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782B1 -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 - Google Patents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782B1
KR101276782B1 KR1020077021350A KR20077021350A KR101276782B1 KR 101276782 B1 KR101276782 B1 KR 101276782B1 KR 1020077021350 A KR1020077021350 A KR 1020077021350A KR 20077021350 A KR20077021350 A KR 20077021350A KR 101276782 B1 KR101276782 B1 KR 10127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control
slide gate
lev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511A (ko
Inventor
맨프레드 파르벌
카린 랑구쓰
마틴 키엘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에스이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7010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60J7/0435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at the outside of the roof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characterised by the height regulating mechanism of the slid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부(roof part)(3)의 후방 테두리(rear edge)(32)의 근처에 힌지결합된 경사레버(40)에 의하여 제일 먼저 환기 위치(a ventilation position)로 경사지도록 될 수 있고, 그 다음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고정된 지붕 또는 지붕부(4) 위로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부(opening)(5)를 노출시키는 지붕부(3)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vehicle roof)(1)에 관계된다. 이동가능한 지붕부(displaceable roof part)(3)는 환기 위치에서부터 후방으로 옮겨지는 동안에 후방 테두리(32)가 지속적으로 지지된다. 독립된 지지 장치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붕부(3)의 후방 테두리 영역(32)은 경사지도록 이동하는 동안과 이후에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경사레버(40)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경사레버(40)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게이트(54)를 포함하는 이동가능한 콘트롤 캐리지(control carriage)(50)에 의하여 작동된다. 환기 위치에서부터 이동되는 동안에 콘트롤 캐리지(50)은 잠금기구(locking device)(60)의 잠금을 해제하는데, 잠금기구(60)는 경사지도록 이동되는 동안(during the tilting displacement)에 지붕부(3)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Figure R1020077021350
자동차, 지붕

Description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VEHICLE ROOF COMPRISING A ROOF PART THAT CAN BE DISPLACED OVER THE ROOF}
본 발명은 후방 테두리(rear edge)가 경사지도록 될 수 있고 특허 청구항 1의 정의에 따른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갖는 자동차 지붕에 관련된다.
EP 0 863 817 B1에는 이러한 자동차 지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지붕에서는 개방가능한 지붕부가 후방 경사기구(rear tilting mechanism)에 의하여 경사지게 되고, 이동 동작이 시작되면 독립적인 지지레버(supporting lever)로 전달된다. 상기 레버는 상단이 개방된 가이드 레일의 횡방향 옵셋 연장(laterally offset extension) 내에서 그 하단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US 2002/0125743 A1에는 고정되도록 장착된 매우 간단한 기구를 사용하여 개방가능한 지붕부가 외부적으로 가이드되는 자동차 지붕이 개시되어 있다. 후방 테두리를 경사지게 하는 것이 지붕부의 이동에 의하여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 속으로 형성된 적합한 경사면(ramps)에 의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가능한 지붕부가 경사지는 동안과 이동되는 동안에 경사 레버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자동차 지붕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 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1 및 12의 특징을 통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핵심은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후방 테두리가 이동되는 내내 동일한 경사레버(tilting lever)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지지레버(supporting lever)로의 이동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경사레버는 콘트롤 캐리지(control carriage)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콘트롤 캐리지는 밀폐 위치(closed position)에서 환기 위치(ventilation position) 및 완전히 개방되는 위치(completely open position)로 이동된다. 또한, 콘트롤 캐리지는 경사이동(tilting movement) 중에 지붕부의 이동을 막는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를 작동시킨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기구(locking device)는 경사레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잠금레버(locking lever)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잠금레버에 배치된 잠금볼트(locking bolt)는 지붕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 게이트(sliding gate)와 체결된다. 콘트롤 캐리지의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control slide gate)와 체결된 콘트롤 핀(control pin)도 잠금레버에 배치된다.
