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922B1 - 자동 김밥 말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김밥 말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922B1
KR101255922B1 KR1020110076371A KR20110076371A KR101255922B1 KR 101255922 B1 KR101255922 B1 KR 101255922B1 KR 1020110076371 A KR1020110076371 A KR 1020110076371A KR 20110076371 A KR20110076371 A KR 20110076371A KR 101255922 B1 KR101255922 B1 KR 10125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gimbap
unit
induction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734A (ko
Inventor
이양우
Original Assignee
이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우 filed Critical 이양우
Priority to KR102011007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9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김밥 말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김밥을 말아 성형하는 과정과, 그 성형된 김밥을 먹기좋은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 그리고, 소비자가 포장을 원할 경우, 상기 절단된 김밥을 포장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그 일련의 김밥조리 과정을, 기구적 구성에 의해 자동화 처리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노동력 소모를 예방하고, 그러한, 노동력 소모의 예방에 따라, 인건비를 대폭 절감되도록 하여, 경제성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자동 김밥 말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자동포장 유닛 상부면에, 자동말이 유닛을 적층 결합시키고;
상기 자동말이 유닛 좌,우 양측면에 속재료 보관프레임을 대칭 결합시키며;
상기 자동말이 유닛 상부면에 김 공급박스를 안착시키고;
재차, 상기 자동포장 유닛과, 자동말이 유닛의 결합부위 전방에 포장절단기를 더 결함 형성되게 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김밥 말이 장치{An auto manufacturing device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본 발명은 김밥 말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밥전문점 등에서 주로 이용되며, 별도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함 없이, 소비자가 주문한 김밥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 김밥 말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에 양념 된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 예컨대, 김밥은, 소풍이나 나들이를 갈 때 도시락으로 이용하거나, 혹은 간편한 한끼 식사대용, 또는 간식 등으로 널리 이용되는 식품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이와 같은, 김밥을 조리함에 있어서는, 먼저 살짝 구운 김을 대나무 발에 펼친 다음, 그 위에 참기름과 소금으로 간을 맞춘 밥을 펼쳐 올리고, 재차, 그 펼쳐진 밥 위에 소시지, 햄, 시금치, 우엉, 단무지, 지단 등과 같은 속 재료를 고르게 배열한다.
이어, 상기 밥과 속 재료가 올려진 김을 대나무 발에 의해 말아 돌려, 원기둥 형태의 김밥을 성형하고, 그와 같이 성형 된 김밥을 먹기좋은 두께로 썰어 접시에 올려놓음으로써, 김밥의 조리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김밥은, 비교적 간편한 조리특성으로 인해, 일반가정 내에서 직접 소량으로 조리하여 섭취할 경우, 한정된 시간이나 숙련된 조리기술 등에 구애받음 없이, 가족구성원의 기호에 따라 자유롭고 편안하게 조리하여 즐길 수 있는 음식에 해당하는 것이다.
