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465B1 -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 Google Patents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465B1
KR101267465B1 KR1020110001406A KR20110001406A KR101267465B1 KR 101267465 B1 KR101267465 B1 KR 101267465B1 KR 1020110001406 A KR1020110001406 A KR 1020110001406A KR 20110001406 A KR20110001406 A KR 20110001406A KR 101267465 B1 KR101267465 B1 KR 10126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olefin resin
piperazine
weight
metal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001A (ko
Inventor
이대희
이성욱
김상범
김창규
안승대
안종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본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465B1/ko
Priority to EP11855037.5A priority patent/EP2662404B1/en
Priority to US13/978,575 priority patent/US9221961B2/en
Priority to CN201180067852.7A priority patent/CN103547625B/zh
Priority to PCT/KR2011/009637 priority patent/WO2012093781A2/ko
Publication of KR2012008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8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05Salts of P-acids with N-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0Organic material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피페라진 금속 염 또는 이의 중합체가 0.1 내지 80중량%, 질소 함유 상승제 또는 인/질소 난연제 10 내지 80.0중량%, 무기화합물 1 내지 50중량%를 함유하며, 이 배합물의 성분의 합이 100중량%인 상기 배합물을 함유하는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에 관해 개시된다.

Description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A flame resistance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iperazine moiety metal salt mixture}
본 발명은 난연성 배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및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및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 커넥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를 전기전자 기기 분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난연성을 부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난연제의 사용은 용융 상태에서의 가공과정 동안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난연제는 국제적인 표준에 따른 플라스틱의 적합한 난연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라면 많은 양이 사용되어야 한다. 고온에서 난연성을 필요로 하는 화학 반응성으로 인해, 난연제는 플라스틱의 가공 안정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분해, 가교결합 반응, 기체의 방출 또는 탈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가공 시 열분해에 의해 할로겐계 가스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성형기와 금형 등의 기기 부식 및 유독 가스로 인한 작업 환경의 악화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인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탈색 및 수지의 분해와 같은 가공과정 동안 일어나는 현상을 억제하기에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제 특허출원 제PCT/EP97/01664호,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734437호 및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9737727호등에는 주 난연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도 난연 상승제로서 또 다른 난연제를 배합함으로서 난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승제의 하나로서 멜라민 및 멜라민 화합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멜라민 포스페이트)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도 어떠한 종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어느 정도의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지만, 포스핀산등을 조합하면 한층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피로인산피페라진 화합물은 합성수지에 첨가되는 난연제 조성물의 1성분으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고 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피로인산피페라진의 제조방법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보고가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소47-88791호에는 피페라진염산염과 피로인산나트륨과를 수용액 중에서 반응시켜서, 피로인산피페라진을 수난용성(水難溶性)의 침전으로서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3810850호 및 제4599375호에는 피페라진(무수)과 피로인산나트륨(무수물)과를 수용액 중에서 반응시켜서 염산 처리하고, 피로인산피페라진을 침전으로서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피페라진 산 금속염 화합물에 대한 연구결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중간체로 존재하는 다이인산피페라진은 수용성으로서 난연성은 우수하나 취급하는데 문제가 있어 왔기 때문에 금속염 화합물을 제조함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우수한 품질의 난연제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 방법으로 제조할 때 부생하는 불순물로서 염화나트륨 등이 생성되며 이것은 반도체, 전자기기 등에 적용할 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수득률이 나쁘다는 점, 원료가 고가라는 점, 폐기물의 처리에 비용이 든다는 점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난연성이 좋은 다이인산피페라진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서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지에 적용 및 취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이인산피페라진 또는 피로인산피페라진을 난연제 조성물의 1성분으로 사용한 경우, 불순물의 영향도 문제일 수 있으나 v-0급 난연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라면 최소 약 30wt% 이상의 많은 양을 처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것은 고가의 피로인산피페라진의 많은 사용으로 가격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난연성이 매우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하고자, 폴리올레핀 기초수지에 피페라진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을 적정 비율로 사용하고 여기에 충진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함으로써, 난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할로겐화 유해 가스도 발생시키지 않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피레라진산 염 또는 이의 중합체 1 내지 80.0중량%, 인/질소 난연제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가 10 내지 80.0중량%의 축합 생성물을 함유하며, 안정제로서 염기성 또는 양쪽성 또는 이들의 무기 혼합물 0.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각 성분들의 합이 100 중량%인 난연성 배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에서 우수한 가공처리 특성 및 우수한 난연 특성 및 착색 특성이 얻어질 수 있는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피페라진 화합물 염 화합물 1 내지 80.0중량%, 멜라민계 화합물 10 내지 80중량% 및 충진제로 이루어진 난연 배합물을 10 내지60중량%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피페라진 염 화합물은 다이인산피페라진도 가능하나 피로인산피페라진도 매우 좋은 역할을 한다. 특히, 적당한 비율의 균일하고 분산성이 좋은 배합물을 제조할 경우 열을 적당히 제공할 수 있는 믹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가해진 열 및 자체 잠열로 인하여 펠렛 등으로 제형된 형태의 난연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은 다이인산피페라진산 화합물의 FT-IR분석결과 그래프.
