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42B1 -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 Google Patents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42B1
KR101265842B1 KR1020110015546A KR20110015546A KR101265842B1 KR 101265842 B1 KR101265842 B1 KR 101265842B1 KR 1020110015546 A KR1020110015546 A KR 1020110015546A KR 20110015546 A KR20110015546 A KR 20110015546A KR 101265842 B1 KR101265842 B1 KR 10126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eans
drive wheel
driven
electromechanical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664A (ko
Inventor
크리슈티안 잘츠만
로랑 켈린
Original Assignee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filed Critical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Publication of KR2011009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9/00Electrically-actuated devices for setting the time-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1Electromechanical switches for setting or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시계 (1) 무브먼트의 전자 제어 회로가 시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과 방향을 판정하게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며, 전자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을 구동하는 수단 (70, 72) 을 지탱하는 휠 (68)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회로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이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휠 (68) 용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순간 및 순서로부터, 휠 (68) 이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방향과, 시간의 크기가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 순간을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Description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DEVICE FOR ELECTROMECHANICAL WATCH FOR DETERMINING THE MOMENT AT WHICH AND THE DIRECTION IN WHICH A TIME INDICATION HAS TO BE CORRECTED}
본 발명은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시계 무브먼트의 전자 제어 회로가 시계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된 시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기의 회전 방향 및, 시간의 크기가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 순간을 판정하게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계식 시계는, 그의 표시기가 단일 모터 또는 수개의 별도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시계이다. 이러한 유형의 전자기계식 시계의 예시는 본 특허 출원에 첨부된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체가 도면부호 1 로 표시된 이 전자기계식 시계는 레트로그레이드 퍼페추얼 캘린더 (retrograde perpetual calendar) 를 갖는 유형이다. 이는 제 1 중심 바늘 (hand) 디스플레이 (2), 6 시 방향의 제 2 바늘 디스플레이 (4), 2 시 방향의 제 3 바늘 디스플레이 (6) 및 10 시 방향의 제 4 바늘 디스플레이 (8) 를 포함한다.
제 1 바늘 디스플레이 (2) 는, 종래 방식에서는, 다이얼 (10) 위에서 움직이는 시침 (2a) 및 분침 (2b) 을 포함한다. 제 1 바늘 디스플레이 (2) 는 "1" ~ "31" 까지의 날짜 (date) 표시를 갖는 원호 (12) 에서 인덱스를 따라 거꾸로 움직이는 날짜 바늘 (2c) 에 의해 완료된다. 제 2 바늘 디스플레이 (4) 는 작은 초침 (4a) 을 포함한다. 제 3 바늘 디스플레이 (6) 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주일의 요일 (day) 이 표시된 원호 (14) 에서 인덱스를 따라 거꾸로 움직이는 일주일중 요일을 나타내는 바늘 (6a) 을 포함한다. 제 4 바늘 디스플레이 (8) 는 일년의 월 (month) 이 표시된 원호 (16) 에서 인덱스를 따라 거꾸로 움직이는 일년중 월을 나타내는 바늘 (8a) 을 포함한다. 현재의 년 (year) 은, 시계 (1) 의 날짜가 설정되는 동안의 년이 도면에서 "4" 로 나타내는 윤년 (leap year) 에 선행한 1, 2 또는 3 년인지의 여부에 따라 섹터 (12) 의 도면에서 "1", "2", "3" 또는 "4" 중 하나에 대향 이동되는 날짜 바늘 (2c) 에 의해 시계 (1) 의 날짜가 설정될 때 표시되는 것에 주목한다.
