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067B1 - 삽관 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삽관 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067B1
KR101269067B1 KR1020060103245A KR20060103245A KR101269067B1 KR 101269067 B1 KR101269067 B1 KR 101269067B1 KR 1020060103245 A KR1020060103245 A KR 1020060103245A KR 20060103245 A KR20060103245 A KR 20060103245A KR 101269067 B1 KR101269067 B1 KR 10126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ubation
screen
intubation support
patient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378A (ko
Inventor
히데타카 요코타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2Display arrangement positioned at proximal end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삽관 지원장치는 기단부를 가지고 있는 장치본체; 환자의 입으로부터 환자의 목적부위 또는 그 부근으로 삽입되는 연장된 삽입부를 구비한 삽관 지원구; 및 삽입부의 선단부에 있는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포함하고, 삽입부에는, 삽관튜브가 환자의 목적부위에 삽입될 때, 삽관튜브를 목적부위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자 이미지에서 화면에 표시된 관찰부위로 삽관튜브의 전진방향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목표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삽관 지원장치, 삽관 지원구, 삽관튜브, 인공호흡,

Description

삽관 지원장치{INTUBATION ASSISTANC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A)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 1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로부터 삽관튜브가 밀어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화살표(C)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 5의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된 삽관튜브의 선단을 환자의 기관 등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삽관 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고 등에 의하여 무의식 상태에 있는 환자를 위한 응급처치로서, 인공호흡을 실시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인공호흡은 다른 수단이나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실시될 수도 있지만, 인공호흡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인공호흡을 실시하기 위하여 인공호흡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인공호흡장치에 기단이 연결되어 있는 삽관튜브가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되어 튜브를 통하여 인공호흡장치로부터 기관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환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는, 인두와 후두 근육의 이완 및/또는 중력에 따른 아래턱의 처짐 현상 때문에, 혀뿌리가 뒤당겨지게 되어 기도(공기 통로)가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삽관튜브가 기관, 즉 목적부위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차단된 기도를 먼저 개방하고, 혀를 끌어올림으로써 공기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공기 통로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오럴 에어웨이(oral airway)라고 불리는 삽관 지원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미국공개공보 제2005-0150500호 참조).
이러한 삽관 지원장치는 환자의 기관이나 그 부근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관튜브가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될 때 삽관튜브를 환자의 기관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삽입부에 제공된 가이드부(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삽관 지원장치 는 의식을 잃은 환자의 입을 통하여 삽입되어, 삽관 지원장치의 선단 측의 적절한 부분이 환자의 혀뿌리에 접촉하여 혀뿌리를 들어올림으로써 공기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럴 에어웨이(삽관 지원구)는 일반적으로 삽관 지원장치의 기단이 삽관 지원장치의 장치본체와 접속된 상태로 사용된다(이하, 이러한 상태를 '조립상태'하고 한다). 삽관 지원장치는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에서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얻기 위한 촬상수단(촬상소자); 및 촬상수단에 의하여 촬상된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삽관 지원구에서, 이미지 가이드가 삽입되는 내부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보어는 가이드 홈과 대체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관 지원장치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즉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중심이 화면에 표시된 환자의 기관의 입구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삽관이 삽관 지원구의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밀어내어질 때 삽관튜브는 환자의 기관 입구에서 어긋난 방향으로 전진된다.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 즉 삽관튜브가 환자의 기관 입구에서 어긋난 방향을 향하여 전진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삽관튜브가 환자의 기관 입구를 향하여 정확하게 전진되도록 삽관 지원구를 작동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삽관튜브가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될 때 삽관 지원장치의 조작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 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삽관튜브가 환자의 목적부위에 삽입될 때 조작성이 우수한 삽관 지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삽관 지원장치는 기단부를 가지고 있는 장치본체; 환자의 입으로부터 환자의 목적부위 또는 그 부근으로 삽입되는 연장된 삽입부를 구비한 삽관 지원구; 및 삽입부의 선단부에 있는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포함하고, 삽입부에는, 삽관튜브가 환자의 목적부위에 삽입될 때, 삽관튜브를 목적부위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장치본체는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자 이미지에서 화면에 표시된 관찰부위로 삽관튜브의 전진방향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목표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삽관 지원장치에 따르면, 확실하고 단시간 내에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관할 수 있다. 즉, 삽관튜브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우수한 조작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가 화면에 표시된 관찰부위에 맞춰진 상태에서 삽관튜브가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밀어내어질 때, 화면에 표시된 전자 이미지에서 삽관튜브가 관찰부위를 향하여 전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더욱 확실하고 단시간 내에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삽관튜브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선단부를 가지고 있는 삽관 지원구에는 중심축이 있고,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은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은,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의 중심축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이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를 향하도록,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은 삽관 지지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더욱 확실하고 단시간 