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690B1 -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690B1
KR101273690B1 KR1020110072381A KR20110072381A KR101273690B1 KR 101273690 B1 KR101273690 B1 KR 101273690B1 KR 1020110072381 A KR1020110072381 A KR 1020110072381A KR 20110072381 A KR20110072381 A KR 20110072381A KR 101273690 B1 KR101273690 B1 KR 101273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rame
assembly
lif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316A (ko
Inventor
진세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6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수증기 회수계통 드라이어 팬 전동기의 설치상 취약점인 협소한 공간과 캔형 구조물 내부 설치에 따른 정비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형, 경량,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며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워 설치되어 지지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 설치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와,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의 선단부위에 끼워 결합되고 하부엔 호형지지부를 마련하여 전동기가 내장된 외측 함체 표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의 중간에 상부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 설치되고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Lifting and moving equipment for dryer fan motor}
본 발명은 중수증기 회수계통 드라이어 팬 전동기의 설치상 취약점인 협소한 공간과 캔형 구조물 내부 설치에 따른 정비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형, 경량,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며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수증기 회수계통은 중수로형 원전의 냉각재에 사용되는 중수가 증기화 되어 중수증기형태로 관련설비에서 발생되었을 때 이들 지역으로부터 중수증기를 회수하고 다른 지역으로 삼중수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자로 건물내의 대기중 삼중수소 농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드라이어 팬 전동기의 경우 캔 타입 외함 내부에 전동기가 위치하여 전동기의 정비 시 전동기 인출을 위해서는 캔 내부에 체인블럭 1대, 주변배관에 체인블럭 2대를 각각 설치한 후 전동기를 캔 외부로 끌어내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과다한 정비인력의 소요, 기기 손상, 안전사고의 위험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어 팬 전동기의 인양장비를 활용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 단축, 방사능 피폭 감소, 전용장비의 사용으로 기기 손상 방지, 적합한 인양장치 사용으로 안전사고의 예방, 정비 품질 향상 및 고객만족도도 향상 증가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워 설치되어 지지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 설치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와,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의 선단부위에 끼워 결합되고 하부엔 호형지지부를 마련하여 전동기가 내장된 외측 함체 표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의 중간에 상부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 설치되고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어 팬 전동기의 인양을 위한 전용장비를 활용하여 기존에 비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작업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방사능의 피폭을 감소시키면서, 전용장비의 사용으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합한 인양장치 사용으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함께, 정비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객만족도도 향상 내지 증가시키게 되어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메인프레임 조립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리프팅프레임 조립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메인프레임 조립체 및 리프팅프레임 조립체의 높낮이조절용 스토퍼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생략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가이드레일 조립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위치이동가동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 8은 서브프레임 조립체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서브프레임 조립체의 높이조절기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10은 전동기의 인양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전동기의 인양 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인 인양장치는 세워 설치되어 지지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와,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1)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 설치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2)와,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의 선단 부위에 끼워 결합되고 하부엔 호형지지부(3a)를 마련하여 전동기(5)가 내장된 외측 함체(7) 표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의 중간에 상부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 설치되고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 조립체(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1)는 가이드홈(10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메인프레임부재(10)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10)의 하부 양측에 상부 힌지부(11)(11)와 상부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의 힌지링크(12)(12)에 의하여 상기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접었다 펼 수 있게 결합된 양측의 