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195B1 -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 - Google Patents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195B1
KR101259195B1 KR1020077010978A KR20077010978A KR101259195B1 KR 101259195 B1 KR101259195 B1 KR 101259195B1 KR 1020077010978 A KR1020077010978 A KR 1020077010978A KR 20077010978 A KR20077010978 A KR 20077010978A KR 101259195 B1 KR101259195 B1 KR 10125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opening
cap
nail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215A (ko
Inventor
그레고어 오토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스아이지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8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747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 B65D5/748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with means for piercing or cutting the container wall or a membrane connected to said wall a major part of the container wall or membran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 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피복물로 밀봉될 콤비팩이나 용기 또는 병 노즐상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주입 노즐(3)을 포함한다. 이것은 나선형 캡(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주입 노즐(3)의 내부에 배치된 자체개방형 튜브(2) 뿐만 아니라 나선형 캡(1)을 포함한다. 자체개방형 튜브(2)는 그 하부 엣지에 또한 이러한 하부 엣지로부터 이격되는 3개의 조합된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 7)를 포함한다. 이들은 외주에서 두개의 대향하는 지점과 이러한 둘 사이의 한 지점에도 배치된다. 자체개방형 튜브(2)의 내측에는 네일형 돌출부(9, 10, 11)가 배치되고, 이러한 돌출부는 외주를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고 튜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네일축(12)과 네일형 헤드(13)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의 네일 헤드의 하부측과 네일축(12)은 나선형 캡의 내측에서 나선형 캡의 회전축선에 동심으로 배치된 원통형 벽 세그먼트를 위한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나선형 캡(1)은 그 하부 엣지(25)에서 비-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 파괴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두개의 물질 연결부(22, 23, 24)를 통해 연결되며, 평탄한 지지 소자(21)는 볼트의 도움을 받아 주입 노즐의 플랜지(20)에 연결된다.
나선형 캡, 튜브, 네일 헤드, 안내부, 경사부, 플랜지, 절단 소자

Description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 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FLAT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NOZZLES OR BOTTLE NECKS TO BE CLOSED BY FILM MATERIAL}
본 발명은 피복물로 밀봉되는 모든 종류의 용기 및 병 노즐 뿐만 아니라, 콤비팩을 위한 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특히 포일-라미네이트된 종이로 제조된 콤비팩 형태의 액체 패킹을 포함하며; 이러한 패킹에는 우유, 과일 쥬스, 기타 다른 비알콜성 음료 또는 일반적인 다양한 비음식 액체 등이 내장된다.
상기 밀폐구는 설탕, 분말, 다양한 화학물이나 이와 유사한 기질 등과 같이 유동이 자유로운 기질이 저장되거나 내장되는 콤비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포일-라미네이트된 종이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종이나 판지처럼 라미네이트된 기질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패킹의 체적은 20cl 내지 최대 2리터 이상의 범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병과 같은 용기 또는 피복물로 밀봉되는 이와 유사한 용기에 장착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이러한 밀봉부는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콤비팩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이들은 그 하부 엣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숄더를 갖는 주입 노즐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 노즐에 로킹 플랜지를 형성한다. 상기 노즐은 외측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형 캡이 밀폐구로서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그 돌출 엣지의 하부측 즉, 그 플랜지의 하부측을 갖는 콤비팩으로의 용접이나 고착에 의해, 콤비팩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그후, 노즐 하단부에서의 자유 통과는 콤비팩의 밀집된 포일과 종이에 의해 차단된다. 병인 경우, 주입 노즐은 병의 주둥이상에 나사결합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서 포일 박막으로 밀봉될 수 있다. 노즐은 외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선에 나선형 캡이 밀폐구로서 조여진다.
