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521B1 -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 Google Patents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521B1
KR101276521B1 KR1020120028001A KR20120028001A KR101276521B1 KR 101276521 B1 KR101276521 B1 KR 101276521B1 KR 1020120028001 A KR1020120028001 A KR 1020120028001A KR 20120028001 A KR20120028001 A KR 20120028001A KR 101276521 B1 KR101276521 B1 KR 10127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curtain
woven
wef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희
Original Assignee
백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희 filed Critical 백종희
Priority to KR102012002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47H23/14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the material being woven textile with reinforcing bars, e.g. made of woo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커튼의 하단부에 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튼 연결부재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투과부와 차광부로 구분된 커튼에서 상기 커튼 차광부 상단부의 힘을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는 지지대를 커튼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한 무지커튼을 제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무지커튼 직물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무지커튼의 차광부에 일정한 힘을 전달 할 수 있는 지지대를 삽입하여 무지커튼을 펼친 후 차광 시 무지커튼의 하단부가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해 빛에 대한 차광을 보다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려함도 높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Description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Is there plain paper curtain weaving ways and the textiles which it was formed additional the space that a support is inserted to shade of a curtain}
본 발명은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커튼의 하단부에 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튼 연결부재의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차광하는 것으로는,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있으며, 커튼(curtain)은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에 설치하거나 칸막이로서도 사용되는 막류의 총칭이고, 블라인드(blind)는 창에 달아 볕을 가리는 물건을 말하는데, 블라인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차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그 차광 방법 및 구조에 따라 버티컬 블라인드, 베니션 블라인드, 로만 쉐이드, 롤 스크린(롤 블라인드) 등이 있다.
상기 블라인드의 종류 중에서 버티컬 블라인드는 일정 폭으로 판 형상을 가지는 루버를 수직 방향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루버의 회전으로 채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루버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에 고정하며, 상기 캐리어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과 그 하단부에서 회전 가능한 루버 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루버 고리에 루버가 고정되어,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는 두 개의 조정 줄이 구성되어, 하나의 조정 줄은 상기 고정된 루버를 180도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루버가 레일을 따라 일 측 또는 양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는 조정 줄을 이용하여 구성된 루버 모두 회전하여 전체적으로 면 형태를 형성하면 빛을 차단하며, 상기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루버를 90도로 회전한 뒤, 모든 루버를 슬라이딩하여 일 측 또는 양측으로 이동시키면 빛이 모두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통상의 베니션 블라인드는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사각형상의 슬랫을 상하로 배열하여, 각 슬랫을 통과하는 실로 슬랫의 승강이나 경사를 조절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의 