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137B1 - 미세 기포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기포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37B1
KR101257137B1 KR1020087025903A KR20087025903A KR101257137B1 KR 101257137 B1 KR101257137 B1 KR 101257137B1 KR 1020087025903 A KR1020087025903 A KR 1020087025903A KR 20087025903 A KR20087025903 A KR 20087025903A KR 101257137 B1 KR101257137 B1 KR 10125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oduction passage
gas
liquid
container body
liquid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858A (ko
Inventor
하루키 시마다
요시나리 록켄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adding the flowing main component by suction means, e.g. using an e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저벽(6)을 통해 용기 본체(1)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된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와, 상기 용기 본체(1)의 끝부분에 설치된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체 도입로(3)는 용기 본체(1)의 축심(J)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고, 액체 도입로(2)의 적어도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고, 실질적 점유 공간이 작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기포 발생 장치{MICR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수질 정화, 활성화, 그 외의 목적으로 용존 산소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액중에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WO00/6955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공간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설된 가압 액체 도입구와, 상기 원통형 공간의 저벽에 개설된 기체 도입 구멍과, 상기 공간의 끝부분(先部)에 개설된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하면, 기체 도입 구멍으로부터 용기 본체 내에 도입된 기체는 미세 기포(마이크로 버블: 직경 50㎛ 이하)로서 용기 본체로부터 방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는 세로로 길고, 가압 액체 도입구에 연결되는 관은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기 위해 장치내에 수용시킨 경우에는 관리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 점유 공간이 상당히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실질적 점유 공간이 작은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벽을 통해 용기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에 인도된 액체 도입로 및 기체 도입로와, 상기 용기 본체의 끝부분에 설치된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도입로는 용기 본체의 축심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며, 액체 도입로의 적어도 내단 구역(inner end region)은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액체 도입로의 적어도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심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또는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기체 도입로의 외주부측에 액체 도입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있어서, 기체 도입로의 기체량을 조정하는 기체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에 의하면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 실질적 점유 공간이 작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 2에 사용되는 액체 도입로 형성체의 평면도, 및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의 액체 도입로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로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B)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저벽(6)을 통해 용기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도입된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와, 상기 용기 본체(1)의 끝부분에 설치된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도입로(3)는 용기 본체(1)의 축심(J)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며, 액체 도입로(2)의 적어도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심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액체 도입로(2)의 존재가 기체 또는 액체의 선회를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획벽(10)에 의해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가 배치되는 수용실(1a)과, 기체와 액체가 선회하는 선회실(1b)로 구획되어 있다.
액체 도입로(2)는 코일 형상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고,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용실(1a)의 내부로의 삽입 위치는 축심(J)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며, 또 그 위치로부터 액체 도입로(2)의 적어도 내단 구 역이 용기 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액체 도입로(2)의 내단 구역을 구획벽(10)의 사공(斜孔)(10a)에 삽입하고, 상기 액체 도입로(2)의 내단 개방부를 선회실(1b)을 향하게 하고 있다.
