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23B1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23B1
KR101265723B1 KR1020110075752A KR20110075752A KR101265723B1 KR 101265723 B1 KR101265723 B1 KR 101265723B1 KR 1020110075752 A KR1020110075752 A KR 1020110075752A KR 20110075752 A KR20110075752 A KR 20110075752A KR 101265723 B1 KR101265723 B1 KR 10126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line
main body
life
work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863A (ko
Inventor
강명석
강준아
강현이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11007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작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LIFE LIN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명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고도에서 건설 공사를 하는 경우, 작업발판(1)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스트(10)를 설치하고, 이 포스트(10)에 생명줄(Life Line)(20)을 둘러 설치한 후, 작업자는 허리 등에 구명줄(30)을 착용하고, 그 구명줄(30)의 단부를 고리(31) 등에 의해 생명줄(20)에 장착한다.
따라서 추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위 구명줄(30) 및 생명줄(20)에 의해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구명줄(30)의 단부에 장착된 고리(31)가 포스트(10)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구명줄(30)의 길이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위 고리(31)를 생명줄(20)로부터 이탈시킨 후, 다시 원하는 위치에 재장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작업의 불편함 및 위험한 상황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작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상기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구동바(12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회전축(121); 상기 구동바(120)의 일단과 상기 본체(110)에 결합한 탄성부재(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가 뒤집어져 상기 트임부(111)가 상측을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구동바(120)의 구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구동제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제한부(130)는 돌출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바(120)가 걸리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안전핀(1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안전핀(131)이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안전핀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131)의 양단에는 상기 관통공(132)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머리부(13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핀(131)은 상기 구동바(130)의 양측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은 횡단면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횡단면은 역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은 상부가 상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명줄 걸이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외면 중 상기 트임부(111)에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외부를 통해 통과하도록 형성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로서,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 및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장착된 구명줄(30)을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211)가 형성된 대형 본체(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작업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를 제시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사용상태도.
도 5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사용상태도.
도 6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3 사용상태도.
도 7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제1 사용상태도.
도 8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제2 사용상태도.
도 9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저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명줄(30)을 생명줄(20)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아니고, 생명줄(20)에 장착된 별도의 이송장치(100)에 구명줄(30)을 장착하되, 이송장치(100)의 본체(100)의 하부에 트임부(111)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포스트(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트임부(111)에는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구동바(120)가 설치되므로, 포스트(10)의 통과시에는 구동바(120)의 개방구동에 의해 통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유사시에는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가 생명줄(20)에 걸리게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이동을 위하여 구명줄(30)의 고리(31)를 생명줄(20)로부터 이탈하여 재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편리해지고, 위험한 상황(생명줄에서 고리를 이탈시키는 상황)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구동바(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예컨대, 구동바(12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 회전축(121); 구동바(120)의 일단과 본체(110)에 결합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2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회전축(121)에 의해 구동바(120)의 회전에 의한 개폐구동이 가능하면서도, 탄성부재(122)의 탄성회복에 의해 구동바(120)의 제자리 위치회복이 가능하게 된다(도 3 내지 5).
구동바(120)는 본체(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유사시 생명줄(20)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한편, 평상시에는 트임부(111)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생명줄(20) 상을 왕복하게 되지만, 유사시에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뒤집어져 트임부(111)가 상측을 향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경사진 방향으로 하향 구동을 하면서 생명줄(20)에 대하여 구동바(120)가 개방구동을 하여,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생명줄(20)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도 6).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뒤집어져 트임부(111)가 상측을 향하는 경우, 구동바(120)의 개방구동을 제한하도록 본체(110)에 별도의 구동제한부(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동제한부(130)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뒤집어져 트임부(111)가 상측을 향하는 경우, 돌출구동에 의해 구동바(120)가 걸리도록 본체(110)에 설치된 안전핀(131) 등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도 7,8).
이러한 안전핀(131)은 평상시(트임부가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는 돌출되지 않아 구동바(120)의 개방구동을 방해하지 않지만(도 7), 유사시(트임부가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는 돌출되어 구동바(120)의 개방구동을 제한하게 된다(도 8).
구체적으로, 본체(110)에는 이러한 안전핀(131)이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안전핀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안전핀(131)의 양단에는 관통공(132)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머리부(133)가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7,8).
상술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이탈위험은 전후 양측을 향하여 모두 가능하므로, 위 안전핀(131)은 구동바(13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안전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도 9).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이송 중 포스트(10)를 만나는 경우, 반드시 포스트(10)가 트임부(11)에 삽입되면서 건너갈 수 있는 상태로 만난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의 횡단면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포스트(10)가 트임부(11)를 만나지 않더라도, 위 경사구조로 인한 슬라이드 구동(본체의 회전구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포스트(10)가 트임부(11)를 만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11).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본체(110)가 어떠한 상태에서 포스트(10)를 만나더라도, 트임부(111)가 자연스럽게 하측을 향하는 회전거동을 일으킬 것인바, 포스트(10)를 통과하는 거동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의 상부가 상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본체(110)가 다소 기울어진 상태로 포스트(10)를 만나더라도 안정적으로 포스트(10)가 트임부(111)를 만나도록 하는 본체(110)의 회전거동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도 12,13).
구명줄 걸이부(140)는 본체(110)의 외면 중 트임부(111)에 인접한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무게중심을 하측으로 유지하여, 트임부(111)가 하측을 향하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하나의 생명줄(20)에 여러 개 장착되는 경우, 이들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서로 통과하여 지나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현장의 작업자는 장시간 동안 좁은 영역에서 작업을 진행하므로, 상술한 구조의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하지만, 감독자와 같이 단시간 동안 작업상황을 지켜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점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위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구성을 채용하되, 이보다 대형 본체(210)를 구비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외부를 통해 통과하도록 별도의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14).
이러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의 대형 본체(210)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포스트(10) 및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장착된 구명줄(30)을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211)가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도 15).
나머지 구동바, 안전핀, 구명줄 걸이부와 같은 구성은 위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포스트 20 : 생명줄
30 : 구명줄 100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110 : 본체 111 : 트임부
120 : 구동바 121 : 회전축
122 : 탄성부재 130 : 구동제한부
131 : 안전핀 132 : 관통공
133 : 머리부 140 : 구명줄 걸이부
200 :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210 : 대형 본체
211 : 트임부

