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313B1 -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313B1
KR101256313B1 KR1020110098853A KR20110098853A KR101256313B1 KR 101256313 B1 KR101256313 B1 KR 101256313B1 KR 1020110098853 A KR1020110098853 A KR 1020110098853A KR 20110098853 A KR20110098853 A KR 20110098853A KR 101256313 B1 KR101256313 B1 KR 10125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hinge member
grooves
moun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017A (ko
Inventor
요시히로 다까하시
도모까즈 하시바
다까시 아라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헬스케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freez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Hin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베이스에 설치된 커버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베이스 및 너클부를 갖고, 너클부에 삽입 관통된 힌지 핀(30)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 장치(1)에 있어서, 각 설치 베이스(11, 21)의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는 커버(31)를 구비하고, 설치 베이스는 비피봇측 측면(11A)에 형성된 오목부(19)와, 힌지 핀(30)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 측면(11B)에 형성되어, 측면(11A)까지 연장되는 홈(17)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18)를 갖고, 커버(31)의 내측에는 홈(17) 내에 삽입되고, 커버(31) 장착시에 각 피결합부(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32)와, 오목부(19)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기(33)를 갖는다.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HINGE APPARATUS AND SUPER LOW TEMPERATURE FREEZ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등의 개방 상태나 폐색 상태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보유 지지하는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개구에 설치된 도어나 커버는, 당해 개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된 힌지 장치에 의해 개방 상태와 폐색 상태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힌지 장치는, 본체측에 나사 고정되는 제1 힌지 부재와, 도어측에 나사 고정되는 제2 힌지 부재와, 힌지 핀(핀 집합체)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힌지 부재는 설치 베이스와, 당해 설치 베이스에 힌지 핀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해서 형성된 2개의 너클을 갖고 있다. 제2 힌지 부재는 설치 베이스와, 당해 설치 베이스에 상기 제1 힌지 부재의 너클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회전 방지를 위한 걸림 너클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힌지 부재의 각 너클에는, 힌지 핀의 연장 방향으로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 구멍이 중합된 상태에서 힌지 핀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제2 힌지 부재의 설치 베이스가 고정된 도어는, 상기 힌지 핀을 중심으로 해서 제1 힌지 부재의 설치 베이스가 고정된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61306호 공보
여기서 종래의 힌지 장치에서는, 각 설치 베이스에는 본체 또는 도어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설치 베이스에는, 이러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설치 베이스는, 아연 다이캐스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반해, 커버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 베이스의 외면 및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걸쳐서 커버 설치용에 움푹 들어간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각 양측면에 커버측에 형성된 돌기를 끼워 맞춰 보유 지지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를 약간 굽히면서 설치 베이스의 단차부에 끼워 맞추고, 커버측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각 설치 베이스측의 홈에 끼워 맞춤으로써, 커버를 설치 베이스에 설치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유지 보수 등을 위해, 커버를 설치 베이스로부터 제거할 때,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설치 베이스의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과, 커버 사이에 삽입하지 않으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커버의 제거 작업성이 번잡해질 뿐 아니라, 커버나 설치 베이스의 측면이 공구에 의해 흠집이 생겨, 외관의 저하나, 파손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설치 베이스에 설치된 커버의 착탈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초저온 냉동고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힌지 장치는,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고, 설치 베이스는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커버의 내측에는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커버가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오목부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돌기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커버는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돌조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오목부 및 돌기는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나사 구멍은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오목 함몰부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 함몰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고, 커버는 상기 보강 리브도 합쳐서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의 힌지 장치는,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고, 설치 베이스는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커버의 내측에는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고, 커버가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어,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돌조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의 