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914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914B1
KR101265914B1 KR1020117001758A KR20117001758A KR101265914B1 KR 101265914 B1 KR101265914 B1 KR 101265914B1 KR 1020117001758 A KR1020117001758 A KR 1020117001758A KR 20117001758 A KR20117001758 A KR 20117001758A KR 101265914 B1 KR101265914 B1 KR 10126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sensor
case
cabine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860A (ko
Inventor
다다시 히가시야마
마사키 나카오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4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슬라이드에 의한 개방 동작 시에 발생하는 터치 센서로부터의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전화기는, 제1 캐비넷(1)과, 제1 캐비넷(1)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제2 캐비넷(2)과, 상기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입력 가능한 제1 터치 센서(36)와, 제2 캐비넷(2)으로부터 상기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23)와, 상기 상면에 대한 돌기(23)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터치 센서(37)와, 제2 터치 센서(37)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제어하는 CPU(100)를 구비한다. CPU(100)는, 제2 캐비넷(2)이 제1 터치 센서(36)의 검출 영역이 외부에 개방되는 제1 위치(OP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하고, 제1 위치(OP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입력을 무효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일례로서, 슬라이드식의 휴대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이 관련 기술의 일례가, 2007년 2월 1일부로 출원 공개된 일본국 공개특허 2007-2841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가지는 제1 케이스의 상면에, 모니터 화면을 가지는 제2 케이스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2개의 케이스가 겹친 상태(닫힌 상태)로부터 제2 케이스가 슬라이드됨으로써, 제1 케이스의 조작 버튼이 외부에 노출된다.
한편, 관련 기술의 일례로서, 최근, 조작 버튼의 배치 영역에 터치 센서(접촉 센서)를 배치하여,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 내에서 손으로 쓴 문자 등을,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함으로써,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 뿐만 아니라, 수기 입력도 가능하게 한 휴대 전화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 관련 기술의 일례가, 2007년 3월 15일부로 출원 공개된 일본국 공개특허 2007-661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기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의 조작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기 입력 기능은, 상기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도 탑재할 수 있다.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1 케이스에 터치 센서가 탑재된 경우, 통상, 제2 케이스의 개방이 검출되었을 때에, 터치 센서가 액티브한 상태가 된다.
상기 개폐 검출은, 예를 들어, 자석과 MR 센서(자기 저항 소자 센서)에 의해 행해진다. 즉, 2개의 케이스의 한쪽에 자석, 다른 쪽에 MR 센서가 배치되고, 2개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일 때, 자석과 MR 센서가 접근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경우, 2개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로부터 제2 케이스가 슬라이드되기 시작하면, 개방되었다고 검출되어, 터치 센서가 액티브한 상태가 된다.
그런데, 개방 동작 시에, 제2 케이스는, 그 배면이 터치 센서의 검출면에 접근한 상태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때에,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케이스 배면에 약간의 변형 등이 발생되어 있으면, 슬라이드 시에 케이스 배면의 일부가 터치 센서의 검출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시에 터치 센서가 액티브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케이스 배면의 일부가 터치 센서의 검출면에 접촉됨으로써, 터치 센서로부터 잘못된 입력이 행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슬라이드에 의한 개방 동작 시에 발생하는 터치 센서로부터의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나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제2 케이스와, 상기 면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1 터치 센서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상기 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무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는, 제2 케이스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면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는, 상기 면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2 터치 센서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케이스가 제1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이 유효가 되고, 제2 케이스가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이 무효가 되기 때문에, 제2 케이스가 제1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 상을 슬라이드하고 있는 동안은 제1 터치 센서로부터의 입력이 무효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시에, 제2 케이스의 일부가 잘못하여 제1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에 접촉해도,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2 케이스가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이 무효가 되었을 때에, 조작 버튼에 의해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의 일부를 덮는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조작 버튼에 상기 제2 위치에 따른 기능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조작 버튼의 일부가 덮여진 상태에 있을 때에, 외부에 