지지프레임(13,13)과;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재(10)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14)(1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14)(14)엔 체결공(14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4a)엔 고정구(15)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15)는 상기 가이드홈(10a)에 내측이 걸어맞춤부(15a)에 의하여 걸어맞춤이 된 상태로 결합되고 외측엔 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5b)가 상기 체결공(14a)에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15b)에 고정너트(16)를 체결 고정하여 구성이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15)에서 고정너트(16)를 풀면 상기 고정구(15)가 이완되어 스토퍼(14,14)와 함께 가이드홈(10a)을 타고 승, 하강이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스토퍼(14,14)를 위치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고정너트(16)를 각각 단단하게 조여 스토퍼(14,14)가 메인프레임부재(10)와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는 가이드홈(20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의 일측 끝에 메인프레임 결합부(20b)를 마련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 끼워 상기 스토퍼(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고,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의 다른 일측 끝엔 리프팅 프레임 결합부(20c)를 마련하여 상기 리프팅 프레임(30)의 상부에 끼워 리프팅 프레임(30)의 스토퍼(34)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엔 상기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을 타고 위치이동가동기구(24)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위치이동기구(22)를 설치하며 상기 위치이동기구(22)엔 서브프레임 조립체(4)을 매달아 설치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기구(22)는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을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결합되고 가이드홈(20a)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엔 위치이동가동기구(24)의 나사봉(24a)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2a)를 마련하고 상기 나사결합부(22a)의 하부엔 서브프레임 조립체(3)의 상부 후크(42)를 걸어놓을 수 있는 걸어맞춤부(22b)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가동기구(24)는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하부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 지지체(24b,24b)와; 이들 지지체(24b,24b)에 양측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봉(24a)과; 상기 나사봉(24a)의 일측으로서 가이드레일 프레임(20)에 설치된 감속기어박스(24c)와; 상기 감속기어박스(24c)의 다른 일측 동일축(24d)에 각 설치되는 스프로켓휘일(24e)과 손잡이(24f); 그리고 상기 스프로켓휘일(24e)에 감아 설치되는 체인(24g)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는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리프팅 프레임 결합부(20c)에 끼워 결합되고 가이드홈(32)이 길게 형성되는 리프팅 프레임(30)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30)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부에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일측이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34)(3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34)(34)엔 체결공(34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34a)엔 고정구(35)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35)는 상기 가이드홈(32)에 내측이 걸어맞춤부(35a)에 의하여 걸어맞춤이 된 상태로 결합되고 외측엔 나사부(35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35b)가 상기 체결공(34a)에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35b)에 고정너트(36)를 체결 고정하여 구성이 이루어져, 상기 고정구(35)에서 고정너트(36)를 풀면 상기 고정구(35)가 이완되어 스토퍼(34)와 함께 가이드홈(32)을 타고 승, 하강이 가능하고 원하는 위치에서 스토퍼(34)를 위치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고정너트(36)를 단단하게 조여 스토퍼(34)가 리프팅프레임(30)와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 조립체(4)는 ㄷ자 프레임(40)과;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상부 선단부에 마련되고 가이드레일 조립체(2)의 위치이동기구(22)에 걸어 설치되는 상부 후크(42)와;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선단부에 상기 상부 후크(42)와 서로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일측에서 높이조절기구(46)에 의하여 승,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 함체(7) 내부에 있던 인양용 전동기(5)의 인양 와이어(6)와 걸어 맞추는 하부 후크(44)와; 그리고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후크(44)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높이조절기구(46);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기구(46)는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선단부 내측에 설치된 공전로울러(46a)와; ㄷ자 프레임(40)의 후부에 손잡이(46b)와 함께 설치되는 와이어윈치(46c)와; 그리고 상기 와이어윈치(46c)로부터 감겨지고 중간부위가 상기 공전로울러(46a)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후크(44)와 끝부분이 결합 설치되는 와이어(46d);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46b)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면 와이어윈치(46c)가 작동되어 와이어(46d)가 풀어지면서 하부 후크(44)가 하부로 내려가고, 반대로 손잡이(46b)의 회전방향을 바꿔 제자리에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46d)가 당겨지면서 공전로울러(46a)를 경유하여 하부 후크(44)가 상승하여 인양하고자 하는 전동기(5)를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함체(7) 내부에 있던 인양하고자 하는 전동기(5)를 들어올리기 편하도록 외측을 감싼 상태로 인양용 와이어(6)를 감아 전동기(5)에 대한 인양을 위한 준비작업을 수행한다.
