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79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93B1
KR101274793B1 KR1020110120185A KR20110120185A KR101274793B1 KR 101274793 B1 KR101274793 B1 KR 101274793B1 KR 1020110120185 A KR1020110120185 A KR 1020110120185A KR 20110120185 A KR20110120185 A KR 20110120185A KR 101274793 B1 KR101274793 B1 KR 10127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nector
housing
lock arm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281A (ko
Inventor
아키라 사쇼
기요후미 이치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9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69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9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69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79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29076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언로크 아암의 과잉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로크 아암(10)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에 마련되고 힌지 부재(15)를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10)에 의한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크 아암(11)이 피벗점으로서의 지지 레그(20)와 동일 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상기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에서는, 하우징측 방지부(27)가 지지 레그(20)들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암측 방지부(2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언로크 아암(11)의 대응 위치에서 돌출한다. 이로써, 아암측 방지부(25)와 하우징측 방지부(27)는, 언로크 아암(11)이 지지 레그(20)를 피벗점으로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피벗될 때에 지지 레그(20)의 전후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언로크 아암(11)의 양 방향으로의 과잉 변형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길이 방향 중심부에 마련된 피벗점부를 중심으로 시소 형태로 탄성 변형되도록 형상화된 로크 아암이 접속 상태의 수형 및 암형 하우징을 로킹하기 위한 로크 아암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 예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051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 공보에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와이어에 의해 풀업(pulled up)될 때의 과잉의 변형에 기인하여 로크 아암이 소성 변형되는 문제와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질 때에, 전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접촉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수용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의 전단측이 더 이상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통상의 조작 방향(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대한 대책은 상기 종래 기술에 고려되어 있지만, 통상의 조작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소성 변형되기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은, 예컨대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하우징은 경도가 높고, 로크 아암의 유연성이 낮으므로,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커넥터 하우징의 상면과 접촉시킴으로써 과잉 변형을 방지하는 종래의 방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탄성 변형 중에 탄성 한계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단순히 피벗점부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로크 아암의 후단부까지의 높이를 낮출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로크 아암의 후단부와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 사이의 간극이 협소하게 되고, 또한 손가락이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에 접촉하여, 로크 아암의 후단부를 손가락으로 누를 때에 압박 조작을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피벗점부의 높이를 낮추는 대책이 유효하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6604호 공보는,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는 단자 수납부와, 단자 수납부에 형성된 로크 아암과, 단자 수납부에 형성된 언로크 아암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로크 아암은,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되는 제1 지지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피벗점으로 하여 접속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언로크 아암은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되는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와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부를 피벗점으로 하여 접속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시소 형태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 과정에서, 로크 아암은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와 간섭하여 단자 수납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으면, 로크 아암은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로크부와 맞물리게 되므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는 접속 상태에서 로크된다.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를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여 압박하고, 로크 아암을 로킹부에 의해 로크 해제 방향으로 압박하여, 로크 아암을 로크부로부터 분리하여 로크 해제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로크 해제 상태가 유지된 채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분리된다.
단자 수납부의 외면과 로크 아암 사이의 공간이, 로크부를 구비하는 상대 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 접속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이 접속 공간은, 로크 해제 방향으로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에 필요한 공간보다 크다. 따라서 커넥터가 아직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물질이 로크 아암의 외면과 간섭하고 로크 아암이 가압되면, 로크 아암은 예상한 탄성 변형량을 넘어서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해 크게 탄성 변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로크 아암이 부적절하게 변형되어 안정된 로크 성능을 훼손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의 커넥터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95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대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캔틸레버형 로크 아암이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외면에는, 로크 아암의 양측에서 기립하도록 한 쌍의 보호벽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상태를 해제할 때에 누르는 조작부가 로크 아암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양 보호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보호 부재가 형성된다. 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의 상측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하면, 조작부의 폭방향 양 단부가 보호 부재에 접촉하여, 로크 아암의 추가의 탄성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종래의 커넥터의 경우에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될 경우에 로크 아암이 탄성 한계를 넘어서 변형될 수도 있다. 특히, 하우징이 연성이 낮은 재료로 제조되면, 로크 아암이 파손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051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660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29554호 공보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고, 중간 위치에 마련된 피벗점부를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시소 형태로 탄성 변형되는 가요성 부재; 상기 가요성 부재와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가 피벗점부를 중심으로 커넥터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피벗점부의 전후의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 또는 가요성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가요성 부재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시소 형태로 탄성 변형되는 부재가 피벗점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변위될 경우에도 과잉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체적인 조작성이 향상된다.
실제로, 과잉 변형 방지부는, 가요성 부재의 양 단부가 피벗점부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때에 피벗점부의 전후의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 또는 가요성 부재와 접촉할 수 있고, 이로써 가요성 부재가 탄성 한계를 넘어서 변형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피벗점 또는 아암 피벗점부와는 다른 아암 피벗점부를 갖고, 가요성 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맞물림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 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부재는 로크 아암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언로크 아암이다.
상기 언로크 아암의 일단부에 언로크 아암을 탄성 변형시키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언로크 아암의 타단부에 로크 아암과 맞물릴 수 있는 로킹부가 마련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조작부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에 로크 아암의 로크 해제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로크 아암과 맞물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언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로크 아암은 로킹부에 의해 또한 탄성 변형되고, 상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된다. 또한, 언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 탄성 변위의 범위는 과잉 변형 방지부에 의한 탄성 한계 내로 제한된다.
특히, 상기 로킹부의 둘레에서 상기 언로크 아암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는, 언로크 아암과 로크 아암이 모두 자연 상태로 있을 때와, 언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되고 그 과잉 변형이 과잉 변형 방지부에 의해 방지될 때 모두에 있어서 로크 아암의 외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자연 상태로 있을 때와 과잉 변형이 방지될 때에 로킹부 둘레의 언로크 아암의 부분이 로크 아암보다 높거나 그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언로크 아암이 이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탄성 변형될 때라도, 로크 아암이 과잉 변형되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잉 변형 방지부는 서로를 향하면서 언로크 아암과 커넥터 하우징의 대략 양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과잉 변형 방지부가 언로크 아암 및 커넥터 하우징 모두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과잉 변형 방지부가 일측으로부터만 돌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과잉 변형 방지부의 강도가 상승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또는 하나로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가 비교적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등에는, 커넥터는 주로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이 감소하고 가요성 부분의 탄성 범위가 좁아진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 언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특히 상기 양태에 따른 커넥터로서, 단자 수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되는 제1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된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언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와 간섭하여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로크 아암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로크부와 맞물려서,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때에,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대 커넥터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때에,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여 가압되거나 가압될 수 있고, 상기 로킹부로 하여금 로크 아암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게 하고, 로크 아암을 로크부로부터 분리하게 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로킹부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잉 변형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로킹 성능을 유지하여 전체적인 조작성이 향상된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킹부는, 접속 방향 및/또는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로크 아암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로크 아암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아암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로서, 단자 수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되는 제1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 접속된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와, 상기 제2 지지부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를 구비하는 언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와 간섭하여 상기 단자 수납부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로크 아암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로크부와 맞물려서,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때에,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대 커넥터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때에,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여 가압되고, 상기 로킹부로 하여금 로크 아암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게 하고, 로크 아암을 로크부로부터 분리하게 하며, 상기 로킹부는, 접속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및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 방향에 있어서 로크 아암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로크 아암의 외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아암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로킹부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과잉 변형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물질이 로크 아암의 상면에 접근함에 따라, 이물질은 로크 아암과 접촉하기 전에 결합부의 상면과 접촉하여 단자 수납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킹부를 가압한다. 로킹부는 결합부에 의해 가압되는 로크 아암의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단자 수납부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의 변위는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되기 때문에, 로킹부도 로크 아암도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크게 변위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로크 아암의 부정확한 변형으로 인한 로킹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에는, 조작부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과정에서, 조작부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조작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에 과도하게 큰 로크 해제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조작부는 로크 해제에 필요한 변위량을 넘을 때에 스토퍼와 접촉하여, 로크 해제 방향, 즉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추가의 변위를 방지한다. 따라서 언로크 아암이 통상의 범위를 넘어서 탄성 변형할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상기 양태 또는 그 특정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로서, 상대 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캔틸레버형 로크 아암; 로크 아암의 근처, 특히 로크 아암의 실질적으로 양측에서 기립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보호벽;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의 피벗점으로서 작용하는 레그부가 접속되는 지지면; 상기 로크 아암의 자유단부 근처에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과의 로크 상태의 해제 시에 가압되는 조작부; 상기 하우징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과잉 변형 방지부; 상기 보호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로크 아암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조작성이 개선된다.