기체 도입로(3)에 대해서도 직선 형상의 튜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용실(1a)의 내부로의 삽입 위치를 축심(J)의 위치에 설정하고, 또한 그 내단을 구획벽(10)을 관통시킨 후 그 내단 개방부를 선회실(1b)을 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는 상기 축심(J)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기체 도입로(3)로부터 흡입된 공기량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기포의 크기가 변화되므로, 상기 기체 도입로(3)에는 공기량을 조정하는 수단(C)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J)상에 형성된 원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를 사용할 때에는 적어도 용기 본체(1)의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액체중에 담그고, 액체 도입로(2)에 가압 액체를 압송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액체 도입로(2)의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1)의 축심(J)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용기 본체(1)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회실(1b) 내에는 가압액의 선회류가 생성되고, 이에 따라 축심(J) 부 근에는 부압 부분이 형성된다. 이 부압에 의해 기체 도입로(3)로부터 기체가 흡입되고, 압력이 가장 낮은 축심(J) 부근을 기체가 통과함으로써 선회실(1b)에는 가는 끈형상의 선회 기체 공동부(空洞部)(V)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실(1b)내를 선회하면서 이동한 액체 및 기체가 선회실(1b)의 개방부인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통과할 때 액체중에 대량의 미세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미세 기포의 발생 메카니즘은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를 이용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에서는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는 비교적 세로로 긴 용기 본체(1)의 축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장치 등에 조립한 경우에 실질적 점유 공간이 작게 된다. 이에 의해 취급이나 관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예 1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B)에서는 구획벽(10)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획벽(10)을 갖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미세 기포 발생 장치(B)는 상기 실시예 1과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저벽(6)을 통해 용기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된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와, 상기 용기 본체(1)의 끝부분에 설치된 선 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구비하며, 상기 기체 도입로(3)는 용기 본체(1)의 축심(J)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고, 액체 도입로(2)의 적어도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1)의 축심(J)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저벽(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개방부에 수컷·암컷 부재(13, 14) 및 C형 핀(15)을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컷 부재(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의 외주면에 수컷 나사를 형성하고, 그 외단면의 관형상의 이음매부(13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암컷 부재(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체의 내주면에 암컷 나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2)의 개방부에 암컷 부재(14)를 끼워넣고, 또한 상기 암컷 부재(14)를 C형 핀(15)으로 고정 상태로 하고, 상기 암컷 부재(14)에 수컷 부재(13)를 넣도록 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중앙부에는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각형상인 나선조(50a)를 구비한 짧은 원주부(50)에 원추 사다리꼴부(51)를 일체화하고, 또한 그 축심(축심(J)과 동축상에 있음)에 원구멍(52)이 뚫어 설치되어 이루어진 액체 도입로 형성체(5)를 수용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나선조(50a)의 외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구성벽 내면과 접촉하고, 이에 의해 나선 형상의 액체 도입로(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체 도입로 형성체(5)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컷 부재(13)를 구성하는 통체(筒體) 내로부터의 액체를 나선 형상의 액체 도입로(2)로 인도하기 위한 개구(5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구(53)의 크기, 형상, 갯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용기 본체(1)로의 튜브(T1, T2)의 접속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용 튜브(T1)를 수컷 부재(13)를 구성하는 통체 내에 삽입 통과하고, 또한 원구멍(52)내에 삽입하여 접속하며, 또한 액체용 튜브(T2)를 이음매부(13a)에 외삽(外揷)하여 접속함으로써 용기 본체(1)의 저벽(6)을 통해 용기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된 액체 도입로(2) 및 기체 도입로(3)가 형성된다.
기체용 튜브(T1)는 액체용 튜브(T2)로부터 외주 기밀 상태로 관통 돌출시키고, 그 단부에는 공기량 조정 수단(C)을 구비하고 있다.
액체 도입로(2)는 액체용 튜브(T2)와 기체용 튜브(T1) 사이의 공간 → 수컷 부재(13)와 기체용 튜브(T1) 사이의 공간 → 액체 도입로 형성체(5)의 개구(53) → 액체 도입로 형성체(5)의 나선조(50a) 상호간의 나선 형상의 공간 → 원추 사다리꼴부(51) 둘레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경로를 말하고, 이 경로에 의해 선회 기액 혼합 공간(K)까지 액체를 선회시키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기체 도입로(3)는 기체용 튜브(T1) 내의 경로를 말하고, 이 경로에 의해 선회 기액 혼합 공간(K)까지 기체를 흡인시키도록 되어 있다.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심(J)에 형성된 원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 미세 기포 발생 장치(B)를 사용할 때도 적어도 용기 본체(1)의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액체중에 담그고, 액체 도입로(2)에 가압 액체를 압송하면, 실 시예(1)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선회실(1b)내를 선회하면서 이동한 액체 및 기체가 선회실(1b)의 개방부인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4)를 통과할 때 액체중에 대량의 미세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 1, 2에서는 액체 도입로(2)는 나선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외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도입로(2)의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동등하게 액체의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바닥이 있는 원통형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저벽을 통해 용기 본체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도된 액체 도입로 및 기체 도입로와, 상기 용기 본체의 끝부분에 설치된 선회 기액 혼합체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도입로는 용기 본체의 축심상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 도입로 및 기체 도입로는 용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축심과 동일방향으로 돌출되며, 액체 도입로의 적어도 내단 