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317B1 -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317B1
KR101257317B1 KR1020097026685A KR20097026685A KR101257317B1 KR 101257317 B1 KR101257317 B1 KR 101257317B1 KR 1020097026685 A KR1020097026685 A KR 1020097026685A KR 20097026685 A KR20097026685 A KR 20097026685A KR 101257317 B1 KR101257317 B1 KR 10125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switching
access
mobile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511A (ko
Inventor
카츠토시 니시다
아키미치 다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3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Abstract

이동기와,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와,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기가 액세스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때, 이동기가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의 경로를 설정한다. 제1의 경로가 설정되었을 때, 액세스장치가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한다.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액세스망을 전환한다.
Figure R1020097026685
이동기, 액세스망, 통신 에어리어, 전환

Description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PATH SETTING METHOD, ACCESS NETWORK SWITCHING METHOD, ACCESS NETWORK SWITCHING DEVICE, MOBILE DEVICE, AND PROXY ACCESS NETWORK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IP 네트워크상에서 이동기(mobile station)에 모빌리티(mobility)를 제공하는 방식으로서, MIP(Mobile IP)가 검토되어 있다. MIP에서는, 이동기는 홈 어드레스와 케어-오브 어드레스의 2개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을 계속한다. 홈 어드레스(Home Address)는, IP 네트워크상에서 이동기에 할당된 불변의 IP 어드레스이다. 케어-오브 어드레스(Care-of Address)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와 같은 IP 어드레스 구성방법에 따라서 부여된다. 이동기는,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취득하면, 이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Binding Update로서 모빌리티 앵커장치(홈 에이전트)에 통지한다. 모빌리티 앵커장치(mobility anchor apparatus)는, 홈 어드레스와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대응지어 관리해 두고, 최종적으로는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동기와의 통신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MIP에서는, 이동기가 이동에 수반하는 경로의 변경을 지시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에 이동기용의 베어러(bearer)는 설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동통신시스템에는, 네트워크 내에 이동기용의 베어러를 설정함으로써, 경로를 전환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GTP(GPRS Tunneling Protocol) 및 PMIP(Proxy Mobile IP)라 불리는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에서는, 코어망 내에 이동기용의 베어러가 설정된다. 또한, 베어러란, 유저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설정된 통신경로를 말하며, 각 베어러는, 그것을 특징짓는 특성(통신품질 등)에 의해 정의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전형적으로는, 이동통신시스템은 코어망과 액세스망과의 계층구조로 되어있다. 코어망은, 주로 호 제어·서비스제어를 수행하고, 액세스망은, 무선기술 또는 유선기술을 제어·종단한다. 코어망에는, 호 제어(call control)로서 다른 액세스망을 전환함으로써, 핸드오버 등의 모빌리티를 실현하는 모빌리티 앵커장치(10)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유저데이터가 도달했을 때, 이동기의 위치에 따라서 액세스망을 전환함으로써, 유저데이터를 이동기에 중계한다. 또, GTP 및 PMIP에서는, 코어망의 에지 부분에 액세스장치(20)가 존재한다. 액세스장치(20)는, 이동기(30)가 액세스망에 접속할 때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GTP 및 PMIP에서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액세스장치와의 사이에 베어러가 설정된다.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내에서 이동기(30)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 동기(30)는 MIP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로전환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수행한다. 이 신호에 의해, 액세스장치(20)는, 모빌리티 앵커장치(10)에 대해서 베어러 생성신호를 송신한다. 베어러의 생성이 완료되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적절한 액세스망으로 전환한다.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내에서 이동기(30)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PMIP와 같은 수순으로 경로가 확립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과,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과,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을 동시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MIP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국(30)가 모빌리티 앵커장치(10)에 대해서 경로전환신호(path switching signal)를 송신함으로써,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이동기(30)가 재권하는 액세스망으로 전환할 수 있다.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에서는,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했을 때, 그 액세스망으로 경로를 전환한다. 또, GTP 또는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에서는,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했을 때, 그 액세스망에 대해서 베어러 생성을 수행하고, 경로를 전환한다.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로 이동기(30)가 이동할 때의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도 2에 나타낸다. 이동기(30)가 액세스망 1의 통신 에어리어에 재권할 때에,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홈 어드레스 및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이동기(30)와 통신한다(S101). 이동기(30)가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면, 이동기(30)는 액세스망 2에 대해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103). 이동기(30)가 액세스망 2로 들어가면, 자신의 위치를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통지하기 위해서, 이동기(30)는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신호를 계기로 하여, 액세스장치(20)는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모빌리티 앵커장치(10)로 송신하고(S105), 모빌리티 앵커장치(10)와 액세스장치(20)와의 사이에 베어러를 설정한다(S107). 베어러의 설정이 완료되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액세스망 1로부터 액세스망 2로 경로를 전환한다(S109).