초저온 냉동고는 단열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를 구비하고,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힌지 장치의 제1 힌지 부재를 본체에 나사 고정하고, 제2 힌지 부재를 단열 도어에 나사 고정하여, 본체에 단열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고, 설치 베이스는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커버의 내측에는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커버가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오목부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버의 결합부를 설치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측의 단부로부터 홈 내에 삽입하고, 슬라이드해 가서 피결합부에 결합시키고, 돌기를 오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커버를 설치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는 설치 베이스의 타측에 있어서는 돌기가 오목부 내에 진입하고,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있어서는 결합부가 피결합부에 결합하므로, 피결합부와 결합부와의 결합 정도를 과도하게 강하게 하지 않고, 커버는 안정적으로 설치 베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는 홈에 안내되어서 피결합부에 결합하므로, 설치할 때의 조작성도 양호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명 이외에, 돌기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결합부를 용이하게 홈 내에 진입시켜, 피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다 한층 커버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발명 이외에, 커버는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돌조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돌조도 홈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안정적(분리 방지)으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를 홈에 삽입 분리할 때도 돌조와 홈은 결합하고 있으므로, 설치 베이스에 대하여 커버가 기울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발명 이외에, 오목부 및 돌기는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 베이스의 타측에 있어서의 결합 강도(보유 지지력)가 향상되어, 부상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발명 이외에, 나사 구멍은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오목 함몰부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 함몰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며, 커버는 상기 보강 리브도 합쳐서 은폐함으로써, 보강 리브에 의해 설치 베이스를 보강할 수 있고, 상기 설치 베이스의 깨짐의 발생을 방지 혹은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는 보강 리브도 은폐하기 때문에,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에 있어서,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여, 설치 베이스는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커버의 내측에는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커버가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고,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돌조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결합부를 설치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측의 단부로부터 홈 내에 삽입하고, 슬라이드해 가서 피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이때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돌조를 홈 내에 진입시켜서 결합시킴으로써, 커버를 설치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의 돌조는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결합부와 결합부와의 결합 정도를 과도하게 강하게 하지 않고, 더욱 안정적(분리 방지)으로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를 안정적으로 설치 베이스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단열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를 구비한 초저온 냉동고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힌지 장치의 제1 힌지 부재를 본체에 나사 고정하고, 제2 힌지 부재를 단열 도어에 나사 고정하여, 본체에 단열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함으로써, 초저온 냉동고의 단열 도어는 단열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중량도 증가하게 되지만, 제1 및 제2 힌지 부재의 설치 베이스를 나사 고정하는 형태의 힌지 장치에 의하면, 이 무거운 단열 도어를 문제없이 피봇할 수 있어, 상기 각 발명은 초저온 냉동고에는 적합한 것이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힌지 장치를 적용한 초저온 냉동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초저온 냉동고의 힌지 장치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3은 힌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커버를 뗀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6은 다른 실시예로서의 커버를 뗀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힌지 장치(1)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당해 힌지 장치(1)를 적용한 초저온 냉동고(S)를 예로 들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초저온 냉동고(S)의 사시도, 도2는 힌지 장치(1) 부분의 확대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초저온 냉동고(초저온 저장고)(S)는, 예를 들어 장기 저온 보존을 행하는 냉동 식품의 저장이나, 생체 조직이나 검체 등의 초저온 보존에 사용되는 것이며, 전방면에 개구한 단열 상자체(2)에 의해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단열 상자체(2)는, 모두 전방면에 개구한 강판제의 외부 상자(3)와 내부 상자와, 이들 양 상자의 전방 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합성 수지제가 도시하지 않은 브레이커와, 이들 외부 상자(3), 내부 상자, 브레이커로 둘러싸인 공간 내를 현장 발포 방식으로 충전된 폴리우레탄 수지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상자 내를 전방면에 개구한 저장실로 하고 있다.
브레이커의 전방면은 계단 형상으로 성형되고 있고, 거기에 도시하지 않은 패킹을 통해 단열 도어(5)가 일단부, 본 실시예에서는 1측단부를 중심으로 복수의 본원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 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단열 도어(5)에서 단열 상자체(본체)(2) 내부의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는, 개폐 가능하게 폐색된다.
