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632B1 -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632B1
KR101259632B1 KR1020110025747A KR20110025747A KR101259632B1 KR 101259632 B1 KR101259632 B1 KR 101259632B1 KR 1020110025747 A KR1020110025747 A KR 1020110025747A KR 20110025747 A KR20110025747 A KR 20110025747A KR 101259632 B1 KR101259632 B1 KR 10125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lashing bridge
disposed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58A (ko
Inventor
최재권
임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는 선박의 상부갑판 상부에 구비된 컨테이너가 적층 구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갑판에 이격 배치된 래싱 브리지; 상기 래싱 브리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승하강시키거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래싱 브리지는 컨테이너 적층 구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마련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감지부는 컨테이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발광센서에 의해 발광된 특정 주파수의 적외선이 컨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센서가 감지하지 못한 경우, 감지부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에 의해 컨테이너의 적층 배치된 여부가 판단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MOVING DEVICE OF LASHING BRIDGE USED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적층되는 컨테이너의 배치정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도모하기 위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및 선박용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화물의 운송을 위해 다수개의 컨테이너가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박의 화물창과 상부갑판에 적층 배치된다.
상기 컨테이너는 화물창에 적층될 경우에는, 상기 화물창에 구비된 셀 가이드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적층이 가이드 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컨테이너가 적층되는 경우에도 안정성이 양호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고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선박의 상부갑판에 설치되는 선교(3)의 상부로 적층되는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컨테이너(2)에 매달린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상호 간의 고정을 위한 작업을 실시해야만 했다.
상기 작업자는 컨테이너(2)의 적재 및 하역 상태에 따라 각종 고리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선교(3)(Lashing Bridge)에 고정 또는 분리 작업을 직접 실시해야 하며, 별도의 안정장비 없이 수십 미터 높이에 이르는 컨테이너(2)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선교 상부로 다수개가 적층된 컨테이너로 안전하게 이동하여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대책을 필요로 하게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컨테이너에 대한 배치정보를 용이하게 습득하고, 상기 배치 정보에 따라 컨테이너 상호간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안전하게 실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상부갑판에 구비된 컨테이너가 적층 구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갑판에 이격 배치된 래싱 브리지; 상기 래싱 브리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승하강시키거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래싱 브리지는 상기 컨테이너 적층 구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마련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에 의해 발광된 특정 주파수의 적외선이 상기 컨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광센서가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부는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적층 배치된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래싱 브리지은, 상기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부가 마련된 안내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컨테이너 적층 구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래싱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가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감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와이 파이 또는 지그비 중의 어느 한 방식으로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안내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래싱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횡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가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된 단수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작업자가 탑승하고 특정 컨테이너 위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조정유닛이 마련된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와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승하강 되도록,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승부는,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하단에 레일을 감싸며 배치되는 휠(Wheel)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 적재되는 다수개의 컨테이너에 대한 배열 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대한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개가 적층된 컨테이너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작업자가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적층 구역별로 컨테이너의 배열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할당된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컨테이너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가 선박에 배치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부분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에 배치된 이동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 내지도 1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S)은 상부갑판 상부에 다수개의 컨테이너(2)가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갑판 상부에 래싱 브리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갑판의 적층 구역은 A1구역과, A2구역과, A3구역(미도시) 및 An 구역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 구역(A1, A2, An)은 래싱 브리지(100)에 의해 선박(S)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구역으로 각각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적층구역에는 컨테이너(2)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적층 구역(A1)과 적층 구역(A2) 사이에는 래싱 브리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싱 브리지(100)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선박(S)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각각 횡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싱 브리지(100)는 상부에 레일(200)(도 10 참조)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200)에는 이동유닛(300)(도 10 참조)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300)은 상기 레일(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되거나, 상부를 향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유닛(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래싱 브리지(100)는 컨테이너(2)의 배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부(110)가 마련된 안내부재(120)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감지부(110)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센서에서 발광된 특정 주파수가 상기 수광센서에서 감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적외선 센서 이외에, 상기 래싱 브리지(100)에 다수개의 카메라 유닛(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되는 영상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원거리에서도 컨테이너(2)의 고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해상도의 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전송된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고박되지 않은 컨테이너(2)에 대해서만 이동유닛(300)을 구동하여 고박을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안내부재(120)는 적층 구역별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120)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의 센싱을 안정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안내부재(120)의 전면에 컨테이너(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2)의 전방을 향해 발광소자에서 특정 주파수가 발광되면, 상기 컨테이너(2)의 후방에 배치된 또 다른 안내부재의 수광센서는 상기 컨테이너(2)에 의해 센싱이 차단되면서, 제어부(400)(도 8 참조)에 감지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부(110)에서 전송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컨테이너(2)가 적층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120)는 적층 구역(A1, A2, An)별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에 무선으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와이 파이 또는 지그비 중의 어느 한 방식으로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통신 방식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선박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20)는 래싱 브리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컨테이너(2)가 주변에 적층 배치되므로, 상기 컨테이너(2)의 적재 및 하역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컨테이너(2)가 적재 및 하역되기 위한 공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질이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이나 이와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컨테이너(2)가 적재될 때, 안내부재(120)에 상기 컨테이너(2)가 접촉되면서 파손이 발생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테이너가 적층된 적층 구역(A1, A2)을 한정하여 설명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단수도 도면에 도시된 단수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안내부재(120)는 적층 구역(A1, A2)의 가장 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며 사방에 배치되며, 상기 A1 구역과 A2구역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다수개가 배치된다.
