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228B1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228B1
KR100751228B1 KR1020030041858A KR20030041858A KR100751228B1 KR 100751228 B1 KR100751228 B1 KR 100751228B1 KR 1020030041858 A KR1020030041858 A KR 1020030041858A KR 20030041858 A KR20030041858 A KR 20030041858A KR 100751228 B1 KR100751228 B1 KR 10075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node
reinforcing bar
wedg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617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03004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228B1/ko
Priority to PCT/KR2004/001539 priority patent/WO2004113639A1/en
Publication of KR2005000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을 연결할 때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이형철근의 단부를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홈이 다수 형성된 반원통형으로 된 두 개의 마디편체로 감싼 다음 하나의 마디편체의 편체고정부 내로 쐐기를 박아 상기 두 개의 마디편체를 강하게 하나로 구속하여 철근의 두 축을 연결함으로서 철근 이음부분이 철근 모재보다 강하게 되는 기계식 철근이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구조가 간단함으로서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쐐기를 박아 두 개의 마디편체를 간단히 하나로 묶어 두 축의 철근을 연결함으로서 철근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형철근의 마디가 원주형이든 반원주형이든 두 축의 철근이 동일한 형태의 마디를 하고 있으면서 마디간격만 동일하면 다양한 형태의 마디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형철근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회사마다 약간의 편차가 있는데 이를 모두 수용하여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철근의 연결작업시 철근의 단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마디편체 내로 충분히 삽입되게 한 다음 두 개의 편체를 간단히 쐐기로써 일체화 되게 구속하여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쐐기에 눈금자를 표시하여 압입 깊이를 기준에 맞게 일정하게 하도록 하여 철근 연결의 품질을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연 결 후에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쐐기의 내면 및 외면에도 축방향으로 요홈을 다수 형성하여 쐐기의 압입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인 마디편체부와 상기 마디편체부의 축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상기 마디편체부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의 편체고정부가 각각 연장되어 전체의 형태가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이고 중심부는 거의 반원통형인 하나의 제1마디편체와, 반원통형이며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마디편체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또 하나의 제2마디편체와, 부분 반원통형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를 이루어 앞 끝의 각도가 작아지는 쐐기 형상으로서 상기 제1마디편체의 경사면과 제2마디편체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제2마디편체를 압지함으로서 제1마디편체의 내면과 제2마디편체의 내면에 끼워져 있는 철근을 압박하여 구속하는 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쐐기로 구성되어 두 축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철근 연결구, 철근 이음쇠, 철근 이음매, 철근 연결장치, 철근 이음구, 쐐기식 철근 연결구, 기계식 철근이음

Description

철근 연결구{Reinforcing bar coup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쐐기의 축방향의 중심부의 외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도 16의 D-D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 쐐기 외면의 걸림부가 축방향으로 하나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도 21의 E-E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철근(이형철근)
11 : 리브 12 : 마디
2, 2a, 2b, 2c, 2d : 제1마디편체
21 : 마디편체부 21a : 마디홈
21b : 중심홈 22 : 편체고정부
22a : 경사면 22b : 걸림부
22c : 개방부 23 : 돌출띠
24 : 자석
3, 3a : 제2마디편체
31 : 마디홈 32 : 중심홈
33 : 톱니면 34 : 내면
35 : 외면
4, 4a, 4b, 4c : 쐐기
41 : 선단부 42 : 타격부
43 : 내면 44 : 외면
45 : 요홈부 46 : 톱니면
47 : 걸림부 48 : 눈금자
