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481B1 - 조립형 빗물 저류조 - Google Patents

조립형 빗물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481B1
KR101256481B1 KR1020100091642A KR20100091642A KR101256481B1 KR 101256481 B1 KR101256481 B1 KR 101256481B1 KR 1020100091642 A KR1020100091642 A KR 1020100091642A KR 20100091642 A KR20100091642 A KR 20100091642A KR 101256481 B1 KR101256481 B1 KR 101256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late
column
pillar means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685A (ko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4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철근(12)과 단턱(16)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단턱(16)의 맞물림시 중첩되는 철근(12)에 접근하기 위한 절개홈(14)을 구비하는 저판(10); 상기 저판(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기둥수단(20); 상기 기둥수단(20)의 외곽부로 맞물려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벽판(40); 및 상기 기둥수단(20)의 상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빗물 저류조의 주요 골격이 단순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차량을 이용한 세척이나 보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빗물 저류조{Assembled rain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요 골격이 단순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차량을 이용한 세척이나 보수작업이 용이한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상기후 현상에 의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해지면서 홍수 등으로 인한 도심, 공단, 농경지 등의 침수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어 우수 수용한계를 증대시켜 위험을 감소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저류조를 설치하여 살수용수, 조경용수, 수세용수, 청소용수 등으로 이용하는 방안이 수자원의 확보는 물론 홍수의 예방을 위한 최선의 관리대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저류조의 설치에 있어서 부지의 크기에 맞추어 시공이 신속하고 편리해야 하므로 필요에 따라 연장과 축소가 가능한 조립식 구성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702860호의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24215호의 "조립식 빗물저장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6379호의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702860호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저류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판부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저류조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상호 접하도록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가 각 블록으로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각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저류블록과; 상기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 및 상기 저류블록 간 연결을 위해 서로 맞닿은 각 블록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블록연결부재와; 상기 외벽체블록과 저류블록의 각 상단에 대응 설치 고정되어 밀폐공간의 저류조를 형성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24215호는 다수의 통공이 외주면에 형성된 유공관과; 육면체의 외각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설치되면서 수평의 유공관과 수직의 유공관 및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유공관을 연결 구성하는 외각면 연결부재와; 육면체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며 유공관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연결부를 형성하는 수평모서리 연결부재 및 수직모서리 연결부재와; 육면체의 꼭지점에 설치되며 유공관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연결부를 형성하는 꼭지부 연결부재와; 육면체의 외각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대각선으로 설치되는 보강연결부재와; 상기 육면체의 내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유공관을 연결하는 삽입연결부를 형성하는 내측중간연결부재와; 육면체의 외각면을 형성하도록 결합공에 볼트에 의해 부착되는 방수용 판넬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상기의 선행특허들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공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저수용량을 증대하기에 한계가 있고 시공 완료후 관리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통행이 불가하여 세척이나 보수작업에 불편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골격이 단순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차량을 이용한 세척이나 보수작업이 용이한 조립형 빗물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철근과 단턱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단턱의 맞물림시 중첩되는 철근에 접근하기 위한 절개홈을 구비하는 저판; 상기 저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기둥수단; 상기 기둥수단의 외곽부로 맞물려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벽판; 및 상기 기둥수단의 상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판은 단턱의 맞물림시 중첩되는 철근에 접근하기 위한 절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둥수단은 4방요홈을 지닌 내부컬럼과, 3방요홈을 지닌 변부컬럼과, 2방요홈을 지닌 코너컬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둥수단의 내부컬럼은 연결판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판과 기둥수단은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너트슬리브를 구비하고, 상판은 볼트 체결을 위한 관체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의하면, 주요 골격이 단순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간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차량을 이용한 세척이나 보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의 주요 골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의 저판 시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의 상판 시공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의 저류조 분야에 해당한다. 주요 구성은 저판(10), 기둥수단(20), 벽판(40), 상판(50)으로 이루어지고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판(10)은 철근(12)과 단턱(16)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다. 저판(10)의 철근(12) 중 일부는 적어도 일변에서 일정한 길이로 노출되어 저판(10)끼리 결합시 상호 중첩된다. 도 2에는 철근(12)이 일변에 노출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2변 또는 3변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다. 단턱(16)도 일변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2변 이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판(10)은 단턱(16)의 맞물림시 중첩되는 철근(12)에 접근하기 위한 절개홈(14)을 구비한다. 절개홈(14)은 수직으로 천공되어 철근(12)을 노출하는 부분과 수평으로 절개되어 상대편 철근(12)을 유도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저판(10)끼리 맞물리는 순간 일측의 철근(12)이 상측으로 타측의 철근(12)이 하측으로 중첩되고, 작업자는 절개홈(14)을 통하여 중첩된 철근(12)을 용접하거나 타이(도시 생략)로 결속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둥수단(20)은 상기 저판(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기둥수단(20)은 저류공간에 고르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곽의 것과 내부의 것이 형태적으로 약간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기둥수단(20)은 4방요홈(22)을 지닌 내부컬럼(21)과, 3방요홈(24)을 지닌 변부컬럼(23)과, 2방요홈(26)을 지닌 코너컬럼(25)을 구비한다. 변부컬럼(23)과 코너컬럼(25)은 저류공간의 외곽을 구성하고, 그 외의 저류공간에 배치되는 것은 모두 내부컬럼(21)이다. 내부컬럼(21)은 변부컬럼(23) 또는 이웃하는 내부컬럼(21)과 사방으로 연결하기 위한 4방요홈(22)을 지닌다. 반면 변부컬럼(23)은 내부컬럼(21), 코너컬럼(25), 이웃하는 변부컬럼(23)과 3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3방요홈(24)을 지닌다. 코너컬럼(25)은 변부컬럼(23)과 2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2방요홈(26)을 지닌다. 후술하는 것처럼 4방요홈(22)과 3방요홈(24)은 전체 길이(높이)에 걸쳐 형성되지만 그중 일부는 짧은 길이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기둥수단(20)의 내부컬럼(21)은 연결판(3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연결판(30)은 후술하는 벽판(40)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폭(높이)이 좁게 형성된다. 4방요홈(22)과 3방요홈(24)에서 연결판(30)의 단턱(36)과 끼움되는 부분은 그 폭에 맞추어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벽판(40)은 상기 기둥수단(20)의 외곽부로 맞물려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벽판(40)은 양변에 단턱(46)을 지니는 구조이고 단턱(46)을 이용하여 변부컬럼(23)과 변부컬럼(23) 사이 또는 변부컬럼(23)과 코너컬럼(25) 사이에 설치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판(50)은 상기 기둥수단(20)의 상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판(50)도 양변에 단턱(56)을 지니는 구조이고 벽판(40)과 연결판(30)의 상단에 맞물려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저판(10)과 기둥수단(20)은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너트슬리브(18)(28)를 구비하고, 상판(50)은 볼트 체결을 위한 관체슬리브(58)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내부컬럼(21), 변부컬럼(23), 코너컬럼(25)은 각각 하단부에 볼트 체결을 위한 자리를 지니고 저판(10)에 설치되는 너트슬리브(18)와 볼트로 체결된다. 내부컬럼(21), 변부컬럼(23), 코너컬럼(25)의 상단부에는 너트슬리브(28)가 설치되고, 상판(50)에 설치되는 관체슬리브(58)와 볼트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너트슬리브(18)(28)와 관체슬리브(58)는 프리캐스트 슬래브 형성시 일체로 설치된다.
시공에 있어서, 지정된 부지에 터파기를 완료한 후에 저판(10)을 설치하고, 저판(10)의 상측으로 기둥수단(20)을 볼트로 고정하고, 기둥수단(20) 사이에 연결판(30)과 벽판(40)을 끼움 방식으로 설치하고, 기둥수단(20)의 상단에 상판(50)을 볼트로 고정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물론 저판(10)의 철근(12)을 연결한 후에 절개홈(14)은 몰탈을 충진하는 것이 좋고, 각 연결부의 기밀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팽창지수링 또는 수팽창지수재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방식의 저류조는 외곽의 벽판(40)를 제외하면 내부에 연결판(30) 외에 벽판이 없으므로 동일한 크기에 비하여 저류용량이 증대되며 저판(10)에 걸림턱이 없이 차량이 이동하기 편리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저판 12: 철근
14: 절개홈 16, 36, 46: 단턱
18, 28: 너트슬리브 20: 기둥수단
21: 내부컬럼 22: 4방요홈
23: 변부컬럼 24: 3방요홈
25: 코너컬럼 26: 2방요홈
30: 연결판 40: 벽판
50: 상판 58: 관체슬리브