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1 과잉 변형 방지부가 하우징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로크 아암이 로크 해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2 과잉 변형 방지부가 보호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크 해제 방향 및 반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될 때에, 파손이 방지된다.
특정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의 폭방향 양단이 제1 과잉 변형 방지부, 보호벽 및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조작부의 폭방향 양단이 제1 과잉 변형 방지부, 보호벽 및 제2 과잉 변형 방지부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조작부의 폭방향 양단과 이물질의 접촉이 회피된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이 돌발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현수되어 있거나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로크 아암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현수되어 있거나 돌출하는 팽출 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출 부재의 팽출 거리와 로크 아암의 레그부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로크 아암의 가동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유리 섬유를 함유한다.
하우징이 유리 섬유 또는 보강 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면, 로크 아암의 파손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과잉 변형 방지부 및 제2 과잉 변형 방지부의 변형 제한 기능에 의해 로크 아암의 파손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인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피벗점부 뒤의 과잉 변형 방지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피벗점부 앞의 과잉 변형 방지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후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언로크 아암의 변위가 스토퍼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기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언로크 아암의 변위가 방지부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기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도이다.
도 17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로크 아암의 조작부가 제1 방지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7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로크 아암의 조작부가 제2 방지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7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8에는,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 도면 부호 1로 지시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은,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암형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단자 수납부(2)와, 이 단자 수납부(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특히 대략 관형의) 리셉터클(3)의 일체의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단자 수납부(2)에는, 하나 이상의 각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하나 이상, 특히 복수(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5개)의 캐비티(4)가 형성되어 있고, 캐비티는 하나 이상의 단(stage)으로 폭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4)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캐비티에서 로킹 랜스(5)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단자 피팅을 로크하여 고정할 수 있다.
단자 수납부(2)의 후방부(특히 대략 후반부)는 리셉터클(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밀봉 타워부(6)로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차면(7)이 상기 밀봉 타워부(6)와 단자 수납부(2)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캐비티(4)와 연통하는 밀봉 타워부(6)의 부분은 특히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 타워부(6)는 전체적으로 이들 원통형 부분을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하나 이상의 밀봉 고무(또는 탄성) 플러그(도시 생략)가, 각 단자 피팅이 장착되어 있는 각 와이어에 장착되어 있다. 단자 피팅이 캐비티(4) 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 각 고무 또는 탄성 플러그는 밀봉 타워부(6)의 각 챔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챔버의 내주벽과 밀착하게 유지되며, 이로써 수분이나 유체가 캐비티(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서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면(8)이 밀봉 타워부(6)의 폭방향의 (특히 대략 양측) 외측면에 형성된다. 이들 그립면(8)은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에서 보아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전체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져 있거나 및/또는 후방을 향하여 계단식으로 하향 경사진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3)은 특히 단자 수납부(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대략 관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벽(3A)에서 단자 수납부(2)에 접속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는 접속 공간(S)이 리셉터클(3)과 단자 수납부(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3)의 상면의 폭방향 중앙부 또는 중간부가 (특히 대략 일정한 폭으로) 개구되어 있고, 후술하는 로크 아암(10) 및 언로크 아암(11)(가요성 부재)의 선단부가 그러한 개구(9)에 위치하거나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들 로크 아암(10) 및 언로크 아암(11)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호벽(30)이 특히 개구(9)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한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 상에서 기립되어 있다.
보호벽(30)은 특히, 대략 개구(9)의 전방 가장자리에 배치된 전방 보호벽(12), 대략 개구(9)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측부 보호벽(13), 그리고 (특히 양측의) 측부 보호벽(13)으로부터 연속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 보호벽(14)을 포함한다. 전방 보호벽(12)은, 리셉터클(3)의 전방 가장자리의 개구 가장자리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양측 보호벽(13)은 특히, 전방 보호벽(12)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돌출하거나 및/또는 전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대략 리브의 형태로 있다. 양측 보호벽(13)은 리셉터클(3)의 후단부 근처에서 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거나 및/또는 밀봉 타워부(6)의 상면에 마련된 한 쌍의 연장 보호벽(14)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연장 보호벽(1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및/또는 밀봉 타워부(6)의 후단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및/또는 그 상면이 특히 양측 보호벽(13) 및 전방 보호벽(12)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다. 보호벽(30)은 특히, 그 상면이 후술하는 로크 아암(10) 및 언로크 아암(11)의 상면보다 충분히 높게(또는 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로크 아암(10)은, 연장 보호벽(14)의 전단 근처에서 (특히 양) 연장 보호벽(14)의 내면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 부재(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로크 아암(10)은 하나 이상의 힌지 부재(15)를 중심으로 하여 높이 방향[측방향, 또는 반경 방향의 내외 방향, 또는 커넥터 하우징(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 변위될 수 있다. 로크 아암(10)은, 힌지 부재(15)의 돌출 단부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특히 대략 수직의 각도로 대략 수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아암 부재(16)를 구비한다. 양 아암 부재(16)의 전단은 평면도(도 2 참조)로 보아 전방 보호벽(12)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되어 있고, 접속되어 로킹 부재(17)를 형성한다. 이 로킹 부재(17)는,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 하우징 상에 마련된 로크 돌기가 내측으로부터 맞물리게 됨으로써 2개의 커넥터 하우징(양자 모두 도시 생략)을 접속 상태로 로크할 수 있다. 평면도(도 2 참조)에서 보아 중앙부 또는 중간부가 가장 후방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는 그러한 곡면 또는 굴곡면(18)이 로킹 부재(17)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 또는 굴곡면(18)의 리지(ridge)가 특히, 측면도(도 4 참조)에서 보아 하부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상부 가장자리측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로크 아암(10)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 즉 자연 상태로 있을 때에, 그 하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및/또는 리셉터클(3)의 내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있다. 또한, 로크 아암(10)은 힌지 부재(15)로부터 아암 부재(16)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범위에서 얇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마련된 두꺼운 천이부(10A)를 거쳐 전방부(특히 대략 전반부)에서 비교적 두껍다. 또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결합 부재(19)가 천이부(10A)의 앞에 있는 (특히 양) 아암 부재(16)의 위치에서 (특히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양 결합 부재(19)는 아암 부재(16)(특히 상반 두께 범위)의 상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다.