루버와 베니션 블라인드의 슬랫은 보통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제작하는데, 최근에는 원목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플라스틱류 판, 합판류 판, 성장 속도가 커서 나무결 무늬가 거의 없는 열대 수종의 판 등에 나무결의 시트를 부착하여 원목 느낌의 슬랫 또는 루버를 제조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261897호는 “커튼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의 일 측에 구비된 동력장치의 작동에 의해 절첩 전개 및 정역회전하도록 된 각 트래블러에 블라인드의 상단에 고정된 클립을 결합 설치한 것에 있어서, 일정한 폭과 길이로 된 커튼띠의 양측에 블라인드를 접착 고정시켜 커튼블라인드를 형성한 것과, 상기 커튼블라인드를 수직으로 병렬 설치하되 인접하는 한 쌍의 블라인드를 커튼띠가 서로 접촉되도록 당접시키고, 당접된 한 쌍의 블라인드의 상단과 하단을 통상의 걸이편이 형성된 상측클립과 별도의 하측클립으로 결속 결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0913057호는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사빔에 감긴 경사와 상기 경사와 수직으로 공급하는 위사에 의해 직물을 제직하는 통상의 제직기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되, 경사와 위사의 교차로 차광 구조를 가지는 두 겹의 차광부와, 망사구조를 가지는 투과부를 반복되는 구조의 원단을 제직하고, 상기 원단을 통상의 후가공하고, 상기 후가공된 원단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뒤에, 상기 일정 크기를 가지는 원단의 각 차광부에 슬랫을 삽입하며, 상기 슬랫이 삽입된 원단의 투과부의 길이 방향이 상, 하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용 조정박스에 조립한 구조의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슬랫이 삽입된 원단의 투과부의 길이 방향이 좌, 우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통상의 베니션 블라인드용 조정박스에 조립한 구조의 베니션 블라인드를 구성하여, 상기 차광부의 회전에 따라 차광을 조절되어, 제조 및 차광이 우수한 버티컬 블라인드 및 베니션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번호 10-0712246호는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과 그 블라인드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 : 직조기를 통해 바탕원단과 스크린원단을 동시에 2겹직조를 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겹쳐서 붙은 겹직조부가 형성되게 원단판을 직조하는 단계와, 제 2단계 : 상기 직조된 원단판에서 상기 스크린원단의 겹직조부의 상단을 절단하는 단계와, 제 3단계 : 상기 절단된 스크린원단의 끝단에 바탕원단과 크기가 동일한 커버원단을 결합시켜 블라인드원단을 제조하는 방법과, 스크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원단에 있어서 원단을 겹으로 직조하되, 전면에 위치되게 직조되는 스크린원단과 후면에 위치하게 직조되는 바탕원단, 상기 쌍의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일체로 결합된 직조부위가 형성된 겹직조부위와, 절단된 상기 겹직조부위의 상단 즉, 스크린원단의 끝단부들과 일렬로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전면의 커버원단이 결합하여 햇빛의 직접적인 투사율을 조절하되, 상기 스크린원단과 바탕원단이 겹직조부위를 통해 결합된 상태로 직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제직방법과 그 제직방법을 적용한 커튼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통상적인 커튼의 구조 상 차광을 위해 커튼을 펼쳐 회전시켜 차광 했을 시 커튼의 하단부가 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커튼 상단부에 구성된 커튼 연결부재에 의해 상단부에는 차광을 위한 커튼의 차광부가 겹쳐지게 되어 차광이 되지만, 하단부에는 커튼의 재질 상 겹쳐질 수 있는 힘이 부족하여 뜨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 종래에는 커튼을 2겹의 구조로 하여 내부에 무게감을 줄 수 있는 부직포와 같은 부자재를 삽입하여 상단부의 힘이 하단부까지 전달하도록 되어 있어 하단부가 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커튼의 하단부에 차광할 수 있도록 부직포를 다수의 겹으로 삽입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차광의 효과도 떨어지고, 이는 시각적인 미려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투과부와 차광부로 구분된 커튼에서 상기 커튼 차광부의 일부분으로 일정한 상단부의 힘을 하단부까지 전달되도록 지지대를 커튼의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를 형성한 무지커튼을 제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무지커튼의 직물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위사군과 경사를 이용하여 제직하되, 상기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하여 투과부를 제직하고, 상기 투과부의 일 측으로 상기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하여 제 1가이드부를 제직하고, 상기 제 1가이드부의 일 측으로 상기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하여 