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75B1 -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75B1
KR102390175B1 KR1020210173287A KR20210173287A KR102390175B1 KR 102390175 B1 KR102390175 B1 KR 102390175B1 KR 1020210173287 A KR1020210173287 A KR 1020210173287A KR 20210173287 A KR20210173287 A KR 20210173287A KR 102390175 B1 KR102390175 B1 KR 102390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ge
output
password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438A (ko
Inventor
최희찬
최희호
최승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0622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07607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Publication of KR2021015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표시들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페이지와,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된 입력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페이지를 각각 생성하고,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페이지생성부와, 페이지생성부로부터 출력페이지 및 입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와, 입력페이지와 출력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는 입력제어부와,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패스워드 입력 시 식별표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패스워드 입력모습이 제3자에게 유출되어도 제3자에게 패스워드 자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스워드의 비밀보장을 확보하여 보안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패스워드를 간소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Hidden password input method}
본 발명은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스워드 입력 시 제3자로부터 패스워드 노출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기술들의 대중화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들은 사람들의 일과 생활 속에 스며들었으며, QQ, WeChat 및 Tmall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이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이용자의 정보 보안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이용 허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해야 하며, 인증이 완료되어야만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4657호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패스워드 입력방식은, 정해진 패스워드를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할 시 그 입력위치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훔쳐보기 등을 통하여 사용자 이외 제3자에게 패스워드가 쉽게 노출될 수 있어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4657호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 시 식별표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패스워드 입력모습이 제3자에게 유출되어도 제3자에게 패스워드 자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스워드의 비밀보장을 확보하여 보안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패스워드를 간소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표시들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페이지와,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된 입력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페이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페이지생성부와; 상기 페이지생성부로부터 상기 출력페이지 및 상기 입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입력페이지와 상기 출력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는 입력제어부와;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 인증모드 시,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키패드창이 키입력에 대한 입력기능이 미활성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창은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입력페이지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시킨 후,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출력페이지 출력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창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명령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출력페이지 출력요청과 상기 입력키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명령표시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명령표시창은, 키 입력 시 상기 출력페이지의 상기 키패드창을 출력하도록 하는 쇼(show)키와, 키 입력 시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Deleate)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페이지 또는 상기 입력페이지는, 사용자에게 페이지 이용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의 키입력 위치를 안내하도록 각각의 키 위치에 기 설정된 형상의 위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표시부는, 외형선이 점선이고, 내부가 투명한 기 설정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는, 외형선이 투명선이고, 내부가 반투명의 기 설정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는, 외형선이 투명선이고, 내부가 투명한 기 설정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는, 각각의 입력위치 중앙에 단일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페이지는,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1광고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페이지는, 상기 제1광고정보와 연계된 제2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2광고창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광고창은, 상기 위치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고창은, 상기 제1광고창의 광고대상 물품 또는 기업의 로고 또는 CI(Corporate Identity) 또는 상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이 필요한 휴대단말기, 컴퓨터단말기, 도어락, ATM기, 금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표시들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페이지와,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된 입력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력페이지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페이지생성부와; 상기 페이지생성부로부터 상기 출력페이지 및 상기 입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입력페이지와 상기 출력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는 입력제어부와;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키패드창과 상기 입력창이 키입력에 대한 입력기능이 활성화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되, 상기 출력페이지에서 상기 입력페이지 순으로 입력키를 연속 조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시킨 후,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출력페이지 출력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창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명령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출력페이지 출력요청과 상기 입력키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명령표시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명령표시창은, 키 입력 시 상기 출력페이지의 상기 키패드창을 출력하도록 하는 쇼(show)키와, 키 입력 시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Deleate)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페이지 또는 상기 입력페이지는, 사용자에게 페이지 이용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의 키입력 위치를 