도 1 에 도시된 레트로그레이드 퍼페추얼 캘린더 시계 (1) 는 중립 위치 (T1), 제 1 당김 위치 (T2) 및 제 2 당김 위치 (T3) 를 점유할 수 있는 스템 (18) 및 2 개의 교정기 (corrector)(20, 22) 에 의해 완성된다. 이 전자기계식 시계는 또한 4 개의 별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 1 모터는 제 1 바늘 디스플레이 (2), 즉 시침 (2a) 과 분침 (2b) 과, 제 2 바늘 디스플레이 (4) 의 작은 초침 (4a) 을 구동한다. 제 2 모터는 날짜 바늘 (2c) 을 구동하고, 제 3 모터는 일주일중의 요일을 나타내는 바늘 (6a) 을 구동하고, 제 4 및 마지막 모터는 일년중의 월을 나타내는 바늘 (8a) 을 구동한다. 이들 4 개의 모터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 공급을 받는다.
간단히 전술한 전자기계식 시계 (1) 는 조립 및 그의 일상의 사용중 4 개의 다양한 방법으로 취급될 수 있다. 시계 (1) 가 조립된 후 또는 배터리가 교체되면, 바늘은 그의 원래 위치로 설정된다. 즉, 시계 (1) 바늘의 모든 위치는 재설정된다. 두번째 조작은, 시계 (1) 의 조립중 또는 배터리 교체중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는 시계 (1) 의 시간 설정에 관한 것이다. 세번째 조작은, 배터리가 삽입되고 교체될 때 실행되어야 하는 시계 (1) 의 날짜 설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네번째 조작은, 시간 영역의 바뀜에 관한 것이다.
바늘의 위치 재설정 조작은,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가 이들 기준 위치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위치로부터 바늘의 연속적인 무브먼트 모두를 계산할도록 기준 위치로 이들 바늘을 복귀시킬 수 있다. 날짜 표시 바늘 (2c), 일주일 중 요일을 표시하는 바늘 (6a) 및 일년 중 월을 표시하는 바늘 (8a) 이 이들의 원래 위치로 재설정된다. 즉, 날짜 표시 바늘 (2c) 은 월의 첫번째 날짜로 이동하고, 일주일 중 요일을 표시하는 바늘 (6a) 은 월요일로 이동하고, 일년중 월을 표시하는 바늘 (8a) 은 1 월로 이동한다.
시침 (2a) 및 분침 (2b) 은 스템 (18) 에 의해 당김 위치 (T3) 에서 시간을 기계적으로 설정한다. 스템 (18) 을 회전시킴으로써 시간 및 분이 조절된다. 시간이 설정되면, 바늘 (2a, 2b) 의 AM 및 PM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시계 (1) 의 시간 설정조작 중, 날짜 표시 바늘 (2c), 일주일 중 요일을 표시하는 바늘 (6a) 및 일년 중 월을 표시하는 바늘 (8a) 의 설정은 부여된 날짜를 나타낸다.
시계 (1) 의 날짜를 설정하는 조작은 당김 위치 (T3) 에서 스템 (18) 그리고 2 개의 교정기 (20, 22) 에 의해 전기적으로 실행된다. 바늘의 선택 순서는 년 (바늘 (2c)) 에서 시작하여, 월 (바늘 (8a)), 날짜 (바늘 (2c)) 및 요일 (바늘 (6a)) 로 연속하고 마지막으로 년으로 복귀한다. 교정기 (22) 상의 압력의 적용은 포지티브 방향으로 선택된 표시기 바늘을 한 단계씩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교정기 (22) 상의 압력의 추가의 적용은 선택된 값을 확인하여, 다음 바늘로 이동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시간 영역 바꿈 작업은 시계의 시간 설정 작업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후자의 작동은 문제를 유발한다. 사실상, 시간 영역이 바뀔 때, 이는 날짜의 바꿈과 요일의 바꿈을 동기화 하기 위해서 시간이 자정으로 바뀔 때 검출될 수 있어야 한다. 게다가, 또한, 시간 수정의 방향은 날짜 표시 뿐만 아니라 일주일 중 요일 표시, 월 및 년 표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간 영역 바꿈이 존재할 때만 알려질 필요가 있다. 즉, 상호 독립적인 모터로 형성되고, 그의 작동이 시계의 전자 제어 회로에 의해 관리되는 "디지털식" 으로 불릴 수 있는 운동학적 (kinematic) 체인 전체는 시간 영역 바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할 수 있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계 무브먼트의 전자 제어 회로가 시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과 방향을 판정하게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시계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며, 전자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을 구동하는 수단을 지탱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회로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이 시계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휠 용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순간 및 순서로부터, 휠이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방향과, 시간의 크기가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 순간을 추론하는 전자기계식 장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기인하여, 본 발명은 날짜 표시와 같은 시간 관련 파라미터의 변화와 요일의 변화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시간에서의 자정으로의 바뀜을 전자기계식 시계의 전자 제어 회로가 검출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이 시계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된 휠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 회로가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전자 제어 회로는 시간 바뀜 방향을 인지한다. 이후, 시간 바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카운터를 각각 구동하는 상호 독립적인 모터에 연결되는 전체 전자 운동학적 체인을 동기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며, 이러한 예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으로만 부여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끼움 장착되는 레트로그레이드 퍼페추얼 캘린더를 갖춘 전자기계식 시계의 평면도이다.