용접되거나 고착된 노즐 또는 포일 박막의 하부를 통과하며 노즐의 내부에 조여진 포일보강된 종이는 절단되거나 파열개방되거나 또는 압착개방되므로써, 통로가 깨끗해지며; 액체 또는 자유롭게 흐르는 기질은 노즐을 통해 용기에 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의 내부에는 튜브가 배치되며, 상기 튜브는 노즐의 내부에 배치되어, 나선형 캡이 회전할 때 축방향으로 하방가압된 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튜브의 하단부에는 하나이상의 피어싱(piercing) 또는 절단 기어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상기 튜브는 그 축방향 하방 운동 및 일련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포일보강된 종이 또는 그 하부로 연장되는 포일 박막의 디스크를 절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공통의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주입 노즐과, 관련의 회전 나선형 캡과, 상기 주입 노즐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체개방형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 노즐은 콤비팩이나 용기 또는 병 노즐에 단단히 장착될 수 있으며, 포일에 의해 밀봉되며;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는 회전 나선형 캡에 의해 운동이 설정될 수 있다. 최근의 디자인은 그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으로 피어싱과 절단을 모두 하는 조합된 피어싱 소자 또는 절단 소자를 갖는 자체개방형 튜브를 갖고 있다. 이러한 자체개방형 튜브와 주입 노즐에는 회전 나선형 캡과 마찬가지로 안내부와 힘 전달기가 제공되며; 이들은 회전 나선형 캡이 개방 방향으로 최소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가 회전하지 않고 주입 노즐에서 축방향 하방으로 최초로 가압되어 축방향 운동없이 그 축선상에서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협력한다.
그러나, 만일 자체개방형 튜브가 오직 하나의 개별적으로 조합된 피어싱 소자 및 절단 소자만을 나타낸다면, 튜브는 축방향으로 주입 노즐에서 적절한 안내를 허용하는 그 직경에 비례하는 특정한 길이를 가져야만 하므로, 경사는 명확하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자체개방형 밀폐구의 대응하는 전체적인 높이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단일의 피어싱 및 절단 소자로부터 초래되는 반응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매우 강건하고 안정스럽게 설계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밀폐구의 보증된 최초개방은 대부분 나선형 캡의 하단부에 다수의 설정 제동지점에 대해 안전 밀봉부를 설치하므로써 보장되며, 상기 안전 밀봉부는 최초장착시 주입 노즐에서 팽창부에 대해 튀어나온다. 최초로 나선형 캡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제동 지점이 동시에 파괴되어야만 하며, 이것은 대응의 높은 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자체개방형 밀폐구의 기본적인 기능은 기본적으로 평탄하고 간단하며 전체 높이가 낮은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자체개방형 튜브는 포일 및 경사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개방된다. 또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전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플라스틱 물질을 적게 요구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특수한 디자인에서 상기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보증된 최초개방을 제공하며, 이것은 밀폐구의 사용자에게 더욱 쉽다. 이러한 최초개방의 보증은 그다지 합성이 아닌 물질을 사용하므로써 훨씬 더 평탄하고 쉽게 설계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은 용기나 병 노즐 뿐만 아니라, 피복물로 밀봉되어야 할 콤비팩을 위한 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에 의해 충족되며; 상기 밀폐구는 피복물로 밀봉되는 콤비팩이나 용기 또는 병 노즐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주입 노즐과, 나선형 캡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주입 노즐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체개방형 튜브 뿐만 아니라 그 관련의 나선형 캡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는 그 하단부에 조합된 피어싱 및 절단 소자를 가지며,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는 그 내부가 튜브의 중심을 향해 네일축(nail shaft) 및 네일 헤드를 갖는 돌출되는 네일형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네일 헤드의 하부측과 네일축은 나선형 캡의 내측에서 나선형 캡의 회전축선에 동심으로 배치된 원통형 벽 세그먼트를 위한 안내부를 의미하며; 나선형 캡의 하부측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는 환형 형태와, 나선형 캡의 표면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이에 연결되는 찌름면을 형성한다.
