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006B1 - 환봉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환봉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006B1
KR101257006B1 KR1020110093896A KR20110093896A KR101257006B1 KR 101257006 B1 KR101257006 B1 KR 101257006B1 KR 1020110093896 A KR1020110093896 A KR 1020110093896A KR 20110093896 A KR20110093896 A KR 20110093896A KR 101257006 B1 KR101257006 B1 KR 10125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ld
molding apparatus
shaf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873A (ko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기계
Priority to PCT/KR2011/0069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042801A1/ko
Publication of KR2012003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21B1/1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2Bending by stretching or pulling over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몰드플레이트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실린더로드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유압실린더와; 상단에 ∨홈을 갖는 이송축이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이송롤과; 스테인레스환봉을 이송시키는 가이드롤과; 몰드플레이트에 세 쌍이 구비되며, 프레임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몰드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 내면에는 성형롤의 ∨홈 양단이 밀착되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성형장치가 구비되는 성형장치와; 각 제1성형장치의 축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는 구동축이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육각봉을 배출시키는 배출다이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장치를 각각의 리듀서성형롤과 체결되는 독립된 구동장치인 몰드구동모터를 갖춘 독립구동성형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규격별로 육각형상을 갖는 다수 개로 구성된 성형장치를 각각의 몰드프레임에 구비하여, 상기 몰드프레임을 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카트리지 타입으로 탈부착하도록 하여, 한 번의 투입으로 스테인레스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독립구동성형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가공되는 육각봉의 육각형상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봉 성형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Shaft}
본 발명은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다단의 성형장치를 구성하여 한 번의 작업공정으로 환봉을 육각형으로 성형하는 환봉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기술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99264호(명칭 : 환봉 성형장치)는 도 1과 같이, 베이스프레임(510) 수직 일면에 형성되는 세 쌍의 성형장치(520)에 구비되는 육각형상의 몰드로 스테인레스환봉(530)이 투입되어 육각봉(530a)으로 1차 성형한 후, 2차 및 3차에 걸쳐 상기 몰드를 포함한 성형장치(520)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육각봉(530a)을 성형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스테인레스환봉(530)을 육각봉(530a)으로 성형하기 위해서 3차에 걸친 작업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성형장치(520)의 써포트에 구비되는 렌치볼트를 일일이 제거한 다음 작업조건에 맞게 세 쌍의 몰드 직경을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렌치볼트로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작업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9264호(2008.1.2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를 통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 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함에 있어, 제품규격별 즉,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홈을 갖는 성형롤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6개의 성형장치를 각각의 몰드프레임 일측 수직면에 구성하고, 상기 몰드프레임은 카트리지 타입으로 프레임의 몰드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번의 투입으로 스테인레스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환봉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유압실린더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몰드플레이트가 타단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단 상부면에 블럭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을 타단으로 투입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통공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가 볼트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을 갖는 이송축이 수직플레이트 외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이송롤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공과 몰드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로부터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을 이송시키는 가이드롤과; “┐”형상과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한 쌍으로 하여 몰드플레이트에 세 쌍이 구비되며, 각 프레임은 양측면 중 일면이 개방되고, 프레임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몰드프레임과; 상기 6개의 몰드프레임 내면에는 성형롤의 ∨홈 양단이 밀착되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성형장치가 각각 구비되는 성형장치와; 상기 몰드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에 구비되어, 각 제1성형장치의 축 일단과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는 구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은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육각봉을 배출롤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다이로 구성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는 유압실린더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투입프레임과; 상기 투입프레임 일단 상부면에 블럭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을 타단으로 투입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투입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통공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가 볼트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을 갖는 이송축이 수직플레이트 외측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이송롤과; 상기 투입프레임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한 개가 체결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다섯 개의 롤기둥의 상부면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로로부터 투입되고 각각의 독립성형장치를 통과하는 스테인레스환봉을 이송시키는 가이드롤과; 뚜껑이 없는 상자형태를 갖는 프레임이 장착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하여 