도 2a 는 전자 모듈의 표면에 수직하게 서 있는 3 개의 스터드를 지탱하는 전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전자 모듈이 조립되도록 의도된 추가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c 는 도 2a 의 전자 모듈과 도 2b 에 도시된 추가 플레이트를 결합시킨 조립된 전자 유닛을 도시한다.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시계의 모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e 는 도 2d 의 모터 모듈이 조립된 도 2c 에 도시된 조립된 전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f 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도 2e 의 모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g 는 와이어 스프링이 수직 방향으로 잠금된 것을 도시하는 도 2f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h 는 와셔가 접지 스터드에 결합된 것을 도시하는 도 2g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i 는 구동 휠이 와셔 다음에 접지 스터드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2h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j 는 시계의 캐논-피니언 (cannon-pinion) 에 의해 구동된 시간 휠을 도시하는 도 2i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k 는 구동 휠이 중간 휠을 통해 시간 휠에 의해 24 시간마다 완전 1 회전의 비율로 구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2j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l 은 전체 장치가 유지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도시하는 도 2k 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h 는 본 발명에 따른 검출 기구를 그의 상이한 작동 단계로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 는 구동 휠의 회전의 함수로서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에 의해 공급된 신호의 방출을 도시하는 시간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시계의 전자 제어 회로에 연결되며 시간이 자정으로 바뀌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할 수 있는 장치와 함께, 시간 크기를 나타내는 표시기 (indicator) 를 각각 구동시키는 독립적인 모터를 상호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의 끼움고정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창의적인 아이디어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입수 가능한 정보에 의해, 시계의 전자 제어 회로는 모든 모터를 동기화시키고, 시간 바뀜에 의해 영향을 받는 표시기의 전방 또는 후방 무브먼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장치의 구조가, 우선 검토될 것이다. 검사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는 다음 부분에서 검토할 것이다.
