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862B1 -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862B1
KR101279862B1 KR1020110025206A KR20110025206A KR101279862B1 KR 101279862 B1 KR101279862 B1 KR 101279862B1 KR 1020110025206 A KR1020110025206 A KR 1020110025206A KR 20110025206 A KR20110025206 A KR 20110025206A KR 101279862 B1 KR101279862 B1 KR 10127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ssword
numbers
mod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605A (ko
Inventor
신정훈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주)넥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젠 filed Critical (주)넥스젠
Priority to KR102011002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에 있어서, 숫자가 입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숫자를 각각 상기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입력된 전체 숫자 또는 이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고 한 번의 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숫자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해 입력장치에 일정한 사용감이 형성되거나 입력단계에서 제3자의 관측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Loc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번호키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숫자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 단계에서 상기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에 대해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 또는 이들의 합을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거나 인식함으로써 개폐장치의 보안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출입문이나 금고 등과 같은 개폐장치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열쇠를 이용한 개폐방식, 또는 다이얼이나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숫자 입력장치를 통해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를 선택하는 수동식 번호열쇠를 이용한 개폐방식과 같은 기계식 개폐장치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계식 개폐장치는 열쇠의 분실이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기계적 잠금장치가 마모될 경우에는 개폐동작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해지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개폐장치의 잠금장치와 개폐수단(열쇠 또는 번호열쇠)이 합치될 때 발생되는 기계음으로 인하여 이를 감지한 제3자가 무단으로 개폐할 수 있다는 보안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튼식 키패드나 터치패널로 구성된 숫자 입력장치에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전자 번호키, 지문이나 각막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체 정보키, 또는 사용자 인식카드(personal identification card, PIC) 등과 같은 전자식 개폐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개폐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상기 전자 번호키를 이용한 방식은 각종 센서나 리더기를 구비해야 하는 다른 방식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오작동될 확률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상기 다른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개폐장치의 경우에도 키 분실이나 장치의 오작동과 같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상기 전자 번호키 방식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번호키 방식의 개폐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 입력장치가 키패드나 터치패널 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입력단계에서 타인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될 위험이 있고, 장시간 사용시 상기 숫자 입력장치 중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의 위치에 사용 흔적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들 숫자의 조합에 의해서도 비밀번호가 간단히 노출될 수 있어서 보안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번호키 방식의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나아가 상기 비밀번호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사용자가 현재의 비밀번호를 쉽게 혼동할 수 있어서 실제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숫자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비밀번호의 입력단계 또는 숫자 입력장치에 남겨진 사용흔적으로 인하여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위험성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시 복수의 숫자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사유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위험성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시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될 경우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 또는 이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로 사용하여 숫자 조합에 의해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경우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에 있어서, 숫자가 입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입출력부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여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 또는 이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 설정에 대한 안전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안전모드가 보안성 모드이면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 편의성 모드이면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출력부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잠금장치가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보안성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비교하여 모두 동일하거나, 편의성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합을 순차적으로 상기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비교하여 모두 동일하면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비밀번호와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편의성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복수 자리의 숫자인 경우 상기 복수 자리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 모두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숫자가 아닌 숫자가 입력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만 표시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무작위로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출력장치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여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상기 입출력장치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 또는 이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고 한 번의 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숫자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해 입력장치에 일정한 사용흔적이 형성되거나 입력단계에서 제3자의 관측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보안성 모드의 경우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 중에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되어 저장된 자리가 포함된 경우이면 비밀번호의 일치여부 판단시 해당 