내에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삽관튜브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조작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관찰부위의 화상에 맞추어진 상태에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삽관튜브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관찰부위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더욱 확실하고 단시간 내에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삽관튜브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조작성을 가지는 것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는, 목표 마크의 중심이 화면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삽관 지원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의 색상은 적색이 아닌 다른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삽관 지원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목표 마크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의 색상은 녹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삽관 지원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목표 마크의 가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목표 마크는, 화면상에 프린팅 됨으로써 화면상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린팅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목표 마크가 쉽게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방향에 상관없이 소정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가이드 수단은, 삽입부가 환자의 관찰부위로 삽입된 상태에서, 삽관튜브가 가이드 수단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관튜브만 환자의 입에 삽입된 채로 남아있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에서, 촬상수단은, 장치본체에 구비된 촬상소자; 및 촬상된 피사체상을 촬상소자에 유도하기 위하여 삽관 지원구에 구비된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관 지원구의 선단 앞에 있는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촬상할 수 있게 되고, 얻어진 화상은 관찰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구성 및 효과 내지는 기타 목적, 구성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따라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A)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 1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로부터 삽관튜브가 밀어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화살표(C)가 가리키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 5의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의 삽관 지원구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삽관튜브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 3에서, 화면의 중심을 원점으로 설정한다. 중심으로부터 왼쪽으로 뻗는 방향을 양의 X축 방향으로 설정하고,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뻗는 방향을 음의 X축 방향으로 설정한다. 중심으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방향을 양의 Y축 방향으로 설정하고, 중심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방향을 음의 Y축 방향으로 설정한다. 또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5의 위쪽은 "기단" 또는 "기단부"라고 칭하고, 아래쪽은 "선단" 또는 "선단부"라고 칭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삽관 지원장치(100)는 장치본체(10), 삽관 지원구(11) 및 촬상수단(70)을 포함하고, 삽관 지원장치(100)는 이 세 가지 구성요소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지원장치(100)는 입(구강)을 통하여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되는 삽관튜브(200)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관한 이하 설명에서는 환자의 목적부위를 환자의 기관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의 각각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삽관 지원구(11)는 신장된 부재로 형성되고, 환자의 입(구강)에서부터 의식을 잃은 환자의 성문열(rima glottidis)(G)의 근처로 삽입되어 사용된다. 삽관 지원구(11)의 선단 측의 적절한 부분을 환자의 혀뿌리에 접촉함으로써 환자를 위한 공기 통로가 확보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지원구(11)는 삽입부(11C); 삽입부(11C)에 형성되어 있는 홈(가이드 수단)(15); 및 삽입부(11C)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중공부(12A)와 제 2 중공부(12B);를 포함한다.
삽입부(11C)는 직선부(11A); 및 굴곡되어 직선부(11A)의 선단 측으로부터 연속하여 뻗어있는 만곡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부(11A)의 외주면은 대체로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또한, 직선부(11A)의 기단부는 수나사(111)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111)는 장치본체(10)의 접속부재(101)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102)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있다(도 4 참조). 수나사(111)가 암나사(102)와 나사결합될 때, 삽관 지원구(11)는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가 되도록 장치본체에 설치된다.
또한, 직선부(11A)의 수나사(111)를 장치본체(10)의 암나사(102)로부터 해체함으로써, 삽관 지원구(11)가 장치본체(10)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므로, 환자를 위해 사용된 삽관 지원구(11)를 장치본체(10)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삽관 지원구(11)를 장치본체(10)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11B)는 직선부(11A)의 선단 측으로부터 연속적으 로 뻗어있다. 만곡부(11B)는 그 선단이 직선부(11A)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경사각(θ)(도 8 참조)은 제한되지 않으나, 70°내지 140°가 바람직하고, 90°내지 1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삽입 보조수단(11)에서, 전체 형상이 L형상이 되도록 직선부(11A)와 만곡부(11B)에 의하여 삽입부(11C)를 구성함으로써, 삽관 지원구(11)는 환자의 입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공기 통로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11B)의 선단에, 플레이트 형상의 돌출부(설편)(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2)는 환자의 공기 통로를 확보하였을 때 환자의 혀뿌리 또는 후두개를 밀어올리거나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지원구(11)(삽입부(11C))의 측부에는, 직선부(11A)의 중간부터 만곡부(11B)의 선단부까지 홈(가이드 수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15)은, 삽관 지원구(11)에 의하여 공기 통로가 확보된 후에 삽관튜브(200)가 성문열(G)(기관)로 삽관될 때, 환자의 입으로부터 환자의 성문열(G)로 삽입되는 삽관튜브(200)를 가이드 또는 인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지원구(11)의 만곡부(11B) 부분에서(즉, 삽관 지원구(11)의 선단부에서), 홈(15)의 중심축(O3)은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과 대체로 평행하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홈(15)의 선단은 중심축(O3)의 방향을 향하여, 즉 돌출부(112)의 돌출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삽관튜브(200)는 환자의 공기 통로가 확보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5) 내부로 삽입되어,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을 향하여 전진된다. 이 경우에, 삽관튜브(200)는 홈(15)의 내벽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홈(15) 내부로 미끄러지며 전진된다. 그 후, 삽관튜브(200)의 선단은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환자의 후두 뒤에 위치한 성문열(G)을 향하여 전진된다(도 6 참조).