장착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되되, 우측면에는 상하가 180℃ 바꾸어 장착되고 1단에서부터 5단까지 다섯 개 쌍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몰드프레임과; 상기 몰드프레임이 장착되는 거꾸로 된 "Y"자 형상을 갖는 장착프레임이 장착되고 장착프레임과 이웃하여 롤기둥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과 롤기둥은 짝을 이루어 제 1단 내지 제 5단까지 5쌍이 차례로 상부 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10개의 몰드프레임 내부에는 리듀서유닛과 상기 리듀서유닛이 장착되는 리듀서프레임과 나사봉으로 고정프레임과 체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몰드프레임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리듀서유닛은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의 가장자리가 육각형상의 여섯 개의 면 중 세 개의 면을 이루도록 위치한 리듀서성형롤이 구비되어 구동축과 몰드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체결되는 지지프레임을 나사잭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나사봉이 전,후진을 함에 따라서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사잭이 구비되는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가 각각 구비되는 독립구동성형장치와; 상기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육각봉을 배출롤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다이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 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함에 있어, 제품규격별 즉,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홈을 갖는 성형롤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6개의 성형장치를 각각의 몰드프레임 일측 수직면에 구성하고, 상기 몰드프레임은 카트리지 타입으로 프레임의 몰드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번의 투입으로 스테인레스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또한, 상기 성형장치를 대체하여 몰드구동모터를 구비한 독립구동성형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성형장치가 동력의 전달거리에서 멀어짐에 따라 성형모양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환봉 성형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성형장치가 구비되는 몰드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성형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좌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가공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장착을 나타낸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 예에 따른 환봉 가공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1은 종래의 환봉 성형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송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성형장치가 구비되는 몰드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성형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성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환봉 가공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장착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a)는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장착시 장착프레임의 정면도이고, (b)는 독립구동성형장치가 장착프레임의 좌측장착시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c)는 독립구동성형장치가 장착프레임의 우측장착시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독립구동성형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처음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나사잭의 작동에 의해 리듀서 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나사잭의 작동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다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 예에 따른 환봉 가공과정을 나타낸 참고도로서, (a1)과 (a2)는 1단의 독립구동성형장치를 나타내고, (b1)과 (b2)는 2단의 독립구동성형장치를 나타내고, (c1)과 (c2)는 3단의 독립구동성형장치를 나타내고, (d1)과 (d2)는 4단계의 독립구동성형장치를 나타내고, (e1)과 (e2)는 5단계의 독립구동성형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환봉 성형장치는 프레임(10), 유압실린더(20), 이송롤(30), 가이드롤(40), 몰드프레임(50), 성형장치(60), 기어박스(70), 배출다이(8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유압실린더(2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몰드플레이트(12)가 타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공(11)은 좌우 각각 3개씩을 한 쌍으로 하여 3개의 이송롤(30)과 1개의 가이드롤(40)이 체결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총 4쌍이 형성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0)는 상기 프레임(10) 일단 상부면에 블럭(21)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22)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90)을 타단으로 투입시키고, 상기 블럭(21)의 고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진다.
상기 이송롤(30)은 도 5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체결공(11)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3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33)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34a)을 갖는 이송축(34)이 수직플레이트(33) 외측의 브라켓(35)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이송롤(30)의 갯수를 3개로 한정하였지만, 상기 이송롤(30)의 설치 갯수는 1 ~ 5개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40)은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체결공(11)과 몰드플레이트(12)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로부터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90)을 이송시킨다.
상기 몰드프레임(50)은 “┐”형상과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한 쌍으로 하여 몰드플레이트(12)에 세 쌍이 구비되며, 각 프레임은 양측면 중 일면이 개방되고, 프레임 중앙부에는 스테인레스환봉(90)이 통과되도록 통공(52)이 형성된다.
이때, 통공(52)은 스테인레스환봉(90)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성형장치(60)는 상기 6개의 몰드프레임(50) 내면 즉, “┐”형상의 몰드프레임(50)에는 좌측면에 형성되며, “┌”형상의 몰드프레임(50)에는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성형롤(66)의 ∨홈(67) 양단이 밀착되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축(64)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성형장치(60-1,60-2,60-3)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40)은 도 2와 같이, “┐”형상과 “┌”형상으로 구성되는 몰드프레임(50) 전단부에 하나씩 구비되도록 1개는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체결공(11)에 설치되며, 나머지 2개는 몰드플레이트(12)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박스(70)는 상기 몰드프레임(50)의 개방된 일측면에 구비되어, 각 제1성형장치(60-1)의 축(64)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축(64)을 회전시킨다.
상기 배출다이(80)는 상기 성형장치(60)에서 성형된 육각봉(90a)을 배출롤(81)에 의해 배출시킨다.