49 : 수평면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조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을 연결할 때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이형철근의 단부를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마디홈이 다수 형성된 반원통형으로 된 두 개의 마디편체로 감싼 다음 하나의 마디편체의 편체고정부 내로 쐐기를 박아 상기 두 개의 마디편체를 강하게 하나로 구속하여 철근의 두 축을 연결함으로서 철근 이음부분이 철근 모재보다 강하게 되는 기계식 철근이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운반 및 작업의 편리를 위하여 제조공장에서 일정한 단위 길이로 생산되기 때문에 건설공사를 할 때 철근을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데, 지금까지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몇 가지 방법에는 겹침이음, 가스압접이음, 나사가공이음, 편체식이음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중에서 현재까지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철근 연결방식은 철근의 두 축을 평행하게 겹쳐서 잇는 겹침이음 방식으로서 철근의 규격이 D25이하의 철근 이음에 주로 사용한다. 겹침이음 방법은 단순히 철근의 단부를 일정 길이로 겹치도록 하여 결속선 등으로 묶어서 임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서, 이 방식은 철근 겹침이음 규정상의 철근의 겹침 소요길이가 규격에 따라 철근 직경의 최고 45 배 길이 까지 겹쳐야 하기 때문에 철근의 낭비가 많고, 겹침이음부의 주근 간격이 좁아져서 콘크리트 충진이 어렵게 되며, 콘크리트의 피복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또한 철근을 결속선 만으로 임시로 묶어놓은 것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지력 만으로 인장하중에 견디는 구조로서 부식이나 지진, 기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접착면이 분리되면 인장하중에 취약한 구조가 되어 안전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철근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가스압접이음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철근 단부를 그라인더로 연삭하여 평면으로 한 다음 두 개의 철근을 축방향으로 맞대고 산소 아세틸렌 불꽃을 가열하면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는 장비를 사용할 수가 없어 작업에 제한을 받으며, 자격증이 있는 숙련된 압접공만이 작업을 할 수 있고, 고압가스를 사용함으로 안전상의 위험이 항상 있으며, 철근 단부를 가열함에 따라 철근의 물성이 변하여 강도가 저하되고, 연 결부위를 초음파 탐상법에 의해 모두 검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철근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나사가공이음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에 절삭 또는 전조가공으로 수나사부를 만들고 이를 암나사가 가공된 커플러와 체결하여 이음하는 방법으로서, 철근 단부에 나사를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철근 단부를 가열하여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부풀린 다음 그 부분에 나사를 형성하는 단부 부풀림 나사가공 방법이 있으며, 철근 단부의 마디와 리브 부분을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단조가공하여 원형으로 만들고 그 부분에 나사를 형성하는 스웨이징 나사가공 방법이 있고, 그리고 철근의 단부를 별도의 단조가공 없이 테이퍼 형상의 수나사를 절삭가공하는 절삭테이퍼 나사가공 방법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나사가공이음 방법은 철근의 단부에 나사를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가공비가 추가로 소요되고, 연결할 철근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철근과 커플러를 일직선으로 맞추기가 어려우며 철근이나 커플러를 공구로 회전시켜면서 연결작업을 해야 하는데 철근을 여러 가닥 배근할 경우가 많으므로 기 배근된 철근의 간섭으로 공구 사용이 불편해 작업성이 떨어지며, 철근의 나사부가 원래의 철근보다 직경이 작아지거나 열이 가해져 강도가 저하되는 점이 있으며 또한 철근의 단부에 현장이나 공장에서 일일이 나사가공을 해야 하므로 물류비가 증가하거나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철근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편체식이음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이형철근의 단부에 별도로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철근을 원래의 상태대로 유지하면서 철근 단부의 마디가 마디편체의 마디홈에 끼워지게 한 다음 슬리브 또는 커플러로 상기 마디편체를 구속하여 응력을 전달하게 하는 이음 방법으로서, 그 구체적인 방법의 일 예로는 한 쌍의 원통형 관의 단부에 하나는 수나사부가 다른 하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이 테이퍼인 슬리브를 연결할 두 개의 철근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놓고 이어서 거의 반원통형이며 내면에는 철근의 마디를 끼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은 축방향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로 형성된 네 개의 마디편체로써 연결할 두 개의 철근의 선단부를 감싼 다음에 상기 이미 철근의 외주면에 끼워져 있는 한 쌍의 슬리브로 상호 나사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철근을 연결하는 슬리브 이음방식이 있으며, 다른 예로는 내면에 이형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거의 반원통형인 마디편체 네 개를 연결할 철근의 단부에 끼우고 상기 마디편체의 외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커플러를 체결하여 철근을 연결하는 커플러 이음방식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편체식이음 방법에서 슬리브 이음방식은 연결할 철근의 마디형상이 원주형 혹은 반원주형 등 다양하기 때문에 연결되는 철근의 마디를 마디편체의 마디홈에 모두 수용하면서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데 그것은 네 개의 마디편체가 연결되는 철근의 마디홈을 모두 수용하고자 하면 네 개의 마디편체를 축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설치해야 하는 데 이렇게 되면 마디편체의 양단부가 나란히 일치하기가 어려워 상기 마디편체를 감싸면서 상호 나사 조임을 하는 슬리브의 나사 조임이 안되거나 불완전하게 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이 마디편체를 충분히 압지하지 못함으로서 