하지만,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밥을 판매하는 업소, 예컨대, 김밥전문점 등에 있어서는, 방문하는 손님의 주문에 맞추어, 지체 없이 신속하게 원하는 만큼의 수량으로 김밥을 제공해야 하므로, 숙련된 조리사의 도움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며, 특히, 단체주문 등이 접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주문량을 제한된 시간에 맞추어 소비자에게 제공해 주어야 함에 따라, 심지어 업소에 종사하는 모든 인원이 자신의 직무, 예컨대, 김밥 이외에 다른 음식을 판매하는 일련의 영업행위 등을 중단한 채, 오로지 김밥 말이 작업에만 장시간 투입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것이었던바, 이에, 불필요한 노동력의 소모 함께, 상당한 영업 손실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조리사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래 김밥조리(말이)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김밥제조장치"(특허등록 제0865903호)가 창안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출원 기술로서의, 김밥제조장치는, 일련의 김밥 말이 과정을, 기계적 장치에 의해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종래 수작업에 비해 일부 효율성을 제공한 것이기는 하나, 이러한, 선원기술로서의 김밥제조장치는, 그 기초적인 작동원리가, 호퍼 내에 밥을 투입하고, 그 투입된 밥을 교반기에 의해 분쇄, 추출하여, 김 위에 펼쳐지도록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인바, 이에, 호퍼 내로 투입된 밥이 분쇄된 형태로 짓눌려 공급됨에 따라, 김밥 본연의 맛이 상실된 채, 소비자의 식감을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며, 특히, 식품이라는 특성상 철저한 위생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호퍼를 통해 밥이 공급되는 기구적 특성상, 그 공급되는 밥 찌꺼기가 분쇄된 형태로 교반기 및 기타 공급부위 등에 눌러 붙게 되어, 청소를 용이하지 못하게 하고, 그에 따라 부패 현상을 유발되게 하는 등 매우 심각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선출원 기술로서의 김밥제조 장치는,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밥을, 단순히 김 위에 펼쳐지게 한 후, 이를, 사각형태로 접어 누르는 방식으로 김밥을 성형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그 성형되는 김밥에는 어떠한 속 재료도 첨가되지 않음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김밥의 제공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며, 특히, 사각형태로 눌려 성형되는 김밥은, 시각적으로도 소비자의 식욕을 저하되게 하여, 오히려 김밥의 판매효율을 감소시키는 등, 그외, 다양한 작동, 기능상의 많은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구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다양한 형태의 "김밥제조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김밥을 말아 성형하는 과정과, 그 성형된 김밥을 먹기좋은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 그리고, 소비자가 포장을 원할 경우, 상기 절단된 김밥을 포장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그 일련의 김밥조리 과정을, 기구적 구성에 의해 자동화 처리되도록 하여, 업소에 손님이 갑자기 몰리거나, 혹은, 주문량이 폭주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영업활동 등에 방해를 주는 일 없이, 손님이 주문한 김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노동력 소모를 예방하고, 그러한, 노동력 소모의 예방에 따라, 인건비를 대폭 절감되도록 하여, 경제성을 극히 향상되도록 한 자동 김밥 말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 조립이 용이한 기구적 조합특성에 따라 세척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김밥의 속 재료, 예컨대, 소시지, 햄, 시금치, 우엉, 단무지, 지단 등을 냉장 보관하여, 항상 신선한 상태로 공급되게 하며, 그외, 김밥 주문량에 따른 설정 값 입력으로, 조리되는 김밥의 수량 또한 자동체크 되게 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의 부여로써, 편의성을 향상토록 함과 동시에 매출률 또한 증대되도록 한 자동 김밥 말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자동포장 유닛 상부면에, 자동말이 유닛을 적층 결합시키고;
상기 자동말이 유닛 좌,우 양측면에 속재료 보관프레임을 대칭 결합시키며;
상기 자동말이 유닛 상부면에 김 공급박스를 안착시키고;
재차, 상기 자동포장 유닛과, 자동말이 유닛의 결합부위 전방에 포장절단기를 더 결함 형성되게 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는, 김밥을 말아 성형하는 과정과, 그 성형된 김밥을 먹기좋은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말이 유닛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절단된 김밥의 포장은 자동포장 유닛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며, 기타, 포장을 필요로 함 없이, 현장에서 직접 섭취를 원할 경우 등에 있어서는, 배식판을 통해 김밥을 자동 제공되게 하여, 김밥전문점과 같은 영업점에서 일손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 예컨대, 손님이 갑자기 몰리거나, 주문량이 폭주하는 경우 등에 구애받음 없이, 주문한 김밥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간소화된 부품별 탈,착 조립관계에 의해,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김밥의 속 재료를, 냉장기능을 갖는 저장용기에 의해 항상 신선한 상태로 공급가능하게 하며, 그외, 김밥 주문량에 따른 설정 값 입력으로, 조리되는 김밥의 수량 또한 자동체크 하여, 사용 효율성을 극히 향상되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말이 유닛의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포장 유닛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속재료 보관프레임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장절단기의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덮개의 개폐작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말이 유닛의 요부 작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동포장 유닛의 요부 작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식판의 작용상태도
