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759B1 -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759B1
KR101879759B1 KR1020120081716A KR20120081716A KR101879759B1 KR 101879759 B1 KR101879759 B1 KR 101879759B1 KR 1020120081716 A KR1020120081716 A KR 1020120081716A KR 20120081716 A KR20120081716 A KR 20120081716A KR 101879759 B1 KR101879759 B1 KR 10187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home
server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776A (ko
Inventor
김보겸
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8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7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상의 댁내 가스밸브, 보일러, 도어락 등 설비에 장착된 디바이스와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설비의 상태나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해 원격 감시하고,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황에 맞게 필요한 설비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Remote Statu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acilities of Home Network Based on Context Aware}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네트워크 상의 댁내 가스밸브, 보일러, 도어락 등 설비에 장착된 디바이스와 M2M(Machine to Machine, 사물지능통신)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설비의 상태나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해 원격 감시하고,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황에 맞게 필요한 설비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20-2006-0001549, 10-2002-0020096 등 종래기술에서는, 가스밸브 등 댁내 설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서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로 설비의 상태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서버가 댁내 설비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가스중간밸브나 보일러, 도어락 등에 대해 예방적 차원의 관리가 불가하여 가스가 누출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 이벤트 발생후 이를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사후적 통보 방식이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에서 홈내 설비에 대한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홈내의 다른 M2M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종합하여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하여 안전하게 설비를 관리하고 위험에 대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상의 댁내 설비에 장착된 디바이스와 M2M 프로토콜 기반으로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설비의 상태나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해 원격 감시하고,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하면서 상황에 맞게 필요한 설비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상황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는 원격지에 있으면서 상황정보에 대한 궁금증에 대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 스스로 판단하여 인지된 상황에 맞게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홈내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상의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내 설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홈내 설비에 대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은,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가입자와 관련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홈내 하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댁내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댁내 상태 정보와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이 판단되고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통보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보 조건으로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 홈내 하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댁내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며,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이 더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는 가스 누출 또는 화재 관련 센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센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설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홈내의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댁내 설비의 상태나 상황 인지 정보를 수집해 원격 감시하고,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하면서 상황에 맞게 필요한 설비 제어를 원격으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스 누출, 화재 발생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상황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는 원격지에 있으면서 상황정보에 대한 궁금증에 대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장치 스스로 판단하여 인지된 상황에 맞게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누출 전에 사전에 상태감시를 통하여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불안을 해결할 수 있고, 홈 내 다른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하여 홈 내 부재중임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설비가 안전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토록 하며, 홈 내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도 이를 M2M 장치 간의 통신만으로 사용자가 실수로 원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다. 가스중간밸브와 가스차단장치를 통합하여 하나로 동작되고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내 설비의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센서 감지 정보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내 설비의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디바이스(M2M 디바이스)(122) 또는 설비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M2M 디바이스)(123)와 게이트웨이(121)가 유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지역 네트워크로서의 홈네트워크와, 디바이스들(122, 123)의 동작을 원격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포함)에 연결되어 운영되는 인터넷 상의 M2M 서버인 서비스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 서버(130)가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해 제공하는 각 설비나 댁내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시 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한다.