도면은 여러방향에서 투시한 콤비팩을 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의 양호한 디자인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는 자체개방형 밀폐구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로 그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도1은 3개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를 도시한 도면.
도2는 3개의 부품이 단면도시된 자체개방형 밀폐구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조립된 상태의 자체개방형 밀폐구를 단면도시한 도면.
도1은 3개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에는 나선형 캡(1)이 있으며, 중간부에는 자체개방형 튜브(2)가 있고, 바닥부에는 주입 노즐(3)이 있다. 상기 나선형 캡(1)은 회전가능하고 또한 캡 뚜껑으로 설계되었으며, 이에 따라 주입 노즐(3)의 외측 나선(4)과 결합되는 내측 나선이 제공된다.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는 그 하단부에 서로 이격된 3개의 조합된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를 갖는다. 이러한 피어싱 및 절단 소자중 두개, 즉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놓여 있으며, 제3피어싱 및 절단 소자(7)는 상기 두개의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로부터 이격되어 그 하단부(8)에서 자체개방형 밀폐구 외주의 85°내지 100°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자체개방형 튜브(2)는 네일형 돌출부(9, 10, 11)를 가지며; 이러한 돌출부들은 자체개방형 튜브의 외주를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고, 네일축(12) 및 네일 헤드(13)를 가지며 튜브의 중심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부(9-11)의 각각의 네일축(12)과 네일 헤드(13)의 하부측은 나선형 캡의 내측에서 나선형 캡의 회전축선에 동심으로 배치된 3개의 원통형 벽 세그먼트를 위한 안내부로서 작용하며 이들을 가압하며, 나선형 캡(1)의 또 다른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의 상부 엣지에서는 미세하게 돌출되는 엣지(14)를 가지며, 외부 일부분에서는 외측 간극(29)을 형성할 수 있다. 자체개방형 튜브(2)의 외측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15-17)가 형성된다. 이들은 주입 노즐(3)의 하부측에서 대응의 축방향 융기부(18) 및 수평 융기부(19)와 상호작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주입 노즐(3)에는 플랜지(20)가 형성된다. 플랜지(20)의 전방측에는 평탄한 지지 소자(21)가 놓이며, 이러한 소자는 그 하부측에서 볼트에 의해 플랜지(20)에 로킹된다. 이러한 소자(21)에는 3개의 미세한 물질 연결부(22-24)가 형성되며, 이러한 물질 연결부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외측에 있는 적어도 두개의 물질 연결부는 주입 노즐(3)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본래, 상기 물질 연결부는 장착된 밀폐구에 위치되며, 상기 물질 연결부(22-24)는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25)와 일체로 연결된다. 자체개방형 튜브는 밀폐구를 주입 노즐(3)에서 정확한 회전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후 나선형 캡(1)은 물질 연결부(22-24)를 통해 이에 형성된 소자(21)와 함께 주입 노즐(3)의 나선(4)에 고정되며, 상기 소자(21)는 그 하단부에서 볼트에 의해 주입 노즐 플랜지(20)의 구멍에 가압(pressed)된다.
만일 나선형 캡(1)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즉 상부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나선형 캡의 상부측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미세한 물질 연결부(22-24)가 파괴된다. 이러한 물질 연결부(22-24)는 주입 노즐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모두 방사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은 동시에 파괴되지 않는다. 먼저, 상기 물질 연결부(24)가 팽팽해져서 파괴되고, 이어서 중간의 물질 연결부(23)가 파괴되고, 최종적으로 물질 연결부(22)가 파괴된다. 물질 연결부(22-24)의 이러한 일련의 파괴로 인해, 지금까지의 해결책인 경우에서는 소요되는 힘이 적어지게 되며, 이것은 다수의 물질 연결부의 동시 파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심지어 노약자라도 이러한 최초사용 보장물을 파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노즐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배치된 중간의 물질 연결부(23)는 기계적으로 천공될 수 있으므로, 최종적인 밀폐구에서는 외측에 있는 오직 두개의 물질 연결부(24, 22)가 나선형 캡(1)의 회전 후 차례로 파괴될 필요가 있다.
