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933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933B1
KR101259933B1 KR1020120062719A KR20120062719A KR101259933B1 KR 101259933 B1 KR101259933 B1 KR 101259933B1 KR 1020120062719 A KR1020120062719 A KR 1020120062719A KR 20120062719 A KR20120062719 A KR 20120062719A KR 101259933 B1 KR101259933 B1 KR 10125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earing
shaft
bearing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615A (ko
Inventor
야수후미 야마기시
토시오 에노키도
노보루 오노지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787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99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픽업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부품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에 대응해서,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하우징의 갈라짐을 막는 크랙 발생 방지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OPTICAL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크 등의 미디어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이나, 디스크 등의 미디어에 데이터를 기록시키는 것이 가능한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는, 종래의 픽업장치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광픽업장치(501)(도 5, 도 6)가 이용되어, 미디어(도시생략)에 있어서의 정보 등의 데이터의 재생 또는 기록이 행해진다. 미디어로서,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를 들 수 있다(모두 도시생략).
이 광픽업장치(50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생략) 등을 구비한 광디스크장치(도시생략)에 장착된다.
광픽업장치(501)를 구성하는 하우징(601)에 대물렌즈(610)(도 5)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이란, 예를 들면 장치, 부품 등의 것이 수용되는 상자형의 것이나, 상자와 유사한 것을 의미한다.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은, 제1샤프트(810)와, 제2샤프트(82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샤프트(810,820)는 섀시(도시생략)에 부착된다. 섀시란, 예를 들면 부품이 부착되는 대(臺)를 의미한다.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에 설치된 베어링부(511,512)에, 제1샤프트(81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에 설치된 베어링부(593)에, 제2샤프트(8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은, 각 샤프트(810,820)에 가이드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은, 샤프트(810,8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샤프트(810,820)는, 예를 들면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드 샤프트(810,820)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섀시에,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모터(도시생략)가 부착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모터로부터 이송용 나사(도시생략)가 연이어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는, 각 샤프트(810,820)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샤프트(810)의 근방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가 병설된다. 이송용 나사에는, 하우징(6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대략 나선상의 이송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용 나사는, 섀시에 부착된 지지부재(도시생략)에 장착된다. 또한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에, 이송용 나사와 접하는 전달부재(도시생략)가 장착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달부재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의 이송홈에 맞춰지는 걸어맞춤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모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용 나사가 회동한다. 이 때, 이송용 나사의 이송홈에 맞춰진 하우징(601)측의 전달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밀려 이동됨으로써,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은, 긴형상의 샤프트(810,8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광디스크(도시생략)에 대해서, 광픽업장치(501)의 대물렌즈(610)를 구비하는 하우징(601)이 이동되어서,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재생이 행해진다.
또한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재생이 행해질 때,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내의 발광소자(도시생략)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광픽업장치(501)의 대물렌즈(610)를 투과하여, 광픽업장치(501)의 외측을 향해서 출사된다. 대물렌즈(610)에 의해 좁혀진 레이저광은, 광디스크의 신호층(도시생략)에 초점이 맞춰진다.
상기 이송용 나사를 이용하여, 광픽업장치(501)의 하우징(601)을 이동시키는 구동방식 이외에, 다른 구동방식의 광픽업장치(도시생략)도 들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종래의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광학식 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소형이며 진동이 적은 렌즈 구동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광픽업이라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1-344777호 공보의 제1, 3페이지, 도1-도7 참조).
최근, 광디스크장치에 광픽업장치(501)를 장착하는 광디스크장치의 조립 메이커나, 광픽업장치(501)를 구비하는 컴퓨터의 조립 메이커 등에서, 광디스크장치에 장착되는 광픽업장치(501)의 경량화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각종 광학계부품(610) 등이 장착되는 금속제의 하우징(601)을, 수지제의 하우징(601)으로 하여, 광픽업장치(501)의 경량화를 꾀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금속제의 하우징(601)을 수지제의 하우징(601)으로 한 경우, 광픽업장치(501)는 경량화된다.
그러나, 금속제 하우징(601)이 수지제 하우징(601)으로 변경된 경우, 하우징(601)의 강도부족이 문제로 되었다. 예를 들면 금속제 하우징(601)으로부터 수지제 하우징(601)으로 변경됨으로써, 수지제 하우징(601)의 강도가 저하되어, 수지제 하우징(601)에 갈라짐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제의 각 샤프트(810,820)가 수지제 하우징(601)에 장착된 상태에서 광픽업장치(501)가 낙하되어 광픽업장치(501)의 수지제 하우징(601)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하우징(601)의 베어링부(511,512)에 샤프트(810)가 국부접촉해서(도 8, 도 9), 이것이 원인으로 수지제 하우징(601)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우려되었다. 「크랙」이란, 「갈라진 틈」이나 「깨진 틈」을 의미한다.