언로크 아암(11)은,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특히 밀봉 타워부(6)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거나 돌출하도록 각각 형성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지지 레그(20)(피벗점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전단 및 후단은 (특히 양) 지지 레그(20)를 중심으로 높이 방향[커넥터 하우징(1)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시소 형태로 피벗될 수 있다.
(특히 양) 지지 레그(20)는,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 또는 외면[특히 밀봉 타워부(6)] 상에서 (특히 양) 힌지 부재(15)보다 약간 뒤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 지지 레그(20)는 특히, 그 두께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평판의 형태로 있다. 언로크 아암(11)은 특히, 양 지지 레그(20)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조작부(21)를 구비한다. 조작부(21)는 특히 실질적으로 평판의 형태로 있고, 평면도에서 보아 후방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부(21)와 양 연장 보호벽(14)의 내면 사이에 적절한 간극이 확보된다. 또한, 조작부(21)의 후단 가장자리는 특히, 밀봉 타워부(6) 및/또는 연장 보호벽(14)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밀봉 타워부 및/또는 연장 보호벽의 후방 가장자리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지지 레그(20)의 높이는 특히, 언로크 아암(11)이 자연 상태(도 4 및 그 외의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있을 때 조작부(21)와 밀봉 타워부(6)의 상면 사이에 특정의 (정해지거나 정해질 수 있는) 높이 간격[특히 조작부(21)가 하향 압박되는 것과 동시에 손가락이 밀봉 타워부(6) 상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간격]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조작부(21)의 상면에는 후단부를 향하여 계단식으로 상향 경사지게 전체 폭에 걸쳐서 복수의 미끄럼 방지 스텝(22)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1)의 전방 가장자리의 폭방향 중간부(특히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로크 해제 부재(23)가 연장된다. 특히, 로크 해제 부재(23)는 조작부(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로크 아암(10)의 양 아암 부재(16)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 아암 부재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협소부(24)가 로크 해제 부재(23)의 선단부 상에 형성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 아암(10)의 양 결합 부재(19) 사이에 위치한다.
언로크 아암(11)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측 방지부(25)가 언로크 아암(11)의 내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내측 또는 하향으로[커넥터 하우징(1) 또는 밀봉 타워부(6)를 향하여] 돌출한다. 특히, 한 쌍의 아암측 방지부(25)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및/또는 각각 언로크 아암(1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리브의 형태로 배치되어, 특히 언로크 아암(11)을 보강하는 기능을 또한 수행한다. 특히, 상기 협소부(24)의 폭방향 양 측면은 양 아암측 방지부(25)에 의해 형성되고, 협소부(24)는 양 아암측 방지부(24)의 전단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로킹부(26)가 협소부(24)의 폭방향의 (특히 대략 양측의) 측면[(특히 양) 아암측 방지부(25)의 외측면]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로크 아암(10)의 (특히 양) 결합 부재(19)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양) 로킹부(26)는, 조작부(21)가 하향 압박되거나 커넥터 하우징(1)을 향해 압박되어 협소부(24)측을 들어올릴 때에 대응 결합 부재(19)와 맞물려 있거나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10)이 승강 방향 또는 외측 방향[또는 커넥터 하우징(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언로크 아암(11)과 함께 로크 해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하우징측 방지부(27)가 커넥터 하우징(1)의 외면 또는 상면의 폭방향 중간부(특히 대략 중앙부)[특히 밀봉 타워부(6)]로부터 외측 또는 상향으로 돌출하고, 실질적으로 (특히 양) 아암측 방지부(25)의 내측 또는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측 방지부(27)는 밀봉 타워부(6)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지 레그(20)에 인접한 간극을 통하여,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 지지 레그(2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및/또는 단자 수납부(2)와의 경계인 단차면(7)에 이르기까지의 길이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측 방지부(27)는 특히 양 아암측 방지부(25)의 외면들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리브의 형태로 있다. 특히, 하우징측 방지부(27)와 아암측 방지부(25) 사이의 거리는, 언로크 아암(11)이 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로크 해제하고 하우징측 방지부(27) 및 아암측 방지부(25)를 언로크 아암(11)의 탄성 한계 내에서 접촉시키기에 충분한 탄성 변형을 부여하도록 설정된다.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융기부(28)가 특히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우징측 방지부(27)(특히 전단부)로부터 외측 또는 상향으로 돌출한다. (특히 양) 융기부(28)는 (특히 양) 아암측 방지부(2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되거나 및/또는 아암측 방지부(2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특히 양) 융기부(28)와 대응 아암측 방지부(25) 사이의 높이 간격은 특히, 아암측 방지부(25)의 길이 방향 중간부와 융기부(28)가 언로크 아암(11)의 탄성 한계 내에서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언로크 아암(11)이 자연 상태로 있을 때, 언로크 아암(11)의 외면 또는 상면은 특히 전체적으로 대략 수평하거나 및/또는 그 높이 위치가 로크 아암(10)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협소부(24)의 상면(최하부)은 특히, 협소부(24)측이 하향 가압되어 융기부(28)와 아암측 방지부(25)를 접촉시킬 때(과잉 변형이 방지될 때)에도 로크 아암(1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로크 아암(10)과 협소부(24)가 동시에 하향 가압될 경우에도, 언로크 아암(11)의 과잉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로크 아암(10)의 과잉 변형이 동시에 방지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할 때에, 로크 아암(10)의 로킹 부재(17)는 접속 동작 중에 수형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된 로크 돌기(도시 생략)와 접촉하게 되고, 로크 아암(10)의 전단측은, 로킹 부재(17)가 상기 로크 돌기 위로 이동하는 중에 (특히 양) 힌지 부재(15)를 피벗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위로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언로크 아암(11)도, 로크 아암(10)의 결합 부재(19)와 언로크 아암(11)의 로킹부(26)의 결합에 의해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위로 들어올려진다.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크 아암(10)과 언로크 아암(11)은 모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그 결과 로킹 부재(17)와 로크 돌기는 결합되어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크한다.