그리고, 이 단열 상자체(2)의 하방에는, 저장실 내를 소정의 냉각 온도, 예를 들어 -85℃ 이하의 초저온으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닛이 배치된 유닛부(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 도어(5)의 전방면에는, 당해 초저온 냉동고(6)의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7)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목표로 하는 저장실 내 온도(고 내 온도)를 예를 들어 -85℃ 이하로 하기 위해서, 저장실 내와 외기를 구획하는 단열 상자체(2)는, 고 내 온도를 0℃ 부근으로 설정하는 저온고에 비해서 큰 단열 능력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수지 단열재만에 의해 당해 단열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두께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한정된 본체 치수에서는, 저장실의 수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열 상자체(2)는, 외부 상자(3)의 내벽면에 그라스울(glass wool)제의 진공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고, 당해 진공 단열재에 의한 단열 능력에 따라, 폴리우레탄 수지 단열재의 두께 치수를 작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초저온이 되는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단열 도어(5)는, 큰 단열 능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단열 상자체(2)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수지 단열재나 그라스울제의 진공 단열재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단열 도어(5)의 두께 치수는, 통상 6cm 정도를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단열 도어(5) 자체의 중량은 20kg 정도까지 나가게 되어, 상기 단열 도어(5)를 본체인 단열 상자체(2)에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 가능하게 하는 힌지 장치(1)는, 상당한 중량을 보유 지지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이하에 본원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의 상세에 대해서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도1의 초저온 냉동고의 힌지 장치(1)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3은 힌지 장치(1)의 사시도, 도4는 커버를 뗀 상태를 나타내는 힌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커버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힌지 장치(1)는, 초저온 냉동고의 단열 상자체(2)의 측면의 전방 테두리부(전방면 개구측 테두리부)에 나사 고정으로 고정되는 제1 힌지 부재(10)와, 당해 단열 상자체(2)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단열 도어(5)에 나사 고정으로 고정되는 제2 힌지 부재(20)와, 이들 힌지 부재(10, 20)의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힌지 핀(30)으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 부재(10) 및 제2 힌지 부재(20)는, 각각 일측(피봇측)에 복수의(이 경우 2개의) 너클부(12, 12 혹은 22, 22)가 형성된 설치 베이스(11, 21)로 이루어진다. 당해 설치 베이스(11, 21)는 아연 다이캐스트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설치 베이스(11, 21)에 형성된 각 너클부(12, 22)는, 모두 힌지 핀(30)의 축 방향에 관통하는 핀 구멍(12A)(너클부(22)의 핀 구멍은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힌지 부재(10, 20)에 형성된 너클부(12, 22)는, 서로 교합되는 위치에서 설치 베이스(11, 21)보다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이들 너클부(12, 22)가 교대로 인접해서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각 핀 구멍은 중합되고, 힌지 핀(30)이 인접하는 각 너클부(12, 22)에 삽입 관통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설치 베이스(11, 21)의 외면측에는, 외주 단부보다도 단열 상자체(2) 혹은 단열 도어(5)측으로 후퇴한 오목 함몰부(13, 23)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오목 함몰부(13, 23)에 단열 상자체(2) 또는 단열 도어(5)에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설치용 나사를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구멍(14, 2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나사 구멍(14, 24)은 모두 힌지 핀(30)의 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 함몰부(13, 23) 내에 당해 각 나사 구멍(14, 24)을 피한 위치이며, 힌지 핀(30)의 축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 리브(15, 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중량이 큰 단열 도어(5)가 나사 고정에 의해 보유 지지됨으로써, 각 나사 구멍(14, 24) 개소에서, 힌지 핀(30)의 축 방향에 하중이 가해져도, 힌지 핀(30)의 축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보강 리브(15, 25)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은 중량이 큰 단열 도어(5)를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힌지 장치(1)의 경우에도, 설치 베이스(11, 21)의 깨짐의 발생을 방지 혹은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로 인해, 단열 도어(5)의 탈락 등을 피할 수 있고, 안전한 개폐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각 설치 베이스(11, 21)에는, 오목 함몰부(13, 23)에 형성된 각 나사 구멍(14, 24), 보강 리브(15, 25), 나사 구멍(14, 24)에 삽입 관통된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31, 3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각 설치 베이스(11, 21)에 설치되는 커버(31)는, 힌지 핀(30)의 축 방향으로 역회전시킴으로써 공용할 수 있다.