홈(15)은 C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삽입부(11C)가 환자의 성문열(G)에 삽입된 채로 유지된 상태에서, 개구(슬릿)(151)를 통하여 삽입튜브(200)가 홈(15)으로부터 제거 또는 탈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삽관튜브(20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상태로 삽관튜브(200)만 환자의 구강 내부에 남겨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홈(15)의 단면은 대체로 C형상이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U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홈(15)의 폭(최대 폭)은 삽관튜브(200)의 외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삽관튜브(200)는 홈(15) 내부로 매끄럽게 전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중공부(12A)가 삽관 지원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중공부(12A)는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있다(예컨대, 도 6 참조). 제 1 중공부(12A)는 단면이 대체로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중공부(12A)는 삽관 지원구(11)(즉, 직선부(11A))의 기단에서 개방되어 있고, 삽관 지원구(11)(즉, 만곡부(11B))의 선단에서 폐쇄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중공부(12A)의 선단을 폐쇄하는 삽관 지원구(11)의 부분은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중공부(12A)의 중심축(O4)은 돌출부(112)의 기단 부근에 있는 제 1 중공부(12A)의 부분(114)까지는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평행하고, 굴곡점(114)를 넘어서는 제 1 중공부(12A)의 중심축(O4)은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내부 보어(1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촬상수단(70)의 시야의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축(O5)도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즉,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중공부(12A)의 내부에는 촬상수단(70)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섬유 다발(13A) 및 광섬유 다발(13A)의 앞에 위치하고 있는 대물렌즈(13B)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수단(7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중공부(12B)도 또한 삽관 지원구(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제 2 중공부(12B)의 직경은 제 1 중공부(12A)의 직경보다 작다. 제 2 중공부(12B)는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중공부(12B)의 양단은 삽관 지원구(11)의 선단 및 기단에서 각각 개방되어 있다. 즉, 제 2 중공부(12B)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중공부(12B)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삽관 지원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는 펌프(도면에 미도시) 등의 흡입수단을 이용하여, 공기 통로 내부의 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삽관 지원구(11)의 구성재료가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폴리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0)는 손잡이부(103), 디스플레이부(20), 손잡이부(103)를 디스플레이부(2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04), 및 접속부재(101)를 포함하고 있다.
손잡이부(103)는 조립된 상태의 삽관 지원장치(100)가 실제로 사용될 때 사용자가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쥐게 되는 하는 삽관 지원장치(100)의 일부분이다(도 3 참조). 도 3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부(103)를 쥐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손잡이부(103)의 외부 윤곽은 대체로 원주형상이다. 이러한 형상 때문에, 손잡이부(103)를 쉽고 확실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조립상태에 있는 삽관 지원장치(100)를 조작하여 삽관 지원구(11)를 환자의 기관으로 쉽고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103)의 선단부에는 접속부재(101)가 설치되어 있는데, 접속부 재(101)는 장치본체(10)(손잡이부(103))의 중심축(O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재(101)는 환형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재(101)의 외주면에서는 암나사(10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102)는 삽관 지원구(11)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부(103)의 기단부에는, 손잡이부(103)로부터 뻗어있는 연결부(104)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연결부(104) 상에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는 연결부(104), 즉 장치본체(10)의 기단부 상에 제공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외측 둘레가 장방형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촬상수단(70)에 의해 촬상된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21)을 포함하고 있다.
화면(21)은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EL 등으로 만들어지고, 촬상수단(70)으로부터 촬상된 화상광에 기초하여 화상(전자 이미지)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장치본체(10)의 측면(105)으로부터 뻗는 면을 따라 장치본체(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기구(30)를 통하여 장치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는 디스플레이부(20)가 장치본체(10)와 접하고 있는 위치(도 1 및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를 의미하고, 제 2 위치는 디스플레이부(20)가 장치본체(10)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를 의미한다.
회동기구(3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각각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다르게, 회동기구(3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계단식이 아닌 방식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계단식으로 소정의 위치(예컨대, 5단계) 중 일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는 장치본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삽관 지원구(11)의 위치에 상관없이 디스플레이부(20)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삽관 지원구(11)를 환자의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이하, 이러한 과정을 간단히 "삽입과정"이라고 한다)을 쉽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삽입과정은 환자의 경부를 후방으로 굽히지 않고서도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삽관 지원구(11)를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하는 삽입과정 중에 삽관 지원구(11)의 방향과 자세가 다양하게 변하거나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삽입과정 중에 디스플레이부(20)를 적절한 각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를 최적의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촬상수단(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촬상수단(70)은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촬상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촬상수단(70)은 이미지 가이드(13), 확대 광학계(17), CCD(촬상소자), 및 컨트롤러(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삽관 지원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미지 가이드(13)는 제 1 중공부(12A)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가이드(13)는 광섬유 다발(13A) 및 광섬유 다발(13A) 앞에 제공되어 있는 대물렌즈(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지 가이드(13)는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관찰부위로부터 반사된 반사광(화상 광)을 대물렌즈(13B)를 통하여 취하고, 이에 따라 취하여진 화상 광(피사체 상)은 광섬유 다발(13A)을 통하여 CCD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삽관 지원구(11)에 의하여 환자의 공기 통로가 확보되었을 때 환자의 성문열이나 그 근처(즉, 후두에서 성문열까지의 영역)의 화상 광(전자 이미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것과 관련하여, 이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에 표시되는 성문열의 화상을 "성문열 화상(G1)"이라고 칭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가이드(13)는 관찰부위의 화상 광(피사체 상)을 촬상소자로 유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광섬유 다발(13A)은 석영, 다성분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다수의 광섬유를 묶어서 만들어진다.