또한 광픽업장치(501)가 수송될 때, 예를 들면 광픽업장치(501)에 다소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 광픽업장치(501)의 제공을, 광디스크장치에 광픽업장치(501)를 장착하는 광디스크장치의 조립 메이커나, 광픽업장치(501)를 구비하는 컴퓨터의 조립 메이커 등에서 요구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하우징의 갈라짐을 막는 크랙 발생 방지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 형성되고 주축이 되는 금속제의 제 1 샤프트를 삽입통과해서 상기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베어링부 및 제 2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 형성되고 부축이 되는 금속제의 제 2 샤프트를 장착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3 베어링부를 갖는 광픽업장치이며, 상기 제 1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통과되며 상기 제 2 베어링부측으로부터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제 1 삽입통과 영역과, 상기 제 2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통과되며 상기 제 1 베어링부측으로부터 제 3 개구부 및 제 4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제 2 삽입통과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삽입통과 영역의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로부터 상기 제 1 개구부까지 상기 제 1 샤프트와 접하는 원통형상의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삽입통과 영역의 제 4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제 2 크랙 발생 방지부와, 상기 제 2 크랙 발생 방지부로부터 상기 제 3 개구부까지 상기 제 2 샤프트와 접하는 원통형상의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를 갖고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130도 이상 170도 이하이며,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5 이상 1/2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4 이상 1/2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대략 절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깊이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2 이하이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 및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의 길이는 1mm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165도 이상 170도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픽업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부품이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에 대응해서, 상기 하우징에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하우징의 갈라짐을 막는 크랙 발생 방지부가 상기 베어링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크랙이란, 갈라진 틈이나 깨진 틈을 의미한다. 또한 하우징이란, 예를 들면 장치, 부품 등의 것이 수용되는 상자형의 것이나, 상자와 유사한 것을 의미한다.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크랙 발생 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전달되어, 그 결과, 베어링부를 기점으로 해서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갈라지기 어려운 하우징을 구비한 픽업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깊게 형성된 노치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로부터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가 베어링부에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재는, 베어링부의 내부의 깊은 부분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국부접촉하여, 그 결과,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에 갈라짐이 생긴다고 하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좁혀지면서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로부터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좁혀진 대략 원추형의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국부접촉해서,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일부에 충격력이 매우 집중한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하우징의 베어링부로부터 갈라짐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좁혀지면서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노치부와, 상기 노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를 갖고, 상기 축 슬라이딩접촉부의 내면에 대해서, 상기 노치부의 경사면은 둔각으로 설정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베어링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넓혀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둔각이란, 직각보다도 크고 2직각보다 작은 각을 의미한다. 베어링부의 축 슬라이딩접촉부의 내면에 대해서, 대략 원추형을 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의 경사면은 둔각으로 설정되고,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의 경사면은 베어링부의 개구부를 향해서 넓혀져 있으므로,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국부접촉해서,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충격력이 매우 집중한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에 갈라짐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깊게 형성된 노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부에 상기 축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축부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의 깊이치수는,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축부재 사이의 간극치수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의 깊이치수는, 베어링부와 축부재 사이의 간극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재는, 베어링부의 내부의 비교적 깊은 부분에서 접한다. 베어링부의 내부의 비교적 깊은 부분에 축부재가 접하므로,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축부재가 국부접촉하여, 그 결과,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베어링부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가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보다 회피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전해져도, 충격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용 응력 완화부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충격이 전해지고, 그 결과, 베어링부로부터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좁혀져서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를 구비하고,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상기 축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베어링부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가, 대략 원추형의 상기 노치부와, 상기 노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보다 회피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축부재가 하우징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전해져도, 충격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용 응력 완화부에 의해 완화된다. 축부재가 받은 충격은, 하우징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에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와, 이 노치부에 연결되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축부재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 사이의 크랙 발생 방지용 응력 완화부에 의해 저감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베어링부는 보다 갈라지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부는 곡면부로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더욱 회피되기 쉬워진다. 축부재가 베어링부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부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가, 곡면부로서 베어링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응력집중은 베어링부에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응력집중이란, 예를 들면 응력분포가 고도로 국재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베어링부에 있어서의 응력집중의 발생이 회피되기 쉬워지므로, 하우징의 베어링부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한쌍의 상기 베어링부가 설치되고,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베어링부의 양 외측부에,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보다 회피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하우징에 설치된 한쌍의 베어링부에 축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축부재는, 한 순간, 크게 휘어지는 일이 있다. 그 경우, 축부재는 인접하는 한쌍의 베어링부의 양 외측부에 형성된 베어링 개구부에 접하는 것이 우려된다. 하우징에 한쌍의 베어링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축부재로부터 하우징에 전해지는 충격은 한쌍의 베어링부에 분산된다. 또한 인접하는 한쌍의 베어링부의 양 외측부에 크랙 발생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한쌍의 베어링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외측부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픽업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은 보다 갈라지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대략 둥근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대략 둥근형상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크랙 발생 방지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베어링부의 내부를 향해서 형성된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베어링부의 상기 개구부는 상기 노치부의 개구부를 겸해서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가 상기 베어링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축부재의 표면부는 상기 개구부에 비접촉으로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가 크랙의 기점이 되어,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축부재의 표면부는, 베어링부에 형성된 노치부의 개구부에 비접촉으로 되어 있으므로, 축부재로부터 하우징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예를 들면 축부재가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축부재를 통해 하우징의 베어링부의 개구부에 전해지고, 그 결과, 베어링부의 개구부를 기점으로 해서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지재료가 이용되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경량화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픽업장치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수지재료는 금속재료보다 비중이 작다. 그 때문에 수지재료가 이용되어 하우징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경량화가 꾀해진다. 또한 수지제 하우징의 베어링부에 크랙 발생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부로부터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경량화됨과 아울러 베어링부로부터 갈라지기 어려운 수지제 하우징을 구비한 픽업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하우징의 갈라짐 대책이 행해진 픽업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장치가 구성된다. 디스크장치에 충격이 가해져도, 디스크장치에 장착된 픽업장치의 하우징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충격에 강한 픽업장치를 구비한 디스크장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픽업장치에 장착된 축부재에 변형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픽업장치의 하우징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픽업장치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P-P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Q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픽업장치에 장착된 축부재에 변형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R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픽업장치에 장착된 축부재에 변형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픽업장치의 하우징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에 있어서, 축부재에 충격이 가해져서 축부재에 탄성변형이 생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픽업장치(1)(도 1, 도 2)가 이용되어, 미디어(도시생략)에 있어서의 정보 등의 데이터의 재생 또는 기록이 행해진다. 미디어로서, 예를 들면 CD계열의 광디스크나, DVD계열의 광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모두 도시생략). 「CD」는, 「Compact Disc」(상표)의 약칭이다. 또한 「DVD」는 「Digital Versatile Disc」(등록상표)의 약칭이다.