도2에는 3개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자체개방형 밀폐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부품 각각은 축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과는 달리, 나선형 캡의 내측에는 나선형 캡의 회전축선에 동심으로 배치된 3개의 원통형 벽 세그먼트(26)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는 나선형 캡의 하부측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7)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에는 나선형 캡의 하부측에 수직한 찌름 엣지(28)가 연결된다. 복합 밀폐구인 경우, 나선형 캡(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경사부(27)는 자체개방형 튜브(2)의 내벽에서 네일형 돌출부(11)의 네일축(12)상에 작용한다. 이것은 다른 두개의 원통형 벽 세그먼트(26)의 경사부(27)에도 적용된다. 상기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는 네일형 돌출부(9-11)로서 설계되기 때문에, 내부를 향한 굴곡부를 통해서는 이탈될 수 없다. 돌출부(9-11)를 통한 이러한 디자인에 의해,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는 기본적으로 얇으며, 이에 따라 종래 디자인에 비해 경량인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주입 노즐(3)의 내측에 있는 안내용 융기부뿐만 아니라 자체개방형 튜브(2)의 외측에 있는 안내용 융기부로 인해, 자체개방형 튜브(2)는 회전할 수 없으며, 오직 축방향으로 하방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을 뿐이다. 상부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나선형 캡(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나선형 캡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주입 노즐(3)에서 축방향으로 하방으로 가압되는 반면에, 경사부(27)는 찌름 엣지(28)가 네일축(12)에 정지될 때까지 상기 네일형 돌출부(9-11)의 네일축(12) 위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자체개방형 튜브(2)는 축방향 융기부(18) 하부의 상부 엣지(14)에 놓일 때까지 축방향으로 하방가압된다. 수평 융기부(19)는 자체개방형 튜브(2)의 상부 엣지(17)로부터 통과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엣지에서의 간극(29)이 수평 융기부(19)와 대면하기 때문이다. 자체개방형 튜브(2)의 이러한 축방향 하방가압의 도중에, 3개의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는 그 하부로 연장되는 포일을 천공한다. 나선형 캡(1)이 풀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때, 자체개방형 튜브(2)는 축방향 하방으로는 더 이상 가압되지 않고 수평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3개의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는 주입 노즐(3)의 외주 길이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또한 약 120°의 각도로 포일의 부분을 절결한다. 이러한 회전 범위에 걸쳐, 나선형 캡(1)은 주입 노즐(3)에서 계속 느슨해져서 상향으로 이동하므로,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는 돌출부(9-11) 및 그 찌름 엣지(28) 위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돌출부(9-11)는 자체개방형 튜브(2)로 인해 이들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다. 두개의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는 서로 180°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소자들은 자체개방형 튜브(2)가 약 120°회전할 때, 주입 노즐(3)의 외주를 따라 절단되지 않은 포일 부재를 남긴다. 상기 포일은 이러한 손상되지 않은 부재 주위에서 정확하게 주입 노즐의 내부를 향해 절첩되고, 패킹내로 낙하되지 않고 개방부에 계속 현수된다.
도3은 조립된 상태의 밀폐구의 축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나선형 캡(1)의 나선형 캡에서 하방에 배치된 원통형 벽 세그먼트(26)가 네일형 돌출부(9-11)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오직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만일 상기 나선형 캡(1)이 풀림 방향으로 이동된다면,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7)는 인접한 돌출부(11)의 네일축(12)에 가압된다. 자체개방형 튜브(2)는 이를 따라서는 회전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하방으로 가압되므로써, 상기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는 그 하부에 놓인 포일을 관통하며, 도면에는 오직 피어싱 및 절단 소자(7)만 보인다. 이러한 운동은 나선형 캡(1)이 회전하여 축방향 상향으로 이동될 때까지, 또한 수직한 찌름 엣지(28)가 돌출부(11)의 네일축(12)에 존재할 때까지 지속된다. 자체개방형 튜브(2)가 축방향 하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것은 수평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나선형 캡(1)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상부에서 투시하였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찌름 엣지(28)에 의해 계속 회전하게 되며, 그 결과 피어싱 및 절단 소자(7-9)는 포일을 거의 원형 조각으로 절결하고, 회전의 말기 상태에서 미리 절결된 포일을 하방으로 접는다.
