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18A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18A
KR20210019318A KR1020190098363A KR20190098363A KR20210019318A KR 20210019318 A KR20210019318 A KR 20210019318A KR 1020190098363 A KR1020190098363 A KR 1020190098363A KR 20190098363 A KR20190098363 A KR 20190098363A KR 20210019318 A KR20210019318 A KR 20210019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portion
front opening
lifeline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701B1 (ko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19009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재(20)가 열지어 설치된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일측에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비계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재(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10) 및 결합부재(30)를 통과하도록, 전방 트임부(110), 후방 트임부(120) 및 하방 트임부(130)가 형성된 본체;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상기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본체가 회전하여 상기 하방 트임부(130)가 상기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에는 회전유발 경사부(200)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날 때, 항상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상기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는 상기 본체의 하방 트임부(130)의 중심선의 연직 상방에 형성되는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제시함으로써,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를 쉽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FOR LIFE LIN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명줄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4는 종래의 비계 및 클램프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건설 공사에서 높은 고도에서의 작업을 위하여, 수평부재(20)가 열지어 설치된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일측에 클램프 등의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비계를 사용하는데, 비계의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를 수평부재(20)에 걸고, 그 고리에 구명줄을 연결하며, 작업자는 허리 등에 구명줄을 착용하고 작업한다.
구명줄의 단부에 장착된 고리가 수직부재(10)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구명줄의 길이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위 고리를 수평부재(20)로부터 이탈시킨 후, 다시 원하는 위치에 재장착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2개의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을 받았다.
도 5 내지 12는 한국등록특허 제1265725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트임부(111)에 인접하여 형성된 회전축(120);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회전 중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회전날개(13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명줄(30)을 생명줄(20)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아니고, 생명줄(20)에 장착된 별도의 이송장치(100)에 구명줄(30)을 장착하되, 이송장치(100)의 본체(100)의 하부에 트임부(111)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포스트(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트임부(111)에는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날개(130)가 설치되므로, 포스트(10)의 통과시에는 회전날개(130)의 회전에 의해 통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유사시에는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된 회전날개(130)가 생명줄(20)에 걸리게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 제1265723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포스트(10)에 설치된 생명줄(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후단 및 하부에 상기 포스트(10)를 통과하기 위한 트임부(111)가 형성된 본체(110);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구명줄(30)을 생명줄(20)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아니고, 생명줄(20)에 장착된 별도의 이송장치(100)에 구명줄(30)을 장착하되, 이송장치(100)의 본체(100)의 하부에 트임부(111)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포스트(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트임부(111)에는 포스트(10)를 만나면 젖혀지고, 포스트(10)를 통과하면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구동바(120)가 설치되므로, 포스트(10)의 통과시에는 구동바(120)의 개방구동에 의해 통과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고, 유사시에는 트임부(111)를 가로질러 설치된 구동바(120)가 생명줄(20)에 걸리게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는 수직부재(10)의 일측에 수평부재(20)가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한 구조를 취하므로, 상술한 구조의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가 이러한 결합부를 통과하여 이동하려면, 그 통과과정에서 반드시 이송장치(100)의 트임부(111)가 타측을 향하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위 2개의 등록특허에서는, 본체(110)의 횡단면이 역사다리꼴이고, 그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의 상부가 상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제시하였다(도 11,12).