도 2a 는 3 개의 스터드 (26, 28, 30) 를 지탱하는 전자 모듈 (24) 의 사시도이며, 이들 스터드는 전자 모듈 (24) 의 표면에 수직하게 서 있으며, 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전자 모듈 (24) 은 추가 플레이트 (32)(도 2b 참조) 에 장착되어 도 2c 에 도시된 조립된 전자 유닛 (34) 을 형성한다.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시계 (1) 의 모터 모듈 (36) 의 사시도이며, 이 모듈은 특히, 조립된 전자 유닛 (34) 이 전자기계식 시계 (1) 의 모터 모듈 (36) 에 조립된 후에 (도 2e 참조), 전자 모듈 (24) 의 3 개의 스터드 (26, 28, 30) 가 그를 통과하게 하는 3 개의 구멍 (38a, 38b, 38c) 을 갖는다. 본 특허 출원의 대상이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시계 (1) 의 모터 모듈 (36) 의 설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없이도, 모터 모듈 (36) 의 중심에 배치되는 캐논-피니언 (40) 을 구동시키는 모션 워크 휠 (38) 의 존재는 역시 주목될 수도 있다.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18) 은 뽑혀진 시간 설정 위치 (T3) 에 있음에 주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의 대안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2f 를 설명한다. 순수하게는, 예시를 목적으로 부여된 제 1 검출 수단 (42) 및 제 2 검출 수단 (44) 각각은 대응하는 스터드 (26, 56) 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수개의 코일 (48a, 48b) 에 그 자체로 주위에 감겨진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에 의해 형성된다. 스터드 (56) 는 모터 모듈 (36) 의 플레이트에 일체인 비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스터드임에 주목할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은 실질적으로 V 자 형상으로 접히며, 이에 의해 권선 (48a, 48b) 에 대해 대칭인 2 개의 아암 (50a, 52a 및 50b, 52b) 을 갖는다.
하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아암 (52a, 52b) 은 스터드 (26, 30) 에 의해 부유 전위가 됨으로써 전기 접촉을 형성한다. 이들 접촉 아암 (52a, 52b) 의 위치는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에 감김 고정됨으로써 보장된다. 이에 의해,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아암 (50a, 50b) 은, 모터 모듈 (36) 의 플레이트에 일체인 비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정지 부재 (54) 에 의해 하나가, 그리고 접점 (30) 에 의해 다른 하나가 막히게 되는 반면,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다른 2 개의 아암은 슬롯 (58, 60) 내로 슬라이딩되어 이들 사이에 60°의 바람직한 각도 (α) 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와이어 스프링 (46a) 은 시계 방향으로의 선회가 차단되는 한편, 와이어 스프링 (46b) 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선회가 차단된다. 마지막으로 (도 2g 참조),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은 와이어 스프링 (46a, 46b) 다음에 스터드 (26, 56) 상에 결합된 2 개의 와셔 (62, 64) 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차단된다. 이는 또한, 디스크 스프링 또는 와셔 (66) 가 스터드 (28) 상에 결합되는 도 2h 를 검토하면 알 수 있다.
구동 휠 (68) 은 디스크 스프링 (66) 다음에 스터드 (28) 상에 결합된다.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위에 배치된 이 구동 휠 (68) 은 스터드 (28) 에 의해 접지된다. 이는 그 바닥부 표면 아래로 돌출하며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아암과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되는 2 개의 원통형 핀 (70, 72) 에 의해 끼움고정된다. 이들 핀 (70, 72) 은 그 사이에서 102°의 바람직한 각도 (β) 를 형성한다. 구동 휠 (68) 은 중간 휠 (76)(도 2k 참조) 을 통해 시간 휠 (74)(도 2j 참조) 에 의해 24 시간마다 한번의 완전한 회전율로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하기에 설명한다. 중간 휠 (76) 을 통해 시간 휠 (74) 에 의해 구동된 구동 휠 (68) 은 24 시간에 한번 완전하게 회전한다. 이 구동 휠 (68) 그리고 이에 따라서 구동 휠에 지탱된 핀 (70, 72) 은, 휠 (68) 이 결합되는 스터드 (28) 를 통해 접지된다. 구동 휠 (68) 아래 놓여진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기능은 전기 신호를 포착하는 것이다. 구동 휠 (68) 이 회전하면, 상기 휠 (68) 에 의해 지탱된 핀 (70, 72) 은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접촉 아암 (52a, 52b) 과 연속으로 접촉되게 되며, 상기 2 개의 스프링 (46a, 46b) 의 전위를 접지시킨다.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이 연결되는 전자 제어 회로는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고 모터 작동에 필요한 임펄스를 발생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계식 시계 (1) 의 시간이 고정되거나 변화된 시간 영역에 있을 때 구동 휠 (68) 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핀 (70, 72) 이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접촉 아암 (52a, 52b) 에 닿는 순서가 역전되며,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는, 접촉 아암 (52a, 52b) 이 핀 (70, 72) 에 의해 닿게 되는 순서로부터, 구동 휠 (68) 그리고 이에 따라 시간 휠 (74) 이 회전하는 방향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을 추론할 수 있다. 