위와 같이 게이트웨이(121)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로 인터넷 상의 서비스 서버(130)와 통신하며, 3G(WCDMA)/4G(LTE) 이동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는 IP 네트워크는 서로 연동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홈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121)와 디바이스들(122, 233) 간에는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ation) 등) 등의 통신 방식에 따른 신호로 통신할 수 있으며 M2M 프로토콜 기반의 규약에 따른 서로 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웨이(121)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들(122, 123)의 수가 많아 지는 경우에 디바이스들(122, 123)의 상태를 관리하고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는 게이트웨이(121)의 기능을 서비스 서버(130)에서 모두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22, 123)은 홈내의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여 게이트웨이(121)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고,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이동통신 기지국(111)이나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AP(Access Point)(112)(또는 유선 인터넷)를 통해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아이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두가지 통신이 항상 가능한 단말뿐만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3G(WCDMA) 또는 4G(LTE) 이동통신 서비스만을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일 수도 있고, AP(112)(또는 유선 인터넷)를 통한 이동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노트북, PC, PDA, PMP 등의 단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각 설비는 보일러, 가스 밸브, 현관 도어락, 창문 개폐기 등 댁내의 안전이 요구되는 중요 설비들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가전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TV, 컴퓨터, 밥솥(통), 세탁기, 에어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예, 열림/닫힘,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TV 채널, 세탁기 시작/중지, 에어컨 온도 등)를 감지하기 위하여 각 설비에는 디바이스(122)가 장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22)는 이와 같은 설비의 상태를 감지해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 디바이스(123) 역시 사용자의 부재 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들(122, 123)은 게이트웨이(121)와 통신하기 위한 위와 같은 유선 통신(예, 시리얼 통신 등),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121)가 없는 경우에는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한 해당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122, 123)은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22, 123)를 통해 홈내 설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서버(130)는 상태 정보 수집부(131), 설비 제어부(13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원 가입이나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가입자 정보(예, 아이디, 패스워드, 단말정보 등)와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는, 보일러, 가스 밸브, 현관 도어락, 창문 개폐기 등의 열림/닫힘,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TV 채널, 세탁기 시작/중지, 에어컨 온도 등 홈내의 설비의 제어 대상이 되는 각종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정보, 즉, 가입자 정보와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 등은 게이트웨이(121)로도 통보되어 설비나 디바이스의 탐색이나 제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122)가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태 정보 수집부(131)는 각각의 디바이스(122)로부터 수신되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비 제어부(132)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홈내의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서도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확인하고 필요한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는 해당 제어 신호를 디바이스(122)로 전송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홈내 설비에 대한 상황정보 제공을 통한 모니터링과 동시에 필요시 인위적으로 또는 사람의 의지와 상관없이 기계, 즉, 서비스 서버(130)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원격지에서 갑자기 홈내 시설에 대한 상황정보가 궁금해진다면 M2M 디바이스들(122, 123)을 통하여 상황정보를 스마트폰, PC(Presonal Computer), 패드 등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수신 받고 상황정보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예, 비안전 모드), 사용자 단말(110)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상태로 조작가능하며, 또는 서비스 서버(130)에서 수신된 홈내의 각 설비의 상태 정보들을 종합하여 부재중 일때나 홈내 사용자가 있더라도 설정 조건이 되면 디바이스들(122, 123)들과 M2M 서버인 서비스 서버(130)와의 통신만으로 홈내의 상황을 인지하고 각 설비들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토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댁내 사용자 부재중 가스밸브가 열림상태나 보일러가 계속하여 동작하거나 도어의 상태가 열림으로 되어 있을 때, 가스누출이 없고 보일러의 동작온도가 정상 이라도, 댁내 부재중이라는 상황을 인지하고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잠그고 보일러의 동작을 안전하게 멈출 수 있다.
이하 도 2내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서버(130) 또는 게이트웨이(121)는 미리 등록된 자기가 모니터링하여 관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한다(S11). 탐색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122)는 위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거나 직접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12). 서비스 서버(130)의 상태 정보 수집부(131)는 각각의 디바이스(122)로부터 수신되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13).
한편,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원 가입이나 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에,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가입자 정보(예, 아이디, 패스워드, 단말정보 등)와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예, 보일러, 가스 밸브, 현관 도어락, 창문 개폐기 등의 열림/닫힘, 가전기기의 파워 온/오프, TV 채널, 세탁기 시작/중지, 에어컨 온도 등)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하여 미리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LCD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제어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S14).
원격지에서 각 설비의 상태가 갑자기 궁금해진 사용자는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서 응용 프로그램(앱)의 활성화를 통하여 나타나는 사용자 제어 화면을 통해 서비스 서버(130)로 상태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S15), 서비스 서버(130)의 설비 제어부(132)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상태 정보 요청에 따라 그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해 해당 가입자와 관련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S16).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는 사용자 제어 화면에 각 설비의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설비의 상태를 확인한 원격지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의 정보(예, 가스밸브가 열림상태, 보일러의 원치 않는 동작의 지속, 도어의 열림 상태 등)(비안전 모드)라면, 해당 설비를 안전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제어 화면에서 제어 대상 설비를 안전 모드로 선택함으로써(S17),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제어 명령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18).
