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032B1 - 시트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032B1
KR101278032B1 KR1020090054730A KR20090054730A KR101278032B1 KR 101278032 B1 KR101278032 B1 KR 101278032B1 KR 1020090054730 A KR1020090054730 A KR 1020090054730A KR 20090054730 A KR20090054730 A KR 20090054730A KR 101278032 B1 KR101278032 B1 KR 10127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at
fixed
upper rail
l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589A (ko
Inventor
강경달
Original Assignee
김용범
강경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강경달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09005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03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부분에 장착되며, 추돌 사고와 같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시트의 쏠림에 의한 순간 충격을 완화하여 시트에 앉은 사람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점차 감소시키는 시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트(1)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사이에, 또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바닥면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레일(3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레일(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제1 하부레일(32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321)을 조성하고 제1 상부레일(310)에는 상기 장공(321)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걸림쇠(311)를 조성하여, 제1 상부레일(310)이 제1 하부레일(3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쇠(311)가 장공(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유동레일부(300); 및 상기 유동레일부(3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레일(4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413)가 형성되는 결속부(412)를 제2 상부레일(410)의 상면에 장착하고, 제2 하부레일(420)에는 삽지공(421)이 조성되고 제2 상부레일(410)에는 상기 삽지공(421)에 맞게 끼워지는 삽지구(411)가 구비되게 한 고정레일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트, 상부레일, 하부레일, 안전장치, 충격, 완화, 다단

Description

시트안전장치{A safe device of a shee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부분에 장착되며, 추돌 사고와 같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시트의 쏠림에 의한 순간 충격을 완화하여 시트에 앉은 사람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점차 감소시키는 시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차원을 지지해주며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한으로 해주는 것으로서, 용도에 따라 드라이버 시트, 패슨저 시트, 리어 시트, 차일드 시트로 구분되고, 형상에 따라 로우백 시트, 하이백 시트, 버켓 시트로 구분되며, 기능에 따라 고정식, 조절식, 변환식 시트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량의 시트 중 프론트에 위치하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에는 바닥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조절하기 위한 시트슬라이딩장치가 마련되는바, 상기 시트슬라이딩장치는 시트를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실내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시트의 저면 고정되는 상부레일과 차량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레일로 구성되며, 또한 하부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 상부레일을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부레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지공이 조성되고 상기 삽지공에 삽입되는 삽지구가 상부레일에 마련된다.
하지만, 일반적인 시트슬라이딩장치만 장착된 시트는, 시트슬라이딩장치에 의해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추돌사고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고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시트에 앉은 사람에게도 그대로 전달되어 관성력에 따라 사람은 물론 시트도 전방으로 쏠리게는 힘을 받게 되어, 비록 안전벨트를 차고 있더라도 사람이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고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크게 되면 그때 받게 되는 순간 충격은 매우 크므로, 사람이 운전대 또는 전방 유리에 머리를 부딪치거나 무릎이 차량 내부의 전방에 부딪치어 크게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시 시트에 앉은 사람에게 가해지는 순간 충격을 분산시켜 점차 완화함으로써, 사람에게 가해지는 순간 충격을 감소시키는 시트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1)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시트(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고시 충격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는 시트안전장치에 있어서,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레일(110)이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레일(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제1 하부레일(120)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공(121)을 조성하고, 제1 상부레일(110)에는 관통공(112)을 조성하여 걸림쇠(111)가 관통공(112)을 통해 장공(121)에 끼워지게 되고 제1 상부레일(110)이 제1 하부레일(1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쇠(111)가 장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유동레일부(100); 및