도 11,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할 컷팅날의 또 다른 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자동말이 유닛(1)과, 자동포장 유닛(2)과, 속재료 보관프레임(3)과, 김 공급박스(4)와, 포장절단기(5)와, 컨트롤박스(6)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첫 번째 구성요소인, 자동말이 유닛(1)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 상부면에,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와, 압착 롤링컨베이어(12)를 수평배치구조로 설치하되, 상기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는, 전후, 한쌍의 회동로울러(R1)(R2)에 대나무발(111)이 연결된 수동 회전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압착 롤링컨베이어(12)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로울러(121)와 이동로울러(122)를 수평구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시키고, 그 하부면에 전동모터(M1)가 장착된 전동로울러(123)를 배치토록 하여, 여기에 대나무발(124)을 연결시킨 역삼각 형태의 전동 회전구조로 형성하며, 재차, 이와 같이, 형성된 압착 롤링컨베이어(12)에 있어, 상기 이동로울러(122)의 좌,우 양측 단부로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랙기어, 예컨대, 한쌍의 수축구동래크(13)를 수평구조로 링크연결시키고, 이와 같이, 링크연결된 한쌍의 수축구동래크(13)에 전,후 이송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말이 유닛(1)의 좌,우 양측 벽면에 브라켓(B2)에 의해 고정된, 피니어기어(P2)를 갖는 래크전동모터(M2)를 더 설치,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와, 압착 롤링컨베이어(12)는, 자동말이 유닛(1)의 상부 좌,우 내측 벽면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것으로, 이에, 특히, 압착 롤링컨베이어(12)에 있어, 이동로울러(122)가 설치되는 부위, 예컨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말이 유닛(1)의 좌,우 양측벽면으로는, 수축구동래크(13)에 의해 상기 이동로울러(122)가 전,후 이송안내될 수 있도록, 수축유도 안내홈(H1)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와 같이,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와, 압착 롤링컨베이어(12)가 설치 형성된 자동말이 유닛(1)은, 상기 압착 롤링컨베이어 전방(12)에,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경사구조를 취하는 낙하유도 경사판(14)을 설치 구비하고, 상기 낙하유도 경사판(14) 하부면에, 컷팅날 지지판(151)과 연계된, 분할 컷팅날(15)을 설치하되, 그 분할 컷팅날(15)은, 회전축에 원판형태의 컷팅날이 이격형태로 분할 배치되고, 그 일측면이, 구동수단인 컷팅모터(M3)와 동력연결된 형태로써,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말이 유닛(1)의 전방 좌,우 양측면에 사선 절개구조를 갖는 한쌍의 커팅날 체결홈(h)을 형성되게 하여, 그 한쌍의 커팅날 체결홈(h)에 슬라이딩 구조로 탈,부착 결합되게 한다.
또한, 연속하여, 상기 자동말이 유닛(1) 내측 하부면에,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구동모터(M4)에 의해 전후, 이송작용을 행하는 판체 구성으로, 종동랙기어(161)와, 다수개의 컷팅날 유도홈(162)이 일체로 구비된 컷팅 유도블럭(16)을 내설시키고, 재차, 상기 자동말이 유닛(1) 전방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는 한쌍의 승,하강 유도기어(171)를 설치하고, 그 승,하강 유도기어(171)를 따라 상,하 이송 작동되는 배식판(17)을 더 결합형성되게 하여, 일련의 자동말이 유닛(1)을 구성토록 한다.
이때, 컷팅 유도블럭(16)에 전,후 이송동력을 전달하는 블럭 구동모터(M4)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P4)에 의해 종동랙기어(161)와 치합되는 형태를 취하며, 브라켓(B4) 고정에 의해 자동말이 유닛(1) 일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배식판(17)은, 그 내측면에 승,하강 유도기어(171)와 치합되며, 동력을 발생되게 하는 구성으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P5)를 갖는 배식구동모터(M5)를 더 장착,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두 번째 구성요소인, 상기 자동포장 유닛(2)은, 투명체의 합성수지 또는 스텐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 형태의 박스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자동포장 유닛(2)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 상부면에 단순 개방구조를 취하는 투입구(21)를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21) 하부 내측면에, 포장유도 컨베이어(22)를 설치하되, 상기 포장유도 컨베이어(22)는,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울러(221)와 수축로울러(222)를 수평구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시키고, 그 하부면에 포장구동모터(도시생략)가 장착된 포장전동로울러(223)를 배치토록 하여, 여기에 대나무발(224)을 전동 회전구조로 연결시킨 구조로 형성함이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로울러(221)는, 그 좌,우 양측면에 수축조절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수축조절기어(P7)를 더 형성하게 된다.