특별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경사레버는 전방 슬리이딩요소(front sliding element)와 후방 슬라이딩 요소(rear sliding element)에 의하여 동시에 콘트롤 캐리지의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control slide gate)와 체결된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이동가능한 지붕(the displaceable roof)은 적어도 전방 테두리(a front edge) 근처에서 전방 캐리지(a front carriage)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전방 캐리지는 콘트롤 레버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와도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콘트롤 레버는 전방 캐리지에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콘트롤 레버는 슬라이드 게이트를 갖는데, 콘트롤 핀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가 상기 슬라이드 게이트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이 슬라이드 게이트는 전방 캐리지에 대하여 콘트롤 캐리지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곧은 구역(straight section)을 가지는데, 지붕부(3)가 환기 위치로 경사지는 동안에도 전방 캐리지는 여전히 정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게이트는 또한 굽은 구역(curved section)을 가지고, 지붕부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동안에 콘트롤 레버에 배치된 잠금 핀(locking pin)은 콘트롤 핀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되고, 따라서 개방 동작 중의 남은 경로에서 전방 캐리지와 콘트롤 캐리지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경사레버는 외부 지주(an outer leg)와 내부 지주(an inner leg)의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두 지주는 콘트롤 캐리지의 양 측면 근처에 부분적으로 닿는다(The two legs reach partially around the control carriage on both sides). 잠금기구(locking mechanism)는 양 지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주에 부착되고, 한편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슬라이딩 요소는 적어도 다른 하나의 지주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전방의 슬라이딩 요소(front sliding element)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구역(rising section)을 가진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를 갖는데, 전방 연결(front connection)의 슬라이딩 요소가 슬라이드 게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므로,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전방(front)은 추가적으로 경사지게 되고, 따라서 지붕 개구부(roof opening)의 전방 영역에서 가스켓에 비하여 먼저 경사지게 될 수 있고, 이어서 지붕부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더 작은경사(shallower inclination)를 가지고, 따라서 주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바람의 저항을 줄인다.
본 발명은 외부적으로 가이드된 슬라이딩 루프(an externally guided sliding roof, ESD)에 특별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소위 개폐가능한 고정 요소의 부분(part of a so-called fixed element convertible)으로서도 유리한데, 개폐가능한 고정 요소에서 슬라이딩 지붕 기능(sliding roof function)은 전체 지붕을 적재공간(a stowage space)으로 이동시켜 내부 전체를 노출시키기 전에 먼저 지붕을 부분적으로 개방한다.
자동차 지붕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초로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 있는 이동가능한 지붕부(movable roof)와 고정된 지붕부(fixed roof)를 가진 자동차 지붕을 위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차 지붕의 이동가능한 지붕부가 개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mechanism of the movable roof part)가 밀폐된 위치에 있는 경우의 종단면을 보여준다.
도 4는 지붕의 후방 테두리가 경사져 있는(환기위치, ventilation position),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mechanism of the movable roof part)의 종단면을 보여준다.
도 5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는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전방부를 보여주는 종단면이다.
도 6은 밀폐된 위치에 있는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커버의 후방 테두리(the rear edge of the cover)가 경사져 있는(환기위치, ventilation position),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은 이동이 개시될 때에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밀폐된 위치에 있는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커버의 후방 테두리가 경사져 있는(환기위치, ventilation position),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이동이 개시될 때에 이동가능한 지붕부의 기구의 후방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자동차 지붕의 왼쪽 측면(left side)에서 바라본 전체 기구(entire mechanism)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자동차 지붕 2 : 스포일러 라멜라(spoiler lamella)
3 : (이동가능한) 지붕부((movable) roof part)
4 : (고정된) 지붕부((fixed) roof part)
5 : 지붕 개구부(roof opening)
6 : 횡방향 루프 코핑(lateral roof coping)
7 : 가이드 레일(guide rail) 8 : 케이블 덕트(cable duct)
9 : 드라이브 케이블(drive cable) 10 : (전방)캐리지((front) carriage)