상기 접속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 언로크 아암(11)의 협소부(24)측은, 언로크 아암(11)의 조작부(21)가 내측으로 또는 하향 압박될 때에 지지 레그(20)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되거나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0)의 로킹 부재(17)측은, 로킹부(26)와 결합 부재(19)의 결합에 의해 힌지 부재(15)를 피벗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변위되거나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17)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 돌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수형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가 내측으로 또는 하향 압박될 때에, 조작부(21)의 내면 또는 하면 상의 아암측 방지부(25)가 하우징측 방지부(27)와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에서 로크 해제 동작이 실행되는 점에 주목한다.
언로크 아암(11)의 조작부(21)가 이물질 등에 의해 내측으로 또는 하향 압박되고 아암측 방지부(25)의 후단이 하우징측 방지부(27)(특히 후단)와 접촉할 때에, 내측 또는 하향 압박 방향으로의 언로크 아암(11)의 어떠한 추가의 변형도 방지된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언로크 아암(11)이 탄성 한계 내에서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언로크 아암(11)이 과잉 변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로크 해제 방향으로의 로크 아암(10)의 과잉 변형도 방지된다.
한편, 언로크 아암(11)이 상기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피벗되거나 경사지거나 편향되면, 즉 내측 또는 하향 압박 방향으로 협소부(24)에 힘이 작용하면, 언로크 아암(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레그(2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벗된다. 이에 따라, 아암측 방지부(25)의 하나 이상의 길이 방향 중간부 또는 중앙부는 하우징측 방지부(27)의 융기부(28)와 접촉하여 언로크 아암(11)의 추가의 변위를 방지하며, 이로써 언로크 아암(11)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 언로크 아암(11)이 변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언로크 아암(11)이 지지 레그(20)를 피벗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아암측 방지부(25)와 하우징측 방지부(27)가 지지 레그(20)의 전후의 위치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언로크 아암(11)이 탄성 한계를 넘어서 과잉 변형되는 상황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의 경우에, 언로크 아암(11)의 과잉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특히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10) 전용의 과잉 변형 방지부가 로크 아암(10)에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즉, 힌지 부재(15)를 중심으로 하는 로크 아암(10)의 시계 방향의 과잉 변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지되지만, 로크 아암(10)의 반시계 방향의 과잉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언로크 아암(11)의 상면의 높이는 특히, 로크 아암(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달리 말하면, 언로크 아암(11)은 특히, 양 아암이 자연 상태로 있을 때에는 로크 아암보다 높고, 언로크 아암(11)의 협소부(24)가 하향 압박되어 과잉 변형을 방지할 때에는 언로크 아암(11)의 상면이 로크 아암(1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있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10)과 이물질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회피되고, 로크 아암(10)만이 과도하게 압박되는 상황이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로크 아암(11)과 커넥터 하우징(1) 모두는 특히, 과잉 변형 방지부를 구비한다. 그 이유는, 과잉 변형 방지부가 일측으로부터만 돌출하는 경우에는 과잉 변형 방지부의 강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지 레그(20)를 짧게 하고 과잉 변형 방지부를 일측으로부터만 돌출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조가 반드시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대책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조작부(21)와 밀봉 타워부(6) 사이의 간격이 너무 협소하게 되어, 조작부(21)가 하향 압박될 때에 손가락이 밀봉 타워부(6) 상에 또한 놓이게 되어, 하향 압박 동작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조를 채용하면, 언로크 동작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과잉 변형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언로크 아암의 과잉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상면 또는 외면에 로크 아암(10)이 마련되고, 이 로크 아암은 하나 이상의 힌지 부재(15)를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10)에 의한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크 아암(11)이, 하나 이상의 지지 레그(20)를 피벗점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되도록 상기 상면 또는 외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외면 또는 상면에서는, 하우징측 방지부(27)가 지지 레그(20)들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아암측 방지부(25)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언로크 아암(11)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측 방지부(25)와 하우징측 방지부(27)는, 언로크 아암(11)이 지지 레그(20)를 피벗점으로 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피벗될 때에 지지 레그(20) 전후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언로크 아암(11)의 양 방향으로의 과잉 변형이 방지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10)이 언로크 아암(11)에 의해 로크 해제되고, 언로크 아암(11)의 과잉 변형이 직접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나 이 대신에, 독립적으로 로크 해제될 수 있는 시소 형태의 로크 아암(10)의 과잉 변형이 방지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암측 방지부(25) 및 하우징측 방지부(27) 모두가 길이 방향으로 긴 일체의 부재이지만, 이들 방지부는 지지 레그(20)의 전후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과잉 변형 방지부가 언로크 아암(11) 및 커넥터 하우징 양자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9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특정 커넥터로서의) 암형 커넥터(F)와 (특정의 상대 커넥터로서의) 수형 커넥터(M)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수형 커넥터(M)는 리셉터클(140)을 구비하고, 리셉터클(140)의 외벽 또는 상벽의 외면(상면)에 돌기 형태의 로크부(14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수형 커넥터(F)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의 접속 방향을 간단히 접속 방향으로 지칭한다. 또한, 수형 커넥터(M)와의 접속 방향의 전방측(도 11, 도 13 내지 도 15에 있어서 좌측)을 간단히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수형 커넥터(M)와의 접속 방향의 후방측을 간단히 후방측으로 지칭한다.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110)과,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 양자를 접속 상태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아암(118)과, 로크 아암(118)에 의한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크 아암(122)의 일체의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암형 커넥터(F)는 특히, 로크 아암(118)의 탄성 변형 방향 및 접속 방향의 모두를 가로지르는 폭방향(측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리셉터클(1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거나 삽입되는 단자 수납부(111)와, 단자 수납부(1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특히 대략 관형의) 피팅부(112)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이 단자 수납부(1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게 되어 있다. 관형의 피팅부(112)는 그 후단부 근처에서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에 접속되고, 단자 수납부(111)의 외주면과 관형의 피팅부(112)의 내주면 사이의 대략 관형의 공간이, 리셉터클(1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거나 삽입되는 접속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관형 피팅부(112)의 상벽 또는 외벽부에 있어서는 전단 가장자리부(접속 방향의 전단 가장자리부) 및 좌우의 양단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는, 큰 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14)는 관형의 피팅부(112)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개구되어 있다. 관형의 피팅부(112)에는, 개구(114)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 또는 외측[후술하는 로크 아암(118)과 언로크 아암(122)의 탄성 변형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 및/또는 접속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특히 대략 좌우 대칭]의 리브(11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18)과 언로크 아암(122)의 부적절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에는 리브(115)의 내측면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방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방지부(116)는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단자 수납부(111)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 아암(122)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 과잉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에는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외면)으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특히 대략 블록 형태의)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스토퍼(117)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스토퍼(117)는, 폭방향으로 개구(114)의 개방 영역의 범위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단자 수납부(111)[하우징(110)]의 후단부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18)은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외면)의 후단부로부터 돌출하거나 상향으로 기립하는 제1 지지부(119)의 상단으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119)는 전후 방향으로 스토퍼(117)의 앞에 및/또는 방지부(116)의 뒤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118)은 통상 강성에 기인하여 접속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의 로킹 위치(도 13 참조)에 유지되어 있고, 제1 지지부(119)를 피벗점으로 하여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로킹 위치의 상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로크 아암(118)과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리셉터클(140)이 삽입되는 접속 공간(113)으로서 기능하고, 이러한 접속 공간(113) 내에서, 암형 커넥터(F)가 수형 커넥터(M)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크 아암(118)은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의 하향 방향으로 크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18)은 폭방향으로 단자 수납부(111)의 중앙부[즉, 폭방향으로 한 쌍의 방지부(11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18)을 상하로 관통하는 로크 구멍 또는 리세스(120)가 전단 근처에서 로크 아암(118)의 일부에 형성된다. 로크 아암(118)의 전단은 단자 수납부(111)의 전단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118), 특히 그 전단부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가장자리부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로크 아암(118)(특히 전단부)에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수용부(121)는 로크 아암(118)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고, 로크 아암(118)보다 얇다(상하 방향 치수가 작다). 