자리에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가 상기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모두 동일하게 입력되어야 비밀번호가 일치되다고 판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하나의 비밀번호를 조합하기 위한 경우의 수가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크게 증가되어 비밀번호가 제3자에게 노출될 위험성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의 갯수에 따라서는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에 두 자리의 숫자가 입력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조합하기 위한 경우의 수가 더욱 증가되어 비밀번호가 제3자에게 노출될 위험성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한 크기의 입출력부에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만 표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숫자 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노인과 같이 시력인 낮은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숫자 키를 동시에 눌러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뇌의 활성화를 유도시켜 추리논리 능력(IQ)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2a 내지 도2e는 도1에 도시한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2f는 도2a 내지 도2e에서 설명한 제어방법 중 편의성 모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를 적용한 도어락과 금고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5은 종래의 전자 번호키 방식의 디지털 개폐장치에서 숫자 입력 시 사용자 뇌의 알파파 활성화 변화를 나타낸 도면,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에서 숫자 입력 시 사용자 뇌의 알파파 활성화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2a 내지 도2e는 도1에 도시한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12)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111)로 구성된 입출력부(110), 상기 입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되거나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120),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잠금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유지하는 개폐장치부(130), 및 입력방식의 오류가 있거나 입력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음 등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통상의 마이컴이나 PLC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일예로서 비밀번호의 설정 또는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 키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키 설정모드, 비밀번호를 초기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모드, 및 디지털 개폐장치의 개폐를 위하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포함한 작동모드를 구비하는데, 상기 제어부(100)는 각각의 작동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입출력부(110)를 통해 출력하거나 입력받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개폐장치부(130) 및 경보발생부(14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모듈(112)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의 전체 작동모드를 출력하는데, 먼저 사용자가 키 설정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비밀번호의 설정모드나 입력모드에서 사용되는 숫자와, 동시입력이 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출력모듈(112)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모드나 입력모드에서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입출력부(110)에 표시되는 일정범위의 숫자 중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제1방법과, 상기 입출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되는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게 되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선택방식에 따라 숫자가 선택되는 제2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방법의 경우 일예로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0 내지 9의 숫자 키를 출력모듈(112)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상기 숫자 키의 숫자들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1,2,3,4}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숫자들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입력하게 된다.
또한, 제2방법의 경우 일예로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0 내지 9의 숫자 키를 출력모듈(112)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에 대응되는 갯수의 숫자들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숫자 키 '4'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규칙에 따라 정해지는 4개의 숫자들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120)에는 일예로서 0이나 1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의 숫자가 연속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데, 전술한 예와 같이 사용자가 '4'를 선택한 경우 저장부(120)의 데이터가 0부터 시작되는 경우이면 사용자는 {0,1,2,3}을 이용하고 1부터 시작되는 경우이면 {1,2,3,4}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입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방식에 의하여 사용되는 숫자가 선택되되, 1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 만큼의 연속된 숫자가 선택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동시입력이 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갯수를 선택하는 제1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의 갯수에 대응되는 갯수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제2방법, 또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갯수로 일방적으로 정해지는 제3방법 등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일예로서 0 내지 9의 숫자 키를 출력모듈(112)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숫자 키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숫자 키 '4'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시 한 번의 입력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숫자들 중 최대 4개까지 동시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동시입력이 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전술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설정 등을 위해 선택한 숫자의 갯수와 동일하게 선택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이와 같이 설정된 숫자 키들을 이용하여 숫자가 입력되는데, 특히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이들의 합에 해당되는 숫자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즉, 1과 4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이들의 합인 숫자 5가 입력되는 것이고, 2,3,4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이들의 합인 숫자 9가 입력되는 것이며, 다만 1,2,3,4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이들의 합인 10 대신에 0이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0 내지 9로 구성된 10개의 숫자 키로 구성된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수 개의 숫자 키 만으로도 0 내지 9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아래의 [표 1]과 [표 2]에서는 각각 사용자가 4개의 숫자 키를 선택한 경우와 5개의 숫자 키를 선택한 경우에 있어서 0 내지 9의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나타내었다.
이때, 괄호로 표시된 숫자들은 해당 숫자 키들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다.
