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289B1 -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289B1
KR101252289B1 KR1020110146182A KR20110146182A KR101252289B1 KR 101252289 B1 KR101252289 B1 KR 101252289B1 KR 1020110146182 A KR1020110146182 A KR 1020110146182A KR 20110146182 A KR20110146182 A KR 20110146182A KR 101252289 B1 KR101252289 B1 KR 10125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yer
boiler
steam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일
이상호
김정근
진경태
정대헌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본 발명은 고함수 가축폐수 고형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기, 유동층연소기, 2차 연소실, 폐열증기보일러를 포함하는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에서, 건조기에서 건조처리된 고형물을 유동층 연소기와 2차 연소실을 이용하여 연소함으로써 발생되는 고온 가스의 열을 폐열증기보일러에서 회수하여 발생되는 고온스팀은 건조기의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하고 일부 여분의 스팀은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이다. 또한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증발 수분을 포함하는 배출가스는 응축기에서 1차로 응축되어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축되지 않은 잔여 수분과 악취가스 및 가연성 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는 유동층연소기 및 2차 연소실에 공급 및 연소되도록 하여 최종 배출되는 가스에서의 유해성분을 최소화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를 폐열증기보일러의 공급수로 사용함으로써 예열된 공급수가 폐열증기보일러로 투입되어 상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킨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Livestock Wastewater Sludg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함수 가축폐수 고형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기, 유동층연소기, 2차 연소실, 폐열증기보일러를 포함하는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에서, 건조기에서 건조처리된 고형물을 유동층 연소기와 2차 연소실을 이용하여 연소함으로써 발생되는 고온 가스의 열을 폐열증기보일러에서 회수하여 발생되는 고온스팀은 건조기의 가열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하고 일부 여분의 스팀은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장치이다. 또한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증발 수분을 포함하는 배출가스는 응축기에서 1차로 응축되어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축되지 않은 잔여 수분과 악취가스 및 가연성 가스를 포함하는 배출가스는 유동층연소기 및 2차 연소실에 공급 및 연소되도록 하여 최종 배출되는 가스에서의 유해성분을 최소화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를 폐열증기보일러의 공급수로 사용함으로써 예열된 공급수가 폐열증기보일러로 투입되어 상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킨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상의 고함수 폐기물은 80% 이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로 하수/폐수 처리공정을 비롯하여 염색, 제철, 화학공정 등에서의 유/무기화학 폐기물 등과 더불어 발생량은 매년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고함수 슬러지는 유해성물질 및 악취발생으로 인한 대기 오염과 방치에 따른 수질 및 토양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기 가축폐수를 포함한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은 대부분 매립에 의존해 왔는데,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폐기물을 자원화 또는 에너지화하려는 연구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건조 후 퇴비화, 소각과 용융 후 복토재 등으로 상당부분 재활용화 되고 있다.