11 : (전방) 슬라이딩 요소((front) sliding element)
12 : (후방) 슬라이딩 요소((rear) sliding element)
13 : 슬라이드 게이트
14 : (13의) 제1 구역(first section (of 13))
15 : (13의) 제2 구역(second section (of 13))
16 : (13의) 제3 구역(third section (of 13))
20 : 콘트롤 레버(control lever) 21 : 조인트(joint)
22 :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23 : (22의) 곧은 구역(straight section (of 22))
24 : (22의) 굽은 구역(curved section (of 22))
25 : 잠금 핀(locking pin)
31 : (3의) 전방 테두리(front edge (of 3))
32 : (3의) 후방 테두리(rear edge (of 3))
33 : (전방) 연결부(connection (front))
34 : (후방) 연결부(connection (rear))
35 : 슬라이딩 요소(33에 설치됨)(sliding element (on 33))
40 : 경사 레버(tilting lever)
41 : (40의) 내부 지주(inner leg (of 40))
42 : (40의) 외부 지주(outer leg (of 40))
43 : 조인트(34에 연결됨)(joint (connection to 34))
44 : 전방 슬라이딩 요소(front sliding element)
45 : 후방 슬라이딩 요소(rear sliding element)
46 : 가이드(guide) 49 : 실링요소(sealing element)
50 : 콘트롤 캐리지(control carriage)
51 : (전방) 슬라이딩 블록 52 : (후방) 슬라이딩 블록
53 : 드라이브 케이블에의 연결(connection to drive cable)
54 : (40을 위한)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control slide gate (for 40))
55 : (64를 위한)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for 64))
56 : 콘트롤 핀(control pin)
60 : 잠근 기구(locking mechanism)
61 : 잠금 레버(locking lever) 62 : 조인트(joint)
63 : 잠금 볼트(locking bolt) 64 : 콘트롤 핀(control pin)
70 : (25를 위한 7에서의)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at 7 for 25))
71 : (25를 위한) 가이드 경로(guide path (for 25))
72 : (63을 위한 7에서의) 슬라이드 게이트(slide gate (at 7 for 63))
73 : 스포일러(도 12)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나타난 자동차 지붕(1)은 전방(front)에서부터 후방(rear)까지 디플렉터 라멜라(deflector lamella)(2), 이동가능한 지붕부(a movable roof part)(3) 및, 고정된 후방 지붕부(a fixed rear roof part)(4)를 순서대로 갖는데, 디플렉터 라멜라는 앞유리창(front windshield) 위의 카울(cowl)과 연결되고, 그 후방 테두 리(rear edge)가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가능한 지붕부(3)는 유리커버의 형태로 설계되고,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기구(mechanism)에 의하여 그 후방의 테두리가 경사지게 되어 환기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가능한 지붕부(3)는 상기 기구에 의하여 환기 위치로부터 고정된 지붕부(4)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이동되어 지붕의 개구부(5)를 크게 노줄시킨다.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에도 이동가능한 지붕부(3)의 후방 테두리(32) 부근이 상기 기구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것은 스포일러 지붕(spoiler roof)라고도 알려진 종래의 경사 슬라이딩 지붕(tilting sliding roofs)과 대조된다. EP 0 863 817 B1에 의하여 공지되고 서두에서 이미 인용된 개방이 가능한 이러한 자동차 지붕은 커버(3)의 후방 테두리(32)를 지지하는 기구(mechanism)의 일부분(본 경우에는 경사레버(40))이 지붕이 개구부(5)를 지나서 이동되는 동안에도 자동차 지붕(1)의 상단측을 향하여 개방된 가이드(46)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적으로 가이드되는 슬라이딩 지붕(externally guided sliding roofs)(ESD)라고 지칭된다.
윈드 디플렉터 라멜라(wind deflector lamella)(2)는 선택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12에서는 생략되었다. 대신에, 도 12는 일반적인 윈드 디플렉터(wind deflector)(73)를 보여주는데, 윈드 디플렉터(73)는 지붕이 밀폐된 경우에는 이동가능한 지붕부(3)의 아래에서 개구부(5)의 전방 테두리(front edge)에 위치하고, 지붕부(3)가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 적재된 기구(a spring-loaded mechanism)에 의하여 작동위치(operative position)로 상승되도록 회동한다.
지붕의 개구부(5)는 고정된 자동차 지붕(1)의 일부분인 횡방향의 루프 코핑(lateral roof coping)(6)에 의하여 경계지워지는데, 개폐가 가능한 고정된 요소(a fixed element convertible)인 경우에는 횡방향의 루프 코핑은 후방의 지붕부(4)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이동가능한 지붕부(3)가 지붕부(4)로 이동된 후 루프 코핑은 고정된 자동차 지붕(1)의 전방 영역과의 결합이 풀려진 후 회동되어 전체 지붕 패키지(entire roof package)와 함께 저장공간(storage space)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레일(7)은 횡방향의 루프 코핑(6)에 구비되고, 개구부(5)에서부터 개구부(5) 후방의 지붕부(4)쪽으로 연장되어 지붕부(4)의 위로 지붕부(3)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경사레버(4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46)를 형성한다.
케이블 덕트(8)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7)에 형성되고,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드라이브 케이블(9)을 운반하고, 전기 드라이브(electric drive)(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12는 각각의 기구(respective mechanism)에 대하여 오직 한쪽 측면에 하나의 가이드 레일(7)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개구부(50)의 양쪽 측면에는 모든 부품들이 중심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존재한다.