이에 따라,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제어 명령(예, 가스밸브의 닫힘, 보일러의 오프, 도어의 닫힘 등)에 대응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홈내의 해당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S19).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S20),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후 지속적인 상태에 관한 관리를 하면서 이후의 이벤트에 대비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스 밸브의 감시와 제어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실수로 가스밸브를 잠그지 않고 원격지로 이동하여 갑자기 밸브의 잠금 상태에 대하여 확신이 없어 불안해 할 수 있는데, 비록 종래의 기술에서 가스가 누출이 되거나 화재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잠금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이미 가스가 누출되었거나 화재가 발생한 후이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의 가스밸브 잠금상태에 대하여 불안감을 해소할 방법이 없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 대비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현재의 가스밸브 잠금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비안전 모드 상태(열려있는 상태)라면 원격지에서 서비스 서버(130)를 통한 제어 신호로 안전 모드 상태(잠금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홈내 보일러의 감시와 제어를 예로 들면, 가스 밸브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실수로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 원격지로 이동하여 갑자기 보일러 가동중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 불안해 하는 경우가 발생 했을때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가동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비안전 모드 상태(가동중)라면 서비스 서버(130)를 통한 제어신호 명령으로 보일러의 가동을 멈출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어(현관/창문 등)의 감시와 제어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실수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원격지로 이동하여 갑자기 잠금 상태에 대한 확신이 없어 불안할 때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비안전 모드 상태(도어 열림 상태)라면 서비스 서버(130)를 통한 제어신호 명령으로 잠금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서버(130)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순수하게 M2M 장치 간의 통신으로만 정보를 주고받고 장치 스스로 판단하고 장치 스스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황인지에서 조치까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장치 간의 통신으로만 이루어진다.
먼저, 서비스 서버(130) 또는 게이트웨이(121)는 미리 등록된 자기가 모니터링하여 관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한다(S21). 탐색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122)는 위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거나 직접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22). 서비스 서버(130)의 상태 정보 수집부(131)는 각각의 디바이스(122)로부터 수신되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S23). 이외에도 각각의 디바이스(122)는 위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로도 전송할 수 있으며(S24), 여기서는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23)가 댁내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25).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122)로서 여러곳에 설치된 움직임 센서,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댁내에서 사람의 움직임 등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 정보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댁내 상태 정보로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고, 상태 정보 수집부(131)는 해당 댁내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의 설비 제어부(132)는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해 위와 같은 댁내 상태 정보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S26),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7).
현재의 홈내 상태에 대하여 사용자 부재중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비 사용중임을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위와 같은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이 판단되고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모드 상태임이 판단되면,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조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설비 제어부(132)는 위와 같은 움직임 센서의 감지 정보나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모드 상태(예, 가스밸브가 열림상태, 보일러의 원치 않는 동작의 지속, 도어의 열림 상태 등)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과 판단으로 부재중일 때 설비의 적절한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설비 제어부(132)가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홈내의 해당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S28).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상태로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S29),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예, 가스밸브의 닫힘, 보일러의 오프, 도어의 닫힘 등)를 서비스 서버(13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후 지속적인 상태에 관한 관리를 하면서 이후의 이벤트에 대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수로 가스밸브를 잠그지 않고 원격지로 이동했으나 밸브를 열어 놓았다는 사실을 깜빡 잊고 있었던 경우에, 종래와 같이 거리상 가까운 사용자나 지인이 없거나 여의치 않을 때, 직접 가서 가스밸브를 잠궈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홈내의 디바이스들(122, 123)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30)는 스스로 홈 내 아무도 없다는 부재중임을 판단하고 가스 밸브가 열려있다면 서비스 서버(130)에서 자동으로 디바이스(122)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가스밸브를 잠그게 되고 실행된 결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에 알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필요 시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실수로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 원격지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보일러 가동 사실을 까마득히 잊어버리고 보일러는 계속해서 돌아가는 상황이라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에너지 낭비와 함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홈내의 디바이스들(122, 123)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30)는 스스로 홈내 아무도 없다는 부재중임을 판단하고 보일러가 계속하여 가동되고 있다면 서비스 서버(130)에서 자동으로 디바이스들(122)에게 제어신호를 보내어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게 된다. 가동을 멈추고 실행된 결과의 상황정보는 서비스 서버(130)에게 알려 상황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필요 시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보일러의 상황은 최근 출시되는 보일러가 설정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운용되지만 댁내 부재중에 보일러가 계속 동작하는 것이 에너지 비용, 운용 위험성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적절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도어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실수로 급히 외출하느라 미처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하여 확인하지 못하고 원격지로 이동하여 안전에 심각한 위험이 발생하게 된 경우에, 이런 상황에서 홈내의 디바이스들(122, 123)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30)는 스스로 홈 내 아무도 없다는 부재중임을 판단하고, 도어가 오픈 상태라면 서비스 서버(130)에서 자동으로 디바이스들(122)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도어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닫히게 한다. 