CCD(16)는 장치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장치본체(10)에서,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CCD(16)는 이미지 가이드의 기단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미지 가이드(13)에 의하여 얻어진 화상 광에 기초하여 CCD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즉,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관찰부위에서의 화상이 CCD(16)에 의하여 형성된다.
확대 광학계(17)는 확대렌즈(17A 및 17B) 및 조리개(17C)로 구성되어 있고, 확대 광학계(17)는 이미지 가이드(13)의 기단과 CCD(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화상 광에 기초한 화상이 확대된 상태로 CCD(16)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확대 광학계는 상기 광학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0)(화면(21)) 상에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러(18)도 장치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은 CCD(16)에 의하여 형성된 전자 이미지를 컨트롤러(18)의 제어 하에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에는, 삽관 지원구(11)에 의하여 환자의 공기 통로가 확보된 상태에서 환자의 성문열을 나타내는 화상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삽관 지원장치(100)와 함께 사용되는 삽관튜브(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튜브(200)는 튜브본체(201) 및 튜브본체(201)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부(202)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본체(201)는 엘라스토머, 고무 등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튜브본체(201)의 단면은 대체로 원형이다.
커넥터부(202)는, 인공호흡장치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행할 때,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상기 구성을 갖춘 삽관튜브(200)를 사용함으로써, 삽관튜브(200)가 환자의 기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공호흡장치로부터 환자의 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마크(80)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에 제공된다. 목표 마크(80)는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자 이미지에서 성문열 화상(G1) 방향으로 삽관튜브(200)의 전진 방향을 조정 또는 설정하기 위한 기준 마크의 역할을 한다.
목표 마크(80)의 중심(801)은 화면(21)의 중심(C)(즉, 원점)으로부터 음의 X축 방향 및 양의 Y축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이동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이 환자의 성문열(G1) 근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과 촬상수단(70)의 시야의 중심축(O5)(즉, 제 1 중공부(12A)의 중심축(O4))의 교점(M)은 성문열(G)(도 6에서 하측)의 약간 앞쪽에 위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성문열의 중심(G2)은 중심축(O5)으로부터 거리(L1)만큼 벗어나 있다. 음의 X축 방향으로 편심된 목표 마크(80)의 중심(801)의 편심거리(L2)는 거리(L1)과 상응하도록 결정된다.
상기 위치에 상기와 같은 목표 마크(80)를 제공함으로써, 목표 마크(80)가 화면(21)에 표시된 성문열 화상(G1)과 중첩된 상태(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삽관튜브(200)가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으로부터 밀어내어 질 때, 화면(21)에 표시된 전자 이미지에서 전자 이미지로 표시되어 있는 삽관튜브(200)의 선단은 성문열 화상(G1)을 향하여 전진된다. 그 결과,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으로부터 밀려나온 삽관튜브(200)는 성문열(G)를 향하여 적절하게 전진되어(도 6 참조), 성문열(G) 내부로 확실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삽관 지원장치(100)는 환자의 성문열(G) 내부로 삽관튜브(200)를 삽입함에 있어서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마크(80)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중심(801)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선분(802)이 포함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 목표 마크(80)에는 네 개의 선분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801)을 향하고 있는 선분(802)의 끝은 중심(801)에까지 뻗지는 않는다.
또한, 선분(802)의 개수는 네 개로 한정되지 않고,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목표 마크(80)의 색상은 특정한 색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적색 이외의 색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녹색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색상을 목표 마크(80)의 색상으로 선택함으로써, 삽관 지원장치(100)가 실제로 사용되는 상태, 즉 화면(21)에 일반적으로 불그스레하게 나타나는 성문열(G) 근처의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목표 마크(80)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목표 마크(80)를 제공함으로써, 삽관 지원장치(100)는 환자의 성문 열(G) 내부로 삽관튜브(200)를 삽입함에 있어서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색의 보색인 녹색을 목표 마크(80)의 색상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삽관 지원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화면(21)에 표시되는 관찰부위의 화상에 집중하더라도 목표 마크(80)를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화면(21)상에 목표 마크(80)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목표 마크(80)를 화면(21)상에 프린팅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화면(21)에 목표 마크(80)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화면(21)이 액정표시장치이고 관찰부위의 화상이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목표 마크(80)를 표시된 전자 이미지에 중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삽관 지원장치(100)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삽관 지원장치(100)를 조립할 때, 이미지 가이드(13)(광섬유 다발(13A))의 기단은 장치본체(10)와 먼저 연결된다.
