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23B1 - 이동체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체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23B1
KR101279523B1 KR1020117010027A KR20117010027A KR101279523B1 KR 101279523 B1 KR101279523 B1 KR 101279523B1 KR 1020117010027 A KR1020117010027 A KR 1020117010027A KR 20117010027 A KR20117010027 A KR 20117010027A KR 101279523 B1 KR101279523 B1 KR 101279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ell
csg
white lis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260A (ko
Inventor
미호 마에다
미쓰루 모치즈키
타이가 사에구사
야스시 이와네
유지 카케히
마사유키 나카자와
타이세이 스에미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1526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95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SG(Closed Subscriber Group cell)셀은 가입자의 이용을 허가하는 셀이다. CSG셀에 의한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CSG-ID가 이동단말에 통지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non-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상황에서는 입수할 수 없다. CSG셀 및 non-CSG셀 각각에 설치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CSG셀의 이용이 허가된 경우에 발행되는 CSG-ID를 사용하여 CSG셀에 액세스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CSG셀에 설치된 기지국은, 통지된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단말로부터의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는, 그 이동단말이 CSG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허가하는 신호와 CSG-ID를 송신한다. 이동단말은 CSG-ID를 사용하여 CSG셀에 액세스한다.

Description

이동체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이 복수의 이동단말과 무선통신을 실시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로 불리는 통신방식 중,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2001년부터 일본에서 상용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하향 링크(개별 데이터 채널, 개별 제어 채널)에 패킷 전송용의 채널(HS-DSCH: High Speed-Downlink Shared Channel)을 추가함으로써, 하향 링크를 사용한 데이터 송신의 한층 더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HSDPA(High Speed Down Link Packet Access)의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 더구나, 상향 방향의 데이터 송신을 한층 더 고속화하기 위해서 HSUPA(High Speed Up Link Packet Access) 방식에 대해서도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 W-CDMA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규격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해진 통신방식이며, 릴리스 8판의 규격서가 통합되어 있다.
또한, 3GPP에 있어서, W-CDMA와는 다른 통신방식으로서, 무선구간에 대해서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코어 네트워크(간단히 네트워크이라고도 칭한다)을 포함시킨 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시스템 아키텍쳐 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으로 불리는는 새로운 통신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LTE에서는, 액세스 방식, 무선의 채널 구성과 프로토콜이, 현재의 W-CDMA(HSDPA/HSUPA)와는 전혀 다른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방식은, W-CDMA가 부호분할 다원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 LTE는 하향 방향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상향 방향은 SC-FDMA(Single Care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또한, 대역폭은, W-CDMA가 5MHz인 것에 대해, LTE에서는 1.4/3/5/10/15/20MHz 중에서 기지국마다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LTE에서는, W-CDMA와 같이 회선교환을 포함하지 않고, 패킷통신 방식만으로 된다.
LTE는 W-CDMA의 코어 네트워크(GPRS)과는 다른 새로운 코어 네트워크를 사용해서 통신 시스템이 구성되기 때문에, W-CDMA망과는 다른 독립된 무선 액세스 망으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W-CDMA의 통신 시스템과 구별하기 위해, LTE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단말(UE: User Equipment)과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Base station)은 eNB(E-UTRAN NodeB), 복수의 기지국과 제어 데이터와 유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 기지국 제어장치(Radio Network Controller)는 EPC(Evolved Packet Core)(aGW: Access Gateway로 불리는 일도 있다)로 불린다. 이 LTE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유니캐스트(Unicast) 서비스와 E-MBMS 서비스(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가 제공된다. E-MBMS 서비스란, 방송형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며, 간단히 MBMS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이동단말에 대하여 뉴스나 일기 예보와, 모바일 방송 등 대용량 방송 콘텐츠가 송신된다. 이것을 1대다(Point to Multipoint) 서비스라고도 한다.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체적인 아키텍쳐(Architecture)에 관한 현재의 결정 사항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전체적인 아키텍쳐(비특허문헌 14장)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1에 있어서, 이동단말(101)에 대한 제어 프로토콜(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Management))와 유저 플레인(예를 들면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 Radio Link Control, MAC: Medium Access Control, PHY: Physical layer)이 기지국(102)에서 종단한다면,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은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102)으로 구성된다.
기지국(102)은, MME(103)(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통지되는 페이징 신호(Paging Signaling,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s)로도 불린다)의 스케줄링(Scheduling) 및 송신을 행한다. 기지국(102)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또한 기지국(102)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접속된다, 보다 명확하게는 S1_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MME(103)(Mobility Management Entity)에 접속되고, S1_U 인터페이스에 의해 S-GW(104)(Serving Gateway)에 접속된다. MME(103)는, 복수 혹은 단수의 기지국(102)에의 페이징 신호의 분배를 행한다. 또한, MME(103)은 대기 상태(Idle State)의 모빌리티 제어(Mobility control)를 행한다. MME(103)은 이동단말이 대기 상태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일 때에, 트랙킹 에어리어(Tracking Area) 리스트의 관리를 행한다. S-GW(104)는 한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102)과 유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S-GW(104)는 기지국간의 핸드오버시에, 로컬한 이동성의 앵커 포인트(Mobility Anchor Point)가 된다. 더구나 P-GW(PDN Gateway)가 존재하여, 유저마다의 패킷 필터링이나 UE-ID 어드레스의 할당 등을 행한다.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현재의 결정 사항이,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되어 있다.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2에 있어서, 1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다.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같은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분할된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같은 크기의 슬롯(slot)으로 분할된다. 프레임마다 1번째(#0)과 6번째(#5)의 서브프레임에 하향 동기신호(Downlink Synchronization Signal: SS)가 포함된다. 동기신호에는 제1동기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과 제2동기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가 있다. 서브프레임 단위에서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용과 MBSFN 이외의 채널의 다중이 행해진다. 이후, MBSFN 송신용의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MBSFN Subframe)으로 칭한다. 비특허문헌 2에, MBSFN 서브프레임의 할당시의 시그널링 예가 기재되어 있다. 도 3은, MBSFN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3에 있어서, MBSFN 프레임(MBSFN frame)마다 MBSFN 서브프레임이 할당된다. MBSFN 프레임의 집합(MBSFN frame Cluster)이 스케줄된다. MBSFN 프레임의 집합의 반복 주기(Repetition Period)가 할당된다.
3GPP 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구성에 관한 현재의 결정 사항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CSG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에 있어서도 non-CSG셀과 같은 채널 구성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정되어 있다.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대해 (비특허문헌 1 5장)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물리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4에 있어서, 물리 통지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401)은 기지국(102)으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되는 하향 채널이다. BCH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은 40ms 간격 중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매핑된다. 40ms 타이밍의 명백한 시그널링은 없다. 물리 제어 채널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402)은 기지국(102)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된다. PCFICH는, PDCCHs를 위해 사용하는 OFDM 심볼의 수에 대해서 기지국(102)로부터 이동단말(101)에 통지한다. PCFICH은 서브프레임 마다 송신된다.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403)은 기지국(102)으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되는 하향 채널이다. PDCCH는, 리소스 할당(allocation), DL-SCH(도 5에 도시된 트랜스포트 채널의 1개인 하향 공유 채널)에 관한 HARQ 정보, PCH(도 5에 도시된 트랜스포트 채널의 1개인 페이징 채널)을 통지한다. PDCCH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를 운반한다. PDCCH은, 상향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Nack을 운반한다. PDCCH은 L1/L2 제어신호로도 불린다. 물리 하향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404)은, 기지국(102)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되는 하향 채널이다. PDSCH은 트랜스포트 채널인 DL-SCH(하향 공유 채널)과 트랜스포트 채널인 PCH가 매핑되어 있다. 물리 멀티캐시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405)은 기지국(102)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되는 하향 채널이다. PM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MCH(멀티캐스트 채널)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 상향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406)은 이동단말(101)로부터 기지국(102)에 송신되는 상향 채널이다. PUCCH는 하향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인 ACK/Nack을 운반한다. PUCCH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리포트를 운반한다. CQI란 수신한 데이터의 품질, 혹은 통신로 품질을 표시하는 품질정보다. 또한 PUCCH는, 스케줄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를 운반한다. 물리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407)은 이동단말(101)로부터 기지국(102)에 송신되는 상향 채널이다. PUSCH은 UL-SCH(도 5에 도시된 트랜스포트 채널의 1개인 상향 공유 채널)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HARQ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408)은 기지국(102)로부터 이동단말(101)에 송신되는 하향 채널이다. PHICH는 상향 송신에 대한 응답인 ACK/Nack을 운반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409)은 이동단말(101)로부터 기지국(102)에 송신되는 상향 채널이다. PRACH는 FSEJA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운반한다.
하향 레퍼런스 시그널(Reference signal)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기지의 심볼이, 매슬롯의 최초, 3번째, 최후의 OFDM 심볼에 삽입된다. 이동단말의 물리 레이어의 측정으로서, 레퍼런스 심볼의 수신 전력(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 RSRP)이 있다.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해 (비특허문헌1 5장)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5a에는 하향 트랜스포트 채널과 하향 물리 채널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도 5b에는 상향 트랜스포트 채널과 상향 물리 채널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하향 트랜스포트 채널에 대해 통지 채널(Broadcast channel: BCH)은 그것의 기지국(셀) 전체에 통지된다. BCH는 물리통지 채널(PBCH)에 매핑된다. 하향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적용된다. 기지국(셀) 전체에의 통지가 가능하다. 다이내믹 혹은 준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준정적인 리소스 할당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으로도 불린다.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화를 위해 이동단말의 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서포트한다. DL-SCH는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은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동단말의 DRX를 서포트한다. 기지국(셀) 전체에의 통지가 요구된다. 동적으로 트래픽에 이용할 수 있는 물리 하향 공유 채널(PDSCH)과 같은 물리 리소스, 또는 다른 제어 채널의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과 같은 물리 리소스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MCH)은 기지국(셀) 전체에의 통지에 사용된다. 멀티 셀 송신에 있어서의 MBMS 서비스(MTCH와 MCCH)의 SFN 합성을 서포트한다. 준정적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MCH은 PMCH에 매핑된다.
상향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적용된다. 다이내믹 혹은 준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UL-SCH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에 매핑된다. 도 5b에 도시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은 제어 정보에 한정되어 있다. 충돌의 리스크가 있다. RACH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에 매핑된다. HARQ에 대해 설명한다.
HARQ란 자동재송(Automatic Repeat reQuest)과 오류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의 조합에 의해 전송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통신 품질이 변화하는 전송로에 대하여도 재송에 의해 오류정정이 유효하게 기능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재송에 있어서 초송의 수신 결과와 재송의 수신 결과의 합성을 함으로써 한층 더 품질향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재송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수신측에서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드할 수 없었을 경우 (CRC 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한 경우(CRC=NG)), 수신측에서 송신측에 「Nack」을 송신한다. 「Nack」을 수신한 송신측은 데이터를 재송한다. 수신측에서 수신 데이터가 정확하게 디코드할 수 있었던 경우(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CRC=OK)), 수신측으로부터 송신측에 「Ack」을 송신한다. 「Ack」을 수신한 송신측은 다음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HARQ 방식의 일례로서 「체이스 콤바이닝」(Chase Combining)이 있다. 체이스 콤바이닝이란 초송과 재송에 같은 데이터 계열을 송신하는 것으로, 재송에 있어서 초송의 데이터 계열과 재송의 데이터 계열의 합성을 행함으로써 이득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이것은 초송 데이터에 오류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정확한 것도 포함되고 있어, 정확한 부분의 초송 데이터와 재송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보다 고정밀도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고 하는 사고방식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HARQ 방식의 다른 예로서 IR(Incremental Redundancy)이 있다. IR 과는 용장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며, 재송에 있어서 패리티 비트를 송신함으로써 초송과 조합하여 용장도를 증가시켜, 오류정정 기능에 의해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대해 (비특허문헌 1 6장)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논리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6a에는 하향 로지컬 채널과 하향 트랜스포트 채널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도 6b에는 상향 로지컬 채널과 상향 트랜스포트 채널 사이의 매핑을 나타낸다. 통지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은 통지 시스템 제어 정보를 위한 하향 채널이다. 논리 채널인 B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통지 채널(BCH), 혹은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제어 채널(Paging control channel: PCCH)은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채널이다. PCCH는 이동단말의 셀 로케이션을 네트워크가 모르는 경우에 사용된다. 논리 채널인 P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페이징 채널(PCH)에 매핑된다. 공유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CCH)은 이동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송신 제어 정보를 위한 채널이다. CCCH는 이동단말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RRC 접속(connection)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하향 방법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상향 방향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은 1대다의 송신을 위한 하향 채널이다. 네트워크로부터 이동단말에의 1개 혹은 몇개의 MTCH용의 MBMS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MCCH는 MBMS 수신중의 이동단말에만 사용되는 채널이다. M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하향 공유 채널(DL-SCH) 혹은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개별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은 이동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개별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채널이다. DCCH는 상향에서는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하향에서는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개별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 DTCH)은 유저 정보의 송신을 위한 개별 이동단말에의 1대1통신의 채널이다. DTCH는 상향 ·하향 모두 존재한다. DTCH는 상향에서는 상향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하향에서는 하향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 MTCH)은 네트워크로부터 이동단말에의 트래픽 데이터 송신을 위한 하향 채널이다. MTCH는 MBMS 수신중의 이동단말에만 사용되는 채널이다. MTCH는 하향 공유 채널(DL-SCH) 혹은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GCI란, 글로벌 셀 식별자(Global Cell Identity)를 말한다. LT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CSG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이 도입된다. CSG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비특허문헌 7 3.1장). CSG(Closed Subscriber Group)란, 이용 가능한 가입자를 오퍼레이터가 특정하고 있는 셀이다(특정 가입자용 셀). 특정된 가입자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1개 이상의 E-UTRAN셀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가된다. 특정된 가입자가 액세스를 허가되고 있는 1개 이상의 E-UTRAN셀을 "CSG cell(s)"이라고 부른다. 단, PLMN에는 액세스 제한이 있다. CSG 셀이란, 고유의 CSG 아이덴티티(CSG identity: CSG ID, CSG-ID)을 통지하는 PLMN의 일부다. 미리 이용 등록하고, 허가된 가입자 그룹의 멤버는, 액세스 허가 정보인 곳의 CSG-ID를 사용하여 CSG셀에 액세스한다. CSG-ID는 CSG셀이나 셀에 의해 통지된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CSG-ID는 복수 존재한다. 그리고, CSG-ID는, CSG 관련의 멤버의 액세스를 쉽게 하기 위해 단말(UE)에 의해 사용된다. CSG 셀 혹은 셀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를 CSG-ID 대신에 트랙킹 에어리어코드(Tracking Area Code TAC)로 하는 것이 3GPP 회합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다. 이동단말의 위치 추적은, 1개 이상의 셀로 이루어진 구역을 단위로 행해진다. 위치 추적은, 통신을 하지 않고 있는 상태(대기 상태)이라도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호출하는(이동단말이 착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이동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구역을 트랙킹 에어리어로 부른다. CSG 화이트 리스트(CSG White List)란, 가입자가 속하는 CSG셀의 모든 CSG ID가 기록되어 있는, USIM에 격납된 리스트다. 이동단말 내부의 화이트 리스트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 주어진다. 이에 따라 CSG셀의 기지국은 이동단말에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한다.
「적절한 셀」(Suitable cell)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비특허문헌 7 4.3장). 「적절한 셀」(Suitable cell)이란, UE가 보통(normal) 서비스를 받기 위해 캠프 온(Camp ON)하는 셀이다. 그러한 셀은, (1) 셀은 선택된 PLMN이나 등록된 PLMN, 또는 「Equivalent PLMN 리스트」의 PLMN의 일부인 것, (2) NAS(non-access stratum)에 의해 제공된 최신정보에서 이하의 조건을 더 충족시키는 것, (1) 그 셀이 금지된(barred) 셀이 아닌 것. (2) 그 셀이 "로밍을 위한 금지된 LAs" 리스트의 일부가 아니고, 적어도 1개의 트랙킹 에어리어(Tracking Area: TA)의 일부인 것. 그 경우, 그 셀은 상기 (1)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3) 그 셀이, 셀 선택 평가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 (4) 그 셀이, CSG 셀로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에 의해 특정된 셀에 관해서는, CSG-ID는 UE의 「CSG 화이트 리스트」(CSG WhiteList)의 일부인 것(UE의 CSG WhiteList 중에 포함되는 것).
「억셉터블 셀」(Acceptable cell)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비특허문헌 7 4.3장). 이것은, UE가 한정된 서비스(긴급통보)을 받기 위해 캠프 온하는 셀이다. 그와 같은 셀은 이하의 모든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한다. 즉, E-UTRAN 네트워크에서 긴급통보를 개시하기 위한 최소의 세트의 요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1) 그 셀이 금지된(barred) 셀이 아닌 것. (2) 그 셀이, 셀 선택 평가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
셀에 캠프 온(camp on) 한다란, UE가 셀 선택/재선택(cell selection/reselection)처리를 완료하고, UE가 시스템 정보와 페이징 정보를 모니터하는 셀을 선택한 상태이다.
비특허문헌 1: 3GPP TS36.300 V8.6.0 비특허문헌 2: 3GPP R1-072963 비특허문헌 3: 3GPP TR R3.020 V0.6.0 비특허문헌 4: 3GPP R2-082899 비특허문헌 5: 3GPP R2-083494 비특허문헌 6: 3GPP TS36.331 V8.3.0 비특허문헌 7: 3GPP TS36.304 V8.3.0 비특허문헌 8: 3GPP R2-084346 비특허문헌 9: 3GPP S1-083461 비특허문헌 10: 3GPP R2-093950 비특허문헌 11: 3GPP R2-093864 비특허문헌 12: 3GPP R2-093138 비특허문헌 13: 3GPP TS36.213 비특허문헌 14: 3GPP TS36.101
CSG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은, 맨션이나 학교, 회사 등에 다수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맨션에서는 방마다, 학교에서는 교실마다, 회사에서는 섹션마다 CSG셀을 설치하고, 각 CSG셀에 등록한 유저만이 상기 CSG셀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은 사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CSG셀은 포터블 사이즈, 중량을 상정하고 있고, 이들 CSG셀의 설치와 철거는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를 고려하면, 어떤 지점에 있어서는 동시에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송신되게 된다. 즉, 맨션이나 학교, 회사 등에서는, 이동단말이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CSG셀은, non-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CSG셀을 거쳐 이동단말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현재, 맨션의 방이 non-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것 같은 상황이 많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맨션의 방마다 CSG셀이 설치되어, 방마다의 CSG셀로 각각 CSG가 구성되어 CSG-ID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각 방의 거주자가 소유하는 이동단말은 각각의 방의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은 non-CSG셀로부터의 전파는 닿지 않고, 수많은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것과 같은 장소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전파 전파환경에 따라서는,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이동단말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도달하였더라도 다른 CSG셀보다도 수신 전력이 약하거나 하는 경우가 다발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이동단말의 경우, 많은 액세스불가능한 CSG셀(즉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을 끊임없이 서치나 셀 선택을 반복하는 상황이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 시스템에 제어 지연이나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 및 시그널링 효율의 저하를 일으킨다. 또한, 셀 서치를 반복하는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들 문제는 전술한 것과 같은 장래의 CSG셀의 배치 상황을 상정하면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하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고, 상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SC-FDMA(Single Care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단말과, 특정한 이동단말 또는 가입자에 대해서만 개방된 특정 가입자용 셀 및 불특정한 상기 이동단말 또는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불특정 이용자용 셀 각각에 설치되고, 이동단말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하는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기지국과, 복수의 기지국을 거쳐 이동단말이 위치하는 원하는 트랙킹 에어리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동단말에 페이징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된 경우에 발행되는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단말은 특정 가입자용 셀에 액세스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통지된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 제어장치에 대한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기지국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는,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이동단말이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허가하는 신호와,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단말은,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서 수신한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하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고, 상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SC-FDMA(Single Care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이동단말과, 특정한 이동단말 또는 가입자에 대해서만 개방된 특정 가입자용 셀 및 불특정한 상기 이동단말 또는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불특정 이용자용 셀 각각에 설치되고, 이동단말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하는 스케줄링을 실행하는 기지국과, 복수의 기지국을 거쳐 이동단말이 위치하는 원하는 트랙킹 에어리어를 관리하는 동시에, 이동단말에 페이징 처리를 행하는 기지국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된 경우에 발행되는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단말은 특정 가입자용 셀에 액세스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통지된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 제어장치에 대한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기지국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는,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이동단말이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허가하는 신호와,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고, 이동단말은,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서 수신한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액세스하므로,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액세스 허가 정보)을 통지받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도, CSG셀(특정 단말용 셀)을 경유하여, 기지국 제어장치(코어 네트워크, MME)에 대하여 트랙킹 에어리어의 갱신,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화이트 리스트의 입수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3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다.
도 4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물리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5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6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논리 채널을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7은 현재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7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7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ME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eNBGW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1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의 개략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13은 많은 CSG셀이 존재하는 경우의 셀 개념도다.
도 14은 다수의 Home-eNB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이동단말의 셀 서치의 흐름도다.
도 1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다.
도 1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셀 서치의 흐름도다.
도 17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다.
도 19는 eNB의 에어리어 내에 Home-eNB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non-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21은 이동단말이 등록한 Home-eNB(CSG셀)가 non-CSG셀의 에어리어 밖으로 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기동한 경우의 시퀀스도다.
도 23은 이동단말이 non-CSG셀의 산하가 아니고, 다수의 CSG셀의 산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의 시퀀스도다.
도 25는 TAU 리젝트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26은 실시형태 5의 본 변형예 1에서 개시한 방법에 있어서의 시퀀스도다.
도 27은 동일 셀로부터 1회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동단말이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28은 타이머를 설치한 경우의 이동단말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n회째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 메시지의 송신을 행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30은 동일 셀로부터 1회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동단말이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 요구를 금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31은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32는 실시형태 11에 있어서의, 화이트 리스트(갱신) 메시지의 수신 성공/실패의 Ack/Nack을 되돌리는 방법의 시퀀스도다.
도 33은 RRC 접속 재설립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4는 CSG셀을 도입했을 때의 RRC 접속 재설립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5는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를 화이트 리스트 유용(有用)과 화이트 리스트 무용(無用)을 별개로 설치했을 때의 RRC 접속 재설립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6은 화이트 리스트 유용의 타이머를 CSG셀로부터 통지했을 때의 RRC 접속 재설치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7은 화이트 리스트 유용의 타이머를 CSG셀로부터 통지했을 때의 RRC 접속 재설치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8은 종래기술의 우선 순위에 관한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39는 우선 순위를 화이트 리스트 유용과 화이트 리스트 무용을 별개로 설치했을 때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0은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을 화이트 리스트 유용과 화이트 리스트 무용을 별개로 설치했을 때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1은 종래기술의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2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를 사용하는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3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와 오프셋값을 사용하는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4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와 셀 재선택을 행할 수 없었던 경우에 측정을 행하는 주기를 해제하는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5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용의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사용하는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6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용과 그렇지 않은 UE용에서 별개로 오프셋을 설치하여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 절차를 다르게 한 경우의 이동단말의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7은 실시형태 15과 오프셋을 별개로 설치하는 방법을 조합한 경우의 이동단말의 셀 재선택 절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8은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오프셋을 별개로 설치한 경우의 이동단말의 셀 재선택 절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9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한 경우의 개념도다.
도 50은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PRACH 초기 송신까지의 절차 예이다.
도 51은 셀 재선택 임계값의 차분을 사용하는 경우의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PRACH 초기 송신까지의 절차 개요이다.
부호의 설명
101 이동단말, 102 기지국, 103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04 S-GW(Serving Gateway)
실시형태 1.
도 7은, 현재 3GPP에 있어서 논의되고 있는 LTE 방식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현재 3GPP에 있어서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셀(e-UTRAN의 Home-eNodeB(Home-eNB, HeNB), UTRAN의 Home-NB(HNB))와 non-CSG셀(e-UTRAN의 eNodeB(eNB), UTRAN의 NodeB(NB), GERAN의 BSS)를 포함시킨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이 검토되고 있고, e-UTRAN에 대해서는, 도 7a나 도 7b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3). 도 7a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단말(UE)(71)은 기지국(72)과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72)은 eNB(non-CSG셀)(72-1)과, Home-eNB(CSG셀)(72-2)로 분류된다.
eNB(72-1)는 MME(73)과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eNB과 MME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한개의 eNB에 대하여 복수의 MME이 접속된다. Home-eNB(72-2)는 MME(73)과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Home-eNB과 MME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한개의 MME에 대해 복수의 Home-eNB이 접속된다.
다음에, 도 7b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단말(UE)(71)은 기지국(72)과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72)은 eNB(non-CSG셀)(72-1)과, Home-eNB(CSG셀)(72-2)로 분류된다. 도 7a와 같이, eNB(72-1)은 MME(73)과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eNB과 MME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한개의 eNB에 대해 복수의 MME이 접속된다. 한편, Home-eNB(72-2)은 HeNBGW(Home-eNB GateWay)(74)를 거쳐 MME(73)과 접속된다. Home-eNB과 HeNBGW는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어, HeNBGW(74)과 MME(73)은 S1_flex 인터페이스를 거쳐 접속된다. 한개 또는 복수의 Home-eNB(72-2)가 한개의 HeNBGW(74)과 접속되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가 통신된다. HeNBGW(74)은 한개 또는 복수의 MME(73)과 접속되어, S1_flex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가 통신된다.