이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포장유도 컨베이어(12)에 있어, 재차, 상기 수축로울러(222)의 좌,우 양측 단부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랙기어, 예컨대, 한쌍의 수축유도기어(225)를 수평구조로 링크연결시키고, 이와 같이, 한쌍의 수축유도기어(225)를,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로울러(221)에 형성된 수축조절기어(P7)와 치합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장유도 컨베어어(22)는, 자동포장 유닛(1)의 내측 좌,우 벽면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것으로, 이에, 수축로울러(222)가 설치되는 부위, 예컨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포장 유닛(1)의 좌,우 양측 벽면으로는, 수축유도기어(225)에 의해 상기 수축로울러(222)가 전,후 이송안내될 수 있도록, 수축포장유도홈(H2)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하여,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포장유도 컨베이어(22) 전방에,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구조에 의해 자유회동 되는 배출버킷(23)을 형성하고, 그 배출버킷(23) 하부에, 사선경사구조를 이루는 낙하유도부재(24)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포장유도 컨베이어(22) 후측면에, 포장용 호일(A)을 자동 공급하는 호일 거치롤러유닛(25)을 형성하되, 상기 호일 거치롤러유닛(25)은,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배치구조를 이루며 자유회동 되는, 3개의 롤러부재(251)로 형성한다.
이어, 끝으로, 상기 자동포장 유닛(2)에 있어, 포장유도 컨베이어(22)의 하부면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구조에 의해 좌,우측 방향으로 가변적 회동조절되는 배출경사판(26)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경사판(26)의 끝단 근접부위, 예컨대, 자동포장 유닛(2)의 후방 하부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감지센서(271)와, 포장거치대(272)를 구비한 배출테이블(27)을 더 구비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자동포장 유닛(2)을 구성토록 한다.(도면 미설명 부호 28은 보조배출구)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세 번째 구성요소인, 상기 속재료 보관프레임(3)은,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분할된 한쌍의 대칭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은 속재료 보관프레임(3)은, 상부면에 다수개로 구획된 저장용기(31)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31) 상부면을 힌지 작동관계로 밀폐 단속하는 투명체의 덮개(32)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용기(31)가 형성된 속재료 보관프레임(3) 일측면에, 도 5 또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의 개폐를 자동으로 단속하는, 개폐단속모터(33)와, 막대기어(34)를 장착,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331은 피니언 기어)
이때, 속재료 보관 프레임(3)에 있어, 저장용기(31)는, 도 5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 일면에 냉각소자(T)가 설치되고, 거기에, 냉각수(W)가 더 충진된, 외관몸체 구성, 예컨대, 냉각수 용기(35)에 탈,부착 수용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한편, 부연적인 설명으로서, 상기 냉각수 저장용기(35)에 설치되는 냉각소자(T)는, n,p형의 열전쌍(thermo couple)을,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시킨 모듈로서, 직류전류를 인가할 경우, 열전효과에 의해 모듈의 양면에 온도차를 발생되게 하는 통상의 열전소자를 의미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냉각소자(열전소자)(T)는, 전류량에 따라 흡열 및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응답이 빠른 소용량의 냉동기나, 상온부근에서의 정밀한 서모스텟(thermostat)에 응용되고 있는 것인바,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각소자 또한, 이와 상이함이 없는 통상의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네 번째 구성요소인 김 공급박스(4)는, 상부면이 개방된 투명체의 직사각 박스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러한, 김 공급박스(4)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배출유도로울러(411)가 설치된, 배출공급구(41)를 형성하고, 김 공급박스(4) 내측 하부면에, 