상기와 같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PMIP 신호와 MIP 신호를 동시에 취급한다. 따라서,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 이동기(30)가 이동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10)가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수신한 시점에서, 베어러 설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액세스망을 전환한다.
즉, 상기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사전에 베어러 설정을 수행할 수가 없다. 때문에, PMIP 또는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에 이동기가 이동했을 때, 베어러 설정과 함께 핸드오버가 발생하게 되어, 핸드오버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
또, 항상 핸드오버가 베어러 설정시에 수행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혹은 이동기에서 핸드오버의 계기(trigger)를 제어할 수가 없다. 때문에, 이동기가 액세스망의 경계 가까이에 재권할 때, 빈번하게 핸드오버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나 홈 어드레스를 통지하기 위해서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통신하나,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정보를 은폐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유연하고 효율적인 액세스망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또는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장치의 정보를 은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경로설정방법은,
이동기와, 상기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와, 액세스망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경로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가 상기 액세스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때, 상기 이동기가 상기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경로설정단계;
상기 제1의 경로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액세스장치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경로설정단계;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경로설정장치가 상기 이동기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방법은,
이동기와, 상기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와,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상기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액세스망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가 상기 액세스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때, 상기 이동기가 상기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경로설정단계;
상기 제1의 경로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액세스장치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경로설정단계;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전환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장치는,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상기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와 상기 액세스장치와의 사이에 제1의 경로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 및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때,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경로전환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는,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액세스망 전환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기에 있어서,
액세스망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 상기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경로설정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경로설정부;
소정의 액세스망 전환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로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전환 지시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기는,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액세스망 전환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기에 있어서,
액세스망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 상기 액세스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1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1 경로설정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2 경로설정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전환된 액세스망을 경유하여, 유저데이터를 처리하는 유저데이터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는,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에 접속되는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에 있어서,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기로부터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경로전환신호를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로 송신 또는 전송하는 송신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고 효율적인 액세스망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 또는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장치의 정보를 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GT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을 나타내는 도(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모빌리티 앵커장치
101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
102 패킷종별 판정부
103 라우팅 제어부
105 MIP 경로전환부
107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
109 베어러 유저데이터 제어부
111 베어러 제어부
113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
115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
117 핸드오버 조건 지시부
20 액세스장치
30 이동기
301 무선 인터페이스부
303 액세스망 제어부
305 코어망 제어부
307 핸드오버 지시부
309 핸드오버 판단부
311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
313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부
40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
401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
402 패킷종별 판정부
403 라우팅 제어부
405 MIP 경로전환부
407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
411 터널 설정부
413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
415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수순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는,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로 이동기(30)가 이동할 때의 액세스망 전환 수순이 나타나 있다. 이동기(30)가 액세스망 1의 통신 에어리어에 재권할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홈 어드레스 및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이동기(30)와 통신한다(S201). 이동기(30)가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면, 이동기(30)는 액세스망 2에 대해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203). 액세스망의 접속제어가 종료되면, 액세스장치(20)는,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모빌리티 앵커장치(10)로 송신하고(S205), 모빌리티 앵커장치(10)와 액세스장치(20)와의 사이에 베어러를 설정한다(S207). 이동기(30)는,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10)에 대해서 경로전환신 호(Binding Update)를 송신한다(S209). 이 신호를 계기로 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액세스망 1로부터 액세스망 2로 경로를 전환한다(S2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어러 생성과 액세스망의 전환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수순은,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부터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 이동기가 이동할 때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 이동기가 이동할 때, 및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부터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으로 이동기가 이동할 때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수순은, 액세스장치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베어러가 설정되는 액세스망에 이동기가 이동하는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이동기(30)로부터의 경로전환신호에 의하지 않고, 자신의 판단으로(모빌리티 앵커장치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서) 경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베어러 생성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10)가 액세스망을 전환해도 좋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수순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로 이동기가 이동할 때의 전환수순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우선,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에서 이동기가 통신을 개시할 때, 이동기 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의해 할당된 홈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301). 또한, 액세스망에 있는 DHCP와 같은 IP 어드레스 부여장치에 의해 할당된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303). 이들 2개의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동기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MIP 터널이 설정되고(S305), 통신이 개시된다(S307).