도 7b의 구성을 사용하여, 한개의 HeNBGW(74)을, 같은 CSG-ID에 속하는 Home-eNB과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면 레지스트레이션 정보 등, 같은 정보를 MME(73)로부터 같은 CSG-ID에 속하는 복수의 Home-eNB(72-2)에 송신하는 경우, 일단 HeNBGW(74)에 송신하고, 거기에서 복수의 Home-eNB(72-2)에 송신함으로써 복수의 Home-eNB(72-2)로 대해 각각 직접적으로 송신하는 것보다도 시그널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각 Home-eNB(72-2)가 각각 개별의 정보를 MME(73)과 통신하는 경우에는, HeNBGW(74)를 거쳐 거기에서 정보를 가공하지 않고 통과(투과)시키는 것뿐으로 해 놓음으로써, Home-eNB(72-2)과 MME(73)가 마치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과 같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도 7의 단말(7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에 나타낸 이동단말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프로토콜 처리부(80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어플리케이션부(80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부(803)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803)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804)로 건네져, 오류정정 등의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송신 데이터 버퍼부(803)로부터 변조부(805)에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해도 된다. 인코더부(804)에서 인코드 처리된 데이터는 변조부(805)에서 변조 처리가 행해진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806)에 출력되어, 무선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후, 안테나(807)로부터 기지국(72)에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이동단말(71)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기지국(72)으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안테나(807)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806)에서 무선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부(808)에 있어서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복조후의 데이터는 디코더부(809)로 건네져, 오류정정 등의 디코드 처리가 행해진다. 디코드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801)에 건네지고, 유저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802)에 건네진다. 이동단말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81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810)은,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801∼809)과 접속하고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도 7의 기지국(7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9에 나타낸 기지국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EPC 통신부(901)은, 기지국(72)과 EPC(MME(73), HeNBGW(74) 등)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타기지국 통신부(902)은,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EPC 통신부(901), 타기지국 통신부(902)는 각각 프로토콜 처리부(903)과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프로토콜 처리부(903)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또한 EPC 통신부(901)과 타기지국 통신부(90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부(904)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904)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905)로 건네져, 오류정정 등의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송신 데이터 버퍼부(904)로부터 변조부(906)에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해도 된다. 인코드된 데이터는 변조부(906)에서 변조 처리가 행해진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907)에 출력되어, 무선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후, 안테나(908)에 의해 한개 혹은 복수의 이동단말(71)에 대해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72)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한개 혹은 복수의 이동단말(71)로부터의 무선신호가 안테나(908)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907)에서 무선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어, 복조부(909)에서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복조된 데이터는 디코더부(910)로 건네져, 오류정정 등의 디코드 처리가 행해진다. 디코드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903) 혹은 EPC 통신부(901), 타기지국 통신부(902)로 건네지고, 유저 데이터는 EPC 통신부(901), 타기지국 통신부(902)로 건네진다. 기지국(72)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911)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911)은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부(901∼910)과 접속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PDN GW 통신부(1001)은 MME(73)과 PDN GW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1002)은 MME(73)과 기지국(72) 사이를 S1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1001)로부터 유저 플레인 처리부(1003) 경유로 기지국 통신부(1002)에 건네져, 1 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72)에 송신된다. 기지국(72)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1002)로부터 유저 플레인 처리부(1003) 경유로 PDN GW 통신부(1001)로 건네져, PDN GW에 송신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1001)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로 건네진다. 기지국(7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1002)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로 건네진다. HeNBGW 통신부(1004)은, HeNBGW(74)가 존재하는 경우에 설치되고, 정보 종별에 의해, MME(73)과 HeNBGW(74) 사이의 인터페이스(IF)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HeNBGW 통신부(1004)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는 HeNBGW 통신부(1004)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로 건네진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에서의 처리의 결과는, PDN GW 통신부(1001) 경유로 PDN GW에 송신된다. 또한,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에서 처리된 결과는, 기지국 통신부(1002) 경유로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72)에 송신되고, 또한 HeNBGW 통신부(1004) 경유로 1개 혹은 복수의 HeNBGW(74)에 송신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1005)에는, NAS 시큐리티부(1005-1), SAE 베어러 콘트롤부(1005-2), 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모빌리티 관리부(1005-3) 등이 포함되고, 제어 프레인에 대한 처리 전반을 행한다. NAS 시큐리티부(1005-1)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시큐리티 등을 행한다. SAE 베어러 콘트롤부(1005-2)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베어러의 관리 등을 행한다.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1005-3)는, 대기(LTE-IDLE 상태, 간단히 아이들이라고도 불린다) 상태의 모빌리티 관리, 대기 상태시의 페이징 신호의 생성 및 제어, 산하의 1개 혹은 복수의 이동단말(71)의 트랙킹 에어리어(TA)의 추가, 삭제, 갱신, 검색, 트랙킹 에어리어 리스트(TA List) 관리 등을 행한다. MME는 UE가 등록되어 있는(registered) 추적 영역(트랙킹 에어리어: tracking Area: TA)에 속하는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페이징 프로토콜에 착수한다. MME에 접속되는 Home-eNB(72-2)의 CSG의 관리와 CSG-ID의 관리, 그리고 화이트 리스트 관리를,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1005-3)에서 행해도 된다. CSG-ID의 관리에서는, CSG-ID에 대응하는 이동단말과 CSG셀의 관계가 관리(추가, 삭제, 갱신, 검색)된다.
예를 들면, 어떤 CSG-ID에 유저 액세스 등록된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단말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CSG셀의 관계이어도 된다. 화이트 리스트 관리에서는, 이동단말과 CSG-ID의 관계가 관리(추가, 삭제, 갱신, 검색)된다. 예를 들면, 화이트 리스트에는, 어떤 이동단말이 유저 등록한 한개 또는 복수의 CSG-ID가 기억되어도 된다. 이들 CSG에 관한 관리는 MME(73) 중의 다른 부분에서 행해져도 되지만,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1005-3)에서 행함으로써 현재 3GPP 회합에서 논의되고 있는, CSG-ID 대신에 트랙킹 에어리어 코드(Tracking Area Code)을 사용하는 방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MME(73)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1006)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1006)는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1001∼1005)과 접속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HeNBGW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EPC 통신부(1101)은 HeNBGW(74)과 MME(73) 사이를 S1_flex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1102)는 HeNBGW(74)과 Home-eNB(72-2) 사이를 S1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로케이션 처리부(1103)은, EPC 통신부(1101) 경유로 건네진 MME(73)로부터의 데이터 중 레지스트레이션 정보 등, 복수의 Home-eNB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로케이션 처리부(1103)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1102)로 건네져, 한개 또는 복수의 Home-eNB(72-2)에 S1 인터페이스을 거쳐 송신된다. 로케이션 처리부(1103)에서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통과(투과) 시키는 것 뿐인 데이터는, EPC 통신부(1101)로부터 기지국 통신부(1102)에 건네져, 한 개 또는 복수의 Home-eNB(72-2)에 S1 인터페이스을 거쳐 송신된다. HeNBGW(74)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1104)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1104)는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1101∼1103)과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셀 서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까지의 개략을 나타낸 흐름도다. 이동단말에서 셀 서치가 개시되면, 스텝 ST1201에서 주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동기신호(P-SS), 제2동기신호(S-SS)을 사용하여 슬롯 타이밍, 프레임 타이밍의 동기를 취한다. P-SS과 S-SS 모두, 동기신호(SS)에는 셀마다 할당된 PCI(Physical Cell Identity)에 1대1 대응하는 싱크로니제이션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PCI의 수는 현재 504 종류가 검토되고 있어, 이 504 종류의 PCI를 사용하여 동기를 취하는 동시에, 동기가 취해진 셀의 PCI를 검출(특정) 한다. 다음에, 동기가 취해진 대하여, 스텝 ST12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셀마다 송신되는 참조 신호 RS(Reference Signal)을 검출하여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한다. 참조 신호 RS에는 PCI와 1대1로 대응한 코가 사용되고 있고, 그 코드로 상관을 취함으로써 다른 셀과 분리할 수 있다. 스텝 ST1201에서 특정한 PCI로부터 상기 셀의 RS용의 코드를 도출함으로써, RS를 검출하여, RS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스텝 ST1203에서, 스텝 ST1202까지 검출된 한 개 이상의 셀 중에서, RS의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셀(예를 들면, RS의 수신 전력이 가장 높은 셀 베스트 셀)을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 ST1204에서 베스트 셀의 PBCH를 수신하여, 통지 정보인 BCCH를 얻는다. PBCH 상의 BCCH에는, 셀 구성 정보가 포함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실린다. MIB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DL(downlink) 시스템 대역폭, 송신 안테나수, SFN(System Frame Number) 등이 있다.
다음에, 스텝 1205에서, MIB의 셀 구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셀의 DL-SCH를 수신하고, 통지 정보 BCCH 중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을 얻는다. SIB1에는 상기 셀에의 액세스에 관한 정보와, 셀 셀렉션에 관한 정보, 다른 SIB(SIBk; k≥2의 정수)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SIB1에는 TAC(Tracking Area Code)가 포함된다. 또한, SIB1에는 CSG-ID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스텝 ST1206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1205에서 수신한 TAC과, 이동단말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TAC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같으면, 상기 셀에서 대기 동작으로 들어간다. 비교하여 다른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상기 셀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EPC)(MME 등이 포함된다)로, TAU(Tracking Area Update)을 행하기 위해 TA의 변경을 요구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TAU 요구 신호와 함께 이동단말로부터 보내져 오는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UE-ID 등)을 기초로, TA의 갱신을 행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TA의 갱신후, 이동단말에 TAU 수령 신호를 송신한다. 이동단말은 상기 셀의 TAC에서, 이동단말이 보유하는 TAC(혹은 TAC 리스트)을 고쳐쓴다(갱신한다). 그후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서 대기 동작으로 들어간다.
LTE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셀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CSG셀에 등록한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단말에만 액세스가 허용된다. CSG 셀로 등록된 한개 또는 복수의 이동단말이 한개의 CSG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CSG에는 CSG-ID로 불리는 고유의 식별 번호가 부착된다. 이때, 한개의 CSG에는 복수의 CSG셀이 있어도 된다. 이동단말은 어느 한개의 CSG셀에 등록하면 그 CSG셀이 속하는 CSG의 다른 CSG셀에는 액세스 가능해진다. 또한, LTE에서의 Home-eNB와 UMTS에서의 Home-NB이 CSG셀로서 사용되는 일이 있다. 한개의 CSG-ID에 포함되는 한개 또는 복수의 CSG셀은 같은 TA에 속한다. 이 때문에, 한개의 CSG-ID에 포함되는 한개 또는 복수의 CSG셀은 같은 TAC을 통지 정보에 실어서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한다. CSG 셀에 등록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화이트 리스트는 SIM/USIM에 기억된다. 화이트 리스트에는, 이동단말이 등록한 CSG셀의 CSG 정보가 실린다. CSG 정보로서 구체적으로는, CSG-ID, TAI(Tracking Area Identity), TAC 등이 고려된다. CSG-ID 과 TAC이 대응되어 있으면, 어느 한쪽으로 된다. 또한, CSG-ID나 TAC과 GCI(Global Cell Identity)이 대응되어 있으면 GCI이어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이트 리스트가 빈(empty) 경우도 포함한다) 이동단말은, CSG셀에 액세스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non-CSG 셀 밖에만 액세스할 수 없다. 한편,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은, 등록한 CSG-ID의 CSG셀에도, non-CSG셀에도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동단말이, 많은 CSG셀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셀 서치를 한 경우 문제가 생긴다. 도 13에 많은 CSG셀이 존재하는 경우의 셀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 1301은 eNB에 의한 non-CSG셀, 1302은 Home-eNB에 의한 CSG셀을 나타낸다. 1303은 이동단말이다. CSG 셀은, 맨션이나 학교, 회사 등에 많이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맨션에서는 각 방마다, 학교에서는 각 교실마다, 회사에서는 각 섹션마다 CSG셀을 설치하고, 각 CSG셀에 등록한 유저만 상기 CSG셀을 사용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사용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CSG셀은 포터블한 사이즈, 중량을 상정하고 있고, 이들 CSG셀의 설치나 철거는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도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를 고려하면, 어떤 지점에 있어서는 동시에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송신되게 된다. 즉, 맨션이나 학교, 회사 등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동단말(1303)이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존재하게 된다. 이 상황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셀 서치를 행한 경우를 고려한다.
도 14에, 다수의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이동단말의 셀 서치의 흐름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동단말이 셀 서치를 개시하면, 도 12에 있어서 일반적일 경우로서 설명한 동작을 행한다. 스텝 ST1401에서 제1동기신호 P-SS, 제2동기신호 S-SS에서 동기, PCI(Physical Cell Identity)의 검출(특정)을 행한다. 스텝 ST1402에서 RS 검출하여 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한다. 스텝 ST1403에서 베스트 셀의 선택을 행하고, 스텝 ST1404에서 선택한 셀의 PBCH 수신, MIB 정보를 얻는다. 스텝 ST1405에서 DL-SCH를 수신하고, SIB1의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SIB1의 TAC 정보가 이동단말 보유의 TAC과 같으면 대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같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나타낸 동작과 다르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존재하게 된다. 스텝 ST1407에서,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경우, 스텝 ST1408에서, SIB1의 TAC가 화이트 리스트 내의 CSG-ID(TAC)과 같은지 아닌지 판정한다. 이것은, 만약 CSG-ID(TAC)이 같지 않은 경우, 미등록 때문에 그 셀에의 액세스는 금지되기 때문이다. 동일하면 등록 완료이므로, 그 셀에의 액세스가 허가되어, 대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다른 경우는 미등록 때문에 그 셀에의 액세스는 할 수 없어, 스텝 ST1409로 이행한다. 스텝 ST1409에서, 이동단말은, 그 셀이 CSG셀인지 아닌지 판정한다. LTE에 있어서는, 각 셀의 통지 정보의 SIB1에 자(自) 셀이 CSG셀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CSG 인디케이터가 포함된다. 따라서, 스텝 ST1409의 판정은 스텝 ST1405에서 얻은 SIB1의 정보에 포함되는 CSG 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SG 인디케이터가 CSG셀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스텝 ST14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T1410에서 이동단말은 상기 셀의 PCI를 기억하고, 이후의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시에 상기 셀의 PCI를 제외하도록 설정한다. 이것은, 상기 셀이 CSG셀이라도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에는 실리지 않은 CSG-ID(TAC)의 셀이기 때문이다. 이동단말이 한번 셀 서치나 베스트 셀 선택을 한 액세스 불가능 CSG셀의 PCI를 기억하는기 위해, 액세스 불가 PCI 리스트 등을 설치하여 상기 리스트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액세스 불가능 CSG셀의 PCI는, 타이머를 설치하여 그 타이머 기간이 종료했을 때, 또한/또는 새로운 CSG-ID에 등록했을 때에, 리셋트 혹은 소거하도록 하면 된다. 스텝 ST1409의 판정에서 상기 셀이 CSG셀이 아닌 경우, non-CSG셀이므로 TAU후 대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T1407에서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은 경우, 스텝 ST1409로 이행한다. 스텝 ST1409의 판정에서, 상기 셀이 CSG셀이 아닌 경우에는 TAU후 대기 동작으로 이행하는 되지만, CSG셀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스텝 ST1410의 처리를 행하고, 다시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 동작을 행한다. 다시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 동작을 행하여, CSG 셀이 발견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T1407, 스텝 ST1409, 스텝 ST1410을 행하게 되고, 더구나 다시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 동작을 행하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특히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CSG셀에는 절대로 액세스할 수 없다고 알고 있어도, 모든 셀을 대상으로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을 행하기 위해, 도 1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많은 Home-eNB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는 위치에 있는 이동단말의 경우, 많은 CSG셀을 서치, 베스트 셀 선택을 해 버릴 가능성이 높아, 스텝 ST1401, 스텝 ST1402, 스텝 ST1403, 스텝 ST1404, 스텝 ST1405, 스텝 ST1406, 스텝 ST1407, 스텝 ST1409, 스텝 ST1410의 동작을 몇번이고 반복하게 되어,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또한, 셀 서치를 반복하지 않을 수 없는 이동단말에 있어서는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는, 예를 들어 스텝 ST1410에서 이동단말을 액세스할 수 없는 CSG셀의 PCI를 기억하고, 이후의 셀 서치, 베스트 셀의 선택시에 상기 셀의 PCI를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처리를 행했다고 하더라도 생겨 버린다. 이 문제는, 전술한 것과 같은 장래의 CSG셀의 배치 상황을 상정하면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GPP에서는, 전체 PCI(Physical Cell Identity)을, CSG셀용과 non-CSG셀용으로 분할(PCI 스플릿으로 부른다)하는 것이 논의되고 있다(비특허문헌 4). 전체 PCI를 CSG셀용과 non-CSG셀용으로 분할함으로써, 셀 서치시에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non-CSG셀용의 PCI를 사용하여 P-SCH, S-SCH 동기를 행하고, PCI를 특정하면 되므로, CSG셀을 서치하는 일은 없어진다. 그러나, 이동단말은 셀 서치를 행하기 이전에는 언제나 PCI 스플릿 정보를 인식하지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3GPP에서는 PCI 스플릿 범위를 고정으로 하는, 즉 CSG셀에 할당하는 PCI의 범위와 non-CSG셀에 할당하는 PCI의 범위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PCI#0∼#49까지는 CSG셀에 할당하고, PCI#50∼#503까지는 non-CSG셀에 할당하도록 미리 결정해 두고, 규격서에 기재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단말은 셀 서치를 행하기 전에 언제나 이 값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져, 셀 서치시에,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쓸데없이 CSG셀을 서치하는 일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이, CSG셀에 할당하는 PCI의 범위와 non-CSG셀에 할당하는 PCI의 범위를 미리 결정해 두는 방법은, 전술한 Home-eNB에의 요구에 대해 만족할 수 없는 것이다. 즉, Home-eNB은 포터블 사이즈, 중량을 상정하고 있고, 이들 Home-eNB의 설치나 철거는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고려했을 때, CSG셀의 수는, 오퍼레이터, 주파수 레이어, 설치 장소, 시각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PCI 스플릿 정보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은, Home-eNB의 유연하고도 빈번한 설치나 철거에 의해 변하는 CSG셀 수에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CI 스플릿 정보를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15에,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로서, SIB1이 있다. 전체 기지국(Home-eNB(CSG셀)과 eNB(non-CSG셀))은, PCI 스플릿 정보를 SIB1에 넣고, SIB1을 포함하는 BCCH를 DL-SCH에 매핑한다. 그리고 전체 기지국은 각각,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하여, DL-SCH를 송신하고, SIB1에 넣은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에서는, 전체 기지국이 송신하는 PCI 스플릿 정보로서,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로 한다. 다음에, 도 16에 본 방법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셀 서치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동단말이 셀 서치를 개시한다. 우선, 스텝 ST1601에서 이동단말은 PCI 스플릿 정보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전원 온 시, 아직 PCI 스플릿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 ST1602로 이행한다. 스텝 ST1602로 이행한 이동단말은, 도 14에서 나타낸 흐름도에 대해 기재한 방법을 행하여, 스텝 ST1602∼스텝 ST1611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도 14에 나타낸 흐름도와 다른 점은, 스텝 ST1606에서 DL-SCH에서 보내져 오는 SIB1에 들어 있는 PCI 스플릿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PCI 스플릿 정보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상기 PCI 스플릿 정보를 기억한다. PCI 스플릿 정보 리스트를 설치하고, 그 리스트에 PLMN과 주파수 레이어와 함께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리스트에 기억된 PCI 스플릿 정보는, 통지 정보가 수정되었을 때 고쳐쓰기를 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스트에 기억된 PCI 스플릿 정보는 전원 오프/온시, 주파수 레이어 사이의 리셀렉션을 행했을 때, 다른 시스템간의 리셀렉션을 행했을 때에 리셋트 혹은 소거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스텝 ST1606에서 PCI 스플릿 정보를 얻은 이동단말은, 스텝 ST1611로 진행한 경우, 그후의 셀 서치, 베스트 셀 선택시에 스텝 ST1601에서 상기 PCI 스플릿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동단말은 스텝 ST1601에서 PCI 스플릿 정보를 갖는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 ST1612로 이행한다. 스텝 ST1612로 이행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경우에는, 스텝 ST1602로 이행하여, 다시 스텝 ST1602∼스텝 ST1611의 동작을 행한다. 그러나,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스텝 ST1613으로 이행하여, 1회째의 셀 서치의 스텝 ST1606에서 얻은 PCI 스플릿 정보에 의해, non-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P-SS, S-SS 동기를 행하여 PCI를 검출(특정)한다. PCI를 특정한 이동단말은, 스텝 ST1614로 이행하여, 스텝 ST1614∼스텝 ST1618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일반적인 셀 서치에 있어서의 처리와 같아진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non-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P-SS, S-SS동기를 행하여 PCI를 검출(특정)하고 있기 때문에, CSG셀은 서치되지 않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 14에서 나타낸 흐름도에 대해 기재한 방법에서 생겨 버리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CSG셀에는 절대로 액세스할 수 없다고 알고 있더라도 스텝 ST1602∼스텝 ST1611(스텝 ST1609을 제외한다)의 동작을 몇번이고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는 해소한다.
더구나, 예를 들면, 전원온 후 1회째의 셀 서치시에 PCI 스플릿 정보를 얻은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그후 재차 셀 서치를 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PCI 스플릿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스텝 ST1601의 판정에 있어서 「예스」로 되어, 스텝 ST1612로 이행한다. 스텝 ST1612로 이행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1613∼스텝 ST1618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도 14에서 나타낸 흐름도에 대해 기재한 방법에서 생겨 버리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CSG셀에는 절대로 액세스할 수 없다고 알고 있더라도 스텝 ST1602∼스텝 ST1611(스텝 ST1609을 제외한다)의 동작을 몇번이고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는 해소한다.
이때, 통지 정보 블록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PCI 스플릿 정보를 SIB1의 다른 SIB에 넣은 경우, 일반적인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서는 수신하지 않는다. MIB, SIB1의 다른 통지 정보 블록(SIBk; k≥2의 정수)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SIB1에 실리는 다른 SIB의 스케줄링 정보(할당 정보)을 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려 지연이 생기고,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도 한층 더 증대해 버린다.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PCI 스플릿 정보를 넣음으로써, 이동단말은 다른 통지 정보 블록을 얻을 필요가 없게 단시간에 저소비 전력으로 PCI 스플릿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스템으로서도 제어 지연이 적은 양호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로서, MIB 또는 SIB1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의 SIB1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2회째 이후의 셀 서치를 행할 때에 쓸데없이 CSG셀을 서치하는 것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나,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의 엄청난 수의 Home-eNB의 설치의 요구와, Home-eNB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고 또한 유연하게 행해짐으로써 생기는 CSG셀 수의 유연한 변경에의 대응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전체의 셀(non-CSG셀과 CSG셀)이 PCI 스플릿 정보를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에 있어서도, CSG셀 혹은 non-CSG셀을 선택적으로 서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 non-CSG셀이 아니고 CSG셀에의 액세스를 우선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경우, SIB1을 수신하여 얻은 PCI 스플릿 정보를 사용하여, 우선적으로 CSG셀을 셀 서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 16에 나타낸 스텝 ST1612 이후의 동작을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이동단말이 스텝 ST1612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갖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제1동기신호 P-SS, 제2동기신호 S-SS의 동기를 행하고, PCI를 검출(특정)한다. 특정한 PCI를 사용하여 기준신호(RS)을 검출하고, 그것의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한다. 그리고, 측정한 수신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베스트 셀을 선택한다. 선택한 셀의 PBCH를 수신하여 MIB을 수신하고, 다시 DL-SCH를 수신하여 SIB1을 수신한다. 상기 SIB1 위에 실린 트랙킹 에어리어 코드(Tracking Area Code TAC)가 이동단말 보유의 것과 같으면 대기 동작으로 이행하고, 다르면 SIB1의 트랙킹 에어리어 코드 TAC가 이동단말이 보유하는 화이트 리스트 내의 CSG-ID(TAC)과 같은지 아닌지 비교한다. 동일하면 대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다른 경우에는, 다시 셀 서치를 행한다. 그리고, 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셀 서치를 행하여, 선택하는 셀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에, non-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셀 서치를 행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우선적으로 CSG셀의 서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선택가능한 CSG셀이 없어졌을 때에 non-CSG셀에의 셀 서치, 셀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 non-CSG셀이 아니고 CSG셀에의 액세스를 우선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반대로, CSG셀이가 아니고 non-CSG셀에의 액세스를 우선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단말이 스텝 ST1612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갖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non-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P-SS, S-SS 동기를 행하고 PCI를 검출(특정)한다. 특정한 PCI를 사용하여 RS 검출하여 RS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한다. 측정한 RS 수신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베스트 셀을 선택한다. 선택한 셀의 PBCH를 수신하여 MIB을 수신하고, 다시 DL-SCH를 수신하여 SIB1을 수신한다. 상기 SIB1 위에 실린 TAC가 이동단말 보유의 TAC과 같으면 대기 동작으로 이행하고, 다르면, TAU 후 대기 동작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non-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셀 서치를 행하여, 선택할 셀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에, CSG셀의 PCI를 사용하여 셀 서치를 행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우선적으로 non-CSG셀의 서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선택가능한 non-CSG셀이 없어졌을 때에 CSG셀에의 셀 서치, 셀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에 있어서도, 2회째 이후의 셀 서치를 행할 때에 쓸데 없는 셀을 서치하는 것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 지고,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CSG셀 혹은 non-CSG셀을 선택적으로 서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장래의 엄청난 수의 Home-eNB의 설치의 여구와, Home-eNB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짐으로써 생기는 CSG셀 수의 유연한 변경에의 대응의 요구와, 예를 들면, non-CSG셀보다도 등록한 CSG셀에 우선적으로 액세스하고 싶은 이동단말과, 액세스시키고 싶은 시스템의 요구 등에도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전술한 방법에서는,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의 SIB1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했지만,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의 MIB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으로 해도 된다. 이 방법의 경우의 시퀀스도는 도 15을 적용할 수 있다. 전체 기지국(eNB과 Home-eNB)은, PCI 스플릿 정보를 MIB에 넣고, MIB를 포함하는 BCCH를 PBCH에 매핑한다. 그리고 전체 기지국은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하여, PBCH를 송신하고, MIB에 넣은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에서, 전체 기지국이 송신하는 PCI 스플릿 정보로서는,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로 한다. 본 방법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의 셀 서치의 흐름도는 도 16의 스텝 ST1605과 스텝 ST1606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PCI 스플릿 정보는 MIB에 넣어 통지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은 스텝 ST1605에서 PCI 스플릿 정보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 ST1606에서는 PCI 스플릿 정보의 수신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변경함으로써 실현 가능해진다.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의 MIB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모든 셀(CSG셀과 non-CSG셀)로부터 PCI 스플릿 정보를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했다. 본 변형예 1에서는, CSG셀로부터만 PCI 스플릿 정보를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17에, LTE 통신방식에 있어서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스텝 ST1702에 있어서, Home-eNB은, PCI 스플릿 정보를 SIB1에 넣고, SIB1을 포함하는 BCCH를 DL-SCH에 매핑한다. 그리고 전체 Home-eNB는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하여, DL-SCH를 송신하고, SIB1에 넣은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에서 Home-eNB가 송신하는 PCI 스플릿 정보로서는,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로 한다. 한편, 스텝 ST1701에 있어서, eNB은, PCI 스플릿 정보를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해 통지하지 않는다. 본 변형예의 경우, 셀 서치, 베스트 셀 선택한 셀이, CSG셀의 경우에만, 이동단말은 PCI 스플릿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한번 CSG셀이 베스트 셀로서 선택됨으로써, 이후부터 액세스할 수 없는 CSG셀에의 셀 서치, 베스트 셀 선택이라고 하는, 도 16에 있어서의 스텝 ST1602∼스텝 ST1611(스텝 ST1609을 제외한다)의 동작을 몇번이고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변형예 1에서 개시한 Home-eNB으로부터만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의 SIB1 혹은 MIB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실시형태 1에서 기재한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더구나, non-CSG셀로부터의 통지 정보에 CSG용으로서의 새로운 정보(PCI 스플릿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기존의 CSG을 포함하지 않는 LTE 시스템(eUTRA/eUTRAN)에서의 변경이 불필요가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모든 셀(non-CSG셀과 CSG셀)이 PCI(Physical Cell Identity) 스플릿 정보를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에 실어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했다. 상기 PCI 스플릿 정보는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로 하였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모든 기지국(eNB과 Home-eNB)이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로서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18에,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하는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전체 기지국(Home-eNB과 eNB)은,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에 포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PCI 스플릿 정보를 BCCH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전체 기지국은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하여, 상기 통지 정보를 통지한다. 따라서 산하의 이동단말은, 서빙 셀로부터의 통지 정보에서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동단말은, 셀 서치, 셀 선택, 셀 재선택, 핸드오버 등의 처리와 같이, 타 주파수 레이어에 관한 처리를 필요로 했을 때에, 상기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파수 레이어 사이의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할 때에, 그 동작의 1회째의 셀 서치, 셀 선택으로부터 원하는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셀 서치를 행할 때에 액세스가 불가능한 CSG셀을 서치하는 것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타 주파수 레이어에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의 엄청난 수의 Home-eNB의 설치의 요구와, Home-eNB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짐으로써 생기는 CSG셀 수의 유연한 변경에의 대응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 주파수 레이어는 한 개이어도 되고, 한 개 이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 이동단말은 PCI 스플릿 정보, 상기 주파수의 우선 순위 등을 쌍으로 하여 기억(예를 들면, 리스트로서 기억해도 된다)해 두면 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 구체적으로는, BCCH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3GPP에서 논의중인, 자 셀과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통지 정보가 실리는 통지 정보 블록인 SIB5에 추가해도 된다. 기지국은 자 셀과 다른 주파수 레이어의 통지 정보가 실리는 SIB5을 포함하는 BCCH를 DL-SCH에 매핑하고, 산하의 이동단말(UE)에 대하여, DL-SCH를 송신한다. 이동단말은 상기 SIB5을 수신함으로써, 타 주파수 레이어에의 셀 서치, 셀 선택 등의 경우에 상기 SIB5 중의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단시간에 저소비 전력으로 타 주파수 레이어에의 셀 서치, 셀 선택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개별정보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은,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개별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구체적으로는 DCCH에 포함시켜 산하의 이동단말 각각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어떤 셀의 산하의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 대해 상기 PCI 스플릿 정보를 개별정보로 송신하도록 개별적으로 요구하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셀은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페이징 정보에 포함시켜, 구체적으로는 PCCH에 포함시켜 산하의 이동단말 각각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셀은 필요에 따라 자 셀이 속하는 주파수 레이어와는 다른 타 주파수 레이어의 PCI 스플릿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 지므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 1, 2에서는, PCI 스플릿 정보를 non-CSG셀이나 CSG셀로부터 이동단말에 대해 송신한다. 상기 PCI 스플릿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생성되고, non-CSG 셀이나 CSG셀을 거쳐 이동단말에 송신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1, 2에서는, CSG셀(Closed Subscriber Group Cell)이 사용되는 Home-eNB와 Home-NB을 사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통신 시스템과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지 않는 Home-NB을 사용하는 UMTS에도 적용가능하다. PCI를 Home-NB과 그 밖의 NB로 분할하고, PCI 스플릿 정보로서, 모든 기지국(NB과 Home-NB)으로부터 PCI 스플릿 정보를 통지 정보에 포함시켜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면 된다. 통지 정보 중에서도, 셀 서치, 셀 선택에 필요한 통지 정보 블록에 PCI 스플릿 정보를 포함하여,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하면 된다. 이에 따라, Home-NB에 등록하고 있지 않는 이동단말이 쓸데 없는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하는 것이 없어지고,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장래 Home-NB의 설치가 다수로 된 경우와, Home-NB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된 경우의 대응에 대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
장래의 엄청난 수의 CSG(Closed Subscriber Group)셀의 설치의 요구와, CSG셀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짐으로써 생기는 CSG셀 수의 유연한 변경에의 대응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PCI 스플릿 정보의 송수신의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엄청난 수의 CSG셀의 설치와, CSG셀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짐으로써 생기는, 화이트 리스트의 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그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현재, 3GPP에 있어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단말이 CSG셀에 등록한 경우의 화이트 리스트의 입수방법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3GPP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이 non-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되는 방법이 동의되고 있다. 도 19에, eNB(non-CSG셀)의 에어리어 내에 Home-eNB(CSG셀)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단말(UE)은 CSG셀의 에어리어 내에 있다. 도면에서는 non-CSG셀 내에 CSG셀은 한개이지만, 복수의 CSG셀이 존재해도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의 화이트 리스트의 입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Home-eNB의 오너(owner)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유저가 소유하는 이동단말(UE)을 유저 액세스 등록한 것을 통지한다. 그후,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이동단말(UE)에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한다. 화이트 리스트의 통지는, eNB(non-CSG셀)을 거쳐 행해진다.