구역은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입로의 적어도 내단 구역이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용기 본체의 축심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입로의 적어도 내단 구역이 용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 도입로의 외주부측에 액체 도입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 도입로로의 기체량을 조정하는 기체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기체 도입로로의 기체량을 조정하는 기체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20087025903A 2006-04-24 2006-04-24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1257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8516 WO2007122731A1 (ja) 2006-04-24 2006-04-24 微細気泡発生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417A Division KR20130038955A (ko) 2006-04-24 2006-04-24 미세 기포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858A KR20080110858A (ko) 2008-12-19
KR101257137B1 true KR101257137B1 (ko) 2013-04-22

Family

ID=386246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5903A KR101257137B1 (ko) 2006-04-24 2006-04-24 미세 기포 발생 장치
KR1020137006417A KR20130038955A (ko) 2006-04-24 2006-04-24 미세 기포 발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417A KR20130038955A (ko) 2006-04-24 2006-04-24 미세 기포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257137B1 (ko)
CN (1) CN101421025A (ko)
WO (1) WO2007122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3855B2 (ja) * 2006-04-26 2013-05-08 哲彦 藤里 水質改善器及び水質改善装置
JP4376888B2 (ja) * 2006-11-08 2009-12-02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JP4563496B1 (ja) * 2009-10-22 2010-10-13 株式会社H&S 微細気泡発生装置
JP5807783B2 (ja) * 2012-01-19 2015-11-10 ニッタ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旋回流形成体
JP5801210B2 (ja) * 2012-01-19 2015-10-28 ニッタ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4338446A (zh) * 2013-08-01 2015-02-11 伊耐特株式会社 超微细气泡发生装置以及利用该装置的液体处理方法
GB2521258B8 (en) * 2013-10-14 2020-02-26 Coldharbour Marine Ltd Apparatus and method
TWI629247B (zh) * 2017-08-22 2018-07-11 阮慶源 Microbubble generator
KR102132815B1 (ko) * 2018-09-19 2020-07-21 공성욱 미세 기포 발생 장치
CN109626607B (zh) * 2019-01-25 2021-10-01 江苏师范大学 一种自动化机械旋转式气泡产生器、城市污水净化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95A (ja) 2000-03-22 2001-09-25 Nittetsu Mining Co Ltd エアレータ
JP2003181258A (ja) 2001-12-13 2003-07-02 Tashizen Techno Works:Kk 旋回式微細気泡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Y2 (ja) * 1992-08-10 1995-01-11 広島ガス株式会社 試料ガス用混合タンク
JPH11333491A (ja) * 1998-05-28 1999-12-07 Terabondo:Kk マイクロバブル噴流浄水装置
WO2000069550A1 (fr) * 1999-05-15 2000-11-23 Hirofumi Ohnari Generateur oscillant de microbulles d'air
JP2002143658A (ja) * 2000-11-13 2002-05-21 Teruji Sasaki 気泡水製造装置
JP3717471B2 (ja) * 2002-10-25 2005-11-16 四国厨房器製造株式会社 気体溶解装置
JP2005034814A (ja) * 2003-07-18 2005-02-10 Tashizen Techno Works:Kk 微細気泡発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95A (ja) 2000-03-22 2001-09-25 Nittetsu Mining Co Ltd エアレータ
JP2003181258A (ja) 2001-12-13 2003-07-02 Tashizen Techno Works:Kk 旋回式微細気泡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858A (ko) 2008-12-19
KR20130038955A (ko) 2013-04-18
CN101421025A (zh) 2009-04-29
WO2007122731A1 (ja)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137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US7997563B2 (en) Micro-bubble generator, vortex breakdown nozzle for micro-bubble generator, vane swirler for micro-bubble generator, micro-bubble generating method, and micro-bubble applying device
JP3890076B1 (ja) 気泡発生装置
JP6483303B2 (ja) 気液溶解タンク及び微細気泡発生装置
JP4545564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7021343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RU2012116088A (ru) Генератор микропузырь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микропузырьков
KR101284266B1 (ko) 선회유닛 기반의 고용해수를 이용한 미세 기포 발생장치
KR20170104351A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JP4376888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3672923B2 (ja) 二つの流体を混合するための装置
JP5257586B2 (ja) 旋回式微細気泡発生器
KR101524403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2005180496A (ja) 高圧タンク用の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5081099B2 (ja) 微細気泡混入水の供給装置
JP5802878B2 (ja)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装置
KR20190104169A (ko) 유체혼합장치, 및 이러한 혼합장치를 이용한 혼합유체의 제조방법
KR20210096489A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CN210114985U (zh) 一种多通道吸气式微细气泡产生装置
KR102458126B1 (ko) 기포의 분리가 가능한 기액 혼합용 선회기와 이를 이용한 용해 시스템
JP201113085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付き浴槽
WO2010076843A1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0051107A (ja) 気泡発生装置
KR101720115B1 (ko) 선회식 기액용해장치
JPH10286446A (ja) 気液混合方法と気液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