상기 성형장치(60)가 내면에 구비되는 몰드프레임(50)은 제1~3성형장치(60-1,60-2,60-3)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형상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10)의 몰드플레이트(12)에 도 6과 같이, 카트리지 타입으로 탈부착되되, 상기 몰드플레이트(12) 일측면에는 체결공(15)을 갖는 체결면(1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14)에는 ┴홈(13)이 몰드플레이트(12)의 넓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50) 하단 넓이 방향으로는 상기 ┴홈(13)에 대응되는 돌출턱(51)이 형성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12)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공(15)에 대응되는 몰드프레임(50) 위치에는 체결공(53)이 형성되어 볼트(B)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롤(40)은 도 7과 같이, 프레임(10) 또는 몰드플레이트(12)에 좌우 돌출부(4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42)가 좌우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브라켓(44)으로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롤(43)과, 수직축(46) 하부의 고정블럭(47)으로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롤(45)이 서로 밀착되되, 상기 하부롤(43)과 상부롤(45)에는 스테인레스환봉(90)이 이송되도록 ∨홈(43a,45a)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롤(66)의 ∨홈(67) 양단이 밀착되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축(64)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성형장치(60-1,60-2,60-3)의 구성은 도 8과 도 9에 구체적으로 도시되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성형장치(60)의 제1성형장치(60-1)는 몰드프레임(50)의 내측 수직면 상단에 축(64)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며, 제2,3성형장치(60-2,60-3)는 상기 제1성형장치(60-1)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20°간격으로 구비되고, 제1~3성형장치(60-1,60-2,60-3)의 축(64) 양단은 몰드프레임(50)에 스탠드(61)와 써포트(63)로 고정되는 상기 스탠드(61)로 삽입되어 스탠드(61) 내부의 베어링(62) 내주면으로 삽입되며, 상기 축(64) 양단은 단턱(64a)이 형성되어 외측으로 고정되는 캡(68)이 스탠드(61) 외측으로 볼트(B) 체결되어 상기 축(64) 양단을 고정시키고, 유니버설 조인트(76)가 연결되는 제1성형장치(60-1)의 축(64) 타단과, 제2성형장치(60-2)의 축(64) 양단 및 상기 제2성형장치(60-2)와 맞물리는 제3성형장치(60-3)의 축(64) 일단에는 각각 베벨기어(65)가 구비되어, 제1~3성형장치(60-1,60-2,60-3)의 축(64)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70)는 도 9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70)는 상기 몰드프레임(50)의 개방된 일측면에 구비되어, 각 제1성형장치(60-1)의 축(64) 일단과 유니버설 조인트(76)로 연결되는 구동축(75)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75)은 모터(71)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기어박스(70)는 모터(71)의 축과 수평방향으로 체인(73)으로 연결되는 6개의 회전축(72)이 상단의 구동축(75)과 나란히 구비되며, 상하로 구비되는 구동축(75)과 회전축(72)은 수직방향의 벨트(74)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7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축(72)과 구동축(75) 및 성형장치(60)의 축(64)을 회전시키고, 상기 축(64)과 유니버설 조인트(76) 및 구동축(75)의 연결부위는 커플링(77)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환봉 성형 장치를 이용한 환봉 성형 방법을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 내지 도 10(f)와 같이, 작업하고자 하는 육각형상의 제품규격에 맞도록 제1~3성형장치(60-1,60-2,60-3) 각각에 구비되는 ∨홈(45a)을 갖는 성형롤(66)이 세팅된 6개의 몰드프레임(50)을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몰드플레이트(12)에 순서대로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이송롤(30)에 스테인레스환봉(90)을 탑재시키는데,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환봉(90) 일단은 유압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2) 끝단부에 맞닿도록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로드(22)가 전진되면서 이송롤(30)에 탑재된 스테인레스환봉(90)이 첫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1,2번째 몰드프레임(50) 즉, 도 10(a)와 도 10(b)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두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3,4번째 몰드프레임(50) 즉, 도 10(c)와 도 10(d)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세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5,6번째 몰드프레임(50) 즉, 도 10(e)와 도 10(f)의 육각형상으로 최종 성형되어, 배출다이(80)의 배출롤(8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다른 규격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업하고자 하는 규격의 성형장치(60)가 구비된 몰드프레임(50)으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 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함에 있어, 제품규격별 즉,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홈을 갖는 성형롤의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6개의 성형장치를 각각의 몰드프레임 일측 수직면에 구성하고, 상기 몰드프레임은 카트리지 타입으로 프레임의 몰드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번의 투입으로 스테인레스환봉을 육각봉으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환봉 성형장치는 투입프레임(100), 유압실린더(20), 이송롤(30), 가이드롤(40), 베이스프레임(110), 몰드프레임(120), 독립구동성형장치(90), 배출다이(80)로 구성된다.
상기 투입 프레임(100)은 유압실린더(2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1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01)은 좌우 각각 3개씩을 한 쌍으로 하여 3개의 이송롤(30)과 1개의 가이드롤(40)이 체결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총 4쌍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 프레임(100)의 타단은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이 시작되는 곳까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20)는 상기 투입프레임(100) 일단 상부면에 블럭(21)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22)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을 타단으로 투입시키고, 상기 블럭(21)의 고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진다.