다음으로,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이동기가 이동했을 때, 이동기는, 액세스망 2에 의해 할당된 로컬 어드레스를 취득하고(S309), 액세스망 2에 대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311). 이 로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동기와 액세스장치와의 사이에 IPSec 터널이 설정된다(S313). 로컬 어드레스는, IPSec 터널을 설정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어드레스이다. 다음으로, 이동기는 코어망에 대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315). 이 중에서, 이동기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정보나, 홈 어드레스 등을 송신해도 좋다. 또, 코어망 접속제어(S315)에 있어서, 액세스장치는 핸드오버 조건을 이동기에 통지해도 좋다. 코어망의 접속제어가 완료되면, 액세스장치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대해서 베어러 생성신호를 송신하고(S317), 베어러 설정이 수행된다(S319). 액세스장치는, 베어러 생성신호로서, PMIP에서 규정되어 있는 Proxy Binding Update를 이용하여 홈 어드레스와 액세스장치 어드레스를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통지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액세스망의 전환 전에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기가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했을 때,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를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송신한다(S321).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로서, MIP에서 규정되어 있는 Binding Update를 이용하여, 홈 어드레스 를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통지해도 좋다.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수신한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를 경로전환신호로서 처리하고, 액세스망을 전환한다(S323). 즉,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를 수신한 시점에서 새로이 베어러를 설정하지 않는다.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액세스망을 전환한 후에, 전환완료통지(ACK)를 이동기에 송신해도 좋다. 액세스망이 전환되면,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이동기는 액세스장치를 통해서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325).
또한, 액세스장치는 이동기가 다른 액세스망에 핸드오버한 후라도,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설정된 베어러를 남겨 두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코어망 접속제어(S315)에 있어서, 액세스장치는 전의 베어러(previously established bearer)가 남아있는지를 확인한다. 전의 베어러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베어러 접속제어(S317) 및 베어러 설정(S319)는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액세스장치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복수의 베어러가 설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코어망 접속제어(S315)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러를 마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액세스장치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복수의 베어러가 마련되어도 좋다. 복수의 베어러가 마련된 경우,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S321)를 송신할 때, 복수의 베어러를 묶어서 전환하는 신호를 송신해도 좋으며, 설정된 복수의 베어러 중 특정의(하나 또는 복수의) 베어러로 전환하는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로부터 GT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로 이동기가 이동할 때의 전환 수순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인 수순은 도 4와 같으나, GTP에서는, IPSec 터널 설정에 관한 수순(S309 및 S313)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동기는 코어망에 대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315). 이 중에서, 이동기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정보나, 홈 어드레스 등을 송신해도 좋다. 코어망의 접속제어가 완료되면, 액세스장치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대해서 베어러 생성신호를 송신하고(S317), 베어러 설정이 수행된다(S319). 베어러 설정이 종료되면,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에 베어러 설정완료통지를 송신한다(S320). 또한, 베어러 설정이 종료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 대신에 액세스장치가 이동기에 베어러 설정완료통지를 송신해도 좋다. 이후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이다.
전형적으로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베어러 설정완료 후에,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나, 베어러 설정전 또는 베어러 설정중에 이동기가 즉시 핸드오버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즉, 베어러 설정전에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로부터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다(S321). 이와 같은 경우에,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액세스장치에 대해서 베어러 접속을 시도한다(S317). 베어러 설정이 완료되 면(S319),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에 베어러 설정완료통지를 송신하고(S320), 액세스망을 전환한다(S323). 또한, 베어러 설정완료통지(S320)에 있어서, 경로전환신호(S321)의 응답(ACK)을 송신해도 좋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 예의 변형예이다.
상술과 같이,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로부터의 경로전환신호에 의하지 않고, 자신의 판단으로 경로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경로전환신호의 송신(S321)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어러 생성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10)가 액세스망을 전환한다(S323). 이와 같이, 핸드오버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판단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 또, 액세스장치의 판단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또한, 코어망 접속제어(S315)에 있어서, 핸드오버가 모빌리티 앵커장치 또는 액세스장치의 판단으로 수행되는 것을 이동기에 통지해도 좋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 예의 변형예이다.
이동기는, 코어망 접속제어(S315)에 있어서, 액세스장치 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조건(condition for handover)을 수신한다. 핸드오버 조건은,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제어정보이다. 예를 들면, 핸드오버 조건은 소정시간 후에 무선상황이 양호한 때에 핸드오버를 실시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좋다. 핸드오버 조건으로서, 시간에 관한 조건, 무선품질에 관한 조건(통신속도 등), 위치에 관한 조건, 액세스망의 종별에 관한 조건, 무선강도(radio strength)에 관한 조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동기에서는, 수신한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할 때,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한다(S321). 이후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5 실시 예의 변형 예이다.