실행된 결과의 상태는 상황정보를 서비스 서버(130)에 알려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필요 시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서버(130)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도 도 2와 달리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순수하게 M2M 간의 통신으로만 정보를 주고받고 스스로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방법과 상황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 조치를 취할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하는 혼합된 형태를 설명한다. 이는 사용자가 홈내 위치하나 홈내 설비에 동작 또는 가동여부에 대하여 깜빡 잊고 있는 경우 정해진 설정 조건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서버(130) 또는 게이트웨이(121)는 미리 등록된 자기가 모니터링하여 관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한다(S31). 탐색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122)는 위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거나 직접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32). 이외에도 사용자의 부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스마트 디바이스(123)가 댁내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33).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122)로서 여러곳에 설치된 움직임 센서,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댁내에서 사람의 움직임 등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 정보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댁내 상태 정보로서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 정보 수집부(131)는 각각의 디바이스(122)와 스마트 디바이스(123)로부터 수신되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와 댁내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S34).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의 설비 제어부(132)는 데이터베이스(140)를 참조해 위와 같은 댁내 상태 정보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S35), 먼저 통보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S36),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7). 예를 들어, 설비 제어부(132)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모드 상태임이 판단되면,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조건(통보 조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7).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에는 사용자 제어 화면에 각 설비의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설비의 상태를 확인한 원격지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의 정보(예, 가스밸브가 열림상태, 보일러의 원치 않는 동작의 지속, 도어의 열림 상태 등)(비안전 모드)라면, 해당 설비를 안전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 제어 화면에서 제어 대상 설비를 안전 모드로 선택함으로써(S38),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제어 명령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39).
이에 따라,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제어 명령(예, 가스밸브의 닫힘, 보일러의 오프, 도어의 닫힘 등)에 대응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홈내의 해당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S41).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S42),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후 지속적인 상태에 관한 관리를 하면서 이후의 이벤트에 대비하게 된다.
이외에, S39 단계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설비 제어부(132)는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S40) 해당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1). 설비 제어부(132)는 위와 같은 움직임 센서의 감지 정보나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 데이터 등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부재중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모드 상태임이 판단되면,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조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설비 제어부(132)는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모드 상태(예, 가스밸브가 열림상태, 보일러의 원치 않는 동작의 지속, 도어의 열림 상태 등)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과 판단으로 설비의 적절한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설비 제어부(132)가 해당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홈내의 해당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S41).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상태로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S42),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예, 가스밸브의 닫힘, 보일러의 오프, 도어의 닫힘 등)를 서비스 서버(13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이후 지속적인 상태에 관한 관리를 하면서 이후의 이벤트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설비 제어부(132)는 위와 같은 움직임 센서의 감지 정보나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 데이터 등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판단할 수 있으며, S41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10)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상태(예, 가스밸브의 닫힘, 보일러의 오프, 도어의 닫힘 등)로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였으며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와 확인이 필요하다는 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조리를 위하여 가스브를 열고 조리 중 다른 일에 집중 또는 가스 사용중 이라는 사실을 깜박 잊고 있을 때, 스마트 디바이스들(123)의 상태 정보들을 수집하여 현재 홈 내에 사용자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가스밸브는 계속하여 열려있는 상태가 되어 상태점검이 필요한 상황이 되고 사용자 단말(110)을 통하여 정보상태를 알려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홈 내에서는 항상 사용자 단말(110)을 휴대하지 않고 임의의 장소에 두어 이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위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어 이럴 경우서비스 서버(130)에서 일방적으로 디바이스(122)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가스 밸브를 잠그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임의적으로 오랜 시간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미리 약속 설정 조건을 초과시에 자동으로 잠금장치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도어 잠금 장치에 활용 시 일정시간 동안 공기 순환을 위한 방법으로도 이용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센서 감지 정보를 이용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서버(130) 또는 게이트웨이(121)는 미리 등록된 자기가 모니터링하여 관리해야 할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들을 탐색한다(S51). 탐색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122)는 위와 같은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게이트웨이(121)를 경유하거나 직접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는데, 특히, 가스 밸브에 설치된 가스 누출 감지 센서, 또는 열 감지 센서와 같은 디바이스가 센서 감지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S52).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130)의 설비 제어부(132)는 해당 가스 누출 감지 정보에 따라 각 설비 중 어느 하나 이상(예, 가스 밸브의 닫힘, 보일러 가동의 오프, 현관 또는 창문 도어락 잠금 또는 열림 동작 등)의 동작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제어 신호를 홈내의 해당 디바이스(122)로 전송할 수 있다(S53). 이에 따라, 홈내의 디바이스(122)에서는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S54), 제어 결과 해당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서비스 서버(130)로 피드백할 수 있다(S54).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도 각 설비의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후 지속적인 상태에 관한 관리를 하면서 이후의 이벤트에 대비하게 된다.
