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027B1 -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027B1
KR100790027B1 KR1020060110295A KR20060110295A KR100790027B1 KR 100790027 B1 KR100790027 B1 KR 100790027B1 KR 1020060110295 A KR1020060110295 A KR 1020060110295A KR 20060110295 A KR20060110295 A KR 20060110295A KR 100790027 B1 KR100790027 B1 KR 10079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nit
password
door lo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섭
성낙균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최영섭
성낙균
이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섭, 성낙균, 이재덕 filed Critical 최영섭
Priority to KR102006011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 출입자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 입력부와, 가변자판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증부;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인증비밀번호 저장부;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을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제어부;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는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제어부는 인증시마다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자판의 배열을 가변하되 랜덤하게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변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시에 가변 자판에 관한 자판 정보가 상기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입력키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입력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가변자판상에서 일련의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경우에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 상대적 위치, 방향 키

Description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 출입인증방법{A 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인증부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가변 자판의 일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지털 도어락 102 : 인증부
104 : 버튼 키 입력부 106 : 디스플레이부
108 :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 110 : 인증 제어부
112 :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 114 :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
116 : 구동부 118 : 전원부
본 발명은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하는 출입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상점, 정부 기관, 기업 등은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 자물쇠에서 복잡한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을 가진 고가의 기계적 장치와 기계적 메커니즘에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지 기계적 메커니즘(Mechanism)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출입문의 잠금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기(Electromagnetic)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수단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Magnetic Stripe)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방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의 다양한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출입자를 인증하고,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한다.
그런데, 키 입력부를 통한 인증수단 입력 방식을 채택하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통상 복수의 키 버튼이라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키버튼을 눌러 숫자열을 입력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입력된 숫자열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할 때,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동행인 등이 옆에서 보고 있는 동안 비밀번호를 눌러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며 그렇다고 일부로 가리고 누르는 것도 타인을 의심한다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어 어색한 기분을 느끼게 된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로 어떤 번호를 누르는지 들여다 봄으로써 비밀번호가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인이 아무리 정확히 들여다 보아도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 출입자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 입력부와, 가변자판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증부;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인증비밀번호 저장부;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을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제어부;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 제어 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는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제어부는 인증시마다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자판의 배열을 가변하되 랜덤하게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변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시에 가변 자판에 관한 자판 정보가 상기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입력키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입력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가변자판상에서 일련의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경우에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는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열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저장 인증비밀번호 중 첫 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한 이후 일련의 숫자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에서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가변자판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가변자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출입자로부터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련의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인증 키를 입력 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저장 인증비밀번호와 저장 가변자판 정보로부터 가 변자판상에서 복수 개의 숫자로 구성되는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각 숫자의 시퀀스에 있어서 숫자간의 순차적인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올바른 입력키 세트 중의 하나와 상기 입력키 정보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0)은 인증부(102),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 인증 제어부(110), 인증비밀번호 저장부(112),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 구동부(116) 및 전원부(118)를 포함한다.
인증부(102)는 실외측에 위치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출입자로부터 키를 입력 받기 위한 장치이다. 인증부(102)는 키를 입력 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제어부(110)로 송신한다. 여기서, 키는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및 괘정하기 위하여 출입자가 정보를 디지털 도어락에 입력하는 하드웨어적인 수단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수단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버튼 키 입 력부(104)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특이하게도 버튼 키 입력부(104)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처럼 0 내지 9의 10개의 숫자 키와 '#' 키, '*' 키로 구성된 것이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방향 키(200)와 선택 키(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증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키 입력부(104)외에도 디스플레이부(106)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0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하게 배열된 숫자 배열을 표시한다. 따라서 출입자가 디스플레이부(106) 화면을 보면서 버튼키 입력부(104)의 버튼키를 조작하여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인증부는 버튼 키 입력부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인증 제어부(110)는 인증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는 MPU(MPU : Micro Processor Unit)로 구성되며, 인증부(102),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 및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와 연결되어 있다. 인증 제어부(110)는 인증부(102)로부터 수신한 입력키 정보,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에 저장된 저장 인증비밀번호 정보,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가변자판의 자판배열 정보로부터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수행한 결과를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로서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로 송신한다.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는 인증 작업에 필요한 비밀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될 수 있다.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는 인증 작업에 필요한 가변자판의 자판배열 정보즉 저장 가변자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로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바이트(Byte)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는 직렬, 병렬 포트 및 클럭 회로를 구비한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도어락을 구동하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증 제어부(110), 구동부(116) 및 전원부(118)와 연결되어 있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는 인증 제어부(110)로부터 수신한 인증 성공 신호 또는 인증 실패 신호를 토대로 디지털 도어락(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는 인증 제어부(110)로부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면, 해정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부(116)로 송신함으로써 구동부(116)로 하여금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도록 제어한다.