안내하도록 각각의 키 위치에 기 설정된 형상의 위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표시부는, 외형선이 점선 또는 투명선이고, 내부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기 설정된 도형 또는, 각각의 입력위치 중앙에 단일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페이지는,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1광고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페이지는, 상기 제1광고정보와 연계된 제2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2광고창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고창은, 상기 위치표시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광고창의 광고대상 물품 또는 기업의 로고 또는 CI(Corporate Identity) 또는 상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이 필요한 휴대단말기, 컴퓨터단말기, 도어락, ATM기, 금고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표시들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생성부와; 상기 페이지생성부로부터 상기 출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키를 수신하는 입력제어부와;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출력제어부가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는 동안에는 상기 입력모듈의 입력키 수신을 미활성 상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페이지는, 사용자에게 페이지 이용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페이지는,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1광고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페이지생성부와, 출력제어부와, 입력제어부와,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하여, (a) 상기 페이지생성부가 식별표시들이 배열되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는 출력페이지 또는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된 입력창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페이지생성부가 상기 출력페이지 또는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입력제어부가 상기 입력페이지와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실행부로 입력키를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인증실행부가 상기 입력키를 통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 인증모드 시,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시킨 후,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출력페이지 출력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명령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입력페이지 출력 후 사용자의 입력키 삭제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실행부는,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상기 입력키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사용자에게 페이지 이용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페이지 또는 상기 입력페이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에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페이지에 상기 제1광고정보와 연계된 제2광고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페이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되, 상기 출력페이지에서 상기 입력페이지 순으로 입력키를 연속 조합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패드창은, 출력 시마다 상기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가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 시마다 상기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출력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지설정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증가할수록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제어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패스워드 입력키 수신을 중지하고, 패스워드 입력 중지 해제 후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페이지에 상기 제2광고창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광고창을 터치하여 광고내용을 확인하면 패스워드 입력 중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패스워드 입력 시 식별표시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패스워드 입력모습이 제3자에게 유출되어도 제3자에게 패스워드 자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패스워드의 비밀보장을 확보하여 보안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패스워드를 간소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키패드를 통하여 패스워드 입력 시 동일한 위치의 식별표시를 반복 사용함으로써 제3자에게 패스워드를 노출시킬 우려가 있는 기존과는 달리, 출력 시마다 식별표시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제3자의 패스워드 복제를 어렵게 할 수 있어, 패스워드를 보다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제1광고창과 제2광고창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광고정보를 노출하여 광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광고창과 제2광고창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되 제2광고창은 제1광고창의 광고내용과 연계된 광고내용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 바탕화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패스워드 입력 시 위치표시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됨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이지생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페이지생성부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입력페이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출력페이지에서 위치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입력페이지에서 위치표시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도 6의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도 8의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히드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의 옵션메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은, 페이지생성부(100)와, 출력제어부(200)와, 입력제어부(300)와, 인증실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되는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다양한 창들을 조합 및 구성하여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생성하며, 이때의 창들은 후술되는 키패드창(10), 입력창(20), 메시지창(40), 기능명령표시창(30) 및 광고창(51,52)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창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페이지구성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의 출력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인증모드인 경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특정 창의 출력 및 편집이 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등 다양하며, 이러한 각 실시예들에 대한 페이지생성부(100)의 출력페이지 입력페이지의 출력순서는 이후의 패스워드입력방법에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경우 사용자가 식별표시들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으로 2초, 3초, 4초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출력시간은 사용자가 후술되는 옵션들을 통하여 각 페이지의 출력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제어부(200)는,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로부터 상기 출력페이지 및 상기 입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출력시간동안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제어부(200)는, 상기 페이지생성부(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도록 각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입력페이지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입력키를 상기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입력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공지의 터치스크린 정전용량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압력감지방식 등 다양한 감지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사용자의 인증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입력페이지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여부를 결정하고 보안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출력페이지의 키패드창(10)에 표시되는 식별표시는 매회 출력 시마다 그 배열 위치가 랜덤(Random)으로 변경된다. 