탄성스프링(S)에 의해 상,하 완충작용을 행하는 김 안착판(42)을 설치,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출공급구(41)로 설치되는 배출유도로울러(411)의 외경면은, 마찰력 증대를 위한 구조로써, 통상의 샌드페이퍼와 같이, 거친 표면구조를 갖는 직물재를 감착시켜 구성하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이러한 배출유도로울러(411)의 회전작동관계는, 그 배출유도로울러(411) 일측면에 배출구동모터(도시생략)를 장착, 연결시켜 자동제어 하거나, 혹은, 배출 레버(도시생략)를 연결시켜 선택적으로 수동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은 단순한 설계 변경에 불과할 뿐 모두 본 발명에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다섯 번째 구성요소인, 포장절단기(5)는, 도 1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레스 판넬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 시킨 슬라이딩 유도패널(51)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도패널(51) 전방 중앙부에, 절단구동모터(521)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원통구동기어(52)를 수평설치구조로 장착하고, 이어, 상기 슬라이딩 유도패널(51) 내측면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톱날(531)과, 좌,우 한쌍의 랙기어(532)를 구비한 절단패널(53)을 밀착되게 하며, 재차, 상기 밀착된 절단 패널(53)의 랙기어(532)와, 원동구동기어(52)를, 상호, 치합구조로 연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본 발명에 있어, 여섯 번째 구성요소인, 컨트롤박스(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에 대하여, 일련의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써, 이에, 이와 같은, 컨트롤 박스(6)는, 설정된 제어회로에 의해 기기의 작동을 통제하는 통상의 그것과 상이함이 없는 구성으로써, 다만, 이와 같은, 컨트롤박스(6)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그 컨트롤박스(6)에,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61)와, 전원제어스위치(62), 그리고, 하중설정스위치(63)와, 수량설정스위치(64)를 더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자동포장 유닛(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자동포장 유닛(2) 상부면에 자동말이 유닛(1)을 적층 결합시키고, 그 적층 결합된 자동말이 유닛(1) 상부면에 김 공급박스(4)를 안착시키며, 재차, 자동포장 유닛(2)과, 자동말이 유닛(1)의 결합부위 전방, 예컨대, 자동포장 유닛(2) 전방 상부측에 포장절단기(5)를 장착, 구성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 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김밥 말이 장치에 있어, 상기 자동말이 유닛(1)의 후면 일측으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6)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은, 결합구성을 이루어진 자동 김밥 말이 장치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김밥말이 작업을 행하기 위해, 김밥 말이 장치에 접근하면, 컨트롤박스(6)에 구비된 접근감지센서(61)는,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따라 개폐단속모터(33)를 자동 구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구동관계에 의해 막대기어(34)가 승강 작용하며,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31)의 덮개(32)를 개방시킴으로써, 김밥 말이 작업 준비단계를 이루게 된다.
이어, 작업자는, 김 공급박스(4) 내측면, 예컨대, 김 안착판(42) 상부면에 다수장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김을 적층 수납시키고, 컨트롤박스(6)에 구비된 하중설정스위치(63)와, 수량설정스위치(64) 조작에 의해 말아야 할 김밥의 수량을 설정한다.
예컨대, 김밥 1줄의 무게가 200그램이고, 말고자 하는 김밥의 수량이 10줄일 경우, 하중설정스위치(63)를 통해 2000그램의 무게를 설정하고, 수량설정스위치(64)를 통해 10개라는 수량을 설정하는 것이 그 일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설정이 완료된 상태하에, 배출유도로울러(411)를 회동시켜, 김 공급박스(4) 내에 적층 수납된 김을 한장씩 선별하여, 배출공급구(41)로 인출되게 하고, 이와 같이, 인출된 김을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에 펼친 후, 그 위에 별도 밥솥에 보관된 밥과, 저장용기(31)에 보관된 소시지, 햄, 시금치, 우엉, 단무지, 지단 등과 같은 속 재료를 고르게 배열하여,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롤링컨베이어(12)로 흐름 전달되게 한다.