노출된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원활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당해 제2 케이스의 하나의 면으로부터 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을 투과 가능한 입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가장 이동한 제3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입력부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2 케이스가 닫혀, 제1 터치 센서나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되어도, 입력부에 의해 입력 조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의 사용 편리성이 한층 좋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케이스가 슬라이드에 의해 개방될 때에,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터치 센서로부터 오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의 실시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기재된 것에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키 입력부가 어셈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이 개폐되었을 때의 돌기와 제2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행해지는 수기 입력 조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경예 1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변경예 2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변경예 2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 도면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이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캐비넷(1), 제2 캐비넷(2)이, 각각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에 상당한다. 또, 액정 표시기(21)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표시부」에 상당하고, 제3 터치 센서(22)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입력부」에 상당한다. 또한, 돌기(23)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돌출부」에 상당하고, 숫자 키(34)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조작 버튼」에 상당한다. 또, 제1 터치 센서(36)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1 터치 센서」에 상당하고, 제2 터치 센서(37)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검출부」 및 「제2 터치 센서」에 상당한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어부」는, 메모리(107)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청구의 범위와 본 실시의 형태의 대응의 기재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를 본 실시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a)는, 제2 캐비넷이 개방된 상태의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도 1(b)는 동일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A-A' 단면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제1 캐비넷(1)과 제2 캐비넷(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캐비넷(1)에는, 키 입력·개폐 검출부(3)(이하, 간단히 「키 입력부」라고 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키 입력부(3)는, 기기로의 각종 입력을 검출함과 함께, 제1 캐비넷(1)에 대한 제2 캐비넷(2)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제1 캐비넷(1)의 상면에는, 키 입력부(3)를 구성하는 조작 키군(3a)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키군(3a)은, 4개의 메인 키(31)와, 방향 키(32)와, 결정 키(33)와, 12개의 숫자 키(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인 키(31)는, 각종의 기능 모드(카메라 촬영 모드, 메일 송수신 모드, 인터넷 모드 등)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키나 전화에 의한 통화 개시, 종료를 행하기 위한 키이다. 방향 키(32)는, 표시 화면에 표시된 각종 메뉴로부터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때에 조작되는 키이며, 결정 키(33)는 선택된 메뉴의 결정 등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숫자 키(34)는, 문자, 알파벳, 숫자 등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키이다.
제2 캐비넷(2)에는 액정 표시기(21)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기(21)의 표시 화면측에는, 제3 터치 센서(22)가 배치되어 있다. 제3 터치 센서(22)는 투명한 시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제3 터치 센서(22)를 투과하여 액정 표시기(21)의 표시 화면을 볼 수 있다.
제3 터치 센서(22)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이들 투명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유저에게 접촉된 표시 화면 상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캐비넷(2)은, 슬라이드 기구부(4)에 의해, 제1 캐비넷(1)에 대해 도 1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부(4)는, 가이드판(41)과 가이드 홈(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판(41)은, 제2 캐비넷(2)의 배면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 라인형상 돌출부(41a)를 가진다. 가이드 홈(42)은, 제1 캐비넷(1)의 측면에, 슬라이드 방향(도 1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41)의 라인형상 돌출부(41a)는, 가이드 홈(42)에 걸어 맞춰져 있다. 또한, 제1 캐비넷(1)과 제2 캐비넷(2)이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캐비넷(1)의 상면과 제2 캐비넷(2)의 배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1(b)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이 제1 캐비넷(1) 상에 대략 완전히 겹쳐져 있다. 이 상태(닫힌 상태)에서는, 제2 캐비넷(2)의 배후에 조작 키군(3a)의 모든 키가 숨겨진 상태가 된다. 제2 캐비넷(2)은, 가이드판(41)이 가이드 홈(42)의 종단 위치에 이를 때까지 슬라이드(열린 상태로 한다)할 수 있다.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열리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키군(3a)의 모든 키가 외부에 노출된다.
도 2는, 키 입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제1 캐비넷을 분해한 상태(상부 덮개측의 캐비넷을 생략)의 정면도, 도 2(b)는, 키 패드의 배면도이다.