4개의 숫자 키를 선택한 경우의 숫자 입력방식
숫자 입력 방법 숫자 입력 방법 숫자 입력 방법
1 (1) 2 (2) 3 (3),(1+2)
4 (4),(1+3) 5 (1+4),(2+3) 6 (2+4),(1+2+3)
7 (1+2+4),(3+4) 8 (1+3+4) 9 (2+3+4)
0 (1+2+3+4)
5개의 숫자 키를 선택한 경우의 숫자 입력방식
숫자 입력 방법 숫자 입력 방법 숫자 입력 방법
1 (1) 2 (2) 3 (3),(1+2)
4 (4),(1+3) 5 (1+4),(2+3),(5) 6 (2+4),(1+2+3),(5+1)
7 (1+2+4),(3+4),(5+2) 8 (1+3+4),(5+3),(5+1+2) 9 (2+3+4),(5+1+3),(5+4)
0 (1+2+3+4),(5+1+4),(5+2+3)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는 비밀번호의 설정 등에 사용되는 숫자의 갯수를 3개 이하로도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입력장치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0 내지 9의 숫자를 모두 입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4개 이상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입출력부(110)에 표시된 숫자 키를 선택하여 자신이 설정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한 번의 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숫자를 동시에 선택할 수도 있는데, 동시에 선택하는 숫자의 최대 갯수는 전술한 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비밀번호 설정모드에서 안전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안전성 모드는 보안성 모드와 편의성 모드의 2개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보안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10)에 순차적으로 입력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되,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숫자 전체를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게 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동시에 입력된 전체 숫자들은 오름차순으로 된 순서쌍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미리 정해진 구분자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비밀번호가 4자리로 구성된 경우이면 사용자가 4번의 숫자 입력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첫번째 입력단계에서 3을 선택하고, 두번째 입력단계에서 4를 선택하고, 세번째 입력단계에서 3,4를 동시에 선택하고, 네번째 입력단계에서 1,2,4를 동시에 선택했을 때 제어부(100)가 비밀번호의 각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번호는 3,4,(3,4),(1,2,4)가 된다.
이때, 괄호로 표시된 숫자들은 동시에 입력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100)는 이와 같이 비밀번호가 입력 및 저장된 경우(즉, 보안성 모드의 경우)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와 동일한 방식(즉, 비밀번호의 각 자리마다 동시입력된 숫자들의 합은 물론 순서쌍도 동일하도록)으로 숫자가 입력된 경우에만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비밀번호의 자리수가 4자리일 경우(일예로서, 3,4,7,7이라 가정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비밀번호 각 자리에 대한 경우의 수가 10개(0 내지 9)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가 10*10*10*10=10,000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에서는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한 경우의 수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가지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가 15*15*15*15=50,625가 된다.
이에 더하여, 만약 사용자가 키 설정모드에서 5개의 숫자를 선택한 경우이면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대한 경우의 수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4가지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전체 경우의 수는 24*24*24*24=331,776으로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선택된 숫자 키의 갯수가 5개 이상일 경우에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의 갯수가 증가될수록 입력가능한 숫자의 범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각 자리에 두 자리수((동시에 복수의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의 자리수가 두 자리가 됨)까지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선택된 숫자 키가 5개 이상인 때에는 동시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10일 경우에 이를 '10'으로 입력할 것인지 또는 '0'으로 입력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입력 키가 상기 입출력부(110)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비밀번호의 각 자리수마다 한 자리수만 입력되던 종래 기술과 달리 두 자리수의 입력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조합하기 위한 경우의 수가 더욱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된 숫자 키의 갯수에 따른 4자리 비밀번호 조합의 경우의 수
선택된 숫자 키의
갯수
숫자 키의 내용 비밀번호 각 자리수에
입력될 수 있는 수의 범위
4 1,2,3,4 0 ~ 9까지
5 1,2,3,4,5 1 ~ 16까지
6 1,2,3,4,5,6 1 ~ 21까지
7 1,2,3,4,5,6,7 1 ~ 28까지
8 1,2,3,4,5,6,7,8 1 ~ 36까지
9 1,2,3,4,5,6,7,8,9 1 ~ 45까지
... ...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보안성 모드에서 하나의 비밀번호를 조합하기 위한 경우의 수가 종래 기술에 대비하여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에 대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설정이나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고 한 번의 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숫자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해 입출력부(110)에 일정한 사용 흔적이 형성되거나, 상기 입출력부(110)를 통한 입력단계에서 제3자의 관측에 의하여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편의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10)에 순차적으로 입력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되,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숫자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게 된다.