광픽업장치(1)(도 1, 도 2)가 이용되어, 미디어(도시생략)에 있어서의 정보 등의 데이터의 재생 또는 기록이 행해진다. 미디어로서, 예를 들면 CD(Compact Disc)(상표)계열의 광디스크나, DVD(Digital Versatile Disc)(등록상표)계열의 광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모두 도시생략).
디스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크로서, 예를 들면 「CD-ROM」, 「DVD-ROM」 등의 데이터 읽기 전용의 광디스크나, 「CD-R」, 「DVD-R」, 「DVD+R」 등의 데이터 추기형의 광디스크나, 「CD-RW」, 「DVD-RW」, 「DVD+RW」(등록상표), 「DVD-RAM」, 「HD DVD」(등록상표), 「Blu-ray Disc」(상표) 등의 데이터 기록/소거나 데이터 재기록 가능한 타입의 광디스크 등을 들 수 있다.
「CD-ROM」 또는 「DVD-ROM」의 「ROM」은, 「Read Only Memory」의 약칭이다. 「CD-ROM」 또는 「DVD-ROM」은 데이터/정보읽기 전용의 것이다. 또한 「CD-R」 또는 「DVD-R」 또는 「DVD+R」의 「R」은 「Recordable」의 약칭이다. 「CD-R」 또는 「DVD-R」 또는 「DVD+R」은 데이터/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CD-RW」 또는 「DVD-RW」 또는 「DVD+RW」의 「RW」는 「Re-Writable」의 약칭이다. 「CD-RW」 또는 「DVD-RW」 또는 「DVD+RW」는 데이터/정보의 재기록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DVD-RAM」은 「Digital Versatile Dis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칭이다. 「DVD-RAM」은, 데이터/정보의 읽고 쓰기/소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HD DVD」는 「High Definition DVD」의 약칭이다. 「HD DVD」는, 종래의 DVD계열의 것과 호환성을 갖게 하고, 또한, 종래의 DVD계열의 디스크보다 기억용량이 큰 것이다. 종래의 CD에는 적외 레이저가 이용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DVD에는 적색 레이저가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HD DVD」의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정보가 판독될 때에는, 청자색 레이저가 이용된다. 또한 「Blu-ray」란, 종래의 신호의 읽고 쓰기에 이용되고 있었던 적색의 레이저에 대해서, 고밀도 기록이 실현되기 위해서 채용된 청자색의 레이저를 의미한다.
또한 디스크로서, 예를 들면 디스크 양면에 신호면이 형성되어, 데이터 기록/소거나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 광디스크(도시생략)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디스크로서, 예를 들면 2층의 신호면이 형성되어, 데이터 기록/소거나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 광디스크(도시생략)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3층의 신호면이 형성되어, 데이터 기록/소거나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 「HD DVD」용 광디스크(도시생략)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4층의 신호면이 형성되어, 데이터 기록/소거나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 「Blu-ray Disc」용 광디스크(도시생략) 등도 들 수 있다.
광픽업장치(1)는, 상기 각종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시키거나, 상기 기록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한 각종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시키거나 한다. 광픽업장치(1)는, CD-ROM, CD-R, CD-RW 등의 CD계열의 미디어와, DVD-ROM, DVD±R, DVD±RW, DVD-RAM, HD-DVD 등의 DVD계열의 미디어에 대응한다. 이렇게, 광픽업장치(1)는 복수의 미디어에 대응하고 있다.
데이터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나 데이터 기록용의 광디스크 등의 각종 광디스크에 대응 가능한 광픽업장치(1)(도 1, 도 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생략) 등을 구비한 광디스크장치(도시생략)에 장착된다.
광디스크장치를 구성하는 금속제/합성수지제 섀시(도시생략)에 스핀들 모터(도시생략)가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섀시」란 예를 들면 부품이 부착되는 대를 의미한다. 또한 광디스크(도시생략)가 장착되는 턴테이블(도시생략)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도시생략)에 압입 고정된다.
