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731B1 -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731B1
KR101258731B1 KR1020090128103A KR20090128103A KR101258731B1 KR 101258731 B1 KR101258731 B1 KR 101258731B1 KR 1020090128103 A KR1020090128103 A KR 1020090128103A KR 20090128103 A KR20090128103 A KR 20090128103A KR 101258731 B1 KR101258731 B1 KR 10125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ing
stainless steel
steel sheet
concentration
surfac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509A (ko
Inventor
김진석
이선열
강태형
채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2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7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1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2SO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23G1/08Iron or steel
    • C23G1/086Iron or steel solutions containing H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산 침지조에서의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을 제어하며 산세처리하여, 골드더스트(Golddust) 결함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하는 단계; 상기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혼산 침지조에서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하기 식(1)이 7<W<12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W= -3.35+0.3*(C)+0.07*(T)......(1)
W: 산세 후 침식된 입계의 폭(㎜)
C: 혼산조 내 불산의 농도 (g/ℓ)
T: 산세 시간(초)
스테인리스, 페라이트, 불산 농도, 산세 시간, 골드더스트

Description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stainless steelplate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본 발명은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골드더스트 결함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은 중 산세 과정은 열간 압연, 소둔 진행 후 스케일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산세는 스테인리스강을 숏 블라스트(shot blast) 등의 예비처리 후 황산, 염산, 질산, 불산이 포함된 혼산 등의 산세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스테인리스강의 중요한 특성은 표면 광택이며, 이 특성의 향상을 위해 각 제조 공정으로 다양한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특히 고 광택 제품의 경우 냉간압연 후 소둔산세를 하지 않는 공정을 택하므로, 냉간압연 후에도 냉간압연 전의 표면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냉간압연 전의 표면 형상 제어는 매우 중요하 다. 예를 들면, 열연 소둔판의 스케일 제거 시, 과도한 숏 블라스트를 적용하거나, 과도한 산세로 인한 입계 침식, 혹은 스케일 잔여물 등은 열연 산세 후 표면을 매우 거칠게 만들기 때문에 냉간압연 후에도 여전히 표면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열연 산세 후 표면 형상은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 기계적 산세 및 화학적 산세 조건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스테인리스강의 열연 산세에 주로 사용되는 황산의 경우 입계 침식을 많이 유발시키며, 이 입계 침식 형상은 냉간압연 시 입계 사이가 접히게 되어 최종 제품에서 골드더스트 결함으로 불리는 표면 결함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골드더스트 결함이 발생되면 표면 광택 품질이 저하된다.
이런 입계 침식에 의한 골드더스트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공개특허 제2002-027700호에는 숏트 블라스트와 연삭 브러시를 통한 예비 디스케일을 행하고 산촉진제를 사용하며, 황산의 온도, 농도, 시간을 높여 용삭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입계 침식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황산 용액의 중화처리에 무리가 있고, 산세촉진제 관리 및 산세촉진제가 슬러지로 석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산 침지조에서의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을 제어하며 산세처리하여, 골드더스트 결함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하는 단계; 상기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혼산 침지조에서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하기 식(1)이 7<W<12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W= -3.35+0.3*(C)+0.07*(T)......(1)
W: 산세 후 침식된 입계의 폭(㎜)
C: 혼산조 내 불산의 농도 (g/ℓ)
T: 산세 시간(초)
여기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은 페라이트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황산 침지조에서 황산 산세 조건은 농도 150~300g/ℓ, 온도 70~90℃ 및 산세 시간은 30~90초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산조의 질산 농도는 90~120g/ℓ, 온도는 40~60℃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산세 시 골드더스트 결함 발생이 저감되도록 혼산 침지조에서의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을 제어하여 냉연강판의 표면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산세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산세하되, 산세 후 열연 코일의 입계 침식의 폭을 측정하여 입계 침식 폭 변화에 따른 골드더스트 결함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파라미터화하여 골드더스트 결함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혼산 산세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소둔로에서 열처리한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을 숏 블라스팅 및 연삭 브러시를 이용하여 예비 처리하고, 황산 산세조와 혼산 산세조를 이용하여 산세처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된 강은 스테인리스 430 열연코일로 상소둔로에서 소둔 열처리한 강을 숏 블라스팅 및 연삭 브러시로 예비 처리 한 다음 통상의 황산 산세를 거친 후 표 1의 실험조건에서 혼산조 처리를 하였다.
통상의 황산 산세 조건은 농도 150~300g/ℓ, 온도 70~90℃ 및 산세 시간은 30~90초이다.
그리고, 통상의 혼산조의 질산 농도는 90~120g/ℓ, 온도는 40~60℃이다.
No. HF 농도(g/ℓ) 시간(sec) 입계침식 폭,W(㎛) 골드더스트 결함 판정
발명예1 15 90 7.2 X
발명예2 15 120 8.3 X
발명예3 20 60 7.6 X
발명예4 20 75 8.8 X
발명예5 20 90 11.6 X
발명예6 25 45 7.5 X
발명예7 25 60 9.2 X
발명예8 25 75 10.5 X
발명예9 25 90 11.5 X
발명예10 30 45 8 X
발명예11 30 60 11 X
발명예12 35 30 7.2 X
발명예13 35 45 8.6 X
발명예14 35 60 9.5 X
비교예1 5 75 3.5 O
비교예2 5 120 5.3 O
비교예3 10 45 2.4 O
비교예4 10 75 3.8 O
비교예5 10 120 6.2 O
비교예6 10 30 2.1 O
비교예7 15 60 4.5 O
비교예8 20 30 5.2 O
비교예9 20 45 6.8 O
비교예10 20 120 12.4 X
비교예11 25 30 5.4 O
비교예12 25 120 13.5 X
비교예13 30 30 6.2 O
비교예14 30 75 12.5 X
비교예15 30 90 13.2 X
비교예16 35 75 12.7 X
비교예17 35 90 13.9 X
표 1에서와 같이, 혼산의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 조건에 관해서 상세한 검토를 통하여, 적절한 입계 침식 폭을 가질 때 골드더스트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산세 조건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혼산조 조건을 만족하는 산세정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통상의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를 한 뒤, 혼산의 온도와 질소함량은 통상의 수준일 때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하기 식(1)의 값 W가 7<W<12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산세한다.
W= -3.35+0.3*(C)+0.07*(T)......(1)
W: 산세 후 침식된 입계의 폭(㎜)
C: 혼산조 내 불산의 농도 (g/ℓ)
T: 산세 시간(초)
입계 폭이 7 이하인 경우 냉간 압연 중 입계의 오버랩핑(overlapping)이 발생하여 골드더스트 결함이 발생하고, 12 이상인 경우 열연 코일 표면이 매우 거칠어져서 냉간압연 후 골드더스트 결함은 발생되지는 않으나, 표면 품질이 좋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드더스트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산세 시간 및 불산의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및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품질이 우수한 냉연 강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산세 시간 및 불산 농도를 제어하여 산세하면, 냉연강판의 골드더스트 결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드더스트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산세 시간 및 불산의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Claims (4)