다음, 메인 프레임 조립체(1)와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 그리고 가이드레일 조립체(2)를 서로 결합하는 설치작업을 실행하되, 함체(7) 내부에 위치한 인양용 전동기(5)의 위치를 감안하여 메인프레임 조립체(1)와 리프팅프레임 조립체(3)의 설치 위치를 선정한다.
이때, 메인 프레임 조립체(1)는 양측에 설치한 지지프레임(13,13)을 힌지링크(12,12)를 활용하여 상부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펼쳐서 적정 위치에 세워 설치하고,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는 호형지지부(3a)를 함체(7)의 표면 적정 위치에 세워 놓고, 나중에 가이드레일 조립체(2)를 서로 결합할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높낮이 조절용 스트퍼(14,14)(34,34)의 높낮이도 대략적으로 조절한 다음, 가이드레일 조립체(2)의 메일프레임 결합부(20b)와 리프팅프레임 결합부(20c)를 메인 프레임 조립체(1)와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의 상부로 각각 끼워 결합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높낮이 조절용 스트퍼(14,14)(34,34)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이드레일 조립체(2)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브프레임 조립체(4)의 상부 후크(42)를 위치이동기구(22)의 걸어맞춤부(22b)에 걸어 설치하여 이에 대한 설치위치도 감안하여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전동기(5)의 인양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가이드레일 조립체(2)의 위치이동가동기구(24)의 손잡이(24f)를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체인(24g)으로 스프로켓휘일(24c)을 회전시켜 나사봉(24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던 위치이동기구(22)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브프레임 조립체(4)의 ㄷ자 프레임(40) 하부 끝에 설치된 하부 후크(44)가 함체(7) 내부의 인양용 전동기(5) 상부로서 인양용 와이어(6)를 걸을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다음, 높이조절기구(46)의 손잡이(46b)를 돌려 와이어(46d)가 풀려지면서 하부 후크(44)와 함께 하강시키고 하부 후크(44)를 인양용 와이어(6)를 걸어 인양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한 다음, 다시 손잡이(46b)를 역방향으로 돌려 와이어윈치(46c)를 작동시키면서 와이어(46d)를 당기고 이와 함께 하부후크(44)를 상승시켜 전동기(5)를 함체(7) 내부에서 들어올리는 작업을 실행한다.
일단, 위와 같이 전동기(5)가 들어 올려지면 와이어윈치(46c)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전동기(5)가 제자리에 매달린 상태에서 가이드레일 조립체(2)의 위치이동가동기구(24)의 손잡이(24f)를 회전시키거나 아니면 체인(24g)으로 스프로켓휘일(24c)을 회전시켜 나사봉(24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이와 나사 결합되어 있던 위치이동기구(22)가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부후크(44)에 매달린 상태의 전동기(5)를 함체(7)의 외부로 인양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일단, 이와 같이 전동기(5)의 함체(7) 외부로 인양하는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와이어윈치(46c)를 활용하여 외부로 인양된 전동기(5)를 내려놓거나 아니면 다른 이동운반수단 위에 내려놓거나 하는 등의 필요한 후속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인양된 전동기(5)에 대하여 점검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진 다음에, 필요한 경우 다시 함체(7)의 내부로 다시 전동기(5)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엔 전술한 인양작업의 역순으로 설치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함체(7)의 내부로부터 드라이어 팬 전동기(5)의 인양을 위한 전용장비를 활용하여 기존에 비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작업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방사능의 피폭을 감소시키면서, 전용장비의 사용으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합한 인양장치 사용으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함께, 정비 품질을 향상시키고 고객만족도도 향상 내지 증가시키게 되어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1: 메인프레임 조립체, 2: 가이드레일 조립체,
3: 리프팅프레임 조립체, 3a: 호형지지부,
4: 서브프레임 조립체, 5: 전동기,
6: 인양용 와이어, 7: 외측함체,
10: 메인프레임부재, 10a, 20a,32: 가이드홈,
11: 상부힌지부, 12: 힌지링크,
13: 지지프레임, 14, 34: 높낮이조절용 스토퍼,
14a, 34a: 체결공, 15, 35: 고정구,
15a, 35a: 걸어맞춤부, 15b, 35b: 나사부,
16, 36: 고정너트, 20: 가이드레일프레임,
20b: 메인프레임결합부, 20c: 리프팅프레임결합부,
22: 위치이동기구, 22a: 나사결합부,
22b: 걸어맞춤부, 24: 위치이동가동기구,
24a: 나사봉, 24b: 지지체,
24c: 감속기어박스, 24d: 동일축,
24e: 스프로켓휘일, 24f: 손잡이,
24g: 체인, 30: 리프팅프레임,
40: ㄷ자프레임, 42: 상부후크,