Claims (12)

  1.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상기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상기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120)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회전축(121);
    상기 구동바(120)의 일단과 상기 본체(110)에 결합한 탄성부재(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가 뒤집어져 상기 트임부(111)가 상측을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구동바(120)의 구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구동제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한부(130)는
    돌출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바(120)가 걸리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안전핀(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안전핀(131)이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안전핀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131)의 양단에는 상기 관통공(132)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머리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핀(131)은 상기 구동바(130)의 양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은 횡단면이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횡단면은 역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은 상부가 상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줄 걸이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외면 중 상기 트임부(111)에 인접한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외부를 통해 통과하도록 형성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로서,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 및 상기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장착된 구명줄(30)을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211)가 형성된 대형 본체(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200).
KR1020110075752A 2011-07-29 2011-07-29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126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52A KR101265723B1 (ko) 2011-07-29 2011-07-29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752A KR101265723B1 (ko) 2011-07-29 2011-07-29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63A KR20130013863A (ko) 2013-02-06
KR101265723B1 true KR101265723B1 (ko) 2013-05-20

Family

ID=4789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752A KR101265723B1 (ko) 2011-07-29 2011-07-29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5271A (zh) * 2018-02-08 2018-08-03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塔作业用连接装置
KR20210019318A (ko) 2019-08-12 2021-02-22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20210028465A (ko) 2019-09-04 2021-03-12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816B1 (ko) * 2013-10-29 2014-04-21 박효순 산업용 안전 연결고리의 로프 연결장치
KR20170119787A (ko) * 2016-04-19 2017-10-30 강명석 구명줄 이송장치
KR102084693B1 (ko) * 2018-10-29 2020-03-04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131712B1 (ko) * 2018-10-29 2020-07-08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64Y1 (ko)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JP2004016391A (ja) 2002-06-14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命綱フックが通過可能な親綱支持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64Y1 (ko)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JP2004016391A (ja) 2002-06-14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命綱フックが通過可能な親綱支持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5271A (zh) * 2018-02-08 2018-08-03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塔作业用连接装置
CN108355271B (zh) * 2018-02-08 2020-12-01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塔作业用连接装置
KR20210019318A (ko) 2019-08-12 2021-02-22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20210028465A (ko) 2019-09-04 2021-03-12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405308B1 (ko) * 2019-09-04 2022-06-02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63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723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ES2702778T3 (es) Casco
WO2010089432A1 (es) Sistema de acoplamiento entre elemento de desgaste y adaptador para maquinas excavadoras y similares, así como componentes del mismo
EP2850965B1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 machine
KR101265725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EP3384794B1 (en) Detachable pad fastening structure of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me
JP2007244299A (ja) 回転刃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2084693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20170119787A (ko) 구명줄 이송장치
US190829A (en) Improvement in firemen s belts
KR200461050Y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157565B1 (ko) 핸드드릴용 칩 커버
JP7298806B2 (ja) ヘルメット
KR200430733Y1 (ko) 안전모
JP3212044U (ja) カラビナ構造
KR102302701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US363033A (en) Halter
KR102405308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CN210025371U (zh) 带刀鞘的刀
JP5696912B2 (ja) 刈払機の飛散防止安全カバー
KR200464869Y1 (ko) 달비계 작업용 안전조끼
WO2021040051A1 (ja) 安全装置連結用コネクタ
KR200452503Y1 (ko) 소라 포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