상기 유동레일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레일(210)이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213)가 형성되는 결속부(212)를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에 장착하고, 제2 하부레일(220)에는 다수의 삽지공(221) 을 조성하고, 제2 상부레일(210)에는 관통공(215)을 조성하여 삽지구(211)를 관통공(215)을 통해 삽지공(221)에 끼울 수 있게 한 고정레일부(200);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저면에 돌출되게 구비하는 횡바(510)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에 고정한 위치조절레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1)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에 장착되어 사고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시트안전정치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레일(3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레일(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제1 하부레일(32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321)을 조성하고 제1 상부레일(310)에는 상기 장공(321)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걸림쇠(311)를 조성하여, 제1 상부레일(310)이 제1 하부레일(3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쇠(311)가 장공(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유동레일부(300); 및 상기 유동레일부(3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레일(4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413)가 형성되는 결속부(412)를 제2 상부레일(410)의 상면에 장착하고, 제2 하부레일(420)에는 삽지공(421)이 조성되고 제2 상부레일(410)에는 상기 삽지공(421)에 맞게 끼워지는 삽지구(411)가 구비되게 한 고정레일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트(1)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사이에 장착되거나, 아니면 시트슬라이딩 장치(10)와 차량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 장착되되, 제1 상부레일(310)의 상면 및 결속부(412) 상면을 상측에 고정하고 제1 하부레일(320)의 저면 및 제2 하부레일(420)의 저면을 하측에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안정장치는 상기 고정레일부(200, 400)와 동일한 제2 고정레일부(6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에서 삽지구(411)가 끼워지는 삽지공은, 상기 장공(121)보다 짧은 길의 장공형 삽지공(621)으로 조성되는 것일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순간 가해지는 충격이 임계치를 넘으면 결속부(212)가 절단되도록 구성되어서, 결속부(212)가 절단될 때에 흡수하게 되는 절단 에너지만큼 순간 충격을 완화하므로, 사람이 받는 충격량을 시간적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고에 의한 순간 충격량을 두번에 걸쳐 분산되므로 실제 사람이 받는 순간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고정레일부(600)를 다수 구비할 경우에, 순간 충격량을 단계적으로 분산시켜 실제 사람이 받는 순간 충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트(1)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사이에, 또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바닥면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시트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를 시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결속부(212)가 절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차량의 시트(1)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시트(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고시 충격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평상시에는 시트(1)를 차량 내부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사고에 의해 강한 충격을 받으면 절단되는 결속부(212)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부(212)의 절단에 의해 시트(1)를 고정하던 것을 해제시키는 고정레일부(200)와, 상기 결속부(212)가 절단될 경우에 소정 거리만큼 시트(1)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유동레일부(100), 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2개의 유동레일부(100)가 마련되어 있어서 시트(1)를 기울어짐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레일부(100)는,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레일(110)와,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레일(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1 상부레일(110)은 상기 제1 하부레일(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레일(120)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공(121)이 조성되고, 상기 제1 상부레일(110)에는 관통공(112)을 조성하여 걸림쇠(111)가 관통공(112)을 통해 장공(121)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쇠(111)가 상기 관통공(1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상부레일(110)이 제1 하부레일(1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상기 걸림쇠(111)가 장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장공(121)은 상기 제1 하부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조성되어 상기 걸림쇠(111)가 장공(12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레일부(200)는,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레일(210)과,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레일(2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2 상부레일(210)은 상기 제2 하부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정레일부(200)는 상기 유동레일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213)가 형성되는 결속부(212)가 고성 설치되고, 상기 제2 하부레일(220)에는 다수의 삽지공(221)이 조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레일(210)에는 관통공(215)을 조성하여 삽지구(211)를 관통공(215)에 삽입 통과시켜 삽지공(221)에 끼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부레일(110)의 상면에 절속편(113)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절속편(113)의 상면에 조성된 볼트체결공(113a)을 통해 시트(1)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부(200)의 결속부(212)는, 상·하에 각각 수평으로 절된 절편이 형성되고, 각 절편에는 볼트체결공(214, 214a)을 구비하여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과 