도 20에,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non-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서, 도면 중, "Owner"은 Home-eNB의 오너, "CN"은 코어 네트워크(MME, 기지국 제어장치)이다. 코어 네트워크에는 MME 등이 포함되어 있다. 유저가 이동단말을 Home-eNB에 유저 액세스 등록하면, 스텝 ST2001에서, 상기 Home-eNB의 오너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유저의 소유하는 이동단말(UE)이 상기 Home-eNB에 유저 액세스 등록된 것을 통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에, 예를 들면,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UE-ID, IMSI 등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오너로부터 송신된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UE-ID, IMSI 등)를 수신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스텝 ST2002에서, 상기 Home-eNB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이 액세스 가능하게 하도록,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Home-eNB에 액세스 허가 설치 요구를 송신한다. 액세스 허가 설치 요구를 수신한 상기 Home-eNB은, 스텝 ST2003에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설정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T2004에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Home-eNB이 존재하고 있는 non-CSG셀의 eNB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005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eNB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한다. 스텝 ST2006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SIM/USIM(메모리, CPU 등의 기억장치이어도 된다)에 기억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CSG셀에 액세스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non-CSG 셀 밖에 액세스할 수 없다. 한편,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은, 등록한 CSG-ID의 CSG셀에도, non-CSG셀에도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등록한 경우의 화이트 리스트의 입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eNB(non-CSG셀)을 거쳐 받게 된다. 이것은, 이동단말이 non-CSG셀의 산하에 있는 것이 필요조건으로 되어 버린다. 즉, 이동단말이 non-CSG셀의 산하에 있지 않을 때에는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은 불가능으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도 21에, 이동단말이 등록한 Home-eNB(CSG셀)가 non-CSG셀의 에어리어 밖이 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단말은 non-CSG셀의 산하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non-CSG셀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때문에,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해도,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CSG셀에 액세스하는 것은 허가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한 CSG셀에도 액세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산하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CSG셀에 셀 서치, 셀 선택조차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GPP에서는,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non-CSG셀의 에어리어 밖에 있는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기동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5). 비특허문헌 5에는,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non-CSG셀의 에어리어 밖에 있는 이동단말이, 아직 화이트 리스트를 갖고 있지 않고,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에어리어 내에 있는 경우, 수동검색을 기동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기 위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상기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3GPP에서의 제안에 있어서는, 이 수동검색의 구체적인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어떻게 상기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지가 전혀 기재되어 잇지 않다. 여기에서는, 그것의 구체적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경우에, 상기 CSG셀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있게 한다. 도 22에, 예를 들면,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기동한 경우의 구체적인 시퀀스도를 개시한다. 유저가 이동단말을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에 유저 액세스 등록하면, 스텝 ST2201에서, 상기 CSG셀의 오너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게 유저가 소유하는 이동단말(UE)이 상기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된 것을 통지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에, 예를 들면,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UE-ID, IMSI 등)를 송신한다. 오너로부터 송신된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UE-ID, IMSI 등)를 수신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스텝 ST2202에서, 상기 CSG셀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이 액세스 가능하게 하도록,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CSG셀에 액세스 허가 설치 요구를 송신한다. 액세스 허가 설치 요구를 수신한 상기 CSG셀은, 스텝 ST2203에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설정을 행한다.
다음에, 스텝 ST2204에서,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한 이동단말은 CSG셀의 수동검색을 기동한다. 이 CSG셀의 수동검색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가해 둔다. 이와 같이 해 둠으로써,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산하에 있는 이동단말은, 상기 CSG셀을 셀 서치하여, 셀 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CSG셀을 셀 선택한 이동단말은, 상기 CSG셀로부터 송신되는 TAC(Tracking Area Code)을 수신하고, 자 이동단말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TAC와 비교한다.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 이동단말 내부에 보유하는 TAC가 상기 CSG셀로부터 송신된 TAC와는 다른 것으로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TAC가 다른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상기 CSG셀에의 액세스는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하는 것도 불가능이 된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방법에서는, 이 화이트 리스트를 얻기 위한 수동검색 기동시에, TAC가 다른 경우에도,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요구, 더구나, TAU(Tracking Area Update)의 요구를 행할 수 있도록 해 둔다. 스텝 ST2204에서 수동검색을 기동하고, 상기 CSG셀을 셀 선택한 이동단말은, 상기 CSG셀에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RRC 커넥션 요구를 수신한 상기 CSG셀은, 상기 이동단말이 스텝 ST2203에서 액세스 허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RRC 커넥션의 설립을 허가한다. RRC 커넥션의 설립을 허가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205에서, 상기 CSG셀에 대하여, TAU 요구를 송신한다. 상기 TAU 요구 메시지에, 이동단말을 식별하는 번호(UE-ID, IMSI 등)을 함께 송부해도 된다. TAU 요구를 수신한 상기 CSG셀은, 역시, 상기 이동단말이 액세스 허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T2206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를, 이동단말을 식별하는 번호와 함께 송신한다. 스텝 ST2207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TAU를 송신해 온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 등록한 이동단말인지 아닌지의 체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네트워크는, 각 TAC 혹은 CSG-ID마다 유저 액세스 허가되어 있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리스트를 갖고, 상기 리스트에, 스텝 ST2201에서 유저 액세스 등록된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고쳐써 놓도록(혹은 소거, 추가이어도 된다) 한다. 스텝 ST2207의 처리는, 예를 들면, MME(73)에서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MME(73)의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1005-3)에서 행해진다.
스텝 ST2207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리스트를 사용함으로써, TAU(Tracking Area Update)를 송신해 온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 등록한 이동단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T2207에서 TAU를 송신해 온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 등록한 이동단말이라고 판정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2208에서, 상기 CSG셀에 대해 TAU 억셉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TAU 억셉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CSG셀은 스텝 ST2209에서 이동단말에 대해 TAU 억셉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더구나, 스텝 ST2210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CSG셀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고, 그것을 수신한 상기 CSG셀은, 스텝 ST2211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212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SIM/USIM에 기억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때, 여기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도록 기재했지만, 화이트 리스트 바로 그것이 아니어도 되고, 화이트 리스트에 기재되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CSG 정보이어도 된다. CSG 정보로서 구체적으로는, CSG-ID, TAI, TAC 등이 고려된다. CSG-ID와 TAI 혹은 TAC이 대응되어 있으면, 어느 한개로 된다.
또한, CSG-ID와 TAI 혹은 TAC과 GCI(Global Cell Identity)가 대응되어 있으면, GCI이어도 된다. 또한, 화이트 리스트 바로 그것이 아니고, 이동단말이 셀 서치, 셀 선택의 일련의 처리에서 수신한 BCCH 위에 있는 TAC 혹은 CSG-ID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에 기록하는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이어도 된다. 스텝 ST2211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212에서,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등록한다). 스텝 ST2211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아니고 CSG-ID가 통지된 경우에는, 화이트 리스트에 상기 CSG-ID를 기억한다. 또한, BCCH 위에 있는 TAC 혹은 CSG-ID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에 기록하는 것이 요구된 경우에는 TAC 혹은 CSG-ID 정보를 화이트 리스트에 기억한다. 스텝 상기 ST2212에서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을 행한 이동단말은, 수동검색을 기동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CSG셀에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이때, 여기에서 설명한 상기 CSG셀은, 동일한 CSG-ID에 속하는 CSG셀이면 어느 CSG셀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이미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소거, 추가)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동검색의 방법을, 도 22에 나타낸 시퀀스와 같이 함으로써, 가령 상기 이동단말이 non-CSG셀의 산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CSG셀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있게 된다. 3GPP에서 제안되어 있는 Home-eNB 수동검색은,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산하에 있고, 수동검색시에 상기 CSG셀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상기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대해서만, 종래 불가능하였던 RRC 커넥션의 설립 더구나 TAU(Tracking Area Update)의 요구를 행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수동검색에 의해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 액세스할 수 있어,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4.
장래의, 엄청난 수의 CSG셀의 설치와, CSG셀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경우, 실시형태 3에 개시한 방법 만으로는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생겨 버린다. 도 23에 이동단말이 non-CSG셀의 산하가 아니고, 다수의 CSG셀의 산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은, 장래, 맨션이나 학교, 회사 등에 CSG셀이 많이 설치된 경우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CSG 셀의 운용 방법으로서, 이와 같은 non-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장소에의 설치를 추진하고, CSG 셀을 거쳐 통신가능하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맨션의 방이 non-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지 않는 것과 같은 상황이 많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각 방에 CSG셀이 설치되어, 방마다 CSG가 구성되고, CSG-ID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각 방의 거주자가 소유하는 이동단말은 각각의 방의 CSG에 유저 액세스 등록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단말은 non-CSG셀로부터의 전파는 닿지 않고, 많은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것과 같은 장소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전파 전파환경에 따라서는,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로부터의 전파가 이동단말에 도달하지 않거나, 도달하였다고 하더라도 다른 CSG셀보다도 수신 전력이 약하거나 하는 경우가 다발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전술한 3GPP에 있어서의 제안(비특허문헌 5)에서는,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이동단말이, 아직 화이트 리스트를 갖고 있지 않고,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에어리어 내에 있는 경우에, 수동검색을 기동함으로써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상기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동일한 CSG-ID의 CSG셀을 포함한다)을 선택할 수 없을 경우에 관한 기재는 아무것도 없고, 또한, TAU가 리젝트된 경우에 관한 기재도 전혀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3GPP에서 제안(비특허문헌 5)되고 있는 방법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화이트 리스트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를 등록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미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소거, 추가)하는 경우에도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3GPP에 있어서의 제안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없다.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라도,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과는 CSG-ID가 다른 CSG셀(suitable cell이 아닌 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도,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동일의 CSG-ID의 CSG셀을 포함한다)을 선택할 수 없는 경우에 관한 기재가 아무것도 없고, 또한, TAU가 리젝트된 경우에 관한 기재도 전혀 되어 있지 않은 3GPP에서 제안(비특허문헌 5)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3GPP에서의 논의에서는, 이들 문제점에 관해서는 전혀 시사되어 있지 않고, 이들 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실시형태에서는,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이하, 변경(소거, 추가)을 포함한다)을 행한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 화이트 리스트의 유무에 관계 없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CSG셀에도 RRC 커넥션의 설립 및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송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단말이 어떤 CSG셀을 선택하였다고 하더라도 선택한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24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CSG셀에도 RRC 커넥션을 설립 가능하게 하고, CSG 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 경우에 대하여,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C)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2401∼스텝 ST2403까지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과 같은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 변경시에, 스텝 ST2404에서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다.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405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의 경우, 이동단말은 CSG셀을 셀 선택하게 된다.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CSG 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스텝 ST2406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C))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하고, 이 RRC 커넥션의 설립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이 설립 요구에 대한 설립 허가를 이동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하도록 해 둔다. 다음에, 스텝 ST2407, 스텝 ST2408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게 해 둔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TAU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TAU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이, 수동검색의 기동시와 다른 경우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이동단말로부터의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TAU 요구 메시지에, 수동검색 기동시라는 취지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이, 수동검색 기동시에 한정하여, 상기 이동단말과의 사이의 RRC 커넥션의 설립,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TAU 요구 메시지의 수신, 코어 네트워크에의 송신 등의 일련의 메시지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은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2410, 스텝 ST2411에 있어서, Home-eNB(A)을 거쳐 상기 TAU 요구에 대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412에서 Home-eNB(A)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그리고 스텝 ST2413에서, 이동단말은, 다시 셀 선택을 행한다. 여기에서, 다시 셀 서치를 행한 후에 셀 선택을 해도 상관없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후의 재차 셀 선택시에,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 Home-eNB(A)을 제외하고 베스트 셀을 다시 선택해도 되고,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 Home-eNB(A)를 포함하여 베스트 셀을 다시 선택해도 된다.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 Home-eNB(A)를 포함하여 베스트 셀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에도, 다시 셀 서치를 행한 후에 셀 선택을 행함으로써, 전파 전파환경이 변화한 경우 등, 다른 셀이 베스트 셀이 되어, 다른 셀을 선택하는 경우도 생긴다.
다시 셀 선택에서 Home-eNB(B)을 선택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하지 않고 있는 CSG셀에의 RRC 커넥션 설립 요구, 상기 CSG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으므로, 스텝 ST2414에서 RRC 커넥션의 설립 처리를, 스텝 ST2415, 스텝 ST2416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TAU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스텝 ST2409와 마찬가지로, 스텝 ST2417에 있어서, Home-eNB(B)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ome-eNB(B)에는 액세스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2418, 스텝 ST2419에 있어서, Home-eNB(B)을 거쳐 상기 TAU 요구에 대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420에서 Home-eNB(B)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그리고 스텝 ST2421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2413와 마찬가지로 재차 셀 선택을 행한다. 다시 셀 선택에서 Home-eNB(C)을 선택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하고 있거나 하고 있지 않거나에 상관없이 CSG셀에의 RRC 커넥션 설립 요구, 상기 CSG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의 송신이 허가되어 있으므로, 스텝 ST2422에서 RRC 커넥션의 설립 처리를, 스텝 ST2423, 스텝 ST2424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TAU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텝 ST2425에 있어서, Home-eNB(C)가 속하는 CSG-ID에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Home-eNB(C)에는 액세스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스텝 ST2426, 스텝 ST2427에 있어서, Home-eNB(C)을 거쳐 상기 TAU 요구에 대한 TAU 억셉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또한, 스텝 ST2428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는, Home-eNB(C)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Home-eNB(C)은, 스텝 ST2429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430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송신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수동검색에 있어서, 최초의 셀 선택에서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CSG셀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일은 없고, 몇회째인가의 셀 선택에 있어서,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CSG셀이 선택되게 되고,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보다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 화이트 리스트의 유무에 관계 없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CSG셀에도 RRC 커넥션의 설립 및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송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단말이 어느 CSG셀을 선택하였다고 하더라도 선택한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상황하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미 화이트 리스트를 갖는 이동단말이,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변경(소거, 추가)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과는 CSG-ID가 다른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상황하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장래의, 엄청난 수의 CSG셀의 설치와, CSG셀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과 같은 시스템 요구에도 대응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4에서 개시한 방법을 행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상황하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효과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더 개시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한층 더 다수의,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에, 셀 서치나 셀 선택, 더구나 재차의 셀 서치나 셀 선택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동단말은 다수의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과,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반복해 버리게 된다. 또한, 장래의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이동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학교의 각 교실에 CSG셀이 설치되고, 각 교실의 학생이 각각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을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한층 더 많은 이동단말로부터, 이동단말은 다수의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과,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반복해 버리게 되고, 그것들의 수는 방대하게 되는 것이 예측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빠진 경우, 시스템으로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과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가 일어나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또한, 이동단말이 갖는 화이트 리스트가 어떠한 원인으로 고쳐써져 버리거나,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의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린 경우 등에도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의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수의 CSG셀이 존재하는 상황에 있어서는, 잘못하여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도 역시 이동단말은, 잘못된 화이트 리스트의 CSG-ID에 속하는 상기 CSG셀에 몇 번이고 RRC 커넥션의 설립과,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반복해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4의 방법 이외에,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과 다른 CSG셀에 RRC 커넥션을 설립하고, 더구나 상기 CSG셀을 거쳐 TAU 요구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 경우에도,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상기 CSG셀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5에, TAU 리젝트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C)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2501∼스텝 ST2503까지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2504에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505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한층 더 다수의,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이동단말은 CSG셀을 셀 선택하게 된다. 실시형태 4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여, CSG 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텝 ST2506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C))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하고, 이 RRC 커넥션의 설립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이 설립 요구에 대한 설립 허가를 이동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하도록 해 둔다. 다음에, 스텝 ST2507, 스텝 ST2508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게 해 둔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TAU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TAU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또한,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이, 수동검색의 기동시와 다른 경우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이동단말로부터의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TAU 요구 메시지에, 수동검색 기동시라는 취지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이, 수동검색 기동시에 한정하여, 상기 이동단말과의 사이의 RRC 커넥션의 설립, 상기 이동단말로부터의 TAU 요구 메시지의 수신, 코어 네트워크에의 송신 등의 일련의 메시지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은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 5에서 개시하는 방법에서는,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도, TAU 리젝트를 송신하기 전에, 스텝 ST2510에서 Home-eNB(A)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Home-eNB(A)은, 스텝 ST2511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512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송신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스텝 ST2510에서 Home-eNB(A)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2513, 스텝 ST2514에서, Home-eNB(A)을 거쳐 상기 TAU 요구에 대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515에서 Home-eNB(A)와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수동검색에 있어서, 셀 선택에서 끊임없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CSG셀이 선택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일은 없어져, 첫회의 셀 선택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하지 않고 있는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령 셀 선택에 있어서 베스트 셀의 선택만이 허용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선택한 베스트 셀로부터 화이트 리스트를 확실하게 입수할 수 있게 된다.
수동검색의 방법으로서, 셀 서치, 셀 선택 전의 기동 뿐만 아니라, 셀 서치에 있어서 셀 서치 선택기준에 적합한 한개 또는 복수의 셀의 셀 식별 번호, 또는 TAC, 또는 CSG-ID 등을 이동단말에 표시시켜, 상기 한개 또는 복수의 셀 중에서 원하는 셀을 상기 이동단말의 유저가 수동으로 선택하여 RRC 커넥션의 설립, TAU 요구를 상기 원하는 셀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원하는 셀로서,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수동으로 선택하면,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에 RRC 커넥션의 설립를 위해 송수신이나,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나, 셀의 셀 식별 번호, 또는 TAC, 또는 CSG-ID 등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도 12의 스텝 ST1205까지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셀로부터의 SIB1 등의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걸려 버린다. 엄청난 수의 CSG셀이 설치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는, 셀 서치에 있어서, 셀 서치 선택기준에 적합한 셀이 방대해지는 것이 고려되고, 그들 전체의 셀의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셀 식별 번호, 또는 TAC, 또는 CSG-ID 등을 이동단말에 표시시키는 것은, 역시 방대한 시간이 걸려 버린다. 또한, 이동단말이 셀 서치 선택기준에 적합한 CSG셀을 셀 서치하는 경우, 상기 CSG을 분별하기 위한 분해능이나, 상기 CSG셀의 통지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 내부에 기억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엄청난 CSG셀이 설치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는, 셀 서치에 있어서, 셀 서치 선택기준에 적합한 셀이 방대해 지는 것이 고려되고, 그들 전체의 셀을 수신하기 위한 분해능이나, 그것 전체의 셀로부터 수신한 통지 정보를 기억하는 것은, 이동단말의 수신부를 복잡하게 하고, 방대한 기억 용량의 기억 처리부를 이동단말 내부에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동단말의 대형화와 제조 코스트의 증대로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셀 서치 처리에 있어서는, 서치 시간에 제한을 설치하거나, 서치 하는 셀 수에 제한을 설치하는 것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어떤 제한 시간 내에, 또는, 어떤 제한된 수의 셀로부터, 베스트 셀을 선택하는 방법 등이다.
이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셀 서치에 있어서 셀 서치 선택기준에 적합한 한개 또는 복수의 셀의 셀 식별 번호, 또는 TAC, 또는 CSG-ID 등을 이동단말에 표시시키고, 상기 한개 또는 복수의 셀 중에서,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수동으로 선택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서는, 서치 제한 시간 내에 상기 CSG셀을 서치할 수 없거나, 또한, 서치할 셀에 제한이 걸려, 그 중에 상기 CSG셀이 들어오지 않아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리 수동검색을 해도,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을 셀 선택할 수 없게 되어 려,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SG 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이하, 변경(소거, 추가)을 포함한다)을 행한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 화이트 리스트의 유무에 관계 없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CSG셀에도 RRC 커넥션의 설립 및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송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단말이 어떤 CSG셀을 선택하였다고 하더라도 선택한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함으로써, 셀 서치에 있어서 서치 제한 시간 내에 상기 CSG셀을 서치할 수 없거나, 또한, 서치할 셀에 제한이 걸쳐, 그 중에 상기 CSG셀이 들어오지 않아 버리는 경우에도, 다른 CSG셀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른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 및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송신이 가능해지고,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상기 CSG셀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방대한 수의,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되어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그와 같은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이동단말이 갖는 화이트 리스트가 어떠한 원인으로 고쳐써져 버리거나,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과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의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린 경우에,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겨, 이동단말이 다수의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과,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쓸데없이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장래의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이나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를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의 저감도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5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5에서는, 실시형태 4의 방법 이외에,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행한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CSG셀과 다른 CSG셀에 RRC 커넥션을 설립하고, 더구나 상기 CSG셀을 거쳐 TAU 요구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 경우에도,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상기 CSG셀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CSG셀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본 변형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단말에 상기 CSG셀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 화이트 리스트를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에 실어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6에 본 변형예 1에서 개시한 방법에 있어서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본 방법은 실시형태 5의 도 25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스텝 ST2609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스텝 ST2610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Home-eNB(A)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 통지의 요구를 포함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Home-eNB(A)은 스텝 ST2611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의 통지를 포함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텝 ST2611에서 화이트 리스트의 통지를 포함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612에서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또한, 스텝 ST2613에서 상기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의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실시형태 5의 효과 이외에, 코어 네트워크가 CSG셀을 거쳐 이동단말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행하는 화이트 리스트 송신을 위한 시그널링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TAU 요구 메시지에 대해 TAU 리젝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TAU 요구 및 리젝트 방법과의 호환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5에서 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이 동일한 셀로부터 n회(n≥1의 정수) 연속으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7에, 동일 셀로부터 1회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동단말이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의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B)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2701∼스텝 ST2703까지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2704에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705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일이 많아진다. 실시형태 4에서 개시한 것 같이,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여, CSG 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텝 ST2706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B))이 아닌 CSG셀( 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하고, 이 RRC 커넥션의 설립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이 설립 요구에 대한 설립 허가를 이동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한다.
다음에, 스텝 ST2707, 스텝 ST2708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TAU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TAU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스텝 ST2709에서,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은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스텝 ST2710, 스텝 ST2711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A)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텝 ST2712에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과의 사이의 RRC 커넥션을 해방한다. 1 회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스텝 ST2713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 내부에 RRC 커넥션의 설립 금지 셀 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리스트에 Home-eNB(A)의 셀 식별 번호(PCI, Cell-ID, GCI 등)를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행하기 전에 상기 리스트를 체크하고, 리스트 내에 기억된 셀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기 리스트 내에 기억된 셀인 경우에는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스트에 CSG-ID나 TAC이어도 되고, 더구나 상기 CSG-ID나 TAC가 상기 셀 식별 번호와 관련되어 기억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음에, 셀 서치, 셀 선택에 의해 금후 다시 Home-eNB(A)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 RRC 커넥션 설립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텝 ST2713까지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었던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714에서 새롭게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여기에서, 다시 Home-eNB(A)가 선택된 경우에는, RRC 커넥션의 설립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Home-eNB(A)을 제외한 셀로부터 셀 선택을 행하게 된다. 셀 선택에 의해 Home-eNB(B)을 선택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715에서, Home-eNB(B)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 설립의 처리를 행한다. RRC 커넥션의 설립 처리가 행해진 후, 스텝 ST2716, 스텝 ST2717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B)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텝 ST2718에서,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함께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B)의 CSG-ID(TAC)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도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B)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B)에 액세스 가능으로 판정한다. 스텝 ST2719, 스텝 ST2720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B)을 거쳐 TAU 억셉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스텝 ST2721, 스텝 ST2722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B)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723에서 화이트 리스트가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이동단말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동단말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셀의 CSG-ID에 속하는 모든 셀에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 혹은 양쪽을 금지하는 처리로 해도 된다. 또한, 이동단말이 1회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동일 셀로부터 복수회 연속하여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동일 셀로부터 TAU 리젝트 메시지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회수에 대해서는, 상기 셀로부터 통지 정보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미리 결정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그와 같은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이동단말이 갖는 화이트 리스트가 어떠한 원인으로 고쳐써져 버리거나,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의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린 경우에,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겨, 이동단말이 다수의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과,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쓸데없이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장래의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이나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를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의 저감도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6의 제1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변형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TAU 리젝트 메시지에 RRC 커넥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 송신 금지의 정보를 실어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의 일부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실시형태 6과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2709에서,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Home-eNB(A) 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스텝 ST2710, 스텝 ST2711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A)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에 코어 네트워크는 TAU 리젝트 메시지에, 상기 Home-eNB(A)에의 RRC 커넥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 송신 금지의 정보를 실어 둔다. 구체적으로는, 1비트의 인디케이터를 설치하여, 금지의 경우에는 "1", 허가의 경우에는 "0"을 설정(물론 반대이어도 된다)하도록 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을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712에서, Home-eNB(A)와의 사이의 RRC 커넥션을 해방하고, 스텝 ST2713에서, Home-eNB(A)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시형태 6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코어 네트워크가, RRC 커넥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 송신 금지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는 시그널링 부하량이나 CSG셀의 배치 상황등, 그 때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이동단말에 금지 처리를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운용이 유연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6의 제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6 및 제1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지 상태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새롭게 CSG셀에의 유저 액세스 등록(갱신)을 행한 경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동단말이, 새로운 유저 액세스 등록전에 상기 CSG셀의 CSG-ID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이 금지되어 있었을 경우,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 새롭게 유저 액세스 등록하였다고 하더라도 계속하여 상기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이 금지되어 버려 액세스 불가능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변형예 2로서, RRC 커넥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 송신 금지를 해제하는 타이머를 설치하는 것을 개시한다. 타이머의 값은, 전체 셀 공통의 값으로서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되고 CSG셀의 통지 정보로 통지되고 있어도 된다.
