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707A -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707A
KR20080071707A KR1020070009929A KR20070009929A KR20080071707A KR 20080071707 A KR20080071707 A KR 20080071707A KR 1020070009929 A KR1020070009929 A KR 1020070009929A KR 20070009929 A KR20070009929 A KR 20070009929A KR 20080071707 A KR20080071707 A KR 2008007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ata input
display unit
variable displa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배
김동우
송제빈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주)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프로차일드
Priority to KR102007000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707A/ko
Publication of KR2008007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비밀번호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보안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권한을 인증받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제3자가 지근거리에서 키나 손동작을 주위에서 엿보거나, 키에 남겨진 지문조사, 키를 누를 때 나는 소리청취 등을 통해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수단에 디지트 드라이버 및 cpu를 연결하고, 데이터 입력수단의 조작에 상응하여 cpu에 해당 버튼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며, 입력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cpu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나 승인 신호의 출력 등 후속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인증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수단과, 이에 할당된 버튼 데이터 값이 불규칙하게 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데이터 입력수단 버튼 위치에 해당 버튼 데이터 값이 함께 표시되는 가변 표시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변화된 버튼의 숫자를 보고 직접 조작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과 동일하며 간단한 방법으로 입력 오류 없이 인증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주위에서 손 동작이나, 지문 또는 버튼의 마모 정도를 보아 인증 번호가 도용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Authorize Data Input Apparatus for Prevent Secret Number Leakage}
도1은 종래의 비밀번호 매핑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2는 종래의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패널의 실시 예를 보인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터치패널의 실시 예를 보인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랜덤 데이터 생성 과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300 : 제어부 300a : CPU
301a : 숫자 표시부 301 : 가변 표시부
302 : 데이터 입력수단 302a : 버튼
303 : 패널 304 : 터치패널 스크린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금인출기 등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지근거리에서 지켜보던 제3자로 하여금 해당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도록 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권한의 인증이 요구되는 장치 등에는 사용자가 직접 숫자가 표시된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과정을 거치는 것은 제3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수단의 일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불순한 목적을 가진 제3자가 지근거리에서 관찰하면서 정당한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의 위치 또는 버튼을 조작할 때 발생하는 키톤을 기억하였다가 도용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밀번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종래에도 특허 출원번호 제10-2004-0045114(발명의 명칭 :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이하 '인용발명'이라 칭함)가 있는바, 이러한 인용발명의 비밀번호 매핑관계 및 비밀번호 입력과정을 보 인 예시 도를 도1 내지 도2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안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활성창이 개시됨과 동시에 랜덤한 메모리매핑에 의해 키패드상의 숫자키에 각각 할당된 매핑넘버가 LCD에 표시되는 과정과; 설정된 비밀번호를 매핑넘버 중에서 확인한 후 그에 해당하는 키패드상의 숫자 키를 찾은 후 누르게 되는 순차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활성창에 숨겨진 형태인 특수문자로 표시되어 몇 번째까지 입력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과정과; 입력이 완료되고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인증되고 해당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비밀번호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초기화면으로 회귀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방법인 것이다.
이와 같은 '인용발명'은 LCD창에 표시되는 숫자 표시부를 보고 키패드상의 숫자 키를 찾아서 누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누르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밀번호를 잘못 눌러서 입력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에 할당된 버튼 데이터 값이 불규칙하게 변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데이터 입력수단의 버튼 위치에 불규칙하게 변화되는 해당 버튼의 데이터 값이 함께 표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보안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에 디지트 드라이버 및 cpu를 연결하고, 데이터 입력수단의 조작에 상응하여 cpu에 해당 버튼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며, 입력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cpu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나 승인 신호의 출력 등 후속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인증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에 할당된 버튼 데이터 값이 불규칙하게 변화되도록 하기 위한 버튼 데이터 값 생성과정과, 각 데이터 입력수단의 버튼 위치에 불규칙하게 변화된 버튼 데이터 값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 데이터 표시부와, 불규칙하게 변화되어 표시되는 버튼 데이터 값과 인접하거나 중첩되게 설치되는 데이터 입력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입력수단인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위치가 