시트(1)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1)와 차량 내부 바닥면 사이에 장착되는 시트안전장치는, 시트(1)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시트(1)를 멈추게 한 후에, 그 위치에 맞는 장공(121)에 걸림쇠(111)를 끼우고 삽지공(221)에 삽지구(211)를 끼워 시트(1)를 움직임 없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추돌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운전자가 앉아 있는 시트(1)는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데, 만약 충격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결속부(212)는 전·후방의 노치(213) 사이를 잇는 경계선을 따라 절단되어 상·하부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결속부(212)가 상·하부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절단에 필요한 힘만큼 시트(1)에 반작용 힘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반작용으로 가해지는 힘, 그리고 그에 따른 에너지가 소비되어 시트(1)의 관성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212)가 상·하부로 절단된 후에는,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었던 상기 제2 상부레일(210)이 시트(1)로부터 분리되므로, 시트(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장공(121)에 끼워진 걸림쇠(111)가 장공(12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걸림쇠(111)가 장공(121)에 끼워진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장공(121)의 전방 끝단에 도달하게 되면 멈추게 되므로, 이때 시트(1)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직접 끼우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동시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하기의 도 3은 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에 있어서, 위치조절레버(500)를 구비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위치조절레버(500)는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510)를 구비하는 구동바(520)와; 상기 구동바(520)를 지렛대처럼 동작하게 하며 상기 제2 상 부레일(210)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대(521)와; 상기 구동바(520)의 끝단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T'자를 이루며, 저면에는 삽지구(211)가 고정되는 중공관 형태의 횡바(530)와; 상기 횡바(530)의 양단 개구에 각각 끼워지는 연결바(540)와; 상기 연결바(540)에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550)되며 저면에 걸림쇠(111)가 고정되는 회동바(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바(520)와 횡바(530)의 결합은 힌지 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위치조절레버(500)는,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510)를 상·하로 움직여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각각 장공(121) 및 삽지공(221)에 끼우거나 빼면서 시트(1)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각각 장공(121) 및 삽지공(221)에 끼워서 시트(1)를 고정한 후에, 차량의 추동에 의해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결속부(212)가 절단되면, 제1 상부레일(11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횡바(540)에 끼워진 상기 연결바(540)는 상기 횡바(540)로부터 약간 빠지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바(560)가 힌지(550)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레버(500)는 평상시에는 시트(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고시에는 상기 제1 상부레일(1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 른 고정레일부(200)와 유사한 제2 고정레일부(600)를 더욱 구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더욱 구비되는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는, 상기 고정레일부(200)와 동일하게 제2 상부레일(210) 및 제2 하부레일(220)로 형성되지만, 상기 제1 실시예의 고정레일부(200)와는 상이하게, 삽지구(411)가 끼워지는 삽지공이 장공(121)보다 짧은 길의 장공형 삽지공(621)으로 조성된다.
즉, 상기 장공형 삽지공(621)의 장경(d2, 길이방향의 장경)은, 제2 하부레일(220)에 조성된 삽지공(221)의 직경(d1)보다는 크고 제1 하부레일(120)에 조성된 장공(121)의 장경(d3, 길이방향의 장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는, 상기 고정레일부(20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를 더 구비하므로, 사고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2단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충격이 가해지면 먼저 상기 고정레일부(200)의 결속부(212)가 절단되고, 이때에는 제2 고정레일부(600)의 결속부(212)가 절단되지 아니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2 고정레일부(600)의 제2 상부레일(610)은 제1 상부레일(110)과 같이 시트(1)에 고정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고정레일부(600)에 구비되는 삽지구(미도시)가 장공형 삽지공(62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고정레일부(600)에 구비되는 삽지구(미도시)가 장공형 삽지 공(621)의 끝단에 이르면 제2 고정레일부(600)의 제2 상부레일(610)이 멈추면서 결속부(612)가 절단된다. 이후에는, 제2 고정레일부(600)의 제2 상부레일(610)이 시트(1)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므로 유동레일부(100)의 제1 상부레일(110)만 시트(1)에 고정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레일고정부(200)의 결속부(212)와 제2 레일고정부(600)의 결속부(612)에 의해 2단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므로 사고에 의해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순간 충격을 점차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2 레일고정부(600)를 다수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구비되는 각각의 제2 레일고정부(600)는 서로 다른 장경(d2)값을 갖는 장공형 삽지공(621)이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비된 제2 레일고정부(600)의 개수만큼 다단으로 순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시트안전장치는, 일반적으로 시트(1)의 저면에 구비되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에 장착되는 것이다. 