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970B1 -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1970B1 KR101261970B1 KR1020130028196A KR20130028196A KR101261970B1 KR 101261970 B1 KR101261970 B1 KR 101261970B1 KR 1020130028196 A KR1020130028196 A KR 1020130028196A KR 20130028196 A KR20130028196 A KR 20130028196A KR 101261970 B1 KR101261970 B1 KR 101261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fluidized bed
- bed boiler
- pellet
- hot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567 combustion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453 pellet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882 bottom ash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148 unit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49 solid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33 protec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6 calc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51 cyc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슬러지 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성형하여 펠렛으로 연료화한 후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반입되는 슬러지를 저장하고 탈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저장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저장하는 펠렛 성형화부; 상기 펠렛 성형화부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유동층보일러; 및 상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입되는 슬러지를 저장하고 탈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저장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저장하는 펠렛 성형화부; 상기 펠렛 성형화부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유동층보일러; 및 상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성형하여 펠렛으로 연료화한 후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산업 현장, 농축산 현장, 음식물 처리시설 등에서 발생된 하/폐수, 찌꺼기 등의 슬러지는 건조 시설을 통해 부숙화, 고화, 건조 및 소각 등을 통해 재생 원료 또는 연료로 처리된다.
본 발명은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으로 연료화한 후 유동층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여 처리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유동층보일러는 외부로부터 연소를 위해 투입된 고발열량의 고형연료 및 바이오매스가 유동층 연소실 내에 구비된 유동사(Fluid Sand)에 압입 송풍기를 통한 연소용 유동 공기가 공급되면서 강한 상승기류, 연료의 혼입 및 극도의 난류에 의한 복잡한 환경하에서 연소가 발생 된다.
더하여, 유동층보일러는 밸런싱 드라프트 운전 연소시스템을 채택하여 유인송풍기의 운전에 의해 연소 배기가스는 연소실 출구로 상승하지만, 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대류, 복사, 전열 등에 의한 메커니즘으로 연소실내에 저장된 유동사의 보유 열량이 높아지며, 유동사의 온도가 900℃ 이상에서는 유동사의 멜팅이 서서히 발생된다. 이는 고발열량의 연소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일정 시간이 경과 되면 유동 불량이 나타나고 연소가 불량하게 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연료의 열량이 3,500kcal/kg이하에서만 사용을 하였다.
이와 같이, 연소의 측면에서 보면 가장 높은 연소 효율이 장점인 반면에 고발열량의 연료가 공급되면 이에 따른 유동사의 멜팅(Melting)이 발생하는 문제를 병행하는 불합리함도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료의 발열량을 낮게 조정하여 공급하거나, 고온 운전시 냉각수를 연소실 내부로 순환시켜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유동사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문제 해결 방안이었다.
관련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10-1154826호 (등록일자 2012년 6월 4일)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저 처리 설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를 건조하여 유동층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하고, 또한 자원 재활용 효율이 우수한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의 측벽에 냉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회수율이 우수하고 연소실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연 및 강제 수관에 의해 열회수 능력을 극대화하고, 로내 과열을 방지하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된 회수 에너지 및 폐열을 슬러지 건조에 재활용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입되는 슬러지를 저장하고 탈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저장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저장하는 펠렛 성형화부; 상기 펠렛 성형화부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유동층보일러; 및 상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펠렛 성형화부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간접가열에 의하여 건조하는 간접건조기와, 상기 간접건조기에서 공급되는 건조슬러지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배출된 혼합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기와, 상기 펠렛 성형기에서 성형된 펠렛을 열풍으로 직접가열하여 건조하는 열풍건조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가스 처리부는 상기 유동층보일러의 배가스에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필터와, 상기 백필터에서 처리된 배가스에 열풍을 혼합하여 상기 열풍건조기로 공급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열풍건조기를 통과한 배가스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세정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층보일러는 펠렛 연료가 유동사와 순환하며 연소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장치; 상기 연소실의 프리보드 측벽에 형성되는 제2냉각장치; 상기 연소실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는 버너; 및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어 유동화공기를 분산하는 공기분산관;를 포함한다.
