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070B1 -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070B1
KR101273070B1 KR1020110097657A KR20110097657A KR101273070B1 KR 101273070 B1 KR101273070 B1 KR 101273070B1 KR 1020110097657 A KR1020110097657 A KR 1020110097657A KR 20110097657 A KR20110097657 A KR 20110097657A KR 101273070 B1 KR101273070 B1 KR 10127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age
guide member
sli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768A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0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단이 힌지 체결되어 차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키지(100)와; 일단이 상기 링키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10)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결합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120)와;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핸들(11)에 스위치(12)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12)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치(12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차량에 장착된 도어(10)의 핸들(11)을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단계(S10)와; 상기 도어작동단계(S10)에서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에서 스위치(12) 미작동 시 도어(10)를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도어스윙단계(S30)와; 상기 도어스윙단계(S30)에서 도어(10) 회동 시 체커(140)의 슬라이딩을 통해 도어(1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체커슬라이딩단계(S40)와; 상기 체커슬라이딩단계(S40)를 통해 도어(10)의 회동각을 제한한 상태에서 차량용 도어(10)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제1도어오픈단계(S50)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에서 스위치(12) 작동 시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130)로 인가시키는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S60)와; 상기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S60)를 통해 신호 인가 시 래치(120)를 작동시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래치작동단계(S70)와; 상기 래치작동단계(S70)를 통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이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링키지(100)를 90°각도로 회동시키는 링키지회동단계(S80)와; 상기 링키지회동단계(S80)를 통해 링키지(100)가 회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10)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S90)와; 상기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S90)에서 가이드부재(110)의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용 도어(10)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제2도어오픈단계(S100)로 구성되어, 스윙구조와 슬라이딩구조를 접목시켜 사용자 편의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어(10)의 스윙오픈과 슬라이딩오픈이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Opening structure of vehicle do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일반적인 개방 구조인 스윙구조와 함께 승객의 승하차 성능이 유리한 슬라이딩구조를 복합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는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스윙구조의 도어가 장착된다.
이러한 스윙구조가 적용된 도어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하차 시 도어에 장착된 핸들을 통해 잠금을 해제 시킨 후 도어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어와 차체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그 공간을 통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승하차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승합차나 컨셉트카와 같은 차량의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가 되는 슬라이딩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 슬라이딩구조가 적용된 도어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 승하차 시 도어에 장착된 핸들을 통해 잠금을 해제 시킨 후 도어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차체의 측면에 출입 공간을 만들어 그 공간으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승하차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윙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도어는 주차 공간이 협소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 시킬 수 없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하차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구조의 도어가 적용된 차량을 제작하였으나 슬라이딩구조의 도어는 사용상의 편리함은 있었지만 슬라이딩 개폐 시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어린 아이를 둔 가정에서는 슬라이딩구조의 도어가 장착된 차량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일반적인 개방 구조인 스윙구조와 함께 승객의 승하차 성능이 유리한 슬라이딩구조를 복합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오픈 구조는 일단이 힌지 체결되어 차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키지와; 일단이 상기 링키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의 결합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에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 사이에는 체커가 구비되어 도어 회동 시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링키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오픈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도어의 핸들을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단계와; 상기 도어작동단계에서 핸들에 장착된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에서 스위치 미작동 시 도어를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도어스윙단계와; 상기 도어스윙단계에서 도어 회동 시 체커의 슬라이딩을 통해 도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체커슬라이딩단계와; 상기 체커슬라이딩단계를 통해 도어의 회동각을 제한한 상태에서 차량용 