감지부(110)는 제1 감지부(111)와, 제2 감지부(112) 및 제3 감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2)의 단수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의 제n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는 일 예로 래싱 브리지(100)의 상부면 바닥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 1단에 상기 선박(S)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9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중 좌측에 배치된 3개의 컨테이너(2)는 제3 감지부(113)가 적층 상태를 감지하고, 중앙에 배치된 3개의 컨테이너(2)는 이웃한 안내부재(120)에 마련된 또 다른 제3 감지부(113)가 컨테이너(2)의 적층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우측에 배치된 3개의 컨테이너(2)는 또 다른 제3 감지부가 상기 컨테이너(2)의 적층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1단의 상부인2단에 배치된 9개의 컨테이너(2) 역시 제2 감지부(112)가 각각 3개씩 감지하면서, 상기 컨테이너(2)의 적층 상태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컨테이너(2)가 적재되는 단수는 2단 이상일 수 있다. 미 설명된 A2구역 또한 상기 A1구역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안내부재(120)는 수직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122)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감지부(111~1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연장 배치되며, 특별히 길이 한정은 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감지부(111)는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각도를 향해 이격 배치된 센서(111a,111b,111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111a,111b,111c)의 갯수 또한 변동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11)가 감지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갯수 한정은 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내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부재(120)는 래싱 브리지(100)에 연결되고, 수직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122)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재(1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S)에 적층되는 컨테이너(2)의 단수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12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횡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1 가로부재(123a)가 마련된다.
상기 제1 가로부재(123a)는 연장부재(122)의 상부에 제1 감지부(111)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부(111)의 이격된 거리는 컨테이너(2)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의 컨테이너의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제1 감지부(111) 각각은 컨테이너(2)의 갯수와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감지부(111)는 무선 통신부(121)에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121)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감지부(112)는 제1 감지부(111)의 하측으로 이격된 제2 가로부재(123b)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3 감지부(113)는 제2 감지부(112)의 하측에 횡으로 연장 배치된 제3 가로부재(123c)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부(111~113)는 컨테이너(2)의 갯수와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앞서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제1 감지부(111)에 마련된 어느 하나의 센서에 다수개의 보조 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보조센서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유닛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유닛(300)은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310)가 마련되고, 상기 탑승부(310)와 레일 사이에 승하강부(320)가 마련된다.
상기 승하강부(320)는 유압 실린더(322)에 의해 승하강 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320)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다수개의 실린더 및 피스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320)는 피스톤의 인출 또는 인입 상태에 따라 수직 상부 방향으로 탑습부(310)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동유닛(300)은 레일(200)을 감싸며 배치되는 휠(324)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200)이 래싱 브리지(100)의 상부에 2열로 배치(도 7 참조)되므로, 4개의 휠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이동유닛(300)은 유압 실린더(322)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링크(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301)는 X자 형태로 다수개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링크(301)는 유압 실린더(322)에 의해 탑승부(31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탑승부(310)에는 이동유닛(300)의 이동 방향 및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닛(312)이 구비된다. 상기 조정 유닛(312)은 이동유닛(300)의 전진과 후진 및, 승강과 하강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300)은 조정유닛(312)의 조정에 따라 구동부(330)에 구비된 모터 또는 엔진이 작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레일(200)을 따라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유닛(300)은 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휠(324)이 레일(200)과 밀착 배치된다. 상기 레일(200)은 고정부재에 의해 래싱 브리지(100)에 고정 설치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400)는 감지부(110)와 무선 통신부(121)를 통해 래싱 브리지(100)의 상부에 구비된 컨테이너(2)의 배열정보를 수신 받는다.