부실한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커플러 이음방식 역시 철근 마디 형상이 다양함으로 인하여 네 개의 마디편체가 일치하기가 어려워 암나사형 커플러를 상기 마디편체의 외면의 수나사부에 끼우기가 쉽지 않아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체식이음 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제조회사 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어 슬리브나 커플러가 마디편체를 충분히 압지하지 못하거나 슬리브나 커플러를 마디편체의 외면에 끼우거나 나사 체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슬리브 또는 커플러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나사 조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철근 연결구에 있어서, 구조가 간단함으로서 제조가 용이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쐐기를 박아 두 개의 마디편체를 간단히 하나로 묶어 두 축의 철근을 연결함으로서 철근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면서도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형철근의 마디가 원주형이든 반원주형이든 두 축의 철근이 동일한 형태의 마디를 하고 있으면서 마디간격만 동일하면 다양한 형태의 마디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형철근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회사마다 약간의 편차가 있는데 이를 모두 수용하여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철근의 연결작업시 철근의 단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마디편체 내로 충분히 삽입되게 한 다음 두 개의 편체를 간단히 쐐기로써 일체화 되게 구속하여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쐐기에 눈금자를 표시하여 압입 깊이를 기준에 맞게 일정하게 하도록 하여 철근 연결의 품질을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연 결 후에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쐐기의 내면 및 외면에도 축방향으로 요홈을 다수 형성하여 쐐기의 압입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인 마디편체부와 상기 마디편체부의 축방향의 양쪽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상기 마디편체부 내면과 마주보는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반원통형의 편체고정부가 각각 연장되어 전체의 형태가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이고 중심부는 거의 반원통형인 하나의 제1마디편체와, 반원통형이며 내면에 철근의 마디가 끼워지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마디편체와 거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또 하나의 제2마디편체와, 부분 반원통형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를 이루어 앞 끝의 각도가 작아지는 쐐기 형상으로서 상기 제1마디편체의 경사면과 제2마디편체의 외면 사이에 삽입되어 제2마디편체를 압지함으로서 제1마디편체의 내면과 제2마디편체의 내면에 끼워져 있는 철근을 압박하여 구속하는 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쐐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축방향의 중심부가 반원통형이며 양단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마디편체(2)와 반원통형의 제2마디편체(3) 그리고 한 쌍의 쐐기(4)로 구성되어 철근(1)과 철근(1a)을 연결하는 작용을 도시한 다.
상기 제1마디편체(2)는 연결되는 이형철근(1, 1a)의 한쪽 리브(11)에서 원중심에 대하여 대칭인 반대쪽 리브(11)까지 감쌀 수 있는 원호 길이로 이루어진 폭과 연결되는 이형철근(1, 1a) 단부의 마디(12)를 다수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거의 반원통형인 마디편체부(21)와 상기 마디편체부(21)의 축방향의 양쪽 단부에 횡방향으로 반원통형의 편체고정부(22)가 반원통형 고리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두 부분이 형성됨으로서 전체의 형태가 축방향의 양단부는 원통형이고 중심부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는 철근(1, 1a)의 반원면 부분과 제2마디편체(3) 그리고 쐐기(4)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내측에 여유공간을 가지며 쐐기(4)의 외면(44)과 접촉되는 내면은 원호면을 이루면서 축방향의 양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2a)으로 되어 있다.
상기 마디편체부(21)의 내면은 철근(1, 1a)의 반원면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으로서 연결되는 철근(1, 1a)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반원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곳에 반원형의 요홈인 마디홈(21a)이 연결되는 철근(1, 1a)의 마디(12)와 같은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그 폭과 깊이는 연결될 철근(1, 1a)의 마디(12)와 정확히 치합되도록 형성하여 철근(1, 1a)의 마디(12)가 수나사와 같은 역할을 하고 마디홈(21a)이 암나사와 같은 역할을 하여 철근(1, 1a)이 제1마디편체(2) 내에서 확실하게 구속되도록 되어있으며, 또한 마디편체부(21)의 축방향 중심 내면에는 연결되는 철근(1, 1a)의 두 마디(12) 정도의 폭을 가지며 깊 이가 상기 마디홈(21a)의 깊이 보다도 약간 깊게 반원형의 요홈인 중심홈(21b)이 형성되어 있어 연결되는 철근(1, 1a)의 선단부가 휘어지거나 돌기부분이 있을 때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마디편체(2)의 외면에는 횡방향으로 돌출 되어 원형 띠를 이루는 돌출띠(23)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연결된 철근(1, 1a)에 축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인장력이 횡방향으로도 작용하며 이러한 