키 입력부(3)는, 상기 조작 키군(3a)(메인 키(31), 방향 키(32), 결정 키(33), 숫자 키(34)) 외에, 키 패드(35)와, 제1 터치 센서(36)와, 제2 터치 센서(37)와, 회로 기판(38)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키군(3a)은, 키 패드(35)의 상면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키 패드(35)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 배면에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키(31)에 대응하는 4개의 가압부(35a)와, 방향 키(32)에 대응하는 4개의 가압부(35b)와, 결정 키(33)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압부(35c)와, 숫자 키(34)에 대응하는 12개의 가압부(35d)가 뒤쪽(회로 기판(38)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터치 센서(36)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숫자 키(34)의 배치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제1 터치 센서(36)에는, 키 패드(35) 배면의 가압부(35d)가 삽입되는 12개의 키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터치 센서(36)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하고, 이들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접촉된 검출 영역 내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터치 센서(37)는, 도 2의 X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터치 센서(37)의 X축 방향의 길이는, 제2 캐비넷(2)의 슬라이드 스트로크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터치 센서(37)는, 제1 터치 센서(36)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제2 캐비넷(2)의 돌기(후술한다)에 의해 접촉된 검출 영역 내의 위치를 검출하여, 그 위치에 따른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터치 센서(37)에는, 상단, 하단의 위치에, 각각 개방 영역 OP와 폐색 영역 CL이 설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38)에는, 그 상면에, 가압부(35a, 35b, 35c, 35d)에 대응하여, 각각, 메탈 돔(금속 접점)(38a, 38b, 38c, 38d)이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키 입력부가 어셈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2 캐비넷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도 1(a)의 P방향으로부터 본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제1 캐비넷 만이 숫자 키의 위치에서 절단되어, 그 내부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3(b)는, 동일하게, 도 1(a)의 Q방향으로부터 본 휴대 전화기의 숫자 키측의 단부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제1 캐비넷 만이 제2 터치 센서의 위치에서 절단되어, 그 내부 구조가 나타나 있다.
제1 터치 센서(36)는, 메탈 돔(38d)이 키 구멍(36a)에서 임하도록, 회로 기판(38) 상에 배치되고, 제2 터치 센서(37)는, 회로 기판(38)의 일단부를 따르도록 회로 기판(38)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제1 터치 센서(36) 및 제2 터치 센서(37)를 덮도록 하여, 조작 키군(3a)이 일체화된 키 패드(35)가 배치된다. 이 때에, 가압부(35d)는, 키 구멍(36a) 내에 삽입된다.
유저에 의해 숫자 키(34)가 눌러지면, 키 패드(35)의 눌러진 부분이 탄성 변형되어 가압부(35d)가 아래쪽으로 움직여, 가압부(35d)에 의해 메탈 돔(38d)이 눌러진다. 이것에 의해, 숫자 키(34)가 눌러진 것이 검출된다. 메인 키(31), 방향 키(32), 결정 키(3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제1 캐비넷(1)의 상면에 있어서,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검출 영역(숫자 키(34)를 포함한다)이, 유저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그 위치가 검출된다.