각 설치 베이스(11, 21)는 각각 너클부(12, 22)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타측(비피봇측)에 위치하는 측면(11A, 21A) 및 힌지 핀(30)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11B, 21B)에는, 커버(30)를 각 측면(11A, 21A, 11B, 21B)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편평하게 수납 보유 지지하는 단차부(16, 2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11A, 21A)에 위치하는 단차부(16, 26)에는, 당해 단차부(16, 26)보다도 더 내측을 향해서 오목해진 오목부(19)(측면(21A)측의 오목부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오목부(19)는, 힌지 핀(30)의 축 방향에 복수, 예를 들어 2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당해 오목부(19)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단일 혹은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측면(11B, 21B)에 형성된 단차부(16, 26)에는, 힌지 핀(30)측으로부터 각각 측면(11A, 21A)에까지 연장되는 홈(17, 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홈(17, 27) 내의 힌지 핀(30)측의 단부에는, 추가로 이 홈을 깊게 한 피결합부(18, 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31)는, 예를 들어 경질 합성 수지(일례로서 ABS)로 형성된 것이며, 설치 베이스(11, 21)측 및 힌지 핀(30)측의 면이 개구한 직사각형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버(31)는, 힌지 핀(30)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대응하는 내면(상기 측면(11B, 21B)에 대응하는 면)(31B)에, 각 단차부(16, 26)측으로 돌출된 결합부(32, 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2)는, 측면(11A, 21A)측에서 개구된 각 홈 단부(17A, 27A)보다 상기 홈(17, 27) 내에 삽입되고, 당해 홈(17, 27)에서 안내됨으로써 요동 가능해질 뿐 아니라, 상기 커버(31)가 각 설치 베이스(11, 21)의 오목 함몰부(13, 23)를 은폐한 상태에서 각 피결합부(18, 2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당해 결합부(32)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설치 베이스(11, 21)측의 단부면에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절결(34, 34)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결합부(32)의 내측 단부면(홈(17, 27)측에 면하는 단부면)(32A)은, 절결(34)측을 향해서 후퇴한 단면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커버(31)는, 각 설치 베이스(11, 21)의 너클부(12, 22)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타측(비피봇측)에 대응하는 내면(상기 측면(11A, 21A)에 대응하는 면)(31A)에 각 단차부(16, 26)측에 돌출된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3)는,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A, 21A)에 형성된 오목부(19)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9)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오목부(19)의 수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9)는 2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33)도 마찬가지로 2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커버(31, 31)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 힌지 부재(10)의 설치 베이스(11)를 단열 상자체(2)의 측면의 전방 테두리부에 설치용 나사에 의해 고정하고, 제2 힌지 부재(20)의 설치 베이스(21)를 단열 도어(5)의 측면에 설치용 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2 힌지 부재(20)가 고정된 단열 도어(5)는, 제1 힌지 부재(10)가 고정된 단열 상자체(2)에 대하여 힌지 핀(3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고, 단열 상자체(2)에 단열 도어(5)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된다.