구동부(118)는 하나 이상의 릴레이 구동 장치,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서보 모터, 모티스(Mortis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6)로부터 해정 신호를 수신하면,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한다.
전원부(120)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6)를 통해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전술한 모든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내부 전원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증 제어부는 인증시마다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자판의 배열을 가변하여 랜덤 자판 배열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가변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시에 가변 자판에 관한 자판 정보가 상기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자판이 형성된 경우 7-8-9-4-5-6-1-2-3-*-0-#라는 12개의 자판의 배열 순서에 관한 정보가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한다.
본 발명의 경우는 입력키 버튼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 키(200)와 선택 키(202)로 구성되어 있어서, 출입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변자판을 보고 방향 키와 선택 키를 조작하여 인증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인증비밀번호의 각각의 숫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고, 복수 개의 숫자로 구성된 일련의 인증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간의 가변자판상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련의 인증비밀번호의 전후 숫자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자판 배열 상에서 인증비밀번호가 123임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우선 1에 대한 2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고, 다시 2에 대한 3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게 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2는 1의 바로 오른쪽에 존재하며, 3은 2의 바로 오른쪽에 존재한다. 그러면,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변자판을 보고 도 2의 버튼 키 입력부를 사용하여 입력하되, 1에 대한 2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오른 쪽 화살표를 한번 입력하고 선택버튼을 입력하고 다시 2에 대한 3의 상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한 번 입력하고 선택버튼을 두 번 입력하여 입력 완료를 표시함으로써 모든 입력을 완료한다. 즉 '→」→」」'를 누름으로써 입력을 완료한다. 여기서, 」는 선택버튼 입력을 표시한 것이다. 물론 인증 절차를 시작할 때 출입자가 어떤 버튼 키를 눌러 인증 절차 시작을 인증 제어부측에 알릴 수 있게 하는 것은 당연하며, 이를 위채 초기에 누르는 버튼 키는 방향 키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선택 키일 수도 있고 별도의 다른 버튼 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인증 제어부측에서는 인증 절차 시작을 알리는 버튼 키의 입력이 있으면 가변 자판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가변 자판 배열에 관한 정보가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하여, 버튼 키 입력을 기다려 인증 절차가 진행되게 한다.
한편, 일련의 인증비밀번호의 전후숫자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대신에 저장 인증비밀번호 중 첫 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한 이후 일련의 숫자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도 3과 같은 가변 자판에 대하여 비밀번호가 마찬가지로 123인 경우 인증비밀번호가 123임을 입력하기 위하여는 우선 1에 대한 2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고, 다시 1에 대한 3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는 1의 바로 오른쪽에 존재하며, 3은 1로부터 오른쪽으로 두 칸 이동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그러면, 출입자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변자판을 보고 도 2의 버튼 키 입력부를 사용하여 입력하되, 1에 대한 2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오른 쪽 화살표를 한번 입력하고 선택버튼을 입력하고 다시 1에 대한 3의 상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오른쪽 화살표를 두 번 입력하고 선택버튼을 두 번 입력하여 입력 완료를 표시함으로써 모든 입력을 완료한다. 즉 '→」→→」」'을 입력하면 올바른 입력이 된다.