제2 캐비넷(2)의 배면 하부에는, 제1 캐비넷(1)을 향하여 돌출되어, 제1 캐비넷(1)의 상면에 접촉하는 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3)는, Z축 방향에 있어서, 제2 터치 센서(37)의 바로 위의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제2 캐비넷이 개폐했을 때의 돌기와 제2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2 터치 센서(37)가 투시된 도면으로 하고 있다.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3)는, 제2 터치 센서(37)의 폐색 영역 CL 상에 위치한다. 이 때에는,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해, 돌기(23)가 폐색 영역 CL에 있는 것이 검출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캐비넷(2)이 슬라이드 조작되면, 돌기(23)는, 제1 캐비넷(1)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한 검출 영역 내를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캐비넷(2)이 끝까지 슬라이드되어,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3)는, 제2 터치 센서(37)의 개방 영역 OP 상에 위치한다. 이때는,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해,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있는 것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돌기(23)가 폐색 영역 CL에 있는지 개방 영역 OP에 있는지를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제2 캐비넷(2)의 개폐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 외에, CPU(100), 카메라 모듈(101), 영상 인코더(102), 마이크(103), 음성 인코더(104), 키 입력 회로(105), 통신 모듈(106), 메모리(107), 백 라이트 구동 회로(108), 영상 디코더(109), 음성 디코더(110), 스피커(111)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가지고, 도입한 화상에 따른 촬상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인코더(102)로 출력한다. 영상 인코더(102)는, 카메라 모듈(101)로부터의 촬상 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의 촬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마이크(103)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코더(104)로 출력한다. 음성 인코더(104)는, 마이크(103)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CPU(10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키 입력 회로(105)는, 상기 메탈 돔(38a~38d)을 포함하고, 조작 키군(3a)의 각 키가 눌러지면, 각 키에 따른 입력 신호를 CPU(100)로 출력한다.
통신 모듈(106)은,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을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06a)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 안테나(106a)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신호를 음성 신호나 화상 신호, 텍스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출력한다.
메모리(107)는, ROM 및 RAM을 포함한다. 메모리(107)에는, CPU(100)에 제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 메모리(107)에는, 카메라 모듈(101)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 모듈(106)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도입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보존된다.
액정 표시기(21)는, 액정 패널(21a)과, 액정 패널(21a)에 광을 공급하는 백 라이트(21b)를 구비하고 있다. 백 라이트 구동 회로(108)는, CPU(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전압 신호를 백 라이트(21b)에 공급한다. 영상 디코더(109)는, CPU(1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액정 패널(21a)로 표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21a)에 출력한다.
음성 디코더(11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111)로 출력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11)에 출력한다. 스피커(111)는, 음성 디코더(11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CPU(100)는, 카메라 모듈(101), 마이크(103), 키 입력 회로(105) 등 각 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106), 영상 디코더(109), 음성 디코더(110) 등의 각 부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통화 처리나 각종의 기능 모드의 처리를 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기기로의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입력 모드로서, 조작 키군(3a) 만에 의해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키 입력 모드 외에, 유저가, 제1 터치 센서(36)의 검출 영역에서 수기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수기 입력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수기 입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캐비넷(2)이 개폐되었을 때에,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오입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캐비넷(2)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가 행해진다. 이 입력 설정 처리는, 휴대 전화기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 상시 반복된다. 이하, 이 입력 설정 처리에 대해서,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처리가 개시되면, CPU(100)는,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한 입력이 유효가 되는 상태(ON 상태)로 하여(S101), 돌기(23)가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2). 돌기(23)의 위치가 변화하면, 돌기(23)가 이동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CPU(100)는, 돌기(23)가 이동했다고 판정되면(S102:YES),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3).
상기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는, 돌기(23)는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므로,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S103:YES),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ON 상태)로 설정한다(S104).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이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1 터치 센서(36)로부터의 위치 신호가 CPU(100)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제2 캐비넷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행해지는 수기 입력 조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제1 터치 센서(36)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 제1 캐비넷(2)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손가락으로 문자를 그리면, 그 궤적에 기초하여 문자가 인식되어, 표시 화면 상에 설정된 박스 내에 인식된 문자가 크게 표시된다. 그리고, 그 후, 박스 내에서의 문자 표시가 사라지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 상의 소정의 문장 입력 위치에 인식된 문자가 표시된다.