이동기는, 코어망 접속제어(S315) 대신에, 베어러 설정완료통지와 함께 핸드오버 조건을 수신해도 좋다(S320). 이동기에서는, 수신한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할 때,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한다(S321). 이후는, 제5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구성 및 처리 흐름>
다음으로,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구성 및 처리 흐름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모빌리티 앵커장치(10)의 블록도이다.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101)와, 패킷종별 판정부(102)와, 라우팅 제어부(103)와, MIP 경로전환부(105)와,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107)와, 베어러 유저데이터 제어부(109)와, 베어러 제어부(111)와,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113)와,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115)와, 핸드오버 조건지시부(117)를 갖는다.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101)는, 액세스망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해서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101)는, 유저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액세스장치로부터 베어러 생성신호를 수신하고, 또, 이동기로부터 액세스망을 경유하여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다.
패킷종별 판정부(102)는,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101)에서 수신한 패킷이 유저데이터인지, MIP의 경로전환신호인지, PMIP 또는 GTP의 베어러 생성신호 또는 경로전환신호인지를 판정한다. 수신한 패킷이 유저데이터인 경우, 유저데이터는 라우팅 제어부(103)에 송신된다. 수신한 패킷이 베어러 생성신호 또는 경로전환신호인 경우, 프로토콜에 따라서 MIP 경로전환부 또는 베어러 제어부에 송신된다.
라우팅 제어부(103)는, 패킷종별 판정부(102)로부터 유저데이터를 수신하고,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107) 또는 베어러 유저데이터 제어부(109)에 유저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유저데이터는, 라우팅 제어부(103)에서 관리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서 라우팅된다.
수신한 패킷이 MIP의 경로전환신호라고 패킷종별 판정부(102)에서 판정된 경우, MIP 경로전환부(105)에서 이동기로의 경로가 설정 또는 갱신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기로의 경로가 라우팅 제어부(103)의 라우팅 테이블에 설정(추가, 변경 또는 삭제)된다. 혹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가 유효화 또는 무효화되어도 좋다.
MIP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이동기의 케어-오브 어드레스로 통신하기 때문 에,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115)의 정보를 참조한다. 또한,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113)는, 이동기의 홈 어드레스와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대응지어 관리하고,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115)가 이들의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수신한 패킷이 PMIP 또는 GTP의 베어러 생성신호인 경우, 베어러 제어부(111)가 액세스장치와의 사이에 베어러를 설정한다.
또, 수신한 패킷이 PMIP 또는 GTP를 사용하는 액세스망으로의 경로전환신호인 경우, 베어러 제어부(111)에서 액세스망이 전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기로의 경로가 라우팅 제어부(103)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설정(추가, 변경 또는 삭제)된다. 혹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가 유효화 또는 무효화되어도 좋다.
핸드오버 조건지시부(117)는, 핸드오버 조건을 이동기에 지시한다. 또,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판단으로 일정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핸드오버 조건지시부(117)가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핸드오버 조건지시부(117)는, 핸드오버 조건을 직접 이동기에 지시해도 좋으며, 핸드오버 조건을 제어신호의 일부에 넣어, 베어러 제어부(111)를 통해서 이동기에 지시해도 좋다. 또한, 핸드오버 조건지시부는 액세스장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도 11은, 모빌리티 앵커장치(10)에 있어서의 상세한 처리 흐름이다.
우선,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이동기로부터 모빌리티 시그널링(Proxy Binding Update 또는 Binding Update와 같은 베어러 생성신호 또는 경로전환신호)을 수신하면(S401), 이동기와 이미 통신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01). 이미 통신중인 경우 는, 이동기가 액세스망을 이동한 경우에 상당한다. 즉, 핸드오버의 처리를 수행한다.