상기 소각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소 이전에 고함수 폐기물 또는 고함수 고형물의 수분함량을 낮추어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소로 이전에 건조기를 설치하여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의 함수율을 낮추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건조기는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을 일정량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고, 공급된 고형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면서 일정량씩 건조된 고형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건조로의 건조열원은 대부분 연소로에서 발생된 열을 일부 회류시켜 공급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건조 처리된 고형물은 매립을 하거나 소각로에서 일반 폐기물과 함께 소각처리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력발전소와 시멘트공장에서 석탄 등의 연료와 일부 혼소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 건조로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도 열에너지를 갖고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를 활용하기 위해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 배출가스와 건조기로 투입되는 고함수 슬러지를 열교환되도록 하여 고함수 고형물이 건조이전에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또한, 상기 배출가스는 건조기의 가열과정에서 일부 방출되는 가연성 가스와, 악취가스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종 배출시에는 후처리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후처리공정은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가연성 가스가 다량으로 존재함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자주 교체하거나 촉매를 재생시키는 작업을 자주 수행하여야 함으로 시설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의 처리를 단순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출가스의 열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는,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을 일정량 건조기에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공급된 고형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면서 건조된 고형물의 연속적인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건조로의 건조열원은 유동층 연소기와 2차 연소실에서 발생된 열을 폐열증기보일러에서 회수하고, 이를 공급하도록 한다. 특히 폐열증기보일러에서는 유입된 열로부터 스팀을 생성시켜 열을 회수하도록 함으로 건조기로는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열원으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응축기를 통과시켜 대부분의 증발수분을 응축시켜 분리하고, 잔여 증발수분과 악취발생가스 및 가연성가스 등의 유해가스가 포함된 배출가스는 유동층연소기 및 2차 연소실로 공급하여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와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보일러 급수탱크로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온의 공급수를 폐열증기보일러로 공급하여 폐열증기보일러에서의 상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로 하여 스팀발생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장치의 제공을 부가적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는,
가축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받아 1차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층연소기와, 상기 유동층연소기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 연소시켜 열에너지로 전환시키고 공해물질을 저감시키는 2차연소실과, 전환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해 상변화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폐열증기보일러와, 상기 폐열증기보일러에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보일러급수탱크와, 상기 건조기로부터 증발수분이 포함된 고온 배출가스를 공급받아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를 낮춰 증발수분을 응축분리하는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열증기보일러와 건조기는 스팀공급관으로 연통설치되어 폐열증기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의 일부를 건조기로 투입하여 건조기의 고함수 고형물을 가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는,
수분 80% 정도의 고함수 슬러지 형상의 가축폐수 고형물을 연소로에서 발생된 열을 일부 회수하여 공급함으로써 수분 20% 정도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다시 건조 처리된 고형물을 유동층 연소기와 2차 연소실에서 단계적으로 연소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100분의 1 정도 까지 신속하게 감량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 가스를 폐열증기보일러에 유입하여 그 열을 회수하고 건조기의 열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완벽한 Recycling을 가능하게 한다.
증발수분과 악취발생가스 및 가연성가스인 유해가스가 포함된 건조기 배출가스는 응축기에서 수분을 응축 분리하고, 잔여 증발수분을 포함한 배출가스를 유동층연소기 및 2차 연소실로 공급하여 연소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배출되는 유해 가스량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와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보일러 급수탱크로 포집하여 사용함으로써 폐열증기보일러로 공급하는 공급수의 온도를 높여 폐열증기보일러에서의 상변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로 해 스팀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냉각수 이송관이 설치된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이송관이 설치된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축폐수 고형물 처리장치(10)는 가축폐수로부터 발생되는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20)와,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받아 1차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층연소기(30)와, 상기 유동층연소기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및 잔류 가연성가스를 2차연소시켜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2차연소실(40)과, 전환된 열에너지를 이용해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하여 온수 또는 상변화된 스팀을 생산하는 폐열증기보일러(50)와, 상기 폐열증기보일러에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보일러급수탱크(60)와, 상기 건조기로부터 증발수분이 포함된 고온 배출가스를 공급받아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를 낮춰 증발수분을 응축 분리하는 응축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20)는 수평관체로, 일측 상부에 호퍼(21)가 설치되어 가축폐기물인 고함수 고형물이 투입되도록 하고, 투입된 고함수 고형물은 내부의 이송수단 예컨대 스크류, 디스크에 의해 타측 단부로 이동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고온의 스팀 또는 공기를 송풍시켜 고함수 고형물을 증발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증발된 증발수분과 휘발성가스 및 악취가스를 포함하는 고온의 배출가스는 건조기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고함수 고형물을 안치하는 이송장치 부분은 다공판으로 형성하여 응집된 액상의 물이 하부로 포집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가열에 의해 수분함량을 20% 정도로 낮춘 슬러지인 건조 고형물은 건조기의 하부로 배출되어 유동층연소기로 공급한다.