변화된 버튼의 숫자를 보고 직접 조작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인증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면서도, 주위에서 손동작이나, 지문 또는 버튼의 마모 정도를 보아 인증 번호가 도용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보안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에 디지트 드라이버 및 스캔데이터의 출력 및 입력부와, 메모리가 연결된 제어부(300)를 구비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해당 버튼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며, 입력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나 승인 신호의 출력 등 후속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인증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될 버튼의 숫자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사용 시 마다 매번 불규칙하게 변화시켜서 "0"에서 "9"의 숫자를 불규칙하게 섞어서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숫자 표시부(301a)과, 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서 된 가변 표시부(301)와, 불규칙하게 변화되어 가변 표시부(301)에 표시되는 복수개의 숫자 표시부(301a)과 각각의 숫자 표시부(301a)에 표시되는 숫자를 보고 설정된 비밀번호의 숫자를 순서에 따라 입력하기 위한 버튼(302a)이 설치된 데이터 입력수단(302)과, 비밀번호를 입력오류 없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눌러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가변 표시부(301)의 숫자 표시부(301a)과, 이에 표시되는 각각의 숫자 에 해당하는 데이터 입력수단(302)의 버튼(302a)이 인접하여 함께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패널(303)과, 가변 표시부(301)에 표시되는 데이터 값을 불규칙하게 변화시켜서 불규칙하게 섞어서 표시하며, 데이터 입력수단(302)의 조작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된 제어부(300)에는 입력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CPU(300a)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소정의 간격으로 숫자 표시부(301a)가 배열된 가변 표시부(301)와 숫자 표시부(301a)의 위치와 인접하여 배열된 버튼(302a)을 설치한 데이터 입력수단(302)으로 구성된 패널(303)의 실시 예를 도4에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변 표시부(301)는 "0" ~ "9"까지의 숫자를 유동적으로 표시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7-세그먼트로 된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또는 LCD로 된 숫자 표시부(301a)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0" ~ "9"까지의 숫자가 불규칙하게 변화됨과 동시에 불규칙하게 섞여서 표시 되도록 한 것이며, 복수개로 된 숫자 표시부(301a)에는 이에 해당하는 각각의 버튼(302a)이 인접하여 함께 설치된 패널(303)로 된 것이며,
아울러, 도5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숫자 표시부(301a)가 LCD로 된 가변 표시부(301)와 이에 숫자가 표시되는 숫자 표시부(301a)의 면적에 해당하는 범위를 정하여 숫자 표시부(301a)와 중첩하여 버튼(302a)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산화티타늄 등의 투명 전극으로 된 터치패널 스크린(304)으로 된 데이터 입력수단(302)을 가변 표시부(301)의 위에 부착한 패널(303)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6에서와 같이 불규칙하게 변화되어 가변 표시부(301)의 숫자 표시부(301a)에 불규칙 데이터와 이의 숫자를 보고 설정된 비밀번호의 숫자를 입력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되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CPU(300a)의 흐름도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계(601)은 사용자가 보안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시작 단계와,
단계(602)는 프로그램의 최초 또는 미리 정해진 계수, 스위치, 주소, 기억 장치의 내용 등을 '0' 또는 기타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초기화 단계와,
단계(603)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활성창이 개시됨과 동시에 데이터 입력수단(302)의 버튼(302a)에 각각 할당된 숫자를 가변 표시부(301)의 숫자 표시부(301a)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값을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할 때마다 불규칙하게 생성하기 위한 랜덤 데이터 값 생성 단계와,
단계(604)는 단계(603)에서 생성한 랜덤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값으로 부호화 하기 위한 랜덤 데이터 스크램블 단계와,
단계(605)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지근거리에서 지켜보던 제3자로 하여금 해당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도록 불규칙하게 생성된 랜덤 데이터 값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통해 데이터 입력수단(302)의 버튼(302a)에 인접하여 함께 설치된 FND 또는 LCD로 된 숫자 표시부(301a)에 "0"에서 "9"까지로 된 숫 자를 불규칙하게 섞어서 표시하기 위한 랜덤 데이터 표시 단계와,
단계(606)은 사용자가 불규칙하게 섞여서 표시된 숫자 표시부(301a)의 숫자를 보고 인접하여 함께 설치된 버튼(302a)을 눌러서 순차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버튼 값 입력 단계와,
단계(607)은 복수개의 스캔 데이터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버튼 값을 해독하는 디코딩 단계와,
단계(608)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 데이터 값에 의한 비밀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비밀번호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단계(603)인 랜덤 데이터 값 생성 단계로 회귀되며, 일치할 경우 사용자는 계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증단계와,
단계(609)는 상기(608)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 되도록 하는 승인 단계와,