그 후, 장치본체(10)에 연결된 이미지 가이드(13)는 삽관 지원구(11)의 제 1 중공부(12A)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삽관 지원구(11)의 수나사(111)가 장치본체(10)의 암나사(102)에 나사결합된다. 삽관 지원구(11)를 장치본체(10)에 결합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의 예로서, 래칫 메커니즘 방식, 바이요넷 마운팅(bayonet mounting) 방식, 캠 방식, 로킹 클 로(locking claw) 방식 및 자력 방식 등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삽관 지원구(11)의 선단부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의 수직선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대물렌즈(13B)를 통하여 관찰될 수 있는 관찰부위의 방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을 모니터링 하는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에 표시되는 화상에 기초하여 삽관 지원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따라 조립된 삽관 지원장치(100)에 있어서, 삽관 지원구(11)의 만곡부(11B)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홈(15)의 중심축(O3)은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과 대체로 평행하다. 그러므로, 만곡부(11B)에서 홈(15)에 삽입된 삽관튜브(200)의 중심축(O6)도 역시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체로 평행하다(도 6 참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중공부(12A)는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고, 만곡부(11B)에서 굴곡점(114)을 넘어선 제 1 중공부(12A)의 중심축(O4)은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촬상수단(70)의 시야의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축(O5)도 역시 삽관 지원 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의 중심축(O3)(즉, 홈(15)에 의해 유지되는 삽관튜브의 중심축(O6))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예컨대 도 6 참조).
다음으로, 조립상태의 삽관 지원장치(100)의 사용(작동)에 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삽관 지원장치(100)는 환자가 의식을 잃고, 삽관튜브(200)를 환자의 기관으로 삽입할 필요가 있는 순간에 사용된다.
[1] 먼저, 삽관튜브(200)의 삽입을 위한 준비로서 삽관 지원장치(100)가 조립되고, 조명용 LED(도면에 미도시)와 액정 화상이 절절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2] 다음으로, 삽관 지원장치(100)의 삽관 지원구(11)가 환자의 입을 통하여 환자의 성문열(G) 내부로 삽입된다(밀어 넣어진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삽관 지원구(11)의 만곡부(11B)의 내측이 혀뿌리를 따라 뻗도록 하면서, 삽관 지원구(11)가 환자의 입 안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측의 적절한 부분이 환자의 혀뿌리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환자의 공기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이때, 삽관 지원구(11)는 도 6의 상태에 있다. 즉,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은 성문열(G)의 약간 앞쪽에 위치되어 있고,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과 촬상수단(70)의 시야의 중심축(O5)의 교점(M)도 역시 성문열(G)의 약간 앞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삽관 지원구(11)를 환자의 입 안으로 삽입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을 모니터링 하면서 삽관 지원구(11)를 조작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삽관 지원구(11)를 정확하게 조작하여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이 환자의 성문열(G)을 향하여 전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삽관 지원구(11)에서, 디스플레이부(20)가 장치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삽관 지원구(11)를 환자의 성문열(G) 또는 그 근처로 삽입하는 삽입과정 중에 삽관 지원구(11)의 방향과 자세가 다양하게 변하거나 회전하더라도, 삽입과정 중에 디스플레이부(2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최적의 각도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에 의하여 공기 통로가 확보되면, 환자의 성문열 및 그 부근(즉, 관찰부위)의 화상이 촬상된다.
[4] 그런 다음, 전 단계에서 얻어진 피사체 상이 컨트롤러(1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보내어지고, 환자의 성문열과 그 근처의 전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21)에 표시된다.
[5] 그런 다음, 삽관 지원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조작된다. 즉, 삽관 지원장치(100)는 목표 마크(80)가 화면(21)에 표시되어 있는 성문열 화상(G1)에 중첩되도록 조작된다. 그 결과, 성문열(G)은 홈(15)에 의해 유지되는 삽관튜브(200)의 중심축(O6)의 연장선상에 위치된다(도 6 참조).
[6] 그런 다음, 상기 [5]에서 설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관튜브(200)는 삽관 지원구(11)의 기단부로부터 홈(15) 내부로 삽입된다. 홈(15)에 삽입된 삽관튜브(200)는 전방으로 밀려서, 삽관튜브(200)가 홈(15) 내부에서 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되게 된다. 삽관튜브(200)를 더욱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삽관튜브(200)는 곡률부(11B)에서 굴곡되면서 홈(15)의 선단에 다다르게 되고, 삽관튜브(200)는 삽관 지원구(11)의 기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삽관튜브(200)의 전자 이미지가 화면(21)에 표시된 화상에서 나타나고, 삽관튜브(200)가 성문열 화상(G1)을 향하여 전진되고 있는 상황이 관찰될 것이다.
그러므로, 삽관튜브(200)는 성문열(G)에 다다르게 된다. 그런 다음, 삽관튜브(200)를 더욱 전진시킴으로써, 삽관튜브(200)가 성문열(G)을 통하여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관 지원장치(100)에서 삽관 지원구(11)의 만곡부(11B)의 영역에서, 홈(15) 내부에 유지되어 있는 삽관튜브(200)의 중심축(O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삽관 지지수단(11)의 중심축(O1)과 대체로 평행하고, 촬상수단(70)의 시야의 중심에 상응하는 중심축(O5)도 역시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삽관 지원구(11)의 중심축(O1)에 대하여 홈(15)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전술한 상기 중심축들 사이의 배치 때문에, 목표 마크(80)의 중심은 화면(21)의 중심(C)으로부터 편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목표 마크(80)가 화면(21)에 표시되어 있는 성문열 화 상(G1)에 중첩되어서, 삽관 지원구(1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관튜브(200)의 전진방향 앞에 성문열(G)이 위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환자의 성문열(G)을 통하여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관튜브(200)가 짧은 시간 내에 확실하게 삽관될 수 있다. 즉, 삽관 지원장치(100)는 삽관튜브(200)의 삽관 과정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7] 삽관튜브(200)가 기관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삽관튜브(200)를 변형시켜 홈(15)으로부터 탈착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관 지원구(11)는 환자의 입으로부터 제거, 즉 꺼내어서 삽관튜브(200)만 환자의 입 안에 삽입되어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삽관튜브(200)는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관될 수 있다.