도어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제1도어오픈단계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에서 스위치 작동 시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로 인가시키는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와; 상기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를 통해 신호 인가 시 래치를 작동시켜 링키지와 가이드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래치작동단계와; 상기 래치작동단계를 통해 링키지와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링키지를 90°각도로 회동시키는 링키지회동단계와; 상기 링키지회동단계를 통해 링키지가 회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와; 상기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에서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용 도어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제2도어오픈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윙구조와 슬라이딩구조를 접목시켜 사용자 편의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어의 스윙오픈과 슬라이딩오픈이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스윙모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슬라이딩모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연결된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래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스윙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도어의 슬라이딩모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연결된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서 래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되는 링키지(100)와, 상기 링키지(10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결합시키는 래치(120)와, 상기 래치(12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0)로 이루어지며, 차량용 도어(10)의 핸들(11)을 작동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도어(10)를 회동시키는 단계(S30)와, 체커(140)의 슬라이딩을 통해 회동각을 제한하는 단계(S40)와, 도어(10)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단계(S50)와, 스위치(12) 작동을 통해 솔레노이드(130)를 인가시키는 단계(S60)와, 래치(120)를 작동시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단계(S70)와, 링키지(100)를 회동시키는 단계(S80)와, 가이드부재(110)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S90)와, 도어(10)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S100)로 이루어져 스윙구조와 슬라이딩구조를 접목시켜 사용자 편의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어(10)의 스윙오픈과 슬라이딩오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장착되는 링키지(100)와, 상기 링키지(10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결합시키는 래치(120)와, 상기 래치(12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링키지(100)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은 차체에 힌치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하며, 타단은 이하 기술하게 될 가이드부재(110)와 연결되어 차량용 도어(10)를 스윙(swing)하거나 슬라이딩(sliding)시켜 도어(10) 개방이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부재(110)는 링키지(100)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도어(10) 개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링키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차량용 도어(1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래치(120)는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연결되도록 하여 잠금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어(10)를 개폐할 수 있는 핸들(11)에는 스위치(12)가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12)는 래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13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 의한 상기 스위치(12) 터치에 따라 솔레노이드(130)를 통해 래치(120)를 작동시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를 해지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오픈 구조는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를 터치하지 않고 상기 핸들(11)만 작동시키게 되면 래치(120)가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도어(10) 오픈 시 힘 전달을 외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스윙구조에 의한 도어(10) 오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어(10)를 닫을 때도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10)를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스윙구조에 의한 도어(10) 폐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에는 체커(140)가 구비되어 도어(10) 회동 시 상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링키지(10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140) 일단에는 볼(141)이 형성되어 도어(10) 오픈 시 가이드부재(110)에 형성된 굴곡을 따라 상기 볼(141)이 이동하면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의 슬라이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장착된 핸들(11)을 오픈시키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에서 차체 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151)는 고정되고, 도어(10) 측에 구비되는 제3기어(153) 및 상기 제1기어(151)와 제3기어(153)를 연결하는 제2기어(152)는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연결되면 도어(10)의 스윙이 가능하게 하는데 이때 스윙 각도는 체커(140)를 통해 47°~69°로 제한하도록 하여 과도한 도어(10) 오픈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구비되는 제1기어(151)와, 도어(10)에 구비되는 제3기어(153)와, 상기 제1기어(151)와 제3기어(153)를 연결하는 제2기어(15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기어(151)는 제1샤프트(151S)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제2기어(152)는 제2샤프트(152S)를 통해 장착되어 상기 제1기어(151)와 제1샤프트(151S)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기어(152)가 회전됨으로 인해 슬라이딩 및 스윙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12)와 연동된 솔레노이드(130)를 통해 래치(120)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그 