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316B1 -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316B1
KR101259316B1 KR1020110070875A KR20110070875A KR101259316B1 KR 101259316 B1 KR101259316 B1 KR 101259316B1 KR 1020110070875 A KR1020110070875 A KR 1020110070875A KR 20110070875 A KR20110070875 A KR 20110070875A KR 101259316 B1 KR101259316 B1 KR 10125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ce
coupled
rebar
driven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218A (ko
Inventor
박순익
Original Assignee
박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익 filed Critical 박순익
Priority to KR102011007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 B21B35/148Spindle carriers or balan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 B21B35/142Yielding spindle couplings; Universal joints for spindles
    • B21B35/143Yielding spindle couplings; Universal joints for spindles having slidably-interengaging teeth, e.g. gear-ty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철근에 너트 또는 커넥터등을 용이하게 연결 사용 가능하도록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너트 또는 커넥터가 결합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근 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모터와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조인트에 결합되어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차 보정수단부와, 압연롤러와 결합되어 있는 피동조인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보정수단부는,
일측은 상기 구동조인트와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가 구비된 구동 세레이션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구동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피동 세레이션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상하에는 각각 유동방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유동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나사부가 체결 가능하도록 후반 외주부에 제1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의 전방에는 락키가 결합되도록 상하 외주부에 키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홈의 전방 외주부에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과, 상기 제2 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에 체결구가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동커플링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피동조인트는,
일측에는 피동조인트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동조인트축의 중간부에는 단턱이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의 내주부로 피동조인트축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커플링의 제2 나사부 전방 끝단부와 상기 단턱이 웰딩처리가 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연롤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철근에 일정간격으로 마디를 너트나 기타 커넥터가 결합 연결 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 사용자의 의도대로 철근의 연장이나 결합 및 절곡 연결 등등 다양하게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Phase difference compensator of iron bar joint}
본 발명은 일반 철근에 너트 또는 커넥터등을 용이하게 연결 사용 가능하도록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너트 또는 커넥터가 결합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근 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공장에서 일정한 단위 길이로 생산되기 때문에 건축이나 토목공사 시에 철근을 이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연결된 철근이 소요 인장력에 견디기 위해서는 철근과 철근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이음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철근 연결방법으로는 다음의 몇 가지가 실시되고 있으며 이것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철근의 단부를 일정 길이로 겹치도록 하여 결속선 등을 이용해 잇는 겹침이음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이 방식은 겹침이음부의 주철근 간격이 좁아지고 겹쳐지는 길이 만큼 철근 사용량이 늘어나며, 철근의 과밀 배근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어렵게 되며 콘크리트의 피복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의 인장 및 압축력에 취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맞대어 놓고 산소-아세틸렌 가스 불꽃으로 가열하여 철근을 녹여 압력을 가하면서 접합하는 가스압접법은 전문 기술이 필요하고, 열에 의해 연결부위가 취약해지며,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사후에 연결 여부를 검사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상과 같은 철근 모재의 성질에 영향을 주게 되는 철근 이음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계적 철근 이음방식을 개발하거나 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그 방식으로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를 가공하여 커플러로 연결하는 방식이 있는 것으로, 철근의 단부를 열간이나 냉간으로 업세팅(Upsetting)하여 부풀린 다음 부풀린 부분을 절삭 가공하여 나사전조기로 나사를 가공하거나, 철근 단부를 냉간 스웨이징(Swaging)하는 방법으로 철근의 마디와 리브를 함몰시킨 후에 나사전조기로 나사를 가공하여 커플러로 잇는 나사 이음방식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미국의 에리코(Erico)사에 의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테이퍼나사 이음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철근의 단부를 테이퍼로 절삭한 후에 이곳에 나사를 가공한 다음에 커플러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술한 여러 가지 나사 이음방식은 철근의 단부를 가공하여 마디와 리브 및 모재의 일부가 절삭되거나 제거된 부분에 나사를 가공하기 때문에 이곳이 원래의 철근보다 단면적이 줄어들어 약해지게 되고, 열간으로 부풀림하여 나사 가공하는 방식은 열이 가해진 부분에 열변형이 일어나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근의 단부에 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공정으로 현장에서 일부 이동식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절삭 및 나사가공작업을 하고 있으나 현장작업의 특성상 여의치 않아 주로 공장에서 가공해야 하므로 물류비가 증가하게 되며, 현장 조립 시에는 철근의 길이가 길고 그의 재질적 특성으로 전체가 휘청대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철근을 정확히 일직선으로 맞추면서 커플러나 철근을 회전시켜 나사 체결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 가공을 하지 않고 철근의 단부를 원형대로 유지하면서 이음을 할 수 있는 마디편체식 이음방식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마디편체식 이음방식은 이형철근의 한쪽 리브에서 반대쪽 리브까지를 덮어 감쌀 수 있도록 반원통형이고, 철근을 감싸는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요홈인 마디홈을 두어 이형철근의 마디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면서 일정길이를 갖는 한 쌍의 마디편체를 구비하여 상기 마디편체를 두 개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나사 체결하면 커플러의 내부 경사면에 의하여 마디편체가 철근을 압지하게 되는 철근 이음방식이다.