즉, 전단 트임부 및 후단 트임부에 경사구조를 형성하고, 이송장치(10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이 경사구조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여, 트임부(111)가 타측을 향하는 구조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단 트임부의 첨부(전방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이 본체의 상부 중심선(하방 트임부(111)의 중심선의 연직 상방) 위에 형성되므로, 이러한 첨부가 수직부재(10)의 일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장치(10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이송장치(100)가 시계방향(도 20 기준)으로 회전하여 이송장치(100)의 트임부(111)가 타측을 향하게 되어 별 문제가 없으나, 첨부가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장치(10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이송장치(100)가 반시계방향(도 20 기준)으로 회전하여 이송장치(100)의 트임부(111)가 일측을 향하게 되므로 이송장치(100)가 이러한 결합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도 20).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265725호 한국등록특허 제12657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를 쉽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부재(20)가 열지어 설치된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일측에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비계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10) 및 결합부재(30)를 통과하도록, 전방 트임부(110), 후방 트임부(120) 및 하방 트임부(130)가 형성된 본체;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상기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본체가 회전하여 상기 하방 트임부(130)가 상기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에는 회전유발 경사부(200)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날 때, 항상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상기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는 상기 본체의 하방 트임부(130)의 중심선의 연직 상방에 형성되는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를 제시한다.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타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타측 경사부(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돌출 경사부(221);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첨부(111)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일측 함몰 경사부(2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에 형성된 상기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일체형 경사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에 비해 일측 전단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 가장자리부(13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를 쉽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를 제시한다.
도 1 내지 4는 종래의 비계 및 클램프를 촬영한 사진들.
도 5 내지 12는 한국등록특허 제1265725호의 도면.
도 13 내지 19는 한국등록특허 제1265723호의 도면.
도 20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관한 단면도.
도 2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1은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2는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3,24는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25는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26은 제2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수평부재(20)가 열지어 설치된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일측에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비계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수평부재(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수직부재(10) 및 결합부재(30)를 통과하도록, 전방 트임부(110), 후방 트임부(120) 및 하방 트임부(130)가 형성된 본체;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본체가 회전하여 하방 트임부(130)가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하도록, 전방 트임부(110)에는 회전유발 경사부(200)가 형성된다.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수직부재(10)를 만날 때, 항상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도록,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는 본체의 하방 트임부(130)의 중심선의 연직 상방에 형성되는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종래와 같은 구조를 취하되,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본체의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수직부재(10)를 만날 때, 항상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항상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므로, 이러한 첨부(111)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이송장치(100)가 시계방향(도 23,24 기준)으로 회전하여 이송장치(100)의 트임부(111)가 타측을 향하게 되어, 작업자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부를 쉽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본체의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되고, 그 일측에 구명줄 걸이부(140)도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송장치(100)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되고, 이로 인하여 이송장치(100)가 항상 시계방향(도 23,24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술한 첫째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하방 트임부(130)는 위 2개의 등록특허와 같이 회전날개, 구동바 등에 의해 보강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본체의 강도를 크게 하고 하방 트임부(130)의 폭을 수평부재(20)의 직경보다 좁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강구조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의 구체적 구조에 관한 2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도 21,22에 도시된 실시예이다.
기본적으로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본체의 타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타측 경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본체가 시계방향(도 23,24 기준)으로 회전하여 하방 트임부(130)가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부 중심선(101)보다 타측에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타측 경사부(210)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위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돌출 경사부(221);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첨부(111)에서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일측 함몰 경사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과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첨부(111)의 타측에는 일측 돌출 경사부(221)가 형성되고, 첨부(111)의 일측에는 일측 함몰 경사부(222)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는 이송장치(100)의 무게중심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송장치(100)의 이동 및 결합부 통과구동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도 