상기 유동층연소기(30)는 수직관체로, 하부 일측에는 버너가 설치되어 내부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유동화가스를 공급하며, 유동층연소기의 측면에는 건조기에서 배출된 건조 고형물을 컨베이어, 스크류 등의 이송수단(31)에 의해 이송받아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수단에는 파쇄시를 더 포함시켜 고형물을 분말하여 유동층연소기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되는 건조 고형물은 내부 고온 조건에서 유동사 또는 촉매와 함께 유동화하면서 건조 및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동층연소기 내에서는 고온에 의해 열분해도 함께 발생한다. 상기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열분해가스와 연소가스는 유동층연소기 상부를 통해 배출되고, 연소가 완료된 회재는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2차연소실(40)은 버너에 의해 연소되면서 버너의 화염으로 유동층연소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하여 2차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유동층연소기에서 배출되는 가스에는 열분해가스와 연소가스 및 미분이 포함됨으로 이를 재연소시켜 배출되는 가스로부터 최대한으로 열에너지를 수취하도록 하며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상기 폐열증기보일러(50)는 2차연소실로부터의 고온의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면서 내부에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해 고온수로 배출하거나 스팀으로 상변화시켜 건조기의 슬러지(고형물)건조 또는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폐열증기보일러(50)는 일반적인 공지된 구조를 갖을 수 있으며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공급수를 유통시키는 관과 2차연소실에서 공급된 고온가스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열증기보일러의 측면에는 2차연소실로부터 공급받은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51)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구(51)에는 사이클론(52), 집진기(53) 등 후처리장치가 구비되어 가스에 포함되는 미세분진을 제거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상변화된 스팀은 스팀공급관(55)을 통해 건조기(20)로 공급하여 건조기에서의 고함수슬러지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열에너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급수탱크(60)는 폐열증기보일러(50)로 공급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보일러급수탱크에는 공급수 공급원과 연통되어 필요시 일정량씩 공급수를 보충하여 보일러급수탱크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일러급수탱크(60)와 폐열증기보일러(50)는 공급수공급관(61)으로 연통설치되어 보일러급수탱크(60)의 공급수를 폐열증기보일러(50)로 공급하며, 공급수공급관의 관로상에는 펌프와 밸브를 설치하여 필요한 량만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는 건조기에서 공급받은 증발수분이 포함된 고온 배출가스의 온도를 낮춰 기체성분으로부터 증발수분이 응축되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온도를 낮추는 수단으로 공냉 또는 수냉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된 응축수는 별도의 응축수 포집탱크(71)로 포집한 다음 폐수처리장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70)를 통해 증발수분이 분리된 배출가스는 소량의 증발수분과 악취가스 및 열분해가스 등 유해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건조배출가스공급관(72)을 통해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유동층연소기(30)나 2차연소실(40)로 공급하여 연소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가스는 소량의 증발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동층연소기나 2차연소실의 산소공급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내재하는 고열에 의해 악취가스를 분해할 수 있고, 열분해가스인 가연성가스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는 등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용 후처리장치가 필요없이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건조배출가스공급관(72)은 유동층연소기(30)와 2차연소실(40)로 각각 분기되어 배출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분기된 관에는 각각 단속밸브를 설치하여 배출가스의 공급량을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배출가스공급관(72)으로 이송되는 건조배출가스 중 일부를 건조기(20)로 투입하여 건조기에서의 고함수 고형물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건조기 내부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70)의 냉각수단으로 냉각수를 사용하고,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는 열교환냉각수이송관(74)을 통해 보일러급수탱크(60)에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70)는 응축기급수탱크(73)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응축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교환이 완료된 냉각수는 열교환냉각수이송관(74)을 통해 보일러급수탱크로 저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냉각수이송관(74)은 응축기급수탱크와 보일러급수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관체 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급수탱크(60)는 폐열증기보일러(50)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된 물이 예열되어 있으므로 이를 공급수로 하여 폐열증기보일러로 공급하면 폐열증기보일러에서는 적은 열에너지로도 공급수를 스팀으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열되지 않은 공급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량의 스팀을 생산할 수 있어 난방 또는 발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70) 외에도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건조기(20)와 보일러급수탱크(60)는 배출수이송관(22)을 연통설치하여 건조기(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수를 보일러급수탱크(60)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고함수 고형물을 건조기로 투입하면 건조기(20)에서는 고온스팀으로 가열하여 고함수고형물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상기 함수율이 낮아진 건조 고형물은 유동층연소기(30)로 투입되고, 증발된 수분이 포함된 배출가스는 응축기(70)로 공급된다.