광픽업장치(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 하우징(101)에, 합성수지제/유리제 대물렌즈(110)(도 1)를 구비하는 합성수지제 렌즈홀더(111)가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이란, 예를 들면 장치, 부품 등의 물건이 수용되는 상자형의 것이나, 상자와 유사한 것을 의미한다. 대물렌즈(110) 등은 광픽업장치(1)에 있어서의 중요한 광학계 부품으로 되어 있다. 대물렌즈(110)를 구비하는 렌즈홀더(111)는 복수의 서스펜션 와이어(12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대략 원기둥형상의 금속제 제1축부재(310)와, 대략 원기둥형상의 금속제 제2축부재(32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축부재(310,320)는 섀시(도시생략)에 부착된다.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대략 원기둥형상의 금속제 제1축부재(310)와, 대략 원기둥형상의 금속제 제2축부재(32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의 축부재(310,320) 소위 샤프트(310,32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섀시에 부착된다. 광픽업장치(1)에 한쌍의 샤프트(310,320)가 장착되고, 한쌍의 샤프트(310,320)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섀시에 장착됨으로써,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장치가 구성된다.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에 설치된 한쌍의 합성수지제 원통형상의 슬라이딩 베어링부(11,12)에, 금속제 원기둥형상의 제1샤프트(31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에 설치된 합성수지제 돌출편상의 슬라이딩 베어링부(93)에, 금속제 원기둥형상의 제2샤프트(32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각 샤프트(310,320)에 가이드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략 원기둥형상의 샤프트(310,320)는, 예를 들면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을 가이드하면서 지지하는 가이드 샤프트(310,320)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샤프트(310)는 주축이 되고, 제2샤프트(320)는 부축이 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섀시에,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모터(도시생략)가 부착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모터로부터 이송용 나사(도시생략)가 연이어 설치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는, 각 샤프트(310,320)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샤프트(310)의 근방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가 병설된다. 이송용 나사에는,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대략 나선상의 이송홈(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송용 나사는, 섀시에 부착된 지지부재(도시생략)에 장착된다. 또한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에, 이송용 나사와 접하는 전달부재(도시생략)가 장착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달부재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이송용 나사의 이송홈에 맞춰지는 걸어맞춤부(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모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이송용 나사가 회동한다. 그 때에, 이송용 나사의 이송홈에 맞춰진 하우징(101)측의 전달부재의 걸어맞춤부가 밀려 이동됨으로써,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대략 원기둥형상의 샤프트(310,32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이송방향(X1) 또는 이송방향(X2)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의 지름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광디스크에 대해서, 대물렌즈(11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이 이동되어서,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재생이 행해진다.
광픽업장치(1)가 장착되는 광디스크장치의 사양 등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이송용 나사가 설치되지 않고 생략되고, 제1샤프트(310)에,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모터가 연결된 것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샤프트(310)에,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을 안내 이동시키는 이송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는, 이송모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샤프트(310)가 회동한다. 그 때에, 제1샤프트(310)의 이송홈에 맞춰진 하우징(101)측의 걸어맞춤부재가 밀려 이동됨으로써,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은 긴형상의 샤프트(310,320)가 연장된 방향(X1 또는 X2)을 따라 이동한다. 또, 괄호가 없는 번호가 붙여진 구성은 이송용 나사를 설치한 광픽업장치이며, 한편 괄호가 있는 번호가 붙여진 구성은 상기 이송용 나사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광픽업장치이다. 그리고, 동일한 번호가 붙여진 구성은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구동용 벨트(도시생략)가 이용되어,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광픽업장치(1)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재생이 행해질 때,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내의 발광소자(도시생략)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이, 광픽업장치(1)의 대물렌즈(110)(도 1)를 투과하여 광픽업장치(1)의 외측을 향해서 출사된다. 대물렌즈(110)에 의해 좁혀진 레이저광은, 광디스크의 신호층(도시생략)에 초점이 맞춰진다.
대물렌즈(110)에 의해 좁혀진 레이저광의 초점이, 광디스크의 신호층에 맞춰질 때, 대물렌즈(110)에 장착된 렌즈홀더(111)는 액츄에이터(200)에 의해 상하좌우로 구동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 「하」, 「좌」, 「우」의 정의는, 광픽업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편의상의 것으로 된다.
액츄에이터(200)는, 예를 들면 대물렌즈(110)가 장착되는 렌즈홀더(111)와,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렌즈홀더(111)를 구동시키는 각 코일(도시생략)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코일과 마주 향해져 항상 자속을 발생하는 자석(도시생략)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자석이 부착되는 요크(도시생략)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이 광픽업장치(1)는, 미디어(도시생략)의 데이터/정보를 판독하거나, 미디어에 데이터/정보를 기록하거나, 미디어의 데이터/정보를 재기록하기 위한 각종 부품(110,111,120) 등이 장착되는 하우징(101)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샤프트(310,320)가 하우징(101)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제1샤프트(310)에 대응해서, 하우징(101)의 일측에, 한쌍의 대략 원통형상 베어링부(11,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1)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제2샤프트(320)에 대응해서, 하우징(101)의 타측에, 대략 가이드편상 베어링부(9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샤프트(310,320)가 하우징(101)의 각 베어링부(11,12,93)에 장착된 상태에서, 광픽업장치(1)의 낙하시험이 행해진다.
