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410B1 -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410B1
KR101875410B1 KR1020160083716A KR20160083716A KR101875410B1 KR 101875410 B1 KR101875410 B1 KR 101875410B1 KR 1020160083716 A KR1020160083716 A KR 1020160083716A KR 20160083716 A KR20160083716 A KR 20160083716A KR 101875410 B1 KR101875410 B1 KR 10187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il
permanent magnet
contr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924A (ko
Inventor
문영실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유비쿼터스통신
주식회사 에슬론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쿼터스통신, 주식회사 에슬론통신 filed Critical (주)유비쿼터스통신
Priority to KR102016008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4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관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버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는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고, 인터페이스는 출입 통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를 설정하고,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하고, 인터페이스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화재 감지 신호와 소화 신호를 설정하고, 화재 감지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고, 소화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따라서 온비프 프로토콜을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제 시스템{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는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제 시스템은 카메라에 사용된다. 카메라 관제 시스템은 온비프(ONViF)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온비프 프로토콜은 카메라 제어 신호를 표준화한 규약이다. 카메라 관제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로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줌인, 줌아웃, 팬, 틸트 제어를 실행해서 위험이 발생한 지역으로 카메라를 돌리고 초점을 맞추어 촬영한다. 카메라 관제 시스템에 사용되는 온비프 프로토콜을 응용하여 다양한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활용할 수 있다. 카메라 관제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출원번호: 10-2014-0137402, 비디오 카메라용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출원번호: 10-2014-7011549, 스마트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비프 프로토콜을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하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버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는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고, 인터페이스는 출입 통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를 설정하고,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하고, 인터페이스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화재 감지 신호와 소화 신호를 설정하고, 화재 감지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고, 소화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고,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 영구 자석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코일; 영구 자석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 및 위치 신호를 참조하여 코일에 전원을 공급해서 코일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온비프 프로토콜을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블록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버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관제 시스템은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한다. 온비프 프로토콜은 카메라 제어에 사용되는 규약이다. 관제 시스템은 온비프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관제 시스템은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와 같은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되어 활용된다. 관제 시스템은 다른 관제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 신호 처리가 설정되어야 한다. 온비프 프로토콜에는 제어 신호와 센서 신호가 정해져 있고 본 발명은 이들 신호를 다른 관제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신호 정의를 재설정한다.
관제 시스템은 출입 통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를 설정하고,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문을 제어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관제 시스템은 소방 관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화재 감지 신호와 소화 신호를 설정하고, 화재 감지 신호는 화재를 감지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고, 소화 신호는 화재를 제압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관제 시스템은 관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제어 신호와 센서 신호에 맞게 온비프 프로토콜의 신호 체계를 적용한다. 관제 시스템은 관제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호 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온비프 프로토콜의 신호 체계를 정합한다. 관제 시스템은 신호 정합 후 서버와 관제 대상간에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관제 시스템은 서버의 명령을 관제 대상에 전달하고, 관제 대상의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한다. 관제 시스템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제 대상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110), 인터페이스(130) 및 관제 대상은 하나의 관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관제 시스템은 카메라 구동부(120)를 더 포함한다. 관제 시스템은 카메라 구동부를 통해 카메라 초점을 이동시킨다. 카메라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데 카메라 구동부가 동작한다.
관제 시스템은 리니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다.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 영구 자석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코일; 영구 자석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 및 위치 신호를 참조하여 코일에 전원을 공급해서 코일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관제 시스템은 카메라 제어에서 더 나아가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카메라 제어에 사용되는 온비프 프로토콜이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필요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서버(110)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120)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110)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130); 인터페이스(130)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한다. 온비프 프로토콜은 카메라 제어에 사용되는 규약이다. 인터페이스(130)는 온비프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와 같은 다양한 관제 시스템에 적용되어 활용된다. 인터페이스(130)는 다른 관제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 신호 처리가 설정되어야 한다. 온비프 프로토콜에는 제어 신호와 센서 신호가 정해져 있고 본 발명은 이들 신호를 다른 관제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신호 정의를 재설정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출입 통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를 설정하고,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는 문을 제어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기 위해, 센서 신호로 화재 감지 신호와 소화 신호를 설정하고, 화재 감지 신호는 화재를 감지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고, 소화 신호는 화재를 제압하는 신호이므로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한다.
인터페이스(130)는 관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제어 신호와 센서 신호에 맞게 온비프 프로토콜의 신호 체계를 적용한다. 인터페이스(130)는 관제 시스템이 요구하는 신호 체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온비프 프로토콜의 신호 체계를 정합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신호 정합 후 서버(110)와 관제 대상간에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서버(110)의 명령을 관제 대상에 전달하고, 관제 대상의 센서 신호를 서버(110)로 전달한다. 서버(110)는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관제 대상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110), 인터페이스(130) 및 관제 대상은 하나의 관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130)는 카메라 구동부(120)를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30)는 카메라 구동부(120)를 통해 카메라 초점을 이동시킨다. 카메라가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데 카메라 구동부(120)가 동작한다.