CSG 셀의 통지 정보로 통지되는 경우에는, 셀마다 값이 달라도 된다. 이에 따라 셀마다 유연한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7의 스텝 ST2710, 스텝 ST2711에서 나타낸 TAU 리젝트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되어도 된다.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 1회째ddj도 되고, RRC 커넥션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 금지가 되기 직전의 TAU 리젝트 메시지이어도 된다.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가 타이머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더구나 이동단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그널링 부하 등의 시스템의 상황과, 이동단말의 전지 잔용량 등의 이동단말 고유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타이머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타이머의 개시는, 예를 들면, 어떤 CSG셀에의 TAU 요구 메시지 송신으로 해도 된다. 타이머의 종료는,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한 경우, 혹은 상기 CSG셀로부터 TAU 억셉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혹은 새로운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갱신)한 경우로 해도 된다. 이때, 도 28에 타이머를 설치한 경우의 이동단말에서의 처리의 일례를 개시한다.
Home-eNB(CSG 셀)수동검색을 개시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801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스텝 ST2802에서 이동단말은, 셀 선택한 Home-eNB의 CSG-ID(TAC)가 TAU 금지 때문에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는, 도 27의 스텝 ST2713의 처리에서 나타낸 금지 리스트에 CSG-ID(TAC)와 상기 CSG-ID(TAC)에 세트된 타이머를 싣고 있어도 된다. 상기 리스트의 타이머를 보고 판정하면 된다.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셀 선택한 CSG셀은 TAU 금지가 되기 때문에, 스텝 ST2803에서 TAU가 금지된 CSG-ID(TAC)가 아닌 셀을 셀 서치, 셀 선택하고, 스텝 ST2804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T2802에서 타이머가 동작하고 잇지 않은 CSG셀을 셀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CSG셀은 TAU 금지가 아니기 때문에, 스텝 ST2804로 이행하여, 셀 선택을 한 Home-eNB에 TAU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T2805에서, TAU 요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TAU 요구한 Home-eNB의 CSG-ID(TAC)에 대해 타이머를 설정한다. 스텝 ST2806에서 Home-eNB에서 TAU 요구 메시지에 대한 NAS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동단말은, 스텝 ST2807에서, 스텝 ST2806에서 수신한 NAS 메시지가 TAU 리젝트인지, TAU 억셉트인지를 판정한다. TAU 억셉트인 경우에는 스텝 ST2808로 이행하여, 타이머 종료하고 타이머를 리셋트한다. 그리고, 스텝 ST2809에서 화이트 리스트 등록 처리하고, 통상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T2807에서 TAU 리젝트라고 판정된 경우, 스텝 ST2810로 이행하여, 타이머 기간이 종료하고 있는지 아닌지 다시 판정해 둔다. 스텝 ST2810에서 타이머 기간이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 ST2812로 이행하여 상기 TAU 요구한 Home-eNB의 CSG-ID(TAC)에 대해 TAU를 허가하고, 스텝 ST2813에서 타이머를 리셋트하고나서 다시 셀 서치, 셀 선택으로 이행한다. 스텝 ST2810에서 타이머 기간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2811로 이행하여, 상기 TAU 요구한 Home-eNB의 CSG-ID(TAC)에 대한 TAU를 금지한 채 다시 셀 서치, 셀 선택으로 이행한다. 이때, 타이머 기간의 종료인지 아닌지는, 도 28에서 나타내었을 때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스텝 ST2802에서의 처리에 포함되어도 된다. 타이머 기간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2812, 스텝 ST2813의 처리를 행한 후, 스텝 ST2804로 이행하면 된다. 타이머 기간이 종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2811의 처리를 행한 후, 스텝 ST2803으로 이행하면 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RRC 커넥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 송신 금지를 해제하는 타이머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6, 및 제1변형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이 새롭게 CSG셀에의 유저 액세스 등록(갱신)을 행한 경우 등에 액세스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안정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ome-eNB이나 Home-NB을 사용하는 LTE나 UMTS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지 않는 Home-NB을 사용하는 UMTS에도 적용가능하다. CSG가 사용되지 않는 Home-NB을 사용하는 UMTS의 경우에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Home-eNB에 액세스하고, 액세스 성공한 경우, Home-NB로부터 상기 Home-NB의 셀 식별 번호(Cell Identity, PCI, GCI 등)를 입수하고, 이동단말 내부의 화이트 리스트(UMTS의 경우, 셀 식별 번호 화이트 리스트로 불린다)에 등록한다. 이 경우도, 셀 서치, 셀 선택에 의해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Home-NB와는 다른 Home-NB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경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셀 식별 번호를 수신할 수 없거나, 수신에 시간이 걸려 버리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실시형태 6의 방법을 CSG가 사용되지 않는 Home-NB를 사용하는 UMTS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단말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 금지,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방법에 의해, 그후의 셀 서치, 셀 선택에 의해 이동단말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Home-NB와는 다른 Home-NB이 선택되게 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한 Home-NB과는 다른 Home-NB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일은 없어진다.
이때, UMTS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Home-NB, NB)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RNC을 설치하고, RRC 커넥션 요구 등의 RRC 메시지는 이동단말과 RNC 사이에서 송수신을 행하도록 하면 되고, TAU 요구 등의 NAS 메시지는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Home-NB, NB) 및 RNC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수신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CSG셀로서 Home-NB가 사용되는 UMTS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동단말이 쓸데 없는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하는 일이 없어져,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으로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장래 Home-NB의 설치가 다수로 된 경우와, Home-NB의 설치나 철거가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된 경우의 대응에 대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7.
실시형태 5에서 예를 든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동일한 이동단말에 대해 n회(n≥1의 정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연속하여 송신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n회째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29에, 동일한 이동단말에 대해 2회 TAU 리젝트 메시지를 연속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코어 네트워크는 n회째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에 대해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B)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2901∼스텝 ST2903까지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2904에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905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 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일이 많아진다. 실시형태 4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CSG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텝 ST2906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C))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 RRC 커넥션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Home-eNB(A)은 이 요구에 대한 허가를 이동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한다.
다음에, 스텝 ST2907, 스텝 ST2908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TAU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TAU 요구 메시지와 함께 송신해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스텝 ST2909에서,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은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의 리젝트 회수를 더 카운트한다(n=1). 스텝 ST2910, 스텝 ST2911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A)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ST2912에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과의 사이의 RRC 커넥션을 해방한다. 스텝 ST2912까지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었던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2913에서 새롭게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다시 Home-eNB(A)이 선택된 경우, 스텝 ST2914에서, 다시 Home-eNB(A)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한다. 다음에, 스텝 ST2915, 스텝 ST2916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마찬가지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스텝 ST2917에서,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스텝 ST2909와 마찬가지로, Home-eNB(A)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의 리젝트 회수를 1만큼 증분한다(n=2). 동일 이동단말에의 리젝트 회수가 2회로 되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2회째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 메시지의 송신을 행한다. 스텝 ST2918, 스텝 ST2919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Home-eNB(B)을 거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T2920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스텝 ST2918에서 Home-eNB(A)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2921, 스텝 ST2922에서, Home-eNB(A)을 거쳐 TAU 요구에 대한 2회째의 TAU 리젝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2923에서 Home-eNB(A)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동일 이동단말에 대해 TAU 리젝트 메시지를 연속하여 송신하는 회수에 대해서는, 미리 결정되어도 되지만, 코어 네트워크가 유연하게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어 네트워크가 유연하게 정함으로써 시그널링 부하량이나 이동단말의 수신 품질의 상황 등, 그 때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이동단말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시스템으로서의 운용이 유연해진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그와 같은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이 다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나, 이동단말이 갖는 화이트 리스트가 어떠한 원인으로 고쳐써져 버리거나,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의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린 경우에,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겨, 이동단말이 다수의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쓸데없이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장래의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이나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를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이동단말에 있어서 수동검색을 행했을 때에, CSG셀이 끊임없이 계속해서 선택되는 것과 같은 상황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의 저감도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8.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4∼7에서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의 설립을 행하고, 코어 네트워크가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한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경우 모두, 이동단말과,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의 설립을 행할 필요가 있고, 더구나, 이동단말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TAU 요구 등의 NAS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가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대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RRC 커넥션의 설립과 TAU 요구 등의 NAS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6에 개시한 방법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가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대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을 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동단말이 동일한 셀로부터 n회(n≥1의 정수) 연속으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 요구를 금지한다.
도 30에, 동일 셀로부터 1회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동단말이 상기 셀에의 RRC 커넥션 요구를 금지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에 대해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B)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3001∼스텝 ST3003까지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3004, 스텝 ST3005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전체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에 대하여, 각 Home-eNB의 CSG-ID(TAC)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 둔다.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는, Home-eNB(B)에 대하여, Home-eNB(B)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Home-eNB(A)에 대하여, Home-eNB(A)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들 정보의 구체예로서,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리스트이어도 된다. 각 Home-eNB의 CSG-ID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가, 코어 네트워크로 각 Home-eNB에 대해 송부된다.
스텝 ST3006에서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007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일이 많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둔다. 또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스텝 ST3008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B))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T3009에서, 이 RRC 커넥션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는, 스텝 ST3008에서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Home-eNB(A)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 리스트에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Home-eNB(A)은,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스텝 ST3010에서 Home-eNB(A)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1회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3011에서 Home-eNB(A)에의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단말 내부에 RRC 커넥션 요구 송신 금지 셀 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리스트에 Home-eNB(A)의 셀 식별 번호(PCI, Cell-ID, GCI 등)를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의 RRC 커넥션 요구 송신을 행하는 전에 상기 리스트를 체크하고, 리스트 내에 기억된 셀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상기 리스트 내에 기억된 셀인 경우에는 RRC 커넥션 요구의 송신을 금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스트에 기억되는 것은, 상기 CSG셀의 CSG-ID나 TAC이어도 되고, 더구나 상기 CSG-ID나 TAC이 상기 CSG셀 식별 번호와 관련되어 기억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음에, 셀 서치, 셀 선택에 의해 금후 다시 Home-eNB(A)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 RRC 커넥션 요구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텝 ST3011까지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수 없었던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3012에서 새롭게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여기에서, 다시 Home-eNB(A)이 선택된 경우에는, RRC 커넥션 요구의 송신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Home-eNB(A)을 제외한 셀로부터 셀 선택을 행하게 된다. 셀 선택에 의해 Home-eNB(B)을 선택한 상기 이동단말은, 스텝 ST3013에서, Home-eNB(B)에 대해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행한다. 스텝 ST3014에서,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Home-eNB(B)은, 함께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B)의 CSG-ID(TAC)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도 전술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B)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Home-eNB(B)은, 상기 이동단말이 자 셀에 액세스 가능으로 판정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자 셀에 액세스 가능으로 판정한 Home-eNB(B)은, RRC 커넥션 억셉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스텝 ST3015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스텝 ST3016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 Home-eNB(B)은, 스텝 ST3017에서 RRC 커넥션 억셉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과 Home-eNB(B) 사이에서 RRC 커넥션이 설립된다(스텝 ST3018). 그후, 스텝 ST3019, 스텝 ST3020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B)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스텝 ST3021에서 CSG-ID(TAC)의 체크를 행한다. 스텝 ST3021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B)의 CSG-ID(TAC)에 속해 있는 것을 확인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3022, 스텝 ST3023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TAU 억셉트를 Home-eNB(B)을 거쳐 송신한다. 이때, 스텝 ST3004, 스텝 ST3005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전체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에 대하여, 각 Home-eNB의 CSG-ID(TAC)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 두도록 했지만, 상기 CSG-ID에 속하는 CSG셀에 접속되는 HeNBGW에, 각각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상기 HeNBGW는, 수신한 각각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자 HeNB에 접속되는 동일한 CSG-ID의 CSG셀에 대해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HeNBGW는, 수신한 각각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자 HeNB에 접속되는 동일한 CSG-ID의 CSG셀에 대해 송신하는 처리는, 스텝 ST3008에서 이동단말로부터의 RRC 커넥션 요구를 수신한 CSG셀이 HeNBGW에 대해 자 CSG셀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해 두고, HeNBGW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단말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 요구를 금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동단말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셀의 CSG-ID에 속하는 모든 셀에 RRC 커넥션의 요구를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동단말이 1회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요구를 금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했지만, 동일 셀로부터 복수회 연속하여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RRC 커넥션의 요구를 금지하도록 해도 된다. 동일 셀로부터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회수에 대해서는, 상기 셀로부터 통지 정보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미리 결정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화이트 리스트의 통지는, Home-eNB이, RRC 커넥션 억셉트를 송신하기 전에 행하도록 했지만, 스텝 ST3023의 TAU 억셉트를 수신한 후에, NAS 메시지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CSG셀을 거쳐 이동단말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예를 들면, 실시형태 5나 실시형태 7에 개시한 방법에 있어서, 코어 네트워크가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TAU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대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5나 7에서는,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로부터도,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할 필요가 생긴다. 이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모든 CSG셀에 대하여, 전CSG-ID(TAC)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 둔다.
도 31에,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 31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의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C)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3101∼스텝 ST3103까지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3104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전체 CSG셀(여기에서는 전Home-eNB)에 대하여, 전체 CSG-ID(TAC)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 둔다. 이들 정보의 구체예로서,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리스트이어도 된다. 전체 CSG-ID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전체 Home-eNB에 대해 송부된다. 스텝 ST3105에서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106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방대한 수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상기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일이 많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둔다. 또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된다.
삭제
이에 따라, 스텝 ST3107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C))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T3108에서, 이 RRC 커넥션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어느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는, 스텝 ST3104에서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전체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 리스트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Home-eNB(A)은,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CSG-ID를 검색하여 특정한다. 스텝 ST3109에서 Home-eNB(A)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하여, 특정한 CSG-ID를 사용하여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한다. 스텝 ST3110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은, 자 이동단말 내부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스텝 ST3109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화이트 리스트를 통지한 Home-eNB(A)은, 스텝 ST3111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스텝 ST3104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전체 CSG셀(여기에서는 전Home-eNB)에 대하여, 전체 CSG-ID(TAC)과 상기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 두도록 했지만, 전체 HeNBGW에, 각각의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상기 HeNBGW는, 전체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자 HeNB에 접속되는 전체 CSG셀에 대해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체 HeNBGW는, 수신한 전체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자 HeNB에 접속되는 전체 CSG셀에 대해 송신하는 처리는, 스텝 ST3107에서 이동단말로부터의 RRC 커넥션 요구를 수신한 CSG셀이 HeNBGW에 대해 전체 CSG-ID에 속하는 이동단말 식별 번호의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해 두고, HeNBGW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행해져도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로부터도,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설명에서 개시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실시형태 4∼7에서 설명한 효과 이외에, 더구나,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TAU 요구 등의 NAS 메시지의 송수신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구나,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의 향상, 시그널링 부하의 삭감, 시스템으로서의 제어 지연의 저감,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하는 것이 상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9.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3으로부터 실시형태 7에 있어서,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입수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를 송신하게 된다. 이동단말로부터 TAU 요구를 송신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CSG-ID(TAC)의 체크를 행하고,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코어 네트워크는, 이동단말로부터 TAU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면 반드시, 상기 방법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TAU 요구 메시지에는 화이트 리스트를 코어 네트워크부터로 입수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다른 이유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에 이미 2개의 CSG-ID를 갖고 있고, 한개의 CSG-ID에 속하는 CSG셀로부터, 다른 한개의 CSG-ID에 속하는 CSG셀로 이동한 경우 등, 새롭게 화이트 리스트를 등록(갱신)할 필요가 없지만, 2개의 CSG셀의 TAC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이동단말은 TAU 요구를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가 화이트 리스트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필요없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단말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게 되어 버려, 쓸데없이 시그널링 부하를 증대시켜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실시형태 6의 변형예 1이나 실시형태 7에 개시한 방법에서는, 코어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TAU 요구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도,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이 송신되는 TAU 요구 메시지가 화이트 리스트의 요구 때문인지 아닌지를 알아 두는 쪽이 좋고, 모르면,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TAU 요구 메시지도 고려해 버리므로, 효율이 나쁜 동작으로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혹은 화이트 리스트 송신(통지)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5에서 설명한 도 25에 나타낸 예의 경우, 스텝 ST2507, 스텝 ST2508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를 송신한다. 상기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고, TAU 요구와 함께, 그 이유가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코어 네트워크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TAU 요구 메시지가 화이트 리스트(등록)갱 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TAU의 Type 정보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Type 정보는 수치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1비트의 인디케이터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설명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가 화이트 리스트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필요없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단말에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에 따른, 원래 불필요한 시그널링 부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TAU 요구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TAU 요구 메시지를 고려하는 것에 의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TAU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에 사용되는 정보를 싣는 방법은, 실시형태 3으로부터 실시형태 7에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실시형태 8에서 개시한 방법에 적용하기 위해,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혹은 화이트 리스트 송신(통지)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8에서는,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대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여,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한다. 이동단말로부터 RRC 커넥션 요구를 송신된 CSG셀은,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CSG-ID(TAC)의 체크를 행하고,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CSG 셀은, 이동단말로부터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가 송신되면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의 송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어도 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쓸데없이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을 저하시켜 버리는 문제가 생기고, 더구나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켜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변형예 1에서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8에서 설명한 도 31에 나타낸 예의 경우, 스텝 ST3107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 요구를 송신한다. 상기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고, RRC 커넥션 요구와 함께, 그 이유가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Home-eNB(A)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Home-eNB(A)은, 상기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가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의 이유(cause) 정보로서,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이유정보는 수치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1비트의 인디케이터를 설치해도 된다. 본 변형예는 실시형태 8에서 개시한 방법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기재했지만, 실시형태 3으로부터 실시형태 7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시에 행해지는 RRC 커넥션의 요구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실시형태 8에서 서술한 효과 이외에, 더구나, 전술한 것과 같은, CSG셀이 화이트 리스트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하는 것은 필요없는데도 불구하고, 상기 이동단말에 화이트 리스트를 등록(갱신)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어 버려, 쓸데없이 무선 리소스가 저하하는 문제와, 더구나, CSG셀이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RRC 커넥션 요구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도 고려해 버리는 것에 의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TAU 요구 메시지 위나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 위에 화이트 리스트(등록) 갱신 요구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실음으로써,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상기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이 수동검색 기동시에 한정된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나타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갱신 요구 때문이면,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이 아닌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상기 CSG셀을 통한 코어 네트워크에의 TAU 요구 메시지의 송신이 허가되도록 해 두면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 액세스 등록후, 수동검색을 기동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화이트 리스트 입수를 위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수동검색을 기동하지 않고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때까지 정기적으로(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어떤 주기로 주기적으로) 화이트 리스트 입수를 위한 통신을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단말이 등록(갱신)된 화이트 리스트를 입수할 때까지의 수속을 유연하게 할 수 있어, 장래의 다수의 CSG셀이 설치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유저 액세스 등록이 행해지는 것과 같은 상황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나타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실시형태 4, 5에서 개시한 것과 같은, 이동단말이 수동검색을 기동한 것을 나타내는 취지의 정보를 RRC 커넥션 요구나 TAU 요구에 포함시킬 필요가 없어져, 시그널링 양의 삭감도 도모된다.
실시형태 10.
실시형태 4 내지 실시형태 7에 있어서, CSG셀에 유저 액세스 등록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를 코어 네트워크(CN)으로부터 입수하기 위해,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TAU 요구를 송신하게 된다. 이동단말로부터 TAU 요구가 송신된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CSG-ID(TAC)의 체크를 행하고, 상기 CSG셀에의 액세스가 불가능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상기 CSG셀을 거쳐, TAU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이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CSG셀을 거쳐 수신한 TAU 리젝트 메시지에 따라 다음에 이어지는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CSG셀을 거쳐 수신한 TAU 리젝트 메시지가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갱신) 요구를 위한 TAU 요구에 대한 것인지 아닌지를 알아 두는 쪽이 좋고, 모르면,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TAU 리젝트 메시지도 고려해 버리므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켜 버린다.
한편, 3GPP에 있어서, TAU 리젝트 메시지 또는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에, 「부적절한 셀」(no suitable cells)이라고 할 이유 정보를 싣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적절한 셀」(suitable cell)의 정의게는 몇종류나 있기 때문에, 어떤 정의에 들어맞지 않고 있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TAU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6에서 설명한 도 27에 나타낸 예의 경우, 스텝 ST2710, 스텝 ST2711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Home-eNB(A)을 거쳐 이동단말에 대해 TAU 요구 리젝트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실음으로써, 그 이유가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은, 수신한 TAU 요구 리젝트 메시지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TAU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TAU 리젝트 메시지가 다른 어떤의 이유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AU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TAU 리젝트 메시지의 이유(cause) 정보에,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취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이유정보는 수치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TAU 요구 리젝트 메시지 위에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1비트의 인디케이터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실시형태 4∼7에서 서술한 효과 이외에, 더구나, 전술한 것과 같은, 이동단말이 코어 네트워크에서 송신된 TAU 리젝트 메시지에 대해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TAU 요구의 송신을 금지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TAU 리젝트 메시지도 고려해 버리는 것에 의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10의 제1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실시형태 8에서 개시한 방법에 적용하기 위해,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8에서는, 이동단말이 송신하는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에 대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이용하고여 상기 이동단말이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동단말이, CSG셀로부터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가 송신되면 반드시, 상기 CSG셀에 대해 RRC 커넥션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금지하도록 하여 있어도 되지만, 이와 같이 하면,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켜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변형예 1에서는,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것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8에서 설명한 도 31에 나타낸 예의 경우, 스텝 ST3110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A)로부터 RRC 커넥션 리젝트를 수신한다. Home-eNB(A)는, 상기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Home-eNB(A)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고, 그 이유가 리젝트의 이유가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상기 이동단말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이동단말은, 수신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상기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 아니아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리젝트의 이유가,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싣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의 이유(cause) 정보에,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를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하면 된다. 상기 이유정보는 수치로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 위에 CSG셀이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1비트의 인디케이터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실시형태 8에서 서술한 효과 이외에, 더구나, 전술한 것과 같은, 이동단말이 CSG셀에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RRC 커넥션 요구의 금지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과 같은 방법의 경우에, 다른 이유에서 송신된 RRC 커넥션 리젝트 메시지도 고려해 버리는 것에 의한 효율이 나쁜 동작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1.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이나 변경시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리는 경우가 있는 것을 기재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다수의 CSG셀이 존재하는 상황에 있어서, 잘못하여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리는 경우가 생기고, 이동단말은, 잘못된 화이트 리스트의 CSG-ID에 속하는 상기 CSG셀에 몇번이고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반복해 버리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으로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이나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가 일으켜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으로 들어갈 때까지, 엄청난 시간이 걸려 버려, 시스템으로서 큰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와, 이동단말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방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도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수신의 성공/실패(Ack/Nack)을 코어 네트워크에 명시적으로 송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도 32에, 화이트 리스트 등록시, 이동단말에 있어서의 화이트 리스트 수신의 성공/실패(Ack/Nack, 완료/미완료, complete/incomplete)를 코어 네트워크에 명시적으로 송신하는 방법의 시퀀스도를 나타낸다. 도면은, 예를 들면, Home-eNB을 사용하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대해 나타낸다.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Home-eNB(C)에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지만, 스텝 ST3201∼스텝 ST3203까지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T3204에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의 수동검색을 기동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205에서 셀 서치, 셀 선택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 더우 더 다수의,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ID에 속하는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이동단말은 CSG셀을 셀 선택하게 된다. 실시형태 4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셀 선택한 CSG셀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행한 CSG셀인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이동단말이 상기 CSG셀에의 RRC 커넥션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고, CSG 셀을 거쳐 네트워크에 TAU를 송신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스텝 ST3206에서 이동단말은 유저 액세스 등록한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C))이 아닌 CSG셀(여기에서는 Home-eNB(A))에 대해 RRC 커넥션의 요구를 송신하고, 이 RRC 커넥션의 설립 요구를 수신한 Home-eNB(A)은 이 설립 요구에 대한 설립 허가를 이동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과 Home-eNB(A)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설립한다.
다음에, 스텝 ST3207, 스텝 ST3208에서 이동단말은 TAU 요구 메시지를 Home-eNB(A)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식별 번호도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는 TAU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되고, TAU 요구 메시지와 함께 하여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로서 송신해도 된다. TAU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역시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이, Home-eNB(A)의 CSG-ID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체크의 방법은 도 22에서 개시한 스텝 ST2207에서 설명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Home-eNB(A)가 속하는 CSG-ID에는 상기 이동단말 식별 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실시형태 5에서 개시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단말은 Home-eNB(A)에는 액세스 불가능으로 판정한 경우에도, TAU 리젝트를 송신하기 전에, 스텝 ST3210에서 Home-eNB(A)에 대해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Home-eNB(A)은, 스텝 ST3211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212에서 Home-eNB(A)에 대하여, 화이트 리스트 수신 성공의 Ack을 송신한다. 이 Ack은 NAS 메시지로 해도 된다.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화이트 리스트 수신 성공의 Ack을 수신한 Home-eNB(A)는, 스텝 ST3213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 수신 성공의 Ack을 송신한다. 화이트 리스트 수신 성공의 Ack을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3215에서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한 Home-eNB(C)에 대하여, 상기 이동단말이 유저 액세스 등록을 완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이동단말은, 스텝 ST3214에서, 자 이동단말에,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를 기억한다. 스텝 ST3213에서 화이트 리스트 수신 성공의 Ack을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스텝 ST3216, 스텝 ST3217에서, Home-eNB(A)를 거쳐 TAU 요구에 대한 TAU 리젝트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송신한다. TAU 리젝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218에서 Home-eNB(A)과의 사이에서 RRC 커넥션을 개방한다.
스텝 ST3211에서 화이트 리스트의 수신을 실패한 이동단말은, 스텝 ST3212에서 Home-eNB(A)에 대하여, 화이트 리스트 수신 실패의 Nack을 송신한다. 이 Nack은 NAS 메시지로 해도 된다.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화이트 리스트 수신 실패의 Nack을 수신한 Home-eNB(A)은, 스텝 ST3213에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 수신 실패의 Nack을 송신한다. 화이트 리스트 수신 실패의 Nack을 수신한 코어 네트워크는, 다시 스텝 ST3210, 스텝 ST3211에서 Home-eNB(A)을 거쳐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상기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를 수신 성공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이동단말이 수신 성공하면, 스텝 ST3212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 내용을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해 버릴 확률을 크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같은, 다수의 CSG셀이 존재하는 상황에 있어서, 이동단말이, 잘못하여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의 CSG-ID에 속하는 CSG셀을 셀 선택해 버려, 상기 CSG셀에 몇번이고 RRC 커넥션의 설립이나, CSG셀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TAU의 요구를 반복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들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장래의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의 사용 효율이나 시그널링 효율의 극단적인 저하를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4∼11에서는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에 대해 설명했지만,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 뿐만 아니라, 화이트 리스트의 갱신(삭제, 추가를 포함한다)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1∼11의 예에서는 CSG셀로서 Home-eNB가 사용되는 LTE 방식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에 대해 나타냈지만, CSG 셀로서 Home-NB가 사용되는 UMTS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CSG 셀로서 Home-NB가 사용되는 UMTS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기지국(Home-NB, NB)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RNC을 설치하여, RRC 커넥션 요구 등의 RRC 메시지는 이동단말과 RNC 사이에서 송수신을 하도록 하면 되고, TAU 요구 등의 NAS 메시지는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Home-NB, NB) 및 RNC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에 송수신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CSG셀로서 Home-NB가 사용되는 UMTS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2.
비특허문헌 6에 RRC 접속 재설립(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establishment)의 LTE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절차가 개시되어 있다. 도 33에 개시되어 있는 RRC 접속 재설립에 관한 이동단말로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스텝 ST3301에서 이동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를 검출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T3305로 이행하고,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3302로 이행한다. 스텝 ST3302에서 이동단말은,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ure)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핸드오버 실패한 경우에는 스텝 ST3305로 이행하고, 실패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33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03에서 이동단말은, 인테그리티 실패(Integrity failure)가 보다 낮은 레이어에서 지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그 결과, 인테그리티 실패의 지시가 있으면 스텝 ST3305로 이행하고, 지시가 없으면 스텝 ST3304로 이행한다. 스텝 ST3304에서 이동단말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failure)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RRC 접속 재설치 실패한 경우에는 스텝 ST3305로 이행하고, 실패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3301로 이행한다. 스텝 ST3301로 되돌아온 이동단말은, 스텝 ST3301, 스텝 ST3302, 스텝 ST3303, 스텝 ST3304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3301, 스텝 ST3302, 스텝 ST3303, 스텝 ST3304의 처리의 순서는 임의이며, 더구나 동시라도 상관없다.