인장력으로 인하여 편체고정부(22)가 파단되려는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파단력에 대해 견디는 대항력을 증대시켜 주는 작용을 하며 또한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2마디편체(3)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이형철근(1, 1a)의 한쪽 리브(11)에서 반대쪽 리브(11)까지 감쌀 수 있는 원호 길이의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마디편체(2)의 편체고정부(22)의 내측에 약간 여유 있게 삽입되고, 그 내면(34)은 상기 제1마디편체(2)의 마디편체부(21)의 내면에 형성된 마디홈(21a) 및 중심홈(21b)과 동일한 형태와 작용을 하는 마디홈(31)과 중심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의 길이는 상기 제1마디편체(2)의 마디편체부(21)보다 마디홈(31) 간격의 절반정도 길면서 내면(34)의 양단 모서리 부분에도 마디홈(31)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되는 철근(1, 1a)의 마디(12) 형태가 원주형이든 리브(11)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반원주형이든 항상 제2마디편체(3) 단부가 제1마디편체(2)의 단부와 일치되거나 제2마디편체(3)가 마디홈(31) 간격의 절반 정도만이 제1마디편체(2)의 단부로부터 돌출 되어 제1마디편체(2)의 마디편체부(21) 내면에 설치되 어 있는 철근(1, 1a) 단부의 외주면을 제1마디편체(2)의 마디편체부(21) 길이 이상으로 충분히 감쌀 수 있게 하며 또한 한 쌍의 쐐기(4)가 제1마디편체(2)의 양단부에서 제2마디편체(3)와 제1마디편체(2)의 경사면(22a)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깊이는 항상 동일하게 되어 쐐기(4)가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 전체를 균일하게 압지하게 되어 제2마디편체(3)가 제1마디편체(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철근(1, 1a)의 외주면 방향으로 충분히 압지가 됨으로써 견고한 철근 이음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은 축방향으로 경사가 없는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으며 양단부의 일부 면에는 톱날모양의 톱니면(33)이 형성되어 있어 다음에서 설명되어 지는 쐐기(4)의 톱니면(46)과 상호 치합되어 걸림 작용을 하도록 하여 철근(1, 1a)의 연결작업 후에 쐐기(4)가 역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쐐기(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전체 모양은 부분 반원통형으로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폭은 상기 제2마디편체(3)와 거의 같으면서 두꺼운 부분인 타격부(42)에서 끝부분인 선단부(41)로 갈수록 점차로 작아지는 형태로서 그 길이는 상기 제1마디편체(2)의 절반 정도이며, 내면(43)은 상기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과 동일한 원호면으로 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는 평행하고 타격부(42)쪽 일부면에는 톱날 모양의 톱니면(4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마디편체(3)의 톱니면(33)과 상호 치합되어 걸림 작용을 하며 또한 축방향으로 요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45)가 있어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과의 마찰면적을 적게 하여 쐐기(4)를 상기 제2마디편체(3)와 제1마디편체(2)의 경사면(22a) 사이로 용이하게 미끄러져 삽입되도록 하고, 외면(44)은 상기 제1마디편체(2)의 경사면(22a)과 동일 한 원호면으로 되어 있으며 축방향으로 타격부(42)에서 선단부(41)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축방향으로 다수의 요홈부(4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면(43)에 형성된 요홈부(45)와 동일한 작용을 한다.
그리고 쐐기(4)의 타격부(42)에는 내면(43)에서 외면(44)방향으로 즉 횡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쐐기(4)의 타격 시에 타격공구가 철근(1, 1a)의 외주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며 타격면적을 넓게 하여 타격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쐐기(4)의 외면(44)에는 타격부(42)로부터 시작하여 일정 길이의 눈금자(48)를 형성함으로서 한 작업장에서 동일 제조회사 동일 규격의 철근 연결 작업을 할 때 처음의 연결작업시에 제1마디편체(2) 내로 적정하게 압입 되는 쐐기(4)의 깊이를 눈금자(48)를 보면서 기준으로 삼아 이후의 연결 작업에도 동일한 삽입 깊이 까지만 눈금자(48)를 보면서 압입할 수 있어 철근 연결 작업의 품질이 균일해지며 안전한 철근 이음이 되고 연결작업 후에 검사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결합순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할 하나의 철근(1)의 선단부를 제1마디편체(2)의 일측단부에서 내부로 끼워 넣되 철근(1)의 선단부가 제1마디편체(2)의 중심홈(21b)까지 도달 되도록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밀어 넣는데 이 때 철근(1)의 마디(12)가 마디편체부(21)의 마디홈(21a)에 충분히 끼워지도록 삽입위치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에 또 하나의 철근(1a)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고 제2마디편체(3)를 제1마디편체(2)의 일측단부에서 내부로 끼워 넣되 제2마디편체(3)의 어느 쪽 일단부라도 제1마디편체(2)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약간 돌출 되거나 제1마디편체(2)의 일단부와 일치하도록 하면서 마디홈(31)에 두 개의 철근(1, 1a)의 마디(12)가 모두 끼워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한 쌍의 쐐기(4)를 제1마디편체(2)의 양측단부에서 선단부(41)가 먼저 삽입되도록 하여 밀어 넣고 타격공구나 유압식 압입공구 등으로 타격부(42)를 타격 하여 박아 넣거나 강하게 압입하게 되면 제1마디편체(2)의 경사면(22a)과 쐐기(4) 외면(44)의 