즉, 전술한 보안성 모드에서의 예와 동일하게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편의성 모드에서 제어부(100)가 비밀번호로 저장하는 번호는 3,4,7,7이 되며,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사용자가 숫자를 3,4,(3,4),(1,2,4)로 입력한 경우뿐만 아니라 3,4,(1,2,4),(3,4)로 입력한 경우에도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편의성 모드에서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적은 수의 숫자 키 만으로도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선택된 숫자 키의 갯수가 5개 이상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 각 자리수에 입력될 수 있는 수의 범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비밀번호 노출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성 모드는 물론 편의성 모드도 종래 기술보다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안을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서 실제 사용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입출력부(110)에 표시된 숫자 키를 선택하여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 각 자리의 숫자와 차례대로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숫자가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와 모두 일치되는 경우이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경고음 등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개폐장치부(130) 및 경보발생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비밀번호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안전성 모드가 보안성 모드인 경우이면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와 동일한 때, 편의성 모드인 경우이면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합이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 때 각각 상기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의 숫자와 일치된다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입출력부(110)는 입력모듈(111)과 출력모듈(112)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패널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부(120), 개폐장치부(120) 및 경보발생부(13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 공지된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비밀번호 설정모드와 비밀번호 입력모드의 경우 사용자가 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만 입출력부(110)에 표시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0 내지 9의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에 표시하고 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숫자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고 에러 메시지 또는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3자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2a 내지 도2e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디지털 개폐장치의 작동모드를 나타내는 메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신호가 키 설정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S20 단계의 판단결과 키 설정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에 0 내지 9의 숫자를 표시하여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의 갯수(NK)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의 숫자를 수신한다(S30).
또한, 상기 S3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에 0 내지 9의 숫자를 표시하여 동시입력이 가능한 숫자의 갯수(NS)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의 숫자를 수신한다(S40).
상기 S4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S30 단계와 S40 단계에서 수신한 숫자들을 각각 NK와 NS로 설정하고 키 설정모드를 종료하게 된다(S5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50 단계가 S30 단계 및 S40 단계의 수행 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S50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S30 단계 수행시 수신된 숫자를 NK로 설정하고 S40 단계 수행시 수신된 숫자를 NS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20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된 작동모드 선택신호가 키 설정모드가 아닌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S10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비밀번호 설정모드를 선택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의 판단결과 비밀번호 설정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디지털 개폐장치의 안전성 모드를 나타내는 메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안전성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하고(S120), 수신된 안전성 모드가 보안성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보안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NK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입출력부의 화면에 출력한다(S140).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NK에 따른 숫자 키를 숫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나타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숫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랜덤하게 배열되도록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14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숫자 키를 수신하고(S150), 수신된 숫자 키가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상기 S16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제어부(100)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한 NS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상기 S170 단계의 판단결과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NS 이하인 경우이면 동시 입력된 숫자 키들에 대응되는 전체 숫자들을 순서쌍의 형태로 저장부(120)에 임시로 저장하고(S180), NS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입출력부(110)에 입력오류를 표시한 후(이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 상기 S140 단계를 수행한다(S175).
반면에, 상기 S16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숫자 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임시로 저장한 후(S185), 후술하는 S19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180 단계 또는 S185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90), 판단결과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140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고 입력된 경우이면 임시저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순서쌍을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보안성 모드의 비밀번호(PWSS)로 저장한 후 비밀번호 설정모드를 종료한다.