스텝 ST3301에서 이동단말이 검출의 유무를 판단하는 무선 링크 실패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물리층 문제(Physical layer problem)을 검출하고나서, 무선 링크 복구(Radio link recovery)를 허용하는 시간을, 예를 들면, T310으로 한다. T310 대신에, 물리층 문제를 검출하고나서 무선 링크 복구를 허용할 때까지의 물리층 실패(Physical layer failure)의 카운터 값을 규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MAC으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문제 인디케이터를 수신하고나서, 무선 링크 복구를 허용하는 시간을, 예를 들면, T312로 한다.
이동단말은, 상기 타이머(T310, T312)가 종료하는 경우, 무선 링크 실패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T310, T312)은, 기지국(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단말의 타이머와 상수의 정보요소(UE-Timer And Constansts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System Information BlockType2: SIB2)에 매핑되거, BCCH를 사용하여 PDSCH(DL-SCH)에서 통지한다.
스텝 ST3302에서 이동단말이 판단하는 핸드오버 실패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핸드오버의 계기(trigger)가 되는 RRC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이동단말은, RRC 접속 재설치(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로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rmation)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성 제어 정보중에 포함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04로 한다)를 세트한다. 이동단말은, MAC이 랜덤 액세스 순서를 완료한 경우, 상기 타이머(T304)을 스톱시킨다. 이동단말은, 상기 타이머(T304)가 종료하는 경우, 핸드오버 실패라고 판단한다. 즉 상기 타이머(T304)는, 핸드오버의 실행을 개시하고나서, MAC이 랜덤 액세스 절차의 완료까지 필요한 허용 시간을 규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타이머(T304)는, 기지국(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성 제어 정보의 정보요소(Mobility Control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RRC 접속 재설치 메시지(RRC 커넥션 Reconfiguration message)에 매핑되고, NAS 개별정보(NAS(Non Access Stratum) Dedicated information)로서 통지한다.
스텝 ST3304에서 이동단말이 판단하는 RRC 접속 재설치 실패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UE기 불가능한 구성이 RRC 접속 재설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었을 경우, RRC 접속 재설치 실패로 판단한다. 이때 RRC 접속 재설치 메시지는, 기지국(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NAS 개별정보로서 통지한다. 스텝 ST3305에서 이동단말은, 물리층 문제를 검출하고나서, 무선 링크 복구를 허용하는 시간(T310)의 타이머를 스톱하고, 스텝 ST33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06에서 이동단말은, MAC으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문제 인디케이터를 수신하고나서, 무선 링크 복구를 허용하는 시간(T312)의 타이머를 스톱하고, 스텝 ST3307로 이행한다. 스텝 ST3307에서 이동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을 스타트시켜, 스텝 ST3308로 이행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T311)은, 기지국(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단말의 타이머와 상수의 정보요소(UE-Timer And Constansts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System Information BlockType2:SIB2)에 매핑되고, BCCH을 사용하여 PDSCH에 통지한다. 스텝 ST3308에서 이동단말은, MAC(Media Access Control)을 리셋트하고, 스텝 ST3309로 이행한다. 스텝 ST3309에서 이동단말은, 설치되어 있는 모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RLC(Radio Link Control)를 재설정하고, 스텝 ST33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10에서 이동단말은, T311타이머가 종료하고 있지 않는지 판단한다. 그 결과, 타이머가 종료(타임아웃, 타이머가 완료, 타이머가 유효기한 만료)하고 있으면 스텝 ST3311로 이행하고,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ST3314로 이행한다. 스텝 ST3311에서 이동단말은, MAC으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무선 베어러의 RLC의 재설정을 리셋트하고, 스텝 ST3312로 이행한다. 스텝 ST3312에서 이동단말은, 모든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s)을 개방하고, 스텝 ST33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13에서 이동단말은, RRC_IDLE 상태로 천이한다. 스텝 ST3314에서 이동단말은, 셀 선택 절차(cell selection process), 또는, 셀 재선택 절차(cell reselection process)에 의해 E-UTRA셀을 선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E-UTRA셀을 선택한 경우 스텝 ST3315로 이행하고, E-UTRA 셀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3317로 이행한다. 스텝 ST3315에서 이동단말은, 타이머 T311을 스톱시키고, 스텝 ST3316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16에서 이동단말은, 네트워크측에 RRC 접속 재설립 요구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message)을 송신한다. 스텝 ST3317에서 이동단말은, 셀 선택 절차에 의해 이무선 액세스 기술 셀(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 Cell)을 선택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 결과, inter-RAT셀을 선택한 경우 스텝 ST3311로 이행하고, inter-RAT 셀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T33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310으로 되돌아온 이동단말은, 스텝 ST3310, 스텝 ST3314, 스텝 ST3317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실시형태 12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LTE 및 UMTS에 있어서 CSG셀이 도입된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6의 RRC 접속 재설립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잘차에는, CSG셀을 어떻게 도입하는지의 개시는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 12에서 지적하는 과제에 대해서도 시사는 없다. CSG 셀에서 표준(normal)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이동단말은 해당 CSG셀에의 등록이 필요하다. 등록을 완료하고 이동단말은, 이동단말 내부(USIM, SIM, 메모리, CPU 등)에 존재하는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을 한 CSG셀의 CSG-ID를 보존한다. CSG 셀은, CSG-ID 혹은, CSG-ID와 대응되어 있는 트랙킹 에어리어 코드(Tracking Area Code: TAC)를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로서 산하의 이동단말에 통지한다. CSG-ID 혹은, TAC은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1(System Information BlockType1: SIB1)에 매핑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CSG셀로부터 통지된다. 이때 SIB1이 통지되는 주기는 20ms에 1회로 되어 있다. UE가 CSG셀을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서 선택하고, 표준(normal)의 서비스를 얻기 위해 위치등록 혹은 대기하기 위해서는, non-CSG셀을 적합한 셀로서 선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해당 CSG셀에 자 이동단말이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처리를 추가로 행할 필요가 있다. 해당 CSG셀에 자 이동단말이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해당 CSG셀이 통지하는 CSG-ID(혹은 TAC)와 자 이동단말 내부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가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CSG 셀을 도입했을 때의 RRC 접속 재설립 절차를 나타낸다. 그 절차는, 도 33과 거의 동일하지만, 특징 있는 스텝 ST3314에 대해 상세를 도 34에 나타낸다. 스텝 ST34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3402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34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402에서 이동단말은, 주변 셀(Neighboring Cell)의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서 CSG셀 중에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존재한 경우, 스텝 ST3403로 이행한다. 존재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34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403에서 이동단말은, 주변 셀의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사 CSG셀 중에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 중,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최량의 셀(베스트 셀: best cell으로도 불린다)을 선택하고, 스텝 ST3404로 이행한다.
스텝 ST3404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3403에서 선택한 셀의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L1/L2 시그널링 채널로도 불린다)을 수신한다. PDCCH의 수신에 이동단말은,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블라인드 검출의 결과, PDSCH상의 BCCH의 할당을 수신하고, 스텝 ST3405로 이행한다. 스텝 ST3405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3404에서 수신한 BCCH용의 할당에 따라 PDSCH의 수신을 행하고, 스텝 ST3406으로 이행한다. PDSCH에서는 20ms에 1회, SIB1이 매핑된 BCCH가 송신된다. 이동단말은 스텝 ST3405에서 SIB1을 입수한다. 스텝 ST3406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3405에서 수신한 SIB1에 매핑되는 CSG-ID 혹은 TAC을 입수하고, 스텝 ST3407로 이행한다. CSG-ID가 SIB1과는 다른 시스템 정보에 매핑될 가능성도 있지만, 그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스텝 ST3407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3406에서 입수한 해당 CSG셀의 CSG-ID와 자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에 보존되어 있는 등록 완료의 CSG셀의 CSG-ID가 동일한지 아닌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은, 해당 CSG셀이 「적합한 셀(suitable cell)」이 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해당 CSG셀의 CSG-ID가 화이트 리스트 중에 존재한 경우에는, 해당 셀은 등록 완료의 CSG셀로서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 될 수 있다. 반대로 해당 CSG셀의 CSG-ID가 화이트 리스트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로서 해당 셀은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 될 수 없다. 해당 CSG셀이 등록 완료의 CSG셀이었을 경우, 도 33의 스텝 ST3315으로 이행한다. 해당 CSG셀이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이었을 경우, 스텝 ST3408로 이행한다.
스텝 ST3408에서 이동단말은, 해당 CSG셀을 E-UTRA셀 선택의 처리로부터 생략하고, 스텝 ST3409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409에서 이동단말은, T311 타이머가 종료하고 있지 않은지 판단한다. 그 결과, 타이머가 종료(타임아웃, 타이머가 완료, 타이머가 유효기한 만료)하고 있으면 도 33의 스텝 ST3311로 이행하고, 종료하지 않고 있으면 스텝 ST3402로 되돌아온다. 스텝 ST3410에서 이동단말은, 주변 셀(Neighboring Cell)의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서 non-CSG셀 중에서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존재한 경우, 스텝 ST3411로 이행한다. 존재하지 않은 경우 도 33의 스텝 ST3317로 이행한다. 스텝 ST3411에서 이동단말은, 주변 셀의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서 non-CSG셀 중에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 중, 수신 품질에 근거하여 최량의 셀을 선택하고, 도 33의 스텝 ST3315로 이행한다.
상기 및 도 3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즉 어느 한 개의 CSG셀에 등록한 이동단말이 E-UTRA셀 선택에 필요한 시간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는 이동단말, 즉 어느쪽의 CSG셀에도 미등록인 이동단말이 E-UTRA셀 선택에 필요한 시간과 비교하여 길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현상은, 자 이동단말이 CSG셀(CSG-ID=10으로 가정)에 등록하고 있지만, 주변에는 해당 CSG셀(CSG-ID=1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경우, 이동단말은 도 34의 스텝 ST3407에서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자 이동단말이 등록하고 있지 않은 CSG셀이 많이 존재하는 장소에 이동단말이 존재하고, 등록하고 있지 않은 많은 CSG셀의 수신 품질이 좋고,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이었을 경우, 상기 과제는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경우 도 34의 스텝 ST3402로부터 스텝 ST3409의 처리를 CSG셀 중에서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이 존재하지 않게 될 때까지 반복하게 되기 때문이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 사이의 셀 선택에 필요한 시간의 차이로부터 이하와 같은 과제가 발생한다. 상기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가 존재한다. 상기 타이머가 현 상태대로 1종류인 경우, 타이머 값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에 적합하도록 한 경우를 고려한다. 그 경우,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기 때문에, 셀 선택에 필요한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에도 상관없이, 상기 타이머가 타임아웃하지 않게 된다. 즉, 도 33의 스텝 ST3310에서 「타이머가 종료」라는 판단이 불필요하게 지연되게 된다. 이것은, 도 33의 스텝 ST3312에서 행해지는 모든 무선 리소스(라디오 리소스) 개방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무선 리소스의 확보라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타이머 값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적합하도록 한 경우를 고려한다. 그 경우,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기 때문에, 셀 선택에 필요한 시간이 길기 때문에 셀 선택의 도중, 예를 들면, CSG셀 중에서 서빙 셀로 될 수 있는 셀이 아직 존재하는 데에도 불구하고, 상기 타이머가 타임아웃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즉, 도 33의 스텝 ST3310에서 「타이머가 종료」, 혹은 도 34의 스텝 ST3409에서 「타이머 종료」라는 판단이 지나치게 빠른 경우가 고려된다. 이것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의 MAC은 리셋트되어 있지만, 무선 베어러 즉 무선 리소스는 확보된 상태에서의 RRC 접속 재설립의 가능성을 낮게 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 주변에 수신 품질이 좋은 셀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RRC_IDLE 상태로 천이하여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이때, 비특허문헌 6에는 본 과제의 시사는 없다. 또한 도 34에서는, CSG셀의 선택을 non-CSG셀의 선택보다 우선 순위를 높게 하여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단, 본 우선 순위가 없더라도 상기 과제는 발생한다. 더구나 본 과제는, LTE(E-UTRAN) 시스템에의 CSG셀 도입에 있어서도 W-CDMA(UTRAN, UMTS) 시스템에의 CSG셀 도입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실시형태 12의 과제 해결책을 이하에서 나타낸다. 본 해결책은, LTE 시스템에도 W-CDMA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2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에 따라 다른 타이머를 별개로 설치하고,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를 별개(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와 T311_화이트 리스트 무)로 설치하고,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35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5 중에서 도 33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34에 대해서는 도 35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스텝 ST35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3502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35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3502에서 이동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에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을 세트하고, 스텝 ST3307로 이행한다.
스텝 ST3503에서 이동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에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와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무)을 세트하고, 스텝 ST3307로 이행한다.
다음에,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타이머를 별개로 설치한 타이머의 통지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제1의 방법으로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 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무) 모두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통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별 제어 채널(DCCH), 혹은 통지 제어 채널(BCCH)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개별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또한 BCCH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며,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BCCH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MIB 혹은 SIB에 매핑하는 것이 고려된다. M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IB은 PBCH에 매핑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이 제어 지연을 적게 수신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S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IB1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MIB 혹은 SIB1은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인 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 지연을 적게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또한, 이동단말의 타이머와 상수의 정보요소(UE-Timer And Constansts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System Information BlockType2: SIB2)에 매핑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서빙 셀이 CSG셀인지 non-CSG셀인지에 상관없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무) 모두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단말의 타이머와 상수의 정보요소(UE-Timer and Constansts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System Information BlockType2: SIB2)에 매핑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SIB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이머라고 하는 관점에서 동일한(동일한 종류) 파라미터와 동시에 통지할 수 있고, 수신한 이동단말의 처리가 용이한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더구나 SIB1, SIB2 이외의 시스템 정보로 통지하는 방법애서도 통지 정보이므로,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제1의 방법에서 이동단말은, 서빙 셀의 BCCH, 혹은 DCCH를 수신하는 것만뿐으로 다른 타이머를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지연 방지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의 방법으로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무)는,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단말의 타이머라고 상수의 정보요소(UE-Timer and Constansts 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에 매핑되고, BCCH을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서빙 셀이 CSG셀인지 non-CSG셀인지에 상관없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무)를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이동단말의 타이머와 상수의 정보요소의 일부로서,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2에 매핑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는, CSG셀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에 매핑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36 및 도 3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6 중에서 도 33, 도 35과 같은 스텝 번호, 도 37 중에서 도 34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의 스텝 ST3601에서 이동단말은, 서빙 셀이 CSG셀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서빙 셀이 CSG셀인 경우, 스텝 ST3502로 이행한다. 서빙 셀이 CSG셀이 아닌 경우, 스텝 ST3503으로 이행한다. 도 36의 스텝 ST3502에서 이동단말은, T311에 T311_화이트 리스트 유(CSG셀(서빙 셀)로부터 수신한 T311)를 세트한다. 도 36의 스텝 ST3503에서 이동단말은, T311에 T311_화이트 리스트 무(non-CSG셀(서빙 셀)로부터 수신한 T311)를 세트한다. 도 37의 스텝 ST3701에서 이동단말은, T311에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가 세트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T311_화이트 리스트 유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스텝 ST3407로 이행한다. T311_화이트 리스트 유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T3702로 이행한다.
도 37의 스텝 ST3702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3405에서 수신한 PDSCH 상의BCCH에 매핑되어 있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T311_화이트 리스트 유를 입수하고, 스텝 ST3703으로 이행한다. 도 37의 스텝 ST3703에서 이동단말은,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에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을 세트하고, 스텝 ST3407로 이행한다. 제2의 방법에 의해, non-CSG셀의 시스템 정보에 CSG 도입이 원인이 되는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CSG을 포함하지 않는 LTE 시스템(eUTRA/eUTRAN)에서의 변경이 불필요하게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의 방법에서는 PDSCH 상의 BCCH에 매핑되어 있는 시스템 정보에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타이머(예를 들면, T311_화이트 리스트 유)을 통지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제2의 통지 방법의 경우도 구체적인 예는 제1의 통지 방법과 마찬가지로 개별 제어 채널, 통지 제어 채널(MIB, SIB)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의 효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의 산하에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혼재하여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대해 별개로 무선 링크 실패의 검출, 혹은 핸드오버 실패의 판단, 혹은 인테그리티 실패의 판단, 혹은 RRC 접속 재설치 실패의 판단으로부터 E-UTRA 내부의 셀을 선택할 때까지의 허용 시간의 타이머(예를 들면, T311)를 설치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에 대해서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대해서도 상기 타이머 값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가 길게 설치되는 것에 의한 불필요한 무선 리소스의 확보를 회피할 수 있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가 짧게 설정되는 것에 의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제어 지연의 증가를 회피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 지연의 방지는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 삭감이라고 하는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 의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2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3.
비특허문헌 7에 LTE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E-UTA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와 RRC 메시지로 네트워크측으로부터 UE에 제공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네트워크측으로부터 이동단말에 대하여, 개별 시그널링(Dedicated signalling) 경유로 우선 순위가 할당되고 있는 경우, 이동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제공하는 모든 우선 순위를 무시한다. 비특허문헌 6에 이하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RRC 접속 개방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 message)에 아이들 모드 이동성 제어 정보(idlemode Mobility Control Information)가 포함되어 있고, 아이들 모드 이동성 제어 정보에 셀 재선택 우선 순위 만료 타이머(cell Reselection Priority Expiry Timer)(예를 들면, T32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도 38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단말로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스텝 ST3801에서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에서 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수신하고, 스텝 ST3802로 이행한다. 스텝 ST3802에서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개별신호에서 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수신한 경우, 스텝 ST3803으로 이행한다. 수신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3804로 이행한다. 스텝 ST3803에서 이동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 수신한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한다.
스텝 ST3804에서 이동단말은, 개별신호에서 수신한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하고, 스텝 ST3805로 이행한다. 스텝 ST3805에서 이동단말은, 개별신호에서 우선 순위를 설정한 PLMN로부터 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떨어진 경우, 스텝 ST3808으로 이행한다. 떨어지지 않은 경우, 스텝 ST3806로 이행한다. 스텝 ST3806에서 이동단말은, RRC 접속 상태로 천이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천이한 경우, 스텝 ST3808로 이행한다. 천이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3807로 이행한다. 스텝 ST3807에서 이동단말은, 타이머 T320이 종료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종료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3808로 천이한다. 종료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3804로 되돌아가, 스텝 ST3804로부터 스텝 ST3807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T3804로부터 스텝 ST3807의 처리의 순서는 임의이며, 더구나 동시이어도 상관없다.
본 실시형태 13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LTE 및 UMTS에 있어서 CSG셀이 도입된다. 어느쪽의 CSG셀에도 미등록의 이동단말, 즉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non-CSG셀 만을 셀 재선택의 대상으로 한다. 어느 한쪽의 CSG셀에 등록 완료의 이동단말, 즉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은, non-CSG셀 뿐만 아니고 CSG셀도 재선택의 대상으로 한다. 더구나, CSG셀만 존재하는 CSG 전용의 주파수(주파수 레이어)의 검토도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CSG셀에 미등록의 이동단말(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과 어느 한 개의 CSG셀에 등록 완료의 이동단말(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에 같은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경우,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 지연의 증대 등의 과제가 발생한다. 더구나 본 과제는, LTE(E-UTRAN) 시스템에의 CSG 셀 도입에 있어서도 W-CDMA(UTRAN, UMTS) 시스템에의 CSG 셀 도입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실시형태 13의 과제 해결책을 이하에서 나타낸다. 본 해결책은, LTE 시스템에도 W-CDMA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3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우선 순위(다른 E-UTA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 등)를 별개로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39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9 중에서 도 38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3901에서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에서 송신되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등록 완료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미등록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를 수신하고, 스텝 ST3802로 이행한다. 스텝 ST3902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3903으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3904로 이행한다. 스텝 ST3903에서 이동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등록 완료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한다. 스텝 ST3904에서 이동단말은, 시스템 정보에서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미등록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한다.
스텝 ST3905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3906으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3907로 이행한다. 스텝 ST3906에서 이동단말은, 개별신호에서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등록 완료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하고, 스텝 ST3805로 이행한다. 스텝 ST3907에서 이동단말은, 개별신호에서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용(CSG셀에의 미등록 이동단말용)의 우선 순위에 따라 셀의 재선택을 행하고, 스텝 ST3805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우선 순위는, 시스템 정보에서 통지되는 우선 순위 혹은 개별신호에서 통지되는 우선 순위의 어느 한쪽이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시스템 정보로서(스텝 ST3901)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우선 순위의 통지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제1의 방법으로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 모두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서빙 셀이 CSG셀인지 non-CSG셀인지에 관계없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를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제1의 방법에서 이동단말은, 서빙 셀의 BCCH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다른 우선 순위를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지연 방지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의 방법으로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는,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서빙 셀이 CSG셀인지 non-CSG셀인지에 관계없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 모두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사용하는 우선 순위는, CSG셀이 이동단말에 시스템 정보에 매핑하고, BCCH를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non-CSG 셀의 시스템 정보에 CSG 도입이 원인이 되는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CSG을 포함하지 않는 LTE 시스템(eUTRA/eUTRAN)에서의 변경이 불필요가 되고, 호환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개별신호에서 기지국(네트워크측)으로부터 이동단말에 통지되는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 및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의 통지방법은, RRC 메시지가 고려된다.
실시형태 13의 효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의 산하에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혼재하여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대해 별개로 우선 순위(다른 E-UTA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 등)을 설치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 지연의 증대를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 의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3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 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4.
본 실시형태 14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실시형태 13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개별신호에서 네트워크측(기지국)으로부터 이동단말에 통지된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은 1종류이었다. 상기한 것과 같이, LTE 및 UMTS에 있어서 CSG셀이 도입된다. 어느쪽의 CSG셀에도 미등록의 이동단말, 즉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은, non-CSG셀만을 셀 재선택의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의 변경은 적은 것으로 고려된다. 어느 한쪽의 CSG셀에 등록 완료의 이동단말, 즉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은, non-CSG셀 뿐만 아니라 CSG셀도 재선택의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우선 순위의 변경은 빈번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와 같이 우선 순위의 변경의 빈도가 다른 상황하에 있어서,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이 1종류이면, 각각의 상황변화에 적합한 유효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제어 지연이 증대한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더구나 본 과제는, LTE(E-UTRAN) 시스템에의 CSG셀 도입에 있어서도 W-CDMA(UTRAN, UMTS) 시스템에의 CSG셀 도입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실시형태 14의 과제 해결책을 이하에 나타낸다. 본 해결책은, LTE 시스템에도 W-CDMA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4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예를 들면, T320)을 별개로 설치하고,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0 중에서 도 38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0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002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0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4002에서 이동단말은,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예를 들면, T320)에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예를 들면, T320_화이트 리스트 유)을 세트하고, 스텝 ST3807로 이행한다.
스텝 ST4003에서 이동단말은,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예를 들면, T320)에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다른 E-UT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예를 들면, T320_화이트 리스트 무)을 세트하고, 스텝 ST3807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 및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의 통지방법은, RRC 메시지 및 통지 제어 채널이 고려된다. 개별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단말의 통신 상태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통지 제어 채널로 통지하는 경우,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실시형태 14은, 실시형태 13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의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 및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의 통지방법은, RRC 메시지 및 통지 제어 채널이 고려된다. RRC 메시지로 통지하는 경우에는 또한, 개별신호에서 통지되는 우선 순위와 함께 통지하는 것이 고려된다. RRC 메시지로 통지하는 경우, 우선 순위와 해당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을 같은 통지방법으로 통지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을 회피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더구나 우선 순위와 해당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을 함께 통지하는 것에 의해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지연을 삭감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통지 제어 채널로 통지하는 경우,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실시형태 14의 효과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기지국의 산하에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혼재하여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대해 별개로 우선 순위(다른 E-UTARAN 주파수, 혹은 Inter-RAT 주파수의 우선 순위 등)의 유효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 순위의 변경의 빈도에 따라, 우선 순위의 유효시간을 설정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따라,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 지연의 증대를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 의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4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4과 실시형태 13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에 적합한 유연성이 풍부한, 우선순위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어 지연의 증대를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실시형태 15.
비특허문헌 6(10.1.1.2장), 비특허문헌 7(5.2.4.2장)에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의 LTE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절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개시되어 있는 사항에 대해 기재한다. RRC_IDLE 상태의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행한다. 이동단말은, 재선택을 실시하기 위해 서빙 셀과 주변 셀(Neighbor cell)의 측정을 행한다.
서빙 셀 시스템 정보 중의 주변 셀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이동단말이 셀을 서치, 측정할 목적으로). 서빙 셀의 특성이 서치 혹은 측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측정이 생략된다. 셀 재선택이란, 이동단말이 캠프 온(camp on)해야 할 셀을 인증한다. 서빙 셀의 측정에 관한 셀 재선택기준(cell reselection criteria)에 근거하고 있다. 동알 주파수 사이의 재선택은, 셀의 랭킹에 근거한다. 다른 주파수 사이의 재선택은, 이동단말이 이용 가능한 가장 우선 순위(Priority)가 높은 주파수에 캠프 온하려고 시도하는 절대적인 우선 순위에 근거한다. 재선택용의 절대적인 우선 순위는 전회 위치등록(registered)한 PLMN인 RPLMN에 의해서만 제공되고, RPLMN 내부에서만 유효하다. 우선 순위는, 시스템 정보가 제공해 셀 내부의 전체 이동단말(셀의 산하의 이동단말)에 유효하다. 이동단말마다의 특별한 우선 순위는 RRC 접속 개방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 message) 내부에서 통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유효시간은, 이동단말 개별의 우선 순위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주파수 사이 인접 셀용으로 레이어 개별의 셀 재선택 파라미터(Layer-specific cell reselection parameters)(예를 들면, 레이어 개별의 오프셋 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파라미터는 주파수 상의 전체 인접 셀에 공통이다.인접 셀 리스트(Neighbor Cell List: NCL)는, 서빙 셀이 동일 주파수 사이 그리고 다른 주파수 사이의 특별한 경우를 취급하기 위해 제공가능하다. 이 인접 셀 리스트는 특정한(specific) 인접 셀용의 셀 특정의 셀 재선택 파라미터(예를 들면, 셀 특정의 오프셋)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이 특정한 동일 주파수 사이와 다른 주파수 사이의 인접 셀을 재선택하지 않도록, 블랙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은 스피드 의존이다(속도에 의존시키는 것이 가능). 스피드 검출은, UTRAN의 해결법에 근거한다. 한개의 셀 내부의 전체 이동단말에 셀 재선택 파라미터는 적용가능하지만, 이동단말 그룹마다, 이동단말마다 특정한 재선택 파라미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1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단말로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스텝 ST4101에서 이동단말은, 셀의 선택 혹은 셀의 재선택을 행하고, 스텝 ST4102로 이행한다. 스텝 ST4102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S_ServingCell이 S_intrasearch 이하(혹은 S_ServingCell이 S_non intrasear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103으로 이행한다.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102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4103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스텝 ST4104로 이행한다. 스텝 ST4104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4103에서 행한 측정의 결과에 의해 셀 재선택을 행할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셀 재선택을 행하는 경우, 스텝 ST4101로 되돌아간다. 셀 재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4102로 되돌아간다.
LTE 및 UMTS에 있어서 CSG셀이 도입된다. CSG 셀에 있어서는 non-CSG셀과 비교하여, 저렴한 과금 체제가 설정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유저에 있어서는, CSG셀이 선택가능한 장소에 있어서는 CSG셀에 캠프 온을 희망하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도 non-CSG셀의 커버리지 내부에 CSG셀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CSG셀이 스케줄링 등을 담당하는 이동단말이 증가하면, 그 만큼 non-CSG셀의 처리부하가 경감된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CSG셀이 선택가능한 장소에 있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캠프 온하는 것을 요망하는 것이 예상된다.