상기 이송롤(30)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체결공(101)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3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33)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34a)을 갖는 이송축(34)이 수직플레이트(33) 외측의 브라켓(35)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이송롤(30)의 갯수를 3개로 한정하였지만, 상기 이송롤(30)의 설치 갯수는 1 ~ 5개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40)은 상기 투입프레임(100)의 타단 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01)에 한 개가 체결되어 제1단 장착프레임(111a)에 장착된 독립성형장치(90)를 통과하기 시작하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을 상하에서 지지해주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다섯 개의 각각의 장착프레임(111)의 바로 다음 위치에 구비된 다섯 개의 롤기둥(112)의 상부면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로(20)로부터 투입되고 각각의 독립성형장치(90)를 통과할때 스테인레스환봉(200)을 상하에서 지지해주고 동시에 이송시킨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몰드프레임(120)이 장착되는 거꾸로 된 "Y"자 형상을 갖는 장착프레임(111)이 장착되고, 장착프레임(111)의 다음 위치에 이웃하여 롤기둥(112)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111)과 롤기둥(112)은 짝을 이루어 제 1단 내지 제 5단까지 5쌍이 차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면에 배치된다.
상기 몰드프레임(120)은 뚜껑이 없는 상자형태를 갖는 프레임이 장착프레임(1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하여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되되, 우측면에는 상하가 180℃ 바뀌어 장착되고 1단에서부터 5단까지 다섯 개 쌍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통공(121)이 형성되는데, 각단의 통공(121)은 일직선을 형성하므로 도 1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의 몰드프레임(120)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우측면의 몰드프레임(120)은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통공(121)은 스테인레스환봉(200)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는 도 12와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5개의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되는 10개의 몰드프레임(120) 내부에는 리듀서유닛(91)과 상기 리듀서유닛(91)이 장착되는 리듀서프레임(92)과 나사봉(942)으로 고정프레임(94)과 체결되는 지지프레임(93) 및 몰드프레임(12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94)으로 구성되되, 상기 리듀서유닛(91)은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의 가장자리가 육각형상의 여섯 개의 면 중 세 개의 면을 이루도록 위치한 리듀서성형롤(911)이 구비되어 구동축(913)과 몰드구동모터(918)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94)은 체결되는 지지프레임(93)을 나사잭구동모터(145)에 의해 구동되어 나사봉(142)이 전,후진을 함에 따라서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사잭(143)이 구비되는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출다이(80)는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에서 성형된 육각봉(200a)을 배출롤(81)에 의해 배출시킨다.
상기 리듀서성형롤(911) 둘레의 평평한 면이 서로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구동축(913)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의 구성은 도 12 내지 1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는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의 리듀서유닛(91)은 독립적인 구동장치인 몰드구동모터(918)가 각각의 리듀서유닛(91)마다 모두 장착되어 리듀서성형롤(911)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모두 일정하도록 설계된 유닛으로서,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형상의 여섯 개의 면 중 120°간격의 세 개의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성형롤고정키(912)에 고정되어 구동축(913)의 끝단 부에 체결되고 리듀서성형롤(911)의 원형둘레는 성형되는 육각봉(200a)의 육각형상 각각의 세 개의 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평면모양을 가지는 리듀서성형롤(911)과, 상기 구동축(913)의 끝단이 위치하는 상기 리듀서프레임(92) 부위에 하나가 장착되고, 두 개는 리듀서성형롤(911)이 위치한 그 다음의 리듀서프레임(92)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913)과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914a,914b,914c)과, 상기 구동축(91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913)과 축고정키(915)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축(916)과, 몰드구동모터(918)의 회전력이 일정 비율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어가 조합된 구동기어하우징(917)과 구동력을 발생하는 몰드구동모터(918)로 구성된다.