도 6으로 되돌아와,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돌기(23)는 개방 영역 OP를 벗어난 곳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단계 S103에 있어서,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S103:NO),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OFF 상태)로 설정한다(S105). 또한, 원래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이 무효 상태이면, 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이 무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1 터치 센서(36)로부터의 위치 신호가 CPU(100)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 캐비넷(2)이 슬라이드 조작되어, 제2 캐비넷(2)이 제1 터치 센서(36)의 검출 영역 상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이 유효가 되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제조 오차 등에 의해 제2 캐비넷(2)의 배면이 변형되거나 하여, 슬라이드시에 배면의 일부가 제1 캐비넷(1)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해도,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오입력이 방지된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1 터치 센서(36)를 이용한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 의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제2 캐비넷(2)의 슬라이드 동작시에 있어서의 제1 터치 센서(36)로의 오입력이 방지되므로, 제1 터치 센서(36)를 이용한 입력 조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2 캐비넷(2)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캐비넷(2)측에는 돌기(23)를 형성하기만 하면 되어, 자석과 MR 센서를 이용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부품 점수의 삭감과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캐비넷(2) 내에, 자석이나 MR 센서 등의 구성 부품을 배치할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2 캐비넷(2)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본 실시의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변경예 1>
도 8은, 변경예 1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변경예 1에서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수기 입력 조작 대신에,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 조작이 가능해지는 점이 상기 실시의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 도 8에 따라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 입력 설정 처리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기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 상시 반복된다.
처리가 개시되면, CPU(100)는,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하여(S201), 돌기(23)가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2). CPU(100)는, 돌기(23)가 이동했다고 판정되면(S202:YES),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3).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으면,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S203:YES),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OFF 상태)로 설정한다(S204). 이렇게 하여, 제1 터치 센서(36)를 이용한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이 무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숫자 키(34)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CPU(100)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S203에 있어서,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S203:NO), 다음에, 돌기(23)가 폐색 영역 CL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5). CPU(100)는, 돌기(23)가 폐색 위치 CL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S205:NO),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ON 상태)로 설정한다(S206).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이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숫자 키(34)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CPU(100)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수기 입력 대신에,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유저가, 예를 들어, 제2 캐비넷(2)을 완전히 연 상태로 수기 입력을 하고 있었지만, 도중에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으로 바꾸고 싶어졌을 때에, 제2 캐비넷(2)을, 숫자 키(34) 상에 걸리지 않을 정도까지 닫으면,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그 후, 숫자 키(34)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혀짐으로써, S205에 있어서, CPU(100)는, 돌기(23)가 폐색 위치 CL에 있다고 판정되면,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1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한다(S207).
이상과 같이, 변경예 1의 구성으로 하면, 유저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입력 방법을 전환할 수 있어, 유저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변경예 1의 구성에서는,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혀 숫자 키(34)가 모두 제2 캐비넷(2)으로 가려지지 않는 한, 숫자 키(34)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2 캐비넷(2)이 숫자 키(34)의 일부를 가리는 위치가 된 것을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해 검출하면,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하여, 숫자 키(34)가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숫자 키(34)의 일부가 덮여질 때까지 제2 캐비넷(2)을 너무 닫아 버리면, 키 입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숫자 키(34)가 모두 외부에 개방된 적정한 상태에서의 사용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변경예 2>
도 9는, 변경예 2에 관련된 휴대 전화기의 사용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b), (c)는, 각각, 제2 캐비넷(2)을 노말 모드, 텔레비전 모드, 라디오 모드의 위치까지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9(d)는, 제2 캐비넷(2)을 완전히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변경예 2에서는, 제2 캐비넷(2)이 닫혀지는 정도, 즉, 조작 키군(3a)의 각 키의 외부로의 개방 상황에 따라 각 키의 기능 설정이 이루어지는 점, 및,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도, 제2 캐비넷(2)의 표시 화면 상에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상기 실시의 형태, 및 변경예 1과 상이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터치 센서(37)에는, 개방 영역 OP, 폐색 영역 CL에 더하여, 라디오 모드 판별 영역 M1, 텔레비전 모드 판별 영역 M2, 노말 모드 판별 영역 M3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기(23)가 각 판별 영역 M1~M3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제2 터치 센서(37)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이 변경예 2의 휴대 전화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의 형태의 구성에 더하여,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라디오 모듈과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텔레비전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도 10은, 변경예 2에 관련된 제2 캐비넷의 개폐에 기초하는 입력 설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10에 따라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 입력 설정 처리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 전화기가 가동하고 있는 동안, 상시 반복된다.