카메라 구동부(120)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한다.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 영구 자석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영구자석을 이동시키는 코일; 영구 자석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 및 위치 신호를 참조하여 코일에 전원을 공급해서 코일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300); 영구 자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 영구 자석(300)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영구자석(300)을 이동시키는 코일(400); 영구 자석(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500); 위치 신호를 참조하여 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해서 코일(400)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코일(400)은 영구자석의 N극과 S극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두 코일이 모두 척력 또는 인력을 제공하여 영구 자석(300)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위치 감지기(500)는 영구 자석(3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이동 코일(510); 이동 코일(510)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원부(520); 이동 코일(510)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전압 신호로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코일(530)을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위치 신호와 전압 명령을 입력받아 위치 신호와 전압 명령의 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차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코일(400)에 공급해서 코일(400)의 자력을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코일(4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제어해서 영구 자석(300)과 코일(400)간에 힘을 높이거나 낮춘다.
제어부(600)는 코일(4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제1값으로 제어한다.
코일(400)에 제1값의 전원이 공급되어 영구자석(300)의 N극과 S극에 대응하는 척력이 발생한다.
영구자석(300)은 가이드 바를 따라 움직이고 제1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인다.
위치 감지기(500)는 영구 자석(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값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600)는 영구 자석(300)의 위치가 제2값에 놓이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제1값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와 제2값의 차를 계산한다.
제어부(600)는 계산된 차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코일(400)에 공급해서 코일(400)의 자력을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코일(40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제3값으로 제어한다.
코일(400)에 제3값의 전원이 공급되어 영구자석(300)의 N극과 S극에 대응하는 척력이 발생한다.
영구자석(300)은 제2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인다.
위치 감지기(500)는 영구 자석(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값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600)는 영구 자석(300)이 제2값의 위치에 놓이는 것을 감지하고 전원의 양을 유지한다.
영구 자석(300)에 힘이 가해져서 제2값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제어부(600)는 전원의 양을 높여 척력을 높인다.
위치 감지기(500)의 이동 코일은 영구 자석(3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인다.
전원부(520)는 이동 코일(510)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발생시킨다.
감지 코일(530)은 이동 코일(510)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전압 신호로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600)는 시간 흐름에 따라 감지 코일(530)의 전압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신호 처리해서 전원부(520)에 인가된 시간과 감지 코일(530)에 감지된 시간을 측정하여 이동 코일(51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코일(7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720)이 케이스(730)에 구성된다. 전선(720)은 케이스(730) 안쪽에 수직으로 구성되며 코일 접점에 닿도록 구성된다. 코일 접점이 전선(720)에 닿은 상태에서 코일(710)이 상하로 움직인다. 전선(720)은 구동 회로(740)에 연결된다. 전선(720)에 공급된 전류는 코일 접점을 통해 코일(710)에 전달된다.
코일(710)은 플라스틱 블록(750)에 감아지고 코일(710) 말단인 접점은 전선(720)에 접촉된다. 플라스틱 블록(750)에는 가이드가 있어 케이스(730)를 따라 상하로 미끄러지듯 움직이도록 한다. 코일(710)은 부도체인 플라스틱 블록(750)을 사용하여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자석에 붙지 않는다. 케이스(730)는 다수의 코일(710)과 영구 자석을 보호한다. 다수의 코일과 영구 자석은 케이스(730) 내에서 움직인다.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720)은 각각 케이스(730) 안쪽에 구성된다. 전선(720)은 양극과 음극을 가진다.
제1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영구 자석(760)을 아래로 밀고 제2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영구 자석(760)을 위로 밀어 올린다.
제1코일과 제2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영구 자석(760) 위치를 변화시킨다. 영구 자석(760)에는 막대가 구성되어 영구 자석(760) 움직임에 따라 막대가 상하로 움직인다. 막대 움직임은 외부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 회로(740)는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류 공급을 제어한다.
영구 자석(760)이 중앙에 배치된다.
영구 자석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영구자석(760)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코일이 구성된다.
다수의 코일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740)가 구성된다.
다수의 코일은 영구 자석(760)의 N극과 S극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코일이 모두 척력 또는 인력을 제공하여 영구 자석(760)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게 한다.
구동 회로(740)는 목표 전압에 따라 직류 전압을 구동 전압인 제1 전압과 제2 전압으로 분배하는 분배 회로(741); 및 구동 전류를 구동 전압에 따라 제1 전류와 제2 전류로 나누어 리니어 모터의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동하는 차동 회로(742)를 포함한다.
