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749B1 - 부품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49B1
KR101274749B1 KR1020110108311A KR20110108311A KR101274749B1 KR 101274749 B1 KR101274749 B1 KR 101274749B1 KR 1020110108311 A KR1020110108311 A KR 1020110108311A KR 20110108311 A KR20110108311 A KR 20110108311A KR 101274749 B1 KR101274749 B1 KR 101274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rts
hopper
lifting
lif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054A (ko
Inventor
김재호
권영순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7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 B23P19/005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by using flow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06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work or tool in its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2Fluid-pressur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담긴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상기 호퍼의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품 배출수단과; 상기 리프팅 수단과 부품 배출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부품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부품을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부품이 낱개로 공급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부품을 집어야 하는 반복적인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반복 작업에 의하여 근골격계에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 FEEDING OF PARTS}
본 발명은 부품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라인의 작업자로 부품을 낱개로 자동으로 공급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각 사출이나 프레스 등의 공정을 통해 제조하고, 이들 부품들을 제조공장의 조립 라인으로 이송한 후에, 각 부품들을 별도의 고정부품인 리벳, 스크류, 파스너(fastener) 등의 고정부품에 의해 고정되어 다른 부품이나 제품으로 완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파스너는 리벳, 스크류 등과 같이 부품과 부품 사이를 결합시키는 다른 형태의 고정부품을 칭한다.
이와 같이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라인에는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파스너와 같은 작은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5832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부품 공급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공급부(1)와, 일정한 틀을 제공하는 지지프레임(2)과, 지지프레임(2)에 결합되며 소정의 부품을 수용하며 일측에 부품 배출부(4)가 구비된 호퍼(3)와, 호퍼(3) 내측 저면에 구동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판(5)을 포함한다.
이 부품 공급장치는 회전판(5)이 회전하면서 그 위에 있는 호퍼(3)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내부의 부품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부품 배출부(4)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는 호퍼(3)가 회전할 때, 다수의 부품이 호퍼(3) 내에서 호퍼(3)와 함께 회전하다가 호퍼(3)의 내측면으로 밀려서, 다수의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이 부품 배출부(4)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품 공급장치는 호퍼(3)의 회전될 때 다수의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이 부품 배출부(4)로 배출되므로, 부품을 정해진 조립시간에 맞추어서 일정한 시간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없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부품 공급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부품 박스에 담긴 부품을 가져다가 조립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다시 주워야 함으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수의 부품중 하나의 부품을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서 조립 라인의 작업자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부품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담긴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상기 호퍼의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품 배출수단과; 상기 리프팅 수단과 부품 배출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부품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부품을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공급부는, 상기 부품 배출부에 연결되되, 조립라인의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과; 상기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중 하나의 부품 공급관을 상기 부품 배출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 배출수단의 근방에는 상기 리프팅 수단에 의해 리프팅된 부품을 검출하기 위한 부품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 리프팅 수단은, 상기 호퍼에 담긴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기 부품 배출수단까지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이 상기 부품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품 배출수단은,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을 블로우하기 위한 에어 분사부와;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밀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 분사부에 의해 블로우되는 부품을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부품이 낱개로 공급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종래와 같이, 부품을 집어야 하는 반복적인 동작을 하지 않게 되므로 반복 작업에 의하여 근골격계에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품 공급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품 자동 공급 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도 2의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도 2의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차량용 부품인 도어 바디에 도어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와 같이 크기가 작은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호퍼(200), 부품 리프팅수단(300), 부품 배출수단(400), 부품 공급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이 구성들은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110)은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수직부재와 다수의 수평부재로 구성된다. 즉, 프레임(110)은 다수의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다수의 수평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기둥 형태의 틀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상단 즉, 다수의 수평부재에는 케이스(111)가 고정되며, 이 케이스(11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호퍼(200), 부품 배출수단(400)이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다수의 수평부재가 사각, 삼각, 오각, 마름모 등의 형상으로 연결된 것을 각각 복수의 수직부재 상단과 하단에 연결하여 여러가지 기둥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서 프레임(110)은 사각 기둥의 틀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나, 그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호퍼(200)는 다수의 부품이 담기는 것으로, 깔때기 형상(역삼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호퍼(200)의 하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에 후술하는 부품 리프팅수단(300)의 안착부(310)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 관통홀의 가장자리에는 하측으로 가이드부재(210)가 돌출 형성되며, 승강 실린더(320)의 로드가 왕복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호퍼(200)의 상측에는 호퍼(200)로 다수의 부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다수의 부품을 부을 수 있는 바스켓(120)이 구비된다.