한편, 또 하나의 가변자판의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번에는 가변자판이 7-8-*-#-1-6-5-2-3 순으로 배열되어 있을 때, 일련의 인증비밀번호의 전후 숫자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나 경우, 인증비밀번호가 123인 경우 우선 1에 대한 2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고, 다시 2에 대한 3의 상대 위치를 입력하게 된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열되어 있을 때, 디스플레 이부에 표시된 가변자판을 보고 버튼 키 입력부를 사용하여 입력하되, '→↓」→↓」」'를 누름으로써 입력을 완료한다. 물론, '↓→」↓→」」', '→↓」↓→」」', '↓→」→↓」」'를 입력하여도 동일한 상대 위치를 입력한 것이다. 나아가 '↓→'와 '↓→→→→', '↓→↓↓↓↓' 등은 동일한 상대 위치를 나타내므로 동일한 입력으로 취급할 수 있다. 입력된 입력키 정보는 인증부로부터 인증 제어부로 전송되며, 인증 제어부에서는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입력키 정보를 토대로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인증 제어부는 인증부(102),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 및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와 연결되어 있어서, 인증부(102)로부터 수신한 입력키 정보와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에 저장된 저장 인증비밀번호 정보와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가변자판의 자판배열 정보로부터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인증 제어부(110)는 인증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는 MPU(MPU : Micro Processor Unit)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인증 절차를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도 4의 실시예를 기초로 인증 절차를 설명한다. 인증 제어부는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에 저장된 저장 인증비밀번호 정보를 가져오며,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로부터 저장 가변자판 정보를 가져옴으로써, 저장 인증비밀번호 '123'을 구성하는 각각의 숫자 시퀀스 1 2 3 각 숫자의 가변자판 상의 순차적 상대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증부에서 전송되는 입력키 정보가 '→↓」→」」', '↓→」→」」' 등 중 하나일 때에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입력 완료를 의미하는 '」」' 이전의 입력키 시퀀스가 '→↓」→', '↓→」→' 중 하나 인 경우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114)로 송신한다. 즉, 저장 인증비밀번호 정보와 저장 가변자판 정보로부터 올바른 입력키 세트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인증부로부터 전송된 입력키 정보가 이들 올바른 입력키 세트 중의 하나인지를 비교 판단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은 가변 자판에 대하여 저장 인증비밀번호 중 첫 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한 이후 일련의 숫자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한 경우는, '→↓」↓→→」」', '→↓」→↓→」」', '→↓」→→↓」」', '↓→」↓→→」」', '↓→」→↓→」」', '↓→」→→↓」」' 등 가변자판 상에서 저장 인증 비밀번호 중 첫 번째 숫자인 1에 대하여 이후의 숫자 즉 2와 3의 상대적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인증부에서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한다.
인증 실패의 경우는 인증 실패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로 송신하며, 이 경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지 않고 인증이 실패했음을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구비한 스피커 또는 액정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인증 실패가 일정 회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경광등을 점멸하거나 경고음을 발생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서 인증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인증 절차는 입력키정보를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 인증비밀번호와 단순히 숫자의 동일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며, 인증부(102)로부터 수신한 입력키 정보와 인증 비밀번호 저장부(112)에 저장된 저장 인증비밀번호 정보와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가변자판의 자판배열 정보라는 세 개의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은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입력키 정보가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각 숫자의 시퀀스에 있어서 각 숫자의 순차적인 가변자판상의 상대 위치에 관한 정보인지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인증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는 타인이 옆에서 아무리 지켜보더라도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는다. 즉, 비밀번호 중에 첫번째 숫자는 아예 누르지도 않고 몇 개의 방향 키를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누르므로 도저히 타인이 알 수 없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밀번호 중 첫 번째 비밀번호는 입력하지 않고 비밀번호 간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만을 방향 키를 사용하여 입력하게 함으로써, 타인이 아무리 정확히 들여다 보아도 비밀번호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 Lock)에 있어서,
    출입자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 키 입력부와, 가변자판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로부터 인증 키를 입력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증부;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저장하는 인증비밀번호 저장부;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변자판 정보 저장부;
    인증 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을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인증 제어부;
    상기 인증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해정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락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 키 입력부는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제어부는
    인증시마다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자판의 배열을 가변하되 랜덤하게 형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가변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동시에 가변 자판에 관한 자판 정보가 상기 자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게 하며,
    상기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입력키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입력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가변자판상에서 복수 개의 숫자로 구성되는 일련의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경우에 인증 성공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입력키 정보로부터 올바른 입력키 세트를 연산하여, 인증부로부터 전송된 입력키 정보가 이들 올바른 입력키 세트 중의 하나인지를 비교 판단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는 저장 인증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열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인접하는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는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 중 첫 번째 숫자를 기준으로 한 이후 일련의 숫자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5. 디지털 도어락(Door Lock)에서 출입자의 출입을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가변자판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자판의 자판배열에 관한 가변자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출입자로부터 복수의 방향 키와 선택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련의 시퀀스로 이루어지는 인증 키를 입력 받아 입력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저장 인증비밀번호와 저장 가변자판 정보로부터 가변자판상에서 복수 개의 숫자로 구성되는 상기 저장 인증비밀번호의 숫자열에 있어서 숫자간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는 올바른 입력키 세트 중의 하나와 상기 입력키 정보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인증 방법.