게다가, 핀 (70, 72) 과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접촉 아암 (52a, 52b) 은, 핀 (70, 72) 이 단지 하루에 한번만 접촉 아암 (52a, 52b) 과 동시에 닿게 되도록 배치된다. 접촉 아암 (52a, 52b) 중 하나의 전위가 핀 (70 또는 72) 중 하나에 의해 접지됨에 따라,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는, 다른 접촉 아암의 전위가 다른 핀에 의해 접지되자마자, 시간 휠 (74) 이 자정으로 변하게 되는 순간을 추론한다. 따라서,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는 시간 휠 (74) 이 회전하는 방향과 시간 휠이 자정으로 변하는 순간을 알아서, 시계 (1) 의 모터를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를 수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자기계식 시계 (1) 의 조립된 전자 유닛 (34) 과 모터 모듈 (36) 은, 디스크 스프링 또는 와셔 (66) 가 구동 휠 (68) 을 가압하여 상기 휠과 접지하는 유지 플레이트 (78)(도 2l 참조) 에 의해 덮여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장치의 작동 시퀀스를 도 3a 내지 도 3h 및 도 4 에 도시된 시간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상세히 검토할 것이다. 설명을 위해서, 위치 (T3) 로 당겨진 스템 (18) 은, 구동 휠 (68)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시간을 설정하거나 시간 영역을 수정하도록 수동으로 조정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3a 에서, 핀 (70, 72) 중 어느 하나도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접촉 아암 (52a, 52b) 중 하나와 닿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레벨은 "0" 이다.
도 3b 에서, 구동 휠 (68) 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핀 (70) 이 움직여 접촉 아암 (52a) 과 닿게 되고, 와이어 스프링 (46a) 의 전위가 접지된다.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되어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에 전송되는 신호는 레벨 "1" 로 변하게되고,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0" 으로 유지된다.
도 3c 에서, 구동 휠 (68) 이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핀 (70) 과 접촉 아암 (52a) 사이의 접촉은 파괴되어,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다지 0 으로 강하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핀 (73) 도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중 어느 하나에 닿지 않는다. 2 개의 와이어 스프링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은 0 으로 유지된다.
도 3d 에서, 구동 휠 (68) 이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핀 (70) 은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중 어느 하나에 닿지 않지만, 핀 (72) 은 이동하여 접촉 아암 (52a) 에 닿게되어, 와이어 스프링 (46a) 의 전위와 접지하게 된다.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되어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에 전송되는 신호는 레벨 "1" 로 변하게되고,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0" 으로 유지된다.
도 3e 에서, 구동 휠 (68) 이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핀 (72) 이 와이어 스프링 (46a) 의 접촉 아암 (52a) 과의 접촉을 유지하여, 와이어 스프링 (46a) 의 전위와의 접지를 유지하는 한편, 핀 (7) 이 이동하여 와이어 스프링 (46b) 의 접촉 아암 (52b) 에 닿게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 스프링 (46b) 의 전위 또한 접지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되어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에 전송되는 신호는 레벨 "1" 로 변하게되는 반면,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0" 으로부터 "1" 로 변한다. 정확히 현재는,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모두 레벨 "1" 이다. 이러한 상황은 단지 24 시간 마다 한번 발생하고,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성장중인 에지에서 자정으로의 시간의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에 의해 해석된다. 이로써,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는 모든 모터와 동기화할 수 있고, 시간 변화 또는 시간 영역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표시기의 전방 또는 후방 무브먼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3f 에서, 구동 휠 (68) 은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핀 (72) 과 접촉 아암 (52a) 간의 접촉은 파괴되어,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다시 0 으로 강하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핀 (70) 은, 신호 레벨이 "1" 로 유지되는 와이어 스프링 (46b) 과 여전히 접촉되고 있다.