Claims (5)

  1. 조립형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철근(12)과 단턱(16)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단턱(16)의 맞물림시 중첩되는 철근(12)에 접근하기 위한 절개홈(14)을 구비하는 저판(10);
    상기 저판(1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는 기둥수단(20);
    상기 기둥수단(20)의 외곽부로 맞물려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벽판(40); 및
    상기 기둥수단(20)의 상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상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 저류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수단(20)은 4방요홈(22)을 지닌 내부컬럼(21)과, 3방요홈(24)을 지닌 변부컬럼(23)과, 2방요홈(26)을 지닌 코너컬럼(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 저류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수단(20)의 내부컬럼(21)은 연결판(3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 저류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10)과 기둥수단(20)은 각각 볼트 체결을 위한 너트슬리브(18)(28)를 구비하고, 상판(50)은 볼트 체결을 위한 관체슬리브(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빗물 저류조.
KR1020100091642A 2010-09-17 2010-09-17 조립형 빗물 저류조 KR101256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42A KR101256481B1 (ko) 2010-09-17 2010-09-17 조립형 빗물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42A KR101256481B1 (ko) 2010-09-17 2010-09-17 조립형 빗물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85A KR20120029685A (ko) 2012-03-27
KR101256481B1 true KR101256481B1 (ko) 2013-04-19

Family

ID=4613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42A KR101256481B1 (ko) 2010-09-17 2010-09-17 조립형 빗물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2734B (zh) * 2016-03-24 2018-08-14 昆明普尔顿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组合式加强筋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009A (ko) * 2006-09-06 2007-08-20 (주)관영이엔지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100938223B1 (ko) *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85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08B1 (ko)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CN103572873A (zh) 装配整体式楼板及其施工方法
CN109403545B (zh) 一种高装配率钢管混凝土框架结构体系及连接方法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CN205637239U (zh) 全装配式钢管混凝土边框组合剪力墙结构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143511B1 (ko) 우수저류조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256481B1 (ko) 조립형 빗물 저류조
CN203475609U (zh) 建筑物叠合楼板与钢管剪力墙的连接结构
KR100929687B1 (ko) 암거용 어셈블리
CN212078858U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水池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CN113530055A (zh) 免支模超大管井封堵结构及方法
CN108642992B (zh) 一种水泥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18060417U (zh) 一种逆作法施工地下构筑物竖向结构混凝土浇捣结构
KR102507299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벽 패널을 이용한 지상 pc 주차장 및 그 시공방법
JP4147090B2 (ja) 地下貯水槽用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15873B1 (ko) 누수 및 부식 방지가 완벽한 빗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