즉, 시트(1)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일반적인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저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상기 제1,2 실시예에 도시된 유동레일부(100) 및 고정레일부(200)와 유사한 형태를 갖지만, 상기 제1,2 실시예에서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결합되는 걸림쇠(111)와 삽지구(211)와는 상이 하게, 상부레일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유동레일부(300)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레일(310)과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레일(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상부레일(310)은 상기 제1 하부레일(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레일(32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321)이 조성되고 제1 상부레일(310)에는 상기 장공(321)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걸림쇠(311)가 조성된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고정레일부(400)는, 상기 유동레일부(3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레일(410)과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레일(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레일(410)은 상기 제2 하부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413)가 형성되는 결속부(412)가 제2 상부레일(410)의 상면에 장착되며, 제2 하부레일(420)에는 삽지공(421)이 조성되고, 제2 상부레일(410)에는 상기 삽지공(421)에 맞게 끼워지는 삽지구(4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레일부(300)의 제1 상부레일(310)과 상기 고정레일부(400)의 제2 상부레일(410)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동레일부(300)의 제1 하부레일(320)과 상기 고정레일부(400)의 제2 하부레일(410)은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시트(1)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시트슬라이딩장치(10)는 양 측에 구비되는 레일(11)과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부(1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반적인 수동식 시트슬라이딩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상기 도 5의 제3 실시예에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결합을 위한 구성들을 더욱 구비한다.
즉, 유동레일부(300)와 고정레일부(400)는 지지바(301)에 의해 서로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제1 하부레일(300)의 저면에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레일(11)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302)가 구비되며, 제2 하부레일(400)의 저면에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구동부(12)에 고정되는 실린더고정단(303)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레일(310, 410)은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는 시트(1)에 고정된 상태로 시트슬라이딩장치(10)에 의해 전·후 이동되며, 시트슬라이딩장치(10)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후에 사고가 발생하면 시트(1)의 전방 쏠림에 의해 결소부(412)가 절단되며 제1 상부레일(310)이 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제1,2,3,4 실시예에 있어서, 결속부(212, 412)의 노치(213, 413)는 'U'자형의 홈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홈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노치(213, 413)는 'V'자형의 홈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를 시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격에 의해 결속부(212)가 절단된 상태를 보여주는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에 있어서, 위치조절레버(500)를 구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10 : 시트슬라이딩장치
100 : 유동레일부 110 : 제1 상부레일 111 : 걸림쇠
120 : 제1 하부레일 121 : 장공
200 : 고정레일부 210 : 제2 상부레일 211 : 삽지구
212 : 결속부 213 : 노치 220 : 제2 하부레일
221 : 삽지공
300 : 유동레일부 310 : 제1 상부레일 311 : 걸림쇠
320 : 제1 하부레일 321 : 장공
400 : 고정레일부 410 : 제2 상부레일 411 : 삽지구
412 : 결속부 413 : 노치 420 : 제2 하부레일
421 : 삽지공
500 : 위치조절레버

Claims (5)

  1. 차량의 시트(1)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시트(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사고시 충격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는 시트안전장치에 있어서,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 상부레일(110)이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1 하부레일(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제1 하부레일(120)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장공(121)을 조성하고, 제1 상부레일(110)에는 관통공(112)을 조성하여 걸림쇠(111)가 관통공(112)을 통해 장공(121)에 끼워지게 되고 제1 상부레일(110)이 제1 하부레일(1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쇠(111)가 장공(1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유동레일부(100); 및
    상기 유동레일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트(1)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2 상부레일(210)이 차량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제2 하부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213)가 형성되는 결속부(212)를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에 장착하고, 제2 하부레일(220)에는 다수의 삽지공(221)을 조성하고, 제2 상부레일(210)에는 관통공(215)을 조성하여 삽지구(211)를 관통공(215)을 통해 삽지공(221)에 끼울 수 있게 한 고정레일부(200);
    걸림쇠(111) 및 삽지구(211)를 저면에 돌출되게 구비하는 횡바(510)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레일(210)의 상면에 고정한 위치조절레버(5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안전장치.