이동가능한 지붕부(3)는 슬라이딩 요소(sliding element)(35)를 가진 전방연결부(front connection)(33)의 위에서 회동할 수 있고 전방 캐리지(front carriage)(10) 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 테두리(front edge)(31)에 가깝게 장착된다. 전방 캐리지(10)는 가이드 레일(7)의 마주보는 가이드 경로(opposing guide paths)에서 한 쌍의 전방 슬라이딩요소(11)와 한 쌍의 후방 슬라이딩요소(12)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다. 전방 캐리지(10)에 구비된 슬라이드 게이트(13)는 수평인 제1 구역(a first horizontal section)(14)과, 제1 구역(14)의 후방쪽으로 연결된 상승 경사구역인 제2 구역(a second rising section)과, 제2 구역(15)에 연결된 수평인 제3 구역(a horizontal third section)(16)을 갖는다. 슬라이딩 요소(35)는 이 슬라이드 게이트(13)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동가능한 지붕부(3)의 후방 테두리(32) 부근에서는 경사레버(40)가 후방연결부(rear connection)(34)에 있는 힌지(4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연결부(34)는 다시 지붕부(3)에 연결된다. 도 1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사레버(40)는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즉, 위로 굴곡되도록 굽은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의 지역(area)에서 콘트롤 캐리지(50) 부근의 후방에서부터 앞쪽의 연결봉(former reach)에 연결된 내부지주(inner leg)(41)와 외부지주(outer leg)(42)로 이루어진다.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는 콘트롤 캐리지(50)의 후방 바깥쪽에 구비된다. 경사레버(40)는 대략 아래면(underside)의 가운데에 배치된 전방 슬라이딩 요소(44)와 후방 슬라이딩 요소(45)에 의하여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와 형태가 동일한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가 동일한 높이에서 콘트롤 캐리지(50)의 내부에 구비된다. 자동차 공학에서의 일반적인 좌표 시스템이 도 12에 나타나 있다. X 방향은 자동차의 종축(longitudinal axis)과 평행하게 나타나고, Y 방향은 자동차의 횡축(transverse axis)과 평행하고, Z 방향은 자동차의 수직축(vertical axis)과 평행하다. 경사레 버(40)의 내부지주(41)에 설치된 슬라이딩 요소는 전방 슬라이딩요소(44) 및 후방 슬라이딩요소(45)와 대칭적으로 배치되고(arranged in mirror image),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와 체결된다. 두 개의 슬라이딩 요소(44)(45)를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에 체결하는 것은 힘을 대칭적으로 도입하고 커버(3)를 특별히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기능은 한쪽 측면에서 단지 두 개의 슬라이딩 요소(44)(45)를 이용하여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와 체결하는 경사레버(40)에 의해서도 확실히 구현될 수 있다.
콘트롤 캐리지(50)는 한 쌍의 전방 슬라이딩 블록(51)과 한 쌍의 후방 슬라이딩 블록(52)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7)의 가이드 경로(guide path)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라이브 케이블(9)과의 연결(53)은 후방 슬라이딩 블록(52)의 높이에서 후방 슬라이드 블록(52)의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 모터(미도시)는 콘트롤 캐리지(50)의 이동을 통하여 이동가능한 지붕부(3)를 전적으로(exclusively) 작동시킨다. 또 다른 슬라이더 게이트(55)가 콘트롤 캐리지(50)에 배치된다. 게다가, 바깥쪽을 향한 콘트롤 핀(56)이 콘트롤 캐리지(50)의 전방 영역(front area)에 구비된다. 슬라이드 게이트(55)는 잠금기구(locking mechanism)(60)를 작동시키는데, 잠금기구(60)는 내부지주(41) 및 콘트롤 캐리지(50)와 평행하게 배치된 잠금레버(6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잠금레버(61)는 회동가능하도록 그 후단(rear end)이 힌지(62)에 결합되어 내부지주(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선단(front end)이 내부 즉, 개구부(5)를 향하고, 잠금레버(61)는 잠금볼트(locking bolt)(63)와 콘트롤 핀(control pin)(64)을 바깥면에 구비하는데, 콘트롤 핀(64)은 잠금볼트(63)에 비하여 바닥(bottom)과 후방(rear)을 향하여 약간 떨어져 있다(offset slightly).
잠금볼트(63)는 가이드 레일(7)의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게이트(72)와 체결되고, 가이드 레일(7)은 처음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아래로 경사진 경로(obliquely descending path)이고 이후에 수평인 가이드 경로(horizontal guide path)로 된다.