각 설치 베이스(11, 21)의 오목 함몰부(13, 23)를 커버(31, 31)를 설치함으로써 은폐한다. 이때, 우선 커버(31)의 힌지 핀(30)측에 개구한 단부면을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B, 21B)의 측면(11A, 21A) 측단부에 할당하고, 커버(31)의 내면(31B)에 형성된 결합부(32)를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B, 21B)에 형성된 홈 단부(17A, 27A)보다 상기 홈(17, 27) 내에 삽입한다. 홈(17, 27)에서 안내되는 바와 같이 커버(31)를 힌지 핀(30)측에 미끄럼 이동시키고, 커버(31)가 설치 베이스(11, 21)의 오목 함몰부(13, 23)(설치용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커버(31)의 결합부(32)는 홈(17, 27) 내에 형성된 피결합부(18, 28) 내에 움푹 들어가서 결합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커버(31)의 내면(31A)에 형성된 돌기(33, 33)는,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A, 21A)에 형성된 오목부(19) 내부에 진입해서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31)의 결합부(32)를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A, 21A)측의 홈 단부(17A, 27A)로부터 홈(17, 27) 내에 삽입하고, 슬라이드해 가서 피결합부(18, 28)에 결합시키고, 돌기(33)를 오목부(19) 등에 결합시킴으로써, 커버(31)를 각 설치 베이스(11, 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31)는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A, 21A)측(타측)에 있어서는 돌기(33)가 오목부(19) 내에 진입하고, 힌지 핀(30)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측면(11B, 21B)측)에 있어서는 결합부(32)가 피결합부(18, 28)에 결합하므로, 피결합부(18 또는 28)와 결합부(32)와의 결합 정도를 과도하게 강하게 하지 않고, 커버(31)는 안정적으로 각 설치 베이스(11, 21)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31)를 제거할 때에는, 커버(31)를 힌지 핀(30)과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커버(31)측의 결합부(32)를 피결합부(18, 28)로부터 그의 가요성에 의해 해제시키고, 동시에 돌기(33)와 오목부(19) 등과의 결합을 해제시켜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31)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32)는 홈(17, 27)에 안내되어서 피결합부(18, 28)에 결합하므로, 설치할 때의 조작성도 양호해진다. 특히, 커버(31)의 미끄럼 이동(슬라이드)은, 단열 도어(5)를 폐쇄한 상태에서, 단열 상자체(2)의 측면을 따라, 혹은 단열 도어(5)의 측면을 따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도 커버(31)의 탈착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31)에 형성된 돌기(33) 및 설치 베이스(11, 21)에 형성된 오목부(19) 등은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31)가 설치 베이스(11, 21)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베이스(11, 21)의 측면(11A, 21A)측(타측)에 있어서의 결합 강도(보유 지지력)가 향상되어, 부상이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설치 베이스(11, 21)는, 그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사 구멍(14, 24)이 형성된 오목 함몰부(13, 23)에 보강 리브(15, 25)가 형성되어 있으나, 당해 보강 리브(15, 25)도, 나사와 함께 커버(31)로 은폐되기 때문에,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만일 수지로 형성된 커버(31)의 변형 등으로 인해, 원활하게 설치 베이스(11, 21)를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상기 절결(34)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공구의 단부를 결합부(32)의 사다리꼴 형상의 내측 단부면(32A)을 따르게 함으로써, 원활하게 결합부(32)와 피결합부(18, 28)와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일의 경우에도 원활하게 커버(31)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1)에 형성되는 결합부(32)는, 돌기(3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 즉 힌지 핀(30)측의 단부(32)가 힌지 핀(30)측을 향해서 낮게 경사진 경사면으로 됨과 함께, 당해 결합부(32)의 돌기(33)측, 즉 내면(31A)측에, 상기 내면(31A)측을 향해서 연장함과 함께, 각 홈(17, 27)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35)를 형성해도 좋다. 결합부(32)는, 당해 돌조(35)보다도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커버(31)가 설치 베이스(11, 21)에 설치된 상태에서, 돌조(35)의 설치 베이스의 일측(너클부측) 단부에, 당해 돌조(35)보다도 돌출된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돌기(3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부(32)의 단부(32B)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커버(31)의 결합부(32)를 용이하게 홈(17, 27) 내에 진입시키고, 피결합부(18, 28)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31)의 설치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의 내면(31B)에 홈(17, 27)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3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조(35)보다도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결합부(32)와 함께 설치 베이스(11, 21)측의 홈(17, 27)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분리 방지)으로 커버(31)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2)를 홈(17, 27)에 삽입 분리할 때도 돌조(35)와 홈(17, 27)은 결합하고 있으므로, 설치 베이스(11, 21)에 대하여 커버(31)가 기울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분리할 수 있다. 설치할 때의 조작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커버(31)의 내면(31B)에 홈(17, 27)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35)를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 즉 내면(31A)까지 연장시켜서 형성함으로써(도시하지 않음), 상기 돌조(35)보다도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결합부(32)와 함께, 홈(17, 27) 전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결합부(18, 28)와 결합부(21)와의 결합 정도를 과도하게 강하게 하지 않고, 더욱 안정적(분리 방지)으로 커버(31)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31)를 안정적으로 설치 베이스(11, 21)에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힌지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초저온 냉동고(S)에 있어서의 단열 도어(5)를 단열 상자체(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피봇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쪽에 제1 힌지 부재(10)를 고정하고, 다른쪽에 제2 힌지 부재(20)를 고정함으로써, 이들을 힌지 핀(30)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면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초저온 냉동고(S)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열 도어(5)의 단열 두께가 두껍고, 중량도 증가할 경우에는, 본원 발명과 같은 제1 및 제2 힌지 부재(10, 20)의 설치 베이스(11, 21)를 나사 고정하는 형태의 힌지 장치(1)에 의하면, 이 무거운 단열 도어(5)를 문제없이 피봇할 수 있어, 보다 적합한 것이 된다.
