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299B1 -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299B1
KR100288299B1 KR1019980045657A KR19980045657A KR100288299B1 KR 100288299 B1 KR100288299 B1 KR 100288299B1 KR 1019980045657 A KR1019980045657 A KR 1019980045657A KR 19980045657 A KR19980045657 A KR 19980045657A KR 100288299 B1 KR100288299 B1 KR 10028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lever
seat
adjustment
adjustmen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671A (ko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4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2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이 운행도중 후방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가 들어 올려져 조절레버를 치게되어 조절레버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져 시트의 고정장치가 쉽게 풀어져 시트가 전,후 이동됨에 따라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동차의 시트를 전,후 이동시킬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조절할수 있는 조절레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절결홈(311)이 형성된 끝단 양측에 걸림공(3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312)의 선단에는 서로 상반되는 수납홈(313)이 형성된 제1 조절레버(310)와 상기 제1 조절레버(310)가 출입되면서 상기 수납홈(313)과 걸림공(312)에 끼워질수 있는 볼(321)이 설치된 제2 조절레버(3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가 들러올려지면서 제1 조절레버(310)를 치게되면 상기 제 1 조절레버(310)가 제2 조절레버(320)속으로 들어가면서 즉,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므로 제1 조절레버(310)가 상향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시트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탑승자의 심각한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를 전후 이동시킬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딩장치를 조절할수 있는 조절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절레버를 제1,2 조절레버로 구분하여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속으로 출입되도록하므로써 차량의 후방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가 들리면서 제1 조절레버를 치게되면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 속으로 들어가면서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쇄시켜 시트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킬수 있으므로써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승객들이 편안한 자세로 앉을수 있도록 앞용과 뒷용의 시트가 설치되는데, 앞좌석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식 시트로 뒷좌석의 경우에는 벤치식 시트로 구성되어 지며, 이렇게 구분되는 시트는 인체의 골격구조에 맞게 설계되어 착석시 히프가 얹혀지는 시트쿠션과 등이 마주치는 시트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는 착석시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주거나 주행중 추돌등으로 인한 착석자의 목의 부상방지 기능도 겸하고 있는 헤드레스가 설치된다.
상기의 시트는 승차원의 체격이나 취향에 따라 쾌적한 착좌자세를 취할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장치가 설치된다. 즉, 시트의앞,뒤를 조절하는 기구로서 슬라이딩 기구와 록기구를 짜맞춘 시트 슬라이딩 장치;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릭 라이닝장치; 2 차 도어차에 있어서 뒷좌석 승차원의 승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며, 시트백을 앞뒤로 뉘임과 동시에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기구가 해제되어 스프링력에 의하여 시트전체가 앞으로 이동하는 워크인 장치; 시트의 위, 아래위치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그 조절방식에 따라 시트전체를 수평으로 오르내리게 하는 평행리프터 장치; 시트의 앞,뒤를 각기 독립시켜서 오르내리게 하는 앞, 뒤 독립히프트로 구분되는 리프터장치등이 있다.
또한 장시간 주행시 피로경감을 목적으로 하여 승차원의 요추 지지력을 가변하는 럼버서포트장치; 자동차가 코너링을 할 때 등의 횡방향 지지를 조절하는 기구로서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시트백, 시트쿠션의 옆구리 형상을 변경하는 장치인 사이드서포트 장치등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시트의 여러 가지 기능중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장치를 도 1 내지 도 2 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로어패널에 설치된 한쌍의 받침구상에 하부레일(2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하부레일(20)상측에는 마운팅에 의해 시트(40)저면과 소정간격 유지되게 한 상부레일(10)이 전,후로 소정거리 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20)의 일측벽에는 다수의 삽지공(21)이 일렬로 천공되어 있으며, 또한 삽지구(31)가 끝단에 설치된 조절레버(30)를 회동되게 설치하여 조절레버(30)를 위로 잡아당기면 삽지구(31)가 상기 삽지공(21)에서 이탈되면서 시트(40)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수 있도록 되어있고, 당기고 있던 조절레버(30)를 놓으면 탄지수단의 복귀력에 의해 조절레버(30)의 위치가 원위치되면서 시트(40)의 슬라이딩이 제어되어 시트(4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조절레버(30)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통상 시트(40)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장치는 시트(40)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절레버(30)만을 상향으로 들어 올린후 시트(40)를 당기거나 뒤로 밀어주면 작동되는 것인데 이는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차량 운행도중 후방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로 조절레버(30)를 치게되는데, 이때 상기 조절레버(30)는 후방이 고정되는 단일체로 되어있어 충돌시 발생되는 힘이 모두 상방향으로만 작용되어 조절레버(30)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걸림장치가 해제되면서 시트(40)가 전,후 이동되어 탑승자가 심한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 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가 위로 올라가 조절레버를 치더라도 조절레버가 상방향으로는 들어 올려지지 않아 시트를 고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시킬수가 있어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시킬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절결홈이 형성된 끝단 양측에 걸림공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의 선단에는 서로 상반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제1 조절레버와 상기 제1 조절레버가 출입되면서 상기 수납홈과 걸림공에 끼워질수 있는 볼이 설치된 제2 조절레버로 구성되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절레버를 제1 조절레버와 제2 조절레버로 구분하여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 속으로 출입되도록 하므로써 충돌로 인하여 제1 조절레버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조절레버가 뒤로 밀리면서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쇄시키므로써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앞좌석시트의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차량의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다리부위가 들리면서 조절레버를 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절레버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a,4b 는 본 발명의 조절레버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로서 4a는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에서 돌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4b는 제1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속으로 들어간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320 : 제1,2 조절레버 311 : 절결홈
312 : 걸림공 313 : 수납홈
