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958B1 -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958B1
KR101268958B1 KR1020120038989A KR20120038989A KR101268958B1 KR 101268958 B1 KR101268958 B1 KR 101268958B1 KR 1020120038989 A KR1020120038989 A KR 1020120038989A KR 20120038989 A KR20120038989 A KR 20120038989A KR 101268958 B1 KR101268958 B1 KR 10126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terminal
sensor
status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현
송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671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689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업
Priority to KR10201200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및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에 전송하는 경보장치부; 단말기 및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경보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황데이터 및 상기 빨래방기기로부터 수집되는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빨래방기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 내부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빨래방의 개폐장 및 빨래방기기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자가 상주하지 않는 무인빨래방에서 화재, 도난 및 고장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LESS WASHING ROOM MANAGEMENT USING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영자가 상주하지 않는 무인빨래방에서 화재, 도난 및 고장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사회 구조가 서구화됨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 패턴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맞벌이 부부 및 독신남녀의 비중이 증가하고 시간 절약과 편리함이 중시됨에 따라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던 세탁 활동을 세탁소나 빨래방과 같은 곳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하여 고객 수요에 맞추어 단시간 내에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무인빨래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무인빨래방은 빨래방 내에 세탁기와 건조기만 구비되어 있으면 무인으로 운영이 가능하여 상주 인력 구축에 대한 부담이 없으며, 24시간 운영체제가 가능하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함에 따라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07912호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점포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2002.01.29)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인빨래방은 운영자가 빨래방 내에 항시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은 빨래방기기 고장 및 금액 미환불과 같은 기계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당황할 수 있어 곤혹을 치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인빨래방의 운영자 또한 기계 오작동, 화재 및 도난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없고 확인하더라도 원격지에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없으며, 빨래방의 운영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운영자가 빨래방 내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빨래방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원격제어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세탁장비 재작동 및 금액 환불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화재 및 경보센서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더 큰 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빨래방 내의 수도, 가스, 전기의 공급상태 및 사용량, 매출 등 매장의 운영 상태를 운영자나 본사에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네트워크 시설을 구축하여 PC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빨래방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운영 관리가 용이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은, CCTV, 화재감지센서, 가스경보센서, 침입경보센서, 도어락센서, 수위센서 및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에 전송하는 경보장치부; 상기 경보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황데이터 및 빨래방기기로부터 수집되는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RS232 또는 RS485 통신하여 상기 빨래방기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 내부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빨래방의 개장, 폐장 및 빨래방기기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경보장치부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경보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입력되는 사용내역, 빨래방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세제잔량상태 및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에 상기 빨래방기기고장이 감지되면 해당 빨래방기기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은,단말기 및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에 있어서, 중앙제어부가 CCTV, 화재감지센서, 가스경보센서, 침입경보센서, 도어락센서, 수위센서 및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 및 상기 빨래방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내역, 빨래방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세제잔량상태 및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중앙제어부가 상기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RS232 또는 RS485 통신하여 상기 빨래방기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중앙제어부가 제공한 상기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빨래방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운영자가 빨래방 내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카메라 및 센서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빨래방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원격제어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세탁장비 재작동 및 금액 환불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화재 및 경보센서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더 큰 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빨래방 내의 수도, 가스, 전기의 공급상태 및 사용량, 매출 등 매장의 운영 상태를 운영자나 본사에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네트워크 시설을 구축하여 운영자가 항시 상주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건비 및 빨래방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빨래방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운영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보장치부(100), 중앙제어부(200), 단말기(300) 및 빨래방기기(400)를 포함한다.
경보장치부(100)는 카메라(11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카메라(110)는 CCTV와 같은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이며 다수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빨래방(1000)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또한, 센서(120)는 빨래방(100) 내부의 온도 및 연기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1), 빨래방(1000) 내부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경보센서(122), 출입구, 벽, 창문 등을 통해서 침입하는 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침입경보센서(123) 및 도어락센서(124), 급수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 및 전류감지센서(미도시) 등 다수의 경보센서가 구비되며 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120)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운영자가 빨래방(1000) 내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카메라(11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빨래방(1000)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화재 및 경보센서를 통해 비상상황 발생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더 큰 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상기 경보장치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상황데이터 및 빨래방기기(400)로부터 수집되는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빨래방기기(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중앙제어부(200)는 경보장치부(100)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시간 간격으로 경보데이터저장부(2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기기정보데이터는 빨래방(1000)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4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내역, 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및 세제잔량상태,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며, 이 중 실시간으로 어느 하나 이상 감지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기기(4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빨래방기기(400)는 세탁기, 건조기, 동전교환기 및 카드충전판매기와 같이 무인빨래방(1000)에 구비된 각종기기를 총칭한 것으로, 빨래방기기(400)는 RS232 또는 RS485 통신을 통해서 중앙제어부(200)에 