콘트롤 핀(64)은 콘트롤 캐리지(50)의 슬라이드 게이트(55)와 체결된다.
콘트롤 캐리지(50)의 콘트롤 핀(56)은 콘트롤 레버(20)의 슬라이드 게이트(22)와 체결된다. 콘트롤 레버(20)는 선단(front end)에서 전방 캐리지(front carriage)(10)의 조인트(21)에 힌지로 연결된다(hinge-connected). 전방에서부터 후방을 향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게이트(22)는 처음에는 곧은 구역(straight section)(23)을 갖고, 곧은 구역(23)은 후단(rear end)과 가까운 곳에서 위로 향한 굽은 구역(curved section)(24)으로 변한다. 콘트롤 레버(20)의 후단에는 잠금핀(25)이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고 슬라이드 게이트(70)에 체결된다. 슬라이드 게이트(70)는 그 선단(front end)이 짧은 수직의 슬라이드 게이트로 되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수평의 굽은 가이드 경로(71)로 된다.
위에서 설명된 기구의 작동은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를 기초로 아래에서 설명된다(도 1, 도 3 및, 도 6 참조)
개방될 수 있는 지붕부(3)는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서 고정된 지붕(1) 및 후방의 지붕부(4)와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버(3)의 선단(front end)은 전방 연결부(33)의 위에 위치하고 슬라이딩 요소(sliding element)(35)는 슬라이딩 게이트(13)의 수평구역(horizontal section)(14)에 위치하게 된다. 전방 캐리지(10)는 슬라이딩 요소(11)와 슬라이딩 요소(12)에 의하여 Y 방향과 Z 방향으로 각각 지지되고, 콘트롤 레버(20)에 의하여 X 방향으로 지지되는데, 콘트롤 레버(20)의 잠금 핀(25)은 수직 슬라이드 게이트(vertical slide gate)(70)에 위치한다.
커버(3)의 후단은 경사레버(40)에 의하여 Y 방향과 Z 방향으로 지지되는데, 경사레버(40)의 슬라이딩 요소(44)(45)는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에 체결되고, 커버(3)의 후단은 슬라이드 게이트(72)와 잠금볼트(63)의 체결에 의하여 Z 방향으로 지지된다.
커버(3)의 개방은 후방 테두리(32)가 경사지는 동작(tilting movement)으로 시작된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드라이브 모터(미도시)가 드라이브 케이블(9)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케이블과의 연결(53)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50)는 동일한 양(X1)(도 3 참조)만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는 경사레버(40)의 슬라이딩 요소(44)(45)와 관련하여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 있을 경우에 전방 슬라이딩요소(front sliding element)(44)는 상부영역(upper area)에 있고(도 9) 후방 슬라이딩요소(rear sliding element)(45)는 굽은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curved control slide gate)(54)의 후방의 하부 전이 지역(on the rear lower transition)에 있는 반면에, 커버(3)의 후방테두리(32)가 경사지게 된 경우 에는 전방 슬라이딩요소(44)가 전방의 하부 전이지역(lower front transition area)으로 이동하고 후방 슬라이딩요소(45)는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의 상부 중간지역(upper middle area)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콘트롤 레버(4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3)가 경사지게 된다. 커버(3)가 경사지도록 콘트롤 캐리지(50)가 이동하는 동안에 콘트롤 핀(56)은 슬라이드 게이트(22)의 곧은 구간(strajght section)(23)과 대응하는 거리(corresponding lost distance)만큼 이동한다. 즉, 잠금 핀(25)이 슬라이드 게이트(70)의 수직부(vertical part)에 체결되기 때문에 콘트롤 레버(20)는 전방 캐리지(10)가 움직이지 않고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 핀(64)이 슬라이드 게이트(55)에 체결되는 것을 통하여 잠금볼트(63)는 슬라이드 게이트(72)의 비스듬하게 하향경사진 부분(the obliquely descending part)에서 약간의 후하향 방향(rear and downward)으로 가이드 되는데, 잠금볼트(63)는 아직 가이드 레일(7)의 수평 가이드 경로에 진입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잠금볼트(63)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항하여 경사레버(40)가 경사진 위치에 있도록 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방 테두리(32)가 경사지게 되면 전방연결부(33)의 슬라이딩 요소(35)도 슬라이딩 게이트(13)의 수평 구역(14) 내에서 후방으로 작은 양(X2)만큼 이동한다. 그러므로, 개구부(5)의 전방테두리와 전방 테두리(31)의 접촉이 없어지기 때문에 거기에 배치된 가스켓의 눌림과 소음 및 마모가 방지된다.