여기서, 바스켓(120)은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케이스(111)의 위쪽에 설치되되, 바스켓(120)의 하단이 케이스(1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가 부품을 바스켓(120)에 부으면 부품이 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호퍼(200)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바스켓(120)은 작업자가 다수의 부품을 한꺼번에 부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스켓(120)의 하단에는 다수의 부품이 바스켓(120)에서 호퍼(200)로 공급될 때 부품이 호퍼(200)의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관부재(121)가 형성된다. 이 관부재(121)는 바스켓(1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부재(121)를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품 리프팅수단(300)은 호퍼(200)에서 다수의 부품 중 하나의 부품을 리프팅시켜 후술하는 부품 배출수단(4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부(310), 승강실린더(320)를 포함한다.
먼저, 안착부(310)는 호퍼(200)의 하단의 관통홀에 위치되어 호퍼(200)의 바닥을 구성하며, 호퍼(200)에 담긴 다수의 부품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착부(310)는 가장자리에 절곡부가 상향 절곡 형성되어 부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안착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 부품의 크기와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부품의 크기가 안착부(310)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부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승강 실린더(320)는 프레임(110)에 수직으로 고정되되, 로드가 상측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로드의 상단에 안착부(310)가 구비된다.
또한, 부품 배출수단(400)은 승강 실린더(320)에 의해 상승되는 안착부(310)의 부품을 장치의 외부 즉, 프레임(110)의 케이스(11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어분사부(410)와, 가이드관(420)을 포함한다.
에어분사부(410)는 호퍼(200)의 상측에 설치되되, 승강 실린더(320)에 의해 리프팅이 완료된 안착부(310)에 있는 부품을 불어서 후술하는 가이드관(420)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에어분사부(410)는 별도의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에어노즐로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분사부(410)는 강력한 에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풍팬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에어분사부(410)는 후술하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승강 실린더(320)가 작동되어 안착부(310)가 에어분사부(410)가 위치한 높이까지 상승되어 후술하는 부품 검출센서(700)가 안착부(310)의 부품을 검출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면,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관(420)은 에어분사부(330)에 의해 블로우되는 부품을 부품 공급부(50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가이드관(420)은 호퍼(20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케이스(111)의 내측에서 안착부(310)가 상승될 때 위치되는 위치에서 수평으로 설치된다. 즉, 가이드관(420)은 일단이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상승된 안착부(310)에 위치되어 안착부(310)에 근접하게 구비되고, 타단이 케이스(111)의 일측면에 지지되되, 케이스(111)에 관통되어 외부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 부품 공급부(500)는 에어분사부(410)에 의해 불로우되어 가이드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부품을 가이드하여 조립라인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관(420)에 연통되며 부품이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관(5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품 공급부(500)에서 공급관(510)이 한 개로 구성되면, 부품 배출수단(400)의 가이드관(420)에 연결되어 조립라인까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부품 공급부(500)에서 공급관(510)이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면, 부품 공급부(500)는 2개 이상의 공급관(51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520)와, 고정부재(52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530)을 더 포함한다.
즉, 2개 이상의 공급관(510)을 고정부재(520)로 결합하고, 고정부재(520)를 케이스(111)나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이동수단(530)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어부(600)가 이동수단(530)을 작동시켜서 2개 이상의 공급관(510)을 순차적으로 가이드관(420)에 연결하여, 조립라인의 2명 이상의 작업자로 부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이동수단(530)은 실린더로 구성되며, 실린더의 로드가 고정부재(520)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부품 리프팅수단(300)과 부품 배출수단(400) 및 부품 공급부(5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10)의 케이스(111) 내에는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상승되는 안착부(310)에 부품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부품 검출센서(700)를 더 구비된다.