경사면이 상호 압지하는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제2마디편체(3)를 연결된 철근(1, 1a)의 외주면 방향으로 강하게 압박함으로서 철근(1, 1a)이 구속되어 두 개의 철근(1, 1a)이 확실하게 하나로 연결되며, 또한 제2마디편체(3)의 톱니면(33)과 쐐기(4)의 톱니면(46)이 상호 걸림 작용을 하여 쐐기(4)가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한 철근 이음이 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형철근은 직경이 동일한 규격이라 하더라도 제조회사마다 약간의 편차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마디편체(2)와 제2마디편체(3) 사이에 압입되는 쐐기(4)의 깊이를 철근(1, 1a)의 실제 직경에 따라 달리함으로서 항상 쐐기(4)가 제2마디편체(3)의 외면을 강하게 압지하게 되고 또한 제2마디편체(3)도 역시 연결된 철근(1, 1a)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지함으로서 두 축의 철근을 항상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연결된 철근이 인장하중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안전성을 확실하게 제공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다만 제1마디편체(2a)와 제2마디편체(3a) 그리고 쐐기(4a)는 한 개만 으로 철근(1, 1a)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마디편체(2a)는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22a)이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제1마디편체(2)의 구조와는 다르나 그 외의 다른 구조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마디편체(3a) 역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제2마디편체(3)와 그 구조가 동일하나 단지 외면의 톱니면(33)이 축방향으로 일 단부면 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다르고, 쐐기(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길이를 제2마디편체(3a)보다 약간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쐐기(4a)의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쐐기(4)로 제1마디편체(2)의 양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쐐기(4)의 삽입방향을 달리하여 제2마디편체(3)를 압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쐐기를 제1마디편체(2a)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내에 같은 방향으로 약간의 시간차만을 두고 거의 동시에 압입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하나의 쐐기(4a)로 형성하여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내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서, 즉 하나의 쐐기로 두 개의 쐐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서 철근의 연결작업이 간편해지고 신속해지며 부품의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도 9는 쐐기(4a) 외면(44)의 축방향 중심부분이 제1마디편체(2a)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사이의 간격 정도 길이로 하여 수평면(49)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두 개의 쐐기(4)를 수평면(49)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쐐기(4a)로 형성함으로서 역시 하나의 쐐기로써 두 개의 쐐기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쐐기(4a)가 편체고정부(22) 내로 삽입되면서 먼저 삽입되는 선단부분이 첫번째 편체고정부(22) 내측을 보다 더 여유 있게 통과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작용과 결합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쐐기(4a)가 한 개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하나의 쐐기(4a)를 제1마디편체(2a)의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22a)과 제2마디편체(3a)의 외면(35) 사이의 여유공간 중에서 인입구의 높이가 큰 쪽으로 선단부(41)를 앞세워 삽입한 다음에 압입하면 제2마디편체(3a)가 철근(1, 1a)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지하여 역시 견고한 철근 연결이 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그 구성과 작용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제1마디편체(2b)의 두 부분 편체고정부(22)가 일부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마디편체(2b)의 편체고정부(22)와 쐐기(4b)에 각각 걸림부(22b, 47)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마디편체(2b)는 두 부분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이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22c)로 되어 있어 그 내부가 횡방향으로도 보이며, 편체고정부(22)의 횡방향 단부에 연장되어 안쪽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 되어 있는 걸림부(22b)가 형성되어 있어 다음에서 설명되어지는 쐐기(4b)의 걸림부(47)와 상호 걸림작용을 하여 제1마디편체(2b)와 쐐기(4b)가 연결작업 후에 일체화 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22b)의 내주면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1마디편체(2)의 경사면(22a) 과 같이 축방향으로 양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면서 경사면(22a)이 이루어져 있어 후술되는 쐐기(4b)의 걸림부와 상호 미끄러지면서 접촉하여 쐐기작용을 하도록 한다.