커버(3)를 완전히 열기 위하여 콘트롤 캐리지(50)는 드라이브 케이블(9)에 의하여 경사진 위치에서 벗어나서 후방으로 더 이동된다. 이렇게 되는 동안에, 잠금볼트(63)는 슬라이드 게이트(55) 내에 있는 콘트롤 핀(64)의 가이드에 의하여 슬라이드 게이트(72)의 수평구역(horizontal section)으로 이동된다(도 7에서부터 도 8로의 변화를 참조).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요소(35)는 슬라이드 게이트(13)의 두번째 경사진 구역(15)과 수평인 셋째 구역(16)으로 이동되어 전방 테두리(31)도 경사지게 된다. 콘트롤 캐리지(50)의 콘트롤 핀(56)이 여전히 수평부분(23)에 있기 때문에 전방 캐리지(10)는 처음에는 움직이지 않는 콘트롤 레버(20)에 의하여 제자리에 있게 된다(도 8). 콘트롤 핀(56)이 슬라이드 게이트(22)의 굽은 구역(curved section)(24)을 타격하게 되면, 콘트롤 핀(56)이 콘트롤 레버(20)의 후단(rear end)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누르기 때문에 잠금 핀(25)도 슬라이드 게이트(70)의 수직부를 벗어나서 아래로 이동되어 가이드 경로(71)로 이동한다. 따라서, 전방 캐리지(10)의 잠금도 해제되고, 전방 캐리지(10)는 콘트롤 캐리지(50)와, 콘트롤 핀(56)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50)에 연결된 콘트롤 레버(20)에 의하여 후방으로 당겨진다.
마지막 위치에서는 개구부(5)가 크게 노출된다(도 5). 전방 테두리(31)에 가까운 연결부(33)가 후방 지붕부(4)의 바로 앞에 위치된다. 커버(3)를 닫는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순서와 정확히 반대 순서로 진행된다.
위에서 설명한 기구는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서부터 후방테두리가 경사지게 되는 위치(tilted position) 및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동 일한 방향으로 단일한 콘트롤 캐리지(5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전방 캐리지(10)와 경사레버(40)가 미리 이동(premature displacement)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시적인 잠금(temporary locking)은 콘트롤 캐리지(50)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므로, 기구는 도입부에서 고려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훨씬 작다. 단일한 연속적인 가이드 레일(7)이 X 방향으로 사용되고, 가이드 레일(7)은 경사레버(40)를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가이드(46)가 된다. 그러므로, Y 방향으로 기구의 폭도 현저하게 줄어든다. 위에서 설명된 기구는 그 높이(Z 방향)도 최소로 된다. 슬라이드 게이트(54)는 경사레버(40)의 경사동작(tilting movement)에 최소의 힘이 필요하도록 한다. 지붕(3)이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작동되는 것이 보장되고, 크거나 갑작스런 힘을 필요하지 않고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completely open position)까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도입부에서 고려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훨씬 작은 자동차 지붕 개폐기구를 제공한다.
둘째, 이동가능한 지붕부를 최소의 힘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개폐되는 것이 보장되고, 크거나 갑작스런 힘을 필요하지 않고 밀폐된 위치(closed position)에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completely open position)까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 지붕의 개폐기구를 제공한다.