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는 도 12와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육각봉(200a)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에 따라서 도 1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듀서성형롤(911)이 전진하거나 도 14(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진을 하여 크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94)의 좌,우 양쪽에는 제1,2 지지실린더(941a,941b)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지지프레임(93)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되고 중앙에는 나사봉(942)이 관통하여 지지프레임(93)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실린더(941)와 나사봉(942) 각각의 돌출된 끝단이 지지프레임(93)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94)의 바깥 측면에 상기 나사봉(942)과 연결되는 나사잭(943)이 장착되고 몰드프레임(120)의 바닥면에 나사잭구동모터(945)가 나사잭기어(944)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나사잭 구동모터(9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나사봉(942)이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93)과 그에 고정된 리듀서프레임(92)이 전진 및 후진을 하여 상기 리듀성성형롤(911)이 형성하는 육각형상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의 제1 독립구동성형장치(90-1)는 몰드프레임(120)의 내측 수직면 상단에 구동축(913)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며, 제2,3 독립구동성형장치(90-2,90-3)는 상기 제1 독립구동성형장치(60-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20°간격으로 구비되고,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의 구동축(913)의 끝단은 리듀서프레임(92)의 일단측에 장착된 베어링(914a)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913)에 리듀서성형롤(911)이 장착된 다음의 부위에는 리듀서프레임(92)에 장착된 두 개의 베어링(914b,914c)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몰드구동모터(918)는 리듀서프레임(91)의 바깥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가 구비된 리듀서프레임(92)은 도 14(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180℃ 회전하여 장착되어,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리듀서프레임(91)의 장착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몰드프레임(120)의 통공(121)이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단 내지 제5단의 각각의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되는 한 쌍의 독립구동형성장치(90)와 그 내부의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는,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단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2단 내지 제5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되, 제5단의 육각형상의 크기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이 육각봉(200a)으로 가공이 끝난 후 제품이 완성되었을 때의 제품의 육각형상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제2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환봉 성형 장치를 이용한 환봉 성형 방법을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a1) 내지 도 15(e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하고자 하는 육각형상의 제품규격에 맞도록 제1~3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 각각에 구비되는 리듀서성형롤(911)이 세팅된 10개의 몰드프레임(120)을 도 11과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상에 설치된 5개의 장착프레임(111)의 좌, 우 면에 통공(121)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키며 순서대로 체결시킨다. 여기서 5개의 장착프레임(111)은 투입프레임(100)이 설치되어 있는 쪽부터 차례대로 1단에서 5단으로 불리며 몰드프레임(120)은 각단에 2개씩 짝을 이루어 체결된다.
그런 다음, 투입프레임(100)에 장착된 이송롤(30)에 스테인레스환봉(200)을 탑재시키는데, 이때 상기 스테인레스환봉(200) 일단은 유압실린더(20)의 실린더로드(22) 끝단부에 맞닿도록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로드(22)가 전진되면서 이송롤(30)에 탑재된 스테인레스환봉(90)이 투입프레임(100)의 끝단에 장착된 가이드롤(40)을 거쳐 제1단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된 1,2번째 몰드프레임(120) 즉, 도 15(a1)과 도 15(a2)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롤기둥(112)의 상단부에 장착된 첫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제2단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된 3,4번째 몰드프레임(120) 즉, 도 15(b1)과 도 15(b2)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롤기둥(112)의 상단부에 장착된 두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제3단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된 5,6번째 몰드프레임(120) 즉, 도 15(c1)과 도 15(c2)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롤기둥(112)의 상단부에 장착된 세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4단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된 7,8번째 몰드프레임(120) 즉, 도 15(d1)과 도 15(d2)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롤기둥(112)의 상단부에 장착된 네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5단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된 9,10번째 몰드프레임(120) 즉, 도 15(e1)과 도 15(e2)의 육각형상으로 성형되며, 베이스프레임(110)의 롤기둥(112)의 상단부에 장착된 다섯 번째 가이드롤(40)을 거쳐 최종 성형되어, 배출다이(80)의 배출롤(8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다른 규격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작업하고자 하는 규격의 독립구동성형장치(90)가 구비된 몰드프레임(120)으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20)를 통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을 육각봉(200a)으로 성형함에 있어, 제품규격별 즉,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리듀서성형롤(911)이 형성하는 지름이 점점 작아지도록 2개씩 짝을 이루는 5쌍의 10개의 독립구동성형장치(90)를 1단 ~ 5단의 장착프레임(111) 각각의 몰드프레임(120) 바닥의 면에 구성하고, 상기 몰드프레임(120)은 카트리지 타입으로 베이스프레임(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한 번의 투입으로 스테인레스환봉(200)을 육각봉(200a)으로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연속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특히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는 각각의 리듀서유닛(91)마다 별도의 몰드구동모터(918)를 구비하여 각각의 리듀서성형롤(911)이 갖는 회전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회전력의 크기에 따라 미세하게 달라지는 육각봉(200a)의 육각면 각각의 가공 차이를 방지하여 가공되는 육각봉(200a)의 품질을 더욱 향상 시킨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체결공