처리가 개시되면, CPU(100)는, 제2 터치 센서(37)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하여(S301), 돌기(23)가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2). CPU(100)는, 돌기(23)가 이동했다고 판정되면(S302:YES),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3).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으면,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여(S303:YES),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한다(S304). 이렇게 하여, 제1 터치 센서(36)를 이용한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 S303에 있어서, CPU(100)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S303:NO), 다음에, 돌기(23)가 폐색 영역 CL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5). CPU(100)는, 돌기(23)가 폐색 위치 CL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S305:NO),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한다(S306).
다음에, CPU(100)는, 제2 터치 센서(37)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돌기(23)가 각 판별 영역 M1~M3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S307).
CPU(100)는, 돌기(23)가 라디오 모드 판별 영역 M1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면(S307:M1), 라디오 모드로 판별하여(S308), 라디오 모드용의 키 설정을 행한다(S309). 즉,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오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측 2열의 6개의 숫자 키(34)의 각각에, 예를 들어, 「밴드 전환」, 「튜닝」, 「음량 조정」 등의 라디오 모드에 필요한 기능 설정을 행한다. 상기 6개의 숫자 키(34) 이외의 키는, 라디오 모드에서는 제2 캐비넷(2)에 덮여져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무효 상태(OFF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100)는, 기능 설정한 키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ON 상태)로 설정한다(S314). 이렇게 하여, 유저는, 외부에 개방된 6개의 숫자 키(34)를 이용하여 라디오 모드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다.
한편, CPU(100)는, 단계 S307에 있어서, 돌기(23)가 텔레비전 모드 판별 영역 M2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면(S307:M2), 텔레비전 모드로 판별하여(S310), 텔레비전 모드용의 키 설정을 행한다(S311). 즉,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숫자 키(34)의 각각에, 예를 들어, 「채널 전환」, 「음성 전환」, 「음량 조정」 등의 텔레비전 모드에 필요한 기능 설정을 행한다. 숫자 키(34) 이외의 키는, 텔레비전 모드에서는 제2 캐비넷(2)에 덮여져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무효 상태(OFF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100)는, 기능 설정한 키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한다(S314). 이렇게 하여, 유저는, 외부에 개방된 모든 숫자 키(34)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모드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텔레비전 방송을 볼 수 있다.
또한, CPU(100)는, 단계 S307에 있어서, 돌기(23)가 노말 모드 판별 영역 M3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면(S307:M3), 노말 모드로 판별하여(S312), 노말 모드용의 키 설정을 행한다(S313). 즉,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키군(3a)의 모든 키에, 그들 키 본래의 기능 설정(휴대 전화기로서 사용되는 경우의 기능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CPU(100)는, 조작 키군(3a)의 모든 키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한다(S314). 이렇게 하여, 유저는, 상기 변경예 1과 마찬가지로, 수기 입력 조작 대신에,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혀지면, CPU(100)는, S305에 있어서, 돌기(23)가 폐색 위치 CL에 있다고 판정한다. 그러면, CPU(100)는,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한다(S315). 또한, CPU(100)는, 제3 터치 센서(22) 상의 복수의 영역에 소프트 키(24)를 할당하여, 각각의 소프트 키(24)에 소정의 기능을 설정한다(S316). 그리고, 제3 터치 센서(22)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한다(S317). 제3 터치 센서(22)에 의한 입력이 유효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3 터치 센서(22)로부터의 위치 신호가 CPU(100)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제3 터치 센서(22)의 소프트 키(24)에 의해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변경예 2의 구성으로 하면, 제2 캐비넷(2)의 위치에 따라 조작 키군(3a)의 각 키의 기능이 설정되므로, 제2 캐비넷(2)에 의해 조작 키군(3a)의 일부의 키가 숨겨진 상태에 있을 때에도, 외부에 개방된 일부의 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 키의 개수에 따라 설정된 기능 모드(라디오 모드, 텔레비전 모드 등)의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변경예 2의 구성에 의하면, 제2 캐비넷(2)이 완전히 닫혀, 제1 터치 센서(36)나 조작 키군(3a)에 의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도, 제3 터치 센서(22)를 이용하여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사용 편리성이 한층 좋아진다.