상기 유동층연소기(30)에서는 건조 고형물을 유동화시키면서 가열 및 연소시키고, 기체성분은 2차연소실(40)로 공급해 2차로 연소가 더 이루어지도록 하여 잔여 가연성가스를 모두 열에너지를 극대화해 폐열증기보일러(50)로 공급한다.
상기 폐열증기보일러(50)에서는 보일러급수탱크(60)로부터 공급수공급관(61)을 통해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하여 스팀으로 상변화시키고 이를 난방 또는 발전에 사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생산된 스팀의 일부는 스팀공급관(55)을 통해 건조기(20)로 투입되어 건조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응축기(70)에서는 건조기(20)로부터 공급된 고온의 배출가스를 냉각수와의 열교환으로 온도를 낮춰 배출가스에 포함된 증발수분을 응축시켜 액상으로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응축수는 별도로 포집하여 폐수처리하고, 대부분의 증발수분을 제거한 배출가스는 건조배출가스공급관(72)을 통해 유동층연소기(30)와 2차연소실(40)로 공급한다. 상기 유동층연소기(30)와 2차연소실(40)로 공급된 배출가스는 내부 성분 중 열분해로 생성된 가연성가스는 연소되고 악취발생가스는 고열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70)에서 고온 배출가스와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는 열교환냉각수이송관(74)을 통해 보일러급수탱크(60)로 공급하여 폐열증기보일러(50)로 공급되는 공급수로 사용되도록 하며, 이외에 건조기(20)에서 포집된 고온의 배출수도 배출수이송관(22)을 통해 보일러급수탱크(60)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급수탱크(60)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가 높으면 폐열증기보일러(50)에 고온의 공급수를 공급함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열에너지로 가열하여도 스팀으로 상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스팀생성량을 증대하여 고형물(슬러지)건조 또는 난방 또는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처리장치
20 : 건조기
21 : 호퍼 22 : 배출수이송관
30 : 유동층연소기
31 : 이송수단
40 : 2차연소실
50 : 폐열증기보일러
51 : 가스배출구 52 : 사이클론
53 : 집진기 54 : 스팀배출구
55 : 스팀공급관
60 : 보일러급수탱크
61 : 공급수공급관
70 : 응축기
71 : 응축수포집탱크 72 : 건조배출가스공급관
73 : 응축기급수탱크 74 : 열교환냉각수이송관

Claims (4)

  1. 가축폐기물인 슬러지상의 고함수 고형물을 가열건조시키는 건조기(20)와, 상기 건조기에서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받아 1차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층연소기(30)와, 상기 유동층연소기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2차연소시켜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2차연소실(40)과, 전환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된 공급수를 가열해 상변화시켜 스팀을 생산하는 폐열증기보일러(50)와, 상기 폐열증기보일러에 공급되는 공급수를 저장하는 보일러급수탱크(60)와, 상기 건조기로부터 증발수분이 포함된 고온 배출가스를 공급받아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를 낮춰 증발수분을 응축분리하는 응축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열증기보일러(50)와 건조기(20)는 스팀공급관(55)으로 연통설치되어 폐열증기보일러에서 생성된 스팀의 일부를 건조기로 투입하여 건조기의 고함수슬러지를 가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70)는 건조배출가스공급관(72)에 의해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잔여증발수분이 포함된 배출가스를 유동층연소기(30)와 2차연소실(40)로 공급하여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가스 및 가연성가스를 연소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급수탱크(60)와 응축기(70)는 열교환냉각수이송관(74)으로 연통설치되어, 응축기에서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를 보일러급수탱크로 저장하여 폐열증기보일러(50)의 공급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급수탱크(60)와 건조기(20)는 배출수이송관(22)으로 연통설치되어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출수를 보일러급수탱크로 저장하여 폐열증기보일러의 공급수로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KR1020110146182A 2011-12-29 2011-12-29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KR10125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82A KR101252289B1 (ko) 2011-12-29 2011-12-29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82A KR101252289B1 (ko) 2011-12-29 2011-12-29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289B1 true KR101252289B1 (ko) 2013-04-05

Family