이에, 압착 롤링컨베이어(12)는,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구동래크(13)에 의해 이동로울러(122)를 수축시켜, 대나무 발(124)을 늘어트리게 되고, 그 늘어진 대나무 발(124)에 상기 전달된 김밥재료를 수용시키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로울러(123)가 회전작동되며, 원기둥 형태로써, 김밥을 말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김밥이 말아질 경우, 수축구동래크(13)에 의해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울러(122)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대나무 발(124)을 펼쳐지게 하고, 그에 따라, 말아진 김밥을, 낙하유도 경사판(14)을 통해 자동말이 유닛(1) 내측 하부면으로 자유 낙하되게 한 후, 그 낙하된 김밥을 전,후 이송작용을 행하는 컷팅 유도블럭(16)에 의해 분할컷팅날(15)로 이동시켜, 먹기좋은 크기로 김밥을 절단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절단된 김밥은, 재차, 자동포장 유닛(2)의 투입구(21)를 통해 포장용 호일(A)이 펼쳐진 포장유도 컨베이어(22)로 낙하 이동되고, 이와 같이, 낙하 이동된 김밥은, 전술한 압착 롤링컨베이어(12)와 동일한 작동원리를 갖는 포장유도 컨베이어(22), 예컨대, 수축유도기어(225)와 구동로울러(221), 그리고, 수축로울러(222)와, 포장 전동로울러(223)에 의해,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김밥을 호일(A)에 포장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포장이 완료된 김밥은 포장컷팅기(5)에 의해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포장호일 연결부위가 절단되고, 이어, 힌지 회동되는 배출버킷(23)을 경유하여, 배출경사판(26)을 통해 배출테이블(27)로 배출됨으로써, 일련의 김밥 말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테이블(27)로 배출된 김밥은, 포장거치대(272)에 거치된 비닐봉지 등에 자동수용되고, 이와 같이, 수용된 김밥은 하중감지센서(271)에 의해 그 무게가 감지되어, 최초 설정된 하중 및 그에 따른 수량에 도달될 경우, 부저음 발생 내지 기기의 작동 정지 등을 통해 필요한 수량의 김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김밥 말이 작동관계 있어, 말아진 김밥을 포장작업 없이, 현장에서 시식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도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마련된 접시(D) 등을 안착시킨 한 형태로 배식판(17)을 하강시켜, 자동말이 유닛(1)으로부터, 컷팅되어 배출되는 김밥을 배식판(17) 상부면의 접시(D)에 담아지게 하여, 직접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1,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할 컷팅날(15)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와 같은, 또 따른 실시예로서의 분말 컷팅날(15')은, 도 11 내지 도 1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되는 지지틀(151')(151") 내측면에 다수개의 실톱날(152')을, 탈,부착 교환이 가능한 규칙적 배열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분할 컷팅날(15')의 상부측 지지틀(151')의 좌,우 양측면에, 도 1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되는 한쌍의 편심동력모터(M') 링크연결되게 하여, 분할 컷팅날(15)을 상,하 이송작용되게 함으로써, 김밥의 절단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할 컷팅날(15')은, 김밥을 절단하는 수단이 실톱날(152')으로써, 이에, 김밥 절단시, 그 절단부위와의 접촉면적을 회소화하여, 분할 커팅날(15')에, 이물질(밥풀 등)이 잔류하는 현상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1 : 자동말이 유닛 2 : 자동포장 유닛 3 : 속재료 보관프레임
4 : 김 공급박스 5 : 포장절단기 6 : 컨트롤박스
11 : 래시피 유도컨베이어 12 : 압착 롤링컨베이어 13 : 수축구동래크
14 : 낙하유도 경사판 15 : 분할 컷팅날 16 : 컷팅 유도블럭
17 : 배식판 22 : 투입구 23 : 포장유도 컨베이어
24 : 낙하 유도부재 25 : 거치롤러유닛 26 : 배출경사판
31 : 저장용기 32 : 덮개 33 : 개폐단속모터
34 : 막대기어 35 : 냉각수 용기 41 : 배출공급구
42 : 김 안착판 51 : 슬라이딩 유도패널 52 : 원통구동기어
53 : 절단패널 61 : 접근감지센서 62 : 전원제어스위치
63 : 하중설정스위치 64 : 수량설정스위치

Claims (8)