12 : 몰드플레이트 13 : ┴홈
20 : 유압실린더 22 : 실린더로드
30 : 이송롤 32 : 통공
40 : 가이드롤 42 : 수직플레이트
43 : 하부롤 44 : 브라켓
45 : 상부롤 50 : 몰드프레임
51 : 돌출턱 52 : 통공
60 : 성형장치 62 : 베어링
64 : 축 65 : 베벨기어
66 : 성형롤 67 : ∨홈
70 : 기어박스 71 : 모터
72 : 회전축 75 : 구동축
76 : 유니버설 조인트 80 : 배출다이
81 : 배출롤 90 : 독립구동성형장치
90-1 : 제1독립구동성형장치 90-2 : 제2독립구동성형장치
90-3 : 제3독립구동성형장치 91 : 리듀서유닛
92 : 리듀서프레임 93 : 지지프레임
94 : 고정프레임 100 : 입력프레임
110: 베이스프레임 120: : 몰드프레임
200 : 스테인레스환봉 200a : 육각봉

Claims (10)

  1. 환봉 성형장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몰드플레이트(12)가 타단에 구비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일단 상부면에 블럭(21)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22)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90)을 타단으로 투입시키는 유압실린더(20)와;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체결공(11)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3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33)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34a)을 갖는 이송축(34)이 수직플레이트(33) 외측의 브라켓(35)에 의해 고정되는 이송롤(30)과;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되는 체결공(11)과 몰드플레이트(12)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20)로부터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90)을 이송시키는 가이드롤(40)과;
    “┐”형상과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한 쌍으로 하여 몰드플레이트(12)에 세 쌍이 구비되며, 각 프레임은 양측면 중 일면이 개방되고, 프레임 중앙부에 통공(52)이 형성되는 몰드프레임(50)과;
    6개의 상기 몰드프레임(50) 내면에는 성형롤(66)의 ∨홈(67) 양단이 밀착되어 육각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축(64)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3성형장치(60-1,60-2,60-3)가 각각 구비되는 성형장치(60)와;
    상기 몰드프레임(50)의 개방된 일측면에 구비되어, 각 제1성형장치(60-1)의 축(64) 일단과 유니버설 조인트(76)로 연결되는 구동축(75)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75)은 모터(71)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박스(70)와;
    상기 성형장치(60)에서 성형된 육각봉(90a)을 배출롤(81)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다이(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60)가 내면에 구비되는 몰드프레임(50)은 제1~3성형장치(60-1,60-2,60-3)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형상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10)의 몰드플레이트(12)에 카트리지 타입으로 탈부착되되, 상기 몰드플레이트(12) 일측면에는 체결공(15)을 갖는 체결면(1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면(14)에는 ┴홈(13)이 몰드플레이트(12)의 넓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50) 하단 넓이 방향으로는 상기 ┴홈(13)에 대응되는 돌출턱(51)이 형성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12)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공(15)에 대응되는 몰드프레임(50) 위치에는 체결공(53)이 형성되어 볼트(B)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40)은 프레임(10) 또는 몰드플레이트(12)에 좌우 돌출부(4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42)가 좌우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브라켓(44)으로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롤(43)과, 수직축(46) 하부의 고정블럭(47)으로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롤(45)이 서로 밀착되되, 상기 하부롤(43)과 상부롤(45)에는 스테인레스환봉(90)이 이송되도록 ∨홈(43a,4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60)의 제1성형장치(60-1)는 몰드프레임(50)의 내측 수직면 상단에 축(64)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며, 제2,3성형장치(60-2,60-3)는 상기 제1성형장치(60-1)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20°간격으로 구비되고, 제1~3성형장치(60-1,60-2,60-3)의 축(64) 양단은 몰드프레임(50)에 스탠드(61)와 써포트(63)로 고정되는 상기 스탠드(61)로 삽입되어 스탠드(61) 내부의 베어링(62) 내주면으로 삽입되며, 상기 축(64) 양단은 단턱(64a)이 형성되어 외측으로 고정되는 캡(68)이 스탠드(61) 외측으로 볼트(B) 체결되어 상기 축(64) 양단을 고정시키고, 유니버설 조인트(76)가 연결되는 제1성형장치(60-1)의 축(64) 타단과, 제2성형장치(60-2)의 축(64) 양단 및 상기 제2성형장치(60-2)와 맞물리는 제3성형장치(60-3)의 축(64) 일단에는 각각 베벨기어(65)가 구비되어, 제1~3성형장치(60-1,60-2,60-3)의 축(64)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70)는 모터(71)의 축과 수평방향으로 체인(73)으로 연결되는 6개의 회전축(72)이 상단의 구동축(75)과 나란히 구비되며, 상하로 구비되는 구동축(75)과 회전축(72)은 수직방향의 벨트(74)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71)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축(72)과 구동축(75) 및 성형장치(60)의 축(64)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 장치.