로크 구멍(120)과 수용부(121)는 전후 방향으로 방지부(116)의 앞에 배치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 아암(122)은,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외면)(특히 후단부)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기립하는 한 쌍의 제2 지지부(123)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124)와, 제2 지지부(123)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29)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123)는, 전후 방향으로 단자 수납부(111)의 후단 가장자리[제1 지지부(119) 및/또는 스토퍼(117)]보다 약간 앞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변위되어 있다. 또한, 측방향(폭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지지부(123)는 특히, 제1 지지부(119)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고, 폭방향으로 한 쌍의 스토퍼(117)의 내측에 배치된다. 특히, 언로크 아암(122)은 제2 지지부(123)를 피벗점으로 하여 시소와 유사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124)는, 한 쌍의 제2 지지부(123)의 상단부로부터 [특히 로크 아암(118)의 실질적으로 측방향 양측에서] 로크 아암(118)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길고 협소한 아암부(125)와, 아암부(125)로부터 돌출하고, 특히 이들 한 쌍의 아암부(125)를 결합하는 결합부(126)를 구비한다. 언로크 아암(122)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대기 상태(도 13 참조)에서, 아암부(125)는 접속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및/또는 로크 아암(11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아암부(125)의 전단부[로킹부(124)]는 특히 로크 아암(118)의 전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다.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127)가 아암부(125)(특히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언로크 아암(122)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로킹 돌기(127)의 돌출 단부는 로크 아암(118)의 수용부(121)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도 11,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6)는, 아암부(125)의 전단부와 제2 지지부(123) 사이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방지부(116)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중앙(특히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거나, 및/또는 언로크 아암(122)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접속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판의 형태로 있다. 로크 아암(118) 및 언로크 아암(122)의 위치 및 자세에 상관없이, 결합부(126)는 아암부(125)의 상단부들을 가교하거나 및/또는 그 하면이 항상 로크 아암(118)의 상면(외면)과 마주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25)의 외측면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팽출)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방지 돌기(128)가 결합부(126)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방지 돌기(128)는 언로크 아암(122)의 위치 및 자세에 관계없이 항상 방지부(116)의 위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방지 돌기(128)의 돌출 단부의 하면이 방지부(116)의 상면과 마주하게 유지된다.
도 11,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29)는 (특히 한 쌍의) 제2 지지부(123)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연장부(130)와, 연장부(130)로부터 돌출하고, 특히 연장부(130)의 후단부들을 결합하는 손가락 배치부(131)를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30)의 외측면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팽출)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접촉부(132)가 손가락 배치부(131)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손가락 배치부(131)와 접촉부(132)는, 제1 지지부(119)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및/또는 스토퍼(11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132)는 언로크 아암(122)의 위치 및 자세에 상관없이 항상 스토퍼(117) 위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그 돌출 단부의 하면 또는 내면이 스토퍼(117)의 상면 또는 외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언로크 아암(122)은 강성에 기인하여 도 13에 도시된 대기 위치에 통상 유지되어 있지만, 조작부(129)를 제2 지지부(123)를 피벗점으로 하여 대기 위치에 대하여 하우징(110)을 향해 또는 하향으로 변위시키고 로킹부(124)를 상향 또는 외측으로 변위시키면서 로크 해제 위치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언로크 아암(122)이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킹 돌기(127)의 상면과 수용부(121)의 하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언로크 아암(122)이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방지 돌기(128)의 하면과 방지부(116)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또한 접촉부(132)의 하면과 스토퍼(117)의 상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커넥터(F, M)를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118)의 전단 가장자리는 로크부(141)와 간섭하여, 로크 아암(118)은 제1 지지부(119)를 피벗점으로 하여 로크 해제 방향[단자 수납부(11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때에, 언로크 아암(122)은 탄성 변형되지 않고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2개의 커넥터(F, M)가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로크 아암(11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 구멍(120)과 로크부(141)를 결합시키며, 2개의 커넥터(F, M)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작용에 의해 접속 상태에서 분리될 수 없게 로크된다.
이러한 로크 상태에서 2개의 커넥터(F, M)를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129)가 상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 또는 외면을 향해 압박되어 언로크 아암(122)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탄성 변형에 따르면, 로킹부(124)는 상측 또는 외측으로 변위되고, 로킹부(124)의 로킹 돌기(127)는 로크 아암(118)의 수용부(121)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언로크 아암(122)이 로크 해제됨에 따라, 로킹 돌기(127)는 하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수용부(121)를 밀어올리고, 로크 아암(118)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크 아암(122)과 함께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로크 아암(118)의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로크 구멍이 로크부(141)로부터 상측 또는 외측으로 분리되어 로크 아암(118)과 로크부(141)를 분리시킨다. 그 후, 이러한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2개의 커넥터(F, M)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언로크 아암(122)의 로킹부(124)는 폭방향으로 로크 아암(118)(특히 양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아암부(125)와, 로크 아암(118)의 상면 또는 외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특히 한 쌍의 아암부(125)를 결합하는 결합부(126)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로킹부(124)의 방지 돌기(128)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 또는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킹부(124)의 변위를 방지하는 방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2개의 커넥터(F, M)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물질(도시 생략)이 로크 아암(118)의 상면에 접근하면, 이물질은 로크 아암(118)과 접촉하기 전에 결합부(126)의 상면과 접촉하여,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로킹부(124)를 압박한다. 로킹부(124)는, 결합부(126)에 의해 압박된 로크 아암(118)의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부(116)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111)의 상면 또는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124)의 과잉 변위가 방지되고, 로킹부(124)도 로크 아암(118)도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거의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 아암(118)의 부적절한 변형으로 인한 로킹 성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특히, 조작부(129)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과정에서 조작부(129)와 접촉함으로써 조작부(129)가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부(129)에 과도하게 큰 로크 해제력을 가하는 경우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해제에 필요한 변위량을 초과할 때에 조작부(129)가 스토퍼(117)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로크 해제 방향, 즉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추가의 변위가 방지된다. 따라서 언로크 아암(122)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 탄성 변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안정적인 로킹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암형 커넥터(F)에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118)과, 언로크 아암(1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언로크 아암은 제2 지지부(123)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29)와, 제2 지지부(123)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124)를 구비한다. 로크 아암(118)에 의한 로크 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조작부(129)는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해 압박되어, 로킹부(124)로 하여금 로크 아암(118)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압박하게 한다. 로킹부(124)는 로크 아암(118)에 인접하여, 특히 폭방향으로 로크 아암(118)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아암부(125)와, 로크 아암(118)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아암부(125)에 접속되며, 특히 한 쌍의 아암부(125)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26)를 구비한다.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124)의 변위는 방지부(116)와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킹부의 결합부가 방지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지만, 아암부가 방지부와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방지부와 아암부의 접촉 위치는 접속 방향으로 결합부의 전후일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지부와 로킹부의 접촉 위치가 접속 방향으로 로킹부의 전단(결합부)보다 뒤에 설정되어 있지만, 접속 방향으로 로킹부의 전단에 설정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이 단자 수납부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조작부의 변위를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지만, 하우징은 그러한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좌우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지만, 스토퍼는 폭방향 중앙의 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16 내지 도 21을 참고로 본 발명의 특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10)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수납되는 단자 피팅(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하우징(220)은 도시 생략한 상대 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다.