다수의 코일은 제1코일과 제2코일로 분류되고, 구동 회로(74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회로(740)는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제1전류와 제2전류를 각각 공급하여 영구 자석(760)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제1코일과 제2코일은 코일 블록으로 구성된 다수의 코일이다. 코일 블록은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감아져 서로 척력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척력은 코일 블록이 서로 밀어내도록 구성하여 영구 자석이 지정된 위치에 놓이도록 거리를 좁히거나 늘리는 역할을 한다.
코일 블록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좁아짐에 따라 제1코일과 제2코일의 전체 길이가 달라짐으로써 영구 자석(760)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이다.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척력의 크기가 달라진다. 구동회로(740)는 척력 크기를 다르게 제어하여 제1코일을 구성하는 다수의 코일 블록과 제2코일을 구성하는 다수의 코일 블록의 전체 길이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는 구동 회로(740)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구동 회로(740)에 입력되는 제1코일 전류와 제2코일 전류의 입력값을 조절해서 입력값에 따라 구동 회로(740)가 제1코일 전류와 제2코일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는 컴퓨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 회로를 제어한다. 리니어 모터는 데이지 체인으로 연결되고 고유의 식별자를 가진다. 리니어 모터의 제어부는 식별자와 구동 신호를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식별자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는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 회로(74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블록을 보인 예시도이다.
코일 블록은 다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코일 블록은 벌집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벌집 블록에 코일이 감겨져 구성된다. 코일 블록은 벌집 블록에 코일이 감겨져 전체 자력이 크게 상승한다. 하나로 감겨진 코일 블록보다 벌집 블록에 감겨진 코일 블록이 자력 크기가 더 세다.
자력 세기가 증가하면 이격 거리가 증가하므로 영구 자석의 이동 거리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큰 자력 세기는 영구 자석을 단단히 고정하므로 리니어 모터의 위치 설정도 좋아진다. 여러 모로 자력 세기의 증가는 리니어 모터의 특성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
벌집 블록은 육각 구조이며 육각 내에 코일이 감겨진다. 코일의 양단은 양극과 음극으로 구분되고 각각 하나의 다발로 묶여져서 케이스의 전선에 접촉된다. 하나의 다발로 묶을 때 구리판을 이용할 수 있다. 구리판에 구멍을 뚫고 코일 전선을 납땜해서 양극과 음극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벌집 블록은 육각 모양 대신 사각 모양도 가능하다. 사각 모양인 경우 전체 모양이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리니어 모터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전기 모터는 인력을 사용하며 영구 자석과 전자석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가 아니다.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과 전자석이 일렬로 배열되어 자력 상호 작용이 직접적이다. 힘의 작용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토크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큰 힘을 내는 전기 모터에 유리한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모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리니어 모터(810)는 전자석과 영구 자석이 서로 척력과 인력을 통해 직선 운동을 생성한다. 전자석과 영구 자석은 마주 보며 배치되며 전자석이 영구 자석을 밀어 내거나 끌어 당겨 영구 자석이 직선 운동하도록 한다. 영구 자석에는 막대가 연결되어 영구 자석의 직선 운동이 막대의 직선 운동으로 나타나도록 한다. 막대는 크랭크부(820)에 연결되어 직선 운동이 회전 운동으로 전환된다.
전자석은 벌집 구조를 가지는 코일 블록을 다수 개 구성하여 자력을 크게 높인다. 벌집 구조는 다각형 구조로 코일 블록을 다수 집적하도록 채택된 것이다. 사각 형태의 코일 블록이 구성되고 각각의 코일 블록에는 코일이 감기고 코일에 전류가 흘러 자력이 생성된다.
크랭크부(820)는 리니어 모터(81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한다. 크랭크부(820)는 자동차의 크랭크 축 구성과 같으며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리니어 모터(810)는 크랭크부를 둘러 싸면서 여러 개가 구성된다. 리니어 모터(810)는 실린더 모양처럼 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원형 배열된다. 또한, 리니어 모터(810)는 층을 이루고 겹겹이 쌓이는 구조를 가진다. 리니어 모터(810)는 층을 이루면서 넓어진 반경을 채우도록 전체 코일 블록의 개수가 증가한다.