<기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 이외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터치 센서(36)와 제2 터치 센서(37)가 개별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터치 센서(36)와 제2 터치 센서(37)가 일체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센서면에 제1 터치 센서(36)에 상당하는 검출 영역과 제2 터치 센서(37)에 상당하는 검출 영역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터치 센서(36), 제2 터치 센서(37), 제3 터치 센서(22)가, 모두 정전식의 터치 센서로 되어 있지만, 이들의 일부 혹은 모두를 다른 방식의 터치 센서, 예를 들어, 감압식의 터치 센서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 캐비넷(2)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 터치 센서(36) 및 제2 터치 센서(37)로부터의 입력이 받아들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1 터치 센서(36) 및 제2 터치 센서(37)의 감도에 따라서는, 제2 캐비넷(2)의 상면으로부터 유저의 손가락이나 돌기(23) 등이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도 입력이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제1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는, 이와 같이, 제2 캐비넷(2)의 상면(검출 영역)으로부터 손가락 등이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도 입력을 받아들이는 구성을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3 터치 센서(22)에 대해서도, 감도에 따라서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유저의 손가락 등이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도 입력이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무효로 하는 수법으로서, 제1 터치 센서(36)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CPU(100)가 받아들이지 않게 하는 수법을 취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터치 센서(36)를 정지 상태로 함으로써 제1 터치 센서(36)로부터 위치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하는 수법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무효로 한다」란, 제1 터치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제어부가 받아들이지 않게 함으로써 입력을 무효로 하는 수법과, 제1 터치 센서를 정지 상태로 함으로써, 제1 터치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함으로써 입력을 무효로 하는 수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변경예 1의 구성에서는,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있을 때에,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을 무효 상태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23)가 개방 영역 OP에 있을 때에,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을 유효 상태로 설정함과 함께,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도 유효 상태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도, 돌기(23)가 개방 영역 OP로부터 벗어나면, 제1 터치 센서(36)에 의한 입력은 무효 상태로 설정되어, 숫자 키(34)에 의한 입력만 유효 상태인 채가 된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7)

  1.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나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제2 케이스와,
    상기 면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1 터치 센서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상기 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터치 센서의 검출 영역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하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났을 때에 상기 제1 터치 센서에 의한 입력을 무효로 하고,
    또한, 상기 면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조작 버튼의 일부를 덮는 제2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조작 버튼에 의한 입력을 유효로 함과 함께, 상기 조작 버튼에, 복수의 상기 제2 위치에 각각 대응되어진 기능 중에서,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위치에 대응한 기능을 설정하고,
    또한, 상기 제2 케이스에는, 당해 제2 케이스의 하나의 면으로부터 화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화상을 투과 가능한 입력부가 배치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가장 이동한 제3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표시부에 키의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한 당해 키의 화상에 대응하는 입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2 케이스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상기 면에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면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면에 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2 터치 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7001758A 2008-06-26 2009-06-15 휴대 단말 장치 KR101265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7993A JP4927791B2 (ja) 2008-06-26 2008-06-26 携帯端末装置
JPJP-P-2008-167993 2008-06-26
PCT/JP2009/060884 WO2009157336A1 (ja) 2008-06-26 2009-06-15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860A KR20110040860A (ko) 2011-04-20
KR101265914B1 true KR101265914B1 (ko) 2013-05-20

Family

ID=4144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758A KR101265914B1 (ko) 2008-06-26 2009-06-15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078232B2 (ko)
JP (1) JP4927791B2 (ko)
KR (1) KR101265914B1 (ko)
WO (1) WO2009157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8451B2 (ja) * 2006-09-15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8836637B2 (en) * 2007-08-14 2014-09-16 Google Inc. Counter-tactile keypad