하우징(22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특히 유리 섬유 또는 보강 섬유를 함유한다. 도 16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특히 하우징(22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캐비티 타워부(221)와, 캐비티 타워부(2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팅 관부(222)를 구비한다. 상대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접속 공간(223)이 캐비티 타워부(221)와 피팅 관부(222) 사이에서 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벽(224)이 전후 방향으로 하우징(220)의 대략 중간부(특히 중앙부)에 형성되고, 캐비티 타워부(221)와 피팅 관부(222)가 접속벽(224)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전후 방향으로 캐비티 타워부(221)를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225)가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형 로킹 랜스(226)가 캐비티(225)(특히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캐비티(2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로킹 랜스(226)의 선단부에 로킹 돌기(227)가 형성된다. 캐비티 타워부(221)의 전단에는, 단자 피팅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전방벽(228)이 형성된다.
피팅 관부(222)의 후방부(특히 대략 후반부)에는, 캐비티 타워부(221)의 원통형 부분(238)을 둘러싸는 대략 게이트형의 둘레부(229)가 접속벽(224)으로부터 대략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229)의 실질적으로 양측에서 대략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대향벽(230)이 형성된다. 대향벽(230)의 폭방향 외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지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특히 단차형의) 그립부(231)가 형성된다. 하우징(220)을 접속할 때에, 그립부(231)는 예컨대 손가락들에 잡히거나, 공구 사이에 폭방향으로 끼워져, 하우징(220)이 상대 하우징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다.
양 대향벽(230)의 상단들을 접속하면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지지벽(232)이 상기 둘레부(229)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지지벽(232)의 상면은 후술하는 로크 아암(234)의 레그부(235)가 접속되는 (특히 대략 평탄한) 지지면(233)으로서 기능한다.
로크 아암(234)은, 지지면(233)으로부터 대략 상향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레그부(235)와, 레그부(235)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236)와, 레그부(235)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237)를 구비한다. 아암 본체(236)와 조작부(237)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치되고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237)가 하향 또는 내측으로 [지지벽(232)을 향해] 압박되면, 아암 본체(236)는 레그부(235)를 피벗점으로 하여 상향 또는 외측으로 [지지벽(2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조작부(237)가 상향 또는 외측으로 당겨지면, 아암 본체(236)는 레그부(235)를 피벗점으로 하여 하향 또는 내측으로 변위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본체(236)는 특히 조작부(237)보다 대략 전후 방향으로 긴 스트립 형태이고, 그 전단부에 또는 관통하여 로크 구멍 또는 리세스(239)가 형성된다. 또한, 조작부(237)는 특히 단차를 두고 아암 본체(236)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거나 및/또는 특히 아암 본체(236)보다 큰 폭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조작부(237)의 폭은 레그부(23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레그부(235)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박판 형태이거나 및/또는 후술하는 제1 방지부(249)들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37)는 (특히 대략 사각형의) 조작 본체(241)와, 조작 본체(241)의 폭방향의 (특히 대략 양측의) 단부면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팽출 부재(242)를 구비한다. 특히, 양 팽출 부재(242)는 대략 사각형 판의 형태이거나, 및/또는 조작 본체(241)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두께만큼 [후술하는 제1 방지부(249)를 향하는 로크 아암(234)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돌출하거나 및/또는 현수되어 있다. 양 팽출 부재(242)의 상단면은 후술하는 제2 방지부(248)와 간섭할 수 있는 (특히 대략 평탄한) 제2 접촉부(243)로서 기능하고, 그 하단면은 제1 방지부(249)와 간섭할 수 있는 (특히 대략 평탄한) 제1 접촉부(244)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하우징(220)을 상대 하우징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아암 본체(236)는 상대 하우징에 형성된 로크부(도시 생략)와 간섭하여 레그부(235)를 피벗점으로 하여 로크 해제 방향(예컨대, 상향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하우징(220)이 상대 하우징에 적절하게 접속된 후에, 아암 본체(236)는 탄성 복원 방향으로 변위되고, 로크부는 로크 구멍 또는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며, 그 결과 두 하우징이 분리될 수 없게 유지된다.
피팅 관부(222)의 상단 부분에 있어서 특히 로크 아암(234)의 대략 폭방향 양측에는, 로크 아암(234)에 인접하기까지 기립하도록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보호벽(245)이 형성되고, 특히 두 보호벽(245)을 결합하면서 로크 아암(234) 앞의 측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결합부(246)가 보호벽(245)들(특히 전단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양) 보호벽(245)은 아암 본체(236)로부터 조작부(237)까지 경사지거나 및/또는 넓어지거나, 및/또는 로크 아암(234)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예컨대 도 17 참조). (특히 양) 보호벽(245)의 상단부 및/또는 결합부(246)는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서 서로 연속하고, 아암 본체(236)의 높이보다 높거나, 및/또는 조작부(237)의 최상단[로크 아암(234)의 최후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지지벽(232)의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게 굴곡된 후에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기립하거나 돌출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기립벽(247)이 (특히 양) 보호벽(245)의 후단부에 형성된다(도 16 참조).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제2 방지부(248)가 (특히 양) 기립벽(247)의 내면의 상단 또는 외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양) 제2 방지부(248)는 팽출 부재(242) 위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높이 방향으로 조작부(237)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특히 지지벽(232)의 지지면(233)의 폭방향 단부(특히 대략 양단)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지지벽(232) 상에서 상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제1 방지부(249)가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특히 양) 제2 방지부(248)와 실질적으로 마주한다. (특히 양) 제1 방지부(249)는 특히 대략 폭방향 양단에서 기립벽(247)에 일체로 또는 하나로 결합된다. 팽출 부재(242)는 제1 방지부(249)와 제2 방지부(248) 사이에 배치된다. 특히, 각 팽출 부재(242)는 제1 방지부(249), 제2 방지부(248) 및 기립벽(247)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U형의 수납 공간(25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이 경우에, 수납 공간(250) 내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팽출 부재(242)를 위한 간극은 로크 아암(234)의 탄성 변형 범위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1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조작부(237)가 루프형 와이어에 의해 걸리는 경우에서와 같이 들어올려지거나 외측으로 편향되면, 로크 아암(234)은 레그부(235)를 피벗점으로 하여 로크 해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팽출 부재(242)의 제2 접촉부(243)의 후단부는, 로크 아암(234)이 탄성 한계를 넘어서 변형되기 전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지부(248)와 접촉하여, 조작부(237)의 상측 또는 외측으로의 추가의 변위를 방지한다. 이 경우에, 제2 방지부(248)는 팽출 부재(242)의 제2 접촉부(243)(특히 폭방향으로 외측 절반)와 선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조작부(237)가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강하게 압박되면, 로크 아암(234)은 레그부(235)를 피벗점으로 하여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한다. 이 경우에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출 부재(242)의 제1 접촉부(244)의 후단부는 로크 아암(234)이 탄성 한계를 넘어서 변형되기 전에 제1 방지부(249)와 접촉하여, 조작부(237)의 추가의 하향 변위를 방지한다. 따라서 로크 아암(234)은 탄성 한계를 넘어서 변형되지 않고, 레그부(235)의 파손 및 파열이 방지되어 전체적인 조작성이 개선된다. 이 경우에, 제1 방지부(249)는 특히 대략 전체 폭에 걸쳐서 팽출 부재(242)의 제1 접촉부(244)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237)의 팽출 부재(242)와 접촉하는 제1 방지부(249)는 하우징(220)의 지지면(23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거나 및/또는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237)의 팽출 부재(242)와 접촉하는 제2 방지부(248)는 보호벽(24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과 그 반대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경우에도 파손이 방지된다.