  6. 환봉 성형장치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전단 좌우로 체결공(10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투입프레임(100)과;
    상기 투입프레임(100) 일단 상부면에 블럭(21)으로 고정되며, 실린더로드(22)가 전후 이송되도록 구비되어, 투입되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을 타단으로 투입시키는 유압실린더(20)와;
    상기 투입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체결공(101)에 통공(32)이 형성되는 좌우 돌출부(31)가 볼트(B)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33)가 좌우로 형성되어, 상단에 ∨홈(34a)을 갖는 이송축(34)이 수직플레이트(33) 외측의 브라켓(35)에 의해 고정되는 이송롤(30)과;
    상기 투입프레임(100)의 타단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01)에 한 개가 체결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다섯 개의 롤기둥(112)의 상부면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로(20)로부터 투입되고 각각의 독립성형장치(90)를 통과하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을 이송시키는 가이드롤(40)과;
    몰드프레임(120)이 장착되는 거꾸로 된 "Y"자 형상을 갖는 장착프레임(111)이 장착되고 장착프레임(111)과 이웃하여 롤기둥(112)이 장착되되, 상기 장착프레임(111)과 롤기둥(112)은 짝을 이루어 제 1단 내지 제 5단까지 5쌍이 차례로 상부 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뚜껑이 없는 상자형태를 갖는 프레임이 장착프레임(111)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하여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장착되되, 우측면에는 상하가 180℃ 바꾸어 장착되고 1단에서부터 5단까지 다섯 개 쌍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통공(121)이 형성되는 몰드프레임(120)과;
    10개의 상기 몰드프레임(120) 내면에는 리듀서유닛(91)과 상기 리듀서유닛(91)이 장착되는 리듀서프레임(92)과 나사봉(942)으로 고정프레임(94)과 체결되는 지지프레임(93) 및 몰드프레임(12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94)으로 구성되되, 상기 리듀서유닛(91)은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의 가장자리가 육각형상의 여섯 개의 면 중 세 개의 면을 이루도록 위치한 리듀서성형롤(911)이 구비되어 구동축(913)과 몰드구동모터(918)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94)은 체결되는 지지프레임(93)을 나사잭구동모터(145)에 의해 구동되어 나사봉(142)이 전,후진을 함에 따라서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나사잭(143)이 구비되는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100-1.100-2,100-3)가 각각 구비되는 독립구동성형장치(90)와;
    상기 성형장치(90)에서 성형된 육각봉(200a)을 배출롤(81)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출다이(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의 리듀서유닛(91)은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형상의 여섯 개의 면 중 세 개의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성형롤고정키(912)에 고정되어 구동축(913)의 끝단에 체결되는 리듀서성형롤(911)과, 상기 구동축(913)의 끝단이 위치하는 상기 리듀서프레임(92) 부위에 하나가 장착되고 두 개는 리듀서성형롤(911)이 위치한 그 다음의 리듀서프레임(92)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913)과 체결되는 세 개의 베어링(914a,914b,914c)과, 상기 구동축(913)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913)과 축고정키(915)에 의해 체결되는 회전축(916)과, 몰드구동모터(918)의 회전력이 일정 비율로 전달되도록하는 기어가 조합된 구동기어하우징(917)과 구동력을 발생하는 몰드구동모터(918)로 구성되는 것을 더욱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는
    상기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리듀서성형롤(911)이 전진 및 후진을 하여 크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94)의 좌,우 양쪽에는 제1,2 지지실린더(941a,941b)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지지프레임(93)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되고 중앙에는 나사봉(942)이 관통하여 지지프레임(93)의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의 제1,2 지지실린더(941a,941b)와 나사봉(942) 각각의 돌출된 끝단이 지지프레임(93)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프레임(94)의 바깥 측면에 상기 나사봉(942)과 연결되는 나사잭(943)이 장착되고 몰드프레임(120)의 바닥면에 나사잭구동모터(945)가 나사잭기어(944)와 연결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나사잭 구동모터(9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나사봉(942)이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93)과 그에 고정된 리듀서프레임(92)이 전진 및 후진을 하여 상기 리듀서성형롤(911)이 형성하는 육각형상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는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의 제1 독립구동성형장치(90-1)는 몰드프레임(120)의 내측 수직면 상단에 구동축(913)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도록 구비되며, 제2,3 독립구동성형장치(90-2,90-3)는 상기 제1 독립구동성형장치(60-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20°간격으로 구비되고, 제1~3 독립구동성형장치(90-1,90-2,90-3)의 구동축(913)의 끝단은 리듀서프레임(92)의 일단측에 장착된 베어링(914a)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축(913)에 리듀서성형롤(911)이 장착된 다음의 부위에는 리듀서프레임(92)에 장착된 두 개의 베어링(914b,914c)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구동축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몰드구동모터(918)는 리듀서프레임(91)의 바깥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우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독립구동성형장치(90)가 구비된 리듀서프레임(92)은 상부와 하부가 180℃ 회전하여 장착되어 상기 장착프레임(111)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리듀서프레임(91)의 장착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한쌍의 상기 몰드프레임(120)의 통공(121)이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성형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제1단 내지 제5단의 각각의 상기 장착프레임(111)에 장착되는 한 쌍의 독립구동형성장치(90)와 그 내부의 세 개의 리듀서성형롤(911)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는 제1단이 이루는 육각형상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2단 내지 제5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되, 제5단의 육각형상의 크기는 스테인레스환봉(200)이 육각봉(200a)이 되었을때의 육각형상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성형장치.