이때, 상기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비밀번호로 저장한다고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순서쌍을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들의 순서쌍을 임시로 저장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임시저장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바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라 함은 통상의 전자 번호키 입력장치에 구비된 '*', '#' 또는 다른 기능 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발생되는 입력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S13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편의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NK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의 화면에 출력한다(S210).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00)는 NK에 따른 숫자 키를 숫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숫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랜덤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21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숫자 키를 수신하고(S220), 수신된 숫자 키가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S23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제어부(100)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한 NS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상기 S240 단계의 판단결과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NS 이하인 경우이면 입력된 숫자 키들에 대응되는 숫자들의 합을 저장부(120)에 임시로 저장하고(S250), NS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입출력부(110)에 입력오류를 표시한 후(이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 상기 S210 단계를 수행한다(S245).
반면에, 상기 S23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숫자 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임시로 저장한 후(S255), 후술하는 S26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250 단계 또는 S255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0), 판단결과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210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고 입력된 경우이면 임시저장된 숫자 또는 숫자들의 합을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편의성 모드의 비밀번호(PWCS)로 저장한 후 비밀번호 설정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S20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된 작동모드 선택신호가 비밀번호 설정모드가 아닌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S10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비밀번호 입력모드라고 인식하고 상기 비밀번호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안전성 모드가 보안성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상기 S31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단계에서 보안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NK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의 화면에 출력한다(S320).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NK에 따른 숫자 키를 숫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숫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랜덤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32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숫자 키를 수신하고(S330), 수신된 숫자 키가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상기 S34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제어부(100)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한 NS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상기 S350 단계의 판단결과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NS 이하인 경우이면 동시 입력된 숫자 키들에 대응되는 전체 숫자들의 순서쌍을 저장부(120)에 임시로 저장하고(S360), NS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입출력부(110)에 입력오류를 표시한 후(이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한다(S355).
반면에, 상기 S34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숫자 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임시로 저장한 후(S365), 후술하는 S37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360 단계 또는 S365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70), 판단결과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320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에, S37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종료 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임시저장된 숫자 또는 숫자들의 순서쌍을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보안성 모드의 입력 비밀번호(PWSI)를 구성하고, 이를 저장부(120)에 저장된 PWSS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80, S390).
상기 S390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개폐장치부(130)를 제어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S400), 일치하지 않은 경우이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S405).
한편, 상기 S31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단계에서 편의성 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된 NK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입출력부(110)의 화면에 출력한다(S410).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NK에 따른 숫자 키를 숫자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숫자의 크기에 관계없이 랜덤하게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S41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숫자 키를 수신하고(S420), 수신된 숫자 키가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상기 S43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이면, 상기제어부(100)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키 설정모드에서 설정한 NS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상기 S440 단계의 판단결과 동시에 입력된 숫자 키의 갯수가 NS 이하인 경우이면 입력된 숫자 키들에 대응되는 숫자들의 합을 저장부(120)에 임시로 저장하고(S450), NS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입출력부(110)에 입력오류를 표시한 후(이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 상기 S410 단계를 수행한다(S445).
반면에, 상기 S430 단계의 판단결과 복수의 숫자 키가 동시에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숫자 키에 대응되는 숫자를 임시로 저장한 후(S455), 후술하는 S46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450 단계 또는 S455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60), 판단결과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410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에, S460 단계의 판단결과 입력종료 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임시저장된 숫자 또는 숫자들의 합을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편의성 모드의 입력 비밀번호(PWCI)를 구성하고, 이를 저장부에 저장된 PWCS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S480).
상기 S480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개폐장치부(130)를 제어하여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S490), 일치하지 않은 경우이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S495).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비밀번호 설정이 편의성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전체 숫자의 합이 설정된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 때 비밀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단계들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인 도2f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도2f에서 S510 단계 내지 S560 단계는 전술한 S410 단계 내지 S460 단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560 단계에서 입력종료 신호가 입력된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임시저장된 입력 숫자의 자리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 n과 저장된 비밀번호(PWCS)의 자리 순서를 나타내는 변수 N을 각각 1로 설정한다(S570).