25,26에 도시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도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타측 경사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에 형성된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일체형 경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방 트임부(110)에서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첨부(111)가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에 형성되므로,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은 전방 트임부(110)에서 가장 후방으로 함몰된 구성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에서 일측 전단에 이르기까지 나선형 돌출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에 비해 일측 전단이 돌출됨에 따라,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 가장자리부(131)(인접 가장자리부에 비해 돌출된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본체가 시계방향(도 23,24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 도중 위 돌출 가장자리부(131)가 수직부재(10)의 결합부위 하측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그 결합부위가 이송장치(100)의 하방 트임부(130)로 유도되어 이송장치(100)의 통과구동이 더욱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전방 트임부(110)의 실시예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후방 트임부(120)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전방 트임부(110)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수직부재 20 : 수평부재
30 : 결합부재 100 :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101 : 상부 중심선 110 : 전방 트임부
111 : 첨부 120 : 후방 트임부
130 : 하방 트임부 131 : 돌출 가장자리부
140 : 구명줄 걸이부 200 : 회전유발 경사부
210 : 타측 경사부 220 : 일측 일체형 경사부
221 : 일측 돌출 경사부 222 : 일측 함몰 경사부

Claims (5)

  1. 수평부재(20)가 열지어 설치된 다수의 수직부재(10)의 일측에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형성된 비계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10) 및 결합부재(30)를 통과하도록, 전방 트임부(110), 후방 트임부(120) 및 하방 트임부(130)가 형성된 본체;
    작업자에게 연결되는 구명줄(30)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명줄 걸이부(140);를 포함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나면, 상기 수직부재(1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본체가 회전하여 상기 하방 트임부(130)가 상기 수직부재(10)의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에는 회전유발 경사부(200)가 형성되고,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전방 트임부(110)가 상기 수직부재(10)를 만날 때, 항상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가 상기 수직부재(10)의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만나도록,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첨부(111)는 상기 본체의 하방 트임부(130)의 중심선의 연직 상방에 형성되는 가상의 상부 중심선(101)보다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타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타측 경사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돌출 경사부(221);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첨부(111)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까지 후방으로 함몰형성된 일측 함몰 경사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트임부(110)의 회전유발 경사부(200)는,
    상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중심선(101)의 전단에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전단에 형성된 상기 첨부(111)까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일측 일체형 경사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타측 전단에 비해 일측 전단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하방 트임부(13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 가장자리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100).
KR1020190098363A 2019-08-12 2019-08-12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30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63A KR102302701B1 (ko) 2019-08-12 2019-08-12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63A KR102302701B1 (ko) 2019-08-12 2019-08-12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18A true KR20210019318A (ko) 2021-02-22
KR102302701B1 KR102302701B1 (ko) 2021-09-14

Family

ID=7468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63A KR102302701B1 (ko) 2019-08-12 2019-08-12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10A (ja) * 1993-06-04 1994-12-20 Fujita Corp 安全帯架装装置
JPH11347139A (ja) * 1998-06-09 1999-12-21 Hyuga Kensetsu:Kk 墜落防止安全装置
KR101265723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1265725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20190056097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710A (ja) * 1993-06-04 1994-12-20 Fujita Corp 安全帯架装装置
JPH11347139A (ja) * 1998-06-09 1999-12-21 Hyuga Kensetsu:Kk 墜落防止安全装置
KR101265723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1265725B1 (ko) 2011-07-29 2013-05-20 강명석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20190056097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명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01B1 (ko)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85333A (en) Rope socket
TW201139092A (en) Miter saw with improved dust collection system
KR101265723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US9783953B2 (en) Bail assembly
JPH074071A (ja) 鋼材剪断機
KR20210019318A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450385B1 (ko) 시스템 비계용 구명줄 이송장치
US1342563A (en) Clamp
US705526A (en) Safety hoisting-hook for ore-buckets, & c.
US3638460A (en) Locking bars
US4044903A (en) Specific linkage arrangement for bucket control
JP2006112216A (ja) 梯子
US1737029A (en) Sucker-rod elevator
KR20130013861A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독용 구명줄 이송장치
KR102084693B1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US2992499A (en) Attachment for bulldozers
KR20210028465A (ko) 작업용 구명줄 이송장치
US1346870A (en) Shovel attachment
US2567044A (en) Safety latch for elevators
JP5592180B2 (ja) 板爪型アンカー
CN219176067U (zh) 一种吊篮用离心限速式安全锁
KR20210000035U (ko) 중장비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US2067168A (en) Edger attachment for grading machines
US1240210A (en) Anchor-jack.
KR101546536B1 (ko) 굴착기용 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