도 3g 에서, 구동 휠 (68) 은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핀 (70) 과 접촉 아암 (52b) 간의 접촉은 파괴되어,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다시 0 으로 강하한다. 이와 동시에, 제 1 핀 (70) 은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중 어느 하나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0 이다.
도 3h 에서, 구동 휠은 계속해서 회전하였다. 제 1 핀 (70) 이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중 어느 하나에 닿지 않고, 제 2 핀 (72) 은 이동하여 제 2 와이어 스프링 (46) 의 접촉 아암 (52b) 에 닿게 되어, 와이어 스프링 (46) 의 전위가 접지된다. 제 1 와이어 스프링 (46a)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0 으로 유지되는 반면, 제 2 와이어 스프링 (46b) 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1 로 변한다.
이러한 위치를 지나면, 사이클은 도 3a 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
도 4 에 도시된 시간 다이어그램은 도 3a 내지 도 3h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핀 (70, 72) 의 위치 변화의 함수로서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의 접촉 아암 (52a, 62b) 의 전위 발생을 각각 도시한다. 즉, 도 4 의 시간 다이어그램은 스터드 (26, 30) 의 전위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라 시계 제어 회로에 인가된 전기 신호의 값을 도시한다. 구동 휠 (68) 의 한번의 완전한 360°회전이 24 시간의 주기에 걸쳐 고려된다면, 스터드 (26, 30) 의 전위가 변하는 동안의 각 범위는 실질적으로 105°~ 360°로 포함되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스터드 (26 또는 30) 중 하나의 전위가 1 인 동안의 각 범위는 3 시간 동안에 해당하는 대략 45°까지 퍼지는 것에 주목한다.
구동 휠 (68) 이 (본원에서 가정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2 개의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이 레벨 "0" 으로부터 레벨 "1" 로 교대로 변하는 순서가 역전됨이 명확해질 것이다. 이에 의해,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가, 와이어 스프링 (46a, 46b) 이 핀 (70, 72) 에 의해 접촉되는 순서로부터, 구동 휠 (68) 이 회전되는 방향 및 시계 (1) 에 적용되는 시간 수정 또는 시간 영역 변화의 방향을 추론한다. 이에 의해, 시계 (1) 의 전자 제어 회로는 시간 변화 또는 시간 영역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표시기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작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와이어 스프링 중 하나의 전위가 접지되게 되는 한편, 다른 와이어 스프링이 이미 접지되어 있는 순간은, 제어 회로를 시계 (1) 의 모터 전체의 점프 (jump) 와 동기화시킬 수 있는 시계 디스플레이의 변화가 자정을 지남을 표시한다.