결과, 래치(120) 작동에 의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도어(10) 오픈 시 사용자의 힘 전달이 차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슬라이딩구조에 의한 도어(10) 오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어(10)를 닫을 때도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잠금상태 해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10)를 차체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슬라이딩구조에 의한 도어(10) 폐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는 링키지(100)에 구비되는 샤프트축(100S)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도어(10)의 개폐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어(10)에 장착된 가이드부재(110)는 가이드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연결부에는 슬라이딩패널(P)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상기 슬라이딩패널(P)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의 스윙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장착된 핸들(11)을 오픈 시 상기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를 터치시키면 래치(120)에 의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연결된 상태를 해제시키면서 차체 측에 구비되는 제1기어(151)는 고정되고, 도어(10) 측에 구비되는 제3기어(153) 및 상기 제1기어(151)와 제3기어(153)를 연결하는 제2기어(152)는 회전하도록 하여 가이드부재(110)와 링키지(100)가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가이드부재(110)와 연결된 도어(10)가 차체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110)를 포함하는 도어(10)가 차체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링키지(100)로부터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여 도어(1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데 이로 인해 간격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도어(10) 오픈이 가능하게 하여 도어(10) 오픈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10) 외측에는 컨택스프링이(111)이 구비되며, 상기 컨택스프링(111)이 구비된 가이드부재(110) 일단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30)와 연동되는 감지스위치(112)가 장착되어 도어(10)의 슬라이딩 개방 시에는 상기 감지스위치(112)가 없는 방향으로 컨택스프링(111)이 작동되고, 도어(10)의 슬라이딩 폐쇄 시에는 상기 감지스위치(112)가 있는 방향으로 컨택스프링(111)이 작동하여 래치(120)를 해제시켜줌으로서 상기 도어(10)가 폐쇄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방법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10)의 핸들(11)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도어(10)를 회동시키는 단계와, 체커(140)의 슬라이딩을 통해 회동각을 제한하는 단계와, 도어(10)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단계와, 스위치(12) 작동을 통해 솔레노이드(130)를 인가시키는 단계와, 래치(120)를 작동시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링키지(100)를 회동시키는 단계와, 가이드부재(110)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도어(10)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어작동단계(S10)는 차량에 장착된 도어(10)의 핸들(11)을 작동시키는 단계로서, 탑승자가 상기 핸들(11)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행위를 통해 도어(10)의 잠금을 해지시켜 도어(10) 오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는 상기 도어작동단계(S10)에서 핸들(11)에 장착된 스위치(12)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스윙작동을 위해 스위치(12)를 작동시키지 않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다음 단계인 도어스윙단계(S30)로 진행하게 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작동을 위해 스위치(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추후 기술하게 될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S60)로 진행하게 된다.
도어스윙단계(S30)는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에서 스위치(12) 미작동 시 도어(10)를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단계로서, 도어(10) 오픈을 위해 사용자가 핸들(11)을 작동하여 도어(10)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도어(10)를 외측 방향으로 스윙(swing)함으로 인해 차체와 도어(10) 사이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체커슬라이딩단계(S40)는 도어(10)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어스윙단계(S30)에서 도어(10) 회동 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에 구비되는 체커(140)의 슬라이딩을 통해 도어(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제1도어오픈단계(S50)는 차량용 도어(10)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여 상기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체커슬라이딩단계(S40)를 통해 도어(10)의 회동각을 제한한 상태에서 차량용 도어(10)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여 사용자 탑승이 가능하게 한다.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S60)는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S20)에서 스위치(12) 작동 시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130)로 인가시키는 단계로서, 스위치(12) 작동을 통해 사용자의 도어(10) 오픈방법이 스윙방법이 아닌 슬라이딩방법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 인지하여 이하 기술하게 될 래치(120)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래치작동단계(S70)는 상기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S60)를 통해 신호 인가 시 래치(120)를 작동시켜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단계로서, 래치(120) 작동을 통해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의 결합을 해제시켜 링키지(100) 회동 및 가이드부재(11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한다.
링키지회동단계(S80)는 링키지(100)와 가이드부재(110)가 이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링키지(100)를 회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링키지회동단계(S80)에서 링키지(100)의 회동각도는 90°로 설정한다.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S90)는 상기 링키지회동단계(S80)를 통해 링키지(100)가 회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10)를 슬라이딩시킨다.