조작부(237)의 (특히 양) 팽출 부재(24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수납 공간(250)이 제1 방지부(249), 보호벽(245) 및/또는 제2 방지부(248)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양) 팽출 부재(242)와 이물질의 간섭이 회피된다. 이에 따라, 로크 아암(234)의 돌발적인 탄성 변형이 방지된다.
하나 이상의 팽출 부재(242)가 로크 아암(234)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하향 또는 내측으로 현수되거나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팽출 부재(242)의 각 팽출 거리 및/또는 로크 아암(234)의 레그부(235)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거나 및/또는 로크 아암(234)의 가동 범위(탄성 변형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하우징(220)이 유리 섬유와 같은 보강 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아암(234)의 파손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지부(249) 및 제2 방지부(248)의 변형 제한 기능에 의해 로크 아암(234)의 파손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로크 아암(23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20)에는 상대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형 로크 아암(234)과, 특히 로크 아암(234)의 대략 폭방향 양측에서 로크 아암(234)에 인접하여 돌출하거나 기립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보호벽(245)과, 피벗점으로서 기능하는 레그부(235)가 접속되는 지지면(233)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 하우징과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237)가 로크 아암(234)의 자유단부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하는 때에 조작부(237)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방지부(249)가 하우징(220)의 지지면(233) 상에 형성된다.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하는 때에 조작부(237)와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방지부(248)가 보호벽(245)에 형성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팽출 부재가 조작부의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2) 상기 하우징이 유리 섬유를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제1 방지부는 하우징의 지지면의 폭방향 중간 또는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1 암형 커넥터 하우징
10 로크 아암
11 언로크 아암(가요성 부재)
15 힌지 부재(아암 피벗점부)
20 지지 레그(피벗점부)
21 조작부
25 아암측 방지부
26 로킹부
27 하우징측 방지부
F 암형 커넥터(커넥터)
M 수형 커넥터(상대 커넥터)
110 하우징
111 단자 수납부
116 방지부
117 스토퍼
118 로크 아암
119 제1 지지부(피벗점부)
122 언로크 아암(가요성 부재)
123 제2 지지부(피벗점부)
124 로킹부
125 아암부
126 결합부
128 방지 돌기(방지부)
129 조작부
141 로크부
210 커넥터
220 하우징
233 지지면
234 로크 아암(가요성 부재)
235 레그부(피벗점부)
237 조작부
242 팽출 부재(방지부)
243 제2 접촉부
244 제1 접촉부
245 보호벽
248 제2 방지부
249 제1 방지부

Claims (13)

  1. 커넥터 하우징(1; 110; 220);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의 접속 방향을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1; 110; 220)에 마련되고, 중간 위치에 마련된 피벗점부(20; 123; 235)를 중심으로 하여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커넥터 하우징(1; 110; 220)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시소 형태로 탄성 변형되는 가요성 부재(11; 122; 234);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 234)와 커넥터 하우징(1; 110; 220)의 대향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 234)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가 피벗점부(20; 123; 235)를 중심으로 커넥터 하우징(1; 110; 2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피벗점부(20; 123; 235)의 전후의 위치에서 커넥터 하우징(1; 110; 220) 또는 가요성 부재(11; 122; 234)와 접촉함으로써 가요성 부재(11; 122; 234)의 과잉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과잉 변형 방지부(25; 27; 116; 128; 242; 248; 249)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 234)가 상기 피벗점부(20; 123; 235)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및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 234)가 상기 피벗점부(20; 123; 235)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경우, 상기 과잉 변형 방지부(25; 27; 116; 128; 242; 248; 249)에 의해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 234)의 과잉 변형이 방지되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 110)은, 피벗점부(20; 123)와는 다른 아암 피벗점부(15; 119)를 갖고, 가요성 부재(11; 122)와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맞물림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 아암(10; 118)을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 부재(11; 122)는 로크 아암(10; 118)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언로크 아암(11; 122)인 것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크 아암(11; 122)의 일단부에 언로크 아암(11; 122)을 탄성 변형시키는 조작부(21; 129)가 형성되고, 언로크 아암의 타단부에 로크 아암(10; 118)과 맞물릴 수 있는 로킹부(26; 124)가 마련되고,
    상기 로킹부(26; 124)는, 상기 조작부(21; 129)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될 때에 로크 아암(10; 118)의 로크 해제 방향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로크 아암(10; 118)과 맞물리게 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26)의 둘레에서 상기 언로크 아암(1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는, 언로크 아암(11)과 로크 아암(10)이 모두 자연 상태로 있을 때와, 언로크 아암(11)이 탄성 변형되고 그 과잉 변형이 과잉 변형 방지부(25; 27)에 의해 방지될 때 모두에 있어서 로크 아암(10)의 외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인 커넥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변형 방지부(25; 27; 116; 128)는 서로를 향하면서 언로크 아암(11; 222)과 커넥터 하우징(1; 110)의 양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 110; 220)은 유리 성분을 함유하는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또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상대 커넥터(M)에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로서,
    단자 수납부(111)를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에 접속되는 제1 지지부(119)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118);
    상기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에 접속된 제2 지지부(123)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129)와, 상기 제2 지지부(123)로부터 접속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킹부(124)를 구비하는 언로크 아암(122)
    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118)은, 커넥터(F)를 상대 커넥터(M)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M)의 로크부(141)와 간섭하여 상기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로크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로크 아암(118)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로크부(141)와 맞물려서, 커넥터(F)가 상대 커넥터(M)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커넥터(F)는 상대 커넥터(M)와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129)는, 상대 커넥터(M)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때에,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여 가압되어, 상기 로킹부(124)로 하여금 로크 아암(118)을 로크 해제 방향으로 가압하게 하고, 로크 아암(118)을 로크부(141)로부터 분리하게 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로킹부(124)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킹부(124)의 변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과잉 변형 방지부(1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124)는, 접속 방향과 로크 아암(118)의 탄성 변형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에 있어서 로크 아암(118)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125)와, 로크 아암(118)의 외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아암부(125)를 결합하는 결합부(126)를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에는, 조작부(129)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과정에서, 조작부(129)와 접촉함으로써 단자 수납부(111)의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조작부(129)의 변위를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커넥터로서,
    상대 하우징에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220);
    상기 하우징(220) 상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캔틸레버형 로크 아암(234);
    로크 아암(234)의 근처에서 기립하도록 하우징(2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호벽(245);
    상기 하우징(220)에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234)의 탄성 변형의 피벗점으로서 작용하는 레그부(235)가 접속되는 지지면(233);
    상기 로크 아암(234)의 자유단부 근처에 형성되고, 상대 하우징과의 로크 상태의 해제 시에 가압되는 조작부(237);
    상기 하우징(220)의 지지면(23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237)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과잉 변형 방지부(249);
    상기 보호벽(24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234)이 로크 해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과잉 변형되려고 할 때에 조작부(237)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과잉 변형 방지부(248)
    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37)의 폭방향 양단이 제1 과잉 변형 방지부(249), 보호벽(245) 및 제2 과잉 변형 방지부(248)로 둘러싸여 있는 것인 커넥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37)에는, 상기 로크 아암(234)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 부재(2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0)은 보강 또는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것인 커넥터.
