-09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8444B (zh) * 2012-07-30 2014-03-12 苏州戴尔菲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风枪枪头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473A (ja) * 1991-09-27 1993-04-06 Nissan Motor Co Ltd 自力回転式エアブローノズル
KR20040039252A (ko) * 2004-04-20 2004-05-10 김성부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20040076517A (ko) * 2003-02-26 2004-09-01 최진흥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신발 소재 세척기
KR200429665Y1 (ko) 2006-07-28 2006-10-26 백운천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473A (ja) * 1991-09-27 1993-04-06 Nissan Motor Co Ltd 自力回転式エアブローノズル
KR20040076517A (ko) * 2003-02-26 2004-09-01 최진흥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신발 소재 세척기
KR20040039252A (ko) * 2004-04-20 2004-05-10 김성부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200429665Y1 (ko) 2006-07-28 2006-10-26 백운천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473A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875B2 (ja) 容器製造装置および容器製造方法
JP4276072B2 (ja) 支持リング付パリソンの加熱装置
JP2010523374A5 (ko)
JP4456706B2 (ja) 紫外線殺菌装置
JP6808456B2 (ja) 容器クロージャを滅菌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281609B1 (ko) 건조 장치
KR101139035B1 (ko) 용기 세척장치
WO2007061354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filling of packages
CN209960939U (zh) 一种高效吹干系统
CN203586697U (zh) 一种水冷却后去水风干设备
KR20060017187A (ko) 자동 엽채류 탈수기
JP2014039483A (ja) 葉物野菜の水切り装置及び方法
CN208325819U (zh) 一种月饼包装机
CN109959250A (zh) 一种高效吹干系统
KR200487611Y1 (ko) 탈피기
KR101768067B1 (ko) 초음파 세척 장치 및 그 세척 방법
KR101703315B1 (ko) 컨테이너 원심탈수장치
CN113428824A (zh) 一种射线辐照耦合气态过氧化氢用于pet瓶坯的杀菌装置
CN110742251A (zh) 一种水果罐头加工工艺
EP2406136A1 (en) Fill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viding a hygienic environment in a filling machine
CN109625427A (zh) 食品包装机底膜张紧装置
JPH08296968A (ja) 除水機
KR102599463B1 (ko) 스마트 건어물 구이 및 선별 장치
KR20240012652A (ko) 과일 또는 야채 표면의 수분 건조 시스템
CN219468217U (zh) 一种魔芋制品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