이러한 자체개방형 밀폐구는 특히 평탄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방사방향으로 내부에 제공된 네일형 돌출부(9, 10, 11)는 자체개방형 튜브(2)를 특히 경량이고 높이가 낮은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축방향으로 양호한 신뢰성으로 안내되는데, 그 이유는 나선형 캡(1)이 상기 돌출부(9, 10, 11)에서 하방으로 지향된 원통형 벽 세그먼트(26)와 결합될 때, 네일형 돌출부(9, 10, 11)의 네일 헤드(13) 및 네일축(12)이 안내부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는 비교적 낮기 때문에,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가 없을 경우 그 내경에 대한 높이의 비율은 1:3이며 피어싱 및 절단 소자(5-7)와 함께라면 1:2 가 된다. 나선형 캡(1)과 자체개방형 튜브(2)와 주입 노즐(3)을 포함하는 복합 밀폐구의 완전한 전체 높이는 주입 노즐의 내경에 대해 3:5의 비율이 된다. 따라서, 이것은 매우 평탄한 자체개방형 튜브(2)를 생산하며, 보다 적은 물질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매우 기능적인 섬세한 디자인으로 인해 중량이 적다.

Claims (10)

  1. 피복물로 피복될 용기나 병 노즐 또는 콤비팩에 고정되는 주입 노즐(3)과, 나선형 캡(1) 뿐만 아니라 상기 나선형 캡(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상기 주입 노즐(3)의 내부에 배치된 자체개방형 튜브(2)를 포함하며;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는 그 하부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조합된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 7)을 갖는,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 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에 있어서,
    자체개방형 튜브(2)는 그 내측에 튜브의 중심을 향해 펼쳐지는 네일 헤드(13) 및 네일축(12)을 갖는 네일형 돌출부(9, 10, 11)를 포함하며,
    상기 네일축(12) 및 네일 헤드의 하부측은 나선형 캡의 내측에서 나선형 캡의 회전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들을 위한 안내부이며,
    상기 원통형 벽 세그먼트 각각은 나선형 캡의 하부측에 예각으로 연장되어 이에 연결되는 경사부(27)와, 나선형 캡의 표면에 수직한 찌름 엣지(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2. 제1항에 있어서, 최초사용 보증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나선형 캡(1)의 하단부는 비-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준 파괴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두 개의 물질 연결부(22, 23, 24; at least two material bridges)에 연결되며, 상기 주입 노즐(3)의 플랜지(20)에, 하부측으로부터 볼트의 도움을 받아 평탄한 지지 소자(2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는 그 하부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3개의 조합된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 7)를 가지며;
    상기 피어싱 및 절단 소자는 외주상에서 두 개의 대향 지점과 상기 대향 지점 사이의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는 외주를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고 튜브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에, 네일축(12) 및 네일 헤드(13)를 갖는 3개의 네일형 돌출부(9, 10, 11)를 포함하며;
    상기 네일축(12)과 네일 헤드의 하부측은 나선형 캡의 내측에서 나선형 캡의 회전 축선에 동심으로 배치된 3개의 원통형 벽 세그먼트(26)를 위한 안내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및 절단 소자(5, 6, 7)가 제외한 경우의 자체개방형 튜브(2)의 높이 대 내경 비율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형 돌출부(9, 10, 11)는 자체개방형 튜브(2)의 내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3개의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 각각은 네일축(12)과, 상기 네일축에 안착되고 상기 네일축(12)에 대해 모든 측부에서 옆으로 돌출되는 네일 헤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개방형 튜브(2)의 외측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 융기부(15-17)가 형성되어 주입 노즐(3)의 내측벽의 축방향 융기부(18)와 협력하며, 자체개방형 튜브(2)가 나선형 캡(1)에 의해 주입 노즐(3)에서 가장 낮은 위치로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는 