상기 제2냉각장치는 상기 프리보드 측벽의 외부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헤더와, 하부헤더 그리고, 상기 하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며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열교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헤더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상부헤더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헤더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하부헤더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한 후, 이를 유동층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슬러지를 연료화하여 처리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는 유동층보일러의 스팀과 배가스를 슬러지의 건조에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회수율이 우수한 슬러지 처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는 유동층내에서 연소를 완결시켜 연소효율이 우수하고 자연 및 강제 수관에 의해 열회수율이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평면도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평면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는 반입되는 슬러지를 저장하고 탈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저장조(10)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저장하는 펠렛 성형화부(200)와, 상기 펠렛 성형화부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유동층보일러(100)와, 상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슬러지 저장조(10)는 반입장을 통해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저장한다.
펠렛 성형화부(200)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간접가열에 의하여 건조하는 간접건조기(210)와, 상기 간접건조기(210)에서 공급되는 건조슬러지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혼합하는 혼합기(220)와, 상기 혼합기(220)에서 배출된 혼합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기(230)와, 상기 펠렛 성형기(230)에서 성형된 펠렛을 열풍으로 직접가열하여 건조하는 열풍건조기(240)를 포함한다.
간접건조기(210)는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열원으로 이용하여 슬러지를 간접건조하게 된다.
탈수 슬러지의 함수율은 80% 수준이고, 간접건조기(210)에서 건조된 후 배출되는 건조 슬러지의 함수율은 25% 수준이다.
혼합기(220)는 탈수 슬러지와 건조 슬러지를 고르게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혼합기(220)를 배치할 수도 있다. 혼합기(220)에서 혼합되는 혼합 슬러지의 함수율은 50% 수준이 된다.
따라서, 펠렛 성형기(230)로는 함수율 50%의 혼합 슬러지를 이용하여 펠렛을 성형하게 되고, 성형된 펠렛의 함수율도 50% 수준이 된다.
열풍건조기(240)는 함수율 50% 의 펠렛을 저온 열풍을 이용하여 직접 건조 방식으로 건조하게 되는데, 악취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조 온도는 75~1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건조기(240)에서 사용되는 열풍은 유동층보일러(100)의 배가스가 백필터(310)에서 처리된 후 공급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소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 건조기(240)에서 건조된 펠렛의 함수율은 25% 수준이다.
별도의 펠렛 저장조(250)를 구비하여, 건조 펠렛을 저장하고 유동층보일러(100)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유동층보일러(100)는 건조된 펠렛을 연료로 공급받아 연소시켜 스팀을 발생시킨다. 이 때 발생된 스팀은 펠렛 성형화부(200)의 간접 건조기(210)의 열원으로 공급된다.
또한, 유동층보일러(100)에서 발생하는 배가스는 펠렛 성형화부(200)의 열풍건조기(240)로 공급된다.
유동층보일러(100)의 구조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배가스 처리부(300)는 상기 유동층보일러(100)의 배가스에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필터(310)와, 상기 백필터(310)에서 처리된 배가스에 열풍을 혼합하여 상기 열풍건조기로 공급하는 열풍공급기(320)와, 상기 열풍건조기(320)를 통과한 배가스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세정탑(330)을 포함한다.
상기 백필터(310)의 입구측에 활성탄 또는 소석회를 추가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에 사용되는 유동층보일러(100)는 연료가 유동사와 순환하며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장치(150)와, 상기 연소실의 프리보드 측벽(110)에 형성되는 제2냉각장치(160)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130)과,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는 버너(140)와,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어 유동화공기를 분산하는 공기분산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동층 레벨(Fluidized Bed Level)이란 유동사가 순환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샌드층의 표면을 의미한다.
제1냉각장치(150)는 유동층 레벨 하부에 설치되어, 샌드층의 유동사를 냉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냉각장치(150)는 평면적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샌드층의 유동사를 고르게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냉각장치(150)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며, 공급된 냉각수는 유동사와 열교환하여 스팀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스팀은 상술한 간접 건조기(210)의 열원으로 공급된다. 이 때 별도의 증기드럼(미도시)으로 회수한 후 간접 건조기(21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제2냉각장치(160)는 연소실의 프리보드 측벽에 형성되어, 연소실의 프리보드 부분을 냉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유동상 소각로의 경우 유동층 레벨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경우는 존재하였으나, 프리보드 부분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하지는 않고 있었다.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서 발열량이 다른데, 프리보드 부분은 연료의 종류와 연소 상태에 따라서 온도의 변화 편차가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제2냉각장치(160)를 이용하여 프리보드 부분의 열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실의 과열을 방지하고 에너지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보드 부분에서 열이 회수되지 못하여 과열될 경우 유동사가 녹아 내리거나 연소실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냉각장치는 연소실의 프리보드 측벽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관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냉각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과열을 방지하고 적정온도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료 공급관(130)은 연소실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한다.