상기 쐐기(4b)는 상기 제1마디편체(2b)의 편체고정부(22)가 일부 개방형으로 형성되어 걸림부(2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상응하여 상호 걸림작용을 하도록 횡방향 양단부가 내면에서 외면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된 걸림부(4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47)에도 역시 상기 제1마디편체(2b)의 걸림부(22b)의 경사면(22a)과 합치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쐐기(4b)를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과 제1마디편체(2b)의 걸림부(22b) 내로 압입하면 쐐기(4b)의 내면(43)이 제2마디편체(3)의 외면을 압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작용과 결합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제1마디편체(2b)의 편체고정부(22)가 개방되어 그 횡방향 단부에 걸림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쐐기(4b)를 각각 두 부분 편체고정부(22)의 양단부에서 제1마디편체(2b)의 걸림부(22b) 내로 인입할 때 쐐기(4b)의 걸림부(47)가 편체고정부(22)의 걸림부(22b)에 걸리도록 하여 선단부(41)를 앞세워 삽입한 다음에 압입하게 되면 제2마디편체(3)가 철근(1, 1a)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지하여 구속함으로서 역시 견고한 철근 연결이 되는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그 구성과 작용은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쐐기(4c)가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의 쐐기(4a)와 같이 제1마디편체(2c)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마디편체(2c)는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의 걸림부(22b)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22a)이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마디편체(2b)의 양단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1마디편체(2c)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는 하나의 경사를 이루고, 상기 쐐기(4c)의 횡방향 양단에 형성된 걸림부(47)의 내주면 역시 전체 길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하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도 17은 쐐기(4c) 외면의 축방향 중심부분이 제1마디편체(2c)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사이의 간격 정도 길이로 하여 수평면(49)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같은 두 개의 쐐기(4b)를 축방향의 중심부인 수평면(49)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쐐기로 형성함으로서 역시 하나의 쐐기(4c)로써 두 개의 쐐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며, 또한 쐐기(4c)가 편체고정부(22)의 걸림부(22b) 내로 삽입되면서 축방향의 중심부분이 첫번째 편체고정부(22)를 여유 있게 통과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작용과 결합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제1마디편체(2c)의 편체고정부(22)가 개방되어 그 횡방향 단부에 걸림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쐐기(47)의 걸림부(47)가 제1마디편체(2c)의 걸림부(22b)에 걸리도록 하여 선단부를 앞세워 삽입한 다음에 압입하면 제2마디편체(3a)가 철근(1, 1a)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지하여 역시 견고한 철근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서 제1마디편체(2b, 2c)의 걸림부(22b)가 편체고정부(22)의 횡방향 단부에 연장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 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여 쐐기(4b, 4c)도 폭을 넓게 하여 걸림부(47)가 외면(44)에서 내면(43) 방향으로 꺽이면서 상기 제1마디편체(2b, 2c)의 걸림부(22b)와 상호 걸림작용을 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걸림수단이 제시될 수 있으나 그 작용원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그 구성과 작용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제1마디편체(2d)의 편체고정부(22)가 분리되어 두 개로 이루어진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마디편체(2d)는 마디편체부(21)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편체고정부(22)는 상기 제1마디편체(2d)와는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 두 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모양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2 실시예에서의 제1마디편체(2, 2a)의 편체고정부(22)와 같이 반원통형 고리 모양이 아닌 원통형의 독립된 고리모양을 하고 있고, 쐐기(4a)에 대응되는 내면은 두 개의 편체고정부(22)가 축방향의 양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2a)이 형성되거나 같은 방향으로 하나의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2a)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쐐기(4, 4a)의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하여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의 축방향 양단에서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압입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로 형성하여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를 한번에 관통하면서 압입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마디편체(2d)의 외면에는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 자석(24)을 설치하여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편체고정부(22)를 일체화시켜 철근 연결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부품의 관리도 쉽게 한다. 상기 제1마디편체(2d)와 편체고정부(22)를 일체화시키는 접착수단은 상기 자석(24) 외에도 용접을 하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접착수단이 있다.
그리고 쐐기(4)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편체고정부(22) 내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두 개의 쐐기를 압입하는 방법은 다양한 것으로, 상기 제1마디편체(2d)의 외면에도 톱니면(33)을 형성하여 제1마디편체(2d)와 제2마디편체(3)로 두 축의 철근(1, 1a) 단부를 감싸되 두 개의 마디편체(2d, 3)에 형성된 톱니면(33)이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두 개의 편체고정부(22)를 상기 두 개의 마디편체의 양단부에 끼워 넣되 내면에 경사면(22a)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톱니면(33)과 상호 대응되도록 설치하고 한 쌍의 쐐기(4)로 상기 일체화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양측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톱니면(33)과 두 개의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22a)사이로 압입하면 두 개의 쐐기(4) 역시 두 개의 마디편체(2d, 3)를 기준으로 상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두 개의 쐐기(4)를 각각 일체화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양측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압입하였는데, 두 개의 쐐기(4)를 일체 화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즉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편체고정부(22) 내로 압입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두 개의 쐐기(4)를 일체화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축방향의 중심부에서 양단부 방향으로 하여 편체고정부(22) 내로 압입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쐐기(4)의 압입방향에 따라 편체고정부(22)를 경사면(22a)의 반경이 큰 쪽이 쐐기(4)가 압입되기 시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일체화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양단에 각각 삽입하면 된다. 