샤프트(310,3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이 낙하되어, 샤프트(310,3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2, 도 3), 제1베어링부(11)를 기점으로 한 하우징(101)의 갈라짐 발생을 막는 크랙 발생 방지부(16)(도 1∼도 3)가 하우징(101)의 제1베어링부(1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310,320)(도 1)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이 낙하되어, 샤프트(310,3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2), 제2베어링부(12)를 기점으로 한 하우징(101)의 갈라짐 발생을 막는 크랙 발생 방지부(17)(도 1, 도 2)가 하우징(101)의 제2베어링부(12)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를 기점으로 한 크랙이, 하우징(101)에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랙」이란 「갈라진 틈」이나 「깨진 틈」을 의미한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크랙 발생 방지부(16)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전해지고, 그 결과, 베어링부(11)를 기점으로 해서 하우징(101)이 갈라라진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또한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2)에 크랙 발생 방지부(17)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2)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2)에 전해지고, 그 결과, 베어링부(12)를 기점으로 해서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갈라지기 어려운 하우징(101)을 구비한 광픽업장치(1)를, 광디스크장치에 광픽업장치(1)를 장착하는 광디스크장치의 조립 메이커나, 광픽업장치(1)를 구비하는 컴퓨터의 조립 메이커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도 4와 같이, 제1베어링부(11)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부(16)는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로부터 베어링부(11)의 내부(11n)를 향해서 깊게 형성된 노치부(16c)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제2베어링부(12)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부(17)는 베어링부(12)의 외측 개구부(12a)로부터 베어링부(12)의 내부(12n)를 향해서 깊게 형성된 노치부(17c)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로부터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의 내부(11n,12n)를 향해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17c)가 베어링부(11,12)에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샤프트(310)는 베어링부(11,12)의 내부(11n,12n)의 깊은 부분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의 외측 개구부(11a,12a)에 국부접촉하고, 그 결과, 베어링부(11,12)의 외측 개구부(11a,12a)로부터 하우징(101)에 갈라짐이 생긴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도 2∼도 4와 같이, 제1베어링부(11)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부(16)는 베어링부(11)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로부터 베어링부(11)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1n)를 향해서 대략 깔때기형상으로 좁혀지면서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제2베어링부(12)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부(17)는 베어링부(12)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2a)로부터 베어링부(12)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2n)를 향해서 대략 깔때기형상으로 좁혀지면서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7c)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12a)로부터 베어링부(11,12)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1n,12n)를 향해서 대략 깔때기형상으로 좁혀졌던 대략 원추형의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17c)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대략 원통형상 베어링부(11,12)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 개구부(11a,12a)에 국부접촉해서, 하우징(101)의 베어링 개구부(11a,12a)의 일부에 충격력이 매우 집중한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하우징(101)의 베어링 개구부(11a,12a)로부터 갈라짐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도 2와 같이, 제1베어링부(11)와, 제2베어링부(12)는 하우징 본체(101b)의 상측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는 크랙 발생 방지용의 대략 원추형 노치부(16c)와,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에 연결되어 샤프트(310)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를 갖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내면(11f)에 대해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의 경사면(16f)은 둔각으로 설정되고, 경사면(16f)은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를 향해서 넓혀져 있다. 대략 원통형상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내면(11f)에 대해서 대략 원추형 노치부(16c)의 경사면(16f)의 각도(ALp)는 약 169도로 설정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내부형상이 도 2∼도 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에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둔각」이란, 직각보다도 크고 2직각보다도 작은 각을 의미한다. 즉 「둔각」이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의 것을 의미한다. 베어링부(11)(도 4)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내면(11f)에 대해서, 대략 원추형상을 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의 경사면(16f)은 둔각으로 설정되고,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의 경사면(16f)은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를 향해서 넓혀져 있으므로,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대략 원통형상 베어링부(11)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에 국부접촉하여,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에 충격력이 매우 집중한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로부터 하우징(101)에 갈라짐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대략 원추형 경사면(16f)의 각도(ALp)의 정도에 따라,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는, 예를 들면 접시나사상의 스폿페이싱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대략 원추형 경사면(16f)의 각도(ALp)의 정도에 따라,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는, 예를 들면 베어링부(11)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로부터 베어링부(11)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1n)를 향해서 형성된 접시나사상의 스폿페이싱 구멍형상으로 형성된다.
대략 원통형상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내면(11f)에 대해서, 대략 원추형 노치부(16c)의 경사면(16f)의 각도(ALp)는, 예를 들면 대략 130도이상 대략 170도이하로 설정되면 좋다. 각도(ALp)가 130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된 경우,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와,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에 계속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 사이의 응력 완화부(16r)에 샤프트(310)가 접촉되었을 때에, 응력 완화부(16r)에 힘이 집중되기 쉬워진다. 각도(ALp)가 170도보다도 큰 각도로 된 경우, 대략 둥근형상의 외측 개구부(11a)의 지름(Da)과,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지름(Db)의 차가 적어져서, 노치부(16c)가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로서 기능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점에서, 각도(ALp)는, 예를 들면 약 165도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1)에 설치된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에, 샤프트(310)가 삽입되었을 때에,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과, 샤프트(310) 사이에, 간극(CL)(도 3) 소위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노치부(16c)(도 3, 도 4)의 깊이치수(Lc)는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과, 샤프트(310)(도 3) 사이의 간극치수(CL)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개구부(11a)로부터 크랙이 생기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의 깊이치수(Lc)는,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과, 샤프트(310) 사이의 간극치수(CL)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샤프트(310)는 베어링부(11)의 내부(11n)의 비교적 깊은 부분에서 접한다. 베어링부(11)의 내부(11n)의 비교적 깊은 부분에 샤프트(310)가 접하므로,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예를 들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의 개구부(11a)에 샤프트(310)가 국부접촉하고, 그 결과, 베어링부(11)의 개구부(11a)로부터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의 지름(Db)(도 4)은, 예를 들면 3.002∼3.012mm로 된다. 또한 샤프트(310)(도 3)의 지름(Ds)은 예를 들면 2.980∼3.000mm로 된다. 따라서,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구멍(11s)과, 샤프트(310) 사이의 간극치수(CL)는 0.002∼0.032mm로 된다. 또한 노치부(16c)의 깊이치수(Lc)는 약 2mm로 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16c)의 깊이(Lc)는 베어링부(11)의 폭(Lw)의 1/5이상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베어링부(11)의 폭(Lw)의 4/5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노치부(16c)의 깊이(Lc)는 베어링부(11)의 폭(Lw)의 1/2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노치부(16c)의 깊이(Lc)가 베어링부(11)의 폭(Lw)의 1/5미만의 작은 값으로 된 경우, 노치부(16c)의 깊이(Lc)가 적어지고, 노치부(16c)는 크랙 발생 방지용의 노치부(16c)로서 기능하지 않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노치부(16c)의 깊이(Lc)가 베어링부(11)의 폭(Lw)의 4/5를 넘는 큰 값으로 된 경우, 노치부(16c)의 깊이(Lc)가 지나치게 커져서,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폭길이(La)가 부족한 것이 우려된다.