때문에,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출력 시 마다 변경되는 식별표시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상기 입력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상기 입력키와 상기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식별표시)의 배열위치에 대한 상기 입력키의 입력위치 및 입력순서를 통하여 상기 입력키의 입력값을 해독 및 해석하고, 상기한 입력값과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구성 및 상기 입력페이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출력페이지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출력페이지는, 식별표시들이 배열되어 표시된 키패드창(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패드창(10)은, 입력기능이 미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입력을 하여도 입력키가 생성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입력페이지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키패드창(10)은,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키입력을 하면 입력키가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세부적으로는 출력페이지에서 입력페이지 순으로 입력키를 연속시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페이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키패드창(10)의 입력기능 활성화유무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키패드창(10)은, 1회 출력 시마다 상기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가 랜덤으로 변경되어 설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매회 패스워드 입력 시 동일위치를 입력하지 않아 제3자로 하여금 패스워드 노출 및 복제를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를 보다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출력페이지는,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1광고창(5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광고정보는, 특정회사의 로고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상기 제1광고창(51)은, 상기 키패드창(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출력페이지는, 상기 제1광고창(51)을 상기 키패드창(1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가로, 세로 전환에 따라 상기 제1광고창(51)을 상기 키패드창(10)의 측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등 상기 제1광고창(51)과 키패드창(10)과의 배열구조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페이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페이지는, 사용자에게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창(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창(20)은, 상기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되고 입력기능은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창(20)은, 미표시된 식별표시들이 전술한 출력페이지의 키패드창(10)의 식별표시들과 동일한 배열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입력창(20)은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되기 때문에, 제3자에게 패스워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페이지는, 메시지창(40)과, 기능명령표시창(30)과, 제2광고창(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시지창(40)은, 사용자에게 페이지 이용안내 또는 사용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창(40)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창(40)은, 다양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메시지창(40)은, 이 외 다양한 이용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능명령표시창(3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요청과, 상기 입력키의 편집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능명령표시창(3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명령표시창(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쇼(show)키와, 삭제(Deleate)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쇼키는, 키 입력 시 상기 출력페이지의 상기 키패드창(10)을 출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쇼키는, 사용자가 이전의 출력페이지에서 키패드의 식별표시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였거나, 기억이 나지 않을 경우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키패드창(10)의 식별위치를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삭제키는, 키 입력 시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삭제키는, 사용자가 패스워드 입력을 잘못했을 경우 입력키의 정보를 삭제하여 패스워드의 재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기능명령표시창(30)은, 상기한 쇼키와 삭제키만을 나타내었으나, 이 외 다른 기능명령키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능명령표시창(30)은, 상기한 쇼키와 삭제키와 같은 문자로 표시할 수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사용자에게 기능명령을 확인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이미지로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2광고창(52)은, 제2광고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페이지에 구성되어 패스워드 입력 시 사용자에게 광고를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광고정보는 제1광고정보와 연계된 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제1광고창의 광고대상 물품 또는 기업의 로고 또는 CI(Corporate Identity) 또는 상표로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1광고정보가 특정 제조회사 또는 특정 광고물품에 대한 광고내용을 포함할 때, 상기 제2광고정보는 상기 제1광고정보에서 표시된 특정 제조회사의 광고물품 또는 상기 광고대상 물품의 상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처음 출력페이지에는 제1광고창(51)을 표시하고, 다음으로 이어지는 입력페이지에는 제1광고창(51)의 광고내용과 연계된 광고내용을 갖는 제2광고창(52)을 이어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인식효과를 높여 광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광고창(52)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위치표시부(6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입력페이지의 위치표시부(60)에는 식별표시가 미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표시가 표시되는 부분에 제2광고창(5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표시부(60)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하여 더 많이 인식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위치표시부(60)에 제2광고창(52)을 형성함으로써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제2광고창(52)을 위치표시부(60)에 표시하는 것은 일 실시예로 상기 제2광고창(52)은, 전술한 제1광고창(51)과 같이 입력창(20)의 상부 또는 하부 등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출력페이지의 식별표시에 대한 위치 및 형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페이지의 식별표시는,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투명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투명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형선은 점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페이지의 식별표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표시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고, 