여기에서 두 개의 마디편체(2d, 3)의 톱니면(33)은 쐐기(4)의 삽입방향에 맞추어 상호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두 개의 쐐기(4)의 압입위치를 다양하게 하는 것은 현장 여건상 쐐기 압입에 제한이 있을 경우에 유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작용과 결합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제1마디편체(2d)와 편체고정부(22)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개의 철근(1, 1a)의 외주면에 먼저 두 개의 편체고정부(22)를 각각 끼워 넣고, 제1마디편체(2d)와 제2마디편체(3, 3a)으로 철근(1, 1a)의 단부를 감싼 다음, 상기 편체고정부(22)를 상기 두 개의 마디편체(2d)(3, 3a)의 외주면의 양단부에 각각 끼운 다음, 마지막으로 하나 또는 두 개의 쐐기(4, 4a)를 제2마디편체(3, 3a)의 외면(35)과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22a) 사이로 압입하면 제2마디편체(3a)가 철근(1, 1a)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지하여 역시 견고한 철근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마디편체(2, 2a, 2b, 2c, 2d)와 제2마디편체(3, 3a)의 전체 모양이 원통형이거나 거의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 로 횡단면의 모양이 내면 및 외면 모두가 원형이나 거의 반원형으로 되어 있는데, 철근의 외주면과 접하는 내면은 횡단면이 거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야 가장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인데 반하여, 외면은 다각형 모양 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서의 제2마디편체(3, 3a)와 쐐기(4, 4a)는 철판 재료를 사용한 프레스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서는 제1마디편체(2b, 2c, 2d)도 축방향 중심부와 편체고정부(22)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거나 전체가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철판 재료를 사용한 프레스 가공이 가능함으로서 양산작업에 의하여 생산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의 구성부품의 재질은 주강, 주철, 강판, 특수합금 등을 현장 적용성,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제조방법은 재질에 따라 가공성을 고려하여 주조, 단조, 프레스 가공, 열간압연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철근이음을 쐐기를 박 아서 끝내는 기계식 철근연결 방식으로서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여 주조나 단조, 프레스 가공, 열간압연 등의 생산방법에 의한 1차 공정만으로도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음으로서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제1마디편체와 제2마디편체를 쐐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하나로 묶어 두 축의 철근을 연결함으로서 철근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작업능률이 높아지므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어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경제성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이형철근의 마디가 원주형이든 반원주형이든 두 축의 철근이 동일한 형태의 마디를 하고 있으면서 마디간격만 동일하면 다양한 마디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있으며, 이형철근의 직경이 동일 규격이라 하더라도 회사마다 약간의 편차가 있는데 제1마디편체와 제2마디편체 사이에 삽입되는 쐐기의 깊이를 달리함으로서 두 축의 철근을 항상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안전성을 제공한다.
넷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철근의 연결작업시 철근의 단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두 개의 마디편체 내로 충분히 안착시킨 다음 두 개의 마디편체를 간단히 쐐기로써 일체화되게 구속하여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리성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쐐기에 눈금자를 표시하여 압입 깊이를 기준에 맞게 일정하게 하도록 하여 철근 연결의 품질을 항상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연 결 후에 육안으로 쉽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쐐기의 내면 및 외면에도 축방향으로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여 쐐기의 압입시에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쐐기의 압입 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철근 연결구는 쐐기를 제1마디편체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하나로 형성하여 두 개의 쐐기를 동시에 압입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서 연결작업을 보다 더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0)

  1. 반통형(半筒形)의 형상으로 내면이 이형철근(1, 1a)의 단부 반원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면으로 형성되고 이곳에 이형철근(1, 1a)의 마디(12)가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마디홈(21a)이 형성되어 있는 마디편체부(21)와, 상기 마디편체부(21)의 축방향의 양쪽 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반통형 고리형태의 편체고정부(22)가 두 부분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의 쐐기(4)와 접촉되는 내면에 축방향으로 양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제1마디편체(2)와,
    반통형(半筒形)의 형상으로 내면이 이형철근(1, 1a)의 단부 반원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면으로 형성되고 이곳에 이형철근(1, 1a)의 마디(12)가 끼워지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마디홈(31)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제2마디편체(3)와,