상기 S5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n번째 입력된 숫자가 비밀번호(PWCS)의 해당 자리(N번째 자리) 및 이와 연속하는 자리(N+1번째 자리)의 숫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80).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1,2,1,1의 4자리로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첫 번째로 입력한 숫자가 (3,4,5)를 동시에 입력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에 입력된 숫자를 12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S580 단계에서 입력된 숫자 12가 비밀번호의 첫 번째 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두 번째 자리의 숫자인 1,2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예의 경우 입력된 숫자 12가 비밀번호의 처음 두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 경우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S59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S580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이면 제어부는 입력된 두 자리의 숫자 12를 구성하는 숫자 1과 2가 각각 비밀번호의 N번째 자리와 이와 연속하는 N+1번째 자리(상기 예의 경우 처음 두자리)에 저장된 숫자에 일치한다고 판단하고, 다음 차례(즉, 상기 예에서 n=2)에 입력된 숫자를 S580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밀번호의 N+2번째(즉, 상기 예에서 N=3)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비교하게 된다(S590,S600).
반면에, 상기 S580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상기 n번째(즉, 상기 예에서는 n=1) 입력된 숫자 12를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인 N번째 자리(즉, 상기 예에서는 N=1)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85).
상기 S585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이면 제어부는 다음 차례(즉, 상기 예에서 n=2)에 입력된 숫자를 S580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밀번호의 N+1번째(즉, 상기 예에서 N=2)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비교하고(S595, S600),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S625).
한편, 전술한 S580, S585, S590, S595 단계는 입력된 숫자를 비밀번호의 마지막 자리(일예로서, 비밀번호가 4자리라고 가정한다.)에 저장된 숫자와 비교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되는데(S600), 상기 비밀번호의 마지막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의 비교가 완료된 이후에도 입력된 숫자가 남아있는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이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된다(S610,S620,S625).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편의성 모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두 차례 또는 세 차례의 입력만으로도 4자리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 입력 횟수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예와 같이 비밀번호가 1,2,1,1로 저장된 경우에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사용자는 1,2,1,1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나(4회 입력), (3,4,5),(2,4,5)와 같이 입력하거나(2회 입력) (3,4,5),1,1과 같이 입력(3회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도 비밀번호 확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3과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를 적용한 도어락과 금고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디지털 개폐장치' 또는 '잠금장치'는 도3과 도4에 도시한 기계적인 개폐장치 및 잠금장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서 전자 번호키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기능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상술한 보안성과 편의성에 관한 장점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과 동일한 크기의 입출력부에 사용자가 선택한 숫자 키만 표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숫자 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노인과 같이 시력인 낮은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5은 종래의 방식의 디지털 개폐장치에서 숫자 입력 시 사용자 뇌의 알파파 활성화 변화를 좌뇌와 우뇌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에서 숫자 입력 시 사용자 뇌의 알파파 활성화 변화를 좌뇌와 우뇌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5과 도6의 왼쪽 도면은 좌뇌, 오른쪽 도면은 우뇌를 나타낸 것이며, 도5과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해 좌,우뇌의 활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개폐장치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최소 1개에서 최대 m(키 설정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개까지 숫자 키를 동시에 눌러 숫자를 입력함에 따라 뇌의 활성화를 유도시켜 추리 논리 능력(IQ)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제어부 110: 입출력부
120: 저장부 130: 개폐장치부

Claims (18)

  1. 숫자 입력에 의해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의 설정시 상기 디지털 개폐장치의 안전모드를 선택하는 신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숫자가 입력되거나, 상기 잠금장치의 해제시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가 입력되는 입출력부;와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선택된 안전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출력부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여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가 보안성 모드이면 동시에 입력된 숫자 전체를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하고, 편의성 모드이면 동시에 입력된 숫자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상태의 해제시 상기 입출력부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각각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수와 모두 일치되는 경우이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가 보안성 모드이면 동시 입력된 숫자 전체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모두 동일한 경우에 입력된 숫자가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일치된다고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가 편의성 모드이면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 경우에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편의성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복수 자리의 숫자인 경우 상기 복수 자리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 모두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숫자가 아닌 숫자가 입력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에 사용되는 숫자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만 표시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무작위로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면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