연료 공급관(130)을 통해서는 고형연료 또는 바이오매스가 공급된다. 고형연료는 폐기물로부터 획득한 재생에너지 연료로서, 폐기물고형화연료(RDF), 폐플라스틱 고형화연료(RFF), 우드칩(Wood chip) 또는 석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층 보일러는 이러한 중저열량 연료의 연소에 적합한 소각로이다.
공기분산관(120)은 유동공기를 공급하여, 상승기류를 발생시키며,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배가스는 연소실 상부에 위치한 출구(112)를 통해 백필터(310)로 보내진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동사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동사 순환수단을 구비한다.
유동사 순환수단은 연소실의 하부를 통해서 배출되는 유동사를 선별하는 유동사 선별기와 유동사 순환 컨베이어와, 유동사 저장조를 포함한다.
유동사 선별기는 유동사와 불연물을 분리하여, 분리된 유동사를 순환컨베이어로 공급한다. 유동사 순환컨베이어는 분리된 유동사를 유동사 저장조로 이송시키며, 유동사 저장조는 유동사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량 만큼의 유동사를 다시 연소실 내로 공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 설비의 유동층보일러의 연소실 냉각장치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보일러의 제2냉각장치(160)는, 프리보드 측벽의 외부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헤더(164)와, 하부헤더(162) 그리고, 상기 상부헤더(164)와 상기 하부헤더(162)를 연결하며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열교환관(166)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관(166)는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형태가 된다. 이는 상기 하부헤더(162)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상부헤더(164)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는 구조에 있어서, 스팀이 자연대류에 의하여 상부헤더(16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상부헤더(164)로 수집되는 증기는 간접 건조기(210)로 보내진다.
또한, 열교환이 연소실 프리보드 측벽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관에 의한 냉각 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제2냉각장치(160)의 냉각용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헤더(162)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냉각열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하부헤더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관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냉각 열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모든 열교환관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도 있고, 일부의 열교환관에만 냉각수를 공급할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냉각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교환관을 보호하는 별도의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호커버는 열교환관(166)이 직접 연소되는 유동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호커버는 개별 열교환관의 단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전체 열교환관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슬러지 저장조 100 : 유동층보일러
110 : 프리보드 측벽 120 : 공기분산관
130 : 연료 공급관 140 : 버너
150 : 제1냉각장치 160 : 제2냉각장치
162 : 하부헤더 164 : 상부헤더
166 : 열교환관 200 : 펠렛 성형화부
210 : 간접 건조기 220 : 혼합기
230 : 펠렛 성형기 240 : 열풍 건조기
250 : 펠렛 저장조 300 : 배가스 처리부
310 : 백필터 320 : 열풍 공급기
330 : 악취제거 세정탑
110 : 프리보드 측벽 120 : 공기분산관
130 : 연료 공급관 140 : 버너
150 : 제1냉각장치 160 : 제2냉각장치
162 : 하부헤더 164 : 상부헤더
166 : 열교환관 200 : 펠렛 성형화부
210 : 간접 건조기 220 : 혼합기
230 : 펠렛 성형기 240 : 열풍 건조기
250 : 펠렛 저장조 300 : 배가스 처리부
310 : 백필터 320 : 열풍 공급기
330 : 악취제거 세정탑
Claims (7)
- 반입되는 슬러지를 저장하고 탈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저장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건조하고 성형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저장하는 펠렛 성형화부;
상기 펠렛 성형화부에서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유동층보일러;
상기 유동층보일러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처리하는 배가스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펠렛 성형화부는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탈수 슬러지를 간접가열에 의하여 건조하는 간접건조기와,
상기 간접건조기에서 공급되는 건조슬러지와,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혼합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에서 배출된 혼합슬러지를 펠렛으로 성형하는 펠렛 성형기와,
상기 펠렛 성형기에서 성형된 펠렛을 열풍으로 직접가열하여 건조하는 열풍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처리부는
상기 유동층보일러의 배가스에서 미세분진과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필터와,
상기 백필터에서 처리된 배가스에 열풍을 혼합하여 상기 열풍건조기로 공급하는 열풍공급기와,
상기 열풍건조기를 통과한 배가스를 처리하는 악취제거세정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보일러는
연료가 유동사와 순환하며 연소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장치;
상기 연소실의 프리보드 측벽에 형성되는 제2냉각장치;
상기 연소실의 내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관;
상기 연소실 내부에 배치되는 버너; 및
상기 연소실의 유동층 레벨 하부에 형성되어 유동화공기를 분산하는 공기분산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보일러의 제2냉각장치는