321 : 볼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조절레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조절레버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로서 4a는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에서 돌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4b는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속으로 들어간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를 전,후 이동시킬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절결홈(311)이 형성된 끝단 양측에 걸림공(3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312)의 선단에는 서로 상반되는 수납홈(313)이 형성된 제1 조절레버(310)와 상기 제1 조절레버(310)가 출입되면서 상기 수납홈(313)과 걸림공(312)에 끼워질수 있는 볼(321)이 설치된 제2 조절레버(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절레버를 상향으로 들어 올려 슬라이딩장치를해제시킨 상태에서 시트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시트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조절레버에서 손을 떼면 탄성수단에 의해 조절레버가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시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구성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구성은 조절레버를 제1 조절레버(310)와 제2 조절레버(320)로 구분하여 제1 조절레버(310)를 밀어주면 제2 조절레버(3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조절레버(310)가 제2 조절레버(320)속으로 들어가도록 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후방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탑승자의 몸은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부위가 제1 조절레버(310)를 치게되는데, 이때 제1 조절레버(310)는 충격력을 받게되면 뒤로 슬라이드 되면서 제 2 조절레버(320)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 조절레버(310)는 약간 들어가다가 제2 조절레버(320)에 설치된 볼(321)위치에 제1 조절레버(310)에 형성된 걸림공(312)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즉, 볼(321)이 걸림공(312)에 걸리므로써 제1조절레버(310)는 더 이상 전진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조절레버(320)에 설치된 볼(321)이 평상시에는 제1 조절레버(310)에 형성된 수납홈(313)에 들어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조절레버(3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볼(321)이 수납홈(313)에서 쉽게 이탈되는데, 이는 제1 조절레버(310)후단에는 절결홈(3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조절레버(310)가 밀릴 때 상기 절결홈(311)에 의해 제1 조절레버(310)의 후단이 수축되기 때문에 수납홈(313)에서 볼(321)이 쉽게 빠지는 것이다.
이처럼 제1 조절레버(310)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제1 조절레버(310)를 수평으로 밀어주는 힘이 먼저 작용된후 상방향으로 올려주는 힘이 작용되는 것인데 종래에는 조절레버(30)가 단일체로 되어있고 후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평으로 밀어주는 힘을 상쇄시키지 못함에 따라 상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이 그대로 조절레버(30)에 전달되어 조절레버(30)가 상측으로 올라갔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조절레버(310)가 밀려들어가면서 충격력을 거의 흡수하여 상쇄시키기 때문에 제1 조절레버(31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려는 힘은 극히 미약하여 인위적으로 제1 조절레버(310)를 들어 올리기 전에는 절대로 시트가 전후 이동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제2 조절레버(320)속으로 들어간 제1 조절레버(310)를 원상태로 빼줄 경우에는 제1 조절레버(310)를 그대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1 조절레버(310)가 전진되면서 볼(321)이 걸림공(312)에서 이탈되는 것이고, 이후 제 1 조절레버(310)를 계속 당기게 되면 볼(321)은 원상태로 수납홈(313)속에 들어가면서 제1 조절레버(310)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트를 전,후 이동시킬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작동할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절레버를 제1 조절레버와 제2 조절레버로 구분하여 제1 조절레버가 제2 조절레버 속으로 출입되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후방 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면서 다리가 들어 올려지면서 제1 조절레버를 강하게 치게되면 제1 레버가 제2 레버속으로 들어가면서 충격력을 거의 흡수하여 상쇄시키어 제1 조절레버를 상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은 극히 미약하여 시트가 고정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수 있어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수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를 전,후 이동시킬수 있도록 걸림구를 괘,해정 시키는 조절레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절결홈(311)이 형성된 끝단 양측에 걸림공(3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공(312)의 선단에는 서로 상반되는 수납홈(313)이 형성된 제1 조절레버(310);
    상기 제1 조절레버(310)가 출입되면서 상기 수납홈(313)과 걸림공(312)에 끼워질수 있는 볼(321)이 설치된 제2 조절레버(32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KR1019980045657A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KR10028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657A KR100288299B1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657A KR100288299B1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671A KR20000027671A (ko) 2000-05-15
KR100288299B1 true KR100288299B1 (ko) 2001-05-02

Family

ID=1955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657A KR100288299B1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8B1 (ko) * 2017-12-22 2019-05-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어스틱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511B1 (ko) * 2002-11-23 2005-07-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운전석 시트의 충격 흡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78B1 (ko) * 2017-12-22 2019-05-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기어스틱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671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0066B2 (ja)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40101815A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EP0865960A1 (de) Fahrzeugsitz
JP5508790B2 (ja) 自動車の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安全装置
KR100288299B1 (ko) 자동차의 앞좌석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KR100288298B1 (ko) 자동차의 앞좌석 시트 슬라이딩 장치 조절레버
KR101238433B1 (ko) 차량의 추돌 충격 완화장치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0774403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레버 이동장치
KR100305173B1 (ko) 자동차용시트에설치된사이드레일의로드
JP42068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999004185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KR01387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200324044Y1 (ko) 차량용 시이트이송트랙의 록킹장치
KR100503448B1 (ko) 차량용 시트이송트랙 록킹장치
KR20100136589A (ko) 시트안전장치
KR19980022805U (ko) 이동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2003146120A (ja) 自動車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9990015764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960007632Y1 (ko) 자동차형 시트의 각도조절장치
KR970003870Y1 (ko) 자동차 측면 보강을 위한 시트의 전후 슬라이딩 장치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19980030408U (ko)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 장치
JPH0727934U (ja) リヤー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