바탕화면의 이미지를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반투명의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구성을 예로 나타내었으나, 이 외 다양한 형상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입력페이지의 입력창(20)에 형성되는 위치표시부(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입력창(20)은, 사용자의 키확인 또는 키입력 위치를 안내하도록 식별표시들로 이루어진 각각의 키 위치에 기 설정된 형상의 위치표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표시부(60)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표시부(60)는, 외형선이 투명선이고, 내부가 반투명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표시부(6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선이 점선이고, 내부가 투명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표시부(6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선이 점선이고, 내부가 반투명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표시부(60)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선이 투명선이고, 내부가 투명하도록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화면에는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바탕화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표시부(6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의 입력위치의 중앙에 단일점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입력페이지는, 다양한 입력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입력창이 포함되지 않은 페이지도 입력페이지의 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출력페이지에서 출력된 식별표지의 배열 및 피영역에 대응하여 터치패널의 좌표 및 영역에 대한 입력값의 설정은 제공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 입력페이지상의 어떠한 위치나 영역에 대한 표시가 없으나 사용자가 출력페이지에서 출력했던 키패드 형태 및 배열을 기억하여 대응되는 위치의 터치를 입력하면 해당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디바이스는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실시예에서 위치표시부가 외형선이 투명선이고 내부가 투명하게 설정된 실시예의 경우 입력창이 표시되지 않은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이하 '패스워드 입력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은 전술하였으므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패스워드 입력방법 및 이에 따른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의 출력순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a)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한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전술한 키패드창(10), 메시지창(40) 및 제1광고창(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 및 구성하여 출력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창(20), 메시지창(40), 기능명령표시창(30) 및 제2광고창(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합 및 구성하여 입력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가 생성되면, (b)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각각 다음 실시예들에 의하여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를 선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실시예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사용자 인증모드 시,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1회 출력 시마다 상기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모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자 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일순간 꺼지게 했다가 다시 켰을 때의 경우는 사용자 인증모드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제2실시예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출력시간동안 출력시킨 후,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은, 사용자가 식별표시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시간으로, 2초, 3초, 4초... 등과 같이 초단위로 그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이렇게 출력페이지가 출력되어 설정된 출력시간을 경과하면 바로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
제3실시예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기능명령표시창(30)을 통하여 사용자의 출력페이지 출력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쇼키 입력), 상기 키패드창(10)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명령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입력페이지 출력 시 사용자가 상기 쇼키를 입력하여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패드창(10)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입력페이지 출력 시 사용자가 상기 삭제키를 입력하여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창(20)을 포함하는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쇼키를 터치하여 쇼키가 입력되는 동안에는 상기 키패드창(10)을 포함하는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쇼키로부터 터치를 해제하면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명령이 해제된 것으로 하여 입력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상기 출력명령의 해제를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출력명령 입력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출력명령이 해제된 것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쇼키를 입력하여 키패드창(10)을 포함하는 출력페이지가 출력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입력창(20)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c)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입력페이지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실행부(400)로 입력키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삭제키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입력키 삭제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인증실행부(400)로부터 입력키가 전송되면, (d)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상기 입력키를 통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상기 입력키와 상기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며, 이의 세부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6 및 도 7은 출력페이지가 출력된 후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이와 달리 입력페이지가 먼저 출력된 후 사용자의 출력명령에 의하여 출력페이지가 출력되어 이를 통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페이지생성부(100)는 출력페이지 및 입력페이지를 생성하고(S11), 이 후 사용자 인증모드가 시작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페이지를 출력한다(S12).
이렇게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이 설정된 출력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S13).
한편,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입력페이지를 출력하기 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창(40)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메시지창(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안내 내용으로 '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 외 다양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면에서 상기 메시지창(40)이 도 7의 (b) 전 단계에서 출력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메시지 내용에 따라 도 7의 (a) 단계 이전에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한 메시지창(40)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 출력은 경우에 따라 삭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한다(S14).