노치부(16c)의 깊이치수(Lc)가, 예를 들면 베어링부(11)의 폭치수(Lw)의 대략 1/4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폭길이(La)가 부족하지 않고, 적당한 깊이(Lc)의 크랙 발생 방지용 노치부(16c)가 베어링부(11)에 형성된다. 베어링부(11)의 폭치수(Lw)는 약 7.8mm로 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16c)의 깊이치수(Lc)는 약 2mm로 되어 있다.
광픽업장치(1)의 설계/사양 등에 따라, 예를 들면 노치부(16c)의 깊이치수(Lc)가, 베어링부(11)의 폭(Lw)의 대략 절반으로 되는 약 3.8mm로 설정된 것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도시생략). 노치부(16c)의 깊이(Lc)가 베어링부(11)의 폭(Lw)의 1/2이하(약 3.9mm이하)로 설정된 경우,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폭길이(La)가 충분히 확보된다. 베어링부(11)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의 폭길이(La)는 예를 들면 약 1mm이상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제1베어링부(11)가 완전 절반으로 되었을 때의 단면적을 S1, S2로 정하고, 제2베어링부(12)가 완전 절반으로 되었을 때의 단면적을 S3, S4로 정한다. 또한 각 단면적(S1,S2,S3,S4)의 총합으로 되는 총면적을 S로 정한다. 또한 픽업장치(1)의 중량을 W로 정하고, 허용 가속도를 G로 정하고, 하우징(101)을 형성하는 재료의 허용응력을 σ로 정했을 때에, 각 베어링부(11,12)의 총단면적(S)은 하기식(1)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S>〔(W×G)/σ〕…(1)
식(1)에 기초하여 하우징(101)의 제1베어링부(11)및 제2베어링부(12)의 총면적(S)이 정해짐으로써, 하우징(101)이 충격을 받아도, 하우징(101)에 설치된 각 베어링부(11,12)에 갈라짐이 생기는 것은 회피된다.
도 2, 도 3과 같이, 샤프트(31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이 낙하해서 샤프트(310)를 구비하는 하우징(101)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한 순간, 크게 탄성변형 한 긴형상의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부(11)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16r)(도 3, 도 4)가 크랙 발생 방지부(16)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보다 회피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긴형상의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긴형상의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긴형상의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전해져도, 충격은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형성된 크랙 발생 방지용 응력 완화부(16r)에 의해 완화된다. 따라서, 긴형상의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에 충격이 전해지고, 그 결과, 베어링부(11)로부터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도 4와 같이, 크랙 발생 방지부(16)의 응력 완화부(16r)는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와,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에 연결되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샤프트(310)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310)가 받은 충격은,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에 형성된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와, 이 노치부(16c)에 연결되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샤프트(310)에 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 사이의 크랙 발생 방지용 응력 완화부(16r)에 의해 저감된다. 따라서,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는 보다 갈라지기 어려운 것이 된다.
크랙 발생 방지부(16)의 응력 완화부(16r)는 대략 원추형의 노치부(16c)와, 대략 원통형상의 축 슬라이딩접촉부(11s)를 매끄럽게 연결하는 곡률반경이 작은 곡면부(16r)로서 베어링부(11)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에 크랙이 생긴다는 문제의 발생은 더욱 회피되기 쉬워진다. 긴형상의 샤프트(310)가 베어링부(11)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부(11)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응력 완화부(16r)가 곡률반경이 작은 곡면부(16r)로서 베어링부(11)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응력집중은 베어링부(11)내에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응력집중」이란, 예를 들면 응력분포가 고도로 국재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베어링부(11)내에 있어서의 응력집중의 발생이 회피되기 쉬워지므로,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크랙 발생 방지부(16)의 곡면부(16r)는 미소한 R모따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란, 예를 들면 면과 면이 엇갈리는 모서리에 사면 또는 둥그스런 형상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R모따기란, 예를 들면 모서리에 둥그스런 형상이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크랙 발생 방지부(16)의 곡면부(16r)를 미소한 C모따기상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C모따기란, 예를 들면 모서리에 사면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1, 도 2와 같이, 한개의 샤프트(310)에 대해서, 하우징(101)의 본체(101b)에 한쌍의 베어링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한쌍의 베어링부(11,12)의 양 외측부(11w,12w)에 크랙 발생 방지부(16,17)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보다 회피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면 하우징(101)에 설치된 한쌍의 베어링부(11,12)에 한 개의 긴형상의 샤프트(3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긴형상의 샤프트(310)는, 한 순간, 크게 휘어지는 일이 있다(도 2). 그 경우, 긴형상의 샤프트(310)는 인접하는 한쌍의 베어링부(11,12)의 양 외측부(11w,12w)에 형성된 베어링 개구부에 접하는 것이 우려된다.