KR1020110093896A 2010-10-12 2011-09-19 환봉 성형장치 KR10125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6930 WO2013042801A1 (ko) 2010-10-12 2011-09-20 환봉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9068 2010-10-12
KR1020100099068 2010-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73A KR20120037873A (ko) 2012-04-20
KR101257006B1 true KR101257006B1 (ko) 2013-04-26

Family

ID=4613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96A KR101257006B1 (ko) 2010-10-12 2011-09-19 환봉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7006B1 (ko)
WO (1) WO20130428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345B1 (ko) 2015-08-13 2016-11-01 이영식 환봉 가변 성형장치
KR102139319B1 (ko) * 2020-02-04 2020-07-29 비씨에이치스틸 주식회사 보강파이프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33B1 (ko) * 2012-05-09 2013-07-23 최형준 자립형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지주 제조장치
CN105728464A (zh) * 2016-04-09 2016-07-06 刘敢 一种六角中空钎具用钢的成型轧制方法
CN112872178B (zh) * 2020-12-25 2022-08-09 广州众山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尖角型材的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186U (ja) * 1996-01-25 1996-07-30 株式会社ユニマック 金属角パイプ製造装置
KR20060032840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한영기계 테이퍼 관부재 인발용 다이기구
KR20080024276A (ko) * 2006-09-13 2008-03-18 박가영 보강파이프 가공용 가압롤러
KR20090129008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예일하이테크 표면연마 기능을 구비한 캠 샤프트의 크리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665A (ja) * 1986-07-07 1988-01-21 Zenkoku Nogyo Kyodo Kumiai Rengokai 繁殖雌豚飼育用飼料及びそれを用いて繁殖雌豚を飼育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186U (ja) * 1996-01-25 1996-07-30 株式会社ユニマック 金属角パイプ製造装置
KR20060032840A (ko) * 2004-10-13 2006-04-18 주식회사 한영기계 테이퍼 관부재 인발용 다이기구
KR20080024276A (ko) * 2006-09-13 2008-03-18 박가영 보강파이프 가공용 가압롤러
KR20090129008A (ko) * 2008-06-12 2009-12-16 주식회사 예일하이테크 표면연마 기능을 구비한 캠 샤프트의 크리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345B1 (ko) 2015-08-13 2016-11-01 이영식 환봉 가변 성형장치
KR102139319B1 (ko) * 2020-02-04 2020-07-29 비씨에이치스틸 주식회사 보강파이프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73A (ko) 2012-04-20
WO2013042801A1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006B1 (ko) 환봉 성형장치
CN107416484A (zh) 一种板材翻板机及翻板方法
CN105584817B (zh) 一种用于精密喷砂机的翻转装置
CN110280644B (zh) 一种五金模具自动冲压加工装置
CN102320024B (zh) 磨光装置
KR101078272B1 (ko) 산업용 소재 이송장치의 그립퍼 교체장치
KR102050924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의 제조장치
CN110803490B (zh) 一种电力安装配件拉线抱箍生产配合装配机械及方法
KR20170081905A (ko) 복합프레스장치
CN206493086U (zh) 一种机械简易式滚筒拆装装置
CN206382486U (zh) 一种汽车金属件的滚锻机
CN206377098U (zh) 液压马达定位锁紧机构
CN105270843A (zh) 一种具有旋转和平移运动功能的传送辊
CN102602027B (zh) 一种粉料模压成型产品的生产设备
KR930007616B1 (ko) H빔 벤딩장치
CN110560612A (zh) 一种钢筋旋转落料装置
CN102764803A (zh) 自动轧筋机
CN203197068U (zh) 一种用于圆弧形齿条加工的齿形成型装置
CN206926072U (zh) 一种制砖机的送砖坯装置
CN220536639U (zh) 型钢输送机构以及上下料输送装置
CN219724320U (zh) 一种辊压成型机
CN211003095U (zh) 一种适用于制作空罐设备的传送装置
CN204504936U (zh) 一种同步器齿毂去毛刺机
CN210359113U (zh) 一种便于清理保养的碾轮式混砂机
CN211539043U (zh) 一种建筑工程用压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