출력부는 크랭크부(820)의 회전 운동을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서버 120: 카메라 구동부
130: 인터페이스 300: 영구 자석
400: 코일 500: 위치 감지기
510: 이동 코일 520: 전원부
530: 감지 코일 600 제어부
710: 코일 720: 전선
730: 케이스 740: 구동 회로
750: 플라스틱 블록 760: 영구 자석
810: 리니어 모터 820: 크랭크부

Claims (2)

  1. 서버의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에 전달하고, 센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통신하여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비프(ONViF)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센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센서 신호로 전압 신호를 입출력하여 출입 통제 또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출입 통제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센서 신호로 문 열림 신호와 문 닫힘 신호를 설정하고,
    상기 문 열림 신호와 상기 문 닫힘 신호는,
    상기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소방 관제에 적용하기 위해,
    상기 센서 신호로 화재 감지 신호와 소화 신호를 설정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는,
    상기 온비프 프로토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고,
    상기 소화 신호는,
    상기 온비프 프로토콜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이용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고,
    상기 리니어 모터는,
    영구 자석(300); 상기 영구 자석(300) 양단에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영구자석(300)을 이동시키는 코일(400); 상기 영구 자석(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500); 및 상기 위치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코일(400)에 전원을 공급해서 상기 코일(400)의 자력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감지기(500)는 상기 영구 자석(3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이동 코일(510), 상기 이동 코일(510)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원부(520), 상기 이동 코일(510)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여 전압 신호로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코일(530)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부도체인 다수의 플라스틱 블록(750)에 감아져 구성되는 코일(7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720)이 케이스(730)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전선(720)은 상기 케이스(730) 내쪽 양측에 수직으로 코일 접점에 닿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일 접점이 상기 전선(720)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코일(710)이 감아진 다수의 플라스틱 블록(750)이 상기 케이스(730) 내측에서 수직한 방향의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다수의 플라스틱 블록(750) 사이에는 영구자석(760)이 구성되며, 상기 코일(710)을 통해 상기 영구 자석(760) 양단에서 자력을 제공하여 상기 영구자석(760)을 이동시키고, 상기 전선(720)은 목표 전압에 따라 직류 전압을 구동 전압인 제1 전압과 제2 전압으로 분배하는 분배 회로(741)와 구동 전류를 구동 전압에 따라 제1 전류와 제2 전류로 나누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구동하는 차동 회로(742)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740)에 연결되어 상기 전선(720)에서 다수의 코일(710) 중 제1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영구 자석(760)을 상기 케이스(730) 내에서 수직한 방향의 아래로 밀고 제2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영구 자석(760)이 상기 케이스(730) 내에서 수직한 방향의 위로 밀도록 상기 제1코일과 제2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영구 자석(760)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영구 자석(760)을 지정된 위치에 놓이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2. 삭제
KR1020160083716A 2016-07-01 2016-07-01 관제 시스템 KR10187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16A KR101875410B1 (ko) 2016-07-01 2016-07-01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716A KR101875410B1 (ko) 2016-07-01 2016-07-01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24A KR20180003924A (ko) 2018-01-10
KR101875410B1 true KR101875410B1 (ko) 2018-07-06

Family

ID=6099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716A KR101875410B1 (ko) 2016-07-01 2016-07-01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4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604A (ko) * 2007-07-02 2009-01-09 주식회사 세스코 데이터 통신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13818A (ko) * 2012-07-27 2014-02-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카메라 이동형 자동 광학 검사 장치
KR20140014776A (ko) * 2012-07-26 2014-02-06 주식회사 케이티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20140118014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클라이언트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604A (ko) * 2007-07-02 2009-01-09 주식회사 세스코 데이터 통신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40014776A (ko) * 2012-07-26 2014-02-06 주식회사 케이티 상황인지를 통한 홈네트워크 설비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원격 상태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20140013818A (ko) * 2012-07-27 2014-02-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카메라 이동형 자동 광학 검사 장치
KR20140118014A (ko) * 2013-03-27 2014-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클라이언트 인증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영상 보안 시스템들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통신단체표준, 2012년12월21일.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924A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0535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이의 구동 방법
CA2646677A1 (en) Modular hybrid plasma reacto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2930504A3 (en) State sensor system and methods
EP2388663A3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servo actuator using an H-bridge with hysteresis control
CN109223062B (zh) 一种纳米机器人的动力系统
KR101841936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JP6778037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136129B1 (ko) 점자 기계
KR101875410B1 (ko) 관제 시스템
US9812939B2 (en) Linear motor system
CN103913839B (zh) 一种电磁致动二维快速偏转镜系统
JP2017042029A (ja) リニアモータシステム
CN107276255B (zh) 一种无线充电器及其充电控制方法
DE102012224367A1 (de) Linearantrieb
CN112383903A (zh) 蓝牙对码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EP2760133A1 (de) Energieautarkes Elektronik-Gerät
CN108476361A (zh) 一种无骨架多串联线圈
JP5495620B2 (ja) 電力供給装置
KR101883700B1 (ko) 카메라 방수 케이스
JP4928793B2 (ja) リニアモータを使用した直交ロボットの軸用移動装置
ATE427190T1 (de) Elektrisch angetriebenes werkzeug
KR20130140029A (ko) 전자기 스위칭 디바이스를 위한 회로
KR101803789B1 (ko) 깨끗한 물 확보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와 역삼투를 이용한 해수의 담수화 장치
JP6432640B2 (ja) 電磁発電機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直動アクチュエータ装置
JP2019535398A (ja) 外科用器具のための電磁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