모빌리티 시그널링을 수신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이동기와 이미 통신중인 경우(S401:Yes),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이동기로부터의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403). 이동기로부터의 경로전환신호가 아닌 경우에는(S403:No), 액세스장치로부터의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405). 액세스장치로부터의 베어러 생성신호인 경우(S405:Yes),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미 해당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406),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베어러를 설정한다(S407). 이미 해당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ACK와 같은 정상처리 종료통지를 송신한다(S408).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액세스장치로부터의 베어러 생성신호가 아닌 경우(S405:No),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부정한 신호로서 파기한다(S409).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이동기로부터의 경로전환신호(Bindng Update)인 경우(S403:Yes), 액세스장치 경유로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11). 액세스장치 경유로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해 있는 경우는, 액세스망이 PMIP 또는 GTP인 경우에 상당한다. 따라서,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S413),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PMIP 또는 GTP의 액세스망으로 전환한다(S415).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해당 베어러가 설정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16). 베어러가 설정중인 경우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베어러의 설정이 종료될때까지 대기하여, PMIP 또는 GTP의 액세스망으 로 전환한다(S418). 베어러가 설정중이 아닌 경우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부정한 신호로서 파기한다(S417). 다른 방법으로서, 베어러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액세스장치에 대해서 베어러를 설정해도 좋다.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액세스장치를 경유하지 않고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S411:No)는, 액세스망이 MIP인 경우에 상당한다. 따라서,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의 홈 어드레스를 확인하고(S419), 홈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정한 신호로서 파기한다(S417). 홈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S419:Yes),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미 해당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420),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MIP의 액세스망을 설정하여 전환한다(S421). 이미 해당 경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ACK와 같은 정상처리 종료통지를 송신한다(S422).
모빌리티 시그널링을 수신했을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이동기와 아직 통신중이 아닌 경우(S401:No)는, 이동기가 액세스망 내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에 상당한다. 이 경우,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이동기로부터의 신호(Binding Update)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423). 이동기로부터의 신호인 경우,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이동기의 홈 어드레스를 확인하고(S425), 홈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기로의 경로를 설정한다(S427). 홈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정한 신호로서 파기한다(S429).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이동기로부터의 신호(Binding Update)가 아닌 경우(S423:No), 모빌리티 시그널링이 액세스장치로부터의 신호인지 여부가 판정된 다(S431). 액세스장치로부터의 신호인 경우,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액세스장치와 베어러를 설정하고, 액세스장치를 경유하여 이동기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S433). 액세스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부정한 신호로서 파기한다(S429).
<이동기의 구성>
다음으로, 이동기의 구성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이동기(3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동기(3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301)와, 액세스망 제어부(303)와, 코어망 제어부(305)와, 핸드오버 지시부(307)와, 핸드오버 판단부(309)와,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311)와,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부(313)를 갖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부(301)는, 액세스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액세스망 접속제어부(303)는, 액세스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 코어망 접속제어부(305)는, 코어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
핸드오버 지시부(307)는, 핸드오버 판단부(309)에서 판단된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할 때, 경로전환신호를 모빌리티 앵커장치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핸드오버 판단부(309)에서 액세스망을 이동한 소정시간 후에 무선상황이 양호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핸드오버 지시부(307)는, 경로전환신호를 모빌리티 앵커장치로 송신한다.
MIP 유저 제어부(311)는, 상위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313)에 대해서 유저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망 전환 수순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 예에서는, 이동기에 대해서 모빌리티 앵커장치(10)의 정보를 은폐하기 위해서, 대리(Proxy) 모빌리티 앵커장치(또는 가상 모빌리티 앵커장치)(40)를 마련한다. 즉, 이동기로부터 모빌리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수신처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가 된다.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로부터 모빌리티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액세스망의 전환을 수행한다.
도 13에는,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로부터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로 이동기(30)가 이동할 때의 액세스망 전환 수순이 나타나 있다. 이동기(30)가 액세스망 1의 통신 에어리어에 재권할 때,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를 경유하여, 이동기(30)와 통신한다(S201'). 이동기(30)가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면, 이동기(30)는 액세스망 2에 대해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203'). 액세스망의 접속제어가 종료되면, 액세스장치(20)는,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모빌리티 앵커장치(10)로 송신하고(S205'), 모빌리티 앵커장치(10)와 액세스장치(20)와의 사이에 베어러를 설정한다(S207'). 이동기(30)는,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했을 때,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에 대해서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를 송신한다(S209').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는, 모빌리티 앵커장치(10)에 대해서 경로의 전환을 지시한다(S210)'. 이 신호를 계기로 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10)는, 액세스망 1로부터 액세스망 2로 경로를 전환한다(S211').
이와 같이,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를 마련함으로써, 이동기(30)의 통신상대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가 된다. 따라서, 이동기(30)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의 정보를 인식하기만 하면 되며,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정보가 은폐된다.
도 13의 구성에 있어서의 상세한 전환 수순을 도 14에 나타낸다.
우선, 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1에서 이동기가 통신을 개시할 때, 이동기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의해 할당된 홈 어드레스를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 경유로 취득한다(S301', S302'). 또한, 액세스망에 있는 DHCP와 같은 IP 어드레스 부여장치에 의해 할당된 케어-오브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303'). 이들의 2개의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동기와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MIP 터널이 설정된다(S305'). 동시에,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도 터널이 설정된다(S306'). 이에 따라, 이동기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를 경유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통신한다.