상기 제어부(400)는 적층 구역(A1, A2...An)에 구비된 다수개의 감지부(110)와 무선 통신부(121)를 통해 컨테이너(2)의 배열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적층 구역에 배열된 컨테이너(2)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에 표시되는 컨테이너(2)의 배열 정보는 전체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2)의 배열 정보가 표시되거나, 작업자가 위치한 특정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2)의 배열 정보가 표시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니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터치 명령에 의해 전체 적층 구역(A1, A2...An)에 대한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부(110)에서 송신된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에 따라 구동부(3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유닛(300)의 이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300)은 적층 구역(A1, A2...An)별로 제1 이동유닛(301)과, 제2 이동유닛(302)과, 제3 이동유닛(303) 및 제n 이동유닛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이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 제어 방법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용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 제어 방법은 선박의 적층 구역에 적층된 다수개의 컨테이너에 대한 배치 정보를 수신하는 컨테이너 배치 정보 수신 단계(ST100)와;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각각의 적층 구역별로 세분화하고 이를 저장하는 컨테이너 배치 정보 메모리 단계(ST200); 및 상기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컨테이너 배치 정보 제공 단계(ST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배치 정보 수신 단계(ST100)는, 적층된 컨테이너의 가로 배치 정보와, 세로 배치 정보 및 적층 단수에 대한 정보가 동시에 수신된다.
상기 컨테이너 배치 정보 제공 단계(ST300)는, 작업자에게 전체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 배치 정보가 제공되는 제1 배치 정보 제공 단계(ST310)와;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 배치 정보가 제공되는 제2 배치 정보 제공 단계(ST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및 선박용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 제어 방법의 작동 상태에 대해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S)에 컨테이너(2)가 적재되면, 상기 선박(S)의 이동에 상관없이 컨테이너(2)의 고정을 위해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서로 간에 연결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적층 구역에 적층된 다수개의 컨테이너(2)에 대한 배치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신(ST100)해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9개의 컨테이너(2)가 배치되고, 단수로는 4단이 적층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안내부재(120)에 의해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는 모든 적층 구역에서 이루어지며, 가로 방향으로 제1 내지 제3 감지부(111, 112, 113)가 3*3으로 배열된 컨테이너(2)를 향해 특정 주파수의 적외선을 발광하고, 상기 발광된 적외선이 반대편에 배치된 수광센서에 센싱되지 않고, 컨테이너(2)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부(111,112, 113)에서 무선 통신부(121)에 현재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제1 감지부(111)는 3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고, 제2 감지부(112)는 제2 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하며, 제3 감지부(113)는 제1 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를 향해 적외선을 발광한다.
제어부(400)는 무선 통신부(121)에서 송신된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를 입력받아, 적층 구역별로 메모리부(미도시)에 세분화하여 저장(ST200)한다.
또한, 카메라 유닛(미도시)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2)의 고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된다.
첨부된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탑승부(31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40)에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컨테이너(2)의 배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적층 구역(A1, A2, A3, A4...An) 전체에 대한 컨테이너(2)의 배치 상태가 표시(ST310)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40)는 컨테이너(2)에 대한 고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체 적층 구역(A1, A2, A3, A4...An)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할당된 적층 구역인 A1구역에 대한 컨테이너(2)의 배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40)를 터치한다.
첨부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선택된 적층 구역(A1)에 대한 컨테이너의 배치 정보는 디스플레이부(340)에 2차원 또는 3차원 화면으로 표시(ST320)되며,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실제 컨테이너(2)의 배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표시된다.
작업자는 현재 위치한 A1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의 고정을 위해 조정유닛(312)(6b 참조)을 조정하여 이동유닛(300)의 이동 상태를 조정하고, 제어부(400)는 작업자의 조정 명령에 의해 구동부(3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유닛(300)은 레일(200)을 따라 이동된다.
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된 컨테이너(2)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구동부(330)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휠(324)에 전달되면서, 상기 이동유닛(300)은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작업자의 조정 명령에 의해 이동유닛(300)을 3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실린더(322)에 오일을 공급하고, 피스톤이 외부로 인출되면서 다수개의 폴딩된 다수개의 링크(301)가 폴딩 해제되면서, 3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로 이동된다.
작업자는 컨테이너(2)의 고정을 위해 이동하고자 하는 단수 또는 특정위치의 컨테이너를 향해 이동유닛(300)을 조정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 작업을 실시한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다수개의 컨테이너(2)에 대해 와이어(20)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연결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컨테이너(2)간의 고정은 공지된 피팅부재(10,11)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컨테이너(2)의 상단과 하단 모서리에 구비된 커넥터에 와이어(20)를 연결하고, 상기 피팅부재(10,11)를 이용하여 와이어(20)의 장력을 조절하면 된다.