제직되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2겹으로 제직된 지지삽입구간이 양측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삽입구간의 공간부가 없는 단일로 제직된 차광구간으로 구성된 차광부를 제직하고, 상기 차광부의 일 측으로 상기 제 1가이드부와 같이 제직된 제 2가이드부를 제직한 후 상기 투과부, 제 1가이드부, 차광부 및 제 2가이드부가 순차적으로 제직되는 것으로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에 의하면, 커튼의 차광부에 상단부의 힘이 하단부까지 전달 할 수 있는 지지대를 삽입하여 커튼을 펼친 후 차광 시 커튼의 하단부가 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해 빛에 대한 차광을 보다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려함도 높일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커튼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직물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직물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망사부, 가이드부, 지지삽입구간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상세도
도 5은 본 발명을 적용한 직물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우선, 원단 제직공정을 설명하면, 원단의 제조를 위해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되는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으로 상기 원단을 제직하는 제직기는 통상적인 제직기를 사용하며, 상기 제직기는 경사빔에 감긴 경사가 공급되면, 상기 경사의 수직방향으로 위사가 공급·교차하면서 원단이 제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직기(직기(織機))는 직물을 짜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직물의 폭에 해당하는 올 수만큼의 경사가 감긴 빔으로부터 나란히 송출되는 경사는 종광의 눈에 올올이 끼워지고, 이들 경사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2군데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 위와 아래로 벌어져서 개구를 만들면, 북이 이 개구 속을 지나가게 되며, 사기 북실, 즉 북 속에 담겨 끌려다니는 위사는 개구 속을 가로질러 모든 경사의 위아래로 교차하여 위입이 일어난 다음 이 위사를 바디로 쳐서 이미 짜인 천의 끝에 바싹 밀어붙임으로써, 비로소 경사와 위사의 조직이 완성되는데, 이처럼 직기는 1계열의 실만으로 천을 짜는 편기에 대하여 경사, 위사 2계열의 실을 사용하여 개구, 위입, 바디질 등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천의 경사 방향을 따라 직물을 짜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직은 통상적으로 제직이 완료된 후 상기 각각의 위사와 경사가 상호 교차하지 않고 노출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전무(샤링)작업을 거쳐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통상의 제직방법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5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통상적으로 원단의 제직은 경사빔에 감긴 경사와 상기 경사와 수직으로 공급하는 위사에 의해 직물을 제직하는 통상의 제직기를 이용하여 투과부와 차광부로 이루어진 원단을 제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위사군(10)과 경사(20)를 이용하여 제직하되,
상기 경사(20)는 투과부(100), 제 1가이드부(200), 차광부(300) 및 제 2가이드부(400)를 제직하는 경사(20)와,
상기 위사군(10)은 투과부(100)를 제직하는 제 1위사(11), 제 1가이드부(200), 제 2가이드부(400)를 제직하는 제 2위사(12), 차광부(300)를 제직하는 제 3위사(1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직으로 원하는 넓이만큼 상기 경사(20)와 제 1위사(11)를 상호 교차 제직하여 투과부(100)를 제직한 후,
상기 투과부(1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2위사(12)를 상호 교차 제직하여 제 1가이드부(200)를 제직한 후,
상기 제 1가이드부(2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로 상호 교차 제직하되 상기 상호 교차 제직된 부분을 내부에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2겹으로 제직하여 제 1지지삽입구간(310)을 제직하고,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31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로 상호 교차 제직하되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의 공간부(h)가 없는 단일로 제직되는 차광구간(320)을 제직하고, 상기 차광구간(320)의 일 측으로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310)과 같이 제직된 제 2지지삽입구간(310a)으로 제직된 차광부(300)를 제직한 후,
상기 차광부(300)의 일 측으로 상기 제 1가이드부(200)와 같이 제직된 제 2가이드부(400)가 제직된 후 상기 투과부(100), 제 1가이드부(200), 차광부(300) 및 제 2가이드부(400)가 순차적으로 반복 제직되는 것이다.