그리고, 부품 검출센서(700)는 안착부(310)에 부품이 있는지를 검출한 후에 그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부품 검출센서(700)는 부품으로 초음파를 보내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여 부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부품 검출센서(700)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제어부(600)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박스 형태의 캐비닛에 회로기판이 수용되고, 캐비닛의 외부에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부품 리프팅수단(300)의 승강실린더(320), 에어분사부(410), 부품 공급부(500)의 이동수단(530)을 제어하도록 회로기판에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작업자가 복수의 조작버튼에서 작동버튼을 눌러 작동시키면, 승강 실린더(320)를 작동하여 안착부(310)를 상승시키고, 일정시간 후에 안착부(310)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되, 안착부(310)에 부품이 검출되어 에어분사부(410)가 작동되면 안착부(310)가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부품 검출센서(700)로부터 안착부(310)에 부품이 없다는 정보를 전달받으면 다시 승강 실린더(320)를 작동하여 안착부(310)를 하강시켰다가 다시 상승시켜서 부품을 부품 배출수단(400)까지 리프팅 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600)는 상기와 같이, 안착부(310)에 부품이 없어서 승강부(320)를 작동시켜 부품을 가이드관(420)까지 리프팅 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부품 검출센서(700)에 의해 부품이 3회 연속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호퍼(200)에 부품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경보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경보기를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되며, 이 경보기는 불빛을 점멸하는 점멸램프로 구성되거나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00)는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안착부(310)에 부품이 검출되지 않는 횟수를 작업자가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에어분사부(410)가 작동되어 에어를 분사한 후에 승강 실린더(320)를 작동시켜 안착부(310)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되, 부품 공급부(500)의 이동수단(530)도 함께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하거나, 안착부(310)가 완전히 하강된 후에 이동수단(53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 장치의 작동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제품의 조립 라인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부품이 담긴 부품 박스를 가져다가 바스켓(120)으로 부품들을 부어 넣는다. 그러면, 바스켓(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관부재(12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호퍼(200)에 담기게 된다.
이렇게 호퍼(200)에 부품들이 담기게 되면, 작업자는 제어부(600)의 작동버튼을 눌러 부품 자동 공급 장치(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승강 실린더(320)가 작동하게 되며, 실린더 로드의 상단에 고정된 안착부(310)가 부품 배출수단(40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부품은 안착부(310)에 안착되어 부품 배출수단(400)까지 리프팅 된다.
이렇게 부품이 부품 배출수단(300)까지 리프팅되면 제어부(600)는 부품 검출센서(700)를 제어하여 안착부(310)에 부품이 있는지를 검출한 후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이후에, 제어부(600)는 안착부(310)에 부품이 있으면 에어 블로워(410)를 작동시켜 부품으로 에어를 분사시킨다. 이때 부품은 에어블로워(410)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가이드관(420)을 따라 이동되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에, 부품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후 즉, 에어블로워(410)에서 부품으로 에어를 분사한 후에 제어부(600)는 부품 검출센서(700)를 제어하여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여 정보를 전달받아 안착부(310)에 부품이 감지되지 않으면 승강 실린더(320)를 제어하여 안착부(310)를 하강시킨다.