상기, 비특허문헌 6 및 비특허문헌 7 기재의 셀 재선택 절차에서는 이하의 과제가 발생한다.
non-CSG 셀 내부에 CSG셀이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또한, 서빙 셀이 non-CSG셀로 되어 있는 이동단말이 CSG셀의 커버리지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상황하에서 해당 이동단말의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서빙 셀(non-CSG셀)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S_ServingCell>S_intrasearch의 경우, 이동단말이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지 않게 된다. 도 41의 스텝 ST4102에 있어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ST4103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스텝 ST4102을 반복한다. 이것은, 해당 이동단말이 CSG셀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면서, 해당 CSG셀을 재선택하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CSG셀의 과금 플랜의 은혜를 받을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non-CSG셀의 부하 경감을 도모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상기 과제는, 비특허문헌 8에도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8은 UTRA를 위한 문서이다. 비특허문헌 8에 있어서 상기 과제의 해결책으로서 이하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동단말은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Sx>S_intersearch) 경우에도, HNB을 검색가능해야 한다. 그 경우의 HNB 검색 주기는, 통상 사용되는 검색 주기에 비해 길어지는 것이 예상된다. HNB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는 검색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을 서포트한다. 그 방법은, non-CSG셀의 주변 셀 리스트에서 주변에 HNB의 존재가 표시된 경우에만, 상기 통상 사용되는 검색 주기에 비해 긴 검색 주기를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 15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비특허문헌 8은 UTRA를 위한 문서이기 때문에, EUTRAN(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책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8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비특허문헌 8에서는,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을 서포트하기 위해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TE 시스템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이동단말이 셀을 서치·측정할 목적으로 서빙 셀 시스템 정보 중의 주변 셀을 표시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비특허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한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을 서포트하는 방법을 LTE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구나 비특허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대한 새로운 과제로서, 서빙 셀(non-CSG셀)의 주변 셀에 CSG셀이 존재한 경우이여도, 해당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셀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단말은, 해당 CSG셀을 적합한 셀로서 선택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CSG셀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이동단말이, 비특허문헌 8의 기술을 사용하여, 서빙 셀(non-CSG셀)의 주변 셀에 CSG셀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하여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Sx>S_intersearch) 경우에도, 검색을 개시한 경우를 고려한다. 그 경우, 이동단말(CSG셀에 미등록)에 있어서는 CSG셀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쓸데 없는 측정이 발생하게 되어,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 증가라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실시형태 15의 과제 해결책을 이하에서 나타낸다. 실시형태 15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한다,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를 설치하고,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또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를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2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2 중에 도 41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2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202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207으 이행한다. 스텝 ST4202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주기, 혹은 타이머(예를 들면, T_reselectCSG)을 스타트하고, 스텝 ST4203으로 이행한다. 또는, 이동단말이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주기, 혹은 타이머(예를 들면, T_reselectCSG)를 스타트하고, 스텝 ST42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4203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주기(예를 들면, T_reselectCSG)인지 아닌지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타이머(예를 들면, T_reselectCSG)가 타임아웃하였는지(혹은 타임아웃할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주기인 경우, 혹은 타이머가 타임아웃한 경우, 스텝 ST4205로 이행한다. 측정 주기가 아닌 경우, 혹은 타이머가 타임아웃하고 있지 않는 경우, 스텝 ST4204로 이행한다. 스텝 ST4204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S_ServingCell이 S_intrasearch 이하(혹은 S_ServingCell이 S_non intrasear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S_ServingCell≤S_intrasearch인 경우 ), 스텝 ST4205로 이행한다.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20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T4205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스텝 ST4206로 이행한다. 스텝 ST4206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4205에서 행한 측정의 결과에 의해 셀 재선택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셀 재선택을 행하는 경우, 스텝 ST4101로 되돌아간다.
삭제
셀 재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42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T4207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S_ServingCell이 S_intrasearch 이하(혹은 S_ServingCell이 S_non intrasear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208으로 이행한다.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207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T4208에서 이동단말은,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스텝 ST4209로 이행한다. 스텝 ST4209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4208에서 행한 측정의 결과에 의해 셀 재선택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셀 재선택을 행하는 경우, 스텝 ST4101로 되돌아간다. 셀 재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4207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예를 들면, T_reselectCSG)의 통지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제1의 방법으로서는, 서빙 셀(네트워크측)이 이동단말에 통지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BCH 혹은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서빙 셀이 마스터 정보(MIB)을 사용하여 PBCH에서, 혹은 시스템 정보(SIB)을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M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IB은 PBCH에 매핑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이 제어 지연을 적게 수신 가능하라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S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IB1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MIB 혹은 SIB1은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인 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 지연을 적게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더구나 SIB1 이외의 시스템 정보로 통지하는 방법이라도 통지 정보이므로,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제1의 방법에서 이동단말은, 서빙 셀의 BCCH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를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지연 방지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의 방법으로서는, CSG셀이 이동단말에 통지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BCH 혹은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CSG셀이 마스터 정보(MIB)을 사용하여 PBCH, 혹은 시스템 정보(SIB)을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M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IB은 PBCH에 매핑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이 제어 지연을 적게 수신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S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IB1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MIB 혹은 SIB1은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인 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 지연을 적게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더구나 SIB1 이외의 시스템 정보로 통지하는 방법이라도 통지 정보이므로,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non-CSG 셀의 시스템 정보에 CSG 도입이 원인으로 되는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CSG을 포함하지 않는 LTE 시스템(eUTRA/eUTRAN)에서의 변경이 불필요하게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제3의 방법으로서는, non-CSG셀이 이동단말에 통지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BCH 혹은 PDSCH에서 통지한다. 더구나, CSG셀이 마스터 정보(MIB)를 사용하여 PBCH, 혹은 시스템 정보(SIB)을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M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MIB은 PBCH에 매핑되기 때문에, 이동단말이 제어 지연을 적게 수신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S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IB1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MIB 혹은 SIB1은 셀 서치로부터 대기의 동작에 필요 최소한 수신하는 통지 정보인 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 지연을 적게 하는 점에서 우수한 방법이다. 더구나 SIB1 이외의 시스템 정보로 통지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SIB1 이외의 시스템 정보도 통지 정보이므로,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non-CSG 셀이 서빙 셀인 경우에 CSG셀을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non-CSG셀로부터 해당 파라미터를 통지하면 충분한다. 따라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제3의 방법은 우수하다. 제4의 방법으로서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정적인 값(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단말·기지국 등에 있어서 기지의 값, 규격서 등에 기재하는 값)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네트워크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무선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정적으로 결정된 값으므로, 무선신호의 수신 에러의 발생을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했지만,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지 아닌지로 다른 주기(타이머)를 별개로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켜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했지만,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라도 서빙 셀이 non-CSG셀인 경우에만, 해당 주기를 적용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해결책에서 발생하는 이미 서빙 셀이 CSG셀인 경우의 쓸데 없는 셀 선택을 위한 측정(서빙 셀을 non-CSG셀로부터 CSG셀로 변경하는 것을 희망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좋은 경우에도 CSG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은 쓸데 없는 측정이 된다)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화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eNB을 사용하는 LTE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는 HNB을 사용하는 UMTS, 및 CSG가 사용되지 않는 HeNB, HNB, 반경이 작은 기지국(피코 셀, 매크로셀이라고도 불린다)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5의 효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의 산하에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혼재하여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를 설치함으로써, 서빙 셀(non-CSG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 CSG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측정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유저가 CSG셀의 과금 플랜의 은혜를 받을 수 없다고 하는 과제, 또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non-CSG셀의 부하 경감을 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CSG셀에 미등록의 이동단말은, 종래대로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은 경우, 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에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CSG셀에 미등록 때문에 CSG셀을 셀 재선택할 수 없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쓸어없어지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도 CSG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CSG셀에 미등록의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 삭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효과는 비특허문헌 8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따라서는 얻어지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이다.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과제를 해결가능한 점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5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왜냐하면, 상기한 것과 같이, CSG셀, HeNB, HNB은 포터블 사이즈, 중량을 상정하고 있고, 이들 CSG셀 등의 설치나 철거는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따라서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한 해결책에 있어서는 CSG셀, HeNB, HNB 등의 설치나 철거 때마다 주변 셀 리스트를 갱신할 필요가 있어, 주변 셀 리스트의 갱신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한 해결책에서는, 복잡·번잡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이 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하는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5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5의 제1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5에 있어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을 설치하고, 이동단말에 반영시킴으로써 과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기 때문이라고 하여, 현재의 서빙 셀 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이 적절한 셀(Suitable셀)로 될 수 있는지 아닌지는 불분명하다. 현재의 서빙 셀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에 미등록이었던 경우에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도도 셀의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것은, 해당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CSG셀에 등록 완료의 유저가, 귀가했을 때 등에 발생하는 문제다이다.
실시형태 15의 제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책을 이하에 나타낸다. 실시형태 15의 제1변형예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에서 셀 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한 것에도 불구하고, 셀을 선택할 수 없었을 경우에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에 오프셋을 추가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3 중에서 도 42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301에서 이동단말은,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예를 들면, T_reselectCSG)에 오프셋값을 더하고, 스텝 ST4202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본 오프셋값이 플러스의 값이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 Sx>S_intersearch)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했지만 셀의 재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즉 해당 이동단말에 있어서 적절한 셀(Suitable셀)로 되는 CSG셀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오프셋값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서빙 셀 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에 미등록이었을 경우의 해당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본 오프셋값의 통지방법은, 실시형태 15에 있어서의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의 통지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오프셋값과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의 통지는 동시이어도 별개이어도 상관없다.
상기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eNB을 사용하는 LTE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는 HNB을 사용하는 UMTS, 및 CSG가 사용되지 않는 HeNB, HNB, 반경이 작은 기지국(피코 셀, 매크로셀이라고도 불린다)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5의 제1변형예에서는, 실시형태 15의 효과 이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의 서빙 셀 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에 미등록이었을 경우의 해당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더구나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하는 이동단말이, 어느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화이트 리스트 내부에 어느 CSG-ID를 갖고 있는지)을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5의 변형예 1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5의 제2변형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5의 제1변형예에서 나타낸 과제에 대해 실시형태 15의 제1변형예와는 다른 해결책에 대해 개시한다. 실시형태 15의 제2변형예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Sx>S_intrasearch,Sx>S_intersearch) 경우에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라도 된다)에서 셀 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한 것에도 불구하고, 셀을 선택할 수 없었을 경우에,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의 적용을 해제하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4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4에서 도 42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206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4205에서 행한 측정의 결과에 따라 셀 재선택을 행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셀 재선택을 행한 경우, 스텝 ST4101로 되돌아간다. 셀 재선택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 스텝 ST4207로 이행한다.
상기 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eNB을 사용하는 LTE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는 HNB을 사용하는 UMTS, 및 CSG가 사용되지 않는 HeNB, HNB, 반경이 작은 기지국(피코 셀, 매크로셀이라고도 불린다)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5의 변형예2 에서는, 실시형태 15의 효과 이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의 서빙 셀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에 미등록이었을 경우의 해당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더구나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하는 이동단말이, 어느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화이트 리스트 내부에 어느 CSG-ID를 갖고 있는지)을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5의 변형예 2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에서는, 실시형태 15에서 나타낸 과제에 대해 실시형태 15과는 다른 해결책에 대해 개시한다. 또한, 현재의 셀 재선택 절차에 있어서, non-CSG셀인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하는 경우에도, 주변 셀의 CSG셀을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하의 동작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S_intrasearch를 낮게 설정한다. 이에 따라,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도, 측정 기준이 만족되기 쉬워져,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이 S_intrasearch를 낮게 한 경우, 해당 서빙 셀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도 포함하여)이 서빙 셀의 수신 상황이 양호한 경우에도, 측정 기준이 만족되기 쉬워져,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이 행해지기 쉬워진다. 그 경우, 이동단말(CSG셀에 미등록)에 있어서는 CSG셀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쓸데 없는 측정이 발생하게 되어,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 증가라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실시형태 16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인, 서빙 셀의 수신 품질과 비교하는 임계값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치하여, 이동단말에 반영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5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5 중에서 도 41, 도 42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2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혹은 이동단말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501로 이행한다. 화이트 리스트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502로 이행한다. 스텝 ST4501에서 이동단말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예를 들면, Sx)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임계값(예를 들면, S_intrasearchCSG)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하고 있었을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는 Sx≤S_intrasearchCSG이었을 경우, 스텝 ST4205로 이행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는 Sx>S_intrasearchCSG이었을 경우, 스텝 ST4501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동일 주파수 사이의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의 임계값 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 사이의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의 임계값(예를 들면, S_intersearchCSG)과 비교해도 된다. 스텝 ST4502에서 이동단말은, 통상(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로 해도 된다)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예를 들면, Sx)이 임계값(S_intrasearch)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하고 있었을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는 Sx≤S_intrasearch이었을 경우, 스텝 ST4208로 이행한다.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않고 있는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는 Sx>S_intrasearch이었을 경우, 스텝 ST4502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동일 주파수 사이의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의 임계값 뿐만 아니라 다른 주파수 사이의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의 임계값(예를 들면, S_intersearch)과 비교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임계값(예를 들면, S_intersearchCSG)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이라도 서빙 셀이 non-CSG셀인 경우에만 적용해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해결책에서 발생하는 이미 서빙 셀이 CSG셀인 경우, 쓸데 없는 셀 선택을 위한 측정(서빙 셀을 non-CSG셀로부터 CSG셀로에 변경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도 없기 때문에,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좋은 경우에도 CSG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은 쓸데 없는 측정이 된다)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이동단말의 저소비 전력화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의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의 통지방법은, 실시형태 15에 있어서의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타이머)의 통지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의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의 통지는, 통상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기준과 동시라도 별개이라도 상관없다.
상기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eNB을 사용하는 LTE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는 HNB을 사용하는 UMTS, 및 CSG가 사용되지 않는 HeNB, HNB, 반경이 작은 기지국(피코 셀, 매크로셀이라고도 불린다)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6의 효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의 산하에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이동단말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이동단말이 혼재하여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을 설치함으로써, 서빙 셀(non-CSG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 CSG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측정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유저가 CSG셀의 과금 플랜의 은혜를 받을 수 없다고 하는 과제,또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non-CSG셀의 부하 경감을 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CSG셀에 미등록의 이동단말은, 종래와 같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CSG셀에 미등록 때문에 CSG셀을 셀 재선택할 수 없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쓸데 없어지는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CSG셀을 선택하기 위한, 측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CSG셀에 미등록의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 삭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효과는 비특허문헌 8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얻어지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이다.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과제를 해결가능한 점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6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왜냐하면, 상기한 것과 같이, CSG셀, HeNB, HNB은 포터블 사이즈, 중량을 상정하고 있고, 이들 CSG셀 등의 설치나 철거는 빈번하게 또한 유연하게 행해지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따라서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한 해결책에 있어서는 CSG셀, HeNB, HNB 등의 설치나 철거시마다 주변 셀 리스트를 갱신할 필요가 있어, 주변 셀 리스트의 갱신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주변 셀 리스트를 사용한 해결책에서는, 복잡·번잡한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 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하는 이동단말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6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의 유무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설명의 실시형태 16의 제1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 15의 변형예 1에서 나타낸 과제에 관한 해결책에 대해 개시한다. 실시형태 16의 변형예 1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에 적용하는,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예를 들면, S_intrasearchCSG)에서 셀 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한 것에도 불구하고, 셀을 선택할 수 없었을 경우에, 셀 재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측정 기준(예를 들면, S_intrasearchCSG)의 적용을 해제하는 것을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해 도 45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텝 ST4206에서 이동단말은, 스텝 ST4205에서 행한 측정의 결과에 의해 셀 재선택을 행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셀 재선택을 행한 경우, 스텝 ST4101로 되돌아간다. 셀 재선택을 행하지 않은 경우, 스텝 ST4502로 이행한다.
실시형태 17
3GPP에 있어서, Home-NodeB(Home-NB, HNB), Home-eNodeB(Home-eNB, HeNB)으로 불리는 기지국이 검토되고 있다. HNB/HeNB는 UTRAN/E-UTRAN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정, 법인, 상업용의 액세스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이다. 비특허문헌 9에 HeNB 및 HNB에의 액세스의 3가지 다른 모드가 개시되어 있다. 오픈 액세스 모드(Open access mode)와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Closed access mode)와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Hybrid access mode)이다. 각각의 모드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오픈 액세스 모드에서는, HeNB나 HNB은 통상의 오퍼레이터의 노멀 셀로서 조작된다.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에서는, HeNB나 HNB가 CSG셀로서 조작된다. CSG 셀은 CSG 멤버만 액세스가능한 셀이다.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에서는, non-CSG 멤버도 동시에 액세스 허가되어 있는 CSG셀이다.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의 셀은, 바꿔 말하면, 오픈 액세스 모드와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의 양쪽을 서포트하는 셀이다.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의 셀은 하이브리드 셀이라고도 불린다.
3GPP에 있어서,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도, 원하는 CSG셀에 셀 재선택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것은,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도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0에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는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러 있어야 하며, 그 때문에,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캠핑의 메커니즘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행해져 있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10에는, 그것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하이브리드 셀은 CSG셀이기 때문,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5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5 제2 변형예,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 제1 변형예에서 개시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서빙 셀의 상태가 좋은 경우라도, 화이트 리스트(CSG-ID 리스트, allowed CSG list)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UE가,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빨리 셀 재선택의 절차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셀도 포함시킨 CSG셀의 검출을 빨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이 속하는 CSG의 CSG-ID를 갖는 UE 혹은 상기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가, 상기 하이브리드 셀에 빨리 셀 재선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6에 있어서, 셀 재선택의 측정 기준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설치하는 것을 개시하였다. 예로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을 S_intrasearch,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을 S_intrasearchCSG로 하였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보다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 쪽이 보다 빨리 셀 재선택의 절차를 행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S_intrasearch보다 S_intrasearchCSG을 낮게(S_intrasearch>S_intrasearchCSG) 설정하면 된다. 셀 재선택의 임계값이 낮을수록 셀 재선택의 절차를 개시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CSG 멤버의 UE가 CSG셀에 빨리 셀 재선택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7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하이브리드 셀에도 빨리 셀 재선택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실시형태 18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이 양호한 경우에도, 원하는 CSG셀에 셀 재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1에는 CSG셀마다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Qoffset은, 비특허문헌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셀 재선택시에 셀 랭킹을 행할 때에, 검출한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에 대해 제공하는 오프셋이다. Qoffset은, 상기 Qoffset가 주어지는 셀의 정보와 함께, 서빙 셀로부터 통지된다.
또한,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2에는,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한개의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 바꿔 말하면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의 모든 셀에 대해 한개의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더구나,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한 2개의 Qoffset를 설치하고, 매크로셀의 RSRP의 어떤 임계값에 대해 그것의 상하에서 각각의 Qoffset를 적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과 같이, CSG셀마다, 혹은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한개, 혹은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하여 Qoffset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셀마다, 혹은 셀의 종류마다, 혹은 매크로셀과의 위치 관계마다에서만 오프셋값을 다르게 하는 것 밖에 할 수 없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셀은 CSG셀이지만, 오픈 액세스 모드와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의 양쪽을 동시에 서포트한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서는,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criteria)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방법에서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용과 그렇지 않은 UE용에서 별개로 오프셋을 설치함으로써,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도,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하여, 도 4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6 중에서 도 41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103에서 UE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고, 셀 랭킹을 행한다. 스텝 ST4601에서 UE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는, UE는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602로 이행한다. 스텝 ST4602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csg을 감산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6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4603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noncsg을 감산한다. 이들 감산한 결과를 기초로 셀 랭킹을 행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 랭킹을 스텝 ST4602 혹은 스텝 ST4603 만으로 하고, 스텝 ST4103에서의 셀 랭킹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Qoffset_noncsg 의 값과 Qoffset_csg의 값에 관해서는, 서빙 셀과 주변 셀의 전파환경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빨리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Qoffset_noncsg의 값보다도 Qoffset_csg의 값을 낮게
(Qoffset_noncsg > Qoffset_csg) 설정하도록 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어떤 한개의 셀에 대해 이것들의 오프셋을 고려하여 산출한 결과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빨리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게 된다. 보다 빠르게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빨리 suitable셀에의 재선택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에 대하여,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빨리 셀 재선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csg
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noncsg
로 한다.
Qmeas,n은 n번째의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 Rn은 오프셋을 고려한 수신 품질의 계산 결과이다.
또는,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Qoffset_csg
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는,
Rn=Qmeas,n-Qoffset-Qoffset_noncsg
로 한다.
종래의 Qoffset를 고려한 다음,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서 차이를 두기 위해서만 Qoffset_noncsg과 Qoffset_csg을 사용할 수 있다.
Qoffset_csg와 Qoffset_noncsg의 통지방법은, 실시형태 15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의 통지방법으로서 개시한 제1의 방법 내지 제4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것들을 적용한 경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의 방법에 있어서, SIB을 사용하는 경우에 SIB4을 사용하여 통지해도 된다.
SIB4에서는 종래의 오프셋값이, 대응하는 셀의 정보와 함께 송신된다. 그들 정보와 함께 오프셋값이 송신됨으로써, 대응하는 셀마다, 종래의 오프셋값과 함께 셀 랭킹 크라이테리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대응하는 셀의 정보로서, 하이브리드 셀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PCI 레인지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같은 값을 설치 가능하게 되어, SIB4의 정보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의 방법에 있어서는, 하이브리드 셀만이 통지 정보로서 오프셋값을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에서 개시한 방법에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을 설치하고, 그것들을 사용하여 셀 랭킹을 행하여, 셀 재선택을 행하도록 하였다.
다른 방법으로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의 차분의 값(Qoffset_delta)을 설치해도 된다. 즉, Qoffset_noncsg과 Qoffset_delta를 설치하고,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noncsg-Qoffset_delta)
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noncsg
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 개시한 Qoffset_noncsg과 Qoffset_csg을 통지하는 방법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을 종래의 Qoffset로서 설정하고, 차분값 Qoffset_delta와 함께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Qoffset_delta)
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는,
Rn=Qmeas,n-Qoffset
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 개시한 방법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설정할 파라미터를 1개 줄일 수 있다. 즉, Qoffset_csg과 Qoffset_noncsg의 양쪽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Qoffset_delta을 설정하는 것 만으로 된다. 따라서,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정보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지방법으로서는 전술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Qoffset와 Qoffset_delta를 각각의 셀로부터 각각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Qoffset를 서빙 셀로부터 통지하고, Qoffset_delta는 하이브리드 셀로부터 통지한다. Qoffset_delta는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서만 사용되는 값이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셀로부터만 통지하도록 하고,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는, 상기 오프셋값(Qoffset_delta)을 사용하여 재계산하도록 해 두면 된다. 그렇지 않은 UE는 재계산할 필요가 없고, 하이브리드 셀의 상기 오프셋값을 수신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수신 품질을 측정하는 것 만으로 된다. 따라서, 셀 재선택시의 메져먼트를 간단화하는 것이 가능해 하게 되어, UE의 소비 전력 삭감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비특허문헌 11에 개시되는 CSG셀마다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비특허문헌 12에 개시되는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한개의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 또는,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한 2개의 Qoffset를 설치하고, 매크로셀의 RSRP의 어떤 임계값에 대해 그것의 상하에서 각각의 Qoffset를 적용하는 방법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있어서의 Qoffset로서, 혹은 Qoffset 이외에, 이들 Qoffset를 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CSG셀마다의, 또는, 하이브리드 특유의, 혹은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한, 각각의 Qoffset를 고려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이들 비특허문헌에서 개시되어 있는 값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에는 적용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Qoffset_delta에 이들 비특허문헌에 갸시되어 있는 값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대하여,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5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5 제2 변형예,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7에서 개시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5와 조합한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하여, 도 47에 나타낸다. 도 47 중에서 도 42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201에서 UE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는, UE는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4701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csg을 감산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702에서,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noncsg을 감산한다. 이들 감산한 결과를 기초로 셀 랭킹을 행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 랭킹을 스텝 ST4701 혹은 스텝 ST4702만으로 하고, 스텝 ST4205 혹은 스텝 ST4208에서의 셀 랭킹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으로 하는 것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과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조합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을 포함시킨 HeNB 혹은 HNB의 유연한 배치에 따른 각각의 전파환경의 차이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대하여,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도,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CSG 멤버는, 하이브리드 셀에서 CSG 멤버에 대한 고속통신이나 우대 과금 플랜등의 서비스를 보다 빨리, 보다 오래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18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빨리 셀 재선택을 행하는 방법, 바꿔 말하면 하이브리드 셀에의 (인바운드, inbound)재 선택을 하기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하이브리드 셀로부터 늦게 셀 재선택을 행하는, 바꿔 말하면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아웃바운드, outbound)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을 설치하고, 그것들을 사용하여 셀 랭킹, 셀 재선택을 행하도록 하고,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개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예로서,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를 다음 식으로 하면 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대해서는,
Rs=Qmeas,s+Qhyst-Qoffset_csg
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UE에 대해서는,
Rs=Qmeas,s+Qhyst-Qoffset_noncsg
으로 한다.
Qmeas,s는 서빙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 Qhyst는 히스테리시스를 갖게 하기 위한 오프셋값, Rs는 오프셋을 고려한 서빙 셀의 수신 품질의 계산 결과이다.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재선택에서는, 하이브리드 셀이 서빙 셀로 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셀 재선택시의 셀 랭킹시에, 서빙 셀의 측정값에,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서 차이를 만든다. 구체적인 예로서 Rs 도출시에 Qoffset_noncsg과 Qoffset_csg을 사용하여 계산하게 한다. 이에 따라, 양자의 UE에서,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Qoffset_noncsg의 값과 Qoffset_csg의 값에 관해서는, 서빙 셀과 주변 셀의 전파환경에 따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늦게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도록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Qoffset_noncsg의 값보다도 Qoffset_csg의 값을 높게 (Qoffset_noncsg<Qoffset_csg) 설정하도록 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인 서빙 셀에 대해 이들 오프셋을 고려하여 산출한 결과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낮아진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늦게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기준을 만족시키게 된다.