삽관튜브(200)의 기단은 일반적으로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되고, 환자의 성문열을 통하여 환자의 기관 내부로 삽입된 삽관튜브(200)를 통하여 인공호흡장치로부터 환자의 기관 내부로 공기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삽관 지원장치를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하였지만,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상기 삽관 지원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 및 성분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것들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요소 외에 다른 임의의 구성요소가 부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지만, 디스플레이부가 장치본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목표 마크는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음의 X방향 및 양의 Y방향으로 편심되게 이동된 위치에 있을 수도 있지만, 목표 마크(80)는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양의 X방향 또는 음의 X방향 중 어느 한 방향, 또는 양의 Y방향 또는 음의 Y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편심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목표 마크는 복수의 선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목표 마크는 원형, 정방형, 장사방형, 장방형 및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형상을 2이상 임의로 조합한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화면에 목표 마크를 형성하는 방법은 전수한 프린팅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목표 마크는 조각, 화면에 목표 마크를 붙이는 방법, 및 목표 마크를 전자 이미지로 형성하는 방법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하여 화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삽관 지원장치에 의하면, 확실하고 단시간 내에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관튜브를 삽관할 수 있다. 즉, 삽관튜브를 환자의 목적부위로 삽입하는 데에 있어서 우수한 조작성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11)

  1.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 반대편의 선단부를 가지고 있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 본체의 선단부 상에 제공되며, 환자의 입으로부터 환자의 목적부위 부근으로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를 구비한 삽관 지원구;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에 있는 관찰부위의 상을 전자 이미지로 촬상하는 촬상수단; 및
    상기 장치본체의 기단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전자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삽관 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삽관튜브가 상기 환자의 상기 목적부위에 삽입될 때, 상기 삽관튜브를 상기 목적부위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자 이미지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관찰부위로 상기 삽관튜브의 전진방향을 조절 또는 설정하기 위한 목표 마크가 표시되어 있고,
    상기 삽관 지원구는 중심축을 갖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은 상기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은 상기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의 중심축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이 상기 가이드 수단에 삽입되어 있는 삽관튜브를 향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의 시야의 중심축은 상기 삽관 지원구의 선단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전자 이미지의 관찰부위에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삽관튜브가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부터 밀어내어질 때,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전자 이미지에서 상기 삽관튜브가 상기 관찰부위를 향하여 전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전자 이미지의 관찰부위에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삽관튜브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관찰부위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는, 상기 목표 마크의 중심이 상기 화면의 중심에 대하여 편 심된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의 색상은 적색이 아닌 다른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의 색상은 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마크는, 상기 화면상에 프린팅 됨으로써 상기 화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삽입부가 환자의 관찰부위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관튜브가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된 촬상소자; 및 촬상된 피사체상을 상기 촬상소자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삽관 지원구에 구비된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지원장치.
KR1020060103245A 2005-10-24 2006-10-24 삽관 지원장치 KR101269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09153A JP4761928B2 (ja) 2005-10-24 2005-10-24 挿管支援装置
JPJP-P-2005-00309153 2005-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78A KR20070044378A (ko) 2007-04-27
KR101269067B1 true KR101269067B1 (ko) 2013-05-29

Family

ID=3754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45A KR101269067B1 (ko) 2005-10-24 2006-10-24 삽관 지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79951B2 (ko)
JP (1) JP4761928B2 (ko)
KR (1) KR101269067B1 (ko)
DE (1) DE102006050073B4 (ko)
FR (1) FR2892291B1 (ko)
GB (1) GB24315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3870B2 (en) 2004-09-24 2015-05-19 Vivid Medical, Inc. Pluggable vision module and portable display for endoscopy
US8827899B2 (en) * 2004-09-24 2014-09-09 Vivid Medical, Inc. Disposable endoscopic access device and portable display
US8878924B2 (en) * 2004-09-24 2014-11-04 Vivid Medical, Inc. Disposable microscope and portable display