전술한 시스템은 간섭이 거의 없으며 신뢰성이 있는 시험후에 조차 리바운드된다. 게다가, 와이어 스프링이 위치 결정되어 예비 응력을 받게 됨에 따라, 이들 구성 부품의 제조 공차는 핀과 와이어 스프링 간의 접촉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 : 시계
2 : 제 1 중심 바늘 디스플레이
2a : 시침
2b : 분침
4 : 제 2 바늘 디스플레이
4a : 작은 초침
6 : 제 3 바늘 디스플레이
6a : 요일을 표시하는 바늘
8 : 제 4 바늘 디스플레이
8a : 월을 표시하는 바늘
24 : 전자 모듈
26, 28, 30 : 스터드
34 : 조립된 전자 유닛
36 : 모터 모듈
42, 44 :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 와이어 스프링
48a, 48b : 코일
50a, 52a; 50b, 52b : 아암
68 : 휠
70, 72 : 구동 수단
74 : 시간 휠
76 : 중간 휠

Claims (18)

  1. 시계 (1) 무브먼트의 전자 제어 회로가 시간과 관계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과 방향을 판정하게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 (1) 용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며, 전자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을 구동하는 수단 (70, 72) 을 지탱하는 구동 휠 (68) 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 회로는,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이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 휠 (68) 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순간 및 순서로부터, 상기 구동 휠 (68) 이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되는 방향과, 시간 관련 파라미터가 각각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하는 순간을 추론하는 전자기계식 시계 (1) 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와이어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구동 휠 (68) 에 의해 지탱되는 구동 수단 (70, 72) 은, 상기 구동 휠 (68) 의 바닥 표면 아래에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을 위한 구동 수단 (70, 72) 을 지탱하는 상기 구동 휠 (68) 이 접지되는 한편,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부유 전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 (68) 은 24 시간의 시간으로 한번 완전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이들 수단이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된 상기 구동 휠 (68) 의 구동 수단 (70, 72) 에 의해 구동되는 순서가 상기 구동 휠 (68) 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역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 (68) 은 중간 휠 (76) 을 통해 시간 휠 (74) 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24 시간 마다 그리고 판정된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시계 (1) 무브먼트에 의해 구동된 상기 구동 휠 (68) 에 의해 지탱되는 구동 수단 (70, 72) 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감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제 1 및 제 2 대칭 아암 (50a, 52a; 50b, 52b) 을 갖는 V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은 제 1 및 제 2 대칭 아암 (50a, 52a; 50b, 52b) 을 갖는 V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 (46a) 의 제 2 아암 (52a) 과 상기 제 2 검출 수단 (46b) 의 제 2 아암 (52b) 은 이들 사이에서 6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 (46a) 의 제 2 아암 (52a) 과 상기 제 2 검출 수단 (46b) 의 제 2 아암 (52b) 은 이들 사이에서 6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출 수단 (46a) 은 부유 전위를 갖는 제 1 스터드 (26) 에 의해 지탱되며, 상기 제 2 검출 수단 (46b) 은 전기 전도되지 않는 제 2 스터드 (56) 에 의해 지탱되며 제 3 스터드 (30) 에 닿아 부유 전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 (68) 은 접지 접속되는 스터드 (28) 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 (68) 에 의해 지탱되는 제 1 및 제 2 핀 (70, 72) 은 상기 구동 휠 (68) 의 중심과 함께 102°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시계를 봤을 때, 상기 구동 휠 (68) 은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시계를 봤을 때, 상기 구동 휠 (68) 은 제 1 및 제 2 검출 수단 (46a, 46b)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KR1020110015546A 2010-02-23 2011-02-22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KR101265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4411.2 2010-02-23
EP10154411A EP2360538B1 (fr) 2010-02-23 2010-02-23 Dispositif pour montre électromécanique permettant de déterminer le moment et le sens dans lequel une indication temporelle doit être corrig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664A KR20110097664A (ko) 2011-08-31
KR101265842B1 true KR101265842B1 (ko) 2013-05-20

Family

ID=4210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46A KR101265842B1 (ko) 2010-02-23 2011-02-22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54225B2 (ko)
EP (1) EP2360538B1 (ko)
JP (1) JP5416152B2 (ko)
KR (1) KR101265842B1 (ko)
CN (1) CN102163039B (ko)
HK (1) HK1161917A1 (ko)
SG (1) SG173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8734B2 (ja) * 2014-03-24 2017-1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及び時差修正方法
JP2017009556A (ja) * 2015-06-26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および電子時計のカレンダー修正方法
USD880336S1 (en) * 2018-03-20 2020-04-07 Lvmh Swiss Manufactures Sa Watc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762A (ja) * 2003-11-18 2007-05-10 タイメックス グループ ビー.ヴィー. 万年暦付き時計の構造と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6908A (en) * 1954-01-27 1957-09-17 Hamilton Watch Co Contact mechanism for battery operated watch
US2954663A (en) * 1955-12-08 1960-10-04 Hamilton Watch Co Contact mechanism for electric watch
DE1798352A1 (de) * 1968-09-28 1971-08-12 Kieninger & Obergfell Wecker mit elektrischer Wecksignalgabe
US3874162A (en) * 1974-07-22 1975-04-01 Timex Corp Solid state watch stem detent and switch assembly
US3914951A (en) * 1974-08-14 1975-10-28 Gen Motors Corp Defrost timer for indicating refrigerator warranty
JPS54113368A (en) * 1978-02-23 1979-09-04 Seiko Epson Corp Watch
CH688950B5 (fr) * 1995-08-22 1998-12-31 Ebauchesfabrik Eta Ag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d'un affichage analogique avec un compteur électronique dans une pièce d'horlogerie.