44: 하부후크, 46: 높이조절기구,
46a: 공전로울러, 46b: 손잡이,
46c: 와이어윈치, 46d: 와이어

Claims (7)

  1. 세워 설치되어 지지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인 프레임 조립체(1)와,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1)의 상부에 일측이 결합 설치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 조립체(2)와,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의 선단 부위에 끼워 결합되고 하부엔 호형지지부(3a)를 마련하여 전동기(5)가 내장된 외측 함체(7) 표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의 중간에 상부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 결합 설치되고 하부는 ㄷ자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서브프레임 조립체(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 조립체(1)는 가이드홈(10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메인프레임부재(10)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재(10)의 하부 양측에 상부 힌지부(11)(11)와 상부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의 힌지링크(12)(12)에 의하여 상기 힌지부(11)(11)를 중심으로 접었다 펼 수 있게 결합된 양측의 지지프레임(13,13)과;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부재(10)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14)(1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14)(14)엔 체결공(14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4a)엔 고정구(15)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15)는 상기 가이드홈(10a)에 내측이 걸어맞춤부(15a)에 의하여 걸어맞춤이 된 상태로 결합되고 외측엔 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5b)가 상기 체결공(14a)에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15b)에 고정너트(16)를 체결 고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레일 조립체(2)는 가이드홈(20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의 일측 끝에 메인프레임 결합부(20b)를 마련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부재(10)의 상부에 끼워 상기 스토퍼(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의 다른 일측 끝엔 리프팅 프레임 결합부(20c)를 마련하여 상기 리프팅 프레임(30)의 상부에 끼워 리프팅 프레임(30)의 스토퍼(34)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엔 상기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을 타고 위치이동가동기구(24)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위치이동기구(22)를 설치하며 상기 위치이동기구(22)엔 서브프레임 조립체(4)을 매달아 설치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이동기구(22)는 가이드 레일 프레임(20)을 외측에서 감싼 상태로 결합되고 가이드홈(20a)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엔 위치이동가동기구(24)의 나사봉(24a)과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22a)를 마련하고 상기 나사결합부(22a)의 하부엔 서브프레임 조립체(3)의 상부 후크(42)를 걸어놓을 수 있는 걸어맞춤부(22b)를 마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이동가동기구(24)는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하부 양측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 지지체(24b,24b)와; 이들 지지체(24b,24b)에 양측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봉(24a)과; 상기 나사봉(24a)의 일측으로서 가이드레일 프레임(20)에 설치된 감속기어박스(24c)와; 상기 감속기어박스(24c)의 다른 일측 동일축(24d)에 각 설치되는 스프로켓휘일(24e)과 손잡이(24f); 그리고 상기 스프로켓휘일(24e)에 감아 설치되는 체인(24g)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 조립체(3)는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리프팅 프레임 결합부(20c)에 끼워 결합되고 가이드홈(32)이 길게 형성되는 리프팅 프레임(30)과; 상기 리프팅 프레임(30)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부에 가이드레일 프레임(20)의 일측이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34)(34)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높낮이 조절용 스토퍼(34)(34)엔 체결공(34a)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34a)엔 고정구(35)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35)는 상기 가이드홈(32)에 내측이 걸어맞춤부(35a)에 의하여 걸어맞춤이 된 상태로 결합되고 외측엔 나사부(35b)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35b)가 