S 초저온 냉동고
1 힌지 장치
2 본체
5 단열 도어
10 제1 힌지 부재
11, 21 설치 베이스
12, 22 너클부
12A 핀 구멍
13, 23 오목 함몰부
14, 24 나사 구멍
15, 25 보강 리브
16, 26 단차부
17, 27 홈
17A, 27A 홈 단부
18, 28 피결합부
19 오목부
20 제2 힌지 부재
30 힌지 핀
31 커버
32 결합부
32A 내측 단부면
32B 단부
33 돌기
34 절결
35 돌조

Claims (7)

  1.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이며,
    상기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 베이스는,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상기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오목부 내에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부의 단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조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돌기는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은 상기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오목 함몰부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 함몰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보강 리브도 합쳐서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설치 베이스와 상기 설치 베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너클부를 각각 갖는 제1 힌지 부재 및 제2 힌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너클부의 핀 구멍에 힌지 핀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상기 제1 힌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2 힌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이며,
    상기 각 설치 베이스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설치용 나사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 베이스는, 상기 힌지 핀의 축 방향의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는 홈과, 각 홈 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피결합부를 갖고,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각 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나사를 은폐한 상태에서 상기 각 피결합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각 홈 내에 각각 진입해서 결합하는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조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단열벽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의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도어를 구비하고,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 장치의 상기 제1 힌지 부재를 상기 본체에 나사 고정하고, 상기 제2 힌지 부재를 상기 단열 도어에 나사 고정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단열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피봇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저온 냉동고.
KR1020110098853A 2010-10-29 2011-09-29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KR101256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3637A JP5535035B2 (ja) 2010-10-29 2010-10-29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超低温フリーザ
JPJP-P-2010-243637 2010-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17A KR20120046017A (ko) 2012-05-09
KR101256313B1 true KR101256313B1 (ko) 2013-04-18

Family

ID=4486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53A KR101256313B1 (ko) 2010-10-29 2011-09-29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85167B2 (ko)
EP (1) EP2447454B1 (ko)
JP (1) JP5535035B2 (ko)
KR (1) KR101256313B1 (ko)
CN (1) CN1024656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396A (zh) * 2012-09-05 2012-11-28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制冷设备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JP6212319B2 (ja) * 2013-07-29 2017-10-11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の扉装置
US20150074944A1 (en) * 2013-09-16 2015-03-19 Marine Town Inc. Covered hinge assembly
JP6289281B2 (ja) * 2014-06-16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20160076287A1 (en) * 2014-09-17 2016-03-17 Guido Sandoval Door Hinge Cover
JP6392100B2 (ja) * 2014-12-03 2018-09-19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ヒンジ及び収容庫
EP3029244B1 (de) * 2014-12-04 2021-10-27 dormakaba Deutschland GmbH Blendenanordnung für einen beschlag