Claims (15)

  1. 삭제
  2. 지붕부(3)의 후방 테두리(rear edge)(32)의 부근과 힌지로 연결된 경사레버(40)에 의하여 먼저 경사지게 되어 환기 위치(a ventilation position)로 될 수 있고, 그 다음에는 개구부(5)를 적어도 일부분이라도 개방시키기 위하여 지붕 및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고정된 지붕부(4)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로 이동되고, 환기위치에서 벗어나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에도 여전히 후방테두리(32) 영역이 경사레버(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붕부(3)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vehicle roof)(1)에서,
    지붕부(3)의 후방 테두리(32)를 지지하는 것은 경사동작(tilting movement)과 이동동작(displacement movement) 중에 경사레버(4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경사레버(40)는 적어도 하나의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를 갖는 이동가능한 콘트롤 캐리지(5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콘트롤 캐리지(50)는 환기위치에서부터 벗어나서 이동되는 도중에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에 의하여 잠금기구(locking mechanism)(60)의 잠금을 추가적으로 해제하고, 잠금기구(60)는 경사동작(tilting movement) 도중에 지붕부(3)의 이동을 방지하고,
    잠금기구(60)는 잠금레버(61)에 의하여 형성되고,
    잠금레버(61)는 경사레버(4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지붕에 고정된 슬라이드 게이트(72)에 체결된 잠금볼트(63)를 갖고, 콘트롤 캐리지(50)의 또 다른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5)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3. 제2항에 있어서,
    경사레버(40)가 전방 슬라이딩요소(front sliding element)(44)와 후방 슬라이딩요소(rear sliding element)(45)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50)의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개방가능한 지붕부(openable roof part)(3)는 그 전방테두리(31) 부근에서 전방 캐리지(10)와 적어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전방 캐리지(10)는 콘트롤 레버(20)에 의하여 콘트롤 캐리지(5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5. 제4항에 있어서,
    콘트롤 레버(20)는 조인트(21)에 의하여 전방 캐리지(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6. 제4항에 있어서,
    콘트롤 레버(20)는 슬라이드 게이트(22)를 갖고,
    콘트롤 캐리지(50)는 콘트롤 핀(56)에 의하여 슬라이드 게이트(22)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7.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게이트(22)는 곧은 구역(23)을 가지고, 곧은 구역(23)은 지붕을 경사지도록 해서 환기위치로 되는 동안에 여전히 정지해 있는 전방 캐리지(10)에 대하여 콘트롤 캐리지(50)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슬라이드 게이트(22)는 굽은 구역(24)도 가지고,
    지붕부(3)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에 굽은 구역(24)에 의하여 콘트롤 핀(56)이 콘트롤 레버(20)에 배치된 잠금 핀(25)의 잠금을 해제하고, 따라서 전방 캐리지(10)와 콘트롤 캐리지(50)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경사레버(40)는 외부지주(42)와 내부지주(41)의 두 부분으로 설계되고, 내부지주(41) 및 외부지주(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콘트롤 캐리지(50) 부근에 닿고, 잠금기구(60)는 내부지주(41)에 부착되고,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와 체결하기 위한 슬라이딩 요소(44)(45)는 두 지주(41)(4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9. 제4항에 있어서,
    전방의 슬라이딩 요소(front sliding element)(10)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구역(ascending section)(15)을 가지는 슬라이드 게이트(13)를 갖고,
    이동가능한 지붕부(3)의 전방 연결부(33)의 슬라이딩 요소(35)가 슬라이드 게이트(13)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콘트롤 캐리지(50)가 드라이브 케이블(9)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콘트롤 슬라이드 게이트(54)는 옆에서 보았을 때 굽은 형태(curved shape)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게이트(22)는,
    지붕부(3)의 후방테두리(31)를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요소(35)가 슬라이드 게이트(3)의 상승구역(ascending section)(15)을 통과하는 동안에 콘트롤 게이트(50)가 환기 위치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추가적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1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밀폐된 위치에서부터 환기위치와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콘트롤 캐리지(50)는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동가능한 지붕부(3)는 개폐가능한 고정된 요소의 일부분이고, 개폐가능한 고정된 요소는 회동가능하거나,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자동차 내부를 완전히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위치로의 상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지붕.