하우징(101)에 한쌍의 베어링부(11,12)가 설치되어 있으면, 긴형상의 샤프트(310)로부터 하우징(101)에 전해지는 충격은 한쌍의 베어링부(11,12)에 분산된다. 또한 인접하는 한쌍의 베어링부(11,12)의 양 외측부(11w,12w)에 크랙 발생 방지부(16,17)가 형성되어 있으면, 한쌍의 베어링부(11,1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외측부(11w,12w)를 기점으로 한 크랙의 발생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광픽업장치(1)를 구성하는 하우징(101)은 보다 갈라지기 어려운 것이 된다.
픽업장치(1)의 설계/사양 등에 따라, 예를 들면 한쌍의 베어링부(11,12)의 양 외측 개구부(11a,12a)와, 한쌍의 베어링부(11,12)의 양 내측 개구부(11b,12b)(도 2)에 크랙 발생 방지부(16,17)를 구성시켜도 좋다.
도 1과 같이, 제1샤프트(310) 및 제2샤프트(320)는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1)의 제1베어링부(11)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대략 둥근형상의 각 개구부(11a,11b)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크랙 발생 방지부(16)는, 제1베어링부(11)의 대략 둥근형상의 외측 개구부(11a)로부터 베어링부(11)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1n)를 향해서 형성된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노치부(16c)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1베어링부(11)의 외측 개구부(11a)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 노치부(16c)의 개구부(11a)를 겸해서 형성되어 있다.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1베어링부(11)에 장착되었을 때에, 대략 둥근 막대형상 샤프트(310)의 표면부(310f)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1베어링부(11)에 형성된 대략 둥근 구멍형상 노치부(16c)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에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1)의 제2베어링부(12)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대략 둥근형상의 각 개구부(12a,12b)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크랙 발생 방지부(17)는 제2베어링부(12)의 대략 둥근형상의 외측 개구부(12a)로부터 베어링부(12)의 대략 원통형상 내부(12n)를 향해서 형성된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노치부(17c)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2베어링부(12)의 외측 개구부(12a)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 노치부(17c)의 개구부(12a)를 겸해서 형성되어 있다.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2베어링부(12)에 장착되었을 때에, 대략 둥근 막대형상 샤프트(310)의 표면부(310f)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의 제2베어링부(12)에 형성된 대략 둥근 구멍형상 노치부(17c)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2a)에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의 외측 개구부(11a,12a)가 크랙의 기점으로 되어, 베어링부(11,12)의 외측 개구부(11a,12a)로부터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에 장착되었을 때에, 대략 둥근 막대형상 샤프트(310)의 표면부(310f)는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에 형성된 대략 둥근 구멍형상 노치부(16c,17c)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12a)에 비접촉으로 되어 있으므로, 대략 둥근 막대형상 샤프트(310)로부터 하우징(101)에 충격이 전해졌을 때에,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12a)로부터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예를 들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의 샤프트(310)가 하우징(101)의 각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에 장착된 상태의 광픽업장치(1)가 낙하해서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의 샤프트(310)에 충격이 가해지고, 그 때에, 충격이 대략 둥근 막대형상의 긴형상의 샤프트(310)를 통해 하우징(101)의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12a)에 전해지고, 그 결과, 대략 둥근 구멍형상 베어링부(11,12)의 대략 둥근형상 외측 개구부(11a,12a)를 기점으로 해서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된다.
하우징(101)은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재료가 이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경량화된 하우징(101)을 구비하는 광픽업장치(1)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수지재료는 금속재료보다 비중이 작다. 그 때문에 수지재료가 이용되어 하우징(101)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1)의 경량화가 꾀해진다. 또한 합성수지제 하우징(101)의 베어링부(11,12)에 크랙 발생 방지부(16,1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부(11,12)로부터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것은 회피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경량화됨과 아울러 베어링부(11,12)로부터 갈라지기 어려운 합성수지제 하우징(101)을 구비한 광픽업장치(1)를, 광디스크장치에 광픽업장치(1)를 장착하는 광디스크장치의 조립 메이커나, 광픽업장치(1)를 구비하는 컴퓨터의 조립 메이커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재료로서, 예를 들면 열안정성이나, 절연특성 등의 전기적 특성이나, 기계적 특성이나,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수지(poly phenylene sulfide:PPS) 등의 폴리아릴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PPS를 기재로 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제:DIC(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PPS로서, 예를 들면 다이니폰잉크 카가쿠고교제:DIC·PPS_FZ-2100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1)은, PPS 등의 합성중합체가 기재로서 이용되며, 사출성형법에 기초하여 형성되어 있다. 사출성형법에 기초하여 하우징(101)이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복잡한 형상의 하우징(101)으로 되어 있어도, 효율좋게 대량으로 하우징(101)이 생산된다. 사출성형이 행해짐으로써, 각 베어링부(11,12,93)(도 1)는 하우징 본체(101b)에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01b)와, 각 베어링부(11,12,93)는 동일한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광픽업장치(1)에 구비되는 샤프트(310,320)는 금속재료가 이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금속재료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이 이용되었다. 스테인레스강으로서, 예를 들면 SUS301, SUS302, SUS304 등을 들 수 있다.
스테인레스강이 이용되어 샤프트(310,320)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샤프트(310,320)가 심하게 부식되고, 예를 들면 샤프트(310,320)에 부식에 의한 녹이 발생하여,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이 샤프트(310,320)위를 정밀도 좋게 이동할 수 없다는 문제의 발생은 회피된다.