이와 같은 마디편체식 이음방식은 유사하면서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대표적인 두 가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 한가지 방식으로는 내주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은 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이면서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마디편체로써,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철근을 양쪽에서 감싼 다음에 테이퍼 암나사를 형성한 두 개의 너트로 상기 마디편체의 외주면에 나사조임하여 철근을 잇는 방식이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한 쌍의 마디편체를 양단부 방향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하고 두 개의 커플러의 단부에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여 마디편체의 외부를 감싸면서 커플러를 상호 나사 체결하여 철근을 잇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마디편체식 이음방식은 부품의 가공 공정이 많아 가공비용이 높고, 커플러가 나사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음작업 시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증가하고 회전시켜야만 조임되는 나사식의 특성상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게 되어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철근에 일정간격으로 마디를 너트나 기타 커넥터가 결합 연결 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근 마디 위상차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모터와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조인트에 결합되어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차 보정수단부와, 압연롤러와 결합되어 있는 피동조인트로 이루어진 통상의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보정수단부는,
일측은 상기 구동조인트와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무수히 많은 톱니가 구비된 구동 세레이션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구동 세레이션부와 맞물리도록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피동 세레이션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상하에는 각각 유동방지홈이 구비되어 있는 유동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나사부가 체결 가능하도록 후반 외주부에 제1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의 전방에는 락키가 결합되도록 상하 외주부에 키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홈의 전방 외주부에는 제2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과, 상기 제2 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연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에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에 체결구가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동커플링으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피동조인트는,
일측에는 피동조인트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동조인트축의 중간부에는 단턱이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의 내주부로 피동조인트축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커플링의 제2 나사부 전방 끝단부와 상기 단턱이 웰딩처리가 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연롤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철근에 일정간격으로 마디를 너트나 기타 커넥터가 결합 연결 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 사용자의 의도대로 철근의 연장이나 결합 및 절곡 연결 등등 다양하게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커플링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유동플랜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연롤러로 철근을 압연하여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의 세레이션부가 맞물린 상태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한 상태에서 결합플랜지를 고정플랜지로 부터 이탈시켜 세레이션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의해 철근 마디의 위상차가 보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커플링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 유동플랜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압연롤러로 철근을 압연하여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고정플랜지와 결합플랜지의 세레이션부가 맞물린 상태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회동커플링을 해지한 상태에서 결합플랜지를 고정플랜지로 부터 이탈시켜 세레이션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의해 철근 마디의 위상차가 보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구동조인트(10), 위상차 보정수단부(20), 피동조인트(30)로 나눌 수 있고 상기 피동조인트(30)에 결합되어 철근(50)의 마디(501)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압연롤러(40)과 상기 본 발명과 압연롤러(40)의 구동은 상기 구동조인트(10)의 일측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것이다.