한 경사에 대한 보호부(protection against tilting)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캡(1)과 자체개방형 튜브(2)와 주입 노즐(3)을 포함하는 조립된 밀폐구의 전체 높이 대 주입 노즐의 내경의 비율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지지 소자(21)에 연결되어지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물질 연결부(22, 24)를 통해 하나의 부재로서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와 연결되도록, 상기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25)에 평탄한 지지 소자(21)가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지지 소자(21)에 연결되어지는 3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물질 연결부(22, 23, 24)를 통해 하나의 부재로서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와 연결되도록, 상기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25)에 평탄한 지지 소자(21)가 압출되며, 중간의 방사방향 물질 연결부(23)는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한 지지 소자(21)에 연결되어지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물질 연결부(22, 24)를 통해 하나의 부재로서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와 연결되도록, 상기 나선형 캡(1)의 하부 엣지(25)에 평탄한 지지 소자(21)가 압출되며, 상기 지지 소자(21)는 그 하부측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치된 볼트를 가지며, 상기 볼트는 주입 노즐(3)의 플랜지(20)에 있는 관련의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개방형 밀폐구.
KR1020077010978A 2004-11-15 2005-11-04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 KR101259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8752004 2004-11-15
CH1875/04 2004-11-15
PCT/CH2005/000644 WO2006050624A1 (de) 2004-11-15 2005-11-04 Flacher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zu verschliessende behälter- oder flaschenstutz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215A KR20070084215A (ko) 2007-08-24
KR101259195B1 true KR101259195B1 (ko) 2013-04-29

Family

ID=3546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978A KR101259195B1 (ko) 2004-11-15 2005-11-04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80105640A1 (ko)
EP (1) EP1812298B1 (ko)
KR (1) KR101259195B1 (ko)
CN (1) CN100584704C (ko)
AT (1) ATE443665T1 (ko)
AU (1) AU2005304245B2 (ko)
BR (1) BRPI0518924B1 (ko)
CA (1) CA2585650C (ko)
DE (1) DE502005008205D1 (ko)
EA (1) EA009862B1 (ko)
ES (1) ES2333806T3 (ko)
HR (1) HRP20070178B1 (ko)
MX (1) MX2007005516A (ko)
PL (1) PL1812298T3 (ko)
TW (1) TWI356795B (ko)
WO (1) WO2006050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5525B3 (de) * 2006-03-31 2007-08-02 Sig Technology Ag Wiederverschließbares Ausgießelement für in Karton/Kunststoff-Verbundpackungen abgefüllte flüssige Lebensmittel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BRPI0721276A2 (pt) * 2006-12-19 2014-04-08 Sig Technology Ltd Fecho com dispositivo de garantia contra adulteração para embalagens compostas
RU2437810C2 (ru) * 2007-01-31 2011-12-27 Терксо Аг Пластиковое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набженное режущим кольцом
CH699909B1 (de) * 2007-08-22 2010-05-31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mit Lufteinlasskanal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zu verschliessende Behälterstutzen.