기기정보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RFID 카드를 카드단말기에 접촉시키면 세탁기 및 건조기에 설정된 금액을 RFID 카드로부터 출금하여 금액 지불이 완료되고, 세탁기 및 건조기가 작동되며, 각 기기별로 카드단말기 자체에 사용 금액 및 사용횟수를 저장하도록 하여 RS232 또는 RS485 통신을 통해서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내역, 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세제잔량상태 등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중앙제어부(200)는 빨래방기기(400)로부터 수집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2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부(200)는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데이터 값 이상으로 판단되어 단말기(300)에 전송되면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빨래방기기(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데이터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화재, 가스누출, 도난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중앙제어부(200)에 설정된 119, 인근경찰서에 경보를 발생시키고, 운영자에게 자동 연락되며 원격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더 큰 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예시도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무인빨래방(1000) 내에 다수의 빨래방기기(400)가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카메라(110) 및 센서(120)가 구비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빨래방(1000) 내의 상황을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단말기(300)를 통해 원격제어 요청이 입력되면 중앙제어부(200)는 빨래방기기(400)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빨래방(1000) 내에 운영자가 상주하지 않아도 운영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중앙제어부(200)와 빨래방기기(400)는 TCP/IP 또는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등 유선통신 및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단말기(300)와는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자세히는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랜(예를들면 Wi-Fi, Wibro 등)으로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원격제어요청을 통해 빨래방(1000)의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단말기(300)는 중앙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1000) 내부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빨래방(1000)의 개장/폐장 및 빨래방기기(400)의 원격제어를 요청한다.
따라서, 빨래방(1000)을 24시간 개장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에 단말기(300)를 통해 폐장 요청을 할 수 있어 운영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 및 센서(120)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빨래방(1000)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드나 동전교환기에서 돈이 적게 나왔을 경우 단말기(300)로 원격제어하여 카드 및 동전이 재출력되도록 하여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고객의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빨래방기기(400)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여 작동 에러일 경우, 원격제어요청을 통해 빨래방기기(400)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타 빨래방기기(400)로 전환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빨래방(1000) 내의 수도 및 전기의 사용량, 매출 등 매장의 운영 상태를 운영자나 본사에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네트워크 시설이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어 PC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빨래방(1000)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300) 및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40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단말기(300)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으로 먼저, 중앙제어부(200)가 카메라(110) 및 센서(120)로부터 입력되는 상황데이터 및 빨래방기기(400)로부터 입력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수집한다(S10).
상황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카메라(110)는 CCTV와 같은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이며 다수대가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빨래방(1000)을 촬영하여 촬영된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하고, 센서(120)는 빨래방(1000) 내부의 온도 및 연기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1), 빨래방(1000) 내부의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경보센서(122), 출입구, 벽, 창문 등을 통해서 침입하는 자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침입경보센서(123), 도어락센서(124), 급수통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및 전류감지센서 등 다수의 경보센서가 구비되며 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120)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또한, 기기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기기정보데이터는 빨래방(1000)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4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내역, 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및 세제잔량상태,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며, 이 중 실시간으로 어느 하나 이상 감지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한다.
따라서,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기기(4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빨래방기기(400)는 세탁기, 건조기, 동전교환기 및 카드충전판매기와 같이 무인빨래방(1000)에 구비된 각종기기를 총칭한 것으로, 빨래방기기(400)는 RS232 또는 RS485 통신을 통해서 중앙제어부(200)에 기기정보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RFID 카드를 카드단말기에 접촉시키면 세탁기 및 건조기에 설정된 금액을 RFID 카드로부터 출금하여 금액 지불이 완료되고, 세탁기 및 건조기가 작동되며, 각 빨래방기기(400)별로 카드단말기 자체에 사용 금액 및 사용횟수를 저장하도록 하여 RS232 또는 RS485 통신을 통해서 중앙제어부(2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내역, 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세제잔량상태 등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중앙제어부(200)가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빨래방기기(4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0).
다시말해,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상시 관리되며 각 센서의 정상적인 데이터 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하고 실시간으로 센서의 데이터 값을 입력받아 수집하고 중앙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이때, 중앙제어부(200)에서 데이터 값 이상을 감지하면 계속 감지할 것인지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즉, 데이터 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화재, 가스누출, 도난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중앙제어부(200)에 설정된 119, 인근경찰서에 경보를 발생시키고, 운영자에게 자동 연락되어 단말기(300)로 원격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더 큰 사고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중앙제어부(200)가 제공한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하고, 빨래방(1000)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한다(S30).
따라서, 빨래방(1000)을 24시간 개장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에 단말기(300)로부터 원격제어 요청이 전송되면 폐장할 수 있어 운영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CTV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빨래방(1000) 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카드나 동전교환기에서 돈이 적게 나왔을 경우 단말기(300)로 원격제어하여 카드 및 동전이 재출력되도록 하여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고객의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빨래방기기(400)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여 작동 에러일 경우, 원격제어를 통해 빨래방기기(400)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타 빨래방기기(400)로 전환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0)와 빨래방기기(400)는 TCP/IP 또는 지그비 통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등 유선통신 및 근거리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단말기(300)와는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자세히는 PC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랜(예를들면 Wi-Fi, Wibro 등)으로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원격제어요청을 통해 빨래방(1000)의 운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에 따르면 빨래방(1000) 내의 수도 및 전기의 사용량, 매출 등 매장의 운영 상태를 운영자나 본사에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네트워크 시설을 구축하여 PC 또는 이동통신단말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빨래방(1000)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경보장치부 110 : 카메라
120 : 센서 200 : 중앙제어부
210 : 경보데이터저장부 220 :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
300 : 단말기 400 : 빨래방기기
1000 : 빨래방