상기 체결공(34a)에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35b)에 고정너트(36)를 체결 고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프레임 조립체(4)는 ㄷ자 프레임(40)과;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상부 선단부에 마련되고 가이드레일 조립체(2)의 위치이동기구(22)에 걸어 설치되는 상부 후크(42)와;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선단부에 상기 상부 후크(42)와 서로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일측에서 높이조절기구(46)에 의하여 승, 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 함체(7) 내부에 있던 인양용 전동기(5)의 인양 와이어(6)와 걸어 맞추는 하부 후크(44)와; 그리고 상기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하부후크(44)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높이조절기구(46);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기구(46)는 ㄷ자 프레임(40)의 하부 선단부 내측에 설치된 공전로울러(46a)와; ㄷ자 프레임(40)의 후부에 손잡이(46b)와 함께 설치되는 와이어윈치(46c)와; 그리고 상기 와이어윈치(46c)로부터 감겨지고 중간부위가 상기 공전로울러(46a)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 후크(44)와 끝부분이 결합 설치되는 와이어(46d);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72381A 2011-07-21 2011-07-21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KR10127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81A KR101273690B1 (ko) 2011-07-21 2011-07-21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381A KR101273690B1 (ko) 2011-07-21 2011-07-21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16A KR20130011316A (ko) 2013-01-30
KR101273690B1 true KR101273690B1 (ko) 2013-06-12

Family

ID=478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381A KR101273690B1 (ko) 2011-07-21 2011-07-21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7588B (zh) * 2019-10-21 2021-01-26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铁道运输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82A (ja) * 1991-11-15 1993-06-08 Ohbayashi Corp クレーン用吊荷装置
JPH06107397A (ja) * 1992-09-29 1994-04-19 Iseki & Co Ltd 移送装置
JPH0738076U (ja) * 1993-02-24 1995-07-14 鈴木工業株式会社 レール運搬装置
JPH11322254A (ja) * 1998-05-19 1999-11-24 Toshiba Corp ワーク搬送挿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682A (ja) * 1991-11-15 1993-06-08 Ohbayashi Corp クレーン用吊荷装置
JPH06107397A (ja) * 1992-09-29 1994-04-19 Iseki & Co Ltd 移送装置
JPH0738076U (ja) * 1993-02-24 1995-07-14 鈴木工業株式会社 レール運搬装置
JPH11322254A (ja) * 1998-05-19 1999-11-24 Toshiba Corp ワーク搬送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316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0810Y (zh) 新型手动提升机
CN101764375B (zh) 输电线路行走式吊篮
CN202023158U (zh) 移动式桥梁维护装置
KR20100089210A (ko) 이동식 다목적 리프트장치
JP4688771B2 (ja) 水平軸型風力発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機構と、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方法
CN112411979B (zh) 一种翻板自动收放的爬架
KR101273690B1 (ko) 드라이어 팬 전동기 인양 장치
CN201240784Y (zh) 便携式直滑吊运机单梁附架内侧移动吊运装置
CN103556811B (zh) 一种用于受限空间的作业伞跳及使用方法
CN112156391B (zh) 一种安全带悬挂支架
CN212740479U (zh) 一种双梁吊钩门式起重机
KR101073529B1 (ko) 무대 장치
CN112900890B (zh) 用于桁架结构装配的调节装置以及调节方法
CN212178595U (zh) 一种隧道施工用照明设备
CN203404568U (zh) 中间翻转式立杆
CN112850432A (zh) 一种用于电梯施工平台的辅助施工设备
CN209837858U (zh) 一种电动伸缩棚
CN113605658A (zh)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外挂架
CN208603647U (zh) 一种建筑施工用升降梯
RU182890U1 (ru) Грузоподъём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а
CN111302235A (zh) 一种防护性能好的塔式起重机
CN217808640U (zh) 一种风管外部保养维护装置
CN211141478U (zh) 一种吊装装置
CN208454449U (zh) 一种卷门机变速箱安装支架板
CN218540779U (zh) 一种便于井盖进行安装和拆卸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