우선, 구동조인트(10)는 모터와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조인트(10)에 결합되어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차 보정수단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위상차 보정수단의 타측에는 피동조인트(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조인트(30)에는 압연롤러(4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보정수단부(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구동조인트(10)와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가 구비된 구동 세레이션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플랜지(200)와,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구동 세레이션부(202)와 맞물리도록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피동 세레이션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상하에는 각각 유동방지홈(212)이 구비되어 있는 유동플랜지(210)와,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나사부(201)가 체결 가능하도록 후반 외주부에 제1 나사부(2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221)의 전방에는 락키(222)가 결합되도록 상하 외주부에 키홈(2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홈(223)의 전방 외주부에는 제2 나사부(224)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220)과,
상기 제2 나사부(224)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연장편(232)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232)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33)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233)에 체결구(234)가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동커플링(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은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다음, 상기 피동조인트(30)는,
일측에는 피동조인트축(3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동조인트축(300)의 중간부에는 단턱(301)이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220)의 내주부로 피동조인트축(300)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제2 나사부(224) 전방 끝단부와 상기 단턱(301)이 웰딩처리가 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연롤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조인트(10), 위상차 보정수단부(20), 피동조인트(30), 압연롤러(40)를 결합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즉, 위상차보정수단부(20)의 구성요소중 상기 고정플랜지(200)가 구동조인트(10)와 고정 결합되고 그 다음에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구동세레이션부(202)와 유동플랜지(210)의 피동세레이션부(211)를 맞물린 상태로 결합한다.
다음, 피동조인트(30)의 피동조인트축(300)에 형성된 단턱(301)에 고정커플링(220)의 제2 나사부(224) 전방 끝단부와 용접처리 즉, 웰딩처리를 하면 당연히 상기 피동조인트축(300)에서 단턱(301)을 기준으로 그 후반부는 상기 고정커플링(22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단턱(301)에서 고정커플링(220)과 피동조인트(30)는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회동커플링(230)을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제2 나사부(224)에 체결한 다음 상기 구동조인트(10)와 고정 결합된 고정플랜지(200)을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외주부에 구비된 제1 나사부(221)에 체결하면 상기 고정플랜지(200) 전방에 세레이션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유동플랜지(210)도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외주부에 결합되며 이때 상기 유동플랜지(210)의 내주면 상하에 구비된 유동방지홈(212)에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락키(222)가 체결되어 유동플랜지(210) 및 고정플랜지(200)의 회동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구동조인트(10) 및 피동조인트(30)에는 각각 모터와 압연롤러(4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그 하단에 일반적인 유니버셜 조인트(U)가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하나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구동되면서 이에 따라 압연롤러간에 끼워진 철근(50) 외주부에 마디를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플랜지(210)과 고정플랜지(200)이 구동세레이션부(202), 피동 세레이션부(211)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되며 이와 같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철근(50)의 마디(501)를 커넥터나 기타 너트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디(501)의 위상차를 수정 즉, 보정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구동을 멈추고 상하로 구비된 압연롤러(40)의 기어부분 즉, 기어의 맞물림을 수정 보정하여야 함에 따라, 본 발명은 회동커플링(230)의 연장편(23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233)에 결합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커플링(220)에 긴밀하게 고정 결합된 상태의 체결구(234)를 해지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조인트(30)쪽으로 이동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플랜지(210)의 피동 세레이션부(211)과 고정플랜지(200)의 구동 세레이션부(202)를 이격시키면 강제로 피동조인트(30)를 회동시키면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나사부(201)와 고정커플링(220)의 제1 나사부(221)가 풀리면서 피동세레이션부(211)와 구동 세레이션부(202)의 위상차로 인하여 피동조인트(300)의 전방에 결합된 압연롤러(40)중 도 7에서는 상측에 구비된 압연롤러(40)가 회동하여 하측에 구비된 압연롤러(40)와 톱니 또는 기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의 마디(501)의 위상차를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철근에 일정간격으로 마디를 너트나 기타 커넥터가 결합 연결 가능하도록 압연기의 압연롤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보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 사용자의 의도대로 철근의 연장이나 결합 및 절곡 연결 등등 다양하게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10 : 구동조인트 20 : 위상차 보정수단부