KR1020110120185A 2010-12-15 2011-11-17 커넥터 KR101274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9731 2010-12-15
JP2010279726A JP5636938B2 (ja) 2010-12-15 2010-12-15 コネクタ
JPJP-P-2010-279734 2010-12-15
JPJP-P-2010-279726 2010-12-15
JP2010279734A JP5636939B2 (ja) 2010-12-15 2010-12-15 コネクタ
JP2010279731A JP2012129076A (ja) 2010-12-15 2010-12-15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81A KR20120067281A (ko) 2012-06-25
KR101274793B1 true KR101274793B1 (ko) 2013-06-13

Family

ID=4491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185A KR101274793B1 (ko) 2010-12-15 2011-11-17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2528B2 (ko)
EP (1) EP2466695B1 (ko)
KR (1) KR101274793B1 (ko)
CN (1) CN1025701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164B2 (ja) * 2011-09-07 2016-09-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2013069542A (ja) * 2011-09-22 2013-04-18 Yazaki Corp コネクタの端子抜き構造
CN103138087A (zh) * 2011-11-22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连接器插头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JP5943823B2 (ja) * 2012-12-06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61873B1 (ko) * 2013-05-08 2016-09-3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2014220146A (ja) * 2013-05-09 2014-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33824B2 (ja) * 2014-03-31 2020-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105353A (ja) * 2014-12-01 2016-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6249998B2 (ja) * 2015-07-06 2017-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02105B2 (ja) 2015-08-24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70207590A1 (en) * 2016-01-15 2017-07-20 J.S.T. Corporation Hermaphroditic connector system
JP6653232B2 (ja) * 2016-09-12 2020-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44331B2 (ja) 2017-05-18 2021-10-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1052516B (zh) * 2017-08-31 2021-07-06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单元
CN109728466A (zh) * 2017-10-27 2019-05-0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壳体、对配壳体、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及连接器组件
JP6924385B2 (ja) * 2018-01-19 2021-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55414B1 (en) 2018-02-08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0855064B2 (en) * 2018-04-18 2020-12-01 Tadpole Products, Llc System for electronic doorframe
JP7137388B2 (ja) * 2018-07-25 2022-09-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102647188B1 (ko) * 2018-11-14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JP7088873B2 (ja) * 2019-04-08 2022-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054103B1 (ko) * 2019-04-26 2019-12-10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JP7251398B2 (ja) * 2019-08-07 2023-04-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KR102180155B1 (ko) * 2019-11-06 2020-11-17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4A (ja) * 1997-07-09 1999-02-02 Yazaki Corp ロックアームの変形防止構造
JPH1154209A (ja) * 1997-07-30 1999-02-26 Amp Japan Ltd コネクタカバー
US20050082840A1 (en) 2003-05-12 2005-04-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locking construction
KR20090059062A (ko) * 2007-12-05 2009-06-1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904A (en) 1992-10-05 1995-04-11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Connectors
JP2001110519A (ja) 1999-10-04 2001-04-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1250636A (ja) * 2000-03-03 2001-09-14 Yazaki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3826799B2 (ja) 2001-03-02 2006-09-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616481B2 (en) 2001-03-02 2003-09-0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10317154B4 (de) * 2002-04-15 2009-03-26 Yazaki Corp. Verriegelungsaufbau für Steckverbinder
JP4479474B2 (ja) * 2004-11-12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216434A (ja) * 2005-02-04 2006-08-17 Yazaki Corp ロックコネクタ
JP4549277B2 (ja) * 2005-10-27 2010-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384309B1 (en) * 2007-01-18 2008-06-1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body having cantilevered terminal hold-down bea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4A (ja) * 1997-07-09 1999-02-02 Yazaki Corp ロックアームの変形防止構造
JPH1154209A (ja) * 1997-07-30 1999-02-26 Amp Japan Ltd コネクタカバー
US20050082840A1 (en) 2003-05-12 2005-04-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locking construction
KR20090059062A (ko) * 2007-12-05 2009-06-1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281A (ko) 2012-06-25
US20120156917A1 (en) 2012-06-21
CN102570133B (zh) 2015-11-25
CN102570133A (zh) 2012-07-11
US8882528B2 (en) 2014-11-11
EP2466695A1 (en) 2012-06-20
EP2466695B1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793B1 (ko) 커넥터
EP2859625B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JP4419875B2 (ja) 嵌合検知コネクタ
JP3800312B2 (ja) コネクタ
JP6619858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電気コネクタ
JP4770346B2 (ja) コネクタ
EP2733794B1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sition assurance device
US20050215106A1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JP5614369B2 (ja) 端子金具
JP3149794B2 (ja) 短絡用端子金具
KR20070112141A (ko) 커넥터용 부츠 및 커넥터 조립체
JP7251398B2 (ja) コネクタ
KR20020066221A (ko) 측방 가요성 래치부재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와커넥터 위치 보증장치
JP6380241B2 (ja) コネクタ
KR20090042197A (ko)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US7407403B2 (en) Connector
KR10125109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76884B1 (ko) 커넥터
JP4655997B2 (ja) コネクタ
JP5472022B2 (ja) コネクタ
US7033230B2 (en) Connector
KR101193324B1 (ko) 전기 커넥터 래치
US20080100306A1 (en) Connector
WO2023153258A1 (ja) コネクタ
JP442834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