상기 차광부(300)에 제직된 지지삽입구간(310, 310a)의 공간부(h)에 대해 설명하면,
통상적으로는 커튼의 차광부 전체를 2겹으로 한 후 그 내부로 부직포 등을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부직포 등은 커튼의 상단부에 구성된 연결부재에 커튼과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시공되는 천장부분에 설치된 레일을 타며 작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튼의 작동에 있어서, 커튼의 회전 시 차광부가 서로 겹쳐지게 되어 외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커튼은 통상적으로 상단부는 연결부재로 인해 겹쳐진 차광부가 뜨는 현상이 없지만, 커튼의 하단부로 갈수록 커튼의 특성 상 상단부의 힘이 하단부까지 전달되지 않아 하단부가 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대한 공간부(h)에 대해 부가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상기 공간부(h)의 내부로 일정한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커튼을 시공 후 상기 커튼이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상단부의 힘이 하단부까지 전달되어 차광을 위해 작동 시 차광부(300)가 서로 겹쳐지게 되는데, 이때 커튼의 상단부는 연결부재로 인해 겹쳐진 차광부(300)가 뜨는 현상이 없지만, 커튼의 하단부로 갈수록 커튼의 특성 상 하단부까지 힘이 전달되지 않아 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이러한 공간부(h)로 지지대를 삽입 시 상기 지지대를 통해 하단부까지 전달되는 힘과 상기 지지대를 유동시키는 연결부재의 회전력으로 인해 커튼의 상단부 및 하단부까지 전달되도록 하여 커튼의 뜨는 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상기 투과부(100), 제 1, 2가이드부(200, 400) 및 차광부(300)를 제직하는 위사(10)는 각각을 다른 재질과 또는 다른 굵기의 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투과부(100)와 차광부(300)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경사(20)와 제 1위사(11)를 사용하여 투과부(100)를 제직하고, 경사(20)와 제 2위사(12)를 사용하여 제 1, 2가이드부(200, 400)를 제직하며, 경사(20)와 제 3위사(13)를 사용하여 차광부(300)를 제직함에 있어 각각의 위사(10)는 제직되는 부분에 따라 재질 및 굵기의 실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20)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종류를 사용하되, 이는 사용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여기서 상기 차광구간(320)은 제 1지지삽입구간(31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로 상호 교차 제직하되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의 공간부(h)가 없는 단일로 제직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삽입구간(310, 310a)과 차광구간(320)으로 제직된 차광부(300)는 경사(20)와 상호 교차 제직되는 제 3위사(13)의 재질과 굵기에 따른 실에 따라 차광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2가이드부(200, 400)는 각각이 하나 또는 다수개 제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차광부(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직되는 제 1, 2가이드부(200, 400)를 각각 다수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커튼의 시공 시 시공되는 길이에 따라 직물지를 재단함에 있어 재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가이드부(200)와 제 2가이드부(400)를 각각 2개씩 제직되어 있다는 가정을 하면, 커튼의 시공 시 시공되는 길이에 맞게 재단하기 위하여 통상저으로는 차광부(300)와 투과부(100)가 경계되는 부분을 재단하게 되는데, 이는 재단 된 부분의 올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한 것이다.
상기한 예를 통하면 2개가 제직된 제 1가이드부(200)의 경계되는 부분을 재단하면 재단된 부분으로 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순서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면 본 발명의 제직방법이 적용된 직물지가 제직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위사(10)와 경사(20)가 상호 교차하며 제직되는 제직방법을 적용하면, 경사(20)와 상호 교차 제직되는 다수의 위사군(10)으로 인해 상기 경사(20)와 제 1위사(11)가 교차 제직되어 망사부(100)를 제직한 다음 상기 망사부(1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2위사(12)가 교차 제직되어 제 1가이드부(200)를 제직하고, 상기 제 1가이드부(2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가 교차 제직되어 2겹으로 제직되어 내부에 공간부(h)가 형성된 차광부(300)의 지지삽입구간(310)을 제직하고, 상기 지지삽입구간(31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가 교차 제직되되 상기 지지삽입구간(310)의 공간부(h)가 없는 단일로 제직되는 차광구간(320)을 제직되고, 상기 차광구간(32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가 교차 제직되되 상기 지지삽입구간(310)과 같이 제직된 지지삽입구간(310a)이 제직된 차광부(300)가 제직되고, 상기 지지삽입구간(310a)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2위사(12)가 교차 제직되어 제 1가이드부(200)와 같이 제직된 제 2가이드부(400)가 제직되되 상기 망사부(100), 제 1가이드부(200), 차광부(300) 및 제 2가이드부(400)가 순차적으로 제직된 직물지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 위사 11 : 제 1위사 12 : 제 2위사 13 : 제 3위사
20 : 경사
100 : 망사부 200 : 제 1가이드부
300 : 차광부 310, 310a : 지지삽입구간
320 : 차광구간
400 : 제 2가이드부
h : 공간부

Claims (4)

  1. 다수의 위사군(10)과 경사(20)를 이용하여 제직하되,
    상기 경사(20)는 투과부(100), 제 1가이드부(200), 차광부(300) 및 제 2가이드부(400)를 제직하는 경사(20)와,
    상기 위사군(10)은 투과부(100)를 제직하는 제 1위사(11),
    제 1가이드부(200), 제 2가이드부(400)를 제직하는 제 2위사(12),