도 2는 난연 배합물을 이용한 열분석 결과 그래프.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비할로겐계 난연제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 높은 인 함량을 갖으며, 염(salt) 형태의 피페라진산 염 화합물을 주목하였고, 상기 화합물의 멜라민 염 및 무기계 난연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연제가 각종 수지에 대해서,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해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피페라진산 염 금속 화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고,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발연 및 악취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할로겐계 난연제 조성물 및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11001081017-pat00001
다이인산피페라진 금속 염
본 발명의 배합물은 용융 상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의 탈색을 감소시키고, 플라스틱의 분해를 억제함과 동시에, 난연성이 완전히 유지된다. 또한, 놀랍게도 본 발명의 첨가제는 압출 및 사출성형 과정에서 휘발성 이물질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잘 알려진 피페라진산 금속염 화합물에 포함된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또는 아연이다.
인산과 피페라진을 수용액 중에서 반응시켜서 염산 처리를 하여 재결정을 하게 되면 피로인산피페라진의 중간체로서 다이인산피페라진을 침전으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탈수축합반응을 수행함으로서 난수용성 피로인산피페라진(식 2)을 얻을 수 있다. 두 물질 모두 난연제로서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다이인산피페라진은 물에 잘 녹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용도에 제한을 가지고 있다. 아래의 식 3은 중간체로서 다이인산피페라진이 금속과 반응으로 피페라진산 금속 염의 생성을 보여준다.
Figure 112011001081017-pat00002
피로인산피페라진
Figure 112011001081017-pat00003
피페라진 금속 염
본 발명의 난연 배합물에 사용되는 다이인산피페라진산염 화합물에서 금속(M)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이다. 금속은 다이인산피페라진 1 분자당 4개(n=4)까지 결합이 가능하며 1개의 금속(n=1)이 결합한 경우도 난수용성 화합물이 만들어지며 난연제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도 1은 다이인산피페라진산 화합물의 FT-IR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합성된 다이인산피페라진산을 금속(M=Al, Mg일 경우)염(metal salt) 반응 전ㆍ후의 스펙트럼이며, 약 2400-3400 (cm-1)부근에서 반응 전 hydroxyl group(OH기)이 염(salt)화 되어 완전히 사라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난수용성 다이인산피페라진 금속염이 잘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인/질소 난연제는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멜람 폴리포스페이트, 멜론폴리포스페이트 및 멜렘 폴리포스페이트 혼합된 폴리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이다.
충진제 및 안정제로서 다양한 금속 산화물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이미 잘 알려져 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망간 및/또는 산화주석이며, 하이드록사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하이드로칼루마이트, 수산화칼슘, 수산화아연, 산화주석 하이드레이트 및/또는 수산화망간이다.