  1. 스테인리스 강판을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하는 단계;
    상기 황산 침지조에서 산세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혼산 침지조에서 불산 농도와 산세 시간에 의해 정의되는 하기 식(1)이 7<W<12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산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W= -3.35+0.3*(C)+0.07*(T)......(1)
    W: 산세 후 침식된 입계의 폭(㎜)
    C: 혼산조 내 불산의 농도 (g/ℓ)
    T: 산세 시간(초) (여기서, T는 30초~120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 강판은 페라이트계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 침지조에서 황산 산세 조건은 농도 150~300g/ℓ, 온도 70~90℃ 및 산세 시간은 30~90초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산조의 질산 농도는 90~120g/ℓ, 온도는 40~60℃인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90128103A 2009-12-21 2009-12-21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25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03A KR101258731B1 (ko) 2009-12-21 2009-12-21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103A KR101258731B1 (ko) 2009-12-21 2009-12-21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09A KR20110071509A (ko) 2011-06-29
KR101258731B1 true KR101258731B1 (ko) 2013-04-26

Family

ID=4440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03A KR101258731B1 (ko) 2009-12-21 2009-12-21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7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257A (ja) * 1996-05-02 1997-11-18 Kawasaki Steel Corp 耐食性及び光沢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9990048923A (ko) * 1997-12-11 1999-07-05 이구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산세방법
JP2008248329A (ja) * 2007-03-30 2008-10-16 Jfe Steel Kk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酸洗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257A (ja) * 1996-05-02 1997-11-18 Kawasaki Steel Corp 耐食性及び光沢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9990048923A (ko) * 1997-12-11 1999-07-05 이구택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산세방법
JP2008248329A (ja) * 2007-03-30 2008-10-16 Jfe Steel Kk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酸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509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9511B2 (ja)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AU708994B2 (en) Annealing and descaling method for stainless steel
CN113042532A (zh) 一种含Bi高磁感取向硅钢热轧带钢边部质量控制方法
KR100262732B1 (ko) 광택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258731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073279B1 (ko) 몰리브덴 첨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KR100958996B1 (ko) 면 거침이 개선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207085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356830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제조방법
CN113215372B (zh) 一种医疗夹具用不锈钢带生产方法
KR100986856B1 (ko)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RU277131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листа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с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зеренной структурой
KR20220079003A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산세방법
KR20190020948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의 스케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일 제거방법
KR100358287B1 (ko) 표면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냉연강판 제조방법
JP2002294477A (ja) 酸洗後の表面性状に優れる熱延鋼帯の酸洗方法
JP4819468B2 (ja) ステンレス鋼板の酸洗方法及び窒素酸化物の抑制方法
KR20150053626A (ko) 고 Si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소둔방법
RU1780884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холоднокатаной нагартованной ленты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очных пил
KR101082276B1 (ko) 스테인레스 열연강판 제조방법
JPH07228958A (ja) 工業用純チタン板の製造方法
KR20160077495A (ko) 우수한 표면품질과 밀착성을 갖는 열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4857502B2 (ja) クロム含有熱延鋼帯の塩酸酸洗方法
CN113500095A (zh) 一种单面复合板卷热轧及其生产工艺
KR20230091617A (ko)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의 산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