Claims (8)

  1. CCTV, 화재감지센서, 가스경보센서, 침입경보센서, 도어락센서, 수위센서 및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중앙제어부에 전송하는 경보장치부;
    상기 경보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상황데이터 및 빨래방기기로부터 수집되는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RS232 또는 RS485 통신하여 상기 빨래방기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통해 빨래방 내부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빨래방의 개장, 폐장 및 빨래방기기의 원격제어를 요청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경보장치부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를 시간 간격으로 저장하는 경보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입력되는 사용내역, 빨래방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세제잔량상태 및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기기정보데이터저장부에 상기 빨래방기기고장이 감지되면 해당 빨래방기기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단말기 및 빨래방 내에 구비된 빨래방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에 있어서,
    중앙제어부가 CCTV, 화재감지센서, 가스경보센서, 침입경보센서, 도어락센서, 수위센서 및 전류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상황데이터 및 상기 빨래방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용내역, 빨래방기기고장, 매출현황, 급수상태, 배수상태, 진동상태, 세제투입상태, 세제잔량상태 및 전기공급상태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중앙제어부가 상기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의 데이터 값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유무선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RS232 또는 RS485 통신하여 상기 빨래방기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중앙제어부가 제공한 상기 상황데이터 및 기기정보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빨래방의 개장 및 폐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8989A 2012-04-16 2012-04-16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89A KR101268958B1 (ko) 2012-04-16 2012-04-16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989A KR101268958B1 (ko) 2012-04-16 2012-04-16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958B1 true KR101268958B1 (ko) 2013-05-29

Family

ID=4866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989A KR101268958B1 (ko) 2012-04-16 2012-04-16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402A (en) * 2013-04-26 2014-10-29 Dale Alexander Aggett A fire detector/alar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555B2 (ja) * 1999-11-01 2002-06-04 株式会社ソリッド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JP3520449B1 (ja) * 2003-06-16 2004-04-19 株式会社ケーディーエム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KR100505151B1 (ko) * 2004-07-12 2005-07-29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피디에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8289895A (ja) 2008-06-07 2008-12-04 Wash House Kk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7555B2 (ja) * 1999-11-01 2002-06-04 株式会社ソリッド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JP3520449B1 (ja) * 2003-06-16 2004-04-19 株式会社ケーディーエム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KR100505151B1 (ko) * 2004-07-12 2005-07-29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피디에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JP2008289895A (ja) 2008-06-07 2008-12-04 Wash House Kk コインランドリー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402A (en) * 2013-04-26 2014-10-29 Dale Alexander Aggett A fire detector/al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442B1 (en)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 system
ES2747959T3 (es) Disposición y método de supervisión de seguridad usando un campo de visión común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EP1701475A1 (en) Home appliance control in a virtual private network environment
KR101589363B1 (ko)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CN103198596A (zh) 智能联网报警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879759B1 (ko)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US11631309B2 (en) Security system communicator and keypad device
CN106408485A (zh) 安全智能社区家庭系统
JP4643060B2 (ja) 電力量計、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制御プログラム、電力量管理システム、データ送信制御方法
KR10126895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4097A (ko) 어드레스형 유무선 화재 경보 시스템
KR20120057829A (ko) 씨씨디 카메라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주차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284861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JP3843733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防犯監視システム
KR100971845B1 (ko) 기초생활정보 통합정보 관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065197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가스 검침과 가스 차단 시스템
JP6304659B2 (ja) 防犯管理システム
CN202652537U (zh) 具有多重传讯备援功能的保全主机
KR20210052374A (ko) 매장에 설치된 조명/간판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372947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발열부를 구비한 전열 시스템의 경보 및 제어 방법 과 이를 이용한 경보 및 제어 시스템
JP2005309488A (ja) 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04133B1 (ko)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JP2016048452A (ja) 警備システム
JP2024053859A (ja) 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34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824

Effective date: 201705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