보다 늦게 셀 재선택의 수신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늦게까지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재선택을 행하게 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늦게 셀 재선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8에,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셀 재선택의 구체적인 동작 예를 나타낸다. 도 48 중에서 도 41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101에서 셀 선택 혹은 셀 재선택 절차에 들어온 UE는, 셀 재선택을 위해 서빙 셀의 측정을 행하고, 서빙 셀에 대한 셀 랭킹 크라이테리어를 행한다. 스텝 ST4801에서 UE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는, UE는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 스텝 ST4802로 이행한다. 스텝 ST4802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csg을 감산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8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4803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noncsg을 감산한다. 이들 감산한 결과를 기초로, 스텝 ST4102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 기준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스텝 ST4103에서 서빙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도 포함하여 셀 랭킹을 행하는 경우의 서빙 셀의 측정값의 도출시에, 상기 오프셋값(Qoffset_csg, Qoffset_noncsg)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경우, CSG 멤버의 UE가 서빙 셀을 선택할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별도,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_r)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_r)을 설치하고, 스텝 ST4103에서 서빙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도 포함하여 셀 랭킹을 행하는 경우의 서빙 셀의 측정값의 도출시에, 그들을 서빙 셀의 측정값에 적용하여 셀 랭킹을 행하고, 셀 재선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Qoffset_csg_r보다도 Qoffset_noncsg_r을 높게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인 서빙 셀에 대해 이들 오프셋을 고려하여 산출한 결과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 쪽이 그렇지 않은 UE보다도 서빙 셀을 선택할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를 전술한 것인 것과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늦게 셀 재선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오래 하이브리드 셀에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 파라미터의 통지방법은, 실시형태 15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의 통지방법으로서 개시한 제1의 방법 내지 제4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실시형태 18을 조합함으로써,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을 하기 쉽게 하고, 또한,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오래 하이브리드 셀에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와 실시형태 18을 조합한 경우,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한 오프셋값과,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설치한 오프셋값은, 각각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같은 값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한 오프셋값을, Qoffset_csg_in, Qoffset_noncsg_in으로 하고,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설치한 오프셋값을 Qoffset_csg_out, Qoffset_noncsg_out로 하여, 각각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HeNB, HNB의 설치, 운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같은 값으로 설정하는 예로서, Qoffset1과 Qoffset2의 2개의 오프셋을 설치해 두면 된다.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 Qoffset_csg=Qoffset1, Qoffset_noncsg=Qoffset2로 설정하고, 주변 셀의 셀 랭킹 Rn의 도출에 있어서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셀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Qoffset_csg=Qoffset2, Qoffset_noncsg=Qoffset1으로 설정하고, 서빙 셀의 셀 랭킹 Rs의 도출에 있어서 사용하도록 한다. Qoffset1은 Qoffset2보다도 낮게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라미터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UE에 송신하는 정보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의 통지방법으로서,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8에서 개시한 통지방법이 가능하며, 다양한 통지방법의 조합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Qoffset_csg_in, Qoffset_noncsg_in은, 주변 셀의 셀 랭킹 Rn의 도출에 사용하기 위해, 서빙 셀로부터 SIB4에서 통지하고, Qoffset_csg_out, Qoffset_noncsg_out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서빙 셀의 셀 랭킹 Rs에 도출에 사용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셀만으로부터 SIB1에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이 아닌 셀로부터의 통지할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Qoffset1과 Qoffset2의 2개의 오프셋을 설치해 두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모든 셀의 SIB1에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도 통지할 정보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5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5 제2 변형예,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8에서 개시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과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조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을 포함한 HeNB 혹은 HNB의 유연한 배치에 따르는 다양한 전파환경 중에 있어서도,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하이브리드 셀에의 재선택을 하기 쉽게 하고, 또한, 하이브리드 셀로부터의 재선택을 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0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셀 재선택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핸드오버(inbound HO/outbound HO)의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의 절차, 룰,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HO 사용하는 파라미터에 대하여,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파라미터와,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파라미터를 설치한다. 상기 파라미터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른 값으로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핸드오버의 크라이테리어를 non-CSG 멤버의 UE와 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이브리드 셀에/로부터의 핸드오버에 사용하는 파라미터 예로서, 메저먼트 리포트에서 이벤트를 발생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 지표가 되는 파라미터가 있다.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Thresh, Thresh1, Thresh2),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대해 적용하는 서빙 셀의 오프셋값(Ocs),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대해 적용하는 서빙 셀의 주파수의 오프셋값(Ofs),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대해 적용하는 인접 셀의 오프셋값(Ocn),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대해 적용하는 인접 셀의 주파수의 오프셋값(Ofn), 이벤트마다의 오프셋값(Off), 이벤트마다의 히스테리시스(Hys) 등이 있다.
예를 들면, 서빙 셀이 하이브리드 셀인 경우에, 이벤트 발생의 임계값에 대하여,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Thresh_csg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Thresh_noncsg을 설치한다. Thresh_noncsg보다도 Thresh_csg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CSG 멤버의 UE는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핸드오버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늦어져, 하이브리드 셀에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인접 셀의 오프셋값에 대하여,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Ocn_csg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Ocn_noncsg을 설치한다. 수신 품질의 측정 결과에 대해 상기 오프셋값을 감산하는 경우, Ocn_csg보다도 Ocn_noncsg을 높게 설정한다. 인접 셀이 하이브리드 셀인 경우에, CSG 멤버의 UE는 Ocn_csg을 사용하여 인접 셀의 수신 품질을 계산하고, non-CSG 멤버의 UE는 Ocn_noncsg을 사용하여 인접 셀의 수신 품질을 계산한다. Ocn_csg보다도 Ocn_noncsg을 높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CSG 멤버의 UE는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핸드오버를 위한 이벤트 발생이 빨라져, 하이브리드 셀에 신속하게 핸드오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파라미터의 통지방법은, 서빙 셀로부터 메저먼트시킬 UE에 대해 개별적으로 통지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메저먼트 콘트롤 메시지에 포함시켜 통지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각 UE 개별의 설정이 가능해져, 각 UE 개별의 전파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 UE의 통신 품질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UE에서의 메저먼트에 앞서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할 파라미터와,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할 파라미터의 차분을, 서빙 셀로부터 통지 정보로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각 UE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것은 어느 한쪽의 파라미터만으로 해 두고, 상기 차분값을 사용하여 도출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 각 UE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정보가 적어지기 때문에, 시그널링을 위한 리소스 부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분값을 미리 정적으로 결정해 두고, 기지국과 UE 모두 상기 정보를 미리 인식할 수 있게 해 두어도 된다. 통지 정보로서 통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시그널링을 위한 리소스 부하의 저감이 더욱 도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신속하게 HO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고, 또한, 하이브리드 셀에의 핸드오버로부터의 핸드오버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늦게 핸드오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오래 하이브리드 셀에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UE가 오픈 모드로서 액세스하고 있는지, 클로즈드 모드로서 액세스하고 있는지를 서빙 셀이 인식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며, 그와 같은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5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5 제2 변형예,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9에서 개시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과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조합함으로써, UE의 상태가 무엇이라도, 즉, UE의 상태가 RRC_Idle 뿐만 아니라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도,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오래 하이브리드 셀에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1
본 실시형태의 과제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같은 CSG-ID의 셀은 같은 오너가 소유하거나, 혹은 같은 CSG-ID의 셀로부터는 같은 과금 우대를 받을 수 있거나, 또는 같은 CSG-ID의 셀로부터는 통신 속도에서 같은 우대를 받을 수 있는 것 등의 서비스가 고려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같은 CSG-ID를 갖는 셀을 셀 재선택하는 것을 요망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응하는 오프셋값(Qoffset_samecsg)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응하는 오프셋값(Qoffset_diffcsg)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용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용에서 별개로 오프셋을 설치함으로써, 셀 재선택의 크라이테리어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셀보다, 같은 CSG-ID를 갖는 셀을 셀 재선택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하여, 도 4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6 중에서 도 41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103에서 UE는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여, 셀 랭킹을 행한다. 스텝 ST4601에서 UE는, 측정한 주변 셀이 갖는 CSG-ID가 서빙 셀과 같은지 아닌지 판단한다. 같은 CSG-ID로 판단한 경우, 스텝 ST4602로 이행한다. 스텝 ST4602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samecsg을 감산한다. 다른 CSG-ID로 판단한 경우, 스텝 ST46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T4603에서 UE는,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diffcsg을 감산한다. 이들 감산한 결과를 기초로 셀 랭킹을 행함으로써,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 랭킹을 스텝 ST4602 혹은 스텝 ST4603 만으로 하고, 스텝 ST4103에서의 셀 랭킹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Qoffset_samecsg의 값과 Qoffset_diffcsg의 값에 관해서는, 서빙 셀과 주변 셀의 전파환경에 따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셀보다, 같은 CSG-ID를 갖는 셀 쪽이 재선택의 수신 품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Qoffset_diffcsg의 값보다도 Qoffset_samecsg의 값을 낮게(Qoffset_diffcsg>Qoffset_samecsg) 설정하도록 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셀보다, 같은 CSG-ID를 갖는 셀 쪽이 재선택의 수신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기 쉬워진다. 재선택의 수신 품질기준을 만족시키기 쉬워짐으로써, 같은 CSG-ID를 갖는 셀을 셀 재선택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samecsg
으로 하고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diffcsg
으로 한다.
Qmeas,n은 n번째의 셀의 수신 품질 측정값, Rn은 오프셋을 고려한 수신 품질의 계산 결과이다.
또한, 상기 Qoffset_samecsg, Qoffset_diffcsg은,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만이 적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CSG에 미등록의 UE는, 같은 CSG-ID를 갖는 셀을 셀 재선택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에 따라 CSG에 미등록의 UE의 쓸데 없는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UE의 저소비 전력화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Qoffset_samecsg
으로 하고,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Qoffset_diffcsg
로 한다.
종래의 Qoffset를 고려한 후에,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지,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지에서 차이를 두기 위해서만 Qoffset_samecsg과 Qoffset_diffcsg을 사용할 수 있다.
Qoffset_samecsg과 Qoffset_diffcsg의 통지방법은, 실시형태 15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주기의 통지방법으로서 개시한 제1의 방법 내지 제4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것들을 적용한 경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의 방법에 있어서, SIB을 사용하는 경우에 SIB4을 사용하여 통지해도 된다.
SIB4에서는 종래의 오프셋값이, 대응하는 셀의 정보와 함께 송신된다. 그들 정보와 함께 오프셋값이 송신됨으로써, 대응하는 셀마다, 종래의 오프셋값와 함께 셀 랭킹 크라이테리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개시한 방법에서는,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samecsg)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diffcsg)을 설치하고, 그것들을 사용하여 셀 랭킹을 행하고, 셀 재선택을 행하도록 하였다.
다른 방법으로서,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와,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의 차분의 값(Qoffset_delta2)을 설치해도 된다. 즉, Qoffset_diffcsg과 Qoffset_delta2을 설치하여,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 식으로 해도 된다.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diffcsg-Qoffset_delta2)
로 하고,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_diffcsg
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 개시한 Qoffset_samecsg과 Qoffset_diffcsg을 통지하는 방법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적용하는 오프셋값을 종래의 Qoffset로서 설정하고, 차분값 Qoffset_delta2와 함께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로서, 다음식으로 해도 된다.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Qoffset_delta2)
으로 하고,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Rn=Qmeas,n-Qoffset
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에 개시한 방법으로 동등한 효과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할 파라미터를 1개 줄일 수 있다. 즉, Qoffset_samecsg과 Qoffset_diffcsg의 양쪽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Qoffset_delta2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된다. 따라서, 파라미터 설치를 위한 정보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지방법으로서는 전술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Qoffset와 Qoffset_delta2을 각각의 셀로부터 각각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Qoffset를 서빙 셀로부터 통지하고, Qoffset_delta2은 CSG셀로부터 통지한다. Qoffset_delta2은 CSG셀에 대해서만 사용되는 값이기 때문에, CSG셀로부터만 통지하도록 하고,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있어서, 서빙 셀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 대해서는, 상기 오프셋값(Qoffset_delta2)을 사용하여 재계산하도록 해 두면 된다. non-CSG 셀에 관해서는, 재계산할 필요가 없고, 수신 품질을 측정하는 것 만으로 된다. 따라서, 셀 재선택시의 메저먼트를 간단화하는 것이 가능해져, UE의 소비 전력 삭감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비특허문헌 11에 개시되는 CSG셀마다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비특허문헌 12에 개시되는 하이브리드 셀에 대해 한개의 Qoffset를 제공하는 방법, 또는,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한 2개의 Qoffset를 설치하고, 매크로셀의 RSRP의 어떤 임계값에 대해 그것의 상하에서 각각의 Qoffset를 적용하는 방법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셀 랭킹의 크라이테리어에 있어서의 Qoffset로서, 혹은 Qoffset 이외에, 이들 Qoffset를 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CSG셀마다의, 또는, 하이브리드 특유의, 혹은 매크로셀의 RSRP 레인지에 대응한, 각각의 Qoffset를 고려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은, 실시형태 15, 실시형태 15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5 제2 변형예, 실시형태 16, 실시형태 16 제1 변형예,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에서 개시한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5와 조합한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 예에 대하여, 도 4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7 중에서 도 42과 같은 스텝 번호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T4201에서 UE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는, UE는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T4701을 실행한다. 스텝 ST4701에서 UE는, 측정한 주변 셀이 갖는 CSG-ID가 서빙 셀과 같은 경우,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samecsg을 감산한다. 한편 스텝 ST4701에서 UE는, 서빙 셀과 다른 CSG-ID로 판단한 경우, 측정한 값으로부터 Qoffset_diffcsg을 감산한다. 이들 감산한 결과를 기초로 셀 랭킹을 행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경우, 혹은 CSG셀에 등록하지 않고 있는 경우, 스텝 ST4702에서 특별히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대해서도 같은 동작으로 함으로써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과 이들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조합함으로써, HeNB 혹은 HNB의 유연한 배치에 따른 각각의 전파환경의 차이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이라고 함으로써,
같은 CSG-ID를 갖는 주변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주변 셀에서 셀의 재선택을 행하는 판단 기준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서빙 셀과 다른 CSG-ID를 갖는 셀보다, 같은 CSG-ID를 갖는 셀을 셀 재선택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같은 CSG-ID의 셀을 계속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같은 CSG-ID의 같은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저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쉬운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구축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2
CSG 멤버는, 하이브리드 셀에서 CSG 멤버에 대한 고속통신이나 우대 과금 플랜 등의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보다 오래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49에,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를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한 경우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 4901은 non-CSG셀이고, 여기에서는 매크로셀(eNB)로 한다. 4902는 non-CSG셀(4901)에 의한 커버리지를 나타낸다. 4903은 하이브리드 액세스 모드의 HeNB, 즉 하이브리드 셀이다. 4904는 하이브리드 셀(4903)에 있어서 오픈 액세스 모드와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 양쪽에서 액세스가능한 커버리지다. 4905은 하이브리드 셀(4903)에 있어서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만 액세스가능한 커버리지를 나타낸다. 4906은 하이브리드 셀(4903)이 속하는 CSG과 같은 CSG 멤버의 UE이다. 4907은 non-CSG 멤버의 UE이다. CSG 멤버의 UE(4906)는 커버리지(4905)의 에어리어 밖에서는 non-CSG셀(4901)과 통신을 행하고 있고, 커버리지(4905)의 에어리어로 이동한 UE(4906)는 셀 재선택에 의해 하이브리드 셀(4903)과 통신을 행한다. non-CSG 멤버의 UE(4907)는, 커버리지(4905)의 에어리어에 있어서도 아직 non-CSG셀(4901)과 통신을 행하고 있고, 커버리지(4904)로 이동하여 처음으로 셀 재선택에 의해 하이브리드 셀(4903)과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셀에, 혹은 하이브리드 셀로부터 셀 리셀렉션할 때에 non-CSG 멤버의 UE보다 CSG 멤버의 UE에 오래 머물게 하도록 하면, 클로즈드 액세스 모드만의 커버리지가 오픈 액세스 모드의 커버리지보다 넓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UE의 초기 송신 전력이,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같다고 하면, CSG 멤버의 UE가 액세스 가능해지는 커버리지 쪽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커버리지 끝에서, CSG 멤버의 UE의 상향 송신이 실패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져 버린다.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절차로서 RA(random access) 프로시져(procedure)가 있다. RA 프로시져에서는, 물리 채널로서 PRACH가 사용된다. PRACH의 초기 송신에는 RACH 프리앰블이 사용된다. PRACH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는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비특허문헌 13, 비특허문헌 14).
Pprach = min{Pcmax,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_[dBm]
Pcmax = min{Pemax,Pumax}
여기에서,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는 기지국의 목표 수신 전력, PL은 패스 손실, Pemax는 셀마다 설정되는 최대 허용 전력, Pumax는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Pemax는 각 셀로부터의 통지 정보 등으로서 산하의 UE에 통지되어, 산하의 모든 UE에 공통인 최대 허용 전력이다. Pumax은, 각 UE의 파워 클래스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PRACH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의 도출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PL이 큰 경우에는, 초기 송신 전력은 Pcmax에서 제한되어 버린다. Pcmax도 또한 Pemax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PRACH의 초기 송신 전력은 Pemax에서 제한되어 버리게 된다. Pemax은 셀 산하의 모든 UE에 대해 공통이므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는, CSG 멤버의 UE에 대해서도 non-CSG 멤버의 UE에 대해서도 같은 값이 된다. 따라서, PRACH 초기 송신 전력이 Pemax에서 제한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 예를 들면, PL이 큰 경우등, CSG 멤버의 UE도 non-CSG 멤버의 UE도 공통의 Pemax까지밖에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CSG 멤버의 UE의 액세스가능한 커버리지 쪽이 넓어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 CSG 멤버의 UE의 상향 송신이 실패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져 버린다.
이 문제는, RRC_Idle의 상태, 및 RRC_Connected의 상태의 어느 한쪽의 상태에 있어서도 생긴다. 예를 들면, RRC_Idle의 상태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하이브리드 셀에 셀 재선택한 경우 등, RRC_Connected의 상태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하이브리드 셀에 HO한 경우 등이다. 이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선행문헌도 없고, 3GPP에 있어서 논의도 행해지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UE의 초기 송신 전력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 예로서, PRACH의 초기 송신 전력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도록 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PRACH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시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을,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에서 각각 설치한다. 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csg, non-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noncsg로 한다.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의 도출식을 아래와 같이 한다.
Pprach = min{Pcmax,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_[dBm]
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min{Pemax_csg,Pumax}로 하고,
non-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min{Pemax_noncsg,Pumax}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는, 예를 들어 PL이 큰 경우에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른 최대 허용 전력을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CSG 멤버의 UE의 커버리지 쪽이 넓어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Pemax_csg을 Pemax_noncsg보다 크게 해 둠으로써, CSG 멤버의 UE의 상향 송신 실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 마다의 최대 허용 전력에 대해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을 설치함으로써, 셀마다 양 UE에서 다른 초기 송신 전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 유연한 하이브리드 셀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여, 장래의 HeNB의 운용 대수의 증가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개시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방법은, RRC_Idle의 상태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하이브리드 셀에 셀 재선택한 경우 등에 상기 하이브리드 셀에서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RC_Connected의 상태에서는 CSG 멤버의 UE가 하이브리드 셀에 HO를 실행하는 경우 등에 타겟 셀이 되는 상기 하이브리드 셀에서의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에 적용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을 UE에 통지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개시한다.
제1의 방법으로서, 이들 최대 허용 전력을 설정하는 셀로부터 산하의 UE에 통지 정보로서 BCCH를 사용하여 PBCH 혹은 PDSCH에서 통지한다. 마스터 정보(MIB)를 사용하여 PBCH에서, 혹은 시스템 정보(SIB)을 사용하여 PDSCH에서 통지한다. MIB는 PBCH에 매핑되기 때문에, MIB을 사용하는 방법은, 이동단말이 제어 지연을 적게 수신 가능하다고 하는 점에서 우수하다. SI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IB1을 사용하여 통지한다. MIB 혹은 SIB1은 셀 서치 개시로부터 대기 상태(RRC-Idle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사이에 수신할 필요 최소한의 영의 통지 정보인 점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 지연을 적게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더구나 SIB1 이외의 시스템 정보로 통지하는 방법이라도, 통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지하므로, 산하의 전체 이동단말에 대해 통지가능하여,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이다.
제2의 방법으로서는, 이들 최대 허용 전력을 설정하는 셀을 타겟 셀로 하여 HO할 때에, 서빙 셀로부터 HO를 행하는 UE에 대해 개별적으로 통지한다. UE에 대해 HO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타겟 셀의 정보에 포함하여 통지해도 되고, 별도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타겟 셀의 정보에 포함하여 통지함으로써, 필요한 메시지의 수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HO가 완수할 때까지의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메시지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경우에는, 이들 최대 허용 전력의 설정이 필요한 셀의 경우만 상기 메시지를 통지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최대 허용 전력의 설정이 필요가 없는 셀에의 HO의 경우에는, 통지에 필요한 정보량의 삭감, 메시지수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Pemax_csg)값, non-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Pemax_noncsg)값의 결정은 하이브리드 셀이 행해도 되고, 네트워크측(MME, HeNBGW 등)이 행해도 된다. 네트워크측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최대 허용 전력을 네트워크측에서 하이브리드 셀에 미리 통지해 둔다. 이 통지는 하이브리드 셀과 네트워크측의 S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에서 결정함으로써 주변 셀의 전파환경이나 부하 상황(예를 들면, 단말 접속 대수 등)을 기초로 값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스템으로서, 통신불가능한 상황, 통신 오류에 의한 접속 지연, 시그널링 량의 증대, 부하의 집중 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방법에서는, 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csg, non-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noncsg로 하였다. 다른 방법으로서, CSG 멤버와 non-CSG 멤버에 공통인 최대 허용 전력(Pemax_common)을 설치하고, CSG 멤버와 non-CSG 멤버의 최대 허용 전력의 차분(Pemax_delta)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의 도출식의 일례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Pprach = min{Pcmax,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_[dBm]
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 min{Pemax_common+Pemax_delta,Pumax}로 하고, non-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min{Pemax_common,Pumax}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른 최대 허용 전력을 갖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한 방법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때, 종래의 최대 허용 전력으로서 설정되는 Pemax를, 공통의 파라미터 Pemax_common으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non-CSG 멤버의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방법은, 현재의 방법으로부터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복잡성 회피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Pumax를 CSG 멤버용과 non-CSG 멤버용에서 별개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Pumax은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며, 각 UE의 파워 클래스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각 UE의 파워 클래스에 따라 CSG 멤버용(Pumax_csg)과 non-CSG 멤버용(Pumax_noncsg)을 미리 결정해 두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의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초기 송신 전력 Pprach의 도출식의 일례를 이하에 나타낸다.
Pprach = min{Pcmax, PREAMBLE_RECEIVED_TARGET_POWER + PL}_[dBm]
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min{Pemax,Pumax_csg}로 하고,
non-CSG 멤버에 대해서는, Pcmax=min{Pemax,Pumax_noncsg}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Pemax에 관해서는 셀 산하의 UE 모두에 공통의 설정으로 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설정과 변하지 않는 설정으로 된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정적인 값으로 할 수도 있다. 정적인 값이란, 이동체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단말·기지국 등에 있어서 기지의 값, 규격서 등에 기재되는 기지의 값을 가리킨다. 정적인 값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네트워크측)과 이동단말 사이에서 무선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이라고 하는 점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정적으로 결정된 값으므로, 무선신호의 수신 에러의 발생을 막는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csg, non-CSG 멤버용의 최대 허용 전력을 Pemax_noncsg로서 설정하는 경우의 구체적 동작 예를 나타낸다.
도 50에,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PRACH 초기 송신까지의 절차예를 나타낸다.
우선, CSG 멤버의 UE에 대해 설명한다. 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001에서, 예를 들면, 셀 재선택후에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camp on)한다. 하이브리드 셀은 스텝 ST5004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고, 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최대 허용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T5005에서 CSG 멤버의 UE에 상향 송신이 발생한 경우, 스텝 ST5007로 이행하여, 수신한 최대 허용 전력 중, CSG 멤버 UE용의 최대 허용 전력(Pemax_csg)을 사용하여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도출한다. 스텝 ST5009에서 CSG 멤버의 UE는, 상기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설정하고, 스텝 ST5011에서 상향 송신을 개시한다.
다음에, non-CSG 멤버의 UE에 대해 설명한다. non-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002에서, 예를 들면, 셀 재선택후에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camp on)한다. 하이브리드 셀은 스텝 ST5004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으며, non-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최대 허용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T5006에서 non-CSG 멤버의 UE에 상향 송신이 발생한 경우, 스텝 ST5008로 이행하고, 수신한 최대 허용 전력 중, non-CSG 멤버 UE용의 최대 허용 전력(Pemax_noncsg)을 사용하여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도출한다. 스텝 ST5010에서 non-CSG 멤버의 UE는, 상기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설정하고, 스텝 ST5012에서 상향 송신을 개시한다.
이때, 상향 송신 발생의 타이밍은 UE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향 초기 송신의 타이밍도 UE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스텝 ST5011에 이어서 스텝 ST5012을 실행해도 되고, 반대로 스텝 ST5012에 이어서 스텝 ST5011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하고 있는 UE가 CSG 멤버인지 non-CSG 멤버인지에 따라 상향 초기 송신 전력 도출에 사용하는 최대 허용 전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CSG 멤버의 UE가 액세스가능한 에어리어에 캠프 온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CSG 멤버의 UE민 상향 송신의 송신 전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통신에 충분한 상향 수신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non-CSG 멤버의 UE보다도 CSG 멤버의 UE의 커버리지 쪽이 넓어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 CSG 멤버의 UE의 상향 송신이 실패로 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CSG 멤버는, 하이브리드 셀에서 CSG 멤버에 대한 고속통신이나 우대 과금 플랜 등의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보다 오래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non-CSG 멤버의 UE에 대하여, CSG 멤버의 UE보다 낮은 최대 허용 전력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PL이 큰 경우에 non-CSG 멤버의 UE가 필요 이상으로 큰 송신 전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향 간섭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3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UE의 초기 송신 전력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셀 재선택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기준의 차분을 사용한다.
구체예로서, 실시형태 17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거나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CSG)의 차분을 사용한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실시형태 18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_in)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_in)의 차분을 사용한다. 이 차분에 관해서는, 차분값(Qoffset_delta)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실시형태 19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_out)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_out)의 차분을 사용한다. 이 차분에 관해서는, 차분값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차분값을,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PRACH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시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의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의 차분값으로서 사용하면 된다.
실시형태 17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CSG)의 경우, 이 차분을 사용한다. 차분값을 S_intrasearch_delta로 한다.
S_intrasearch_delta=S_intrasearch-S_intr asearchCSG
이 값을, PRACH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시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의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의 차분값인 Pemax_delta(=Pemax_csg-Pemax_noncsg)로 한다.
Pemax_delta=S_intrasearch_delta
또는,
Pemax_delta=|S_intrasearch_delta|
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 18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_in)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_in)의 경우에는, 차분값을 Qoffset_delta(=Qoffset_noncsg_in-Qoffset_csg_in)로 하고,
Pemax_delta=Qoffset_delta
또는,
Pemax_delta=|Qoffset_delta|
로 하면 된다.
실시형태 19에서 개시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csg_out)과,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오프셋값(Qoffset_noncsg_out)의 경우에는, 차분값을 Qoffset_delta(=Qoffset_csg_out-Qoffset_noncsg_out)로 하고,
Pemax_delta=Qoffset_delta
또는,
Pemax_delta=|Qoffset_delta|
로 하면 된다.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최대 허용 전력의 도출에, 셀 재선택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기준의 차분을 사용하는 방법의 구체적 동작 예를 나타낸다.
도 51에, 셀 재선택 임계값의 차분을 사용하는 경우의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의 PRACH 초기 송신까지의 절차 개요를 나타낸다.
우선, CSG 멤버의 UE에 대해 설명한다. 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101에서, 예를 들면, 셀 재선택후에 셀A에 캠프 온(camp on)한다. 셀 A는 스텝 ST5104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고, 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셀 재선택 임계값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T5105에서 CSG 멤버의 UE는 수신한 셀 재선택 임계값 중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경우의 셀 재선택 임계값(S_intrasearchCSG)을 사용하여 셀 재선택 절차를 행한다. 스텝 ST5107에서 셀 재선택 기준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하여, 합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T5109로 이행하고, 합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5105로 되돌아간다. 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107에서 셀 재선택 기준에 합치하여 하이브리드 셀로 재선택한 경우, 스텝 ST5109에서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한다.
하이브리드 셀은 스텝 ST5112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고, 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최대 허용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단, 여기에서 통지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실시형태 22에서 개시한 것과 같은 CSG 멤버용과 non-CSG 멤버용에서 다르게 설정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포함하지 않고, 종래의 셀에서 공통인 최대 허용 전력만으로 한다. 스텝 ST5113에서 CSG 멤버의 UE에 상향 송신이 발생한 경우, 스텝 ST5115로 이행하여, 스텝 ST5104에서 수신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과,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CSG)의 차분값(S_intrasearch_delta)을 도출한다. CSG 멤버의 UE는, 스텝 ST5116에서, 상기 차분값(S_intrasearch_delta)을 CSG 멤버용 UE와 non-CSG 멤버용 UE의 송신 전력의 차분(Pemax_delta)으로 하여, 상기 차분값(Pemax_delta)을 사용하여 스텝 ST5117에서 상향 초기 송신 전력(Pprach)을 도출한다. 스텝 ST5119에서 CSG 멤버의 UE는, 상기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설정하고, 스텝 ST5121에서 상향 송신을 개시한다.