난연제 배합물의 성분비는 사실상 의도된 적용 분야에 따라 좌우되고, 광범위한 범위로 변할 수 있다. 당해 난연제 배합물은 제 1 성분 역할을 하는 적용 분야에 따라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은 1 내지 80.0중량%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1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난연 배합물을 이용한 열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약 320도 근처에서 열분해 되는 모습으로 판단할 때 매우 좋은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해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 중 난연제 배합물을,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플라스틱으로서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直鎖)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공중합체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당업자의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사용된 성분
폴리프로필렌(PP): 시판중인 표준 중합체(과립)
난연제 성분(분말):
다이인산피페라진 금속염 : 본 원에서 합성된 제품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PP) : NONPLA-601((주)두본)
하이드로탈사이트 : PolyLizer-120((주)두본)
실시예 1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은 10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10중량% 및 무기 금속수산화물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1중량%를(당해 수지를 포함한 성분들의 합은 100중량%이다) 배합한 난연제를 믹서를 사용하여 배합하였다. 이 배합물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성형 조성물로서 PP수지에 가공하여 브라벤더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150 내지 190℃(PP)의 온도에서 시험 표본을 제조하고, UL 94 시험(Underwriter Laboratories)을 참조하여 난연성을 시험하였다. 모든 경우에 따른 시험은 균일한 혼합을 목적으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한다.
실시예 2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은 첨가하지 않았으며 단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20중량%를 배합한 난연제 배합물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3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은 5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25중량%를 배합한 난연제 배합물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4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은 20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5중량%를 배합한 난연제 배합물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5
성형 조성물로서 PBT수지에 가공하여 브라벤더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190℃의 온도에서 시험 표본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6
마그네슘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을 사용하여 배합한 난연제 배합물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난연성 실험을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 조성물이 사용되는 시험의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모든 양은 중량%로서 인용되고, 난연제 배합물 첨가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페라진계 인계 첨가제는 난연성이 다소 상승되면서, 중합체의 가공성을 충분히 개선시킨다는 것이 당해 실시예로부터 증명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PP)에 난연제로서 알루미늄(마그네슘) 다이인산피페라진 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를 혼입하는 것은 V-0로 분류할 수 있는 UL-94등급을 나타내나,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이 들어가지 않은 실시예 2인 경우는 난연성이 전혀 나타나질 않았으며 연한갈색으로 인지할 수 있는 중합체 분해를 보여주고 있다.
난연제로서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의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스테르(PBT) 수지 따른 변화를 실시예 1와 5을 통해 비교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PP)인 경우 5개의 표본으로 10개의 데이터를 합산한 전체소화시간으로 판단하는 UL-94등급으로 V-0급이 나타나나, 폴리에스테르(PBT) 수지인 경우 난연성이 전혀 나타나질 않음으로서 수지 적용성에 문제를 갖는 경우가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수지 DPPAl MPP HT 소화시간(1)(초) UL 94 분류
1
2
3
4
5
6
PP
PP
PP
PP
PBT
PP
10 10 1
0 20 1
5 25 1
20 5 1
10 10 1
10(DPPMg) 10 1
11
-
25
10
-
17
V-0
-
V-0
V-0
-
V-0
백색
연한갈색
백색
백색
백색
백색
(1) 5개의 샘플 표본을 각 2번씩 측정 후 합산된 전체 소화시간
DPPAl : 알루미늄 다이인산피페라진 염, MPP :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HT : 하이드로탈사이트
DPPMg : 마그네슘 다이인산피페라진 염

Claims (5)

  1. 난연성 배합물로서, 다이인산피페라진 금속염 및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축합 배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플라스틱 성형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인산피페라진 금속염의 함량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대비 0.1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의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펠렛 제형물을 폴리올레핀수지와 혼합하여 제조된 난연성 마스터배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20110001406A 2011-01-06 2011-01-06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KR10126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06A KR101267465B1 (ko) 2011-01-06 2011-01-06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EP11855037.5A EP2662404B1 (en) 2011-01-06 2011-12-14 Flame-retardan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iperazine-based metal salt blend
US13/978,575 US9221961B2 (en) 2011-01-06 2011-12-14 Flame-retardan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iperazine-based metal salt blend