USD861456S1 (en) 2015-08-27 2019-10-01 Guido Sandoval Hinge cover
JP2017077416A (ja) * 2015-10-21 2017-04-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及び、ヒンジ
WO2017154735A1 (ja) * 2016-03-11 2017-09-14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超低温フリーザ
CN106593157A (zh) * 2017-02-24 2017-04-26 浙江正宏五金有限公司 一种合页
US10745951B2 (en) * 2017-04-25 2020-08-18 Bumperhero Llc Hinge cover
WO2019163342A1 (ja) * 2018-02-20 2019-08-2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
KR102037977B1 (ko) * 2019-05-28 2019-10-29 이용재 무비스 스토퍼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40Y1 (ko) * 2001-01-11 2001-06-15 서춘식 조립부재의 경사진 고정구
KR20040071009A (ko) * 2003-02-06 2004-08-11 박행용 칼날 케이스
US20100088850A1 (en) * 2008-10-09 2010-04-15 Dringenberg Steven A Hinge cover for external vehicle hinges
JP2010196321A (ja) * 2009-02-24 2010-09-09 Itoki Corp 回動扉のヒンジ取付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567A (en) * 1974-09-24 1975-09-09 Stanley Works Two knuckle hinges
LU81478A1 (fr) * 1979-07-09 1979-10-31 Para Press Sa Dispositif de montage d'un vantail de porte
US4766519A (en) * 1986-12-04 1988-08-23 Bernd Heiland Housing, particularly for hand held devices
JP3346691B2 (ja) * 1994-10-05 2002-11-18 株式会社西製作所 扉用ヒンジ
US5765263A (en) * 1996-07-15 1998-06-16 Southco, Inc. Door positioning hinge
GB2342120B (en) * 1996-07-15 2001-02-28 Southco Door positioning hinge
JPH10121821A (ja) * 1996-10-22 1998-05-12 Nishimura:Kk 羽根板の使用勝手が選択出来る調節機構付旗蝶番
GB2350936B (en) * 1999-06-11 2001-08-15 Marconi Comm Ltd Enclosure
JP3671801B2 (ja) * 2000-02-21 200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池蓋の保持構造
US6554239B2 (en) * 2000-08-23 2003-04-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adle for connecting two hand-held devices to form a single unit
JP4334401B2 (ja) * 2003-10-21 2009-09-30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貯蔵庫
JP4712055B2 (ja) * 2008-02-12 2011-06-29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扉開閉装置
CN201347667Y (zh) * 2008-12-25 2009-11-18 陈于恭 可内外打开的玻璃门铰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40Y1 (ko) * 2001-01-11 2001-06-15 서춘식 조립부재의 경사진 고정구
KR20040071009A (ko) * 2003-02-06 2004-08-11 박행용 칼날 케이스
US20100088850A1 (en) * 2008-10-09 2010-04-15 Dringenberg Steven A Hinge cover for external vehicle hinges
JP2010196321A (ja) * 2009-02-24 2010-09-09 Itoki Corp 回動扉のヒンジ取付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97407A (ja) 2012-05-24
EP2447454B1 (en) 2017-09-13
US20120104922A1 (en) 2012-05-03
KR20120046017A (ko) 2012-05-09
JP5535035B2 (ja) 2014-07-02
EP2447454A3 (en) 2014-07-23
CN102465643A (zh) 2012-05-23
EP2447454A2 (en) 2012-05-02
US8585167B2 (en)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313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저온 냉동고
EP273087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20120062093A1 (en) Refrigerator
KR101949738B1 (ko) 냉장고용 레일 조립체 및 냉장고
WO2015149832A1 (en) Improved hinge assembly for flap door in refrigeration appliance
US11796243B2 (en) Refrigerator
JP5156425B2 (ja) 断熱パネル
US20190011176A1 (en) Ultra-low temperature freezer
EP3339780A1 (en) Side-by-side refrigerator
US10309135B2 (en) Handle and freezer
KR102004434B1 (ko) 냉장고
US8556359B1 (en) Refrigerator door locking assembly
US20220196317A1 (en) Refrigerator
US20210293468A1 (en) Mullion structure for an appliance
CN117190599A (zh) 冰箱
JP2022135538A (ja) 冷蔵庫の扉および冷蔵庫
KR101101811B1 (ko) 냉장고
KR100535810B1 (ko) 도어핸들 조립체
CN117190592A (zh) 冰箱
CN117190601A (zh) 冰箱
CN117190589A (zh) 冰箱
CN117190607A (zh) 冰箱
CN117190600A (zh) 冰箱
CN117190588A (zh) 冰箱
CN117190591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