    차광부(300)를 제직하는 제 3위사(13)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직으로 원하는 넓이만큼 상기 경사(20)와 제 1위사(11)를 상호 교차 제직하여 투과부(100)를 제직한 후,
    상기 투과부(1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2위사(12)를 상호 교차 제직하여 제 1가이드부(200)를 제직한 후,
    상기 제 1가이드부(20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로 상호 교차 제직하되 상기 상호 교차 제직된 부분을 내부에 공간부(h)가 형성되도록 2겹으로 제직하여 제 1지지삽입구간(310)을 제직하고,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310)의 일 측으로 상기 경사(20)와 제 3위사(13)로 상호 교차 제직하되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의 공간부(h)가 없는 단일로 제직되는 차광구간(320)을 제직하고,
    상기 차광구간(320)의 일 측으로 상기 제 1지지삽입구간(310)과 같이 제직된 제 2지지삽입구간(310a)으로 제직된 차광부(300)를 제직한 후,
    상기 차광부(300)의 일 측으로 상기 제 1가이드부(200)와 같이 제직된 제 2가이드부(400)가 제직된 후 상기 투과부(100), 제 1가이드부(200), 차광부(300) 및 제 2가이드부(400)가 순차적으로 반복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의 제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100), 제 1, 2가이드부(200, 400) 및 차광부(300)를 제직하는 위사(10)는 각각을 다른 재질과 또는 다른 굵기의 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가이드부(200, 400)는 각각이 하나 또는 다수개 제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4. 상기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직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직물지


















KR1020120028001A 2012-03-19 2012-03-19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10127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01A KR101276521B1 (ko) 2012-03-19 2012-03-19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001A KR101276521B1 (ko) 2012-03-19 2012-03-19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521B1 true KR101276521B1 (ko) 2013-06-18

Family

ID=4886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001A KR101276521B1 (ko) 2012-03-19 2012-03-19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5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913057B1 (ko) 2009-04-22 2009-08-20 신장희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82888B1 (ko) 2009-07-22 2010-09-16 신장희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KR101027017B1 (ko)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101B1 (ko) 2008-05-28 2008-09-18 최창식 로만쉐이드형 이중 커튼용 원단의 제직방법 및 그 원단
KR100913057B1 (ko) 2009-04-22 2009-08-20 신장희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82888B1 (ko) 2009-07-22 2010-09-16 신장희 제직과 봉제로 만들어지는 커튼지의 제조 방법
KR101027017B1 (ko) 2010-06-08 2011-04-08 손영태 커튼일체형 버디컬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0912862B1 (ko) 일체 제직으로 이루어지는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569B1 (ko) 콤비 롤 블라인드용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US20120085504A1 (en) Blind of united blind by weaving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KR101009180B1 (ko)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커튼지에서 직물부와 스트링의 고정 구조를 위한 제직 방법 및 그 제직 방법으로 제직된 고정 구조
AU2009245034B2 (en) Vertical blind which is integrated by weaving,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506253B1 (ko) 일체제직형 버티컬 블라인드
KR101257305B1 (ko) 콤비커튼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
KR101908979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KR20160016294A (ko) 블라인드 직물지
KR101202484B1 (ko) 제직과 커팅으로 만들어지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지
KR101580632B1 (ko) 가림막 형성이 용이한 버티컬 블라인드용 커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695B1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101007748B1 (ko) 양면 망사부와 차광부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및 블라인드지 제직방법
KR101276521B1 (ko) 커튼의 차광부에 지지대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무지커튼 제직방법 및 그 직물지
KR20100035669A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로 제조한 블라인드
KR101390723B1 (ko)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101239661B1 (ko)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20120131922A (ko) 해중합 리사이클 직물과 고주파 접합으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의 제조방법
KR101160029B1 (ko) 차광부의 양면에 각각의 무늬를 가지는 블라인드지
KR101855956B1 (ko) 밴드타입 입체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64766A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