단계(610)은 정상적인 사용자가 상기의 과정을 모두 마친 후 다음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기 위해 프로그램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단계로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안상 비밀번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입력하게 될 비밀번호의 숫자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을 상기 도6의 단계(603) 내지 단계(605)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숫자 표시부(301a)에 "0"에서 "9"의 숫자를 불규칙하게 섞어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 이 불규칙하게 섞여서 표시된 숫자를 보고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눌러서 입력하되, 도4에서와 같이 FND로 된 숫자 표시부(301a)와 이에 인접한 버튼(302a)을 설치하여서 된 패널(303)일 경우는 숫자 표시부(301a)와 인접하여 함께 설치된 버튼(302a)을 눌러서 입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도5에서와 같이 숫자 표시부(301a)가 투명 전극으로 된 터치패널 스크린(304)을 LCD 상에 접착하여 사용한 데이터 입력수단(302)일 경우에는 LCD 상에 숫자가 표시된 숫자 표시부(301a)의 범위와 일치되게 중첩되어 표시된 버튼(302a)을 누를 수 있게 되어 됨으로서 숫자를 직접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는 것이므로 비밀번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인용 발명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 입력수단인 패널에 표시된 숫자를 보고 인접한 버튼을 조작하거나, 터치 스크린의 숫자를 직접 눌러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입력오류를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주위에서 손동작이나, 지문 또는 버튼의 마모 정도를 보아 인증 번호가 도용되는 사례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가변 표시부(301)및 스캔데이터의 출력 및 입력부로 된 데이터 입력수단(302)과, 전술한 가변 표시부(301)에 표시되는 숫자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표시 숫자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랜덤 데이터 생성 프로그램을 탑재하여서 된 CPU(300a)와, 스캔 데이터의 출력 및 입력부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시킨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되는 경우 개폐 동작이나 승인 신호의 출력 등 후속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될 버튼의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숫자 표시부(301a)과, 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여서 된 가변 표시부(301)와, 전술한 가변 표시부(301)의 각 숫자 표시부(301a)에 각각 대응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데이터 입력수단(30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301)는 복수개의 FN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301)는 LCD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데이터 입력 수단(302)은 복수개의 버튼(302a)으로 구현되어 가변 표시부(301)의 각 숫자 표시부(301a)에 인접하여 함께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데이터 입력수단(302)은 전술한 숫자 표시부(301a)와 중첩하여 설치되도록 투명 산화 전극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70009929A 2007-01-31 2007-01-31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KR20080071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29A KR20080071707A (ko) 2007-01-31 2007-01-31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29A KR20080071707A (ko) 2007-01-31 2007-01-31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707A true KR20080071707A (ko) 2008-08-05

Family

ID=3988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929A KR20080071707A (ko) 2007-01-31 2007-01-31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7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824B1 (ko) * 2012-02-24 2013-04-30 주식회사 텔스카 시큐어 os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KR101269419B1 (ko) * 2011-12-05 2013-06-04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KR101359398B1 (ko) * 2011-11-21 2014-02-17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CN108304712A (zh) * 2018-02-07 2018-07-20 深圳市亿联智能有限公司 一种具有高安全性高可靠度的缩位密码输入方式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398B1 (ko) * 2011-11-21 2014-02-17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KR101269419B1 (ko) * 2011-12-05 2013-06-04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WO2013085204A1 (ko) * 2011-12-05 2013-06-13 (주)네오위즈게임즈 인증 처리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 및 기록매체
KR101259824B1 (ko) * 2012-02-24 2013-04-30 주식회사 텔스카 시큐어 os를 이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입력 방법
CN108304712A (zh) * 2018-02-07 2018-07-20 深圳市亿联智能有限公司 一种具有高安全性高可靠度的缩位密码输入方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203B2 (ja) パスワードキーの移動値を利用するパスワード安全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パスワード安全入力方法
KR101228088B1 (ko)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US7240367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nputting password and password system using the same
JP3695695B2 (ja) パスワードの生成照合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8179929B (zh) 一种智能家居门锁
CN103034798B (zh) 一种随机密码的生成方法及装置
JP4309447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H09503877A (ja) 個人識別システム
JP2009199581A (ja) 暗証番号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JP2009104314A (ja) 画像選択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装置、画像選択認証方法、および画像選択認証プログラム。
KR20080071707A (ko) 비밀번호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인증방법
US201000833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ypher authentication
CN105354458A (zh) 密码输入验证方法和系统
CN109025529B (zh) 一种防窥探智能门锁
CN104966017A (zh) 一种密码输入保护系统和方法
KR100594443B1 (ko)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KR102401127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CN113672886A (zh) 提示方法和装置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JP2000029609A (ja) 記号列入力装置および認証装置
JP2005078251A (ja) 文字入力方法
KR100942297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그 인증방법
KR20020034379A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컴퓨터 해킹 방지 및 기계식 보안 장치용 패스워드보안시스템
KR20050022576A (ko) 비밀번호 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KR102390175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