US8116831B2 (en) * 2007-11-29 2012-02-14 Motorola Mobility, In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JP4819031B2 (ja) * 2007-12-27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4927791B2 (ja) * 2008-06-26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4874316B2 (ja) * 2008-10-27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KR20120015968A (ko) * 2010-08-14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장치
JP5777946B2 (ja) * 2011-06-15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13131830A (ja) * 2011-12-20 2013-07-04 Nec Saitama Ltd 携帯電話端末
US9335845B2 (en) 2012-01-31 2016-05-10 MCube Inc. Selective accelerometer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130257788A1 (en) * 2012-04-02 2013-10-03 MCube Inc. Selective accelerometer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JP6369243B2 (ja) * 2014-09-08 2018-08-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表示装置、プログラム、操作表示システム
JP6073511B1 (ja) * 2016-02-10 2017-02-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80813A (ja) * 2017-04-10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10138918B (zh) * 2018-02-09 2024-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23037525A1 (ja) * 2021-09-10 2023-03-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方法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3961A (ja) * 2007-03-23 2007-09-20 Kyocera Corp 携帯端末の制御方法
KR100800766B1 (ko) * 2006-11-2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910A (ja) * 1992-04-21 1994-03-04 Nec Corp 携帯電話装置
JP2000201208A (ja) * 1999-01-08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装置
FI991007A (fi) * 1999-05-03 2000-11-04 Nokia Mobile Phones Ltd Liukukannellinen elektroninen laite
GB2353141B (en) * 1999-08-11 2002-12-24 Nokia Mobile Phones Ltd Device with touch sensitive screen
JP2003298699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JP2004072285A (ja) * 2002-08-05 2004-03-04 Nec Corp 携帯電話機
JP3961397B2 (ja) * 2002-10-29 2007-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5109970A (ja) * 2003-09-30 2005-04-21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KR100608726B1 (ko) * 2003-12-09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JP4280704B2 (ja) * 2004-11-16 2009-06-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060121483A (ko) 2005-05-2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장치
JP2007028417A (ja) 2005-07-20 2007-02-01 Kugami Corp Ltd スライド式携帯電話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
JP2007066169A (ja) 2005-09-01 2007-03-15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100700143B1 (ko) * 2005-12-02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의 키선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22086B1 (ko) * 2006-06-07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08092081A (ja) * 2006-09-29 2008-04-17 Nec Corp 携帯端末
US7970444B2 (en) * 2007-02-28 2011-06-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ivoting mobile terminal
JP4450008B2 (ja) * 2007-04-17 2010-04-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
KR100810363B1 (ko) * 2007-05-1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방법
JP2009049512A (ja) * 2007-08-14 2009-03-05 Toshiba Corp 画面表示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927791B2 (ja) * 2008-06-26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66B1 (ko) * 2006-11-2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JP2007243961A (ja) * 2007-03-23 2007-09-20 Kyocera Corp 携帯端末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7336A1 (ja) 2009-12-30
US8078232B2 (en) 2011-12-13
JP2010011085A (ja) 2010-01-14
JP4927791B2 (ja) 2012-05-09
US20110124377A1 (en) 2011-05-26
US20120046082A1 (en) 2012-02-23
KR20110040860A (ko) 2011-04-20
US8412281B2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914B1 (ko) 휴대 단말 장치
US8378796B2 (en) Portable terminal
JP4897596B2 (ja) 入力装置、記憶媒体、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US9013439B2 (e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US8269124B2 (en) Dome switch structur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1300936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4159028A (ja) カメラ内蔵携帯電話機能付き情報処理端末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JP201006284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入力操作方法・表示制御方法
JP2012226404A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2005269567A (ja) 携帯端末
EP2169920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5213336B2 (ja) 携帯電話装置
CN220358001U (zh) 按键组件及电子设备
KR1006527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100790119B1 (ko) 슬라이드용 휴대단말기에서 숫자입력방법
KR1010077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WO2010004373A1 (en) Navigation 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2005026818A (ja) 携帯電子機器
KR20060073202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8687A (ko) 초슬림형 광 포인팅장치 키모듈 및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JP2006333306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