다음으로, PMIP가 적용되는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이동기가 이동했을 때에, 이동기는, 액세스망에 의해 할당된 로컬 어드레스를 취득하고(S309'), 액세스망 2에 대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311'). 이 로컬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동기와 액세스장치와의 사이에 IPSec 터널이 설정된다(S313'). 로컬 어드레스는, IPSec 터널을 설정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어드레스이다. 다음으로, 이동기는 코어망에 대한 인증 등의 접속제어를 수행한다(S315'). 이 중에서, 이동기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정보와, 홈 어드레스 등을 송신해도 좋다. 코어망의 접 속제어가 완료되면, 액세스장치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대해서 베어러 생성신호(Proxy Binding Update)를 송신하고(S317'), 베어러 설정이 수행된다(S319').
이동기가 액세스망 2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가, 핸드오버 조건을 만족했을 때, 이동기는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를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로 송신한다(S321').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하면,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대해서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지시를 수행한다(S322'). 이 지시는, 경로전환신호의 단순한 중계이어도 좋고, 다른 제어신호이어도 좋다. 이 지시를 수신하여,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액세스망을 전환한다(S323'). 액세스망이 전환되면,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이동기는 액세스장치를 통해서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S325').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구성>
도 15는,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의 블록도이다.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는, 패킷종별 판정부(402)와,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401)와, 라우팅 제어부(403)와, MIP 경로전환부(405)와,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407)와, 터널 설정부(411)와,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413)와,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415)를 갖는다.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401)는, 액세스망 또는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대해서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401)는, MIP의 유저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이동기로부터 액세스망을 경유하여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다.
패킷종별 판정부(402)는,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401)에서 수신한 패킷이 MIP의 유저데이터인지, MIP의 경로전환신호인지, PMIP 또는 GTP를 사용하는 액세스망으로의 경로전환신호인지를 판정한다. 수신한 패킷이 유저데이터인 경우, 유저데이터는 라우팅 제어부(403)로 전송된다. 수신한 패킷이 MIP의 경로전환신호인 경우, 터널 설정부(411)로 전송된다. 수신한 패킷이 PMIP 또는 GTP를 사용하는 액세스망으로의 경로전환신호인 경우,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경로전환을 지시한다.
라우팅 제어부(403)는, 패킷종별 판정부(402)로부터 MIP의 유저데이터를 수신하고,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407)에 유저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유저데이터는, 라우팅 제어부(403)에서 관리되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서 라우팅된다.
수신한 패킷이 MIP를 사용하는 액세스망으로의 경로전환신호라고 패킷종별 판정부(402)에서 판정된 경우, MIP 경로전환부(405)에서 이동기로의 경로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기로의 경로가 라우팅 제어부(403)의 라우팅 테이블에 설정(추가, 변경 또는 삭제)된다. 혹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가 유효화 또는 무효화되어도 좋다. 또, 유저데이터를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중계하기 위해서, 터널 설정부(411)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터널을 설정한다. MIP의 경우에는, 경로전환신호(Binding Update)를 받은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이동기로의 라우팅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도 10의 모빌리티 앵커장치의 MIP 경로전환부(105)에 대응하는 MIP 경로전환부(405)와,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107)에 대응하는 MIP 유저데이터 제어부(407)와,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113)에 대응하는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413)와, 유저 어드레스 저장부(115)에 대응하는 유저 어드레스 제어부(413)가 대리 모빌리티 앵커장치(40)에 존재한다.
한편, 패킷 송수신 인터페이스부(101)에서 수신한 패킷이 PMIP 또는 GTP를 사용하는 액세스망으로의 경로전환신호인 경우, 경로전환신호는 모빌리티 앵커장치로 전송 또는 송신된다. 경로전환신호는, 단순히 모빌리티 앵커장치에 전송되어도 좋고, 다른 제어정보로 변환되어 송신되어도 좋다. 모빌리티 앵커장치가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하면, PMIP 또는 GTP의 액세스망으로 전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예∼제 7 실시 예에서는, PMIP에 의한 접속제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GTP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세스장치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베어러 설정을 수행하는 액세스망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모빌리티 앵커장치 및 액세스장치라고 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는 용어이며, 모빌리티 앵커장치는, 액세스망을 경유하여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 또는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 액세스장치는, 이동기와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고, 이동기와 모빌리티 앵커장치와의 사이에 이동기가 통신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IPSec 터널이나 베어러와 같은 통신경로를 나타내는 용어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용어이며,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서 설정된 경로도 포함된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6월 1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16070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7-160702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 한다.