PT2055640E (pt) * 2007-11-05 2011-04-0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Dispositivo de abertura que se pode fechar de novo para embalagens de produtos alimentares que se podem vazar
DE102009010681B3 (de) * 2009-02-27 2010-01-28 Sig Technology Ag Deckelanordnung mit Originalitätssiegel
FR2950035B1 (fr) 2009-09-15 2011-09-02 Raymond A & Cie Coiffe de verrouillage pour recipient a col
FR2950865B1 (fr) 2009-10-01 2011-10-28 Raymond A & Cie Coiffe de verrouillage pour recipient a col avec une capsule a pattes de fixation
WO2011046523A1 (en) * 2009-10-15 2011-04-21 Posetsan Ambalaj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Opening system for liquid product package
MX341705B (es) * 2011-06-14 2016-08-31 Closure Systems Int Inc Cierre que tiene rendimiento mejorado.
FR2986782B1 (fr) 2012-02-13 2014-03-07 Raymond A & Cie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bouchon sur recipient a collerette, recipient a collerette obture par bouchon pourvu d'un tel dispositif de verrouillage
CH708556A2 (de) * 2013-09-05 2015-03-13 Deltona Innovations Ag Selbstöffnender Kunststoffverschluss.
CH708742A1 (de) * 2013-10-25 2015-04-30 Terxo Ag Selbstöffnerverschluss zum Öffnen und Wiederverschliessen einer Verpackung.
WO2017202912A1 (en) 2016-05-27 2017-11-30 Sig Technology Ag Container precursor with shaping coefficient, especially for a single dimensionally stable food or drink product container
WO2017207227A1 (de) 2016-05-31 2017-12-07 Sig Technogoly Ag AUSGIEß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ßELEMENT
DE102016110047B3 (de) * 2016-05-31 2017-05-04 Sig Technology Ag Ausgieß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ßelement
CN109311272A (zh) 2016-05-31 2019-02-05 Sig技术股份公司 用于尺寸稳定的具有具备反射率的外聚合物层的食品容器的层压件
DE102016110046A1 (de) 2016-05-31 2017-11-30 Sig Technology Ag Ausgieß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ßelement
EP3251965A1 (de) 2016-05-31 2017-12-06 SIG Technology AG Ausgiesselement für eine verbundpackung sowie verbundpackung mit einem ausgiesselement
DE102016213838A1 (de) 2016-07-27 2018-02-01 Sig Technology Ag Flächenförmiger Verbund zum Herstellen formstabiler Nahrungsmittelbehälter mit einer biobasierten Barriereschicht
US10407220B2 (en) * 2017-03-07 2019-09-10 Silgan White Cap LLC Low weight closure having an improved gripping surface
DE102017212142A1 (de) 2017-07-14 2019-01-17 Sig Technology Ag Flächenförmiger Verbund, insbesondere zum Herstellen formstabiler Nahrungsmittelbehälter, beinhaltend eine Polymerschicht P mit einem L-Wert
DE102017215078A1 (de) 2017-08-29 2019-02-28 Sig Technology Ag Flächenförmiger Verbund, insbesondere zum Herstellen formstabiler Nahrungsmittelbehälter, mit einer durch eine Vielzahl von teilweise konvex gebogenen Rilllinien gebildeten Dachfläche
US10676261B2 (en) 2017-09-07 2020-06-09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assembly
BR102018004125A2 (pt) * 2018-03-01 2018-11-06 Icmatech Inovações Tecnológicas Ltda Me dispositivo para abertura automática de recipiente provido de elemento selante
CN108502350A (zh) * 2018-05-07 2018-09-07 深圳市通产丽星股份有限公司 包装容器
IT201800010569A1 (it) * 2018-11-26 2020-05-26 Easy Plast S R L Dispositivo di apertura/chiusura per un contenitore per prodotti versabili
US20220024637A1 (en) * 2018-12-03 2022-01-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Package, spout for a package and package-spout assembly
ES2778373A1 (es) 2019-02-08 2020-08-10 Nypro Inc Dispositivo de cierre amarrado
CN113853343A (zh) * 2019-04-05 2021-12-28 耐普罗公司 栓系盖和喷口