제2도어오픈단계(S100)는 상기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S90)에서 가이드부재(110)의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용 도어(10)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단계로서, 차량용 도어(10)를 차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 인해 탑승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 탑승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은 일단이 힌지 체결되어 차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키지와; 일단이 상기 링키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의 결합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에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차량에 장착된 도어의 핸들을 작동시키는 도어작동단계와; 상기 도어작동단계에서 핸들에 장착된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에서 스위치 미작동 시 도어를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도어스윙단계와; 상기 도어스윙단계에서 도어 회동 시 체커의 슬라이딩을 통해 도어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체커슬라이딩단계(S40)와; 상기 체커슬라이딩단계를 통해 도어의 회동각을 제한한 상태에서 차량용 도어를 외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제1도어오픈단계와; 상기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에서 스위치 작동 시 감지된 신호를 솔레노이드로 인가시키는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와; 상기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를 통해 신호 인가 시 래치를 작동시켜 링키지와 가이드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래치작동단계와; 상기 래치작동단계를 통해 링키지와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링키지를 90°각도로 회동시키는 링키지회동단계와; 상기 링키지회동단계를 통해 링키지가 회동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와; 상기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에서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을 통해 차량용 도어를 차체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개방하는 제2도어오픈단계로 구성되어 스윙구조와 슬라이딩구조를 접목시켜 사용자 편의에 따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어의 스윙오픈과 슬라이딩오픈이 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상품성과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도어 11 : 핸들
12 : 스위치 100 : 링키지
110 : 가이드부재 120 : 래치
130 : 솔레노이드 140 : 체커
S10 : 도어작동단계 S20 : 도어스위치 작동판단단계
S30 : 도어스윙단계 S40 : 체커슬라이딩단계
S50 : 제1도어오픈단계 S60 : 솔레노이드 신호인가단계
S70 : 래치작동단계 S80 : 링키지회동단계
S90 : 가이드부재 슬라이딩단계 S100 : 제2도어오픈단계

Claims (6)

  1. 일단이 힌지 체결되어 차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키지와;
    일단이 상기 링키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의 결합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래치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핸들에 스위치가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되;
    차체에 제1기어가 구비되며, 도어에 제3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어와 제3기어를 연결하는 제2기어가 구비되되, 상기 제1기어는 제1샤프트를 통해 장착되며, 상기 제2기어는 제2샤프트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 사이에는 체커가 구비되어 도어 회동 시 상기 링키지와 가이드부재 사이를 이동하여 상기 링키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 일단에는 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링키지에 구비되는 샤프트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6. 삭제
KR1020110097657A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KR10127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57A KR101273070B1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57A KR101273070B1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68A KR20130033768A (ko) 2013-04-04
KR101273070B1 true KR101273070B1 (ko) 2013-06-10

Family

ID=4843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657A KR101273070B1 (ko) 2011-09-27 2011-09-27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4062B2 (en) 2019-12-10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Bidirectional door opening module
US11603682B2 (en) 2019-12-10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Bi-directional door open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55B1 (ko) 2016-09-05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도어 그립핸들 팝업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6140B1 (ko) * 2017-10-23 2022-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11305623B2 (en) * 2019-12-06 2022-04-19 Karma Automotive Llc Sliding and pivoting rear vehicle door
KR20210072929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방향 도어 개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883B1 (ko) * 1997-08-30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도어의 개방 조절구조
KR20110053020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8883B1 (ko) * 1997-08-30 1999-07-15 양재신 자동차 도어의 개방 조절구조
KR20110053020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4062B2 (en) 2019-12-10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Bidirectional door opening module
US11603682B2 (en) 2019-12-10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Bi-directional door open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68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070B1 (ko) 차량용 도어의 개방 구조 및 방법
JP5852113B2 (ja) 車両における把持部を備える開閉式ハンドル
US10301854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5617876B2 (ja) 車両用ドア構造
CN107407110B (zh) 机动车用门闩装置
JP58804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237679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6494921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CN107250475B (zh) 机动车用门闩装置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US20080073919A1 (en) Door-locking knob construction of vehicle
CN106285244B (zh) 一种隐藏式外门拉手锁止结构
US9945161B2 (en) Lock system for dual vehicle closures
US10829965B2 (en) Door latch device
US20220316244A1 (en) Mechanical emergency latch release system for vehicle door and method
JP2004218295A (ja) 車両用ドア半開装置
JP4624189B2 (ja) 車両用チャイルドロック操作装置
JP2009041233A (ja) 自動車ドアハンドル構造
JP6252180B2 (ja) 車両用ドア構造
CN210289454U (zh) 一种汽车门把手
JP200700251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ロック操作装置
JP2020063584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装置
US20020078724A1 (en) Tail gate locking apparatus for protecting children
JP4947550B2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