Claims (11)

  1. 이동기와, 상기 이동기와 제1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제1 액세스장치와, 상기 이동기와 제2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제2 액세스장치와,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상기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액세스망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가, 상기 제1 액세스망에서의 통신중에 상기 제2 액세스망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이동기가 상기 제2 액세스장치를 통해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접속을 설정하는 접속설정단계;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러가 상기 제2 액세스망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가 특정한 베어러로 전환하기 위한 경로전환신호를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및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상기 이동기로부터 상기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전환단계;를 갖는 액세스망 전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신호는, Binding Update인, 액세스망 전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세스장치와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의 사이의 접속이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상기 이동기로부터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상기 제2 액세스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기와 통신하기 위한 접속을 설정하고,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액세스망 전환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가 액세스망 전환조건을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 또는 상기 제2 액세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단계;를 더 가지며.
    상기 송신단계는, 상기 액세스망 전환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기가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망 전환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계는, 상기 이동기가 경로전환신호를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전환단계는,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가 상기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로부터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액세스망 전환방법.
  6. 이동기와 제1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제1 액세스장치와, 상기 이동기와 제2 액세스망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제2 액세스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상기 이동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망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가 상기 제1 액세스망에서의 통신중에 상기 제2 액세스망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간 경우, 상기 제2 액세스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기와 통신하기 위한 접속을 설정하는 접속설정부; 및
    상기 이동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러가 상기 제2 액세스망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기로부터 특정한 베어러로 전환하기 위한 경로전환신호를 수신한 경우, 액세스망을 전환하는 경로전환부;를 갖는 액세스망 전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신호는, Binding Update인, 액세스망 전환장치.
  8. 액세스망을 전환하여 액세스망 전환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기에 있어서,
    제1 액세스망에서의 통신중에 제2 액세스망의 통신 에어리어에 들어갔을 때에, 상기 제2 액세스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제어를 수행하는 액세스장치를 통해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접속을 설정하는 접속설정부; 및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러가 상기 제2 액세스망 내에 존재하는 경우, 특정한 베어러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망 전환장치로 경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경로전환 지시부;를 갖는 이동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신호는, Binding Update인, 이동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097026685A 2007-06-18 2008-06-11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KR101257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60702 2007-06-18
JP2007160702A JP5197999B2 (ja) 2007-06-18 2007-06-18 アクセス網切り替え方法、アクセス網切り替え装置及び移動機
PCT/JP2008/060677 WO2008156019A1 (ja) 2007-06-18 2008-06-11 経路設定方法、アクセス網切り替え方法、アクセス網切り替え装置、移動機及び代理アクセス網切り替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511A KR20100031511A (ko) 2010-03-22
KR101257317B1 true KR101257317B1 (ko) 2013-04-24

Family

ID=4015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685A KR101257317B1 (ko) 2007-06-18 2008-06-11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16556B2 (ko)
EP (1) EP2169884B1 (ko)
JP (1) JP5197999B2 (ko)
KR (1) KR101257317B1 (ko)
CN (1) CN101779488B (ko)
BR (1) BRPI0813358A2 (ko)
RU (1) RU2477579C2 (ko)
WO (1) WO2008156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0079715A1 (ja) * 2009-01-06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QoS制御局及び移動局
US8867486B2 (en) 2009-04-17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employing IP flow mobility
JP5061160B2 (ja) * 2009-06-19 2012-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ワーキング装置
JP5061159B2 (ja) * 2009-06-19 2012-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ワーキング装置
EP2783535B1 (en) 2011-11-25 2016-09-14 Bandwidthx Inc.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network access selection for a mobile wireless device
US9826464B2 (en) * 2013-03-26 2017-11-21 Bandwidth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s based on access conditions
KR102143792B1 (ko) * 2014-01-29 202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션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608985B2 (en) * 2015-08-14 2020-03-3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homing for tunneled encapsulated media
US10856151B2 (en) 2016-12-27 2020-12-01 Bandwidthx Inc. Radio management based on user intervention
US10194382B2 (en) 2016-12-27 2019-01-29 Bandwidthx Inc. Auto-discovery of amenities
JP7034098B2 (ja) * 2017-01-10 2022-03-11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20210409335A1 (en) * 2020-09-11 2021-12-30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management service packet classification and prioritization techniqu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6764A1 (en) 2005-09-30 2007-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handover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radio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567B1 (en) * 1999-04-09 2003-0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handling of conne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2001091382A1 (en) * 2000-05-22 2001-11-2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FI113140B (fi) * 2001-05-25 2004-02-27 Nokia Corp Kanavanvaihto solukkojärjestelmässä