상기 프리보드 측벽의 외부에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헤더와, 하부헤더 그리고, 상기 상부헤더와 상기 하부헤더를 연결하며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열교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보일러는
상기 하부헤더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되고, 상기 상부헤더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며,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프리보드 측벽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헤더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거나,
상기 하부헤더에서 냉각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 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196A KR101261970B1 (ko) | 2013-03-15 | 2013-03-15 |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196A KR101261970B1 (ko) | 2013-03-15 | 2013-03-15 |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1970B1 true KR101261970B1 (ko) | 2013-05-08 |
Family
ID=4866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8196A KR101261970B1 (ko) | 2013-03-15 | 2013-03-15 |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19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4844A1 (ko) * | 2014-06-18 | 2015-12-23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재열방식 석탄 건조장치 |
CN108298783A (zh) * | 2018-03-05 | 2018-07-20 | 中化工程集团环保有限公司 | 重金属污染底泥原位阻隔修复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2649B1 (ko) * | 2008-06-26 | 2009-04-08 | 배희동 | 슬러지 건조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1024447B1 (ko) | 2010-12-16 | 2011-03-23 | 이행석 |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고형연료 제조방법 |
-
2013
- 2013-03-15 KR KR1020130028196A patent/KR1012619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2649B1 (ko) * | 2008-06-26 | 2009-04-08 | 배희동 | 슬러지 건조처리 방법 및 장치 |
KR101024447B1 (ko) | 2010-12-16 | 2011-03-23 | 이행석 |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고형연료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4844A1 (ko) * | 2014-06-18 | 2015-12-23 |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 저압 과열증기를 이용한 재열방식 석탄 건조장치 |
CN108298783A (zh) * | 2018-03-05 | 2018-07-20 | 中化工程集团环保有限公司 | 重金属污染底泥原位阻隔修复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76907B (zh) |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方法 | |
RU2544641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ушивания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 частности, илистых отложений станци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с выработкой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 |
JP4899220B2 (ja) |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 |
CN105258134B (zh) | 基于两介质烟气干燥和循环流化床锅炉的煤‑污泥混烧系统 | |
JP5048573B2 (ja) |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 |
JP2011511703A (ja) | 汚泥乾燥の方法 | |
JP2013224810A (ja) | 有機汚泥の処理装置と処理方法 | |
RU2508503C2 (ru) |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ановк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оэтанола | |
KR101261970B1 (ko) | 유동층보일러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설비 | |
JP2008063362A (ja) | 塩素含有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KR101154826B1 (ko) |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 |
KR101252289B1 (ko) |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 |
KR101253430B1 (ko) | 자화 연소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09242636A (ja) |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 |
US11262066B2 (en) | Staggered firing | |
JP6270206B2 (ja) |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 |
JP5425958B2 (ja) | 汚泥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 |
FI108960B (fi) | Menetelmä ja sovitelma vaikeasti poltettavien aineiden polttamiseksi | |
KR20170066801A (ko) | 분체 연소 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탄 제조 장치 | |
JP2008212800A (ja) | 汚泥処理装置 | |
CN111623352A (zh) | 一种低热值高灰污泥自持焚烧系统及方法 | |
RU2375637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смеси углеродосодержащ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помета | |
KR200382289Y1 (ko) | 소각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구조 | |
CN109611870A (zh) | 一种污泥竖炉焚烧处理方法与装置 | |
CN202973114U (zh) | 一种矩形联体多层空心安息角炉排焚烧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