DE102019211476A1 (de) 2019-07-31 2021-02-04 Sig Technology Ag Verfahren mit einbringen eines lochs in ein flächenförmiges substrat zur herstellung formstabiler nahrungsmittelbehälter mittels rotierender werkzeuge einer stanzeinrichtung
US20210078774A1 (en) * 2019-09-18 2021-03-18 Avner Kitai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Pourable Materials From Packages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DE102022208931A1 (de) 2022-08-29 2024-02-29 Refresco Deutschland Gmbh Wiederverschließbare Öffnungsvorrichtung für Verpackung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667A1 (de) 2002-06-20 2003-12-31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zu verschliessende behälter- oder flaschenstutz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8765A1 (en) * 1999-10-01 2001-04-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Resealable opening device for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GB0125296D0 (en) * 2001-10-20 2001-12-12 Rexam Containers Ltd Pouring spout feature
GB0125900D0 (en) * 2001-10-29 2001-12-19 Rexam Containers Ltd Pouring spout feature
DE10202147A1 (de) * 2002-01-17 2003-09-18 Birkmayer Gesundheitsprodukte Kunststoff-Flaschenverschluss
WO2003101843A1 (de) * 2002-05-31 2003-12-11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verschlossene behälterstutz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0667A1 (de) 2002-06-20 2003-12-31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zu verschliessende behälter- oder flaschenstut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RP20070178A2 (en) 2007-07-31
PL1812298T3 (pl) 2010-02-26
CA2585650A1 (en) 2006-05-18
EP1812298B1 (de) 2009-09-23
DE502005008205D1 (de) 2009-11-05
KR20070084215A (ko) 2007-08-24
MX2007005516A (es) 2007-05-18
ATE443665T1 (de) 2009-10-15
AU2005304245B2 (en) 2011-10-13
WO2006050624A1 (de) 2006-05-18
TWI356795B (en) 2012-01-21
US20080105640A1 (en) 2008-05-08
CN100584704C (zh) 2010-01-27
ES2333806T3 (es) 2010-03-01
BRPI0518924B1 (pt) 2018-01-23
CA2585650C (en) 2013-02-12
HRP20070178B1 (en) 2011-11-30
BRPI0518924A2 (pt) 2008-12-16
CN101056799A (zh) 2007-10-17
TW200621579A (en) 2006-07-01
EA200700729A1 (ru) 2007-12-28
EA009862B1 (ru) 2008-04-28
EP1812298A1 (de) 2007-08-01
AU2005304245A1 (en)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195B1 (ko) 피복물로 밀봉되는 용기 및 병 노즐이나 콤비팩을 위한평탄한 자체개방형 밀폐구
US8505760B2 (en) Flat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nozzles or bottle necks to be closed by film material
US8016159B2 (en) Twist open closure having inclined frangible membrane
US6477743B1 (en) Twist-openable dispensing closure accommodating optional liner puncture feature
US7207465B2 (en) Self-opening closure for composite packagings or for container connection pieces closed by film material
CA2294657C (en) Tamper-evident closure with abutment
JP5576128B2 (ja) 材料解放スパウト
CN101119900A (zh) 显窃启封盖和容器颈部的凸缘
US20070023299A1 (en) Dispensing closure
US20040026422A1 (en) Membrane penetrating closure with deformable top surface
US20090321286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lifting cap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U2002320484A1 (en) Twist Openable Dispensing Closure Accommodating Optional Liner Puncture Feature
WO2007135277A1 (fr) Ensemble opercule de stockage et de distribution avec limiteur de debit, de produits pharmaceutiques solides
US10518941B2 (en) Dispensing closure
JP2006520725A (ja) ラミネート紙製又は厚板紙製の容器のための密封具
EP3902750A1 (en) Beverage ingredient cartridge
US20040007587A1 (en) Membrane piercing closure
EP4051600B1 (en) Dispensing closure
JP2003072817A (ja) 内付け用開封刃内蔵口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