US8858425B2 (en) 2004-09-24 2014-10-14 Vivid Medical, Inc. Disposable endoscope and portable display
US7464539B2 (en) * 2005-04-29 2008-12-16 Emcon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ir to emission abatement device by use of turbocharger
US7921847B2 (en) 2005-07-25 2011-04-12 Intubix, Llc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within a patient an enteral tube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US8863746B2 (en) * 2005-07-25 2014-10-21 Kim Technology Partners, LP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within a patient an enteral tube after endotracheal intubation
US8495999B2 (en) * 2007-08-04 2013-07-30 John Adam Law Airway intubation device
US8166967B2 (en) * 2007-08-15 2012-05-01 Chunyuan Qiu Systems and methods for intubation
EP3199094B1 (en) 2007-08-28 2020-10-21 Aircraft Medical Limited Laryngoscope insertion section
GB0716672D0 (en) 2007-08-28 2007-10-03 Aircraft Medical Ltd Laryngoscope
WO2009051698A2 (en) * 2007-10-12 2009-04-23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Catheter guided endotracheal intubation
JP5145587B2 (ja) 2007-12-27 2013-02-20 晃一 角田 口腔挿入具および口腔咽頭鏡装置
US9078615B2 (en) 2008-10-30 2015-07-14 Indian Ocean Medical Inc. Guiding device for use with laryngoscope
GB0819942D0 (en) 2008-10-30 2008-12-10 Indian Ocean Medical Inc Guiding device for use with laryngoscope
WO2010083717A1 (zh) * 2009-01-22 2010-07-29 Jiang Wenqiang 用于困难插管的带气管插管引导槽的视频喉镜及插管方法
US8468637B2 (en) 2009-02-06 2013-06-25 Endoclear Llc Mechanically-actuated endotracheal tube cleaning device
US8382908B2 (en) 2009-02-06 2013-02-26 Endoclear, Llc Methods for cleaning endotracheal tubes
GB0903610D0 (en) * 2009-03-03 2009-04-08 Aircraft Medical Ltd Insertion section for laryngoscope with lateral tube guide
GB0906688D0 (en) 2009-04-17 2009-06-03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US9833586B2 (en) * 2009-05-18 2017-12-05 Nihon Kohden Corporation Intubation assistance instrument, intubation assistance apparatus and intubation assistance system
US7862173B1 (en) 2009-07-29 2011-01-04 VistaMed, LLC Digital imaging ophthalmoscope
GB0915107D0 (en) * 2009-08-28 2009-10-07 Indian Ocean Medical Inc Laryngoscope
WO2011038126A1 (en) * 2009-09-25 2011-03-31 Spectrum Health Innovations, LLC Laryngoscope guide and related method of use
US9179831B2 (en) * 2009-11-30 2015-11-10 King Systems Corporation Visualization instrument
US9445714B2 (en) 2010-03-29 2016-09-20 Endoclear Llc Endotracheal tube coupling adapters
EP2552293B1 (en) 2010-03-29 2015-01-07 Endoclear LLC Airway cleaning and visualization
US8894569B2 (en) * 2010-04-21 2014-11-25 Chunyuan Qiu Intubation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airway pattern identification
US9795753B2 (en) 2012-03-07 2017-10-24 Chunyuan Qiu Intuba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CN102665524B (zh) 2010-12-24 2013-09-2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装置
JP4896273B1 (ja) 2010-12-24 2012-03-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896272B1 (ja) 2010-12-24 2012-03-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EP2636358B1 (en) 2010-12-24 2019-04-03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apparatus
USD668566S1 (en) * 2011-05-09 2012-10-09 Emerson Electric Co. Display housing for a handheld inspection device
USD668567S1 (en) * 2011-05-09 2012-10-09 Emerson Electric Co. Display housing for handheld inspection device
US8715171B2 (en) * 2011-06-28 2014-05-06 Njr Medical, Inc. Insertion aid device
US8177710B1 (en) * 2011-08-02 2012-05-15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device
US8182416B1 (en) * 2011-08-02 2012-05-22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device
US10004863B2 (en) 2012-12-04 2018-06-26 Endoclear Llc Closed suction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14135715A1 (es) * 2013-03-06 2014-09-12 Medcom Flow, S.A. Videomascarilla laríngea con lengüeta rígida retráctil y con medios para la ventilación y la intubación
US20140257039A1 (en) * 2013-03-08 2014-09-11 Joel Feldman Surgical retractor with smoke evacuator
USD763261S1 (en) * 2013-04-30 2016-08-09 Symbol Technologies, Llc Ergonomic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50173598A1 (en) * 2013-12-19 2015-06-25 Mark Alexander Intubating Airway
USD729247S1 (en) * 2014-05-29 2015-05-12 Symbol Technologies, Inc. Mobile computer
EP3151898B1 (en) 2014-06-03 2021-03-24 Endoclear LLC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GB2538552B (en) * 2015-05-21 2020-03-11 Intersurgical Ag Video laryngoscopes
USD807374S1 (en) 2015-07-21 2018-01-09 Symbol Technologies, Llc Bezel component for a mobile computer device