KR1020060110295A 2006-11-09 2006-11-09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KR10079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295A KR100790027B1 (ko) 2006-11-09 2006-11-09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295A KR100790027B1 (ko) 2006-11-09 2006-11-09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027B1 true KR100790027B1 (ko) 2008-01-02

Family

ID=3921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295A KR100790027B1 (ko) 2006-11-09 2006-11-09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91A2 (ko) * 2009-07-30 2011-02-03 주식회사 핀스텍 비밀번호 처리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KR101229054B1 (ko) 2011-01-19 2013-02-04 김용삼 시도할 때마다 비밀번호가 바뀌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389A (ja) * 1995-09-28 1997-03-31 Sanpou Lock Co Ltd 電気錠
JPH09274531A (ja) * 1996-04-03 1997-10-21 Takuya Kishimoto 番号や記号等の配列が変化する暗証入力方式
KR19980066679A (ko) * 1997-01-28 1998-10-15 구자홍 숫자 키 입력장치
KR20050041400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이고 비밀번호 보호장치
KR20050071224A (ko) * 2003-12-31 2005-07-07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전형 디지털 비밀 번호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8389A (ja) * 1995-09-28 1997-03-31 Sanpou Lock Co Ltd 電気錠
JPH09274531A (ja) * 1996-04-03 1997-10-21 Takuya Kishimoto 番号や記号等の配列が変化する暗証入力方式
KR19980066679A (ko) * 1997-01-28 1998-10-15 구자홍 숫자 키 입력장치
KR20050041400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이고 비밀번호 보호장치
KR20050071224A (ko) * 2003-12-31 2005-07-07 주식회사 아이레보 회전형 디지털 비밀 번호 입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991A2 (ko) * 2009-07-30 2011-02-03 주식회사 핀스텍 비밀번호 처리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WO2011013991A3 (ko) * 2009-07-30 2011-04-28 주식회사 핀스텍 비밀번호 처리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KR101229054B1 (ko) 2011-01-19 2013-02-04 김용삼 시도할 때마다 비밀번호가 바뀌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119B1 (ko) 정크 데이터 일치여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8458484B2 (en) Password generator
JP5764203B2 (ja) パスワードキーの移動値を利用するパスワード安全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パスワード安全入力方法
EP2732579B1 (en) Event driven second factor credential authentication
AU2016269267B2 (en) Encoding methods and systems
JP5380053B2 (ja) ロッカ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781608B2 (en) EAC system with plurality of different algorithm/operant pairs having different functionality
KR100790027B1 (ko) 비밀번호 노출방지형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사용한출입인증방법
KR100729369B1 (ko) 패스워드 각 문자 정보 사이의 입력시간 차이를 이용한범용 컴퓨터 해킹 방지 및 전자/기계식 패스워드 잠금보안 시스템
CN107091019A (zh) 一种多锁体智能锁的方法、装置
JP2010126915A (ja) 電子錠装置、ロッカー装置及び電子錠装置の制御方法
US20080134318A1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KR102337635B1 (ko) 비밀번호 노출 방지형 디지털 도어락의 출입 인증 방법
KR101767752B1 (ko) 보안키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665351B1 (ko) 임시 인증 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및 그에따른 인증 방법
KR20170094532A (ko) 그래픽 요소를 이용한 보안 키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KR101459912B1 (ko)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0515688B1 (ko)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KR20170101145A (ko) 랜덤 키를 이용한 해킹 및 노출 방지 패스워드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Yang Integration of biometrics and pin pad on smart card
KR101772797B1 (ko) 그래픽 요소를 이용한 보안 키 입력 시스템 및 입력방법
JP2007197924A (ja) カードロックシステム
KR101222199B1 (ko) 암호 인증 장치 및 암호 인증 방법
CN108777672A (zh) 一种多重认证的认证方法及系统
JP2022162220A (ja) アクション制御システム、アクション制御サーバ及びアクショ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