하우징(101)을 구비하는 광픽업장치(1)에 각 샤프트(310,320)(도 1)가 장착됨과 아울러, 광디스크장치(도시생략)의 섀시(도시생략)에 각 샤프트(310,320)가 장착됨으로써 광픽업장치(1)를 구비하는 광디스크장치가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101)의 갈라짐 대책이 행해진 광픽업장치(1)를 구비하는 광디스크장치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장치가 낙하해서 광디스크장치에 충격이 가해져도, 광디스크장치에 장착된 광픽업장치(1)의 하우징(101)이 갈라진다는 문제의 발생은 방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충격에 강한 광픽업장치(1)가 장착된 광디스크장치를, 컴퓨터에 광디스크장치를 장착하는 컴퓨터 조립 메이커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픽업장치(1)를 구비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광디스크장치는, 예를 들면 노트형 pc(도시생략)나, 랩톱형 pc(도시생략)나, 데스크톱형 pc(도시생략) 등의 컴퓨터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나, DVD 플레이어 등의 음향/영상기기(도시생략) 등에 장착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Blu ray Disc」계의 광디스크에 대응한 광픽업장치에 본 발명의 것을 적용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것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 형성되고 주축이 되는 금속제의 제 1 샤프트를 삽입통과해서 상기 하우징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베어링부 및 제 2 베어링부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과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 형성되고 부축이 되는 금속제의 제 2 샤프트를 장착함으로써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3 베어링부를 갖는 광픽업장치로서:
    상기 제 1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통과되며 상기 제 2 베어링부측으로부터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제 1 삽입통과 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샤프트가 삽입통과되며 상기 제 1 베어링부측으로부터 제 3 개구부 및 제 4 개구부를 갖는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제 2 삽입통과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삽입통과 영역의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로부터 상기 제 1 개구부까지 상기 제 1 샤프트와 접하는 원통형상의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삽입통과 영역의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제 2 크랙 발생 방지부와, 상기 제 2 크랙 발생 방지부로부터 상기 제 3 개구부까지 상기 제 1 샤프트와 접하는 원통형상의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5 이상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130도 이상 170도 이하이며,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5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4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4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폭 및 상기 제 2 베어링부의 폭의 1/2 이하이며,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 및 상기 제 2 축 슬라이딩접촉부의 길이는 1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 슬라이딩접촉부와 상기 제 1 크랙 발생 방지부가 이루는 각도는 165도 이상 17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20120062719A 2005-09-12 2012-06-12 광픽업장치 KR101259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3806A JP2007080316A (ja) 2005-09-12 2005-09-12 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装置
JPJP-P-2005-263806 2005-09-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29A Division KR20070030131A (ko) 2005-09-12 2006-09-07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15A KR20120088615A (ko) 2012-08-08
KR101259933B1 true KR101259933B1 (ko) 2013-05-02

Family

ID=37878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29A KR20070030131A (ko) 2005-09-12 2006-09-07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
KR1020120062719A KR101259933B1 (ko) 2005-09-12 2012-06-12 광픽업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29A KR20070030131A (ko) 2005-09-12 2006-09-07 픽업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10592B2 (ko)
JP (1) JP2007080316A (ko)
KR (2) KR20070030131A (ko)
CN (1) CN1932989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010U (ja) * 1991-03-15 1992-09-2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光ピツクアツプ送り機構
JP2950141B2 (ja) * 1994-04-08 1999-09-20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ヘッドキャリッジ
JPH10312652A (ja) * 1997-05-13 1998-11-24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US6058098A (en) * 1998-02-18 2000-05-02 Alpine Electronics, Inc. Head driving device
DE19922581A1 (de) * 1998-05-20 1999-12-23 Ntn Toyo Bearing Co Ltd Optischer Abtaster
JP2001344777A (ja) 2000-03-29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
JP4569800B2 (ja) * 2000-11-22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012768B2 (en) * 2000-12-27 2006-03-14 Ntn Corporation Optical pick-up
JP4085690B2 (ja) * 2002-05-15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4063003A (ja) * 2002-07-29 2004-02-26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ックアップ送り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4047252B2 (ja) * 2003-06-09 2008-02-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6216151A (ja) * 2005-02-03 2006-08-17 Sony Corp 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615A (ko) 2012-08-08
US20070074235A1 (en) 2007-03-29
KR20070030131A (ko) 2007-03-15
CN1932989A (zh) 2007-03-21
CN1932989B (zh) 2010-09-29
JP2007080316A (ja) 2007-03-29
US7610592B2 (en)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222535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378086B1 (ko) 클랭핑 영역의 상하면이 서로다른 높이를 갖는 고밀도 광디스크
US7088666B2 (en) High density optical disk having capacity of 25GB
KR101259933B1 (ko) 광픽업장치
JP2008059659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788650B1 (ko) 고밀도 디스크
JP4911650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RU2363996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высокой плот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ля него
KR20060128025A (ko) 광학주사장치 및 방법
US6304391B1 (en) Object lens supporting unit capable of offsetting positional deviation of the lens caused by warp of suspension wi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unit
CN101089964B (zh) 光学拾取装置及用于它的物镜
US8464282B2 (en) Optical disc apparatus with mechanical chassis having a recess
TW200302464A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the formed product thereof
JP4373394B2 (ja) ディスク媒体保持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媒体駆動装置
KR20030000899A (ko) 고밀도 광디스크 및 그 구동장치
JP4265547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982441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20030062743A (ko) 광 디스크
US20030012119A1 (en) Optical pickup excellent in vibration suppression of lens holder
KR100760205B1 (ko) 광픽업용 액추에이터
EP2273498A1 (en) Compatible optical recording medium
JP200621615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ユニットベース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RU2312406C1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2006012328A (ja) レーザホルダ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01383165A (zh) 光学构件驱动装置、光拾取装置以及光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