  1. 자동포장 유닛(2) 상부면에, 자동말이 유닛(1)이 적층 결합되고;
    상기 적층결합된 자동말이 유닛(1) 좌,우 양측면에 속재료 보관프레임(3)이 대칭, 구조로 결합 형성되며;
    상기 자동말이 유닛(1) 상부면에 김 공급박스(4)가, 탈,부착 구조로 안착되고;
    상기 적층 결합된 자동포장 유닛(2)과, 자동말이 유닛(1) 전방에 포장절단기(5)가 더 결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말이 유닛(1)은, 그 내측 상부면에, 래시피 유도컨베이어(11)와, 압착 롤링컨베이어(12)가 수축구동래크(13)에 의한 동력연결관계로, 수평배치되고;
    상기, 압착 롤링컨베이어 전방(12)에, 낙하유도 경사판(14)이 구비되며;
    상기 낙하유도 경사판(14) 하부면에 컷팅모터 구동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할 컷팅날(15)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말이 유닛(1) 내측 하부면에, 블럭 구동모터(M4)에 의해 전후, 이송작용을 행하는 판체 구성으로, 종동랙기어(161)와, 다수개의 컷팅날 유도홈(162)이 일체로 구비된 컷팅 유도블럭(16)이 내설되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자동말이 유닛(1) 전방면에, 좌,우 한쌍의 승,하강 유도기어(171)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되는 배식판(17)을 더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장 유닛(2)은, 직사각 케이스 구조로써, 그 전방 상부면에 투입구(21)를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21) 내측 하부면에, 수축유도기어(225)에 의해 길이와 회전 압박력이 조절되는 포장유도 컨베이어(22)를 설치하며;
    상기 포장유도 컨베이어(22) 전방에, 힌지 회동구조를 갖는 배출버킷(23)과, 낙하유도부재(24)를 상,하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포장유도 컨베이어(22) 후측면에, 포장용 호일을 자동 공급하는 거치롤러유닛(25)을 형성하며;
    상기 포장유도 컨베이어(2) 하부면에, 배출경사판(26)을 형성하되, 그 배출경사판(26)은 힌지구조에 의해 경사면의 위치가 좌,우측으로 가변조절되는 구조로 형성하며;
    상기 배출경사판(26)의 끝단 근접부위 일측면에 하중감지센서(271)와, 포장거치대(272)를 구비한 배출테이블(27)을 더 구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재료 보관프레임(3)은, 다수개로 구획된 저장용기(31)와;
    상기 저장용기(31)의 상부면을 힌지 개폐구조로 밀폐하는 덮개(32)로 형성하되;
    상기 덮개(32)는, 개폐단속모터(33)에 의해 상,하 이송 작동되는 막대기어(34)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고;
    상기 저장용기(31)는, 냉각소자(T1)가 설치된 냉각수 용기(35)에 수용 설치된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 공급박스(4)는, 일측면에 배출공급구(41)가 형성된 직사각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김 공급박스(4) 내측 하부면에 탄성스프링(S)에 의해 상,하 완충작용을 행하는 김 안착판(42)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급구(41) 상부측에 배출유도로울러(411)가 더 설치,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절단기(5)는, 직립구조를 취하며,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슬라이딩 유도패널(51)과;
    상기 슬라이딩 유도패널(51) 전방 중앙부에 수평구조로 설치되는, 원통구동기어(52);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유도패널(51) 내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원통형 구동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슬라이딩 작동되는, 컷팅톱날(531)과, 좌,우 한쌍의 랙기어(532)를 구비한 절단패널(5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말이 유닛(1)은, 전방 일측면에, 컨트롤박스(6)를 더 장착,구비하되;
    그 컨트롤박스(6)는, 접근감지센서(61)와, 전원제어스위치(62), 그리고, 하중설정스위치(63)와, 수량설정스위치(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컷팅날(15)은, 상하 대칭되는 지지틀(151')(151") 내측면에 다수개의 실톱날(152')이, 규칙적 배열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분할 컷팅날(15)의 상부측 지지틀(151') 좌,우 양측면에, 대칭되는 한쌍의 편심동력모터(M')가 링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 말이 장치.