30 : 피동조인트 40 : 압연롤러
50 : 철근 200 : 고정플랜지
201 : 나사부 202 : 구동 세레이션부
210 : 유동플랜지 211 : 피동 세레이션부
212 : 유동방지홈 220 : 고정 커플링
221 : 제1 나사부 222 : 락키
223 : 키홈 224 : 제2 나사부
230 : 회동커플링 231 : 나사부
232 : 연장편 233 : 체결공
234 : 체결구 300 : 피동조인트축
301 : 단턱 500 : 리브
501 : 마디 U : 유니버셜 조인트
50 : 철근

Claims (3)

  1. 모터와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조인트(10)에 결합되어 철근 마디의 위상차를 보정하는 위상차 보정수단부(20)와, 압연롤러(40)와 결합되어 있는 피동조인트(30)로 이루어진 통상의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보정수단부(20)는,
    일측은 상기 구동조인트(10)와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가 구비된 구동 세레이션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플랜지(200)와,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구동 세레이션부(202)와 맞물리도록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피동 세레이션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 상하에는 각각 유동방지홈(212)이 구비되어 있는 유동플랜지(210)와,
    상기 고정플랜지(200)의 나사부(201)가 체결 가능하도록 후반 외주부에 제1 나사부(2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나사부(221)의 전방에는 락키(222)가 결합되도록 상하 외주부에 키홈(22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키홈(223)의 전방 외주부에는 제2 나사부(224)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220)과,
    상기 제2 나사부(224)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주부에는 나사부(231)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연장편(232)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232)에는 다수개의 체결공(233)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233)에 체결구(234)가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회동커플링(2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조인트(30)는,
    일측에는 피동조인트축(3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동조인트축(300)의 중간부에는 단턱(301)이 구비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고정커플링(220)의 내주부로 피동조인트축(300)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커플링(220)의 제2 나사부(224) 전방 끝단부와 상기 단턱(301)이 웰딩처리가 되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압연롤러(4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KR1020110070875A 2011-07-18 2011-07-18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KR10125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75A KR101259316B1 (ko) 2011-07-18 2011-07-18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75A KR101259316B1 (ko) 2011-07-18 2011-07-18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18A KR20130010218A (ko) 2013-01-28
KR101259316B1 true KR101259316B1 (ko) 2013-05-06

Family

ID=478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875A KR101259316B1 (ko) 2011-07-18 2011-07-18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99B1 (ko) * 2012-11-29 2014-08-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위상 조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296B1 (ko) 1995-11-16 2001-11-30 리아오첸난 다목적용스프링제조기
KR100610622B1 (ko) 2005-05-23 2006-08-14 박영철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한 선재의 성형장치
KR100919234B1 (ko) 2001-07-03 2009-09-30 가나이 히로아키 관 이음용 그립 링의 제조 방법 및 그 관이음용 그립 링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296B1 (ko) 1995-11-16 2001-11-30 리아오첸난 다목적용스프링제조기
KR100919234B1 (ko) 2001-07-03 2009-09-30 가나이 히로아키 관 이음용 그립 링의 제조 방법 및 그 관이음용 그립 링의 제조 장치
KR100610622B1 (ko) 2005-05-23 2006-08-14 박영철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한 선재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218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5853B1 (en) Tool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US20100104357A1 (en) Mechanical reinforcing bar coupler based on bar deformations
CN1298995A (zh) 用于自连接钢筋的连接器
TW201638442A (zh) 異形鋼筋的螺合式鋼筋接頭
MXPA02009558A (es) Tuerca con cuerda para sujetador, con caracteristicas de cuerda con radio anti-transroscante.
JP6960966B2 (ja) 部材間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CN1327094C (zh) 钢筋连接器
KR101259316B1 (ko) 철근마디 위상차 보정장치
JP2021165587A (ja) 弛緩防止ナット
JP3799097B2 (ja) 異形鉄筋の継手構造
JP3160121U (ja) 鉄筋及び鉄筋継手
KR100514807B1 (ko) 철근 연결구
KR101160532B1 (ko) 철근 연결구
JP2023121246A (ja) 鋭角ネジ節鉄筋及び軽量継手
JP6575553B2 (ja) 構造体鋼管用平行ねじ継手
KR102192982B1 (ko)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JP2015135011A (ja) 機械式継手
TW202012756A (zh) 活用外螺紋部之不完整螺紋部的接頭
KR20210075660A (ko) 내진용 철근 커플러
KR100751228B1 (ko) 철근 연결구
KR200331388Y1 (ko) 철근 연결구
JP4864619B2 (ja) ねじ鉄筋の接続方法
TWM566738U (zh) Renewable steel structure
JP4347149B2 (ja) 緩み防止手段を備えた杭の縦継ぎ装置の機械継手
WO2022190754A1 (ja) 機械式継手管を有する鋼管矢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