  10. 숫자 입력에 의해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입출력장치로부터 상기 디지털 개폐장치의 안전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안전모드 선택단계;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에 대응되도록 상기 입출력장치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를 각각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해당 자리의 숫자로 저장하여 상기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비밀번호 설정단계; 및
    상기 입출력장치에 순차적으로 입력된 숫자가 각각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수와 모두 일치되는 경우이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비밀번호 입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가 보안성 모드이면 동시에 입력된 숫자 전체를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하고, 편의성 모드이면 동시에 입력된 숫자들의 합을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복수의 숫자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 상기 안전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안전모드가 보안성 모드이면 동시 입력된 숫자 전체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모두 동일한 경우에 입력된 숫자가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일치된다고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안전모드가 편의성 모드이면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동일한 경우에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에 저장된 숫자와 일치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상기 안전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안전모드가 편의성 모드인 경우, 입력된 숫자 또는 동시 입력된 숫자들의 합이 복수 자리의 숫자이면 상기 복수 자리를 구성하는 각 자리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상기 비밀번호의 해당 자리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 모두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숫자가 상기 비밀번호의 복수 자리에 저장된 숫자들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에서 숫자 입력에 사용될 숫자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키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숫자가 아닌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는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를 더 입력받고,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만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숫자의 입력키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무작위로 배열하여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는 숫자 입력시 동시에 입력가능한 숫자의 갯수를 선택하는 신호를 더 입력받고,
    상기 비밀번호 설정단계와 비밀번호 입력단계는 동시에 입력된 숫자의 갯수가 상기 키 설정단계에서 선택된 갯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25206A 2011-03-22 2011-03-22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7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06A KR101279862B1 (ko) 2011-03-22 2011-03-22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206A KR101279862B1 (ko) 2011-03-22 2011-03-22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05A KR20120107605A (ko) 2012-10-04
KR101279862B1 true KR101279862B1 (ko) 2013-06-28

Family

ID=4727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206A KR101279862B1 (ko) 2011-03-22 2011-03-22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569B1 (ko) * 2013-06-12 2015-03-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56B1 (ko) * 2016-12-13 2019-09-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84720A (zh) * 2019-12-12 2020-04-1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五研究所 一种便携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768B1 (ko) * 1999-06-02 2001-10-29 - 디지털 도어록 콘트롤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768B1 (ko) * 1999-06-02 2001-10-29 - 디지털 도어록 콘트롤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569B1 (ko) * 2013-06-12 2015-03-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05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6997B1 (en) System for encryption and identification
KR101279862B1 (ko) 디지털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Bultel et al. Security analysis and psychological study of authentication methods with PIN codes
CN10805281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KR20080071707A (ko)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KR101378706B1 (ko)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멜로디 기반의 잠금 및 해제 방법
Kasat et al. Study and analysis of shoulder-surfing methods
JP2004288153A (ja) 本人確認方式
KR102401127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0729369B1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 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 컴퓨터 해킹 방지 및 전자/기계식 패스워드 잠금보안 시스템
JP2005258838A (ja) テンキー操作表示装置
KR101039010B1 (ko) 랜덤 키패드에 의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KR20050090102A (ko)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US20210279308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randomly omitting key
KR100790027B1 (ko)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CN113266211B (zh) 一种保险箱多组密码系统及方法
KR20020034379A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TWI518545B (zh) 密碼認證裝置
JP2651861B2 (ja) 数字の一致・不一致を判定する判定機構及び数字表示機能を有するスイッチ
KR102390175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1229054B1 (ko) 시도할 때마다 비밀번호가 바뀌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JP2009015501A (ja) 本人認証装置
JPS63170764A (ja) 認証装置
CN106407767A (zh) 一种屏幕解锁延时装置和方法
KR101629868B1 (ko) 디바이스 잠금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