ID=4844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182A KR101252289B1 (ko) 2011-12-29 2011-12-29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2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508B1 (ko) * 2016-01-19 2018-02-22 코마텍에너지 주식회사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장치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80081703A (ko) 2018-07-09 2018-07-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2162511B1 (ko) 2019-05-07 2020-10-07 유한회사 청명 음식 폐기물 처리시설의 연료절감 및 생산성 향상 시스템
CN115231786A (zh) * 2014-11-14 2022-10-25 比尔及梅琳达盖茨基金会 多功能的粪便废物和垃圾的处理器以及相关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931A (ko) * 1989-05-03 1990-12-20 김홍기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5480A (ko) * 2001-05-08 2002-11-16 김상영 하수슬러지처리기
KR20060129144A (ko) * 2006-11-24 2006-12-15 박경식 유기물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10077495A (ko) * 2009-12-30 2011-07-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함수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931A (ko) * 1989-05-03 1990-12-20 김홍기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5480A (ko) * 2001-05-08 2002-11-16 김상영 하수슬러지처리기
KR20060129144A (ko) * 2006-11-24 2006-12-15 박경식 유기물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10077495A (ko) * 2009-12-30 2011-07-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함수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1786A (zh) * 2014-11-14 2022-10-25 比尔及梅琳达盖茨基金会 多功能的粪便废物和垃圾的处理器以及相关方法
US11885243B2 (en) 2014-11-14 2024-01-30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Multi-functional fecal waste and garbage processor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31508B1 (ko) * 2016-01-19 2018-02-22 코마텍에너지 주식회사 축산 폐기물 종합 처리장치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80081703A (ko) 2018-07-09 2018-07-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KR102162511B1 (ko) 2019-05-07 2020-10-07 유한회사 청명 음식 폐기물 처리시설의 연료절감 및 생산성 향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3261B (zh) 污泥制油和垃圾焚烧集成系统和方法
RU235359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с высо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воды
CN109111075A (zh) 污泥干化气化耦合燃煤发电系统及其工艺方法
CN106938881A (zh) 一种含碳固体废弃物的处理系统及方法
JP2007510533A (ja) 有機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US541097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and refuse
KR101534197B1 (ko) 폐자원 및 폐가스 회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자원화 시스템
CN104692603A (zh) 污泥集成处理系统
KR101252289B1 (ko)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CN104357069A (zh) 垃圾的炭气联产处理方法及其生产线
KR200380974Y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WO2010150412A1 (ja) 有機汚泥の処理装置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EA01416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тилизации твёрдых отходов
KR20020085480A (ko) 하수슬러지처리기
EP2855375B1 (en) Plant for the treatment of sludge
KR100400613B1 (ko) 오폐수 슬러지의 연료화 소각처리 방법
KR101703870B1 (ko) 자원화 시설용 고농도 악취 제거 및 연료 절약 시스템
KR20060064141A (ko) 열분해법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CN104329676B (zh) 流化床污泥焚烧系统及处理方法
KR100856677B1 (ko)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520347B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CN2702185Y (zh) 污泥焚烧处理装置
KR20000003303A (ko) 하수 슬러지 처리방법
KR101582528B1 (ko) 차량탑재형 유기성폐기물 탄화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