다음에, non-CSG 멤버의 UE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non-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102에서, 예를 들면, 셀 재선택후에 셀 A에 캠프 온(camp on)한다. 셀 A는 스텝 ST5104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고, non-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셀 재선택 임계값이 포함되어 있다. 스텝 ST5106에서 non-CSG 멤버의 UE는 수신한 셀 재선택 임계값 중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을 사용하여 셀 재선택 절차를 행한다. 스텝 ST5108에서 셀 재선택기준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하여, 합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T5110으로 이행하고, 합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5106으로 되돌아간다. non-CSG 멤버의 UE가, 스텝 ST5108에서 셀 재선택 기준에 합치하여 하이브리드 셀로 재선택한 경우, 스텝 ST5110에서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만 하이브리드 셀의 non-CSG 멤버인 UE의 경우도, 오픈 액세스 모드에서 하이브리드 셀의 재선택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 않는 경우의 셀 재선택의 임계값(S_intrasearch)을 사용하여 셀 재선택 절차를 행하고, 셀 재선택의 기준에 합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지만 하이브리드 셀의 non-CSG 멤버인 UE의 경우, 예를 들면, 최초 S_intrasearchCSG을 사용하여 셀 재선택 절차를 행하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UE는 상기 셀의 CSG-ID를 수신하여 CSG-ID를 체크하고, CSG-ID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non-CSG 멤버용의 셀 재선택 절차 스텝 ST5106을 사용하여 셀 재선택하도록 해 두면 된다.
하이브리드 셀은 스텝 ST5112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하고 있고, non-CSG 멤버의 UE는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지 정보에는 최대 허용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단, 여기에서 통지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실시형태 22에서 개시한 것과 같은 CSG 멤버용과 non-CSG 멤버용에서 다르게 설정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포함하지 않고, 종래의 셀에서 공통인 최대 허용 전력만으로 한다. 스텝 ST5114에서 CSG 멤버의 UE에 상향 송신이 발생한 경우, 스텝 ST5118로 이행하여, 스텝 ST5112에서 하이브리드 셀로부터 통지된 종래의 셀에서 공통인 최대 허용 전력(Pemax_common)을 사용하여 스텝 ST5118에서 상향 초기 송신 전력(Pprach)을 도출한다. 스텝 ST5120에서 non-CSG 멤버의 UE는, 상기 상향 초기 송신 전력을 송신 전력으로 설정하고, 스텝 ST5122에서 상향 송신을 개시한다.
이때, 상향 송신 발생의 타이밍은 UE마다 다르기 때문에 상향 초기 송신의 타이밍도 UE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스텝 ST5121에 이어서 스텝 ST5122을 실행해도 되고, 반대로 스텝 ST5122에 이어서 스텝 ST5121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셀 재선택에 있어서 화이트 리스트 중에 CSG-ID를 갖는 UE 혹은 CSG에 등록하고 있는 UE와, 그렇지 않은 UE에 적용하는 기준의 차분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셀에 캠프 온하고 있는 UE가 CSG 멤버인지 non-CSG 멤버인지에 따라 상향 초기 송신 전력 도출에 사용하는 최대 허용 전력을 다르게 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가령, CSG 멤버의 UE가 액세스가능한 에어리어에 캠프 온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CSG 멤버의 UE만 상향 송신의 송신 전력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통신에 충분한 상향 수신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17, 실시형태 18, 실시형태 19, 실시형태 20에서 개시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셀 재선택에 있어서의 기준 중에서, 하이브리드 셀의 커버리지의 넓이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 파라미터에 관해, 그 차분에 근거하여,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의 PRACH 초기 송신 전력을 각각 도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셀 재선택에 있어서의 기준이 복수(예를 들면, 셀 재선택의 임계값과 오프셋 등) 설정된 경우에는, 어떤 기준을 사용할지 미리 결정해 두면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준 중 어느 기준을 사용할지 우선 순위를 붙여 놓아도도 된다. 이와 같이 해 두면, 예를 들어 어느 한 개의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우선 순위의 순서대로 다른 기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기준 중에서, 그것들의 차분값에 따라 어느 기준을 사용할지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분값이 가장 큰 기준을 사용하는 것 등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복수의 기준의 차분값의 평균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복수의 기준 중 어느 기준을 사용할지를, 서빙 셀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통지방법으로서는, 통지 정보로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서빙 셀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측(MME, HeNBGW 등)이 결정하고, 서빙 셀을 거쳐 UE에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네트워크측으로부터 서빙 셀에의 통지에는 S1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셀을 포함한 셀의 배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측이 결정하는 경우에는, 주변 셀의 전파환경이나 부하 상황(예를 들면, 단말 접속 대수 등)을 기초로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스템으로서, 통신불가능한 상황, 통신 오류에 의한 접속 지연, 시그널링 양의 증대, 부하의 집중 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전술한 방법은 셀 재선택시의 기준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셀을 재선택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경우, 예를 들면, HO에 의해 하이브리드 셀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실시형태 22에서 개시한 방법을 적용하고, 그 설정값은 서빙 셀로부터 HO를 행하는 UE에 대해 별적으로 통지하도록 해 두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UE의 초기 송신 전력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CSG 멤버의 UE가 non-CSG 멤버의 UE보다 오래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향 통신을 개시할 때의 UE의 초기 송신 전력을 CSG 멤버의 UE와 non-CSG 멤버의 UE에서 다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PRACH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시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을,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으로 각각 설치하고, 그것들을 하이브리드 셀로부터 산하의 UE에 통지하도록 하였지만, 하이브리드 셀에 있어서 PRACH 초기 송신 전력의 도출시에 사용되는 최대 허용 전력을, CSG 멤버의 UE용과 non-CSG 멤버의 UE용에서 각각 설치할 필요는 없어지고, 따라서, 그것들을 산하의 UE에 통지할 필요도 없어진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셀에서 통지가 필요한 파라미터수의 삭감, 더구나, 시그널링할 정보량의 삭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7 내지 실시형태 23에서 개시한 방법은, 동일 주파수 캐리어(동일 주파수 레이어)에 오픈모드 셀(non-CSG셀)과 CSG셀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믹스드 캐리어) 뿐만 아니라, 동일 주파수 캐리어(동일 주파수 레이어)에 CSG셀만 있는 경우 (데디케이티드 캐리어)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동일 주파수 레이어에 하이브리드 셀이 있으면 적용 가능해진다.
또한, 동일 주파수 레이어 내(intra-frequency)의 셀 재선택, HO 뿐만 아니라, 주파수 레이어간(inter-frequency) 혹은 시스템(RAT)간(inter-RAT)에도 적용 가능해진다.
상기에 있어서, CSG가 사용되는 HeNB을 사용하는 LTE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가 사용되는 HNB을 사용하는 UMTS, 및 CSG가 사용되지 않는 HeNB, HNB, 반경이 작은 기지국(피코 셀, 매크로셀로도 불린다)에도 적용가능하다. 실시형태 16의 변형예 1에서는, 실시형태 16의 효과 이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의 서빙 셀 주변에 존재하는 CSG셀에 미등록이었을 경우의 해당 이동단말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더구나 네트워크측(기지국 등)이 해당 이동단말이, 어느 CSG셀에 등록하고 있는지(화이트 리스트 내에 어느 CSG-ID를 갖고 있는지 )를 파악하지 않더라도 상기 효과를 갖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6의 변형예 1의 해결책은 우수하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로부터 기지국에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통지하지 않아도 되어, 무선 리소스의 유효활용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산하의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중의 CSG-ID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 기지국의 처리부하의 경감이라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CSG셀 혹은 셀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인 CSG-ID와, CSG셀 혹은 셀에 의해 통지되는 트랙킹 에어리어 코드(TAC)가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SG-ID와 TAC이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물론 적용가능하다.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CSG에 등록 완료인지 아닌지와, TA 갱신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별개로 판단하면 된다.
셀 재선택시, 자 이동단말이 선택한 셀에 등록 완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CSG-ID가 자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로 판단한다.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CSG-ID가 화이트 리스트 내에 존재한 경우, 자 이동단말이 선택한 셀에 등록 완료라고 판단한다. 즉, 상기 셀이 상기 이동단말에 있어서 「적절한 셀」로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CSG-ID가 자 이동단말의 화이트 리스트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자 이동단말이 선택한 셀에 미등록이라고 판단한다. 즉, 상기 셀이 상기 이동단말에 있어서 「적절한 셀」로 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또한 셀 재선택시에, TA 갱신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TAC이 자 이동단말 내부에 보관한 1개 혹은 복수의 TAC(이후 TA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로 판단한다.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TAC가 자 이동단말 내부의 TA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었을 경우, TA의 갱신은 불필요한 것으로 하여, TAU 불필요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셀의 통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TAC가 자 이동단말 내부의 TA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TA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하여, TAU를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도 14의 스텝 ST1406∼스텝 ST1409, 도 16의 스텝 ST1607∼스텝 ST1610 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LTE 시스템(E-UTRAN)을 중심으로 기재했지만, W-CDMA 시스템(UTRAN, UMTS) 및 LTE-Advanced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더구나, CSG(Closed Subscriber Group)가 도입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및, CSG과 같이 오퍼레이터가 가입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가입자가 액세스를 허가되는 것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적용가능하다.

Claims (7)

  1. 이동단말과, 특정한 상기 이동단말 또는 가입자에 대해서만 개방된 특정 가입자용 셀 및 불특정한 상기 이동단말 또는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불특정 이용자용 셀 각각에 설치되는 기지국과, 복수의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이동단말이 위치하는 원하는 트랙킹 에어리어를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된 경우에 발행되는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액세스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대한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는, 상기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상기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액세스 허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하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고, 상향 액세스 방식으로서 SC-FDMA(Single Care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하는 스케줄링을 실행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는 복수의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이동단말이 위치하는 원하는 트랙킹 에어리어를 관리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단말에 페이징 처리를 행하며,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통지된 상기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대한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는, 상기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상기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허가하는 신호와, 상기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가능한 상황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이동단말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기지국 경유로 송신된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동단말에 의해 선택된 원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거부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거부된 상기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셀 선택을 행하고, 선택된 기지국에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장치는,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기지국을 포함하는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단말이 이용 허가되어 있는 특정 가입자용 셀의 액세스 허가 정보를, 상기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한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소정의 특정 가입자용 셀이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인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은,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거부된 상기 기지국, 및 이 기지국이 속하는 특정 가입자용 셀에 포함되는 다른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셀 선택을 행하고, 선택된 기지국에 트랙킹 에어리어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장치는,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거부한 회수를 카운트하고, 소정 회수에 이른 경우에, 이동단말이 이용 허가되어 있는 특정 가입자용 셀의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장치는, 복수의 특정 가입자용 셀에 설치된 기지국에 대하여, 이동단말의 식별 정보와, 이동단말이 이용 허가되어 있는 특정 가입자용 셀의 액세스 허가 정보를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무선 리소스 할당 요구를 송신한 상기 이동단말에 대하여, 상기 특정 가입자용 셀의 이용이 허가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에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허가하는 신호와, 상기 액세스 허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KR1020117010027A 2008-11-04 2009-10-26 이동체 통신 시스템 KR101279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3004 2008-11-04
JP2008283004 2008-11-04
JP2009230545A JP5538802B2 (ja) 2008-11-04 2009-10-02 通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JPJP-P-2009-230545 2009-10-02
PCT/JP2009/005622 WO2010052843A1 (ja) 2008-11-04 2009-10-26 移動体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260A KR20110081260A (ko) 2011-07-13
KR101279523B1 true KR101279523B1 (ko) 2013-06-28

Family

ID=4215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027A KR101279523B1 (ko) 2008-11-04 2009-10-26 이동체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9713068B2 (ko)
EP (3) EP3890401A1 (ko)
JP (1) JP5538802B2 (ko)
KR (1) KR101279523B1 (ko)
CN (5) CN103929795B (ko)
AU (1) AU2009312285B2 (ko)
BR (1) BRPI0921326B1 (ko)
RU (4) RU2511040C2 (ko)
WO (1) WO2010052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2713B2 (en) 2005-02-08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multicast/broadcast communications system
WO2007144956A1 (ja)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7885235B2 (en) 2006-09-26 2011-02-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538802B2 (ja) * 2008-11-04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US8848594B2 (en) 2008-12-10 2014-09-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y of relay nodes
US8311061B2 (en) 2008-12-17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xing
US8040904B2 (en) 2008-12-17 2011-10-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combining
US8355388B2 (en) * 2008-12-17 2013-01-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 access to relays
US8402334B2 (en) 2008-12-17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unctionality in a relay node
US8335466B2 (en) 2008-12-19 2012-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US8265128B2 (en) 2008-12-19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th relay nodes
US8446856B2 (en) 2008-12-19 2013-05-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lay node selection
JP5266333B2 (ja) 2008-12-23 2013-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セル
CN102396276B (zh) 2009-02-02 2015-08-05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体通信系统
EP4312457A3 (en) 2009-04-28 2024-03-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ing coordinated and uncoordinated communication modes
CN104853439A (zh) 2009-06-19 2015-08-19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
US8811253B2 (en) 2009-08-12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specification for broadcast/multicast services
CN101998582A (zh) * 2009-08-17 2011-03-30 株式会社Ntt都科摩 混合小区的驻留方法、接入级别检查方法及其设备
JP5583135B2 (ja) 2009-10-02 2014-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WO2011039959A1 (ja) 2009-10-02 2011-04-07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9277523B2 (en) * 2009-11-05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14239A1 (en) * 2009-12-18 2012-10-24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sumption of normal service
JP4937338B2 (ja) * 2009-12-21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JP5607756B2 (ja) * 2010-01-08 2014-10-1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接続モードのh(e)nbアウトバウンドモビリティおよびh(e)nb間モビリティの評価および測定報告
KR20170098964A (ko) 2010-02-12 2017-08-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체 통신 시스템
JP2011205218A (ja) * 2010-03-24 2011-10-13 Sony Corp 通信管理方法、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8406160B2 (en) * 2010-05-21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Time-sliced search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during connected-mode radio link failure
US8320909B2 (en) * 2010-06-24 2012-11-27 Apple Inc. Expanded cell search and selection in a mobile wireless device
US20120088499A1 (en) * 2010-10-12 2012-04-12 Tom Chin Td-scdma measurement in a dual td-scdma and gsm mobile station
CN101986761B (zh) * 2010-11-01 2013-05-22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失败后保持用户特定业务的方法和一种ue
US8688160B2 (en) * 2011-05-02 2014-04-01 Apple Inc. Single-radio device supporting coexistence between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3329597B (zh) * 2011-02-10 2017-03-2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提供改进的切换操作的方法、装置
JP5633457B2 (ja) * 2011-03-30 2014-12-03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8605668B2 (en) * 2011-04-28 2013-12-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Common channel configuration for multipoint communications
US9241302B2 (en) 2011-06-17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arch
US8989742B2 (en) * 2011-06-17 2015-03-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rat cell reselection
US8718003B2 (en) * 2011-06-20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up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R112013032099A2 (pt) 2011-06-23 2016-12-13 Nec Corp sistema de comunicação, dispositivo de estação base, dispositivo de passagem, método para controlar o dispositiv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para controlar o dispositivo de porta
WO2013005948A2 (ko) * 2011-07-04 201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79921B2 (en) * 2011-07-18 2016-10-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losed subscriber group grou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47818B1 (ko) 2011-08-10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429307B1 (en) 2011-08-10 2022-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67721B1 (ko) 2011-08-10 2019-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EP2557870B1 (en) * 2011-08-10 2020-07-08 Alcatel Lucent Configuring transmissions
US10321419B2 (en) 2011-08-10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04894A1 (en) * 2011-08-12 2014-07-2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processor
US10893464B2 (en) * 2011-08-23 2021-01-1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cell identification split handling
US9241287B2 (en) 2011-09-13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width operation in LTE
CN106385714B (zh) 2011-09-30 202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连接重建方法、用户设备和基站
EP2765806B1 (en) 2011-10-05 2020-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a cell in heterogeneous networ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858489A (zh) * 2011-10-05 2014-06-11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相邻小区的方法和装置
EP3349396B1 (en) 2011-10-10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secondary cell
KR101803347B1 (ko) * 2011-12-08 2017-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폐쇄형 펨토 기지국의 동작 방법, 폐쇄형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는 핸드오버 방법, 그리고 이웃한 폐쇄형 펨토 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
WO2013103010A1 (ja) 2012-01-06 2013-07-1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WO2013111558A1 (ja) * 2012-01-23 2015-05-1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ならびに無線通信方法
US9838897B2 (en) * 2012-01-26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822323A4 (en) * 2012-01-27 2016-01-13 Kyocera Corp COMMUNICATION CONTROL PROCEDURE, BASIC STATION AND USER DEVICE
WO2013137698A1 (ko) * 2012-03-16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s 시그널링 요청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3141194A1 (ja) * 2012-03-23 2013-09-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設定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13141656A1 (ko) * 2012-03-23 201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plmn 정보 저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595561B (zh) * 2012-03-30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连接重建的方法及终端
GB2501278A (en) * 2012-04-18 2013-10-23 Nec Corp Rendering ineffective a ready timer depending on an initiated inter-system change
CN103428728B (zh) * 2012-05-14 2016-06-0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无线异构通信网中优化无线链路监视窗口参数的方法
JP5935583B2 (ja) 2012-08-07 2016-06-15 富士通株式会社 小規模基地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20140045509A1 (en) * 2012-08-09 2014-02-13 Simon PARR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er equipment
WO2014058245A1 (ko) * 2012-10-10 201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추적 영역 갱신 방법 및 단말
GB2506917B (en) 2012-10-12 2015-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establishment of a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DE112013000242B4 (de) * 2012-10-28 2019-10-17 Lg Electronics Inc. Betrieb mit verschiedenen Zeitgebern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CN104756556A (zh) * 2012-10-30 2015-07-01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基于优先级处理的小区重选方法和用于支持该方法的设备
JP6174345B2 (ja) * 2013-01-17 2017-08-02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端末及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
US9854459B2 (en) * 2013-03-12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based alarming and network-based reconfiguration
WO2014163363A1 (en) * 2013-04-01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35504B1 (ko) * 2013-04-01 2021-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 및 장치
WO2014161169A1 (zh) 2013-04-03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ue能力的方法、终端及基站
US9426709B2 (en) * 2013-08-08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anchor-based mobility management
JP2015046746A (ja) * 2013-08-28 2015-03-12 Kddi株式会社 接続前情報要求の送信を制御可能な無線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9860835B2 (en) * 2013-09-04 2018-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ell selection in multi-rat environment
RU2595935C2 (ru) * 2013-12-27 2016-08-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Беркут"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вязи между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с учетом индивидуальных настроек входящих соединений
WO2015103746A1 (en) * 2014-01-08 2015-07-16 Qualcomm Incorporated Small mbsfn enhancement
US9974021B2 (en) 2014-01-20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user equipment (UE) during manual CSG selection
US9854488B2 (en) * 2014-03-18 2017-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idle mode mobility management
WO2015142128A1 (en) * 2014-03-21 2015-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aiting time for determination of radio link fail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26419B2 (en) 2014-04-15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cell acquisition for LTE TDD systems or CSG/eMBMS capable UEs
US9516564B2 (en) 2014-04-25 2016-12-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ment of a cell reselection parameter in heterogeneous networks
US9635566B2 (en) 2014-04-25 2017-04-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ment of access points to support heterogeneous networks
GB2527593B (en) * 2014-06-27 2017-07-26 Ip Access Ltd Network e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10136407B2 (en) * 2014-07-01 2018-11-20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first location management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9788272B2 (en) * 2014-07-08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reducing consumption of standby current in a mobile terminal
KR102159340B1 (ko) * 2014-07-08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US10244426B2 (en) * 2014-08-19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error detection with PBCH frequency hypothesis
US9621294B2 (en) 2014-10-02 2017-04-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hancement of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with adaptive reduced-power almost blank subframes based on neighbor cell profile data
JP6337134B2 (ja) * 2014-10-07 2018-06-0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最大送信電力決定方法
EP3282756A4 (en) 2015-04-10 2018-12-05 Kyocera Corporation User terminal
KR102510207B1 (ko) * 2015-04-17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14 원인을 가지는 attach 거절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US9894702B2 (en) * 2015-05-14 2018-02-13 Intel IP Corporation Performing primary cell functions in a secondary cell
KR102336995B1 (ko) * 2015-06-26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EP3554131B1 (en) * 2015-09-21 2021-03-10 Sony Corporation A circuitry for a terminal device
BR112018010866A2 (pt) * 2015-12-01 2018-11-21 Ipcom Gmbh & Co. Kg método para fornecer retorno a partir de uma pluralidade de estações base de uma rede de frequência única a um dispositivo de equipamento de usuário e dispositivo de equipamento de usuário
US10292053B2 (en) * 2016-02-12 2019-05-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isabling user equipment radio communication over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during WLAN operations
WO2017188304A1 (ja) * 2016-04-26 2017-11-0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リレーノード
EP3461184B1 (en) * 2016-06-16 2020-05-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ell reselection method, frequency channel numb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9986416B2 (en) * 2016-07-25 2018-05-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TC device ping messages via tracking area updates
JP7012716B2 (ja) 2016-10-24 2022-01-28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禁止エリア手順および接続解放管理
US20180213576A1 (en) * 2017-01-24 2018-07-26 Nokia Technologies Oy Connection Release Assistance Information
WO2018143862A1 (en) * 2017-01-31 2018-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neighbour cell reselection with an area offset value
WO2018164414A1 (en) 2017-03-04 2018-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440020B1 (ko) * 2017-05-04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 전력 오프셋
WO2019031906A1 (en) * 2017-08-11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DDITIONAL UPLINK FREQUENCIES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9036940A1 (en) * 2017-08-23 2019-02-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USING USER EQUIPMENT LATENCY REQUIREMENT (UE) FOR SELECT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US10212615B1 (en) * 2017-10-29 2019-02-19 Cisco Technology, Inc. Tracking area optimization
JP2019125843A (ja) * 2018-01-12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ユーザ装置
IT201800000832A1 (it) * 2018-01-12 2019-07-12 Inst Rundfunktechnik Gmbh Sender und/oder empfänger zum senden bzw. empfangen von rundfunkinformationssignalen
RU2683524C1 (ru) * 2018-01-17 2019-03-29 Хуаве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ей ue,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CN110290530B (zh) * 2018-03-19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源节点和目标节点
US10667185B2 (en) * 2018-03-28 2020-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avoiding unnecessary actions in resume procedure
MX2020009914A (es) * 2018-03-28 2020-10-12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 y equipo del usuario (ue) para establecimiento de conexion evitando acciones innecesarias.
US11234180B2 (en) * 2019-01-03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procedures with hierarchical mobility
US11470678B2 (en) * 2019-09-30 2022-10-11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of multiple physical cell identity ranges
KR20210073298A (ko) * 2019-12-10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재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347995B (zh) * 2022-08-11 2023-10-27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测量位置的配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746B2 (ja) 1991-11-21 2002-07-08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一時的な制御チャネルとしての音声/データチャネルの割当て方法
SE9401319L (sv) 1994-04-19 1995-10-20 Ellemtel Utvecklings Ab Telekommunikationssystem
GB2315193B (en) 1996-07-10 2000-11-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5926469A (en) * 1996-11-12 1999-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on (Publ) Channel resource management within a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TE287601T1 (de) * 1998-06-30 2005-02-15 Siemens Ag Luftschnittstelle für telekommunikationssysteme mit drahtloser telekommunikation zwischen mobilen und/oder stationären sende/empfangsgeräten
US6729929B1 (en) * 1999-03-17 2004-05-04 Cisco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s
ATE294487T1 (de) * 2000-11-17 2005-05-15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s kommunikationsnetz
DE10144726B4 (de) 2001-09-11 2006-10-05 T-Mobile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und Zuteilung von Rufnummern in einem Telekommunikationsnetz
JP2005020400A (ja) * 2003-06-26 2005-01-20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網の構築方法
US7444150B2 (en) 2003-10-08 2008-10-28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selection with power scan and parallel decoding
CN101258766A (zh) 2005-08-04 2008-09-03 三菱电机株式会社 移动体通信系统、基站控制装置和移动终端
WO2007015304A1 (ja) * 2005-08-04 2007-0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移動端末
JP2007088978A (ja) * 2005-09-26 2007-04-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EP2166792B1 (en) 2005-10-13 2014-12-10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for enabling a base station to connect to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JP4692760B2 (ja) * 2006-03-16 2011-06-0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移動管理制御方法
WO2007144956A1 (ja) * 2006-06-16 2007-12-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US9019953B2 (en) * 2006-06-30 2015-04-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node,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voice calls to a mobile terminal in a packet-switched-only network
KR101368588B1 (ko) 2006-10-30 2014-02-2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Lte 시스템에서 추적 영역 업데이트 및 셀 재선택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263274A1 (en) 2006-11-22 2011-10-27 David Fox Telecommunications networks and devices
EP2117252B1 (en) * 2007-01-05 2014-02-12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8172296A (ja) * 2007-01-05 2008-07-24 Ntt Docomo Inc 送信機
KR101321240B1 (ko) 2007-01-16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홈셀 또는 개인네트워크로 셀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US8019331B2 (en) 2007-02-26 2011-09-13 Kineto Wireless, Inc. Femtocell integration into the macro network
CN102595339B (zh) * 2007-03-08 2015-09-02 交互数字技术公司 一种wtru中执行的方法以及一种wtru
US8072953B2 (en) * 2007-04-24 2011-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ome Node-B identification and access restriction
KR101206387B1 (ko) * 2007-07-05 2012-11-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통신 시스템
US8265033B2 (en) 2007-08-13 2012-09-1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handover
KR101147311B1 (ko) * 2007-08-17 2012-05-1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유저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
US9572089B2 (en) * 2007-09-28 2017-02-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ome Node B services
US20090270096A1 (en) * 2008-04-28 2009-10-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losed subscriber group cells
UA39170U (ru) * 2008-08-19 2009-02-10 Харьковский Центр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ой Хирургии Фенестрированный самофиксирующийся эндопротез для эндоваскулярно-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аневризм аорты
US8666410B2 (en) * 2008-09-22 2014-03-04 Htc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cell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device
KR101472749B1 (ko) 2008-09-25 201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eNB에서 단말의 수락제어 방법 및 장치.
US10743251B2 (en) * 2008-10-31 2020-08-1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for multiple access modes for home base stations
JP5726351B2 (ja) 2008-11-04 2015-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JP5538802B2 (ja) * 2008-11-04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および基地局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086191 *
3GPP TR 24.801 V8.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4683A1 (en) 2018-05-03
AU2009312285B2 (en) 2014-10-16
RU2511040C2 (ru) 2014-04-10
CN103945496B (zh) 2018-11-09
EP2346286A1 (en) 2011-07-20
BRPI0921326B1 (pt) 2020-10-27
AU2009312285A1 (en) 2010-05-14
KR20110081260A (ko) 2011-07-13
RU2554533C1 (ru) 2015-06-27
RU2461149C1 (ru) 2012-09-10
EP3206438A1 (en) 2017-08-16
US9877268B2 (en) 2018-01-23
JP5538802B2 (ja) 2014-07-02
WO2010052843A1 (ja) 2010-05-14
RU2599542C1 (ru) 2016-10-10
US20240073787A1 (en) 2024-02-29
JP2010136337A (ja) 2010-06-17
EP2346286A4 (en) 2014-04-09
CN103945495A (zh) 2014-07-23
CN102204357A (zh) 2011-09-28
CN102204357B (zh) 2014-06-11
CN103929794A (zh) 2014-07-16
US11350345B2 (en) 2022-05-31
RU2012122195A (ru) 2013-12-10
EP3890401A1 (en) 2021-10-06
US9713068B2 (en) 2017-07-18
CN103929794B (zh) 2017-08-25
US20110216732A1 (en) 2011-09-08
BRPI0921326A2 (pt) 2015-12-29
CN103945495B (zh) 2019-03-19
US20150334636A1 (en) 2015-11-19
CN103929795A (zh) 2014-07-16
US20220256442A1 (en) 2022-08-11
EP2346286B1 (en) 2017-05-03
CN103945496A (zh) 2014-07-23
CN103929795B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523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JP552360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セル
EP247293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2190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6671453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csg基地局および移動端末
AU201720206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14201266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