이렇게 안착부(310)가 하강되면, 제어부(600)는 부품 공급부(500)의 이동수단(53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부재(520)는 이동수단(530)에 의해 이동되고, 이 고정부재(520)에 고정되는 다른 공급관(510)은 부품 배출수단(400)의 가이드관(420)에 연통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어부(600)는 다시 승강 실린더(320)를 제어하여 안착부(310)를 승강시켜서 부품 배출수단(400)으로 부품을 리프팅시키게 된다. 이후의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을 반복하면서 부품을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자동 공급 장치에 의해 낱개의 부품이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공급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부품 자동 공급 장치 110 : 프레임
111 : 케이스 120 : 바스켓
200 : 호퍼 210 : 가이드부재
300 : 부품 리프팅수단 310 : 안착부
320 : 승강 실린더
400 : 부품 배출수단 410 : 에어분사부
420 : 가이드관
500 : 부품 공급부 510 : 공급관
520 : 고정부재 530 : 이동수단
600 : 제어부 700 : 부품 검출센서

Claims (6)

  1. 프레임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담긴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상기 호퍼의 상측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수단과;
    상기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부품 배출수단과;
    상기 리프팅 수단과 부품 배출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부품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부품을 조립라인의 작업자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공급부는,
    상기 부품 배출부에 연결되되, 조립라인의 적어도 2명 이상의 작업자에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과;
    상기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왕복 이동시켜서 상기 2개 이상의 부품 공급관중 하나의 부품 공급관을 상기 부품 배출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수단의 근방에는 상기 리프팅 수단에 의해 리프팅된 부품을 검출하기 위한 부품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리프팅 수단은,
    상기 호퍼에 담긴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를 상기 부품 배출수단까지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
  4.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이 상기 부품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배출수단은,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의해 리프팅되는 부품을 블로우하기 위한 에어 분사부와;
    상기 부품 리프팅수단에 밀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에어 분사부에 의해 블로우되는 부품을 장치의 외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자동 공급 장치.
  6. 삭제
KR1020110108311A 2011-10-21 2011-10-21 부품 자동 공급 장치 KR101274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11A KR101274749B1 (ko) 2011-10-21 2011-10-21 부품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311A KR101274749B1 (ko) 2011-10-21 2011-10-21 부품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54A KR20130044054A (ko) 2013-05-02
KR101274749B1 true KR101274749B1 (ko) 2013-06-17

Family

ID=4865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311A KR101274749B1 (ko) 2011-10-21 2011-10-21 부품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68B1 (ko) * 2022-04-07 2023-05-02 주식회사 현글라스 간봉의 흡습제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856A (ja) * 1992-04-03 1993-10-26 Hino Motors Ltd 部品定量取り出し装置
JPH08198455A (ja) * 1995-01-27 1996-08-06 Olympus Optical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04238200A (ja) * 2003-02-08 2004-08-26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856A (ja) * 1992-04-03 1993-10-26 Hino Motors Ltd 部品定量取り出し装置
JPH08198455A (ja) * 1995-01-27 1996-08-06 Olympus Optical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04238200A (ja) * 2003-02-08 2004-08-26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装置
JP3997354B2 (ja) * 2003-02-08 2007-10-24 好高 青山 部品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368B1 (ko) * 2022-04-07 2023-05-02 주식회사 현글라스 간봉의 흡습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054A (ko) 201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1845B (zh) 一种冷挤压模具的自动成型工艺及自动送料系统
EP2682197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KR101509626B1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KR101935168B1 (ko) 성형코어 배출장치
KR20140092549A (ko) 프레스 금형 클리너 장치
CN204774108U (zh) 一种塑管激光打标视觉检测系统
CN107499915A (zh) 角码安装及铆点装置
US20150307271A1 (en) Device For Conveying A Fine-Particle Medium
KR20150009178A (ko) 용기용 먼지 제거장치
CN107378437A (zh) 一种圆柱体工件装配装置
CN110449430A (zh) 一种机器人智能料箱清洗生产线及系统
KR101274749B1 (ko) 부품 자동 공급 장치
CN105057298A (zh) 一种容器自动清洗烘干机
CN106964981A (zh) 铆焊一体机
KR101422561B1 (ko) 리벳 펀칭 머신
JP5312972B2 (ja) インサートナット圧入装置
CN209080863U (zh) 一种翻转提升机输送机构
KR200370783Y1 (ko) 콘택트렌즈 몰딩 시스템
CN207205741U (zh) 一种圆柱体工件装配装置
JP2013032222A (ja) 線状部材の整列供給装置
CN207142200U (zh) 一种用于生料带塑芯自动移印机的上料组件
CN207013990U (zh) 铆焊一体机
JP6678211B2 (ja) ボトルの洗浄装置
CN111702443A (zh) 自动阵列机
KR102053583B1 (ko) 카메라모듈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