JP2935182B1 (ja) * 1998-02-13 1999-08-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子時計
US6868046B2 (en) 2000-11-17 2005-03-15 Asulab S.A. Electronic watch including capacitive keys on its crystal
DE10161854B4 (de) * 2001-12-17 2005-01-13 Eurochron Gmbh Funkuhrwerk mit Detektor für die Zeigerstellung
JP4745647B2 (ja) * 2004-11-25 2011-08-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子時計
JP4849348B2 (ja) * 2008-12-09 2012-01-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762A (ja) * 2003-11-18 2007-05-10 タイメックス グループ ビー.ヴィー. 万年暦付き時計の構造と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0538A1 (fr) 2011-08-24
US8454225B2 (en) 2013-06-04
CN102163039A (zh) 2011-08-24
JP2011174926A (ja) 2011-09-08
HK1161917A1 (en) 2012-08-10
KR20110097664A (ko) 2011-08-31
EP2360538B1 (fr) 2012-08-22
JP5416152B2 (ja) 2014-02-12
US20110205855A1 (en) 2011-08-25
SG173958A1 (en) 2011-09-29
CN102163039B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4640B1 (fr) Pièce d'horlogerie à lecture et commande tactiles des informations horaires
JP6219915B2 (ja) 歯車セットの角度位置検出用の容量式装置を備えた電気機械装置および歯車セットの角度位置検出方法
KR101265842B1 (ko) 시간 표시가 수정되어야 하는 순간 및 방향을 판정하는 전자기계식 시계용 장치
CN103576532B (zh) 模拟电子表
EP1739511B1 (fr) Procédé de synchronisation entre les moyens d'affichage analogiques et un compteur volatile de temps dans une montre
JP2008122379A (ja) アラーム時間を表示するアラーム付き時計およびアラーム機構
JP6868960B2 (ja) コンピュータ及び時刻合わせシステム
JP2011117768A (ja) クロノグラフ時計
KR102089631B1 (ko) 기계식 시계용 연간 달력
JPS6045834B2 (ja) 時計用日表示部材の送り機構
US5734626A (en) Synchronisation device comprising a time zone detector
CN101158845A (zh) 包括用于确定时钟的模拟指示器的角位置的装置的时钟
JP2022105632A (ja) 指針表示装置及び指針動作制御方法
JP6094063B2 (ja) アナログ電子時計
US11209777B2 (en) Electronic timepiece and method of reporting state of electronic timepiece
US9606508B2 (en) Electronic timepiece and method for correcting calendar of electronic timepiece
JP2600132B2 (ja) アナログ多機能多針時計
CN107870551B (zh) 具有两个模拟型指针的电子钟表
CH702743A2 (fr) Dispositif pour montre électromécanique permettant de déterminer le moment et le sens dans lequel une indication temporelle doit être corrigée.
JP4572549B2 (ja) 電子時計
US2405841A (en) Program instrument
JP4581443B2 (ja) 暦表示機能付電子時計
JP5072554B2 (ja) スイッチ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回転位置検出装置及び電子時計
JPS5813347Y2 (ja) 水晶腕時計
JPS58131583A (ja) 時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