    일단에서 타단으로 경사를 이루어 앞 끝의 각도가 작아지는 쐐기 형상으로서 상기 제1마디편체(2)의 편체고정부(22) 경사면(22a)과 제2마디편체(3)의 외면(35) 사이에 삽입되어 제2마디편체(3)를 압지함으로서 제1마디편체의 내면과 제2마디편체의 내면에 끼워져 있는 철근(1, 1a)을 구속하도록 하는 한 쌍의 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22a)이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1마디편체(2a)와, 상기 제2마디편체(3) 외면의 톱니면(33)이 축방향으로 일 단부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제2마디편체(3a)와, 상기 쐐기(4)의 길이가 상기 제2마디편체(3a)보다 약간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쐐기(4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 2a)의 형태가 축방향의 양단부는 원통형이고 중심부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마디편체(3, 3a)는 거의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쐐기(4, 4a)는 부분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 2a)의 마디편체부(21)와 제2마디편체(3, 3a)의 축방향 중심 내면에는 연결되는 이형철근(1, 1a)의 두 마디(12) 정도의 폭을 가지며 깊이가 상기 마디홈(21a, 31)의 깊이 보다도 약간 깊게 반원형의 요홈인 중심홈(21b, 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 2a)의 외면에 횡방향으로 돌출 되어 띠를 이루는 돌출띠(23)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디편체(3, 3a)의 길이가 상기 제1마디편체(2, 2a)의 마디편체부(21)보다 마디홈(31)간격의 절반정도 길면서, 내면(34) 의 양단 모서리 부분에도 마디홈(31)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디편체(3, 3a)의 외면이 축방향으로 평행하며 톱날모양의 톱니면(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 4a)의 내면(43)에 톱날모양의 톱니면(46)이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으로 내면 및 외면에 다수의 요홈부(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 4a)의 타격부(42)에 내면(43)에서 외면(44)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 4a)의 외면(44)에 눈금자(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마디편체(2b, 2c)에 두 부분 편체고정부(22)의 경사면이 개방된 개방부(22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체고정부(22)의 횡방향 단부에 연장되어 안쪽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 되어 있는 걸림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쐐기(4b, 4c)가 상기 제1마디편체(2b, 2c)의 편체고정부(22)의 걸림부(22b) 와 상호 걸림작용을 하도록 횡방향 양단부가 내면(43)에서 외면(44)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된 걸림부(4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a)의 외면(44)의 축방향 중심부분이 제1마디편체(2a)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사이의 간격 정도 길이로 하여 수평면(49)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c)의 외면(44)의 축방향 중심부분이 제1마디편체(2c)의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 사이의 간격 정도 길이로 하여 수평면(49)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b, 2c)의 걸림부(22b)가 편체고정부(22)의 횡방향 단부에 연장되어 바깥쪽 방향으로 꺽이면서 돌출 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여 쐐기(4b, 4c)도 폭을 넓게 하여 걸림부(47)가 외면(44)에서 내면(43) 방향으로 꺽이면서 상기 제1마디편체(2b, 2c)의 걸림부(22b)와 상호 걸림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마디편체(2d)와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가 분리된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두 부분의 편체고정부(22)가 통형의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디편체(2d)와 편체고정부(22)를 접착수단으로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마디편체(2, 2a)와 제2마디편체(3, 3a)의 외면의 횡단면이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KR1020030041858A 2003-06-26 2003-06-26 철근 연결구 KR10075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58A KR100751228B1 (ko) 2003-06-26 2003-06-26 철근 연결구
PCT/KR2004/001539 WO2004113639A1 (en) 2003-06-26 2004-06-25 Reinforcing bar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858A KR100751228B1 (ko) 2003-06-26 2003-06-26 철근 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184U Division KR200331388Y1 (ko) 2003-06-26 2003-06-26 철근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617A KR20050001617A (ko) 2005-01-07
KR100751228B1 true KR100751228B1 (ko) 2007-08-23

Family

ID=3353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858A KR100751228B1 (ko) 2003-06-26 2003-06-26 철근 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1228B1 (ko)
WO (1) WO2004113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62B1 (ko) * 2014-09-05 2015-06-04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시공성과 안전성을 보강한 철근용 커플링 및 철근 커플링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RU198093U1 (ru) * 2019-07-18 2020-06-17 Игорь Николаевич Тихонов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64A (ja) * 1993-09-29 1995-04-11 Chem Grouting Co Ltd 鉄筋篭の接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31250Y1 (ko) 2001-02-14 2001-07-19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280065Y1 (ko) 2002-04-08 2002-06-27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308578Y1 (ko) 2003-01-08 2003-03-28 김용근 철근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7864A (ja) * 1993-09-29 1995-04-11 Chem Grouting Co Ltd 鉄筋篭の接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31250Y1 (ko) 2001-02-14 2001-07-19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280065Y1 (ko) 2002-04-08 2002-06-27 김용근 철근 연결구
KR200308578Y1 (ko) 2003-01-08 2003-03-28 김용근 철근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617A (ko) 2005-01-07
WO2004113639A1 (en)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672B2 (en) Reinforcing bar coupling
US20070248405A1 (en) Mechanical reinforcing bar coupler based on bar deformations
KR101132690B1 (ko) 철근 연결구
KR100240099B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JP7026362B2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KR100751228B1 (ko) 철근 연결구
KR200331388Y1 (ko) 철근 연결구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050029453A (ko) 철근 연결구
KR100514807B1 (ko) 철근 연결구
JP2020066991A (ja) 対向鉄筋のグラウトレスカップリング機構および該機構に準じたグラウトレススリーブ脚付き定着金物
KR200415099Y1 (ko) 철근 연결구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1132681B1 (ko) 철근 연결구
KR200231250Y1 (ko) 철근 연결구
KR100691756B1 (ko) 철근 연결구
KR200374011Y1 (ko) 철근 연결구
KR101053074B1 (ko) 철근 연결구
KR101112313B1 (ko) 철근 연결구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200308578Y1 (ko) 철근 연결구
KR200336824Y1 (ko) 철근 연결구
KR200361895Y1 (ko) 철근 연결구
KR200280065Y1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