상기 컨테이너(2)의 고정 작업은 1단에 배치된 컨테이너(2)에서부터 2단 및 3단에 배치된 컨테이너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 작업을 위해 원하는 컨테이너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또한, 컨테이너 고정 작업간에도, 탑승부(3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 예방 및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자는 컨테이너(2)에 대한 모든 고정 작업이 끝난 이후에,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카메라 유닛에서 전송된 컨테이너(2)의 고정 상태를 확인하고, 미 고정된 컨테이너가 있을 경우에 이동유닛(300)을 해당 컨테이너로 이동시켜서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컨테이너(2)를 하역하는 경우에도 이동유닛(300)을 이용하여 고정된 와이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래싱 브리지
200 : 레일
300 : 이동유닛
310 : 탑승부
320 : 승하강부
330 : 구동부
340 : 디스플레이부
400 : 제어부

Claims (14)

  1. 선박의 상부갑판에 구비된 컨테이너가 적층 구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갑판에 이격 배치된 래싱 브리지;
    상기 래싱 브리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승하강시키거나, 특정 위치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래싱 브리지는 상기 컨테이너 적층 구역의 가장 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마련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테이너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에 의해 발광된 특정 주파수의 적외선이 상기 컨테이너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광센서가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감지부는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적층 배치된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래싱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감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 신호를 블루투스, 와이 파이 또는 지그비 중의 어느 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내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래싱 브리지에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 배치된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횡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가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로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컨테이너가 적층된 단수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작업자가 탑승하고 특정 컨테이너 위치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조정유닛이 마련된 탑승부;
    상기 탑승부와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가 승하강 되도록,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적층 구역에 대한 컨테이너의 배열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하단에 레일을 감싸며 배치되는 휠(Whee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25747A 2011-03-23 2011-03-23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KR10125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47A KR101259632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47A KR101259632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58A KR20120108158A (ko) 2012-10-05
KR101259632B1 true KR101259632B1 (ko) 2013-04-29

Family

ID=4727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47A KR101259632B1 (ko) 2011-03-23 2011-03-23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656B1 (ko) * 2019-06-20 2019-09-18 문재경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방법
KR102022646B1 (ko) * 2019-02-01 2019-11-04 문재경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98A (ja) * 1995-06-06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ヤードの監視方法
KR20080039329A (ko) * 2007-12-26 2008-05-07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고소작업차
KR20100029424A (ko) * 2008-09-08 2010-03-17 박재욱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KR100948990B1 (ko) * 2007-11-08 201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798A (ja) * 1995-06-06 1996-12-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ヤードの監視方法
KR100948990B1 (ko) * 2007-11-08 201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KR20080039329A (ko) * 2007-12-26 2008-05-07 한성물류운반기계(주) 고소작업차
KR20100029424A (ko) * 2008-09-08 2010-03-17 박재욱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646B1 (ko) * 2019-02-01 2019-11-04 문재경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방법
KR102022656B1 (ko) * 2019-06-20 2019-09-18 문재경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58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4886A (zh) 具有光学货物感测结构的叉车
WO2008153757A1 (en) Automatic case loader and method of use for same
KR101259632B1 (ko) 선박용 래싱 브리지의 이동장치
TW200936482A (en) Lift system with spacing control
KR20140074284A (ko) 항공기를 위한 리프팅 장치
KR102375315B1 (ko)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 방법
JP6513544B2 (ja) 荷役クレーンの衝突防止装置
KR101618531B1 (ko) 천장 크레인 시스템
KR20090113988A (ko) 레이저 감지센서를 이용한 크레인의 위치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90051809A (ko) 반송 장치
CN210594385U (zh) 高度跟随调整系统及装车系统
CN103145012A (zh) 电梯设备
CN102686503A (zh) 具有单独的提升绞盘的龙门架升降式装卸车
JP6313680B2 (ja) 搬器の傾き度合い診断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
KR20150007614A (ko) 엘리베이터 중량 정보 제공 장치
KR20140140156A (ko) 선박용 리프팅 장치
JP2003128395A (ja) 産業車両における荷役作業支援装置及び産業車両
JP5481799B2 (ja) 自動倉庫
KR20160115605A (ko) 곤돌라 과하중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35066B1 (ko) 음식물 공급 장치
JP201010040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3160700U (ja) 自動倉庫
KR102132481B1 (ko)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KR101903646B1 (ko) 다중 천장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JP2006076727A (ja) オーダピッキング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