한편, 상기 입력페이지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키와, 삭제키를 포함하는 기능명령표시창(30)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만약 사용자는, 상기한 입력페이지 출력 후 키패드창(10)의 식별표시 재확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한 출력명령(쇼키)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출력명령 입력에 의하여 출력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한 출력페이지 출력 후 설정된 출력명령이 해제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입력키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키를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하고, 인증실행부(4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15).
한편, 여기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전의 출력페이지 출력 후 입력페이지 출력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 후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S16), 보안해제(S17)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페이지생성부(100)로 신호를 전송하고, 그러면 상기 페이지 생성부는 이전의 출력페이지 출력 후 입력페이지를 다시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페이지생성부(100)는 출력페이지 및 입력페이지를 생성한다(S21).
그런 다음,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입력페이지는 하부에 패스워드 입력요청을 내용으로 하는 메시지창(40)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되며, 이후 메시지창(40)이 사라지면 입력창과 기능명령표시창(30)이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페이지의 기능명령표시창(30)에서 출력명령(쇼키)을 입력하고, 이렇게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페이지의 키패드창(10)을 출력한다(S22).
이렇게 키패드창(10)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이에 출력명령이 해제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S23).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S24). 인증실행부(4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S25),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S26), 보안해제(S27)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페이지생성부(100)는, 사용자 인증모드가 시작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명령표시창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명령표시창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형태의 잠금이미지로서, 상기 잠금이미지는 전술한 쇼키와 같은 출력명령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기능명령표시창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잠금이미지를 터치하여 출력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페이지의 키패드창(10)을 출력한다(S22).
이후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이 설정된 출력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이전의 키패드창(10)의 식별표시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거나 식별표시 재확인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출력명령인 쇼키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쇼키를 입력하면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키패드창(10)을 포함하는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게 되어 사용자가 식별표시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사용자가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출력명령(쇼키)이 해제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후 사용자 인증과정은 전술한 사용자 인증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은, 출력페이지에서 키패드창(10)의 입력기능이 미활성화된 경우, 이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설정부(100)는, 키패드창(10)의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력페이지에서도 입력이 가능하여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페이지에서 입력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입력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출력페이지 및 입력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후 사용자 인증모드가 시작되면 출력페이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페이지는, 입력기능이 활성화된 키패드창(10)을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상기 출력페이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여, 출력시간동안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키 생성이 가능하다.
이 후 상기한 출력페이지 출력시간이 설정된 출력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페이지생성부(100)는 입력페이지를 출력한다.
이렇게 입력페이지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입력창을 통하여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해지며, 전술한 기능명령표시창(30)의 쇼(show)키와, 삭제(Deleate)키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입력키를 수신하여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는 각각 입력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 모두로부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출력페이지에서 수신된 입력키와 입력페이지에서 수신된 입력키의 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조합하여 인증실행부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실시예로 사용자가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 동안 패스워드를 모두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출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를 수신하여 이를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출력페이지가 아닌 입력페이지의 출력 시 패스워드 모두를 입력하는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입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를 수신하여 이를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동안 패스워드 일부를 입력하고, 이어지는 입력페이지의 출력시간동안 패스워드 나머지를 입력하는 세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상기 출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와 상기 입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 각각을 출력페이지에서 입력페이지 순으로 연속 조합하여 이를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출력페이지에서 패스워드 '1234' 중 첫 번째 두자리인 '12'를 입력하고, 입력페이지에서 나머지 패스워드 '34'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출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12'와 입력페이지로부터 수신된 입력키 '34'를 연속 조합한 '1234'를 인증실행부(40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인증실행부(4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보안해제를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출력페이지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 및 이의 인증이 필요한 휴대단말기, 컴퓨터단말기, 도어락, ATM기, 신용카드 결재기 및 금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디바이스가 터치패널방식인 경우, 상기 출력제어부(200)와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출력페이지 및 입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입력키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달리 본 발명은, 아날로그방식의 버튼식 키패드와 디스플레이화면을 갖는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출력 시마다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가 변경된 식별표시들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생성부와, 상기 페이지생성부로부터 상기 출력페이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제어부와,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이 종료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입력모듈로부터 입력키를 수신하는 입력제어부와,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출력제어부가 상기 출력페이지를 출력하는 동안에는 상기 입력모듈의 입력키 수신을 미활성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키 입력 시에는 출력페이지를 종료하여, 키패드의 식별번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증모드 시에도 출력페이지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페이지는, 전술한 메시지창과, 제1광고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한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출력제어부(200)가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출력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제어부(300)는 디바이스의 키패드와 연결되어 입력키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출력제어부(200)와 입력제어부(300)를 통하여, 출력수단과 입력수단이 같은 터치패널방식의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출력수단과 입력수단이 분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과 키패드로 이루어진 아날로그방식의 디바이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 외 다양한 구성의 디바이스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의 편집하거나, 패스워드를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설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상기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메뉴)들로 이루어진 설정창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옵션들은, 상기한 페이지생성부와 연계된 출력페이지와 입력페이지의 출력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인증실행부와 연계된 패스워드 설정 등과 관련한 다양한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옵션들은, 디스플레이부의 잠금화면 사용여부, 패스워드 자리수, 패스워드 수정/편집, 위치표시부의 색상, 배경화면 및 출력페이지 출력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패스워드 분실 시 잠금해제를 위한 백업 PIN입력메뉴도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옵션들은, 잠금화면사용여부, 패스워드 자리수 및 패스워드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화면 메뉴, 패스워드 입력키패드 설정 메뉴, 배경화면설정 메뉴, 랜덤키패드 동작시간 메뉴, 백업용 PIN설정 메뉴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은, 아래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 있다.
첫째,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증가할수록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패스워드 입력오류 횟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키패드창에 표시된 식별표시들의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패스워드 입력오류 횟수가 증가할수록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을 증가시켜 키패드창에 표시된 식별표시 노출시간을 늘리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금 키패드창에 표시된 식별표시들로부터 패스워드 입력키의 위치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 및 기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입력제어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패스워드 입력키 수신을 중지하고, 패스워드 입력 중지 해제 후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한 패스워드 입력키 수신이 중지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3분에서 5분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대기시간은 디바이스 사용이 급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안겨줄 수 있다.
이에,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오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입력페이지에 상기 제2광고창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광고창을 터치하여 광고내용을 모두 확인하면 패스워드 입력 중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기 시간을 단축시켜 디바이스 사용을 보다 빨리 이용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다.
셋째,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에서 제1광고창이 출력되면 출력시간을 보다 늘릴 수 있다.
이는 제1광고창이 출력되는 만큼 사용자에게 키패드창의 식별표시를 확인하기 위한 집중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광고창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식별표시가 있는 키패드창이 포함된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을 늘려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키패드창 20 : 입력창
30 : 기능명령표시창 40 : 메시지창
51 : 제1광고창 52 : 제2광고창
60 : 위치표시부 100 : 페이지생성부
200 : 출력제어부 300 : 입력제어부
400 : 인증실행부

Claims (1)

  1. 페이지생성부와, 출력제어부와, 입력제어부와, 인증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하여,
    (a) 상기 페이지생성부가 식별표시들이 배열되어 표시된 키패드창을 포함하는 출력페이지 또는 식별표시들이 미표시된 입력창을 포함하는 입력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페이지생성부가 상기 출력페이지 또는 상기 입력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c) 상기 입력제어부가 상기 입력페이지와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실행부로 입력키를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인증실행부가 상기 입력키를 통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사용자 인증모드 시, 상기 출력페이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출력페이지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시킨 후, 상기 입력페이지를 출력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와 상기 입력페이지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키를 수신하되, 상기 출력페이지에서 상기 입력페이지 순으로 입력키를 연속 조합하여 수신하고: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시간은 사용자가 옵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시마다 상기 식별표시들의 배열위치를 변경시켜 상기 출력페이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창은,