USD781860S1 (en) 2015-07-21 2017-03-21 Symbol Technologies, Llc Mobile computer device
CN107924052B (zh) * 2015-08-13 2020-10-30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具有光学感测的导管
JP7084684B2 (ja) * 2016-02-08 2022-06-15 宝来メデック株式会社 喉頭カメラ
JP7037410B2 (ja) * 2018-03-28 2022-03-16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挿管システム
KR102126656B1 (ko) * 2018-07-19 2020-06-25 경북대학교병원 후두경 및 후두경용 압박 유닛
CN109480964A (zh) * 2018-12-28 2019-03-19 首医大三博脑科医院(北京)有限公司 一种可视化垂体腺瘤切除器
USD918210S1 (en) 2019-04-04 2021-05-04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ata captur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756A (ja) * 2003-11-13 2005-06-09 Scalar Corp 経口エアウェイ、及び気道確保補助器具
JP2005211535A (ja) * 2004-01-30 2005-08-11 Olympus Corp 挿入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919A (en) 1976-07-09 1978-05-02 Bullard James R Laryngoscope
US4337761A (en) 1979-11-28 1982-07-06 Upsher Michael S Laryngoscope
JPS60237419A (ja) * 1984-05-09 1985-11-2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測長光学アダプタ
US4742819A (en) 1987-03-23 1988-05-10 George Gordon P Intubating scope with camera and screen
US5263472A (en) 1989-05-26 1993-11-23 Ough Yon D Laryngoscope blade
US5063907A (en) 1989-06-14 1991-11-12 Musicant Belmont S Disposable and/or sterilizable cushioning device for a laryngoscope
DE4105651A1 (de) 1991-02-22 1992-09-03 Kabelschlepp Gmbh Energiefuehrungskette
US5287848A (en) 1991-09-30 1994-02-22 Anthony Cubb Easy intubator
DE4207901C3 (de) * 1992-03-12 1999-10-07 Aesculap A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arstellung eines Arbeitsbereiches in einer dreidimensionalen Struktur
US5363838B1 (en) 1992-12-09 2000-03-28 Gordon P George Fiberoptic intubating scope with camera and lightweight portable screen and method of using same
US6554765B1 (en) * 1996-07-15 2003-04-29 East Giant Limited Hand held, portable camera with adaptable lens system
US5800344A (en) * 1996-10-23 1998-09-01 Welch Allyn, Inc. Video laryngoscope
US5827178A (en) 1997-01-02 1998-10-27 Berall; Jonathan Laryngoscope for use in trachea intubation
USD399957S (en) 1997-06-05 1998-10-20 Mikhail Chernov Laryngoscope blade
US6655377B2 (en) * 1997-12-01 2003-12-02 Saturn Biomedical Systems Inc. Intubation instrument
US6543447B2 (en) 1997-12-01 2003-04-08 Saturn Biomedical Systems Inc Intubation instrument
DE69928092T2 (de) * 1998-03-31 2006-08-10 Transvascular, Inc., Menlo Park Gewebedurchdringende katheter mit wandler zur bildgebung und zugehörige anwendungsmethoden
JP2000175867A (ja) 1998-12-15 2000-06-27 Moritex Corp 喉頭鏡
US6652453B2 (en) * 1999-03-03 2003-11-25 Vincent A. Smith Portable video laryngoscope
WO2001078582A1 (es) 2000-04-18 2001-10-25 Page 65, S.L. Laringoscopio optico-luminoso
US7181728B1 (en) * 2001-04-30 2007-02-20 Mips Technologies, Inc. User controlled trace records
US6494828B1 (en) 2001-07-23 2002-12-17 Jonathan Berall Laryngoscope
AU2002305038A1 (en) * 2002-03-06 2003-09-29 Martin P. Graumann Digital laryngoscope
US7182728B2 (en) 2002-07-24 2007-02-27 Intubation Plus, Inc. Laryngoscope with multi-directional eyepiece
JP2004313271A (ja) * 2003-04-11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US20060004258A1 (en) * 2004-07-02 2006-01-05 Wei-Zen Sun Image-type intubation-aiding device
JP4814504B2 (ja) * 2004-09-27 2011-11-16 淳一 小山 挿管支援具および挿管支援装置
JP3108837U (ja) 2004-11-12 2005-04-28 一 村上 気管挿管用小型カメラ無線システム
USD533939S1 (en) * 2005-02-23 2006-12-19 Optim, Inc. Control handle with a display for an endoscop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756A (ja) * 2003-11-13 2005-06-09 Scalar Corp 経口エアウェイ、及び気道確保補助器具
JP2005211535A (ja) * 2004-01-30 2005-08-11 Olympus Corp 挿入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92291B1 (fr) 2010-10-15
GB2431541A (en) 2007-04-25
JP2007117116A (ja) 2007-05-17
DE102006050073A1 (de) 2007-04-26
GB2431541B (en) 2011-07-20
US20070106117A1 (en) 2007-05-10
GB0621226D0 (en) 2006-12-06
DE102006050073B4 (de) 2016-02-11
JP4761928B2 (ja) 2011-08-31
FR2892291A1 (fr) 2007-04-27
KR20070044378A (ko) 2007-04-27
US8079951B2 (en) 201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067B1 (ko) 삽관 지원장치
KR101317237B1 (ko) 삽관 지원 장치
US9949629B2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AU2005232398B2 (en) Laryngeal mask airway device
AU2020280985B2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US10286171B2 (en) Endotracheal tube insertion device
EP2996539A1 (en) Video laryngoscope systems
JP2013056141A (ja) 気管挿管器具
JP4634520B1 (ja) 内視鏡式気管内挿管装置
US20180147381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WO2006055934A2 (en) Intubating bronchoscope
CN114423328A (zh) 内窥镜
JP2015054244A (ja) 気管挿管用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