CN201180067852.7A CN103547625B (zh) 2011-01-06 2011-12-14 包含基于哌嗪的金属盐混合物的阻燃聚烯烃树脂
PCT/KR2011/009637 WO2012093781A2 (ko) 2011-01-06 2011-12-14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06A KR101267465B1 (ko) 2011-01-06 2011-01-06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01A KR20120080001A (ko) 2012-07-16
KR101267465B1 true KR101267465B1 (ko) 2013-05-31

Family

ID=4645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406A KR101267465B1 (ko) 2011-01-06 2011-01-06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1961B2 (ko)
EP (1) EP2662404B1 (ko)
KR (1) KR101267465B1 (ko)
CN (1) CN103547625B (ko)
WO (1) WO20120937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9576A (zh) * 2013-08-21 2015-12-30 株式会社艾迪科 阻燃剂组合物和阻燃性合成树脂组合物
KR101855267B1 (ko) * 2016-09-19 2018-05-0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난연성 발포체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난연성 발포체
KR102435567B1 (ko) * 2020-02-27 2022-08-2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14644838B (zh) * 2022-01-11 2023-04-11 山东玥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黑磷-哌嗪类化合物复合材料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490A (ja) 2000-06-08 2001-12-18 Toyo Ink Mfg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20080241529A1 (en) * 2007-03-29 2008-10-02 Clariant International Ltd. Flameproofed adhesive and sealing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0850A (en) 1973-01-08 1974-05-14 Jefferson Chem Co Inc Piperazine phosphates as fire retardants for organic polymers
IT1201097B (it) 1983-05-18 1989-01-27 Montedison Spa Composizioni polimeriche resistenti alla fiamma
DE19734437A1 (de) 1997-08-08 1999-02-11 Clariant Gmbh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Polymere
DE19737727A1 (de) 1997-08-29 1999-07-08 Clariant Gmbh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Kunststoffe
JP2001011462A (ja) * 1999-06-30 2001-01-16 Tosoh Corp ピペラジン骨格を含むアミン含有リン酸亜鉛からなる難燃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難燃性樹脂組成物
US6756430B2 (en) 2000-06-13 2004-06-29 Mitsui Chemicals, Inc. Flame-retard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4753498B2 (ja) 2001-07-17 2011-08-24 株式会社Adek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KR101022541B1 (ko) * 2002-06-24 2011-03-1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4526255B2 (ja) * 2003-10-16 2010-08-18 株式会社Adeka 高純度ピロリン酸ピペラジンの製造方法
EP1719800B1 (en) * 2004-02-24 2008-01-02 Adeka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ith enhanced fluidit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thereof
JP5414168B2 (ja) 2007-11-14 2014-02-12 株式会社Adeka 加工性の改善された難燃剤組成物、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100078823A (ko) * 2008-12-30 2010-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멜라민계와 무기 난연제를 사용한 나노클레이 함유 폴리올레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8490A (ja) 2000-06-08 2001-12-18 Toyo Ink Mfg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US20080241529A1 (en) * 2007-03-29 2008-10-02 Clariant International Ltd. Flameproofed adhesive and seal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3781A2 (ko) 2012-07-12
EP2662404A4 (en) 2015-04-08
CN103547625A (zh) 2014-01-29
EP2662404A2 (en) 2013-11-13
US20130296467A1 (en) 2013-11-07
WO2012093781A3 (ko) 2012-11-29
KR20120080001A (ko) 2012-07-16
US9221961B2 (en) 2015-12-29
EP2662404B1 (en) 2017-02-15
CN103547625B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0818B2 (en) Halogen-free flame-proofing agent
EP1907473B1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US20050075442A1 (en) Fire retarded polymer composition
DE10321298B4 (de) Halogenhaltig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und deren Verwendung
KR101267465B1 (ko)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EP0241605B1 (en) A method of making a flame retardant ingredient for polyolefines
KR20070091037A (ko) 방화성 조성물
KR101273791B1 (ko) 펠렛형 난연성 배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517170A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212896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618944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016972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7289B1 (ko) 인-질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2080239A1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RU2487902C2 (ru) Безгалогеновый антипирен
JP2007002004A (ja) 臭素系難燃剤及びこれを含む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64735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356547A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3238801A (ja) 耐熱着色性難燃性ポリアミド系または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