종래에는 수동의 가스중간밸브와의 별개로 가스 누출이나 화재 발생시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자동 차단장치가 별개로 구비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스 누출이나 화재 발생시 가스 자동 차단장치와 가스중간밸브의 기능을 1개의 장치로 합하여 설치비용과 운용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센서 감지 정보에 따라 한 개의 설비에 국한 하지 않고 홈 내 여러 설비(예, 가스 밸브 이외에도 보일러, 도어락 등)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없이도 M2M 통신만으로도 위험상황에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사용자 단말(110)
게이트웨이(121)
디바이스(122)
스마트 디바이스(123)
서비스 서버(130)

Claims (13)

  1. 홈내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상의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내 설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는 상태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설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통보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해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2.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하여 홈내 설비에 대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에 장착된 각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홈내 하나 이상의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내의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입자 정보와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 감시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가입자와 관련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응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 홈내 하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댁내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댁내 상태 정보와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이 판단되고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통보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조건으로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비에 대한 제어 명령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에 따라 비안전 상태임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홈내 하나 이상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댁내 상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더 저장하며,
    상기 설정 조건으로서, 상기 댁내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임이 더 판단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는 가스 누출 또는 화재 관련 센서 감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센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설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의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움직임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홈내의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통신으로 상기 각 설비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방법.
KR1020120081716A 2012-07-26 2012-07-26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187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716A KR101879759B1 (ko) 2012-07-26 2012-07-26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716A KR101879759B1 (ko) 2012-07-26 2012-07-26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76A KR20140014776A (ko) 2014-02-06
KR101879759B1 true KR101879759B1 (ko) 2018-07-19

Family

ID=502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716A KR101879759B1 (ko) 2012-07-26 2012-07-26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01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749B1 (ko) * 2014-07-30 2016-08-18 이정환 디바이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1585B1 (ko) * 2015-11-16 2017-04-11 김성훈 화재경보기 네트워크 기반 모니터링 겸용 실내기기 제어 시스템
KR101709715B1 (ko) * 2015-11-16 2017-02-24 (주)아이오텍 카메라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제어 및 감시장치
KR20170062849A (ko) 2015-11-30 2017-06-08 (주)아람솔루션 결합형 비콘을 이용하는 재난 안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875410B1 (ko) * 2016-07-01 2018-07-06 (주)유비쿼터스통신 관제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13A (ko) * 2002-06-19 2004-01-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네트워크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연동 방법
KR20050000241A (ko) * 2003-06-2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환경조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8544A (ko) * 2004-02-02 2005-08-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KR20050094255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60099920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0805265B1 (ko) * 2006-12-28 2008-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13A (ko) * 2002-06-19 2004-01-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네트워크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연동 방법
KR20050000241A (ko) * 2003-06-2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환경조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8544A (ko) * 2004-02-02 2005-08-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시스템
KR20050094255A (ko) * 2004-03-22 2005-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60099920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통합시스템
KR100805265B1 (ko) * 2006-12-28 2008-02-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401A1 (ko) * 2022-10-18 2024-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상황 별 거동 패턴을 제안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76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759B1 (ko)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2215569B1 (ko)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11373514B2 (en) Network device management technology
US20150188724A1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EP1791302A2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7271124A (ja) 給湯装置制御システム
KR20160140347A (ko)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스마트 제어 장치
JP2012222898A (ja) 電力測定器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AU2022201957B2 (en) Security system communicator and keypad device
JP6688954B2 (ja) 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画面遷移方法
Karim Smart home system based on GSM network
JP6058035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297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42294A (ko) 보일러의 룸 컨트롤러, 중앙 서버 및 이에 의한 사용자 모니터링 방법
KR102591004B1 (ko) IoT 기반 숙박시설 객실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JP7300622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26895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빨래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