US7539164B2 (en) * 2002-06-14 2009-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mobility management
US20050157681A1 (en) * 2003-02-26 2005-07-21 Yoshiharu Tajima Diversity handover method, control station and mobile termina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s
WO2005053187A1 (en) * 2003-11-26 2005-06-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ccess router based mobile ipv6 fast handover method
JP4381877B2 (ja) * 2004-04-21 2009-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方法
US7840217B2 (en) * 2004-07-23 2010-11-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hieving route optimization and location privacy in an IPV6 network
WO2006025677A1 (en) * 2004-08-30 2006-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a wireless 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84216A (ko) * 2004-10-15 2007-08-2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방법과 통신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들 방법을컴퓨터로써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JP2006222616A (ja) * 2005-02-09 2006-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種網間移動制御システム
US7835743B2 (en) * 2005-08-03 2010-11-16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eamless network interface selection, handoff and management in multi-IP network interface mobile devices
US20070113075A1 (en) * 2005-11-10 2007-05-17 Ntt Docomo, Inc. Secure route optimization for mobile network using multi-key crytographically generated addresses
US7586878B2 (en) * 2005-12-01 2009-09-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Vertical handoff method and system in WLAN/3G integrated networks
US8446875B2 (en) * 2007-02-23 2013-05-21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edia 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supporting fast-handoff in proxy MIPv6 environment
US9516495B2 (en) * 2007-03-01 2016-12-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PMIPv6 route optimization protocol
JP4990985B2 (ja) * 2007-03-23 2012-08-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プロキシ・モバイルipルーティング
US20090043902A1 (en) * 2007-04-12 2009-02-12 Stefano Facci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domain selection and bearer setup
US20100226313A1 (en) * 2007-06-14 2010-09-09 Shinta Sugimoto Proxy Binding Management in Mobile IP Networks
US9049629B2 (en) * 2007-06-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inter-system handover
EP2208334B1 (en) * 2007-10-26 2012-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hom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JP5113911B2 (ja) * 2007-11-30 2013-01-0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ローカルブレークアウト・セッショ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8638749B2 (en) * 2008-06-06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work handof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6764A1 (en) 2005-09-30 2007-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handover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radio acc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9884A4 (en) 2012-06-13
JP2008312171A (ja) 2008-12-25
EP2169884B1 (en) 2013-12-04
KR20100031511A (ko) 2010-03-22
CN101779488A (zh) 2010-07-14
RU2477579C2 (ru) 2013-03-10
WO2008156019A1 (ja) 2008-12-24
CN101779488B (zh) 2014-07-02
JP5197999B2 (ja) 2013-05-15
RU2009148370A (ru) 2011-07-27
US9516556B2 (en) 2016-12-06
BRPI0813358A2 (pt) 2014-12-30
EP2169884A1 (en) 2010-03-31
US20100202323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17B1 (ko) 경로설정방법, 액세스망 전환방법, 액세스망 전환장치, 이동기 및 대리 액세스망 전환장치
KR1005201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주소를 가지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EP1886520B1 (en) A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managing handovers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JP507286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ドメイン管理装置
CN102547889A (zh) 通信系统和通信控制方法
CN100596095C (zh) 层次化移动IPv6快速切换方法和系统
KR100763534B1 (ko) IPv6 기반 모바일 시스템에서 빠른 리액티브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CN101212461B (zh) 异构ip网络切换时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和核心网网关
RU2482634C2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WO2008029732A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base ip mobility protocol, control device, router, and its communication method
KR100879985B1 (ko) 비손실 모바일 ip 패킷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3069617A (ja) ハンドオーバ制御装置、基地局、エッジルータ、中継ルータ、無線端末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KR101341765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무선 통신 장치
KR100298371B1 (ko) 패킷 이동 통신망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JP4381877B2 (ja) ハンドオーバ方法
JPWO2007125592A1 (ja) 通信装置及びハンドオーバ方法
KR20070097858A (ko) 무손실 하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패킷 스위칭 무선통신시스템 및 하드 핸드오버 방법
KR20120080616A (ko) 통신 시스템
KR100989732B1 (ko) HMIPv6 네트워크 기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액세스 라우터와 모바일 노드
KR20120046419A (ko) 프록시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것의 핸드오버 방법
KR101734480B1 (ko) 홈 네트워크 프리픽스 할당 방법, 인터 핸드오프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멀티호밍 시스템
KR20010028061A (ko) 이동성 인터넷 프로토콜과 통신 시스템 상호간의 로밍을 지원하는 라우팅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5341B1 (ko) 이동 아이피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27611B1 (ko) 이종망 접속 방법
KR10140745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다중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