  2. 시트(1)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슬라이딩장치(10)에 장착되어 사고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되는 시트안전정치에 있어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상부레일(3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하부레일(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제1 하부레일(320)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321)을 조성하고 제1 상부레일(310)에는 상기 장공(321)에 끼워지는 걸림쇠(311)를 조성하여, 제1 상부레일(310)이 제1 하부레일(3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걸림쇠(311)가 장공(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유동레일부(300); 및
    상기 유동레일부(30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상부레일(410)이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하부레일(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고, 전·후 방향의 측면에 노치(413)가 형성되는 결속부(412)를 제2 상부레일(410)의 상면에 장착하고, 제2 하부레일(420)에는 삽지공(421)이 조성되고 제2 상부레일(410)에는 상기 삽지공(421)에 맞게 끼워지는 삽지구(411)가 구비되게 한 고정레일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트(1)와 시트슬라이딩장치(10)의 사이에 장착되거나, 아니면 시트슬라이딩장치(10)와 차량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 장착되되, 제1 상부레일(310)의 상면 및 결속부(412) 상면을 상측에 고정하고 제1 하부레일(320)의 저면 및 제2 하부레일(420)의 저면을 하측에 고정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안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안정장치는 상기 고정레일부(200, 400)와 동일한 제2 고정레일부(6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에서 삽지구(211, 411)가 끼워지는 삽지공은, 상기 장공(121, 321)보다 짧은 길이의 장공형 삽지공(621)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안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레일부(600)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안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213, 413)는,
    'V'자형 또는 'U'자형 의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안전장치.
KR1020090054730A 2009-06-19 2009-06-19 시트안전장치 KR10127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30A KR101278032B1 (ko) 2009-06-19 2009-06-19 시트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30A KR101278032B1 (ko) 2009-06-19 2009-06-19 시트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589A KR20100136589A (ko) 2010-12-29
KR101278032B1 true KR101278032B1 (ko) 2013-06-24

Family

ID=4351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730A KR101278032B1 (ko) 2009-06-19 2009-06-19 시트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0403B2 (ja) * 2016-11-09 2018-10-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S2706576A1 (es) 2017-09-29 2019-03-29 Seat Sa Sistema de ensamblaje entre un asiento de un vehículo y una carrocería del vehícul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367A (ko) * 1995-12-01 1997-07-22 박범규 급제동시 운전자의 쏠림방지장치
KR19980017665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사이드충격 흡수를 위한 자동차 시트의 취부구조
JP2003285680A (ja) * 2002-01-24 2003-10-07 Araco Corp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20060064771A (ko) * 2004-12-09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레일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367A (ko) * 1995-12-01 1997-07-22 박범규 급제동시 운전자의 쏠림방지장치
KR19980017665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사이드충격 흡수를 위한 자동차 시트의 취부구조
JP2003285680A (ja) * 2002-01-24 2003-10-07 Araco Corp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KR20060064771A (ko) * 2004-12-09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레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589A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1200B2 (en) Child saftety seat
US8424964B2 (en) Child safety seat
JPH11262427A (ja) 可動式ヘッドレスト
KR101278032B1 (ko) 시트안전장치
DE60308147T2 (de) Fahrzeugsitz mit kopfstütze welche unabhängig von der rückenlehne ist
CN117962712A (zh) 头靠高度调节机构与载具本体
DE10030549B4 (de) Fahrzeugsitz
CN107826003B (zh) 一种集成式汽车儿童安全座椅
KR101238433B1 (ko) 차량의 추돌 충격 완화장치
DE102008019917B3 (de) Fahrzeugsitz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100298614B1 (ko)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KR101265172B1 (ko) 자동차용 충격완화 시트백
KR101116573B1 (ko)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철도 차량용 시트
WO200005345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eat
JP5965705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式シート支持装置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288299B1 (ko)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KR100288298B1 (ko)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DE102004027385A1 (de)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Kopfstütze
KR200209010Y1 (ko) 헤드레스트 조립체
KR100315491B1 (ko) 자동차의시이트슬라이드장치
KR100896524B1 (ko) 충격 완화를 위한 접힘 타입 시트 장치
KR20110022910A (ko)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