    사용자의 키입력 위치를 안내하도록 각각의 키 위치에 기 설정된 형상의 위치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페이지생성부는,
    상기 출력페이지의 출력 시, 상기 출력페이지에 제1광고정보가 표시되는 제1광고창을 포함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페이지의 출력시, 상기 위치표시부에 표시되고, 상기 제1광고정보와 연계된 광고대상 물품, 기업의 로고, CI(Corporate Identity) 또는 상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제2광고정보가 표시되어, 패스워드 입력 시 사용자에게 제1광고정보에 연계된 제2광고정보를 인식시키는 제2광고창을 포함하여 출력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입력제어부는,
    상기 입력페이지 출력 후 사용자의 입력키 삭제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키의 입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실행부는,
    상기 입력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입력키의 위치 및 입력순서와 상기 입력키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상기 출력페이지에 표시된 키의 배열위치를 통해 비교하여 인증여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210173287A 2019-08-29 2021-12-06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390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29A KR20190107607A (ko) 2019-08-29 2019-08-29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190106229 2019-08-29
KR1020190129928A KR102401127B1 (ko) 2019-08-29 2019-10-18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928A Division KR102401127B1 (ko) 2019-08-29 2019-10-18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438A KR20210152438A (ko) 2021-12-15
KR102390175B1 true KR102390175B1 (ko) 2022-04-25

Family

ID=7468590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286A KR102390173B1 (ko) 2019-08-29 2021-12-06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210173287A KR102390175B1 (ko) 2019-08-29 2021-12-06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210173288A KR20210151040A (ko) 2019-08-29 2021-12-06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210173285A KR20210154118A (ko) 2019-08-29 2021-12-06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286A KR102390173B1 (ko) 2019-08-29 2021-12-06 패스워드 입력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288A KR20210151040A (ko) 2019-08-29 2021-12-06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0210173285A KR20210154118A (ko) 2019-08-29 2021-12-06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102390173B1 (ko)
WO (1) WO20210401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102A (ko) * 2005-08-22 2005-09-12 송정헌 번호 숨김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KR101349526B1 (ko) * 2007-02-05 2014-01-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자동화기기 및 디스플레이방법.
JP2011228436A (ja) * 2010-04-19 2011-11-1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KR101224104B1 (ko) * 2010-11-16 2013-02-06 청산화학(주) 옻 추출물을 이용한 식물의 병해충 방제제
US20150052602A1 (en) * 2013-08-14 2015-02-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Password Input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TWI512536B (zh) * 2015-02-04 2015-12-11 Lanner Electronic Inc 一種具有保密性的輸入方法
US11126702B2 (en) 2016-01-22 2021-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lication login password inpu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826320B1 (ko) * 2017-05-12 2018-02-07 주식회사 생활이엔엠 잠금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90107607A (ko) * 2019-08-29 2019-09-2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438A (ko) 2021-12-15
KR20210154118A (ko) 2021-12-20
KR20210151040A (ko) 2021-12-13
KR20210153574A (ko) 2021-12-17
KR102390173B1 (ko) 2022-04-25
WO2021040132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7483A1 (en) Security systems for protecting an asset
US9521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asswords using key inputs and contextual inputs
US8311530B2 (en) Touch entry of password on a mobile device
US10592653B2 (en)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US10623548B2 (en) Mobile terminal unlock method
JP2012133717A (ja) パスワード入力認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JP2005537574A (ja) 強化パスワードを有するユーザー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76557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CN107871075B (zh) 密码认证装置
KR102401127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102390175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JP2006011940A (ja) 個人認証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認証用データ入力処理プログラム、端末制御プログラム
CN111428222A (zh) 移动终端的手势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JP2005250530A (ja) 文字入力装置
JP2015041276A (ja) 端末装置の認証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5311A (ja) パスワード認証装置
EP3346406A1 (en) Data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ata input method
KR20050022576A (ko) 비밀번호 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WO2008084435A1 (en) Security arrangement
JP2005242706A (ja) 利用者認証照合装置
Furnell User authentication
JP2008077342A (ja) 自動取引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