KR1020077021350A 2005-02-15 2006-02-14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 KR101276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7032.9 2005-02-15
DE102005007032A DE102005007032B4 (de) 2005-02-15 2005-02-15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PCT/DE2006/000260 WO2006086958A1 (de) 2005-02-15 2006-02-14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11A KR20070103511A (ko) 2007-10-23
KR101276782B1 true KR101276782B1 (ko) 2013-06-19

Family

ID=3621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350A KR101276782B1 (ko) 2005-02-15 2006-02-14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51080A1 (ko)
KR (1) KR101276782B1 (ko)
DE (1) DE102005007032B4 (ko)
WO (1) WO20060869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695A1 (ko) * 2014-11-05 2016-05-1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0055B4 (de) 2005-06-27 2007-04-12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102005037703B4 (de) * 2005-08-06 2007-08-30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102006062543B4 (de) * 2006-12-29 2009-04-09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102007003354B4 (de) * 2007-01-17 2009-08-06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602007009974D1 (de) * 2007-08-09 2010-12-02 Inalfa Roof Sys Group Bv Schiebedachkonstruktion
DE102008046331B4 (de) 2008-09-09 2010-06-24 Webasto Ag Fahrzeugdach
DE102010034566B9 (de) 2010-08-17 2012-08-23 Webasto Ag Ausstellvorrichtung für ein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und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CN102431425B (zh) * 2010-09-22 2014-07-30 八千代工业株式会社 天窗装置
EP2727755B1 (en) * 2012-10-30 2015-10-21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DE102012223709A1 (de) 2012-11-29 2014-06-05 Bos Gmbh & Co. Kg Dach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101466467B1 (ko) * 2013-02-26 2014-12-02 (주)심원 선루프용 개폐장치
EP2946956B1 (en) * 2014-05-23 2019-07-24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DE102016108102A1 (de) * 2016-05-02 2017-11-02 Webasto SE Anordnung mit zwei Deckeln für ein Fahrzeugdach, Fahrzeugdach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DE102016117079A1 (de) 2016-09-12 2018-03-15 Webasto SE Element zur Integration in eine Führungsschiene für ein Schiebedach, Dachanordnung und Kraftfahrzeug
JP7178192B2 (ja) * 2018-07-12 2022-11-25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CN115056701B (zh) * 2022-06-15 2023-11-03 成都锦城学院 一种养蜂车车窗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80385U1 (de) * 2000-10-26 2003-06-12 Inalfa Ind Bv Offen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US20060006700A1 (en) 2000-10-26 2006-01-1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3551B1 (en) * 1982-12-23 1988-04-27 Britax Weathershields Limited Vehicle sliding roof
DE3715268A1 (de) * 1986-07-12 1988-01-21 Webasto Werk Baier Kg W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ein fahrzeugdach
NL9101707A (nl) * 1991-10-14 1993-05-03 Vermeulen Hollandia Octrooien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EP0863817B1 (de) * 1996-10-01 2003-07-30 WEBASTO KAROSSERIESYSTEME GmbH Fahrzeugdach mit wenigstens einem deckel
DE29820613U1 (de) * 1998-11-18 2000-03-30 Meritor Automotive Gmbh Schiebedach für Fahrzeuge
DE10033887C1 (de) * 2000-07-12 2001-08-30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Fahrzeugdach mit wenigstens einem oberhalb des festen Fahrzeugdachs verschiebbaren Deckel
DE10046068B4 (de) * 2000-09-15 2013-03-28 Webasto Ag Öffnungsfähiges Fahrzeugdach
DE10117322A1 (de) * 2001-01-11 2002-07-25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Fahrzeugdach
DE10144980B4 (de) * 2001-09-12 2004-06-03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n Deckel eines zu öffnenden Fahrzeugdaches
DE10237543B4 (de) * 2002-08-16 2005-02-10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Fahrzeugda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80385U1 (de) * 2000-10-26 2003-06-12 Inalfa Ind Bv Offen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US20060006700A1 (en) 2000-10-26 2006-01-1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695A1 (ko) * 2014-11-05 2016-05-12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1080A1 (de) 2007-11-07
WO2006086958A1 (de) 2006-08-24
KR20070103511A (ko) 2007-10-23
DE102005007032B4 (de) 2006-11-16
DE102005007032A1 (de)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782B1 (ko) 지붕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지붕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지붕
KR100500869B1 (ko) 차량루프용저장공간덮개
US7850230B2 (en) Vehicle roof with a roof part that can be displaced above the roof
KR20070107771A (ko) 지붕 위로 이동 가능한 지붕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지붕
EP207863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5583627B2 (ja) 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
EP2740622B1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US20020021031A1 (en) Motor vehicle roof with at least one cover which can be moved above the fixed motor vehicle roof
EP2069157B1 (en) Targa roof system with a buttress
US6783172B2 (en) Roof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JPH03136919A (ja) 車両の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US6030028A (en) Device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tailgate
US20060125281A1 (en) Motor vehicle
EP230550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EP1314600B1 (en) Vehicle and open roof construction
JPH02310125A (ja) エアデフレクタを備えた車両ルーフ
JP2009513426A (ja) オープンルーフを有する車両
US6644715B1 (en) Convertible vehicle with through-openings for linkage elements
JP4803409B2 (ja) 開放可能な車両ルーフの移動可能なルーフ部
US11331988B2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TW590914B (en) Sunroof device
US10843543B2 (en) Vehicle construction having a rigid top element and a rear window that can be opened
JP2009523089A (ja) 自動車の折畳み式ルーフ
JP4101360B2 (ja) 乗り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US7950732B2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