KR1020110076371A 2011-08-01 2011-08-01 자동 김밥 말이 장치 KR10125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1A KR101255922B1 (ko) 2011-08-01 2011-08-01 자동 김밥 말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371A KR101255922B1 (ko) 2011-08-01 2011-08-01 자동 김밥 말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34A KR20130014734A (ko) 2013-02-12
KR101255922B1 true KR101255922B1 (ko) 2013-04-17

Family

ID=4789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71A KR101255922B1 (ko) 2011-08-01 2011-08-01 자동 김밥 말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0916B (zh) * 2017-12-29 2024-05-28 张飞龙 一种具有包装开启装置的自动售卖机
KR102295165B1 (ko) * 2019-07-22 2021-08-31 주식회사 얌샘 꼬치 형 김밥 제조 방법, 그 제조 시스템 및 꼬치 형 김밥
KR102570166B1 (ko) * 2022-09-27 2023-09-06 김영수 말이 기능이 개선된 롤 겸용 김밥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61Y1 (ko) * 1993-08-13 1996-03-19 박상식 김밥 성형장치
KR0129185Y1 (ko) * 1995-06-11 1998-11-02 박상식 김밥 성형 장치
JP2004267061A (ja) 2003-03-06 2004-09-30 Audio Technica Corp 海苔供給装置および同海苔供給装置を有する海苔巻き成型装置
KR100855858B1 (ko) 2007-05-02 2008-09-01 이남재 김밥의 로울 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261Y1 (ko) * 1993-08-13 1996-03-19 박상식 김밥 성형장치
KR0129185Y1 (ko) * 1995-06-11 1998-11-02 박상식 김밥 성형 장치
JP2004267061A (ja) 2003-03-06 2004-09-30 Audio Technica Corp 海苔供給装置および同海苔供給装置を有する海苔巻き成型装置
KR100855858B1 (ko) 2007-05-02 2008-09-01 이남재 김밥의 로울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734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3209B (zh) 自動供餐系統
CN107393176B (zh) 现制面食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CN206371719U (zh) 一种嵌入式集成厨房烹饪系统
US2018021505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shawarma, gyros and doner kebab sandwiches and meals
KR101255922B1 (ko) 자동 김밥 말이 장치
CN106983351A (zh) 全自动烹饪机
CN110533840A (zh) 一种食品自动烘烤油炸清蒸自动售卖的方法及设备
US7987775B2 (en) Continuous food cooker
CN209995972U (zh) 一种茶点自动制作机
CN207202713U (zh) 一种多功能升降火锅设备
WO2019059859A2 (en) HOUSEHOLD TYPE BREADING AND GRINDING MACHINE
KR20160073768A (ko) 살균부가 구비된 자동 김밥 말이 장치
CN210361327U (zh) 一种自主分类式混合配餐机器人
CN219617864U (zh) 一种用于炒菜机的自动下料装置及自动炒菜机
AU2015250337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Shawarma, Gyros and Doner Kebab sandwiches and meals
US20200000105A1 (en) Method for preparing foods based on doughs frozen in portions and machine for preparing and selling said foods
CN114120537B (zh) 自动煮熟主食的食品智能化加工售卖一体机
CN211555050U (zh) 一种食品自动制作自动售卖的设备
CN212698505U (zh) 组合式多功能厨具
CN215013062U (zh) 一种馅饼生产设备
CN211124218U (zh) 一种面包烧饼煎饼水煎包的自动制作自动售卖设备
CN213424104U (zh) 一种自动现炸设备及自动贩卖机
CN212939383U (zh) 一种肠粉机
CN110544351A (zh) 一种食品自动制作自动售卖的方法及设备
CN208822516U (zh) 一种双缸油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